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889B1 - 블로어 - Google Patents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889B1
KR102585889B1 KR1020210123234A KR20210123234A KR102585889B1 KR 102585889 B1 KR102585889 B1 KR 102585889B1 KR 1020210123234 A KR1020210123234 A KR 1020210123234A KR 20210123234 A KR20210123234 A KR 20210123234A KR 102585889 B1 KR102585889 B1 KR 10258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guide
air
blow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080A (ko
Inventor
구명진
윤주협
김보현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889B1/ko
Priority to US17/940,151 priority patent/US20230081328A1/en
Priority to EP22194861.5A priority patent/EP4151861A1/en
Priority to TW111134279A priority patent/TW202319696A/zh
Priority to JP2022145967A priority patent/JP2023043184A/ja
Priority to CN202211123858.8A priority patent/CN115807788A/zh
Priority to KR1020220124453A priority patent/KR1025858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889B1/ko
Priority to US18/385,488 priority patent/US20240060508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18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compr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Abstract

본 개시는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로어는, 흡입구가 형성된 로어케이스; 상기 로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송풍하는 팬; 상기 로어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제1 토출구가 형성된 제1 타워; 상기 제1 타워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로어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제2 토출구가 형성된 제2 타워; 상기 제1 타워 내부에 상기 제1 타워의 전단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토출구를 향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에어가이드; 및 상기 팬과 상기 에어가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1 타워의 전단을 향해 연장된 핸들을 포함하여, 핸들이 팬과 에어가이드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블로어의 송풍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로어 {BLOWER}
본 개시는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을 구비한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실내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사용자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블로어에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블로어는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블로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한다. 실내 공간에서 블로어가 배치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를 파지하여 상기 케이스를 원하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블로어는 케이스를 파지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손잡이를 구비하더라도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유동방향과 간섭되는 위치에 손잡이가 배치됨으로써, 블로어의 송풍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로어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를 파지하는 핸들을 구비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의 배치위치를 최적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핸들을 구비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성능이 개선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유량손실이 최소화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로어는, 흡입구가 형성된 로어케이스; 및 상기 로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송풍하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로어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제1 토출구가 형성된 제1 타워; 및 상기 제1 타워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로어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제2 토출구가 형성된 제2 타워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제1 타워 내부에 상기 제1 타워의 전단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토출구를 향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에어가이드를 포함하여,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에어가이드에 의해 제1 토출구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팬과 상기 에어가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1 타워의 전단을 향해 연장된 핸들을 포함하여, 블로어의 운반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제1 타워의 전단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로어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흡입구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로어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로어케이스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로어케이스는, 상기 제1 타워의 하부와 상기 제2 타워의 하부를 연결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팬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팬과 상기 그루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팬과 상하방향으로 마주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제1 타워의 전단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가이드벽의 상측에 이격되고 상기 로어케이스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벽과 상기 가이드벽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팬과 연결되는 팬모터; 및 상기 팬모터를 둘러싸고 상기 로어케이스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팬모터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모터하우징과 상기 로어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유동하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채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이 상기 로어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된 폭은 상기 채널의 수평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하우징벽; 및 상기 팬의 상측에서 상기 제1 하우징벽과 연결되고 상기 핸들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제2 하우징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타워의 내부공간을 향해 상측으로 연장된 디퓨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디퓨져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워는, 상기 제1 타워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제1 토출구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그루브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벽의 연장선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구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 ??루구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 타워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1 타워의 전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토출구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가이드 각각이 하측으로 경사진 각도는 하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클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의 상측벽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가이드벽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로어케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홀이 형성된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상기 그루브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워의 전단은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로어케이스에 핸들이 구비됨으로써, 블로어의 운반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로어케이스에 핸들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핸들이 팬과 에어가이드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블로어의 송풍성능을 강화하는 위치에 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핸들이 타워의 전단을 향해 경사진 가이드벽을 구비함으로써, 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타워의 전단을 향해 안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가이드와 토출구가 타워의 후단에 가깝게 배치됨으로 인해, 핸들에 의해 타워의 전단으로 안내된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P'선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Q-Q'선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상방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R-R'선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타워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타워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 내부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블로어(1)의 전체구조를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블로어(1)의 전체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블로어(1)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순환시킨다는 점에서, 공기조화기, 에어클린팬, 공기청정기 등 다른 명칭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모듈(100)과,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송풍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어(1)는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고, 블로어(1)는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일 수 있다.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질 경우,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외부 충력에 의한 전도의 위험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흡입모듈(100)은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송풍모듈(200) 역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모듈(100)은,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로어케이스(120)와, 로어케이스(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고, 블로어(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로어케이스(120)와 필터(130)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로어케이스(12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내부에 필터(13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케이스(120)는, 로어케이스(120)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는, 로어케이스(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구(121)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필터(13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흡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상하로 연장된 2개의 기둥 형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제1 타워(220) 및 제2 타워(230)를 흡입모듈(100)과 연결시키는 타워베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는 흡입모듈(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타워(220) 및 제2 타워(2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흡입모듈(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흡입모듈(100)과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는, 로어케이스(1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로어케이스(120)는, 타워베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의 상면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으로 연장된 그루브(16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타워(220)는 그루브(161)의 일측(161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타워(230)는 그루브(161)의 타측(161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는 흡입모듈(100)의 내부로부터 송풍된 여과공기를 분배하고, 상기 분배된 공기를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 제1 타워(220) 및 제2 타워(230)는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타워베이스(160)와 제1 타워(220)는 블로어(1)의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고, 타워베이스(160)와 제2 타워(230)는 블로어(1)의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는, 로어케이스(1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는, 로어케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케이스"로 이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는 타워베이스(160) 없이 흡입모듈(100)에 직접 조립될 수 있고, 흡입모듈(10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 사이에 블로잉스페이스(S)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는, 전방, 후방 및 상방이 개구된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1 타워(220), 제2 타워(230) 및 블로잉스페이스(S)로 이루어진 송풍모듈(200)의 외형은 원뿔대형일 수 있다.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 각각에 형성된 토출구(222, 232)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구(222, 232)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1 타워(22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1 토출구(222)라 하고, 제2 타워(23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2 토출구(232)라 한다.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기준으로 대칭되게배치될 수 있다.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가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S) 내에서 유동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수평기류 및 상승기류의 제어에 보다 유리하다.
제1 타워(220)는 제1 타워(22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타워케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타워(230)는 제2 타워(23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2 타워케이스(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워케이스(221)와 제2 타워케이스(231)는, 로어케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22, 232)가 각각 형성된 어퍼케이스로 이름될 수 있다. 로어케이스(120)와 어퍼케이스(221, 231)는, "케이스"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하위개념일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제1 타워(22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2 토출구(232)는 제2 타워(23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 사이의 간격인 블로잉스페이스(S)의 폭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로잉스페이스(S)의 상단 폭이 하단폭보다 좁게 형성되거나 넓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블로잉스페이스(S)의 폭을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상측의 폭과 하측의 폭이 다를 경우, 넓은 쪽의 유동속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속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해 공기의 유속편차가 발생될 경우, 공기가 토출되는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청정공기의 공급량이 달라질 수 있다.
제1 토출구(222)와 제2 토출구(232) 각각에서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로부터 토출된 공기와 제2 토출구(232)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유동되지 않고,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는 토출공기들이 합류되어 믹스(Mix)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에 의해 블로어(1) 주위의 공기에 간접기류가 형성되어, 블로어(1) 주위의 공기도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의 토출공기와 제2 토출구(232)의 토출공기가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토출구(222)의 토출공기와 제2 토출구(232)의 토출공기를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시킴으로써,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 주변의 공기도 간접기류에 의해 송풍모듈(200)의 외둘레면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제1 타워케이스(221)는, 제1 타워(22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1 타워상단(221a)과, 제1 타워(22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1 타워전단(221b)과, 제1 타워(22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 타워후단(221c)과, 제1 타워(220)의 외둘레면을 형성하는 제1 외측벽(221d)과, 및 제1 타워(22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1 내측벽(22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타워케이스(231)는, 제2 타워(23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2 타워상단(231a)과, 제2 타워(23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2 타워전단(231b)과, 제2 타워(23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2 타워후단(231c)과, 제2 타워(230)의 외둘레면을 형성하는 제2 외측벽(231d) 및 제2 타워(2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2 내측벽(23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벽(221d)과 제2 외측벽(231d)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 각각의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측벽(221e)과 제2 내측벽(231e)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1 타워(220)와 제2 타워(230) 각각의 내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제1 내측벽(22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32)는, 제2 내측벽(23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제1 타워전단(221b)보다 제1 타워후단(221c)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32)는, 제2 타워전단(231b)보다 제2 타워후단(231c)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제1 기류변환기(401)(도 5참조)가 관통되는 제1 보드슬릿(223)은, 제1 내측벽(22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제2 기류변환기(402)(도 5참조)가 관통되는 제2 보드슬릿(233)은, 제2 내측벽(23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드슬릿(223)과 제2 보드슬릿(233)은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하여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드슬릿(223)은, 제1 타워후단(221c)보다 제1 타워전단(221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드슬릿(233)은, 제2 타워후단(231c)보다 제2 타워전단(231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드슬릿(223)과 제2 보드슬릿(233)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블로어(1)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P'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한 단면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Q-Q'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한 단면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상측에는, 팬어셈블리(300)의 가동을 제어하는 기판어셈블리(15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상측에는, 기판어셈블리(150)가 배치되는 제어공간(150S)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130)는, 제어공간(150S)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3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필터(130)의 내측에는 실린더형의 필터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130)를 통과하여 필터공(131)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130)의 상측에는, 필터(130)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그릴(14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140)은, 팬어셈블리(300)와 필터(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140)은, 로어케이스(120)를 제거하고 필터(130)를 블로어(1)으로부터 분리할 시, 사용자의 손이 팬어셈블리(300)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어셈블리(300)는, 필터(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블로어(1) 외부의 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팬어셈블리(300)의 구동에 의해, 블로어(1) 외부의 공기는 흡입구(121)와 필터공(131)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1 타워(220) 및 제2 타워(230)로 송풍될 수 있다.
필터(130)와 송풍모듈(200) 사이에는, 팬어셈블리(300)가 배치되는 가압공간(300s)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워(220)의 내부에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1 분배공간(220s)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타워(230)의 내부에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2 분배공간(230s)이 형성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를 제1 분배공간(220s)과 제2 분배공간(230s)으로 분배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는, 제1, 2타워(220, 230)와 팬어셈블리(300)를 연결하는 채널(Channel)일 수 있다. 제1 분배공간(220s)은, 제1 타워(220)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분배공간(230s)은, 제2 타워(230)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분배공간(220s)은, 제1 외측벽(221d)과 제1 내측벽(221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배공간(230s)은, 제2 외측벽(231d)과 제2 내측벽(231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워(220)는, 제1 분배공간(220s) 내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1 에어가이드(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가이드(520)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에어가이드(520)는, 제1 타워후단(221c)으로부터 제1 타워전단(221b)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에어가이드(520)는 제1 타워전단(221b)의 후방에 이격될 수 있다. 제1 에어가이드(520)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에어가이드(520) 각각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상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작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2 타워(230)는, 제2 분배공간(230s) 내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2 에어가이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제2 타워후단(231c)으로부터 제2 타워전단(231b)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제2 타워전단(231b)의 후방에 이격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에어가이드(530) 각각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상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작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에어가이드(520)는, 팬어셈블리(30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1 토출구(222)를 향하도록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팬어셈블리(30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2 토출구(232)를 향하도록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팬어셈블리(3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310)와, 팬모터(310)가 수용되는 팬모터하우징(330)과, 팬모터(310)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팬(320)과, 팬(320)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디퓨져(34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310)는, 팬(3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팬모터(3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모터축(311)을 통해 팬(320)과 연결될 수 있다.
팬모터하우징(330)은, 팬모터(3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모터하우징(331)과, 팬모터(3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모터하우징(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그루브(161)의 일측(161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토출구하단(222d)은, 그루브(161)의 일측(16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제1 타워상단(221a)의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제1 토출구상단(222c)은, 제1 타워상단(221a)의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축(Z)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토출구전단(222a)과 제1 토출구후단(222b)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토출구전단(222a)과 제1 토출구후단(222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축(Z)에 대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타워(220)는, 제1 분배공간(220s) 내의 공기를 제1 토출구(222)로 안내하는 제1 토출가이드(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워(22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기준으로 제2 타워(230)와 대칭될 수 있고, 제2 타워(23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제1 타워(220)에 대한 설명은 제2 타워(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코안다 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블로어(1)의 공기토출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블로어(1)을 상측에서 정하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R-R'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하여 상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측벽(221e)과 제2 내측벽(231e) 사이의 간격(D0, D1, D2)은, 블로잉스페이스(S)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1 내측벽(221e)과 제2 내측벽(231e)은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내측벽(221e)과 제2 내측벽(231e)의 꼭지점 사이에 최단거리(D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단거리(D0)는, 블로잉스페이스(S)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는,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32)는,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워전단(221b)과 제2 타워전단(231b)은 제1 간격(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타워후단(221c)과 제2 타워후단(231c)은 제2 간격(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간격(D1)과 제2 간격(D2)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간격(D1)은 최단거리(D0)보다 클 수 있고, 제2 간격(D2)은 최단거리(D0)보다 클 수 있다.
제1 내측벽(221e)과 제2 내측벽(231e) 사이의 간격은, 후단(221c, 231c)으로부터 상기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까지는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전단(221b, 231b)까지는 커질 수 있다.
제1 타워전단(221b)과 제2 타워전단(231b)은, 전후방축(X)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워전단(221b)과 제2 타워전단(231b) 각각에서 그은 접선은, 전후방축(X)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A)을 가질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전후방축(X)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A)을 갖고 유동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확산각이 증대될 수 있다.
제1 기류변환기(401)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때, 제1 보드슬릿(223) 내에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기류변환기(402)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때, 제2 보드슬릿(233) 내에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 토출가이드(225)와 제2 토출가이드(235)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225)는, 제1 내측벽(221e)과 연결되는 제1 이너가이드(225a)와, 제1 외측벽(221d)과 연결되는 제1 아우터가이드(2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가이드(225a)는, 제1 내측벽(221e)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1 아우터가이드(225b)는, 제1 외측벽(221d)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1 이너가이드(225a)는, 제1 내측벽(221e)으로부터 제1 분배공간(22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아우터가이드(225b)는, 제1 외측벽(221d)으로부터 제1 분배공간(22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아우터가이드(225b)는, 제1 이너가이드(225a)의 외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이너가이드(225a)와의 사이에 제1 토출구(2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너가이드(225a)의 곡률반경은, 제1 아우터가이드(225b)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배공간(220s)의 공기는, 제1 이너가이드(225a)와 제1 아우터가이드(225b) 사이로 유동하여 제1 토출구(222)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토출가이드(235)는, 제2 내측벽(231e)과 연결되는 제2 이너가이드(235a)와, 제2 외측벽(231d)과 연결되는 제2 아우터가이드(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가이드(235a)는, 제2 내측벽(231e)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2 아우터가이드(235b)는, 제2 외측벽(231d)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2 이너가이드(235a)는, 제2 내측벽(231e)으로부터 제2 분배공간(23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아우터가이드(235b)는, 제2 외측벽(231d)으로부터 제2 분배공간(23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아우터가이드(235b)는, 제2 이너가이드(235a)의 외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이너가이드(235a)와의 사이에 제2 토출구(2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이너가이드(235a)의 곡률반경은, 제2 아우터가이드(235b)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배공간(230s)의 공기는, 제2 이너가이드(235a)와 제2 아우터가이드(235b) 사이로 유동하여 제2 토출구(232)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유동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의 폭(w1, w2, w3)은, 제1 토출가이드(225)의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해 갈수록 점차 작아지다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225)의 입구폭(w1)의 크기는, 제1 토출가이드(225)의 출구폭(w3)보다 클 수 있다.
제1 토출구(222)의 입구(222i)는, 입구폭(w1)을 가질 수 있다. 제1 토출구(222)의 출구(222o)는, 출구폭(w3)을 가질 수 있다. 제1 토출구(222)의 입구(222i)는, 출구(222o)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로 유입된 공기는, 입구(222i)에서 출구(222o)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입구폭(w1)은, 제1 이너가이드(225a)의 외측끝단과 제1 아우터가이드(225b)의 외측끝단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출구폭(w3)은, 제1 이너가이드(225a)의 내측끝단인 제1 토출구전단(222a)으로부터 제1 아우터가이드(225b)의 내측끝단인 제1 토출구후단(222b)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입구폭(w1)과 상기 출구폭(w3)의 크기는, 제1 토출구(222)의 최단폭(w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최단폭(w2)은, 제1 토출구후단(222b)과 제1 이너가이드(225a)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토출구(222)의 폭은, 제1 토출가이드(225)의 입구로부터 최단폭(w2)이 형성된 위치까지는 점차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최단폭(w2)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제1 토출가이드(225)의 출구까지는 점차 커질 수 있다.
제2 토출가이드(235)도 제1 토출가이드(225)와 마찬가지로, 제2 토출구전단(232a)과 제2 토출구후단(232b)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토출가이드(225)와 동일한 폭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에어가이드(500)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블로어(1)에서 케이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2 타워(230) 및 타워베이스(16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에어가이드(500)는, 제1 타워(220)에 배치되는 제1 에어가이드(520)와, 제2 타워(230)에 배치되는 제2 에어가이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가이드(520)와 제2 에어가이드(53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블로잉스페이스(S)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에어가이드(530)에 대한 설명은, 제1 에어가이드(5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팬어셈블리(300)는, 블로어(1)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121)를 통해 로어케이스(12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로어케이스(12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공(131)을 거쳐 가압공간(300s)으로 유동할 수 있다. 로어케이스(120)는, 도어(129)를 포함할 수 있고, 도어(129)는, 로어케이스(120)에 탈착될 수 있다. 도어(129)가 로어케이스(120)로부터 분리되면, 필터(130)는, 케이스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팬어셈블리(300)에 의해 가압공간(300s)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분배공간(230s)을 통해 제2 타워(2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타워(23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2 에어가이드(530)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분배공간(23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상하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나,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제2 타워후단(231c)으로부터 제2 타워전단(231b)을 향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의 가이드후단(532)은, 제2 타워후단(231c)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의 가이드전단(531)은, 제2 타워전단(231b)의 후방에 이격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일 수 있고,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의 가이드내측단(533)은, 제2 내측벽(231e)에 밀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의 가이드외측단(534)은, 제2 외측벽(231d)에 밀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제2 내측벽(231e)과 제2 외측벽(231d) 사이에서 연장된 굴곡진 판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를 참조하여, 에어가이드(500)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블로어(1)를 측방에서 투시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에어가이드(530)를 일례로 들어 에어가이드(500)를 설명하나, 제2 에어가이드(530)에 대한 설명은 제1 에어가이드(5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제2 타워전단(231b)보다 제2 타워후단(231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전단(531)은, 제2 타워전단(231b)의 후방에 이격될 수 있고, 가이드후단(532)은, 제2 타워후단(231c)의 전방에 이격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가이드후단(532)이 제2 타워후단(231c)에 결합됨으로써, 제2 타워케이스(23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에어가이드(530)는, 가이드내측단(533) 및 가이드외측단(534)이 각각 제2 내측벽(231e)과 제2 외측벽(231d)에 결합됨으로써, 제2 타워케이스(23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에어가이드(50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500, 520, 530)는, 제1 가이드(530a)와, 제1 가이드(53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530b)와, 제2 가이드(530b)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이드(530c)와, 제3 가이드(530c)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4 가이드(53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530a)는, 복수의 에어가이드(500) 중 최하측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500)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가이드(530a)의 하면은 팬어셈블리(300)와 마주할 수 있고, 제1 가이드(530a)의 상면은 제2 가이드(530b)의 하면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는, 복수의 에어가이드(500) 중 제1 가이드(530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에어가이드(500)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의 하면은 제1 가이드(530a)의 상면과 마주볼 수 있고, 제2 가이드(530b)의 상면은 제3 가이드(530c)의 하면과 마주볼 수 있다.
제3 가이드(530c)는, 복수의 에어가이드(500) 중 제4 가이드(530d)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에어가이드(500)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가이드(530c)의 하면은 제2 가이드(530b)의 상면과 마주볼 수 있고, 제3 가이드(530c)의 상면은 제4 가이드(530d)의 하면과 마주볼 수 있다.
제4 가이드(530d)는, 복수의 에어가이드(500) 중 최상측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500)를 의미할 수 있다. 제4 가이드(530d)의 하면은 제3 가이드(530c)의 상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4 가이드(530d)의 상면은 제2 타워상단(231a)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와 제3 가이드(530c)는, 제1 가이드(530a)와 제4 가이드(530d) 사이에 배치된 에어가이드(500)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에어가이드(500)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에어가이드(500) 중 일부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에어가이드(500) 중 일부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에어가이드(500) 중 일부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에어가이드(500) 중 일부는,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530a)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530a)의 가이드전단(531a)은, 가이드후단(532a)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530a)는, 타워후단(231c)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고,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굴곡질 수 있다. 제1 가이드(530a)의 가이드전단(531a)에서의 접선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경사각(θ1)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는, 타워후단(231c)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고,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의 가이드전단(531b)은, 가이드후단(532b)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의 가이드전단(531b)에서의 접선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경사각(θ2)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의 가이드후단(532b)에서의 접선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경사각(α1)을 가질 수 있다.
제3 가이드(530c)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530c)는, 타워후단(231c)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고,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가이드(530c)의 가이드전단(531c)은, 가이드후단(532c)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가이드(530c)의 가이드전단(531c)에서의 접선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경사각(θ3)을 가질 수 있다. 제3 가이드(530c)의 가이드후단(532c)에서의 접선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경사각(α2)을 가질 수 있다.
제4 가이드(530d)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4 가이드(530d)는, 타워후단(231c)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평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가이드(530d)의 가이드전단(531d)은, 가이드후단(532d)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가이드(530d)의 상면과 하면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의 경사각(θ4)을 가질 수 있다. 제4 가이드(530d)의 경사각(θ4)은 전후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에어가이드(530a, 530b, 530c, 530d) 각각과 타워전단(231b)이 이격된 거리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530a)는 타워전단(231b)과 제1 간격(G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530b)는 타워전단(231b)과 제2 간격(G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3 가이드(530c)는 타워전단(231b)과 제3 간격(G3)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4 가이드(530d)는 타워전단(231b)과 제4 간격(G4)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에어가이드(500)는, 하측에 배치된 것일 수록 타워전단(231b)과의 사이 간격(G1, G2, G3, G4)이 넓어질 수 있다. 제1 간격(G1)은 제2 간격(G2)보다 넓을 수 있고, 제2 간격(G2)은 제3 간격(G3)보다 넓을 수 있고, 제3 간격(G3)은 제4 간격(G4)보다 넓을 수 있다.
제2 타워전단(231b)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타워전단(231b)은,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타워전단(231b)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부에 위치한 상하축(Z)에 가까워질 수 있다. 제2 타워전단(231b)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의 경사각(β1)을 가질 수 있다.
제2 타워후단(231c)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타워후단(231c)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타워후단(231c)은,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부에 위치한 상하축(Z)에 가까워질 수 있다. 제2 타워후단(231c)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의 경사각(β2)을 가질 수 있다.
제2 토출구(232)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3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32)는,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부에 위치한 상하축(Z)에 가까워질 수 있다. 제2 토출구(232)는, 제2 타워후단(231c)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토출구전단(232a)과 제2 토출구후단(232b)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타워전단(231b), 타워후단(231c) 및 토출구(232)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에어가이드(500)와 타워전단(231b) 사이의 간격(G1, G2, G3, G4)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으로 인해, 팬(32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에어가이드(500)에 의해 토출구(232)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타워전단(231b), 타워후단(231c) 및 토출구(232)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에어가이드(500)와 타워전단(231b) 사이의 간격(G1, G2, G3, G4)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으로 인해, 토출구(23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하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팬(32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팬(320)에 가까울수록 압력이 높고 팬(3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압력이 낮아진다. 이에, 팬(320)에 가깝게 위치한 에어가이드(500)와 타워전단(231b) 사이의 간격을 넓게 형성시켜, 보다 많은 유량의 공기가 상측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토출구(23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하부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팬(320)에 멀게 위치한 에어가이드(500)와 타워전단(231b)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시켜, 상방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줄어든 공기가 박리되지 않고 에어가이드(500)에 의해 토출구(232)로 안내되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핸들(170)을 설명한다. 도 8은 블로어(1)의 종단면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블로어(1)는, 팬(320)과 에어가이드(500) 사이에 배치되는 핸들(17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70)은, 에어가이드(500)의 상류측(Upstream)에서 제1 타워전단(221b)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핸들(170)은 로어케이스(12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핸들(170)은 타워베이스(16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의 외둘레벽에는 절개된 부위가 형성될 수 있고, 핸들(170)은 타워베이스(160)의 상기 절개된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핸들(170)은 로어케이스(12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170)은, 타워전단(221b)보다 타워후단(221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블로어(1)를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핸들(170)은 로어케이스(120)의 전방부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핸들(170)은 그루브(161)와 팬(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170)은 타워베이스(16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그루브(16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170)은 로어케이스(120)의 내부를 향해 전방으로 연장된 제1 벽(171), 제1 벽(171)의 하측에 이격되는 가이드벽(172) 및 제1 벽(171)과 가이드벽(172)을 연결하는 제2 벽(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171)은 로어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벽(17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벽(172)은 제1 타워(220)의 전단(221b)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벽(172)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벽(172)은 팬(3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팬(320)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벽(173)은 가이드벽(17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벽(17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벽(173)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핸들(170)은 로어케이스(120)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된 파지공간(174)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공간(174)은 제1 벽(171)과 가이드벽(17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벽(173)은 파지공간(174)의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팬모터하우징(330)과 로어케이스(120) 사이에는 팬(32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유동하는 채널(301)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301)은 팬(32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팬모터하우징(33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하우징벽(333) 및 팬(320)의 상측에서 제1 하우징벽(333)과 연결되고 핸들(170)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제2 하우징벽(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벽(333)은 팬모터(3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벽(333)은 로어케이스(12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벽(334)은 제1 하우징벽(333)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벽(334)은 하측으로 갈수록 로어케이스(120)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채널(301)은 팬모터하우징(330)과 로어케이스(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채널(301)은 제1 하우징벽(333)과 로어케이스(120) 사이공간 및 제2 하우징벽(334)과 로어케이스(120) 사이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벽(334)과 로어케이스(120) 사이에서 채널(301)은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방향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팬(32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채널(301)을 지나면서 가속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벽(333)과 로어케이스(120) 사이에는 디퓨져(340)가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3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디퓨져(340)는 채널(301) 내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핸들(170)은 채널(30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170)은 채널(301)과 상하로 마주할 수 있다. 핸들(170)은 디퓨져(3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32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채널(301)을 통과하여 핸들(170)의 가이드벽(172)에 도달할 수 있다. 가이드벽(172)에 도달한 공기는 가이드벽(172)의 경사면을 따라 제1 타워(220)의 전단(221b)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핸들(170)이 로어케이스(1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폭(w1)은 채널(301)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채널(301)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가이드벽(172)에 도달하지 않고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핸들(170)과 팬모터하우징(330) 사이에는 가속채널(30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속채널(302)은 채널(301)과 연통될 수 있다. 가속채널(302)은 채널(301)의 상측에서 제1 타워(220)의 전단(221b)을 향해 연장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팬모터하우징(330)은 가이드벽(172)과 마주하는 엣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335)는 팬모터하우징(33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엣지(335)는 제1 하우징벽(333)의 상단을 의미할 수 있다.
가속채널(302)은 엣지(335)와 가이드벽(17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속채널(302)의 폭(w3)은 채널(301)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채널(301)을 통과한 공기는 가속채널(302)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 채널(301)을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벽(172)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음과 동시에 가속채널(302)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 가이드벽(172)을 따라 제1 타워전단(221b)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가속채널(302)에서 유속이 증가하여 전방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제1 타워(220)는 제1 타워전단(221b)으로부터 제1 토출구(222)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8)는 에어가이드(500)와 핸들(1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228)는 제1 타워전단(221b)과 일체형일 수 있다.
돌출부(228)는 그루브(161)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228)는 가이드벽(172)의 연장선(L)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타워(220)는, 돌출부(228)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로어가이드(227) 및 돌출부(228)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어퍼가이드(22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벽(172)을 따라 제1 타워전단(221b)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로어가이드(227)에 도달할 수 있다. 로어가이드(227)에 도달한 공기는 돌출부(228)에 의해 후방으로 안내되어 에어가이드(500)에 도달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500)에 도달한 공기는 에어가이드(500)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여 제1 토출구(222)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팬(32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유동경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팬(32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곧바로 제1 토출구(222)를 통해 토출될 수도 있고, 제1 분배공간(220s)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할 수도 있고, 가이드벽(172)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어 돌출부(228)에 도달할 수도 있고, 가이드벽(172)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어 어퍼가이드(229)에 도달할 수도 있다.
에어가이드(500)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에어가이드(500)는 전방으로 갈수록 돌출부(228)를 향해 경사질 수 있다. 돌출부(228)에 의해 후방으로 안내된 공기는 에어가이드(500)의 가이드전단(501)에 도달할 수 있다. 가이드전단(501)은 제1 토출구(222)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전단(501)에 도달한 공기는 에어가이드(500)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여 제1 토출구(22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핸들(170)의 세부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블로어(1)의 종단면도 상에서 핸들(17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로어케이스(120)의 후방부에는 파지공간(174)이 형성될 수 있다. 파지공간(174)은 핸들(170)의 내측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공간(174)에 손을 넣어 블로어(1)를 운반할 수 있다.
핸들(170)은 제1 벽(171)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파지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75)는 제1 벽(171)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파지부(175)는 제1 벽(171)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1 파지부(175a) 및 제1 파지부(175a)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파지부(175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공간(174)에 손을 넣어 파지부(175)에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파지부(175b)의 경사면에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다.
파지부(175)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제1 체결홀(175s)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75)는 제1 체결홀(175s)을 관통하는 제1 체결부재(176)에 의해 핸들(170)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170)은 가이드벽(17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거치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77)는 로어케이스(1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케이스(120)는 핸들(170)에 인접하게 배치된 단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120a)는 상측으로 갈수록 로어케이스(120)의 외측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거치부(177)는 단부(120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부(177)는 로어케이스(120)에 연결될 수 있고, 단부(120a)와 연결될 수 있다. 거치부(177)는 로어케이스(120)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거치부(177)가 로어케이스(120)의 내측에서 로어케이스(120)와 연결됨으로써, 핸들(170)이 로어케이스(1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170)은 그루브(161)를 향해 돌출된 보스(178)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178)는 제1 벽(17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스(178)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제2 체결홀(178s)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70)은 제2 체결홀(178s)에 삽입되는 제2 체결부재(179)에 의해 그루브(161)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가이드(229)는 돌출부(228) 상측에서 제1,2 타워(220, 2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가이드(229)는 돌출부(228)의 상측으로부터 제1,2 타워의 전단(221b, 231b)을 향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며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가이드(227)는 돌출부(228) 하측에서 제1,2 타워(220, 2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가이드(227)는 돌출부(228)의 하부로부터 제1,2 타워의 전단(221b, 231b)을 향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며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가이드(227)는 핸들(170)의 가이드벽(172)의 경사를 연장한 연장선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8)는 어퍼가이드(229) 및 로어가이드(227)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160)의 내부 공간은 분배채널(160s)로 지칭될 수 있다. 분배채널(160s)은,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를 제1 분배공간(220s)과 제2 분배공간(230s)으로 분배할 수 있다. 분배채널(160s)은, 일단이 가압공간(300s)과 연통되고, 타단이 제1 분배공간(220s) 및 제2 분배공간(230s)과 연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8, 및 도 9 중 특히 도 8을 참조하여 서포터(620)에 관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블로어(1) 상부의 하중(특히, 제1 타워(220) 및 제2 타워(230)의 내측벽(221e, 231e)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블로어(1) 하부로 전달하기 위한 서포터(620)가 구비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타워베이스(1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타워베이스(160)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타워베이스(160) 내부에서 평단면상 중앙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제1 타워(220) 및 제2 타워(2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팬모터하우징(3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그루브(161)와 팬모터하우징(330)을 연결할 수 있다. 서포터(620)는, 타워(230)가 서로 마주보는 면(즉, 제1 내측벽(221e) 및 제2 내측벽(231e))의 하부와 팬모터하우징(330)을 연결할 수 있다. 서포터(620)는, 제1 타워(220) 및 제2 타워(230)의 하중을 팬모터하우징(3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팬모터하우징(330)은, 전달받은 하중을 상술한 디퓨져(340)를 통하여 로어케이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서포터(620)는, 그루브(161)의 전후 방향상 중앙 부근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팬모터하우징(330)의 제1 하우징벽(333)의 상면 중 제1 하우징벽(333)의 둘레면으로부터 반경 내측으로 이격된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전체적으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서포터(62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팬모터하우징(330)으로 전달하면서도, 서포터(620)가 차지하는 분배채널(160s) 내 면적을 최소화하여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서포터(620)로부터 팬모터하우징(330)으로 전달된 하중은, 디퓨져(340)에 의하여 로어케이스(120)로 전달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서포터(62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622a)와, 서포터(62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제1 돌출부(622a)와 이격되는 제2 돌출부(6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622a)와 제2 돌출부(622b)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돌출부(622a)와 제2 돌출부(622b)는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돌출부(622a)와 제2 돌출부(622b)는 서포터(6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61)는 일부분이 제1 돌출부(622a)와 제2 돌출부(622b)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루브(161)는 제1 돌출부(622a)와 제2 돌출부(622b)의 사이에 삽입되어 서포터(620)와 체결될 수 있다. 그루브(161)는 제1 돌출부(622a)와 제2 돌출부(622b)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161c)를 구비할 수 있다. 그루브(161)의 삽입부(161c)는 그루브(16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그루브(161)의 삽입부(161c)는 그루브(1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61c)는 제1 돌출부(622a)와 제2 돌출부(622b)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삽입부(161c)의 하면은 별도의 체결부재(650)에 의하여 서포터(6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650)는, 예를 들어, 삽입부(161c)의 하면과 서포터(620)의 상면을 관통하는 볼트일 수 있다.
핸들(170)은, 타워베이스(160) 중에서도 서포터(620)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620)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핸들(170)의 일면(즉, 제2 벽(173))과 마주보는 제1면(626a)과, 제1면(626a)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면(626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면(626a)은, 서포터(620)의 후방면일 수 있고, 제2면(626b)은, 서포터(620)의 전방면일 수 있다. 제1면(626a)은, 타워베이스(160)의 전방면과 마주볼 수 있고, 제2면(626b)은, 핸들(170) 내지 타워베이스(160)의 후방면과 마주볼 수 있다.
제1면(626a)은, 제2면(626b)을 향하여 소정의 제1각도(s1)로 경사질 수 있다. 제1각도란, 가상의 상하방향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면(626a)이 제2면(626b)측으로 기울어진 정도일 수 있다. 서포터(620)의 제2면(626b)은, 제1면(626a)을 향하여 소정의 제2각도(s2)로 경사질 수 있다. 제2각도란, 가상의 상하방향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2면(626b)이 제1면(626a)측으로 기울어진 정도일 수 있다. 제1각도(s1)는 제2각도(s2)보다 클 수 있다.
핸들(170)이 타워베이스(16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만큼, 분배채널(160s)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상승할 수 있다. 이에, 서포터(620) 중 핸들(170)과 마주보는 면인 제1면(626a)을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170)이 돌출된 방향에 대응시켜 경사지게 형성하여, 분배채널(160s) 내 핸들(170)에 의한 유동 저항의 상승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블로어 110: 베이스
120: 로어케이스 160: 타워베이스
170: 핸들 220: 제1 타워
230: 제2 타워 320: 팬
330: 팬모터하우징 340: 디퓨져
500: 에어가이드

Claims (20)

  1.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팬이 배치되는 로어케이스를 포함하는 흡입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 상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하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블로잉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제1,2 타워와, 상기 제1,2 타워에 각각 형성되는 제1,2 토출구와, 상기 제1,2 타워와 상기 흡입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모듈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제1,2 타워로 분배하는 타워베이스를 포함하는 송풍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팬 상부에 배치되는 팬모터하우징;로서, 팬모터를 수용하고 상기 로어케이스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팬모터하우징; 및
    상기 타워베이스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채널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로잉 스페이스와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2 타워로 분배되도록 가이드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블로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토출구는,
    각각 상기 제1,2 타워의 후단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타워베이스의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채널과 마주보며 상방 경사를 갖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블로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로어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된 폭은 상기 채널의 수평방향 폭보다 작은 블로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상기 팬모터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내측 방향으로 가속되는 공간인 가속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팬모터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핸들의 가이드벽까지의 거리인 상기 가속채널의 폭은 상기 채널의 수평방향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블로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워는 상기 블로잉 스페이스와 마주보는 제1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워는 상기 블로잉 스페이스와 마주보는 제2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타워베이스는 상기 제1,2 내벽을 연결하고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는 블로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기 그루브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는 블로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타워 각각은 전단으로부터 상기 제1,2 토출구를 향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블로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그루브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블로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핸들의 가이드벽의 경사를 연장한 연장선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블로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타워는,
    상기 돌출부 상측에서 상기 제1,2타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가이드와, 상기 돌출부 하측에서 상기 제1,2타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어퍼가이드 및 로어가이드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블로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가이드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2 타워의 전단을 향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며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어퍼가이드는 상기 돌출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2 타워의 전단을 향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며 경사를 형성하는 블로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가이드는 상기 핸들의 가이드벽의 경사를 연장한 연장선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블로어.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하우징은,
    상기 팬모터의 상부를 감싸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우징벽; 및
    상기 팬모터의 하부를 감싸며 상기 제1하우징벽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 하우징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벽은 상기 핸들을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블로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는,
    상기 타워베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벽의 상면 중 상기 제1하우징벽의 둘레면으로부터 반경 내측으로 이격된 부위에서 상기 제1,2 타워를 향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2 타워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블로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베이스의 그루브는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서포터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블로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는,
    상기 제1 타워 내부에 상기 제1 타워의 전단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토출구를 향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토출구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 토출구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블로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 타워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1 타워의 전단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토출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블로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블로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가이드 각각이 하측으로 경사진 각도는 하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큰 블로어.
  20. 삭제
KR1020210123234A 2021-09-15 2021-09-15 블로어 KR10258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34A KR102585889B1 (ko) 2021-09-15 2021-09-15 블로어
US17/940,151 US20230081328A1 (en) 2021-09-15 2022-09-08 Blower
EP22194861.5A EP4151861A1 (en) 2021-09-15 2022-09-09 Blower
TW111134279A TW202319696A (zh) 2021-09-15 2022-09-12 送風機
JP2022145967A JP2023043184A (ja) 2021-09-15 2022-09-14 ブロワー
CN202211123858.8A CN115807788A (zh) 2021-09-15 2022-09-15 送风机
KR1020220124453A KR102585887B1 (ko) 2021-09-15 2022-09-29 블로어
US18/385,488 US20240060508A1 (en) 2021-09-15 2023-10-31 B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34A KR102585889B1 (ko) 2021-09-15 2021-09-15 블로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453A Division KR102585887B1 (ko) 2021-09-15 2022-09-29 블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080A KR20230040080A (ko) 2023-03-22
KR102585889B1 true KR102585889B1 (ko) 2023-10-06

Family

ID=832707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234A KR102585889B1 (ko) 2021-09-15 2021-09-15 블로어
KR1020220124453A KR102585887B1 (ko) 2021-09-15 2022-09-29 블로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453A KR102585887B1 (ko) 2021-09-15 2022-09-29 블로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30081328A1 (ko)
EP (1) EP4151861A1 (ko)
JP (1) JP2023043184A (ko)
KR (2) KR102585889B1 (ko)
CN (1) CN115807788A (ko)
TW (1) TW2023196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713A1 (ko) * 2020-03-04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0009B (en) * 2012-03-06 2015-08-05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CN202883401U (zh) * 2012-09-21 2013-04-17 刘敏 易移动式负压风机
CN104389768B (zh) * 2014-11-18 2017-07-04 张伟 内进风式无叶风扇
GB2545412B (en) * 2015-12-11 2018-06-06 Dyson Technology Ltd A hair care appliance comprising a motor
CN208587996U (zh) * 2018-07-11 2019-03-08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具有净化功能的气流扇
KR102339347B1 (ko) * 2019-08-20 202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TWI800771B (zh) * 2019-11-28 2023-05-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空氣調節機
KR102630059B1 (ko) * 2020-03-04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KR20210112122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713A1 (ko) * 2020-03-04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1328A1 (en) 2023-03-16
JP2023043184A (ja) 2023-03-28
KR20230040301A (ko) 2023-03-22
EP4151861A1 (en) 2023-03-22
US20240060508A1 (en) 2024-02-22
KR20230040080A (ko) 2023-03-22
TW202319696A (zh) 2023-05-16
CN115807788A (zh) 2023-03-17
KR102585887B1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14544A (ko) 에어클린팬
KR102585889B1 (ko) 블로어
KR20230098109A (ko) 블로워
CN113757188B (zh) 送风机
KR102619417B1 (ko) 에어클린 팬
KR102622929B1 (ko) 블로워
KR102553488B1 (ko) 블로어
KR102658127B1 (ko) 에어클린팬
EP4332383A2 (en) Blower
KR102658133B1 (ko) 블로어
KR102658126B1 (ko) 에어클린팬
KR102658132B1 (ko) 에어클린팬
KR102375176B1 (ko) 에어클린팬
KR20230163329A (ko) 에어클린팬
KR102630055B1 (ko) 에어클린팬
KR102630058B1 (ko) 공기 조화기용 팬
KR20210149356A (ko) 에어클린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