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566B1 - 국소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국소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566B1
KR102024566B1 KR1020170160370A KR20170160370A KR102024566B1 KR 102024566 B1 KR102024566 B1 KR 102024566B1 KR 1020170160370 A KR1020170160370 A KR 1020170160370A KR 20170160370 A KR20170160370 A KR 20170160370A KR 102024566 B1 KR102024566 B1 KR 10202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grill
region
frame member
fil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930A (ko
Inventor
황성훈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65,68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15331B2/en
Priority to PCT/KR2017/014036 priority patent/WO2018101801A1/ko
Priority to EP17875992.4A priority patent/EP3550212A4/en
Publication of KR2019005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Abstract

국소 배기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하부면에 흡기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흡기구에 배치되어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되는 스월러를 구비하는 와류형성장치와; 흡기구에 배치되며, 흡기구를 통해 본체부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흡기구에 설치되어 스월러의 하부에 배치되며,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그릴;을 포함하고, 흡입그릴은, 흡기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흡입그릴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영역과 제1영역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제1영역에는 필터가 설치되고, 제2영역에는 스월러에서 형성되는 와류가 흡입그릴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국소 배기 장치{LOCAL VENTIL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국소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국소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고온의 열을 음식물에 가하여 끓이거나 굽는 등 요리를 하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구가 배치되는 조리대가 구비된다.
이때 조리대 위에 배치된 가열기구의 고열에 의해 가열되는 피조리물은, 가열되는 과정에서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열에 의해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확산된 오염물질은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키고, 특히 밀폐된 주방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작업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주방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레인지 후드는, 레인지 후드의 외관을 이루며 하부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후드본체와, 후드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후드본체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필터를 통과하여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인지 후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리대에서 피조리물이 가열기구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은, 주변 공기보다 높은 온도로 인하여 자체 부력으로 상승하거나 레인지 후드의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오염물질은 필터를 통과하여 외부덕트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레인지 후드는, 후드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흡입구 근처의 공기 및 오염물질은 어느 정도 흡입할 수 있으나, 흡입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공기 및 오염물질은 제대로 흡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흡입구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흡입 기류의 유속 감소가 발생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증가시킨다고 해서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그에 비례하여 증가되지는 않는다.
즉 종래 레인지 후드는, 흡기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흡입성능이 빠르게 감소하여, 효과적인 흡기 영역이 흡기구 지름 정도의 작은 영역에 국한되므로, 흡기구로부터 먼 곳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지 않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와류를 이용한 레인지 후드가 개발되었으며, 이 레인지 후드는 흡기하는 유량과 비슷한 양의 공기를 공간 중으로 불어내어 와류를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집중된 와류를 이용하여 포집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레인지 후드에 따르면, 흡기구 아래의 좁은 영역에서 불어내는 유동과 흡입하는 유동의 상호 간섭에 의한 난류의 발생으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공간 중으로 불어내는 유동에 의하여 공간 중에 있는 오염물질의 부가적인 확산을 유발할 수 있으며, 와류를 발생하기 위한 송풍기, 필터, 유동관 등의 부가적인 설비의 설치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월러(Swirler)를 이용한 배기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스월러는, 배기장치의 흡입구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판 형태의 회전판과, 회전판의 하부면에 복수 개가 배열, 설치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날개, 및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월러는, 회전시 배기장치의 흡입구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장치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스월러가 설치된 배기장치에서는, 스월러가 흡입구를 통해 배기장치의 하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흡입구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스월러 측으로 투입되어 사용자가 스월러로 인해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스월러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발생을 방지하고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국소 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소 배기 장치의 오염 방지를 위한 구조물의 장착이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국소 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는: 하부면에 흡기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흡기구에 배치되어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되는 스월러를 구비하는 와류형성장치와; 상기 흡기구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스월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흡기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상기 흡입그릴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스월러에서 형성되는 와류가 상기 흡입그릴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은, 복수개의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방사상부재와; 복수개의 리브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방사상부재와 연결되는 동심형부재; 및 상기 동심형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사상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외측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사상부재는, 상기 방사상부재의 측방향 중심을 포함하는 내측구간과 상기 내측구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내측구간 사이에는,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내측구간이 상기 외측구간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내측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외측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틀부재와 상기 외측구간 사이에는, 상기 외측구간이 상기 외측틀부재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구간과 상기 외측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와 상기 내측구간이 동일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외측구간과 연결된 상기 동심형부재로부터 상기 방사상부재의 측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동심형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틀부재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외측틀부재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틀부재에는,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이 상기 외측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정렬구조물과 간섭되어 상기 체결홀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흡입그릴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정렬형상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국소 배기 장치에 따르면, 스월러의 하부에 흡입그릴이 설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흡입그릴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스월러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 및 필터 설치를 위한 지지틀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월러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발생 및 이물질과 스월러 간의 충돌로 인한 국소 배기 장치의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그릴 내부에 형성된 필터 장착 공간에 필터를 끼워 넣거나 잡아 빼내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필터의 장착 및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소 배기 장치의 오염 방지를 위한 구조물의 장착이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국소 배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그릴 및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흡입그릴이 본체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필터가 흡입그릴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국소 배기 장치 전체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국소 배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1)는 본체부(100)와 송풍장치(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하부하우징(110) 및 상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하우징(110)은 본체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흡기구(110a,110b)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하우징(110)은 높이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와 좌우방향 폭이 긴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110)의 하부면에는 흡기구(110a,110b)가 형성된다. 흡기구(110a,110b)는, 하부하우징(110)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1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구(110a,110b)는 메인흡기구(110a)와 보조흡기구(1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메인흡기구(110a)는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1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중앙에 형성한다.
그리고 보조흡기구(110b)는,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보조흡기구(110b)는,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을 따라 메인흡기구(110a)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1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는, 메인흡기구(110a) 주변 영역뿐 아니라 보조흡기구(110b) 주변 영역까지 흡기 가능 영역을 그 폭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영역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하우징(110)은 흡입덕트(111)와 하부패널(115)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덕트(111)는, 하부면이 개방된 납작한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흡입덕트(111)의 개방된 하부면에는 하부패널(115)이 결합되며, 흡입덕트(111)의 내부에는 상부 및 측부가 흡입덕트(111)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부가 하부패널(11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덕트(111)의 상부에는 상부하우징(120)이 연결되며, 흡입덕트(111)의 상부하우징(120)과의 연결부위는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와 상부하우징(120)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하부패널(115)은, 흡입덕트(111)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하우징(1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하부패널(115)은 흡입덕트(111)에 비해 폭방향 길이가 짧게 마련되며, 그 폭방향 중심이 흡입덕트(111)의 폭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흡입덕트(111)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로써 하부패널(115)의 폭방향 단부와 흡입덕트(111)의 폭방향 단부 사이에는 각각 갭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하부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갭이 보조흡기구(110b)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115)에는 홈부(116)가 마련된다. 홈부(116)는 하부패널(115)의 대략 중앙 부분에 하부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홈부(116)에는 메인흡기구(110a)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부하우징(120)은 본체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하우징(120)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120)의 개방된 하부는 하부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와 연결되며, 이로써 하부하우징(11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부하우징(12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2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송풍장치(200)가 설치된다. 송풍장치(200)는, 상부하우징(120) 내부, 즉 본체부(100)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기구(110a,110b)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는 와류형성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300)는, 본체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기구(110a,110b)를 통한 본체부(100) 내부로의 외부 공기의 흡입이 유도되도록 흡기구(110a,110b) 주변 영역에 와류를 형성한다.
[송풍장치의 구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송풍장치(200)는 스크롤 하우징(210)과 임펠러(220) 및 제1구동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210)은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이루며, 스크롤 하우징(210)의 측부에는 외부 공기가 임펠러(220)의 내부 측으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스크롤 하우징(210)이 형성된다. 스크롤 하우징(210)은 스크롤 하우징(2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스크롤 하우징(210)은 송풍장치(200)가 그 양측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통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롤 하우징(210)은 양측부가 개방된 누운 원통 형상을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스크롤 하우징(210)의 개방된 양측부가 스크롤 하우징(210)로 제공된다.
스크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임펠러(2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수용공간과 마주보는 스크롤 하우징(210)의 내주면은 임펠러(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토출부(215)는, 스크롤 하우징(210)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토출부(215)의 내부에는 스크롤 하우징(210)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토출구(216)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토출구(216)는 상기 임펠러(220)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장치(200)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토출부(215)는 상부하우징(120)을 상부방향으로 관통하여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외부에서 외부덕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임펠러(220)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는 토출부(215)에 형성된 토출구(216) 및 이와 연결된 외부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임펠러(2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임펠러(220)의 내부에는 임펠러(220)의 측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220)는, 제1구동부(230)에 마련된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회전축 연결부를 갖는 허브(221)를 포함한다. 이러한 허브(221)를 통해 제1구동부(230)에 마련된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임펠러(2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제공된다.
또한 임펠러(220)는, 허브(221)의 일측면, 즉 허브(221)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1블레이드(223)와, 허브(221)의 타측면, 즉 허브(221)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2블레이드(2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임펠러(220)는, 터보팬이나 시로코팬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220)가 터보팬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제1블레이드(223)와 제2블레이드(225)는 터보팬의 후곡형 블레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임펠러(220)가 시로코팬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제1블레이드(223)와 제2블레이드(225)는 시로코팬의 다익형 블레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블레이드(223)는, 허브(221)의 좌측면과 스크롤 하우징(210)의 좌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스크롤 하우징(210)의 좌측면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블레이드(225)는, 허브(221)의 우측면과 스크롤 하우징(210)의 우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스크롤 하우징(210)의 우측면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제1구동부(230)는, 임펠러(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1구동부(230)는, 모터의 회전 부분인 로터(231)와, 모터의 정지 부분인 스테이터(233)와, 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며 로터(231) 및 스테이터(233)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터케이스(235), 및 로터(231)와 함께 회전되는 샤프트(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구동부(230)와 임펠러(220) 간의 연결은 샤프트(237)와 허브(22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로써 제1구동부(23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샤프트(237) 및 허브(221)를 통해 임펠러(220)에 전달되어 임펠러(2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송풍장치(200)는, 송풍장치(200)가 공기를 흡입하는 풍량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장치(200)는, 높은 수준의 풍량으로 흡기구(110a,110b)를 통해 외부 공기를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고, 고풍량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유속의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다.
이때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되는지 저풍량모드로 동작되는지 여부는, 임펠러(22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230)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230)가 임펠러(220)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됨에 따라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임펠러(220)를 회전시키도록 제1구동부(230)가 동작됨에 따라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먼 거리의 오염 물질이 흡입될 수 있게 되므로,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고풍량모드에 비해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아져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은 낮아지지만, 송풍장치(200)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300)는, 흡기구(110a,1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도너츠 형상과 같은 형상의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장치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 및 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와류형성장치의 구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와류형성장치(300)는 스월러(310)와 제2구동부(320) 및 유동가이드(330)를 포함한다.
스월러(310)는, 흡기구(110a,1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110a)에 배치되며,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월러(310)는, 회전판(311)과 날개부(3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판(311)은, 메인흡기구(110a)보다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되, 하부패널(125)의 홈부(126)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판(311)은 그 중심부가 제2구동부(320)의 샤프트와 연결되며, 이 샤프트,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판(311)의 중심에는 회전판(311)을 제2구동부(320)의 샤프트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312)가 마련되며, 회전판(311)의 내부에는 메인흡기구(1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판(311)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회전판(311)의 관통공은 회전판(311)의 외주면과 결합부(312)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312)는 관통공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회전판(311)의 중심부에 마련되되, 회전판(311)의 외주면과 결합부(312) 사이를 가로지르는 연결부(313)에 의해 회전판(3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회전판(311)은 회전판(311)의 외주면과 결합부(312)와 연결부(313)가 ""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15)는, 회전판(311)의 지름방향 외측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날개부(315)는, 평면부(316)와 날개(317,3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부(316)는, 회전판(311)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평면부(316)는, 회전판(311)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회전판(311)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두 평면부(316) 사이에는 통과홀부(319)가 형성된다. 통과홀부(319)는, 평면부(316)와 평면부(316)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회전판(31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연장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날개부(315)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즉 회전판(311)의 지름방향 외측에는, 회전판(311)의 회전방향을 따라 평면부(316)와 통과홀부(319)가 교번되게 배치된다.
날개(317,318)는, 평면부(316)로부터 회전축의 연장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날개(317,318)는, 회전판(311)과 함께 회전되면서 공기를 회전판(3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며, 와류형성장치(300)는 이러한 날개(317,318)의 작용에 의해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317,318)는 회전판(311)의 지름방향 외측을 에워싸도록 회전판(311)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즉 각각의 평면부(316)마다 날개(317,318)가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날개(317,318)는, 평면부(316)의 일부분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날개(317,318)는 제1날개(317)와 제2날개(3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날개(317)는 회전판(311)의 회전방향에 따른 평면부(316)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제2날개(318)는 회전판(311)의 회전방향에 따른 평면부(316)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즉 평면부(316)의 일측이 절곡되어 제1날개(317)가 형성되고, 평면부(316)의 타측이 절곡되어 제2날개(318)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복수의 날개(317,318) 각각이 회전판(31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스월러(310)를 구비하는 와류형성장치(300)는, 흡기가 이루어지는 메인흡기구(110a)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와류형성장치(300)는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메인흡기구(1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스월러(310)과 충돌하는 빈도가 높으면, 이때 발생되는 저항으로 인해 스월러(310)의 회전 속도가 저하되어 와류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와 함께 메인흡기구(110a)를 통한 공기의 흡입도 방해 받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300)에는, 스월러(310)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과홀부(319)가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스월러(31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분은 날개(317,318)의 작용에 의해 스월러(310)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어져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통과홀부(319)를 통해 스월러(310)를 통과하여 와류형성장치(300)의 상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로써 메인흡기구(1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스월러(310)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켜 와류형성장치(3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메인흡기구(110a)를 통한 공기의 흡입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구동부(320)는, 스월러(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본체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케이싱(1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구동부(320)는, 와류형성장치(300)의 구성 중에서 가장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가이드(330)는, 메인흡기구(110a)에 배치되며, 스월러(310)를 외측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스월러(310)의 회전 과정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는 필터(500) 및 흡입그릴(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500)는,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다.
흡입그릴(600)은, 와류형성장치(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스월러(3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흡입그릴(600)에는 필터(5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그릴(600)이 원형판 형상의 그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흡입그릴(6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입그릴(600)의 형상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메인흡기구(110a)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외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600)은, 하부하우징(110)의 하부패널(115)에 결합됨으로써 메인흡기구(110a)를 하부에서 덮으면서 와류형성장치(3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흡입그릴(600)은 하부패널(115)에 볼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필터(500) 및 흡입그릴(600)은,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스월러(310)가 회전되는 동안 외부 물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이나 조리도구 등이 스월러(310)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기 및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날개부의 형성 구조]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판(311)과 날개부(315)는 스월러(310)를 제조하기 위해 준비된 하나의 원판에 의해 형성된다. 이 원판에서 원판의 지름방향 내측은 회전판(311)이 되고, 원판의 지름방향 외측은 날개부(315)가 된다. 이때 날개부(315)는, 회전판(311)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평면부(316)만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315)가 원판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분할되도록 날개부(315)를 절개하면, 날개부(315)에 복수 개의 평면부(316)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분할된 각 평면부(316)의 양측을 하부방향으로 절곡하면, 각 평면부(316)의 양측에 제1날개(317)와 제2날개(318)가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평면부(316) 사이가 절개된 후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평면부(316) 중 어느 하나의 절개된 측부가 회전축의 연장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1날개(31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절개된 측부를 하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2날개(3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평면부(316)의 좌측에 제1날개(317)가 우측에 제2날개(318)가 형성되고, 이처럼 양측에 제1날개(317) 및 제2날개(318)가 양측에 형성된 평면부(316)가 회전판(311)의 지름방향 외측에 회전판(311)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형태로 날개부(315)의 형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날개(317)와 제2날개(318)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된 영역, 즉 서로 인접한 두 평면부(316) 사이에는 통과홀부(319)가 형성된다. 즉 평면부(316)의 절개된 양측을 하부방향으로 절곡하는 한 번의 작업에 의해, 평면부(316)의 양측에 제1날개(317)와 제2날개(318)를 형성하는 동시에 평면부(316)들 사이에 통과홀부(319)를 형성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통과홀부(319)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평면부(316) 중 어느 하나의 제1날개(317)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평면부(316) 중 다른 하나의 제2날개(318)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날개부(315)의 형성이 이루어짐으로써, 회전판(311)에 날개부(315)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물 및 고정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스월러(310)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15)의 형성이 회전판(311)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절곡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판(311)과 날개부(315) 간의 고정이 필요 없게 되므로, 스월러(310)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강도에 따른 제약의 범위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써 스월러(310)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와류형성장치의 작용]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국소 배기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국소 배기 장치(1)의 작동이 개시될 때 송풍장치(200)의 동작이 시작되고, 이에 따라 국소 배기 장치(1) 외부의 공기를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200) 측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기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입 기류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110a,110b)를 통해 흡입 대상이 되는 외부 공기에 작용하게 되며, 흡기구(110a,110b) 주변의 외부 공기는 이와 같이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기구(110a,110b)를 통과하여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 및 이와 함께 흡입된 오염물질은, 송풍장치(200) 양측을 통해 송풍장치(200) 내부로 흡입된 후, 송풍장치(200)의 상부로 개방된 토출부(215) 및 이와 연결된 외부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2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되면,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가 형성되어 더욱 먼 거리의 오염 물질이 흡입될 수 있게 되므로,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다르게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고풍량모드에 비해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아져 국소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은 낮아지지만, 송풍장치(200)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장치(2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300)는, 흡기구(110a,1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1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장치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 및 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와류형성장치(300)의 작용은, 제2구동부(31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311)과 함께 회전되는 날개(317,318)가 메인흡기구(110a)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회전판(3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고, 이와 같이 밀어내어진 공기가 도너츠 형상과 같은 형상의 와류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와류형성장치(300)는 흡기가 이루어지는 메인흡기구(110a)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와류형성장치(300)는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메인흡기구(1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회전판(311)과 충돌하는 빈도가 높으면, 이때 발생되는 저항으로 인해 회전판(311) 및 날개(317,318)의 회전 속도가 저하되어 와류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와 함께 메인흡기구(110a)를 통한 공기의 흡입도 방해 받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300)에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315)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과홀부(319)가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스월러(310)의 날개부(315)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분은 날개(317,318)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3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어져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통과홀부(319)를 통해 날개부(315)를 통과하여 스월러(310)의 상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로써 메인흡기구(1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회전판(311)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켜 와류형성장치(3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메인흡기구(110a)를 통한 공기의 흡입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와류형성장치 구조의 다른 실시예]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국소 배기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4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300; 도 3 참조)와 비교하여 스월러(410)의 날개부(415)의 형태가 상이한 형태로 제공된다.
즉 날개부(415)의 날개(417,418)는 제1날개(417)와 제2날개(418)를 포함하고, 제1날개(417)와 제2날개(418)는 평면부(316)와 직각을 이루지 않고 평면부(316)와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날개(317,318; 도 5 참조)가 평면부(316)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와 비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날개(417) 및 제2날개(418)는 평면부(316)로부터 하부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절곡되어 형성되되, 평면부(316)와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판(311)의 회전방향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 봤을 때 회전판(311)의 회전이 좌측에서 우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면, 평면부(316)의 좌측에 위치한 제1날개(417)는 평면부(316)와 예각을 이루도록 평면부(316)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평면부(316)의 우측에 위치한 제2날개(418)는 평면부(316)와 둔각을 이루도록 평면부(316)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반대로, 정면에서 봤을 때 회전판(311)의 회전이 우측에서 좌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면, 평면부(316)의 좌측에 위치한 제1날개(417)는 평면부(316)와 둔각을 이루도록 평면부(316)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평면부(316)의 우측에 위치한 제2날개(418)는 평면부(316)와 둔각을 이루도록 평면부(316)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날개부(415)의 형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본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400)는 날개부(415)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판(311) 및 날개부(415)의 효율적인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류형성장치(400)의 날개부(415)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분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417,418)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3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어져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통과홀부(319)를 통해 날개부(315)를 통과하여 와류형성장치(400)의 상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때 통과홀부(319)를 통해 날개부(315)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중 일부는 평면부(316)와 예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1날개(417) 또는 제2날개(418)가 이루는 경사면과 충돌한 후 통과홀부(319)를 통해 날개부(415)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1날개(417) 또는 제2날개(418)가 이루는 경사면과 충돌하는 공기의 유속에너지가 회전판(311) 및 날개부(415)의 회전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날개(417,418)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3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공기의 흐름 중 일부는 날개(417,418)에 의해 밀어내어지기 전 평면부(316)와 둔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1날개(417) 또는 제2날개(418)가 이루는 경사면과 충돌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1날개(417) 또는 제2날개(418)가 이루는 경사면과 충돌하는 공기의 유속에너지 또한 회전판(311) 및 날개부(415)의 회전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400)는 날개부(415)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판(311) 및 날개부(415)의 회전속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도 함께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흡입그릴의 구조]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그릴 및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흡입그릴이 본체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필터가 흡입그릴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필터(500)는 흡기구(110a,1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110a)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500)는,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필터(500)는,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흡기구(110a)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외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500)는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원형판 형상을 가지되,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可撓性)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흡입그릴(600)은 스월러(3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흡입그릴(600)에는 상기 필터(5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흡입그릴(60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스월러(310; 도 3)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필터(500)의 설치를 위한 지지틀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그릴(600)이 원형판 형상의 그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흡입그릴(600)은, 하부하우징(110)의 하부패널(115)에 결합됨으로써 메인흡기구(110a)를 하부에서 덮으면서 와류형성장치(3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방사상부재(610)와 동심형부재(620) 및 외측틀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방사상부재(610)는, 복수개의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방사상부재(610)는 복수개의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결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리브는 직선 형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심형부재(620)는, 복수개의 리브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어 방사상부재(61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동심형부재(620)는 복수개의 리브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리브는 서로 크기가 다른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심형부재(620)를 이루는 각각의 리브들은 그 지름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동심형부재(6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리브 사이에는 관통홀(6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홀(621)은, 메인흡기구(110a) 하부의 공기가 흡입그릴(600)을 통과하여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관통홀(621)은 동심형부재(6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리브처럼 복수개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로써 동심형부재(620)에는 복수개의 리브와 관통홀(621)이 흡입그릴(600)의 지름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동심형부재(620)를 이루는 각각의 리브는 방사상부재(610)를 이루는 각각의 리브와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상부재(610)와 동심형부재(6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외측틀부재(630)는, 동심형부재(620)의 외측에 배치되어 흡입그릴(600)의 최외곽 틀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측틀부재(630)는, 동심형부재(620)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사상부재(610)를 이루는 각 리브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어 방사상부재(610) 및 동심형부재(62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상부재(610)와 동심형부재(620) 및 외측틀부재(63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흡입그릴(600)을 이루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의 흡입그릴(600)은, 방사상부재(610)와 동심형부재(620) 및 외측틀부재(630)를 일체로 포밍(Forming)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제조될 수 있으며, 양산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외측틀부재(630)는, 흡입그릴(600)의 최외곽 틀을 형성하며 흡입그릴(600)과 본체부(100) 간의 결합면을 흡입그릴(600)의 외곽에 제공한다.
즉 흡입그릴(600)이 메인흡기구(110a)를 하부에서 덮은 상태에서 외측틀부재(630)가 하부하우징(110)의 하부패널(115)에 결합됨으로써, 와류형성장치(300)의 하부에서 흡입그릴(600)과 본체부(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그릴(600)은 하부패널(115)에 볼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외측틀부재(630)에는 본체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하우징(110)의 하부패널(115)과 외측틀부재(630)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631)이 형성된다.
외측틀부재(63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631)이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틀부재(6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패널(115)에도 이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외측틀부재(630)의 체결홀(631)과 동일한 개수와 배치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10)의 하부패널(115)과 외측틀부재(630) 간의 체결은, 외측틀부재(630)의 체결홀(631)과 하부패널(115)의 체결홀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로 흡입그릴(600)을 하부패널(115)에 맞댄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홀(631)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측틀부재(630)와 하부패널(115) 간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외측틀부재(630)의 체결홀(631)과 하부패널(115)의 체결홀이 서로 일치될 수 있게 흡입그릴(60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외측틀부재(630)의 외측 테두리에는, 정렬형상부(635)가 마련된다. 정렬형상부(635)는, 본체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패널(115)에 마련된 정렬구조물(115a)과 간섭되어 체결홀(631)이 본체부(100)에 대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즉 외측틀부재(630)의 체결홀(631)이 하부패널(115)의 체결홀과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흡입그릴(60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틀부재(630)가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렬형상부(635)는 외측틀부재(6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이 직선 형태로 깎인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틀부재(630)에는 한 쌍의 정렬형상부(635)가 흡입그릴(600)의 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한 쌍의 정렬형상부(635)가 하부패널(115)에 마련된 정렬구조물(115a)과 각각 간섭되는 위치로 흡입그릴(60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되고, 이러한 위치에서는 외측틀부재(630)의 체결홀(631)과 하부패널(115)의 체결홀이 서로 일치되는 상태로 흡입그릴(60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홀(631)이 본체부(100)에 대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흡입그릴(600)의 설치 위치가 쉽고 편리하게 안내될 수 있게 됨으로써, 흡입그릴(600)의 설치가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방사상부재(610)는, 내측구간(611)과 외측구간(615)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측구간(611)은 방사상부재(610)의 측방향 중심을 포함하는 구간이며, 외측구간(615)은 내측구간(611)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간이다.
그리고 내측구간(611)과 외측구간(615) 사이에는, 내측구간(611)과 외측구간(615)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613)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613)는, 내측구간(611)이 외측구간(615)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내측구간(611)과 외측구간(615) 사이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구간(611) 및 외측구간(615)이 각각 측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제1연결부(613)가 상하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내측구간(611)과 외측구간(615) 사이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흡입그릴(600)의 내부에는 내측구간(611)의 하부에 내측구간(611)과 제1연결부(613)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흡입그릴(6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흡입그릴(600)의 내부에 필터(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구간(611)은 해당 위치에서 연결된 동심형부재(620)와 함께 필터(500) 장착 공간의 상부 경계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 경계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스월러(310)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필터(500) 장착 공간에 설치된 필터(500)가 흡입그릴(600)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벽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외측틀부재(630)와 외측구간(615) 사이에는, 외측구간(615)과 외측틀부재(630)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하는 제2연결부(617)가 형성된다. 제2연결부(617)는, 외측구간(615)이 외측틀부재(630)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외측구간(615)과 외측틀부재(630) 사이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구간(611)과 외측구간(615) 및 외측틀부재(630)가 각각 측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제1연결부(613) 및 제2연결부(615)가 상하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연결부(617)는 외측틀부재(630)와 내측구간(611)이 동일 높이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617)는 제1연결부(613)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세로방향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측틀부재(630)와 내측구간(611)이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틀부재(630)와 내측구간(611)이 동일 높이로 배치되면, 외측틀부재(630)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그릴(630)과 본체부(100) 간의 결합면과 내측구간(611)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500) 이탈방지벽이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즉 흡입그릴(600)의 내측구간(611)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500) 이탈방지벽이 메인흡입구(110a) 상부로 더 삽입된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흡입그릴(630)과 본체부(100) 간의 결합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그만큼 흡입그릴(600)의 상하방향 폭이 단축되고, 본체부(100) 내부에서 흡입그릴(600)이 차지하는 상하방향 폭이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 내부에서 흡입그릴(600)이 차지하는 상하방향 폭이 짧아지면, 흡입그릴(600)과 스월러(310) 간의 간격이 그만큼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흡입그릴(600)과 스월러(310) 간에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소되므로, 더욱 향상된 기기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 내부에서 흡입그릴(600)이 차지하는 상하방향 폭이 짧아지면, 본체부(100) 내부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본체부(100) 내부에 더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본체부(100) 내부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면 그만큼 본체부(100), 특히 하부하우징(110)의 상하방향 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더욱 슬림한 형태의 국소 배기 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내측구간(611)과 외측구간(615) 사이가 제1연결부(613)에 의해 서로 단차지게 연결되고 외측구간(615)과 외측틀부재(630) 사이가 제2연결부(617)에 의해 서로 단차지게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 흡입그릴(600)은, 평판 형태가 아닌 올록볼록한 구조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평판 형태의 구조물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지게 되므로, 내구성이 높고 휨 변형이나 파손 발생 가능성이 낮은 특징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흡입그릴(600)은, 필터(500)가 흡입그릴(6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돌출부(6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25)는, 동심형부재(62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구간(615)과 연결된 동심형부재(620)의 리브로부터 방사상부재(610)의 측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필터(500)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이러한 돌출부(625)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된 동심형부재(620)의 리브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개의 돌출부(625)에 안착된 필터(500)는 내측구간(611)의 하부에 내측구간(611)과 제1연결부(613)로 둘러싸인 필터(500) 장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돌출부(62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흡입그릴(600)에 필터(500)를 설치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500)를 흡입그릴(600)의 하부에서부터 필터(500) 장착 공간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필터(500) 장착 공간 내부로 삽입하여 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그릴(600)은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은, 메인흡기구(110a)의 지름방향에 따른 흡입그릴(6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인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2영역은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 즉 메인흡기구(110a)의 테두리측에 위치하는 영역인 것으로 정의된다.
제1영역은, 내측구간(611)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흡입그릴(600)이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고 할 때, 흡입그릴(600)의 중앙을 내부에 포함하는 중심원 형태의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2영역은, 외측구간(615)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흡입그릴(600)이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고 할 때, 흡입그릴(600)의 테두리 영역, 즉 제1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 형태의 영역에 해당된다.
즉 흡입그릴(600)은 내측의 제1영역과 외측의 제2영역이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며, 이때 내측구간(611)과 외측구간(615) 사이에 배치된 제1연결부(613)가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필터(500) 장착 공간은 내측구간(611)의 하부에 내측구간(611)과 제1연결부(613)로 둘러싸인 공간, 즉 흡입그릴(600)의 내측 부분에 위치한 영역인 제1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500)는 필터(500) 장착 공간의 가로방향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따라서 필터(500)를 필터(500) 장착 공간에 삽입할 때 필터(500)를 상부방향으로 구부려 주면, 필터(500) 장착 공간의 하측 입구 부분, 즉 돌출부(625)가 돌출된 부분을 필터(500)가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필터(500)의 삽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터(500)의 테두리 부분이 돌출부(62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필터(500) 장착 공간 내로의 필터(500)의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필터(500)를 놓아주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필터(500)가 원형판 형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형상이 복귀된 필터(500)는 필터(500) 장착 공간 내에서 복수개의 돌출부(625)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로써 필터(500) 장착 공간 내에서 복수개의 돌출부(62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형태로 필터(500)가 흡입그릴(60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필터(500)를 흡입그릴(6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흡입그릴(600)에 설치된 필터(500)를 잡고 상부방향으로 구부려 주면서 하부방향으로 당겨주면 된다. 즉 작업자가 필터(500)를 잡고 상부방향으로 끼우거나 하부방향으로 빼내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필터(500)의 설치 및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필터(500) 장착 공간의 하측 입구 부분에 배치된 돌출부(625)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625)가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625)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면, 필터(500)를 흡입그릴(600)에 끼우거나 흡입그릴(600)로부터 빼내는 작업 과정에서 필터(500)가 돌출부(625)의 라운드진 테두리를 따라 매끄럽게 끼워지거나 빼내어질 수 있고, 그 과정에서 필터(500)가 돌출부(625)에 긁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흡입그릴(600)이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된 것과 관련된 기류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그릴(600)은 내측구간(611)을 포함하는 영역인 제1영역과 외측구간(615)을 포함하는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흡입그릴(600)의 중앙을 포함한 영역인 제1영역에는 필터(500)가 장착된다. 그리고 흡입그릴(600)의 지름방향 외측 영역인 제2영역은 필터(500)가 장착되지 않은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흡입그릴(600)이 설치되는 메인흡기구(110a)는, 그 중앙을 포함한 소정 영역이 흡입그릴(600)의 제1영역 내에 위치한 내측구간(611) 및 필터(500)에 의해 덮이고, 그 주변 테두리 영역이 흡입그릴(600)의 제2영역에 의해 덮인 상태, 즉 필터(500) 없이 흡입그릴(600)의 외측구간(615)으로만 덮인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장치(200)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배출이 모두 메인흡기구(110a)를 통해 이루어진다.
송풍장치(200)의 동작과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송풍장치(200)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흡입은 주로 메인흡기구(110a)의 중앙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배출은 메인흡기구(110a)의 테두리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500)의 장착이 이루어지는 흡입그릴(600)의 제1영역이 메인흡기구(110a)의 중앙 영역, 즉 송풍장치(200)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배치되고, 필터(500)의 장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흡입그릴(600)의 제2영역이 메인흡기구(110a)의 테두리 영역, 즉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배치된다.
만약,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에까지 필터(50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면, 외측구간(615)에서는 국소 배기 장치(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필터링은 별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와류의 흐름이 필터(500)로 인해 메인흡기구(110a) 하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와류의 배출이 주로 이루어지는 메인흡기구(110a)의 테두리 영역에 외측영역이 배치되도록 흡입그릴(600)의 형상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구간(615)이 형성된 흡입그릴(600)의 제2영역이 스월러(310)의 날개부(315) 하부에 위치하도록, 흡입그릴(600)의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경계가 결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측구간(615)이 형성된 흡입그릴(600)의 제2영역이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와류가 흡입그릴(600)을 통과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흡입그릴(600)의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경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국소 배기 장치(1)는, 흡입그릴(600) 및 필터(500) 장착 상태에서도 송풍장치(200)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와류형성장치(3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형성이 모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국소 배기 장치
100 : 본체부
110 : 하부하우징
110a : 메인흡기구
110b : 보조흡기구
111 : 흡입덕트
115 : 하부패널
116 : 홈부
120 : 상부하우징
200 : 송풍장치
210 : 스크롤 하우징
210a : 흡입홀
215 : 토출부
220 : 임펠러
221 : 허브
223 : 제1블레이드
225 : 제2블레이드
230 : 제1구동부
300,400 : 와류형성장치
310,410 : 스월러
311 : 회전판
312 : 결합부
313 : 연결부
315,415 : 날개부
316 : 평면부
317,318,417,418 : 날개
319 : 통과홀부
320 : 제2구동부
330 : 유동가이드
500 : 필터
600 : 흡입그릴
610 : 방사상부재
611 : 내측구간
613 : 제1연결부
615 : 외측구간
617 : 제2연결부
620 : 동심형부재
621 : 관통홀
625 : 돌출부
630 : 외측틀부재
631 : 체결홀
635 : 정렬형상부

Claims (10)

  1. 하부면에 흡기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흡기구에 배치되어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되는 스월러를 구비하는 와류형성장치;
    상기 흡기구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스월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흡기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상기 흡입그릴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 외측에 위치하는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스월러에서 형성되는 와류가 상기 흡입그릴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그릴은,
    복수개의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방사상부재;
    복수개의 리브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방사상부재와 연결되는 동심형부재; 및
    상기 동심형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사상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그릴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외측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부재는, 상기 흡입그릴의 지름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구간과, 상기 내측구간보다 상기 흡입그릴의 지름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에는,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내측구간이 상기 외측구간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외측틀부재와 상기 외측구간 사이에는, 상기 외측구간이 상기 외측틀부재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구간과 상기 외측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와 상기 내측구간이 동일 높이로 배치되고,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외측구간과 연결된 상기 동심형부재로부터 상기 흡입그릴의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측구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제1연결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국소 배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내측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외측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국소 배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동심형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국소 배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국소 배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틀부재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외측틀부재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국소 배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틀부재에는,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이 상기 외측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정렬구조물과 간섭되어 상기 체결홀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흡입그릴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정렬형상부가 형성되는 국소 배기 장치.
KR1020170160370A 2016-12-02 2017-11-28 국소 배기 장치 KR10202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65,682 US11415331B2 (en) 2016-12-02 2017-12-01 Cookware and exhaust device
PCT/KR2017/014036 WO2018101801A1 (ko) 2016-12-02 2017-12-01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EP17875992.4A EP3550212A4 (en) 2016-12-02 2017-12-01 COOKWARE AND EXHAUS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19 2017-11-17
KR20170153519 2017-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930A KR20190056930A (ko) 2019-05-27
KR102024566B1 true KR102024566B1 (ko) 2019-09-24

Family

ID=6667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70A KR102024566B1 (ko) 2016-12-02 2017-11-28 국소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992B1 (ko) * 2019-07-05 2021-02-18 주식회사 청년의꿈 수증기를 냉각시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4068A (ja) * 2003-10-31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1489068B1 (ko) * 2012-06-08 2015-02-02 울박 키코 인코포레이션 팬 커버 및 펌프 장치
JP6214374B2 (ja) * 2013-12-12 2017-10-18 富士工業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642A (ko) * 2011-01-26 2012-08-03 (주)지텍 국소 배기장치 및 이를 갖는 아일랜드식 주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4068A (ja) * 2003-10-31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1489068B1 (ko) * 2012-06-08 2015-02-02 울박 키코 인코포레이션 팬 커버 및 펌프 장치
JP6214374B2 (ja) * 2013-12-12 2017-10-18 富士工業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930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5331B2 (en) Cookware and exhaust device
KR10193445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2104317B1 (ko) 국소 배기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
KR10207666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US10006641B2 (en) Hob with central removal of cooking vapours by suction-extrac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KR102060144B1 (ko) 국소 배기 장치
JP3720452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101170160B1 (ko)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EP1672285B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KR101294324B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CN108980927B (zh) 抽油烟机
KR102024566B1 (ko) 국소 배기 장치
KR102111328B1 (ko) 배기 장치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1294325B1 (ko)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20180050911A (ko) 후드 겸용 조리기기
EP3399194B1 (en) Local ventilation equipment and blower therein
CN110360631A (zh) 一种便携移动式油烟机
CN110848777B (zh) 油烟净化装置
CN116113767A (zh) 具有抽油烟机的烹饪炉灶
KR102540638B1 (ko) 이중팬 및 그것을 구비한 주방배기장치
TW201020483A (en) Air conditioner
KR100690695B1 (ko) 유동가이드를 구비한 배기 후드
JPS61202032A (ja) 調理用排気装置
CN113154496B (zh) 一种旋流器、旋流装置及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