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1801A1 -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1801A1
WO2018101801A1 PCT/KR2017/014036 KR2017014036W WO2018101801A1 WO 2018101801 A1 WO2018101801 A1 WO 2018101801A1 KR 2017014036 W KR2017014036 W KR 2017014036W WO 2018101801 A1 WO2018101801 A1 WO 20181018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ill
air
outer frame
case
swir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0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세미
이상철
황성훈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635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3619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6037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24566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65,68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15331B2/en
Priority to EP17875992.4A priority patent/EP3550212A4/en
Publication of WO20181018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18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기 장치는, 유동홀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는 유입구와,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을 가지는 유동 가이드; 상기 유동 가이드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다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회전되며,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스월러(swirler); 상기 스월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스월러를 커버하며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그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 부재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 유로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흡입 유로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본 발명은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기 장치는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공장 내부나 가정, 음식점 등에 사용된다. 특히 배기 장치는 배기구로부터 떨어진 바닥면에서 부분적인 오염원이 발생하거나, 다른 설치물에 의해 배기구를 오염원 근처에 설치하기 어렵거나, 순간적으로 오염원이 발생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94412호(공개일 2008.10.23)에는, 와류형 국소배기 장치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국소배기 장치는, 배기관과, 배기관 내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스월러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유동 및 흡입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의 경우, 스월러에 형성되는 홀과 정렬되는 배기관 내에 구동부가 설치됨에 따라서, 구동부가 설치되기 위한 배기관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는 국소배기 장치의 설치 위치에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기관 내에 구동부가 배치됨에 따라서, 국소배기 장치가 한번 설치되는 경우, 구동부의 수리 및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스월러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릴 부재에 의해서 스월러의 외부 노출이 방지되는 배기 장치 및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릴 부재를 통한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배기 장치 및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 방지를 위한 구조물의 장착이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배기 장치는, 유동홀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는 유입구와,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을 가지는 유동 가이드; 상기 유동 가이드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다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회전되며,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스월러(swirler); 상기 스월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스월러를 커버하며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그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 부재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 유로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흡입 유로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리브 중 적어도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일 부분은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그릴 리브의 일 부분은 나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는 링 형상의 아우터 프레임을 포함하고, 단일의 그릴 리브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서 나선 형태로 중앙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는, 나선 형태의 단일의 그릴 리브의 쳐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그릴 리브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그릴 리브의 일 부분은 원형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그릴 리브가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흡입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그릴 리브 전부가 원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링 형태의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그릴 리브를 연결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일 부분은 호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링 형태의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 리브에서 상기 호 형태로 연장되는 부분은 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 리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리브는,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며 라운드지는 제1그릴 리브와, 상기 흡입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그릴 리브와 다른 형상을 가지거나 다른 형태로 배치되는 제2그릴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그릴 리브 중 흡입 유로를 커버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는, 복수개의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방사상부재와, 복수개의 리브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방사상부재와 연결되는 동심형부재; 및 상기 동심형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사상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외측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상부재는, 상기 방사상부재의 측방향 중심을 포함하는 내측구간과 내측구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외측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내측구간 사이에는,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내측구간이 상기 외측구간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내측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외측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간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틀부재와 상기 외측구간 사이에는, 상기 외측구간이 상기 외측틀부재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구간과 상기 외측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틀부재와 상기 내측구간은 동일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는, 상기 외측구간과 연결된 상기 동심형부재로부터 상기 방사상부재의 측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동심형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틀부재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에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외측틀부재 간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상기 외측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틀부재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정렬구조물과 간섭되어 상기 체결홀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그릴 부재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정렬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과, 오염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팬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며, 유동홀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는 유입구와,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을 가지는 유동 가이드; 상기 유동 가이드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다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회전되며,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스월러(swirler);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스월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스월러를 커버하며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그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 유로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흡입 유로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리브 중 적어도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일 부분은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그릴 부재가 스월러의 하측에서 스월러를 커버하므로, 스월러의 노출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릴 부재가 흡입 유로와 배출 유로를 형성하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리브가 나선 방향으로 유동하는 와류 형성을 위한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배출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흡입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 장치를 형성하는 케이스에 와류형성장치가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와류형성장치를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와류형성장치의 서비스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릴 부재 내부에 형성된 필터 장착 공간에 필터를 끼워 넣거나 잡아 빼내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필터의 장착 및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 장치의 오염 방지를 위한 구조물의 장착이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배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정면도.
도 19 내지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도 17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도 13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정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6은 도 15에 도시된 그릴 부재 및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8은 그릴 부재가 본체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29 및 도 30은 필터가 그릴 부재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일 예로 주방의 벽(W)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리 기기(1)는 벽걸이형 전자 레인지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조리 기기(1)가 벽(W)에 설치될 수 있는 한 조리 기기(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조리 기기(1)는, 조리 공간(11)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 공간(11)을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 기기(1)는, 상기 조리 공간(11)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1)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조리 기기(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배기 장치(20)에 의해서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오염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작동하는 흡입팬(14)과, 오염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 장치(20)에 의해서 흡입된 오염 공기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기 유로(13)를 유동한 후에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기 장치(20)가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배출구가 벽에 형성된 배기 구멍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본체(10)의 조리 동작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 기기(1)에서 조리 만이 수행되거나, 상기 조리 기기(1)에서 배기 장치(20)에 의해서 배기 만이 수행되거나 조리와 배기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리 기기(1)는 일 예로 주방의 다른 조리 기기(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20)는 다른 조리 기기(2)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기 장치(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20)는, 오염된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케이스(case: 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는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유동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223)를 구비하는 유동 가이드(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케이스(21)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거나 상기 케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20)는, 와류형성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장치는, 구동 모터(50)와, 상기 구동 모터(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월러(swirler: 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는, 상기 유동홀(21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다시 상기 케이스(2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회전된다.
상기 구동 모터(50)는 설치부(2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23)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함몰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23)는 일 예로 상기 함몰부(2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는 상기 함몰부(221)가 형성하는 공간(222)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월러(30)는 상기 유입구(223)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23)는, 상기 구동 모터(50)가 체결되며 상기 구동 모터(50)를 지지하는 서포터(231)와, 상기 서포터(231)를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연결시키는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31)는 상기 유입구(223)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50)가 상기 서포터(23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50)는 상기 유입구(223)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0)는 상기 서포터(231)의 상측에서 상기 서포터(231)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50)의 일부는 상기 유입구(223)의 상방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유입구(223)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모터(50)가 상기 케이스(21)에 구비되는 설치부(23)에 설치됨에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50)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배기 장치(20)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구동 모터(50)가 상기 케이스(21)의 유입구(223)를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유입구(223)의 하방에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배기 장치(20)의 높이가 더욱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구동 모터(50)가 상기 유입구(223)를 관통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터(23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구(22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터(231)가 상기 구동 모터(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상기 서포터(231)에 의한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서포터(231)는 "C"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는, 회전 동작하는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테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310)에는 오염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는 상기 구동 모터(50)의 축(51)과 연결되기 위한 축 결합부(340)와, 상기 축 결합부(340)를 상기 회전판(310)에 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리브(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상기 관통홀(330)은, 상기 케이스(21)의 유입구(22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날개(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31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 결합부(340)는 상기 회전판(31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50)의 축(51)은 상기 회전판(310)의 관통홀(330)을 관통한 후에 상기 축 결합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 모터(50)의 일부도 상기 회전판(310)의 관통홀(330)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축 결합부(340)는 상기 복수의 날개(320)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결합부(340)는 상기 함몰부(221)가 형성하는 공간(2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31)는 상기 축 결합부(34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서포터(231)는 상기 회전판(310)의 관통홀(330)을 관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축 결합부(340)가 상기 회전판(310)의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50)의 축(51)과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스월러(30)와 상기 구동 모터(50) 간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상기 배기 장치(20)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스월러(30)에 의해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안내면(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224)는 경사진 평면이거나 라운드면일 수 있다.
상기 스월러(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월러(30)의 날개(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관통홀(330)을 향하여 유동하는 오염 공기 중 일부를 상기 회전판(310)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이때, 반경 방향으로 밀려난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하되, 상기 스월러(3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여야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하방에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반경 방향으로 밀려난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면(224)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안내면(224)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스월러(30)의 날개(320)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310)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려난 공기의 유동 방향은 상기 안내면(224)에 의해서 하방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월러(30)의 날개(320)에서 밀려난 공기가 상기 안내면(224)을 따라 유동함에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안내면(224)에서 벗어난 공기는 하향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의 유동홀(211)을 오염 공기가 통과하면, 상기 유동홀(211)을 통과하는 오염 공기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공기도 상기 케이스(21)의 유동홀(211)을 통과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스월러(30)의 하방에는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스월러(3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함에 따라서, 상기 스월러(30)의 하방에서 와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케이스(21)에 결합되며 상기 스월러(30)를 커버하는 그릴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0)는 상기 케이스(21)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스(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20)의 하방의 공기는 상기 그릴 부재(400)를 통과하여 상승할 수 있고, 상기 그릴 부재(400)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유입구(223)를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스월러(30)에 의해서 반경 방향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안내면(224)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그릴 부재(400)를 통해 다시 상기 배기 장치(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그릴 부재(400)는 공기의 흡입 유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와류를 형성할 공기의 배출 유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기 장치(20)는, 상기 그릴 부재(4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 장치(2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500)는 상기 그릴 부재(400)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직경이 상기 그릴 부재(40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500)는 상기 그릴 부재(400)에서 흡입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500)는 상기 그릴 부재(400)를 공기가 통과하기 전에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상기 그릴 부재(40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는 기름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름 성분이 필터(500)에 의해서 걸러져 상기 배기 장치(20) 내부의 유로가 기름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500)가 상기 그릴 부재(400)에 설치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그릴 부재(400)를 필터 지지부라고도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그릴 부재(400)는 일 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아니며, 다각형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그릴 부재(400)는, 상기 케이스(21)의 유동홀(21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아우터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은 상기 케이스(21)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내측 영역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나선 형태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그릴 리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릴 리브(420)는 라운드진 연속적인 리브이다. 또는 상기 그릴 리브(42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내주면에서 나선 형태로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부재(400)는 나선 형태로 연장되는 그릴 리브(420)의 쳐짐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내주면에서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리브(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릴 리브(420)와 상기 지지 리브(4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 리브(420)가 나선 형태로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그릴 리브(420)는 복수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공기 유로에서 일부의 공기 유로는 배출 유로(440) 역할을 하고, 나머지 공기 유로는 흡입 유로(442) 역할을 한다.
상기 그릴 부재(400)의 중앙부에 상기 흡입 유로(442)가 위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442)를 둘러싸도록 상기 배출 유로(440)가 위치된다. 즉, 상기 배출 유롤(440)의 내측에 흡입 유로(442)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500)는 상기 흡입 유로(44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월러(30)가 회전 동작할 때 상기 스월러(30)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스월러(30)의 날개(320)에 의해서 반경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때,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실제로는 상기 스월러(30)의 회전에 의해서 외측을 향하여 나선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그릴 리브(420)의 연장 방향이 와류 형성을 위한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함에 따라서, 상기 그릴 리브(420)가 상기 와류 형상을 위한 공기의 유로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배출 유로(440)에서의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 유로(440)에서의 배출 성능이 향상되면, 와류 형성이 원활해질 뿐 아니라 흡입 성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기 장치(2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기 장치(20)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50) 및 상기 흡입팬(14)이 온된다. 상기 흡입팬(14)이 온되면, 상기 유동홀(211)로 흡입력이 작용하고, 상기 스월러(3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스월러(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월러(30)의 날개(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관통홀(330)을 향하여 유동하는 오염 공기를 상기 회전판(310)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의 유동홀(211)을 오염 공기가 통과하면, 상기 유동홀(211)을 통과하는 오염 공기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공기도 상기 유동홀(211)을 통과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310)의 하부에는 와류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케이스(21)의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스월러(3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와류 형성을 위한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함에 따라서, 와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리브(420)의 연장 방향이 와류 형성을 위한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와류 형성을 위한 공기가 상기 그릴 부재(400)의 배출 유로(440)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어, 배출 성능 및 흡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그릴 부재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401)는, 케이스(21)에 고정되는 아우터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1)의 유동홀(21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1)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인너 프레임(4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414)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또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1)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과 상기 인너 프레임(414) 사이에 위치되는 원형 형태의 복수의 그릴 리브(422)와, 인접하는 두 개의 그릴 리브(422)를 반경 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지 리브(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상기 그릴 부재(401)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과 상기 인너 프레임(414)를 반경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 리브(430)와, 인접하는 두 지지 리브(430)를 연결하는 호 형상의 복수의 그릴 리브(42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복수의 그릴 리브(422)는 라운드진 리브이며, 이격되는 복수의 그릴 리브(422)에 의해서 상기 그릴 부재(401)에는 배출 유로(440)와 흡입 유로(44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그릴 리브(422) 중 일부는 배출 유로(440)를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흡입 유로(442)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500)는 상기 흡입 유로(44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 공기는 상기 흡입 유로(442)를 통과하고 상기 흡입 유로(442)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와류 형성을 위하여 상기 배출 유로(440)를 통과한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배출 유로(440)를 형성하는 복수의 그릴 리브(422)가 와류 형성을 위한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그릴 리브(422)가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그릴 부재(401)를 통한 공기의 배출 성능 및 흡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그릴 부재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402)는, 아우터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1)의 유동홀(21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2)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인너 프레임(4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416)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또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2)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과 상기 인너 프레임(416) 사이에 위치되는 원형 형태의 복수의 제1그릴 리브(423)와, 상기 인너 프레임(416)이 형성하는 영역 내측에 위치하는 제2그릴 리브(4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그릴 리브(426)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그릴 리브(422)는 지지 리브(43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상기 그릴 부재(402)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와 상기 인너 프레임(416)을 반경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 리브(432)와, 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 리브(432)를 연결하는 호 형상의 복수의 제1그릴 리브(423)와, 상기 인너 프레임(416)이 형성하는 영역 내측에 위치하는 제2그릴 리브(4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그릴 리브(426)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복수의 제1그릴 리브(423)는 배출 유로(440)를 형성하고, 상기 제2그릴 리브(426)는 흡입 유로(44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500)는 상기 흡입 유로(44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배출 유로(440)를 형성하는 제1그릴 리브(423)가 와류 형성을 위한 공기의 유동 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그릴 리브(426)가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그릴 부재(402)를 통한 공기의 배출 성능 및 흡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내용을 정리하면, 상기 그릴 부재(402)에서 배출 유로(440)를 형성하는 제1그릴 리브(423)와 상기 흡입 유로(442)를 형성하는 제2그릴 리브(426)는 다른 형상을 가지거나 동일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배치가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배출 유로(440)를 형성하는 제1그릴 리브(423)는 배출 성능 향상을 위하여 라운드질 수 있다.
이때, 공기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흡입 유로(442)를 통과하므로, 상기 흡입 유로(442)를 형성하는 제2그릴 리브(426)가 라운드지지 않더라도 흡입 성능이 저하될 우려는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그릴 부재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403)는, 케이스(21)에 고정되는 아우터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1)의 유동홀(21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3)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인너 프레임(4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프레임(416)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3)는, 배출 유로(440)와 흡입 유로(442)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그릴 리브(4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그릴 리브(417)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그릴 리브(417a)와,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과 상기 인너 프레임(416)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그릴 리브(417b)와, 상기 인너 프레임(416)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3그릴 리브(417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프레임(416)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3그릴 리브(417c)는 상기 흡입 유로(442)를 형성하고, 상기 인너 프레임(416)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그릴 리브(417a, 417b)는 상기 배출 유로(440)를 형성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복수의 그릴 리브(417)가 라운드지지는 않으나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그릴 부재(403)의 배출 성능은 이전 실시 예에 비하여 다소 낮으나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그릴 리브(417) 중에서 제1그릴 리브(417a)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이면서, 나선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유사하므로, 배기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그릴 부재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404)는, 케이스(21)에 고정되는 아우터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4)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서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418a, 418b, 418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418a, 418b, 418c)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두 지지 리브가 12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4)는, 배출 유로(440)와 흡입 유로(442)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그릴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그릴 리브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그릴 리브(429a)와, 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 리브(418a, 418b, 418c)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그릴 리브(429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그릴 리브(429a)의 적어도 일부는 배출 유로(44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그릴 리브(429b)의 적어도 일부는 흡입 유로(442)를 형성할 수 있다.
각 그릴 리브(429a, 429b)는 직선 형태를 가지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그릴 리브(429b)를 연결하는 선은 상기 그릴 부재(404) 전체적으로 볼 때 삼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그릴 리브 중에서 제1그릴 리브(429a)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이면서, 나선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유사하므로, 배기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그릴 부재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그릴 부재(405)는, 케이스(21)에 고정되는 아우터 프레임(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5)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서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4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434)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인접하는 두 지지 리브가 9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405)는, 배출 유로(440)와 흡입 유로(442)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그릴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그릴 리브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그릴 리브(427a)와, 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 리브(434)를 연결하는 제2그릴 리브(427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그릴 리브(427a)의 적어도 일부는 배출 유로(44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그릴 리브(427b)의 적어도 일부는 흡입 유로(442)를 형성할 수 있다.
각 그릴 리브(427a, 427b)는 직선 형태를 가지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그릴 리브(427b)를 연결하는 선은 상기 그릴 부재(405) 전체적으로 볼 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그릴 리브 중에서 제1그릴 리브(427a)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410)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 형태이면서, 나선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유사하므로, 배기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배기 장치(70)는 주방의 조리 기기(2)와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후드일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70)는 일 예로 주방의 벽(W) 또는 벽(W)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 장치(70)의 주변에는 가구장(3, 4)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장치(70)의 하방에는 조리 기기(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장치(70)는 일반적으로 제1케이싱(72)과 상기 제2케이싱(7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싱(72)에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된 흡입팬(도 1의 14참조)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케이싱(74)에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와류형성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싱(74)의 하면에는 제1실시 예 내지 제6실시 예에서 언급한 그릴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배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배기 장치(80)는 본체부(800)(또는 케이스)와 송풍장치(900)를 포함한다.
본체부(8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80)의 외관을 형성하며, 하부하우징(810) 및 상부하우징(8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810)은 본체부(8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하우징(810)의 내부에는 흡기구(810a,810b)(또는 유동홀)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하우징(810)은 높이에 비해 전후 방향 길이와 좌우방향 폭이 긴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810)의 하부면에는 흡기구(810a,810b)가 형성된다. 흡기구(810a,810b)는, 하부하우징(810)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8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구(810a,810b)는 메인흡기구(810a)와 보조흡기구(8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메인흡기구(810a)는 하부하우징(810)의 폭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8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하부하우징(810)의 폭방향 중앙에 형성한다.
그리고 보조흡기구(810b)는, 하부하우징(8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보조흡기구(810b)는, 하부하우징(810)의 폭방향을 따라 메인흡기구(810a)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하부하우징(810) 내부의 공간부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를 하부하우징(8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배기 장치(80)는, 메인흡기구(810a) 주변 영역뿐 아니라 보조흡기구(810b) 주변 영역까지 흡기 가능 영역을 그 폭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영역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하우징(810)은 흡입덕트(811)와 하부패널(815)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덕트(811)는, 하부면이 개방된 납작한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흡입덕트(811)의 개방된 하부면에는 하부패널(815)이 결합되며, 흡입덕트(811)의 내부에는 상부 및 측부가 흡입덕트(811)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부가 하부패널(81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덕트(811)의 상부에는 상부하우징(820)이 연결되며, 흡입덕트(811)의 상부하우징(820)과의 연결부위는 하부하우징(810)의 내부와 상부하우징(820)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하부패널(815)은, 흡입덕트(811)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하우징(8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하부패널(815)은 흡입덕트(811)에 비해 폭방향 길이가 짧게 마련되며, 그 폭방향 중심이 흡입덕트(811)의 폭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흡입덕트(811)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로써 하부패널(815)의 폭방향 단부와 흡입덕트(811)의 폭방향 단부 사이에는 각각 갭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하부하우징(8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갭이 보조흡기구(810b)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815)에는 함몰부(816)가 마련된다. 함몰부(816)는 하부패널(815)의 대략 중앙 부분에 하부하우징(810)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함몰부(816)에는 메인흡기구(810a)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부하우징(820)은 본체부(8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하우징(8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하우징(820)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820)의 개방된 하부는 하부하우징(810)의 개방된 상부와 연결되며, 이로써 하부하우징(81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부하우징(82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82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송풍장치(900)가 설치된다. 송풍장치(900)는, 상부하우징(820) 내부, 즉 본체부(800)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기구(810a,810b)를 통해 본체부(800)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배기 장치(80)는 와류형성장치(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1000)는, 본체부(8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하우징(8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기구(810a,810b)를 통한 본체부(800) 내부로의 외부 공기의 흡입이 유도되도록 흡기구(810a,810b) 주변 영역에 와류를 형성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송풍장치(900)는 스크롤 하우징(910)과 임펠러(920) 및 제1구동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910)은 송풍장치(900)의 외관을 이루며, 스크롤 하우징(910)의 측부에는 외부 공기가 임펠러(920)의 내부 측으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홀(910a)이 형성된다. 흡입홀(910a) 은 스크롤 하우징(9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흡입홀(910a)은 송풍장치(900)가 그 양측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통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롤 하우징(910)은 양측부가 개방된 누운 원통 형상을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스크롤 하우징(910)의 개방된 양측부가 흡입홀(910a)로 제공된다.
스크롤 하우징(910)의 내부에는 임펠러(9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수용공간과 마주보는 스크롤 하우징(910)의 내주면은 임펠러(92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토출부(915)는, 스크롤 하우징(910)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토출부(915)의 내부에는 스크롤 하우징(910)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토출구는 상기 임펠러(920)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장치(900)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토출부(915)는 상부하우징(820)을 상부방향으로 관통하여 본체부(8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본체부(800)의 외부에서 외부덕트(미도시)와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임펠러(920)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는 토출부(915)에 형성된 토출구 및 이와 연결된 외부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임펠러(9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임펠러(920)의 내부에는 임펠러(920)의 측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920)는, 제1구동부(930)에 마련된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회전축 연결부를 갖는 허브(921)를 포함한다. 이러한 허브(921)를 통해 제1구동부(930)에 마련된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임펠러(9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920)는, 허브(921)의 일측면, 즉 허브(921)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1블레이드(923)와, 허브(921)의 타측면, 즉 허브(921)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2블레이드(9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920)는, 터보팬이나 시로코팬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920)가 터보팬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제1블레이드(923)와 제2블레이드(925)는 터보팬의 후곡형 블레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임펠러(920)가 시로코팬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제1블레이드(923)와 제2블레이드(925)는 시로코팬의 다익형 블레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블레이드(923)는, 허브(921)의 좌측면과 스크롤 하우징(910)의 좌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스크롤 하우징(910)의 좌측면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블레이드(925)는, 허브(921)의 우측면과 스크롤 하우징(910)의 우측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스크롤 하우징(910)의 우측면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제1구동부(930)는, 임펠러(9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1구동부(930)는, 모터의 회전 부분인 로터(931)와, 모터의 정지 부분인 스테이터(933)와, 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며 로터(931) 및 스테이터(933)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터케이스(935), 및 로터(931)와 함께 회전되는 샤프트(9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930)와 임펠러(920) 간의 연결은 샤프트(937)와 허브(92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로써 제1구동부(93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샤프트(937) 및 허브(921)를 통해 임펠러(920)에 전달되어 임펠러(9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송풍장치(900)는, 송풍장치(900)가 공기를 흡입하는 풍량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장치(900)는, 높은 수준의 풍량으로 흡기구(810a,810b)를 통해 외부 공기를 본체부(800) 내부로 흡입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고풍량 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고, 고풍량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유속의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수도 있다.
이때 송풍장치(9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되는지 저풍량모드로 동작되는지 여부는, 임펠러(92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930)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930)가 임펠러(920)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됨에 따라 송풍장치(9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임펠러(920)를 회전시키도록 제1구동부(930)가 동작됨에 따라 송풍장치(9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송풍장치(9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먼 거리의 오염 물질이 흡입될 수 있게 되므로, 배기 장치(80)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송풍장치(9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고풍량모드에 비해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아져 배기 장치(1)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은 낮아지지만, 송풍장치(900)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장치(9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1000)는, 흡기구(810a,8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810a) 주위에서 도너츠 형상과 같은 형상의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장치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 및 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과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와류형성장치(1000)는 스월러(1010)와 제2구동부(1020) 및 유동 가이드(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월러(1010)는, 흡기구(810a,8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810a)에 배치되며, 메인흡기구(810a) 주위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월러(1010)는, 회전판(1011)과 날개부(101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1011)은, 메인흡기구(810a)보다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되, 하부패널(825)의 함몰부(826)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판(1011)은 그 중심부가 제2구동부(1020)의 샤프트와 연결되며, 이 샤프트,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판(1011)의 중심에는 회전판(1011)을 제2구동부(1020)의 샤프트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1012)가 마련되며, 회전판(1011)의 내부에는 메인흡기구(8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판(1011)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회전판(1011)의 관통공은 회전판(1011)의 외주면과 결합부(1012)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012)는 관통공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회전판(1011)의 중심부에 마련되되, 회전판(1011)의 외주면과 결합부(1012) 사이를 가로지르는 연결부(1013)에 의해 회전판(10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날개부(1015)는, 회전판(1011)의 지름방향 외측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날개부(1015)는, 평면부(1016)와 날개(1017,1018)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1016)는, 회전판(1011)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평면부(1016)는, 회전판(1011)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회전판(1011)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두 평면부(1016) 사이에는 통과홀부(1019)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019)는, 평면부(1016)와 평면부(1016)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회전판(101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연장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날개부(1015)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즉 회전판(1011)의 지름방향 외측에는, 회전판(1011)의 회전방향을 따라 평면부(1016)와 통과홀부(1019)가 교번되게 배치된다.
날개(1017,1018)는, 평면부(1016)로부터 회전축의 연장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날개(1017,1018)는, 회전판(1011)과 함께 회전되면서 공기를 회전판(10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며, 와류형성장치(1000)는 이러한 날개(1017,1018)의 작용에 의해 메인흡기구(8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1017,1018)는 회전판(1011)의 지름방향 외측을 에워싸도록 회전판(1011)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즉 각각의 평면부(1016)마다 날개(1017,1018)가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날개(1017,1018)는, 평면부(1016)의 일부분이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날개(1017,1018)는 제1날개(1017)와 제2날개(10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1017)는 회전판(1011)의 회전방향에 따른 평면부(1016)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제2날개(1018)는 회전판(1011)의 회전방향에 따른 평면부(1016)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평면부(1016)의 일측이 절곡되어 제1날개(1017)가 형성되고, 평면부(1016)의 타측이 절곡되어 제2날개(1018)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복수의 날개(1017,1018) 각각이 회전판(101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스월러(1010)를 구비하는 와류형성장치(1000)는, 흡기가 이루어지는 메인흡기구(810a)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와류형성장치(1000)는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메인흡기구(8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스월러(1010)과 충돌하는 빈도가 높으면, 이때 발생되는 저항으로 인해 스월러(1010)의 회전 속도가 저하되어 와류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와 함께 메인흡기구(810a)를 통한 공기의 흡입도 방해 받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1000)에는, 스월러(1010)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과홀부(1019)가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스월러(101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분은 날개(1017,1018)의 작용에 의해 스월러(1010)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어져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통과홀부(1019)를 통해 스월러(1010)를 통과하여 와류형성장치(1000)의 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로써 메인흡기구(8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스월러(1010)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켜 와류형성장치(10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메인흡기구(810a)를 통한 공기의 흡입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구동부(1020)는, 스월러(10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본체부(8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케이싱(8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구동부(1020)는, 와류형성장치(1000)의 구성 중에서 가장 상부에배치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1030)는, 메인흡기구(810a)에 배치되며, 스월러(1010)를 외측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스월러(1010)의 회전 과정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동 가이드(1030)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내면은 라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기 장치(80)는 필터(1200) 및 그릴 부재(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1200)는,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본체부(8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다.
그릴 부재(1300)는, 와류형성장치(10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스월러(10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그릴 부재(1300)에는 필터(12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 부재(1300)가 원형판 형상의 그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그릴 부재(13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릴 부재(1300)의 형상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메인흡기구(810a)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외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1300)는, 하부하우징(810)의 하부패널(815)에 결합됨으로써 메인흡기구(810a)를 하부에서 덮으면서 와류형성장치(10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그릴 부재(1300)는 하부패널(815)에 볼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필터(1200) 및 그릴 부재(1300)는,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스월러(1010)가 회전되는 동안 외부 물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이나 조리도구 등이 스월러(1010)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기 및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회전판(1011)과 날개부(1015)는 스월러(1010)를 제조하기 위해 준비된 하나의 원판에 의해 형성된다. 이 원판에서 원판의 지름방향 내측은 회전판(1011)이 되고, 원판의 지름방향 외측은 날개부(1015)가 된다. 이때 날개부(1015)는, 회전판(1011)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평면부(1016)만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015)가 원판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으로 분할되도록 날개부(1015)를 절개하면, 날개부(1015)에 복수 개의 평면부(1016)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도 1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분할된 각 평면부(1016)의 양측을 하부방향으로 절곡하면, 각 평면부(1016)의 양측에 제1날개(1017)와 제2날개(1018)가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평면부(1016) 사이가 절개된 후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평면부(1016) 중 어느 하나의 절개된 측부가 회전축의 연장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1날개(101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절개된 측부를 하부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2날개(10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평면부(1016)의 좌측에 제1날개(1017)가 우측에 제2날개(1018)가 형성되고, 이처럼 양측에 제1날개(1017) 및 제2날개(1018)가 양측에 형성된 평면부(1016)가 회전판(1011)의 지름방향 외측에 회전판(1011)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형태로 날개부(1015)의 형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날개(1017)와 제2날개(1018)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된 영역, 즉 서로 인접한 두 평면부(1016) 사이에는 통과홀부(1019)가 형성된다.
즉 평면부(1016)의 절개된 양측을 하부방향으로 절곡하는 한 번의 작업에 의해, 평면부(1016)의 양측에 제1날개(1017)와 제2날개(1018)를 형성하는 동시에 평면부(1016)들 사이에 통과홀부(1019)를 형성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통과홀부(1019)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평면부(1016) 중 어느 하나의 제1날개(1017)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평면부(1016) 중 다른 하나의 제2날개(1018)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날개부(1015)의 형성이 이루어짐으로써, 회전판(1011)에날개부(1015)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물 및 고정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스월러(1010)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015)의 형성이 회전판(1011)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절곡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판(1011)과 날개부(1015) 간의 고정이 필요 없게 되므로, 스월러(1010)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강도에 따른 제약의 범위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써 스월러(1010)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배기 장치(80)의 작동이 개시될 때 송풍장치(900)의 동작이 시작되고, 이에 따라 배기 장치(80) 외부의 공기를 본체부(800)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900) 측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기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입 기류는 본체부(800)의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810a,810b)를 통해 흡입 대상이 되는 외부 공기에 작용하게 되며, 흡기구(810a,810b) 주변의 외부 공기는 이와 같이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기구(810a,810b)를 통과하여 본체부(800)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부(800) 내부로 흡입된 공기 및 이와 함께 흡입된 오염물질은, 송풍장치(900) 양측을 통해 송풍장치(900) 내부로 흡입된 후, 송풍장치(900)의 상부로 개방된 토출부(915) 및 이와 연결된 외부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900)가 고풍량모드로 동작되면, 높은 유속의 흡입 기류가 형성되어 더욱 먼 거리의 오염 물질이 흡입될 수 있게 되므로, 배기 장치(80)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다르게 송풍장치(9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고풍량모드에 비해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아져 배기 장치(80)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은 낮아지지만, 송풍장치(900)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과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장치(900)가 저풍량모드로 동작될 때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1000)는, 흡기구(810a,8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810a) 주위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 장치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 및 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와류형성장치(1000)의 작용은, 제2구동부(101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011)과 함께 회전되는 날개(1017,1018)가 메인흡기구(810a)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회전판(10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고, 이와 같이 밀어내어진 공기가 도너츠 형상과 같은 형상의 와류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와류형성장치(1000)는 흡기가 이루어지는 메인흡기구(810a)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와류형성장치(1000)는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메인흡기구(8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회전판(1011)과 충돌하는 빈도가 높으면, 이때 발생되는 저항으로 인해 회전판(1011) 및 날개(1017,1018)의 회전 속도가 저하되어와류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와 함께 메인흡기구(810a)를 통한 공기의 흡입도 방해 받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1000)에는, 도 17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015)를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과홀부(1019)가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스월러(1010)의 날개부(1015)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분은 날개(1017,1018)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10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어져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통과홀부(1019)를 통해 날개부(1015)를 통과하여 스월러(1010)의 상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로써 메인흡기구(810a) 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회전판(1011)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켜 와류형성장치(1000)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메인흡기구(810a)를 통한 공기의 흡입도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배기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와류형성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3은 도 17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와류형성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장치(1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1000; 도 15 참조)와 비교하여 스월러(1110)의 날개부(1115)의 형태가 상이한 형태로 제공된다.
즉 날개부(1115)의 날개(1117,1118)는 제1날개(1117)와 제2날개(1118)를 포함하고, 제1날개(1117)와 제2날개(1118)는 평면부(1016)와 직각을 이루지 않고 평면부(1016)와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날개(1017,1018; 도 17 참조)가 평면부(1016)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와 비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날개(1117) 및 제2날개(1118)는 평면부(1016)로부터 하부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절곡되어 형성되되, 평면부(1016)와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판(1011)의 회전방향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 봤을 때 회전판(1011)의 회전이 좌측에서 우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면, 평면부(1016)의 좌측에 위치한 제1날개(1117)는 평면부(1016)와 예각을 이루도록 평면부(1016)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평면부(1016)의 우측에 위치한 제2날개(1118)는 평면부(1016)와 둔각을 이루도록 평면부(1016)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반대로, 정면에서 봤을 때 회전판(1011)의 회전이 우측에서 좌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면, 평면부(1016)의 좌측에 위치한 제1날개(1117)는 평면부(1016)와 둔각을 이루도록 평면부(1016)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평면부(1016)의 우측에 위치한 제2날개(1118)는 평면부(1016)와 둔각을 이루도록 평면부(1016)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날개부(1115)의 형상이 이루어짐으로써, 본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1100)는 날개부(1115)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판(1011) 및 날개부(1115)의 효율적인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류형성장치(1100)의 날개부(1115)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분은, 도 23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1117,1118)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10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어져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통과홀부(1019)를 통해 날개부(1015)를 통과하여 와류형성장치(1100)의 상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때 통과홀부(1019)를 통해 날개부(1015)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중 일부는 평면부(1016)와 예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1날개(1117) 또는 제2날개(1118)가 이루는 경사면과 충돌한 후 통과홀부(1019)를 통해 날개부(1115)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1날개(1117) 또는 제2날개(1118)가 이루는 경사면과 충돌하는 공기의 유속에너지가 회전판(1011) 및 날개부(1115)의 회전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날개(1117,1118)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101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공기의 흐름 중 일부는 날개(1117,1118)에 의해 밀어내어지기 전 평면부(1016)와 둔각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1날개(1117) 또는 제2날개(1118)가 이루는 경사면과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날개(1117) 또는 제2날개(1118)가 이루는 경사면과 충돌하는 공기의 유속에너지 또한 회전판(1011) 및 날개부(1115)의 회전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와류형성장치(1100)는 날개부(1115)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판(1011) 및 날개부(1115)의 회전속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있고, 이에 따라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도 함께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수 있다.
도 26은 도 15에 도시된 그릴 부재 및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8은 그릴 부재가 본체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29 및 도 30은 필터가 그릴 부재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필터(1200)는 흡기구(810a,810b),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흡기구(810a)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1200)는,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본체부(8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필터(1200)는,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흡기구(810a)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외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1200)는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원형판 형상을 가지되,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可撓性)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릴 부재(1300)는 스월러(10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그릴 부재(1300)에는 상기 필터(12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그릴 부재(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스월러(1010; 도 15)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필터(1200)의 설치를 위한 지지틀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 부재(1300)가 원형판 형상의 그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그릴 부재(1300)는, 하부하우징(810)의 하부패널(815)에 결합됨으로써 메인흡기구(810a)를 하부에서 덮으면서 와류형성장치(10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부재(1300)는, 외측틀부재(1330)(또는 아우터 프레임)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 유로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리브는, 동심형부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부재는 동심형부재(1320)를 연결하는 방사상부재(1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상부재(1310)(또는 지지 리브)는, 복수개의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방사상부재(1310)는 복수개의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결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리브는 직선 형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심형부재(1320)는, 복수개의 리브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어 방사상부재(131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동심형부재(1320)는 복수개의 리브가 동심원형태로 배열된 "◎"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리브는 서로 크기가 다른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심형부재(1320)를 이루는 각각의 리브들은 그 지름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동심형부재(13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리브 사이에는 관통홀(13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홀(1321)은, 메인흡기구(810a) 하부의 공기가 그릴 부재(1300)를 통과하여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본체부(8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관통홀(1321)은 동심형부재(1320)를 이루는 복수개의 리브처럼 복수개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로써 동심형부재(1320)에는 복수개의 리브와 관통홀(1321)이 그릴 부재(1300)의 지름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동심형부재(1320)를 이루는 각각의 리브는 방사상부재(1310)를 이루는 각각의 리브와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상부재(1310)와 동심형부재(13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외측틀부재(1330)(또는 아우터 프레임)는, 동심형부재(1320)의 외측에 배치되어 그릴 부재(1300)의 최외곽 틀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측틀부재(1330)는, 동심형부재(1320)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사상부재(1310)를 이루는 각 리브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어 방사상부재(1310) 및 동심형부재(132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상부재(1310)와 동심형부재(1320) 및 외측틀부재(133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그릴 부재(1300)을 이루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의 그릴 부재(1300)은, 방사상부재(1310)와 동심형부재(1320) 및 외측틀부재(1330)를 일체로 포밍(Forming)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제조될 수 있으며, 양산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외측틀부재(1330)는, 그릴 부재(1300)의 최외곽 틀을 형성하며 그릴그릴부재(1300)와 본체부(800) 간의 결합면을 그릴 부재(1300)의 외곽에 제공한다.
즉 그릴 부재(1300)가 메인흡기구(810a)를 하부에서 덮은 상태에서 외측틀부재(1330)가 하부하우징(810)의 하부패널(815)에 결합됨으로써, 와류형성장치 (1000)의 하부에서 그릴 부재(1300)와 본체부(8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릴 부재(1300)는 하부패널(815)에 볼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외측틀부재(1330)에는 본체부(800),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하우징(810)의 하부패널(815)과 외측틀부재(1330)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331)이 형성된다.
외측틀부재(133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1331)이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틀부재(13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패널(815)에도 이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외측틀부재(1330)의 체결홀(1331)과 동일한 개수와 배치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810)의 하부패널(815)과 외측틀부재(1330) 간의 체결은, 외측틀부재(1330)의 체결홀(1331)과 하부패널(815)의 체결홀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로 그릴 부재(1300)를 하부패널(815)에 맞댄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홀(1331)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측틀부재(1330)와 하부패널(815) 간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외측틀부재(1330)의 체결홀(631)과 하부패널(815)의 체결홀이 서로 일치될 수 있게 그릴 부재(130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외측틀부재(1330)의 외측 테두리에는, 정렬형상부(1335)가 마련된다. 정렬형상부(1335)는, 본체부(8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패널(815)에 마련된 정렬구조물(815a)과 간섭되어 체결홀(1331)이 본체부(800)에 대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즉 외측틀부재(1330)의 체결홀(1331)이 하부패널(815)의 체결홀과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그릴 부재(130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틀부재(1330)가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렬형상부(1335)는 외측틀부재(13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이 직선 형태로 깎인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틀부재(1330)에는 한 쌍의 정렬형상부(1335)가 그릴 부재(1300)의 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한 쌍의 정렬형상부(1335)가 하부패널(815)에 마련된 정렬구조물(815a)과 각각 간섭되는 위치로 그릴 부재(130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되고, 이러한 위치에서는 외측틀부재(1330)의 체결홀(1331)과 하부패널(815)의 체결홀이 서로 일치되는 상태로 그릴 부재(130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홀(1331)이 본체부(800)에 대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그릴 부재(1300)의 설치 위치가 쉽고 편리하게 안내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릴 부재(1300)의 설치가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방사상부재(1310)는, 내측구간(1311)과 외측구간(1315)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측구간(1311)은 방사상부재(1310)의 측방향 중심을 포함하는 구간이며, 외측구간(1315)은 내측구간(1311)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간이다.
그리고 내측구간(1311)과 외측구간(1315) 사이에는, 내측구간(1311)과 외측구간(1315)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1313)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1313)는, 내측구간(1311)이 외측구간(1315)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내측구간(1311)과 외측구간(1315) 사이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구간(1311) 및 외측구간(1315)이 각각 측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제1연결부(1313)가 상하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내측구간(1311)과 외측구간(1315) 사이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그릴 부재(1300)의 내부에는 내측구간(1311)의 하부에 내측구간(1311)과 제1연결부(1313)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그릴 부재(13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그릴 부재(1300)의 내부에 필터(1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구간(1311)은 해당 위치에서 연결된 동심형부재(1320)와 함께 필터(1200) 장착 공간의 상부 경계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 경계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스월러(1010)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필터(1200) 장착 공간에 설치된 필터(1200)가 그릴 부재(1300)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벽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외측틀부재(1330)와 외측구간(1315) 사이에는, 외측구간(1315)과 외측틀부재(1330)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하는 제2연결부(1317)가 형성된다. 제2연결부(1317)는, 외측구간(1315)이 외측틀부재(1330)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외측구간(1315)과 외측틀부재(1330) 사이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구간(1311)과 외측구간(1315) 및 외측틀부재(1330)가 각각 측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제1연결부(1313) 및 제2연결부(1315)가 상하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연결부(1317)는 외측틀부재(1330)와 내측구간(1311)이 동일 높이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1317)는 제1연결부(1313)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세로방향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측틀부재(1330)와 내측구간(1311)이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틀부재(1330)와 내측구간(1311)이 동일 높이로 배치되면, 외측틀부재(1330)에 의해 제공되는 그릴 부재(1300)와 본체부(800) 간의 결합면과 내측구간(1311)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 이탈방지벽이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즉 그릴 부재(1300)의 내측구간(1311)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 이탈방지벽이 메인흡입구(810a) 상부로 더 삽입된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그릴 부재(1300)와 본체부(800) 간의 결합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그만큼 그릴 부재(1300)의 상하방향 폭이 줄어들게 되고, 본체부(800) 내부에서 그릴 부재(600)가 차지하는 상하방향 폭이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800) 내부에서 그릴 부재(1300)가 차지하는 상하방향 폭이 짧아지면, 그릴 부재(1300)와 스월러(1010) 간의 간격이 그만큼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그릴 부재(1300)과 스월러(1010) 간에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소되므로, 더욱 향상된 기기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부(800) 내부에서 그릴 부재(1300)가 차지하는 상하방향 폭이 짧아지면, 본체부(800) 내부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본체부(800) 내부에 더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본체부(800) 내부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면 그만큼 본체부(800), 특히 하부하우징(810)의 상하방향 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더욱 슬림한 형태의 배기 장치(8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내측구간(1311)과 외측구간(1315) 사이가 제1연결부(1313)에 의해 서로 단차지게 연결되고 외측구간(1315)과 외측틀부재(1330) 사이가 제2연결부(1317)에 의해 서로 단차지게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 그릴 부재(1300)는, 평판 형태가 아닌 올록볼록한 구조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평판 형태의 구조물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지게 되므로, 내구성이 높고 휨 변형이나 파손 발생 가능성이 낮은 특징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그릴 부재(1300)는, 필터(1200)가 그릴 부재(13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돌출부(1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25)는, 동심형부재(132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구간(1315)과 연결된 동심형부재(1320)의 리브로부터 방사상부재(1310)의 측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필터(1200)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이러한 돌출부(1325)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된 동심형부재(1320)의 리브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개의 돌출부(1325)에 안착된 필터(1200)는 내측구간(1311)의 하부에 내측구간(1311)과 제1연결부(1313)로 둘러싸인 필터 장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돌출부(132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릴 부재(1300)에 필터(1200)를 설치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200)를 그릴 부재(1300)의 하부에서부터 필터 장착 공간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필터 장착 공간 내부로 삽입하여 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 부재(1300)는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은, 메인흡기구(810a)의 지름방향에 따른 그릴 부재(1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인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2영역은 제1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 즉 메인흡기구(810a)의 테두리측에 위치하는 영역인 것으로 정의된다.
제1영역은, 내측구간(1311)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그릴 부재(1300)가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고 할 때, 그릴 부재(1300)의 중앙을 내부에 포함하는 중심원 형태의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2영역은, 외측구간(1315)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그릴 부재(1300)가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고 할 때, 그릴 부재(1300)의 테두리 영역, 즉 제1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링 형태의 영역에 해당된다.
즉 그릴 부재(1300)는 내측의 제1영역과 외측의 제2영역이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며, 이때 내측구간(1311)과 외측구간(1315) 사이에 배치된 제1연결부(1313)가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영역이 흡입 유로로 작용하고, 제2영역이 배출 유로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필터 장착 공간은 내측구간(1311)의 하부에 내측구간(1311)과 제1연결부(1313)로 둘러싸인 공간, 즉 그릴 부재(1300)의 내측 부분에 위치한 영역인 제1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1200)는 필터 장착 공간의 가로방향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따라서 필터(1200)를 필터 장착 공간에 삽입할 때 필터(1200)를 상부방향으로 구부려 주면, 필터 장착 공간의 하측 입구 부분, 즉 돌출부(1325)가 돌출된 부분을 필터(1200)가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필터(1200)의 삽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터(1200)의 테두리 부분이 돌출부(132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필터 장착 공간 내로의 필터(1200)의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필터(1200)를 놓아주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필터(1200)가 원형판 형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형상이 복귀된 필터(1200)는 필터(1200) 장착 공간 내에서 복수개의 돌출부(1325)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로써 필터 장착 공간 내에서 복수개의 돌출부(132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형태로 필터(1200)가 그릴 부재(130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필터(1200)를 그릴 부재(13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그릴 부재(1300)에 설치된 필터(1200)를 잡고 상부방향으로 구부려 주면서 하부방향으로 당겨주면 된다. 즉 작업자가 필터(1200)를 잡고 상부방향으로 끼우거나 하부방향으로 빼내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필터(1200)의 설치 및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필터 장착 공간의 하측 입구 부분에 배치된 돌출부(1325)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325)가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1325)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면, 필터(1200)를 그릴 부재(1300)에 끼우거나 그릴 부재(1300)로부터 빼내는 작업 과정에서 필터(1200)가 돌출부(1325)의 라운드진 테두리를 따라 매끄럽게 끼워지거나 빼내어질 수 있고, 그 과정에서 필터(1200)가 돌출부(1325)에 긁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그릴 부재(1300)가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된 것과 관련된 기류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릴 부재(1300)는 내측구간(1311)을 포함하는 영역인 제1영역과 외측구간(1315)을 포함하는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릴 부재(1300)의 중앙을 포함한 영역인 제1영역에는 필터(1200)가 장착된다. 그리고 그릴 부재(1300)의 지름방향 외측 영역인 제2영역은 필터(1200)가 장착되지 않은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그릴 부재(1300)가 설치되는 메인흡기구(810a)는, 그 중앙을 포함한 소정 영역이 그릴 부재(1300)의 제1영역 내에 위치한 내측구간 (1311) 및 필터(1200)에 의해 덮이고, 그 주변 테두리 영역이 그릴 부재(1300)의 제2영역에 의해 덮인 상태, 즉 필터(1200) 없이 그릴 부재(1300)의 외측구간(1315)으로만 덮인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장치(900)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배출이 모두 메인흡기구(810a)를 통해 이루어진다.
송풍장치(900)의 동작과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송풍장치(900)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흡입은 주로 메인흡기구(810a)의 중앙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배출은 메인흡기구(810a)의 테두리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1200)의 장착이 이루어지는 그릴 부재(1300)의 제1영역이 메인흡기구(810a)의 중앙 영역, 즉 송풍장치(900)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배치되고, 필터(1200)의 장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그릴 부재(1300)의 제2영역이 메인흡기구(810a)의 테두리 영역, 즉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배치된다.
만약,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에까지 필터(120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면, 외측구간(1315)에서는 배기 장치(8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필터링은 별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와류의 흐름이 필터(1200)로 인해 메인흡기구(810a) 하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와류의 배출이 주로 이루어지는 메인흡기구(810a)의 테두리 영역에 외측영역이 배치되도록 그릴 부재(1300)의 형상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구간(1315)이 형성된 그릴 부재(1300)의 제2영역이 스월러(1010)의 날개부(1015)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릴 부재(1300)의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경계가 결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측구간(1315)이 형성된 그릴 부재(1300)의 제2영역이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와류가 그릴 부재(1300)을 통과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그릴 부재(1300)의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경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배기 장치(80)는, 그릴 부재(1300) 및 필터(1200) 장착 상태에서도 송풍장치(900)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와류형성장치(1000)의 동작에 의한 와류의 형성이 모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그릴 부재(1300) 및 필터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배기 장치에 동일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유동홀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는 유입구와,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을 가지는 유동 가이드;
    상기 유동 가이드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다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회전되며,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스월러(swirler);
    상기 스월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스월러를 커버하며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그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 부재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 유로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흡입 유로의 외측에 위치되는 배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리브 중 적어도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일 부분은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배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부재는 링 형상의 아우터 프레임을 포함하고,
    단일의 그릴 리브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서 나선 형태로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배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부재는, 나선 형태의 단일의 그릴 리브의 쳐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그릴 리브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배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그릴 리브의 일 부분은 원형 형태로 연장되는 배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그릴 리브가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흡입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그릴 리브 전부가 원형 형태로 배치되는 배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링 형태의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그릴 리브를 연결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배기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그릴 리브의 일 부분은 호 형태로 연장되는 배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링 형태의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 리브에서 상기 호 형태로 연장되는 부분은 인접하는 두 개의 지지 리브를 연결하는 배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리브는, 상기 배출 유로를 형성하며 라운드지는 제1그릴 리브와,
    상기 흡입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그릴 리브와 다른 형상을 가지거나 다른 형태로 배치되는 제2그릴 리브를 포함하는 배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 유로를 커버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배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부재는, 복수개의 리브가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방사상부재와,
    복수개의 리브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방사상부재와 연결되는 동심형부재; 및
    상기 동심형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사상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외측틀부재를 포함하는 배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부재는, 상기 방사상부재의 측방향 중심을 포함하는 내측구간과 내측구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외측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내측구간 사이에는,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내측구간이 상기 외측구간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구간과 상기 외측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내측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외측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배기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틀부재와 상기 외측구간 사이에는, 상기 외측구간이 상기 외측틀부재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구간과 상기 외측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와 상기 내측구간이 동일 높이로 배치되는 배기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부재는, 상기 외측구간과 연결된 상기 동심형부재로부터 상기 방사상부재의 측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동심형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배기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기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틀부재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에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외측틀부재 간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상기 외측틀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틀부재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정렬구조물과 간섭되어 상기 체결홀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그릴 부재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정렬형상부가 형성되는 배기 장치.
  20.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과, 오염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팬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며, 유동홀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는 유입구와,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을 가지는 유동 가이드;
    상기 유동 가이드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며,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다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회전되며,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스월러(swirler);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스월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스월러를 커버하며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그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 부재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 유로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그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흡입 유로의 외측에 위치되는 조리 기기.
PCT/KR2017/014036 2016-12-02 2017-12-01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WO201810180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65,682 US11415331B2 (en) 2016-12-02 2017-12-01 Cookware and exhaust device
EP17875992.4A EP3550212A4 (en) 2016-12-02 2017-12-01 COOKWARE AND EXHAUS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512 2016-12-02
KR1020160163512A KR101936199B1 (ko) 2016-12-02 2016-12-02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KR1020170160370A KR102024566B1 (ko) 2017-11-17 2017-11-28 국소 배기 장치
KR10-2017-0160370 2017-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801A1 true WO2018101801A1 (ko) 2018-06-07

Family

ID=6224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036 WO2018101801A1 (ko) 2016-12-02 2017-12-01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0180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108A (ja) * 1998-03-30 1999-10-15 Daikin Ind Ltd 吸気・送風装置
KR20030020593A (ko) * 2001-09-03 2003-03-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장치
KR20070000787A (ko) *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의 실내기
KR20080094412A (ko) 2007-04-20 2008-10-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193605B1 (ko) * 2012-06-04 2012-10-23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20160112350A (ko) * 2015-03-19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배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108A (ja) * 1998-03-30 1999-10-15 Daikin Ind Ltd 吸気・送風装置
KR20030020593A (ko) * 2001-09-03 2003-03-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장치
KR20070000787A (ko) *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의 실내기
KR20080094412A (ko) 2007-04-20 2008-10-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101193605B1 (ko) * 2012-06-04 2012-10-23 김지하 스왈러를 구비한 와류형 국소배기장치
KR20160112350A (ko) * 2015-03-19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배기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50212A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5007A1 (ko) 공기청정기
WO2017146352A1 (ko) 공기 청정기
WO2016178521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119721A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WO2017069360A1 (en) Air conditioner
WO2015099350A1 (en) Cleaning device
WO2017179925A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WO2017179927A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WO2018217069A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19045222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19045212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19045221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17074140A1 (ko) 가습청정장치
WO2021177507A1 (ko) 송풍기
WO2017074141A1 (ko) 가습청정장치
WO2018101801A1 (ko)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WO2019177425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21157779A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WO2021149872A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팬모듈
WO2021182733A1 (ko) 팬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
WO2017191991A1 (ko) 진공 청소기
WO2017191990A1 (ko) 진공 청소기
WO2020226459A1 (ko) 블렌더
WO2023106507A1 (ko) 이동식 후드
WO2021177506A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59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759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