KR102630062B1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062B1
KR102630062B1 KR1020200027280A KR20200027280A KR102630062B1 KR 102630062 B1 KR102630062 B1 KR 102630062B1 KR 1020200027280 A KR1020200027280 A KR 1020200027280A KR 20200027280 A KR20200027280 A KR 20200027280A KR 102630062 B1 KR102630062 B1 KR 10263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tower
blowing device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121A (ko
Inventor
김기동
김재현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0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방에 위치하며, 중심축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인 밸리홈을 형성하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타워케이스; 상기 타워케이스를 일 면을 형성하며, 상기 밸리홈이 규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에 상기 토출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구; 상기 타워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모듈; 및 상기 토출구의 개방 면적을 가변하도록,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기 {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이다. 일례로, 상기 송풍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는 보통 “선풍기”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은 대류와 증발을 통해 상기 실내의 열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의 사용자는 시원함과 쾌적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종래 송풍기는 상기 회전축에 붙은 날개가 시각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와 관련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케이지(cage) 등과 같은 보호망 기구를 함께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지와 날개는 쉽게 오염되고 관리가 불편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송풍기의 날개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송풍기(또는 선풍기)가 공개되고 있다.
또한, 송풍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의 공기청정 성능은, 토출되는 공기량(“토출용량”)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0274호(공개일자: 2011년 09월 09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5325호(공개일자: 2019년 02월 13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5443호(공개일자: 2019년 03월 11일)가 있다.
한편, 송풍기는 온풍을 생성하기 위해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된 히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에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지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경우, 상기 히터를 통과한 공기(“온풍”)는 상하 기온 차에 의해 토출구의 하부에서 많은 유량이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온풍 중 대부분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내부 유로를 따라 상승하지 못하고,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난방모드시 송풍기의 상부와 하부에서 온도 구배 차이가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송풍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하는 팬의 날개(또는 블레이드)가 비시각적으로 구비되는 히든(hidden)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풍이 제공되는 난방모드시, 상기 온풍이 상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균일 또는 균등하게 토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방모드 여부에 따라 토출구 하부의 개방 면적이 변화되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방에 위치하며, 중심축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인 밸리홈을 형성하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타워케이스; 상기 타워케이스를 일 면을 형성하며, 상기 밸리홈이 규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에 상기 토출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구; 상기 타워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모듈; 및 상기 토출구의 개방 면적을 가변하도록,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기.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토출구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축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를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도어는, 상기 히터모듈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개방 면적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도어는 상기 히터모듈 작동시, 상기 토출유로의 하부에서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 유동을 감소시키도록 이동하며, 상기 토출구의 하부 개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도어는 상기 히터모듈과 상기 대향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도어는, 힘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 상기 가이드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타공판을 포함하며, 상기 타공판은, 상기 히터모듈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개방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은, 상기 토출구의 전후 방향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의 하단은, 상기 토출구의 하단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은, 상기 히터모듈이 작동할 때 상기 토출구의 전단까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은, 상기 히터모듈이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토출구의 후단 보다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는, 상기 히터모듈을 둘러싸도록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히터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타공판의 상단은 상기 히터케이스의 상단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모터는 상기 히터케이스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케이스는 상기 대향면의 내측 면에 상기 토출구의 하단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은, 밸리홈을 향하는 방향으로 타공되는 다수 개의 타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타공홀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홀이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는,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상기 토출구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 개의 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베인은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종래 송풍기의 블레이드 등과 같은 구성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깔끔하고 수려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토출구를 차폐하도록 이동되는 타공판에 의해 온풍 중 일부는 토출구의 상부로 상승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타공판에 형성된 타공홀을 통과하므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토출구 전체에 온풍이 균일 또는 균등하게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히터가 작동하는 난방모드시 타공판이 토출구의 일부를 막아줄 수 있으므로, 상기 히터를 향해 손가락을 넣거나 화상을 입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가이드도어를 히터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토출구에 설치함으로써 히터를 통과한 공기의 상승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난방모드시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토출구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가이드도어는 히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대향면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에 간섭을 회피하고, 유동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가이드도어는 히터가 작동할 때 토출구를 차폐하도록 간편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가이드도어의 도어판 상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모터와 연결되는 치형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의 동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도어판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난방모드시 히터를 통과한 공기는 도어판에 충돌하여 토출구의 상부를 향해 상승할 수 있으며,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도어판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홀에 의하여 토출구의 하부에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구로부터 균일하게 온풍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한 쌍의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다양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무게 중심이 하부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전도(顚倒)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단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도어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지지부(10) 및 상기 지지부(10)에 의해 지지되는 타워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송풍기(1)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송풍기(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1)는 상기 지지부(10)에서 주위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타워부(100)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지지부(10) 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1)는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송풍기(1)는 대략적으로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타워부(100)는 일체를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단으로부터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0)와 타워부(100)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매끈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타워부(100)는, 송풍기(1)의 중심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인 밸리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기(1)의 중심축은 상기 밸리홈(120)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송풍기(1)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타워부(100)의 전단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개구를 정반대에 위치한 타워부(100)의 후단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리홈(120)은 후술할 대향면(111,112) 및 하부곡면(125)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면(111,112)은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리홈(120)의 폭은 전후 방향으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밸리홈(120)의 바닥은 하부곡면(125)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곡면(125)은 하방으로 함몰된 곡면을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타워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타워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타워부(100)를 수직 이등분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밸리홈(120)에 의하여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밸리홈(120)의 폭은, 전후 방향과 달리 상하 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리홈(120)의 상하 길이(또는 밸리홈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10)의 상하 길이(또는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밸리홈(120)은 도어(130)에 의해 개방되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리홈(120)은 상기 송풍기(1)의 전방으로 토출기류가 형성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의 케이스(12)는 “본체 케이스”라고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2)는, 상기 타워부(100)의 타워케이스(110)와 일체적 또는 연속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12)는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하단은 상기 케이스(12)의 상단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케이스(12)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부(13)는 다수의 홀을 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3)의 주변 공기는 상기 다수의 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흡입부(13)는 그릴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가 그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흡입부(13)의 주변 공기는, 그릴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의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3)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타워부(10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의 위에 배치되는 필터지지부(30) 및 상기 필터지지부(30)에 결합하는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케이스(12)의 하단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케이스(12)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필터(미도시)를 통과하고, 상기 필터의 내측에 형성되는 흡입유로(45)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부(13)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또는 정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는 중심축을 따라 개방되는 도넛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13)로 유입된 공기는 원기둥 형상인 필터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흡입유로(45)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45)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유로(45)를 따라 팬(21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30)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지지부(3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30)는 상기 필터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장치(31) 및 필터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지지부(3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상기 필터지지부(3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31)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31)의 내부 공간은, 상기 흡입유로(45)의 하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지지장치(31)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31)의 상면은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31)는 상기 필터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1)의 내주면은, 상기 필터의 탈착 또는 고정을 가이드하는 레버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상기 지지장치(3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프레임(35)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필터프레임(35)의 내부 공간은, 상기 흡입유로(45)의 상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5)의 상부는 팬하우징(2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지지부(30)은, 지지장치(31)로부터 상기 필터프레임(35)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필터기둥(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기둥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31)와 상기 필터프레임(35)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필터기둥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지지장치(31)와 상기 필터프레임(35)의 테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31), 필터프레임(35) 및 필터기둥은, 상기 필터의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위치하는 팬하우징(200), 상기 흡입부(13)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210), 상기 팬(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디퓨저(300) 및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타워부(100)로 가이드하는 분배덕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필터의 출구 측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팬(210)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00)은 상기 필터프레임(3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20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그릴(205)은 상기 흡입유로(45)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입그릴(205)은 그릴로 제공되므로 상기 필터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팬하우징(200)의 내부로 손가락 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팬(210)은 회전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210)은 상기 유입그릴(205)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팬(21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사선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사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팬(210)은 모터(미도시)의 축이 결합되는 허브(211), 상기 허브(211)와 이격 배치되는 쉬라우드(213) 및 상기 허브(211)와 상기 쉬라우드(213)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디퓨저(300)의 모터수용부(310)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허브(21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허브(211)는 상기 모터수용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허브(21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211)는, 상기 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허브(21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13)는 상기 유입그릴(205)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중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13)는 상기 중심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215)의 가이드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토출되는 외곽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곽 개구는 상기 중심 개구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5)의 일 면은 상기 허브(211)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타 면은 상기 쉬라우드(213)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215)는 상기 허브(21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45)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유입그릴(205)를 통하여 상기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213)가 형성하는 중심 개구(또는 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블레이드(215)를 거쳐 사선 방향을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곽 개구를 통해 공기가 사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215)는 축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상기 분배덕트(400)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하우징(20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팬하우징(200)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를 분배덕트(400)를 통과하여 타워부(100)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0)는, 외곽 둘레를 형성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수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300)는 상기 모터수용부(310)와 상기 외벽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되는 가이드베인(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의 직경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직경보다 크다. 즉, 상기 외벽의 직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외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내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의 내주면과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가이드유로(3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로(335)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베인(3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허브(211)와 연결되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하부(315)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하부(315) 형상은, 상기 허브(21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는 상기 허브(2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축은 상기 모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31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모터결합구를 관통하여 상기 허브(21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하부(315)에는 타공 형성되는 다수의 흡음홀(3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에 대응하여 흡음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은 상기 모터결합구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의 외주면(315)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 간의 간격은 8~14(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부의 하부(315)의 외주면과 상기 허브(211)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315)와 상기 허브(211)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을 “에어 갭(Air gap)”으로 이름한다.
상기 에어 갭에는 상기 팬(210)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210)의 회전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 갭에서 마찰 및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상기 에어 갭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동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 및 흡음재에 의하면, 상기 에어 갭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음홀(316)은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음홀(316)의 직경은 2(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모터수용부(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는 다수 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330)는 상기 팬(210을 거쳐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에 의해 유입되어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210)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유동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상방으로 유동한 공기는 팬하우징(200)으로 유입된 후 상기 팬(210)을 통과하면서 사선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사선 방향으로 상승된 공기는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되며, 상기 가이드유로(335)에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가이드유로(335)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15)를 거쳐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는 공기는 대부분 원주 방향의 유동성분과 반경 방향의 유동성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15)를 통과한 공기는 회전하는 소용돌이 기류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베인(330)은 상기 소용돌이 기류를 형성하는 유동성분을 상쇄시켜 공기가 안정적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베인(330)을 통과한 공기의 속도 성분은,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 성분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축 방향 성분, 즉, 상방으로 향하는 속도 성분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배덕트(400)의 하단 외경은, 상기 디퓨저(300)의 상단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의 외벽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상기 타워부(100)의 하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케이스(12) 및/또는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타워부(100)와 상기 디퓨저(300) 사이에 원활한 공기 흐름이 형성되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의 내부에는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타워부(100)의 내부공간으로 분기시키는 분배유로(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로(410)는, 상기 타워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분배유로(4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밸리홈(120)의 양 측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토출유로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일 측에 위치하는 제 1 타워(101) 및 상기 제 1 타워(101)를 마주보도록 타 측에 위치하는 제 2 타워(102)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101a,102a)는 상기 제 1 타워(10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101a) 및 상기 제 2 타워(102)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102a)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분배덕트(400)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타워부(100)의 제 1 타워(101)와 상기 제 2 타워(102)로 분기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타워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타워케이스(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워케이스(110)는 상기 지지부(10)의 케이스(12)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횡단면의 전체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케이스(110)는 중심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 공간은 상기 밸리홈(120)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중심부에는 밸리홈(120)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중심축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칭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10)도 상기 중심축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칭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중심축을 타워부(100)의 전후 개방된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상기 가상의 수직선은 “기준선”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상기 밸리홈(120)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1)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도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는 중심축 또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전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타워케이스(110)는, 송풍기(1)의 반경 방향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외면(115,116)과, 밸리홈(120)을 형성하는 대향면(111,112) 및 하부곡면(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면(115,116)은 상기 타워부(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면(115,116)은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바깥 면을 형성하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외면(115,116)은 상기 제 1 타워(101)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외면(115) 및 상기 제 2 타워(102)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외면(116)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면(115,116)은 케이스(12)부터 상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타워케이스(110)의 원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외면(115,166)은, 상기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반원의 호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대향면(111,112) 및 상기 하부곡면(125)은, 상기 외면(115,116)으로부터 연장되며, 밸리홈(120)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111,112)과 상기 하부곡면(125)은, 상기 타워부(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부(100)의 중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리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밸리홈(120)의 양 측면을 규정하며, 상기 하부곡면(125)은 상기 밸리홈(120)의 하면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기준선이 지나는 개방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타워부(100)의 중심 부에 형성된 공간(“밸리홈”)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밸리홈(120)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대향면(111) 및 제 2 대향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대향면(111)은 상기 제 1 타워(101)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외면(115)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대향면(112)은 상기 제 2 타워(102)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외면(11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대향면(111,112)은 상기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대향면(111)과 상기 제 2 대향면(112)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간격(또는 폭)은 상기 중심축에서 가장 가까우며, 밸리홈(120)의 전단부 및/또는 후단부에서 가장 멀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송풍기(1)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보다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곡면(125)은 상기 제 1 대향면(111)의 하단과 상기 제 2 대향면(112)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곡면(125)은 기준선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디퓨저(300)의 가이드유로(335)를 통해 타워케이스(110)의 토출유로(101a,102a)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143, 도6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43)는 상기 대향면(111,112)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구(143)는 상기 제 1 대향면(111)에 형성되는 제 1 토출구(미도시) 및 상기 제 2 대향면(112)에 형성되는 제 2 토출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143)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토출구와 상기 제 2 토출구(143)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대향면(111,112)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토출구는, 상기 타워부(100)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공기를 도어(130,1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밸리홈(120)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구(143)는 도어(130,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토출구는 상기 제 1 도어(130)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제 2 토출구(143)는 상기 제 2 도어(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1)는 상기 대향면(111,112)에서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 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구(143)를 개폐하는 도어(130,140)는, 상기 토출구(143)를 개방시 상기 밸리홈(120)의 전방부로 공기가 가이드되도록 회전 및/또는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43)는 상기 대향면(111,112)에 소정의 면적으로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구(143)는 상기 대향면(111,112)에 사각 형상의 개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43)는 송풍기(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 길이는 상기 대향면(111,112)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43)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타워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335)를 의해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상기 토출구(143)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베인(135,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135,145)은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로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제 1 토출구(미도시)로 전환시키는 제 1 베인(135) 및 상기 제 2 토출유로(102a)로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제 2 토출구(143)로 전환시키기는 제 2 베인(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135) 및 상기 제 2 베인(145)은,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135,145)은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상하 방향(또는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베인(135,145)은, 상방에 위치할수록 작은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 개의 베인(135,145)은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형성하는 타워케이스(110)의 체적 내에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형상에 기인하여 상방을 향할수록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인(135,145)의 하면은, 상기 가이드유로(335)를 통해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토출구(143)를 향하여 전환시키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인(135,145))의 전단은 상기 베인(135,145)의 후단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135,145)은, 상기 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135,145)은 상기 토출구(143)에 접하도록 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베인(135,145)의 하면은 상기 토출구(143)의 상하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또는 수평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소정의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인(135,145)의 폭은, 토출유로(101a,102a)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일부 유지하기 위해, 상기 토출유로(101a,102a) 폭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상승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베인(135,145)의 하면과 맞닿으면서 곡면의 가이드를 따라 유동 방향이 전환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토출구(143)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타워부(100)는 토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모듈(150,160) 및 상기 히터모듈(150,160)을 둘러싸는 히터케이스(151,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모듈(150,160)은 상기 가이드유로(335)로부터 제 1 토출유로(101a) 및/또는 제 2 토출유로(102a)로 상승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타워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모듈(150,160) 및 상기 히터케이스(151,161)는 토출구(143)의 하부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히터모듈(150,160)은 상기 히터케이스(151,16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모듈(150,160)은 상기 히터케이스(151,161)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히터케이스(151,161)는 상기 히터모듈(150,160)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케이스(151,161)는, 상기 토출유로(101a,102a)로 상승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히터모듈(150,160)의 둘레를 따라 이격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케이스(151,161)는 타워케이스(11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케이스(151,161)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유로(101a)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히터모듈(150,160)을 통과하기 위한 히터유로(165, 도3 참고)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히터케이스(151,161)의 둘레는, 상기 토출유로(101a,102a)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유로(101a,102a)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터케이스(151,16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히터유로(165)를 통과하면서 가열될 수도 있고, 상기 히터모듈(160)의 발열로 사방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43)를 향하면서 가열되어 온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히터케이스(151,161)는 상기 베인(135,145)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케이스(151,161)의 상단은 최하단에 위치한 베인(135,145) 보다 하방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케이스(151,161)는 상기 디퓨저(300)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히터모듈(150,16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타워부(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케이스(151,161)는 상기 토출구(143)의 하부에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히터케이스(151)는 상기 제 1 타워(10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유로(335)로부터 상기 제 1 토출유로(101a)로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히터모듈(150)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히터케이스(161)는 상기 제 2 타워(102)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유로(335)로부터 상기 제 2 토출유로(102a)로 유동하는 공기가 제 2 히터모듈(160)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히터케이스(151,161)는 상기 제 1 타워(101)에 설치되는 제 1 히터케이스(151) 및 상기 제 2 타워(102)에 설치되는 제 2 히터케이스(1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모듈(150,160))은 상기 제 1 히터케이스(15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히터모듈(150) 및 상기 제 2 히터케이스(16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히터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모듈(150)과 상기 제 2 히터모듈(160)은,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히터모듈(150)과 상기 제 2 히터모듈(160)은 공통의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히터모듈(150,160)은 PTC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TC히터는 PTC 소자 및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PTC 소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는 온도가 올라가다가 일정 온도가 되면 급격히 저항이 올라가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온도가 일정 이상 올라가게 되면 저항이 커지게 되고, 저항이 커져 흐를 수 있는 전류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전류가 줄어듬에 따라 발열량이 줄어들어 온도가 다시 떨어지는데, 온도가 떨어지면 다시 저항이 떨어져 발열이 시작되는 일정 온도 유지 메커니즘을 갖고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방열핀은, 병렬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PTC 소자가 결합된 PTC 로드 마다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TC 소자에 의해서 발생된 열과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방열핀의 형상은 PTC 소자에 의해서 발생된 열과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평판핀, 루버핀 및 벌집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타워부(100)는 토출구(143)를 개폐하는 도어(130,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0,140)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111,112)에 형성된 토출구(143)를 개폐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43)는 상기 송풍기(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전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43)는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140)는 제 1 대향면(111)에 설치하는 제 1 도어(130) 및 제 2 대향면(112)에 설치하는 제 2 도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 및 상기 제 2 도어(1300)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도어(130) 및 상기 제 2 도어(1300)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130)와 상기 제 2 도어(140)는, 배치 방향만 다를 뿐 동등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의 동등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어(130,140)는 상기 대향면(111,112)에 상기 토출구를 커버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30,140)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한 경우, 상기 토출케이스(110)의 내부 구성은 사용자의 시선에서 숨겨(hidden)질 수 있다.
상기 도어(130,140)는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130,140)는 상기 토출구(143)가 형성되는 대향면(111,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130,140)는 회전을 위한 축인 도어축(14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축(149)은 상기 도어(130,140)의 하단 및/또는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축(149)의 상기 토출구(143)를 규정하는 모서리의 일측에 형성되는 축결합부(14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어축(149)과 축결합부(148)의 위치는, 상기 도어(130,1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130,140)는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축(149)과 상기 축결합부(148)는 상기 토출구(143)의 전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축결합부(14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축(149)은 도어(130,140)가 타워케이스(110)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밸리홈(12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토출구(143)의 위치에 기인하여, 토출유로(101a,102a)의 공기는 상기 회전된 도어(130,140)의 바깥 면에 가이드되어 상기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축결합부(148) 및 도어축(149)이 상기 토출구(143)의 후단부에 위치한다면, 상기 도어(130,140)가 타워케이스(110)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하면, 토출유로(101a,102a)를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구(143)를 향할 때 도어(130,140)가 유동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30,140)는 밸리홈(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해야만 공기를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도어(130,140)가 사용자의 시선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상 깔끔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30,140)가 타워케이스(11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도어축(149) 및 상기 축결합부(148)는 상기 토출구(143)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상기 도어(130,14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한 쌍의 토출구(143)를 개방시키기 위해, 타워케이스(11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0,1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다양하게 가이드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상기 송풍기(1)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도어(130,14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130,14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후술할 도어가이드(550)의 이동을 위해 힘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510)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워케이스(110)는 상기 대향면(111,112)의 내측 면에 상기 토출구(143)를 규정하는 하단 모서리(이하,“토출구의 하단”이라 한다)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가이드(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는 후술할 가이드도어(50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홈이 상기 토출구(143)의 하단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후술할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를 따라 상기 대향면(111,112)의 내측 면에 밀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30,140)가 회동한 경우, 후술할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토출구(143)를 차폐하도록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는 상기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제 1 대향면(111)과 상기 제 2 대향면(112)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대향면(111)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가이드(미도시)는, 상기 제 1 타워(101)에 구비되는 가이드도어(미도시)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송풍기(1)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토출기류가 온풍으로 제공되기 위하여, 상기 히터모듈(160)이 작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로 입력시 상기 히터모듈(160)을 작동시켜서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방모드는 히터모듈(160)이 작동(ON)되어 상기 토출구(143)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시켜 토출하는 모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히터모듈(160)의 가열을 통해, 상기 히터유로(165) 및 상기 히터케이스(161)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는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43)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모듈(160)은 상대적으로 타워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토출구(143)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라서, 상기 도어(130,140)가 토출구(143)를 개방한 경우, 상기 디퓨저(300)로부터 상승하여 토출유로(101a,120a)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히터모듈(160)의 가열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상대적으로 유동 거리가 짧은, 토출구(143)의 하부를 바로 통과해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토출구(143)의 상부와 하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온도 차이를 가진 상태로 토출하게 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난방모드시 송풍기(1)에서 토출되는 토출기류의 온도 구배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송풍기(1)는 난방모드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형 토출구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온풍이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도어(5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타워부(100)는 상기 히터모듈(16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구(143)의 개방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이드도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 2 타워(102)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제 2 타워(102)에 구비되는 가이드도어(500)를 기준으로 가이드도어(5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제 1 타워(101)에 위치하는 제 1 가이드도어(미도시) 및 상기 제 2 타워(102)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도어(5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타워(101)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도어(미도시)는 상기 제 1 도어(130)가 개방하는 토출구의 개방 면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2 타워(102)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제 2 도어(140)가 개방하는 토출구(143)의 개방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도어 및 상기 제 2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밸리홈(12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제 2 가이드도어(500)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가이드도어의 구성은 제 1 가이드도어에도 원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히터모듈(160) 작동시,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하부에서 상기 토출구(143)로 토출되는 공기 유량을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토출유로(101a.102a) 내부에서 공기의 상승을 가이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토출구(143)의 하부 개방 면적을 가변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토출구(143)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상기 토출구(143)의 개방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히터모듈(600)과 상기 대향면(111,112)의 내측 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히터모듈(600)과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구(143)의 하부 개방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대향면(111,112)의 내측 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도어(500)의 하단부(532)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510), 상기 가이드모터(510)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피니언기어(520) 및 상기 토출구(143)의 개방 면적을 가변하기 위해 이동하는 타공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510)는 상기 히터케이스(510)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케이스(510)의 일 측에서 상기 가이드모터(510)가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모터(510)는 상기 밸리홈(120)을 향하는 히터케이스(510)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510)는 상기 타공판(530)의 이동을 위함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모터(510)는 스텝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20)는 상기 가이드모터(510)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520)는 상기 가이드모터(510)가 동작함에 따라,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피니언기어(520)는 상기 타공판(530)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타공판(530)은 상기 피니언기어(520)와 맞물리는 랙(531)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랙(531)은 상기 피니언기어(520)와 동등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공판(530)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531)은 상기 타공판(530)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520)는 상기 랙(531)과 맞물려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피니언기어(52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랙(531)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랙(531)은 상기 타공판(530)의 상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타공판(530)은 상기 피니언기어(520)의 회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타공판(530)의 상단은 상기 히터케이스(161)의 상단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케이스(161)의 상단에 결합된 가이드모터(510)는 하방으로 회전축이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기어(5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타공판(530)은 상기 토출구(143)의 전후 방향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토출구(143)의 하단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되는 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공판(530)은 상하 방향 길이가 전후 방향 폭 보다 큰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판(530)의 하단은 상기 토출구(143)의 하단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길이는 상기 토출구(143)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히터케이스(161)의 상단까지의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히터모듈(160)의 작동시 상기 타공판(530)에 의해 토출구(143)의 하부로 일찍 토출되는 공기가 줄어들고, 상승하는 공기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아지기 때문에 효과적인 공기의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143)의 상하 방향을 따라 온도가 균일한 공기(“온풍”)가 밸리홈(120)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타공판(530)은, 이동 방향 즉, 전후 방향에 수직한 양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타공홀(53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타공홀(535)은 토출구(143)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상기 타공판(530)에 타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직경은 약 1~5mm일 수 있다.
상기 타공홀(535)은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타공홀(535)은 상기 타공판(530)에 소정의 행과 열이 형성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타공판(530)은 상기 히터케이스(161)의 상단까지 상기 분배유로(410)에서 상기 토출유로(101a,102a)로 유입되는 타워부(100)의 하부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530)은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타공홀(535)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히터케이스(161)의 상단으로 가이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토출구(143)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타공판(530)의 면적 대비, 상기 다수의 타공홀(535)의 총 면적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비율을 가지기 때문에, 대부분 토출유로(101a,102a)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터케이스(161)의 상단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모듈(160)의 열 전달이 미치지 못한 공기가 곧장 타공홀(535)로 토출되는 유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상기 타공판(530)에 의해 공기를 상승시킴으로써 열 전달에 의해 충분히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타공판(530)의 상단 보다 높은 토출구(143)에서 토출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타공판(530)은 상기 히터모듈(160)이 작동하면, 상기 토출구(143)를 차폐하도록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모터(5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타공판(530)을 상기 토출구(143)의 하부를 막아주도록(정확히는 일부 면적만 차폐)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공판(530)의 하단부(532)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입구에 도달한 공기는, 상기 타공판(530)과 충돌하면서, 일부는 상기 다공홀(535)을 통해 토출구(143)로 토출되고, 나머지는 상승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히터모듈(160)에 의해 공기가 열 전달을 바다 온풍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토출구(143)의 상하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가지는 온풍이 토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히터모듈(160)이 작동하는 난방모드시, 상기 타공판(530)이 토출구(143)의 일부를 막아줄 수 있으므로, 상기 히터모듈(160)을 향해 손가락을 넣거나 화상을 입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토출구(143)로 향해도 바로 밸리홈(12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것이 아니라 타공판(530)에 의해 유동 흐름이 전환될 수 있다.
결국, 난방모드시 히터유로(165)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슬릿 형상을 가지는 토출구(143)에서 전체적으로 균일 또는 균등한 온풍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히터모듈(160)이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토출구(143)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되도록, 상기 대향면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난방모드가 아닌 일반모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143)의 하방 개구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43)를 통과하는 공기 유로에 간섭을 회피하고, 유동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도어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도어(500)는 상기 도어(130,140)가 상기 토출구(143)를 폐쇄한 경우에도 상기 토출구(14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따.
이후, 상기 팬(210)이 작동하여, 상기 토출유로(101a,102a)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토출구(143)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130,140)가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130,140)는 상기 도어축(149)을 중심으로 상기 타워케이스(110)의 내측 공간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히터모듈(160)이 작동하지 않는 일반모드인 경우, 상기 도어(130,140)가 상기 토출구(143)를 개방하면 상기 토출유로(101a,102a)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는, 일부가 상기 베인(135,145)에 충돌하면서 유동 방향이 토출구(143)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101a,102a)의 공기(F)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토출구(143)를 통해 밸리홈(120)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온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히터모듈(160)이 작동을 하는 경우, 상기 타공판(530)이 전방(M)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모터(510)를 작동시켜, 피니언기어(5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20)의 반경 방향 중 일 접촉 지점에 맞물려 있는 상기 랙(531)은, 상기 피니언기어(520)의 회전을 전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랙(531)은 전방(M)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랙(531)은 상기 타공판(530)의 상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타공판(530)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공판(530)의 하단(532)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44)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타공판(530)이 상기 토출구(143)의 전단부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모터(5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공판(530)은 상기 토출구(143)의 하부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엄격히, 상기 토출구(143)의 하부 개구 면적은 타공홀(135)에 의해서만 형성되므로, 상기 토출구(143)의 하부 개구 면적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타공판(530)의 전후 이동으로 상기 토출구(143)의 개방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판(530)이 상기 토출구(143)의 하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가로막기 때문에, 상기 공기(F)는 상기 히터모듈(160) 주변에서 열 전달을 받아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F) 중 일부(점선)는 상기 타공홀(135)을 통해 토출구(143)의 하부 개구로 토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F) 중 나머지(실선)은 상기 타공판(530)의 가이드에 의해 상기 타공판(530)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하여, 상기 토출구(143)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난방모드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토출구(14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하 온도 차이가 최소화된 온풍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공판(53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일반모드에서 토출구(143)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설명은, 상술한 설명의 역순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1: 송풍기
10: 지지부
100: 타워부
110: 타워케이스
120: 밸리홈

Claims (22)

  1.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압송하는 팬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방에 위치하며, 중심축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인 밸리홈을 형성하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부는,
    상기 팬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타워케이스;
    상기 타워케이스의 일 면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밸리홈이 규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에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밸리홈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하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을 제외한 상부 영역으로 구분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유로 중 상기 토출구의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모듈; 및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가열유로를 갖도록 상기 히터모듈을 감싸고, 상기 토출구의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고, 하부 개구는 상기 팬과 상하로 마주보는 히터케이스를 포함하는 송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슬릿 형상을 가지는 송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송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토출구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축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송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하부 영역이 개방된 면적을 가변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도어는, 상기 히터모듈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개방 면적을 가변하는 송풍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어는 상기 히터모듈 작동시, 상기 토출유로의 하부에서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 유동을 감소시키도록 이동하며, 상기 토출구의 하부 개방 면적을 감소시키는 송풍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어는 상기 히터모듈과 상기 대향면 사이에 위치하는 송풍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도어는,
    힘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
    상기 가이드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타공판을 포함하며,
    상기 타공판은, 상기 히터모듈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개방 면적을 가변시키는 송풍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상기 토출구의 전후 방향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송풍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의 하단은, 상기 토출구의 하단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는 송풍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상기 히터모듈이 작동할 때 상기 토출구의 전단까지 전방으로 이동하는 송풍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상기 히터모듈이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토출구의 후단 보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송풍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랙을 포함하는 송풍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부는,
    상기 히터모듈을 둘러싸도록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히터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공판의 상단은 상기 히터케이스의 상단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송풍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터는 상기 히터케이스의 상단에 결합하는 송풍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케이스는 상기 대향면의 내측 면에 상기 토출구의 하단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공판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송풍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밸리홈을 향하는 방향으로 타공되는 다수 개의 타공홀을 형성하는 송풍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타공홀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홀이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송풍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부는,
    상기 타워케이스의 내부 중 상기 히터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상기 토출구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 개의 베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베인은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송풍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케이스는 전후방향상 상기 대향면 중 후방 부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송풍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대향면의 전단에 가깝게 배치되는 송풍 장치.
KR1020200027280A 2020-03-04 2020-03-04 송풍기 KR10263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80A KR102630062B1 (ko) 2020-03-04 2020-03-04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80A KR102630062B1 (ko) 2020-03-04 2020-03-04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21A KR20210112121A (ko) 2021-09-14
KR102630062B1 true KR102630062B1 (ko) 2024-01-25

Family

ID=7777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80A KR102630062B1 (ko) 2020-03-04 2020-03-04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0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8230A (ja) 2013-06-10 2014-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CN206877265U (zh) 2017-06-26 2018-01-12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用于高性能cpu的新型无叶风扇散热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03682D0 (en) * 2009-03-04 2009-04-15 Dyson Technology Ltd A fan
KR102600956B1 (ko) * 2016-09-22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11035B1 (ko) * 2016-12-14 201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송풍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8230A (ja) 2013-06-10 2014-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CN206877265U (zh) 2017-06-26 2018-01-12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用于高性能cpu的新型无叶风扇散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21A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701B1 (ko) 팬 어셈블리용 노즐
WO2020089581A1 (en) Adjustable fan nozzle
KR20130045347A (ko) 팬 어셈블리
KR20230167155A (ko) 회전 가능한 노즐을 갖는 팬
WO2020089580A1 (en) Adjustable fan nozzle
US20210270292A1 (en) Nozzle for a fan assembly
EP1972855B1 (en) Kitchen oven with air-cooled closing door
KR102630059B1 (ko) 송풍기
KR102630062B1 (ko) 송풍기
KR20190113167A (ko) 국소 배기 장치
US11708997B2 (en) Air conditioner
AU744720B2 (en) Domestic appliance
US20230088798A1 (en) Blower
KR20210112122A (ko) 송풍기
KR102630063B1 (ko) 송풍기
KR102650688B1 (ko) 송풍기
KR102630060B1 (ko) 송풍기
JP3893840B2 (ja) 吹出し気流の旋回成分補正方法及び送風装置
KR20210098055A (ko) 송풍기
CN116113767A (zh) 具有抽油烟机的烹饪炉灶
KR102024566B1 (ko) 국소 배기 장치
KR20210114651A (ko) 송풍기
KR20210114650A (ko) 송풍기
KR102658132B1 (ko) 에어클린팬
KR102630058B1 (ko) 공기 조화기용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