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777A - 실리콘 노즐 어레이를 갖는 분무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리콘 노즐 어레이를 갖는 분무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777A
KR20210107777A KR1020217023179A KR20217023179A KR20210107777A KR 20210107777 A KR20210107777 A KR 20210107777A KR 1020217023179 A KR1020217023179 A KR 1020217023179A KR 20217023179 A KR20217023179 A KR 20217023179A KR 20210107777 A KR20210107777 A KR 2021010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ap
carrier
atomiz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109B1 (ko
Inventor
제바스티안 망골트
마누엘 피젤
얀 바르텔메스
레온 룩
뵈른 프라이징어
Original Assignee
요트. 바그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 바그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요트. 바그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0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3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gasless spraying, e.g. electrostatically assisted airless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3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using induction-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5/169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or with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전기수력학적 분무기(1)용 분무기 노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노즐 캡(40)은 복수의 노즐(10, 11, 12)을 포함하고, 노즐(10, 11, 12)은 적어도 하나의 노즐 개구(21, 22, 23), 적어도 하나의 노즐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노즐 소켓을 포함한다. 노즐 캡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상에 배열되고, 캐리어는 각각의 노즐 소켓을 위한 노즐 커넥터를 포함하며, 노즐 캡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캐리어 상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실리콘 노즐 어레이를 갖는 분무기 시스템
유체의 전기수력학적 분무는 코팅 방법 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PCT/EP2018/060117호는 전기수력학적 분무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사람의 신체에, 예를 들어 선블록과 같은 케어 제품을 도포하는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그러나, 많은 수의 분무기 노즐은 전기수력학적 분무를 도포하는 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더욱이, 전기수력학적 분무에 필요한 고전압을 고려할 때 물을 이용한 간단한 세정이 쉽게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의 필요한 세정에 흔히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수력학적 분무기의 기능을 개선하고 특히 세정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에 청구된 발명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발 및 편리한 개선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전기수력학적 분무기를 위한 분무기 노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노즐 캡은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노즐 개구, 적어도 하나의 노즐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노즐 소켓을 포함하며, 노즐 캡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상에 배열되고 캐리어는 각각의 노즐 소켓을 위한 노즐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즐 캡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캐리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즐 캡을 캐리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과로서, 노즐 캡은 전기수력학적 분무기의 디바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 및 제거되고, 예를 들어 물 또는 다른 용매로 세정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마모가 발생한 후 사용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교체를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대체 노즐 캡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기하형상 및 기타 특성은 분무될 다른 유체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노즐 캡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 특히 가요성 전기 절연체,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것을 제공한다.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을 사용하면, 경화된 잔류물이 변형으로 인해 바스러지고 이에 따라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의 간단한 변형을 통해,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쓰다듬어서 건조된 유체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절연체의 사용은 또한 전기수력학적 분무에 대해 놀랍게도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고전압으로 충전된 유체에서 경험하는 분무 효과는 전기 절연 노즐 채널의 안내에 의해 개선되며, 이는, 예를 들어 선크림과 같은 케어 제품을 도포할 때, 분무기의 전기수력학적 적용 중에 프로세스 신뢰성을 높여준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캐리어가 강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PC, ABS, PE, PET 또는 PP 등으로 제조되는 것을 제공한다.
강성 캐리어는, 예를 들어 배향 및 고정을 위한 강성 요소를 통해 가요성 노즐 캡의 정확하고 작동상 신뢰할 수 있는 고정을 허용한다.
그러한 강성 요소는 돌출부 또는 구조, 예를 들어 칼라 또는 버섯 머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 캡의 대응하는 상대 구조가 맞물리고, 특히 탄성적으로 래치되는 설상부 및 홈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의 한가지 유리한 개발은 노즐 캡이 래칭 요소를 탄성적으로 인장하거나 가요성 재료를 인장함으로써 캐리어 상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구성된 가요성, 고무형 노즐 캡을 사용하면 노즐 캡을 캐리어 상에 탄성적으로 클램핑하여 도구 없이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비가요성 또는 부분적 가요성 노즐 캡의 경우, 예를 들어 래칭 요소를 통해 도구 없이 해제될 수 있는 간단한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노즐 캡이 베이스 구조, 특히 분무기 노즐을 형성하기 위해 노즐 구조가 배열된 베이스 판 또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베이스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노즐 구조와 비교하여 더 강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베이스 구조는, 특히 PC, ABS, PE, PET 또는 PP 등으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특히 래칭 요소를 포함하여 캐리어와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제공한다.
강성 베이스 구조 상에 형성된, 노즐 기하형상의 가요성의 유연한 층은 캐리어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래칭 요소를 생략할 필요 없이,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부터 노즐 기하형상이 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이러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의 치수 안정성이 달성되기 때문에, 노즐 캡을 분해 및 장착할 때, 햅틱이 개선된다. 베이스 구조는 여기서 노즐 커넥터 및/또는 노즐 소켓을 위한 돌파구를 포함하는 판 유형으로서 구현되거나, 필요한 지점에서만 지지하고 안정화되는 프레임 구조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개선된 개발은 또한 노즐 캡이, 할당된 노즐 채널을 각각 갖고 할당된 노즐 소켓을 각각 갖는 적어도 3개의 노즐 개구를 포함하고, 노즐 개구는 노즐 영역에서 최대 정도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특히 지그재그 라인을 따라 서로를 따라 배열되는 것을 제공한다.
적어도 3개의 노즐 개구의 배열이 프로세스 신뢰성을 갖는 분무 거동을 제공한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노즐 개구를 또한 고려할 수 있고, 노즐 개구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한 자릿수 범위 내에서 달라진다.
그러나, 노즐 개구가 배열에 이용 가능한 노즐 캡의 영역에서 최대 정도로 이격되어, 즉 가능한 가장 큰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관련된다. 이 예에서는, 노즐 개구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기 때문에, 표면에서 지그재그 배열이 목표가 된다. 노즐 개구의 거리를 치수 설정하는 동안, 개구는 영역의 에지에 직접 위치될 수 없고 일반적으로 노즐 채널을 수용하는 노즐 본체에 의해 둘러싸이기 때문에, 노즐의 기하형상 자체를 고려해야 한다.
더욱이, 하나의 유리한 개발은, 노즐의 노즐 개구가 노즐 캡의 평면 밖으로 돌출하고, 돌출되는 노즐의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만곡된 곡선으로서 구현되며, 특히 노즐의 에지는 에지 측면에서 노즐의 반대쪽 에지 측면에 대해 비대칭성이고, 특히 적어도 1.5배 큰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즐 본체를 통해 제공되는 노즐 개구는, 노즐 기하형상을 정의하기 위해, 특히 노즐 본체의 내부에 노즐 채널을 수용하기 위해 노즐 캡의 평면 밖으로 돌출된다. 노즐 캡의 평면은 노즐 기하형상이 배열되는 본질적으로 평탄한 하부 표면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시되는 융기된 에지 영역은 여기서 외부에 남아있다.
여기서, 노즐 본체의 에지 또는 측벽은 연속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서 연장된다. 가능한 가장 큰 거리에 배치하기 때문에, 반대쪽 측면보다 노즐 캡의 에지에 가깝게 놓이는 노즐 본체의 에지 측면에서 더 작은 설치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면의 곡률은 더 평탄한 방식으로 종료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확해진다. 결과적으로, 세정에 유리한 더 부드러운 전이가 달성된다.
추가의 편리한 실시예는 노즐 캡 및/또는 베이스 판 및/또는 캐리어 판이,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제공한다.
대응 제조 방법은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비용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조를 허용한다.
추가의 편리한 실시예는 또한 노즐 캡 및 베이스 판 및/또는 캐리어 판이, 바람직하게는 다부품 사출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일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결합 또는 가황 프로세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제공한다.
대응 제조 프로세스는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비용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조를 허용한다. 더욱이, 노즐 캡의 구성요소의 부주의한 분리는 마지막에 언급된 2개의 제조 방법에 의해 방지되고, 이는 사용자에게 더 높은 수준의 고장 안전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노즐 캡은 연결 플랜지 주위에서 노즐 커넥터 상의 탄성 섹션과 맞물리고 탄성 변형에 의해 노즐 커넥터 상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을 제공한다.
그 해제 가능성으로 인해, 노즐 캡은 캐리어의 노즐 커넥터에 밀봉부-형성 연결을 형성해야 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제조된 탄성 섹션이 밀봉부-형성 방식으로 노즐 커넥터의 연결 플랜지 주위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 섹션의 인장력은 전기수력학적 분무기의 작동 중에 분무될 유체의 우세한 전달 압력을 견뎌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는, 노즐 커넥터가, 특히 주연 밀봉 링을 갖는 원통형 연결 플랜지를 갖고, 노즐 소켓은 인터로킹, 밀봉부-형성 형합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원통형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을 제공한다.
밀봉 링은 또한 추가 구성요소 또는 작업 단계를 피하기 위해 연결 플랜지로부터 직접 형성되는 비드, 특히 사출 성형 동안 직접 제조되는 비드 구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응 원통형 연결 플랜지는 제조 방법 중에 프로세스 신뢰성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노즐 캡의 장착 및 분해 중에 신뢰할 수 있는 밀봉 효과와 함께 유체 시스템의 간단한 연결을 제공한다.
형성되고 연결 플랜지에 견고하게 연결된 밀봉 비드는, 캐리어 상의 노즐 캡이 클램핑에 의해 밀봉 비드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밀봉부와 함께 노즐 캡의 가요성 연질 재료, 특히 실리콘이 연결 플랜지 상의 밀봉 비드와의 충분한 클램핑력을 발생시키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노즐 커넥터가 원추형 연결 플랜지를 갖고, 노즐 소켓은 인터로킹, 밀봉부-형성 형합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원추형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을 제공한다.
원추형 연결 플랜지는 또한 조립 중에 바람직한 센터링 효과를 허용하고, 서로를 지탱하는 연결 플랜지 및 노즐 소켓의 원추형 에지는 밀봉부-형성 접점을 형성한다.
하나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노즐 채널이 원추형 섹션으로서 또는 원추형 캡으로서 형상화되도록 구현되고, 특히 노즐 개구를 향하는 단부 채널을 형성하며, 단부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원추형 관형 섹션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제공한다.
노즐 채널의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는 출원 DE 10 2018 133 406.0호의 주제이며, 그 개시는 본 명세서에 참조된다. 노즐 채널의 대응하는 구성은 인가된 고전압으로 인해 전기수력학적 분무 효과가 시작되기 전에 분무될 유체의 개방 제트의 유리한 실시예를 형성한다.
여기서, 분무기 노즐의 노즐 개구는 0.1 mm 내지 0.3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2 mm이며, 노즐 채널의 길이는 4 mm 내지 6 mm이고, 바람직하게는 5.5 m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분무기 노즐 시스템의 편리한 실시예는 전기 접촉 요소, 특히 고전압 접촉이 노즐 커넥터에 형성되고, 접점은 유체 채널로 돌출하고, 유체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접점을 통해 안내되며, 특히 전기 접촉 요소와 노즐 개구 사이의 거리는 5 mm 내지 20 mm이고, 바람직하게는 11 mm 내지 15 mm이며, 특히 14 mm인 것을 제공한다.
전기수력학적 분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분무될 유체가 고전압을 받아야 한다. 이 고전압은 캐리어 영역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접점-형성 수단이 노즐 캡에 차례로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유체 채널로 돌출하는 전기 접촉 요소로서 고전압용 접점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여기서, 유체 채널은 노즐 소켓을 통과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전기 접촉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체의 유동 과정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특히 유체가 전기 접촉 요소의 개구를 통해 이를 통해 유동하도록 구현된다. 이 방식으로, 고전압 및 관련 유체 충전의 최적 효과가 보장되어, 프로세스 신뢰성을 갖는 스프레이 작업을 초래한다.
전기수력학적 분무는 매우 비균질 전기장에서 전기적으로 대전 가능한 유체, 특히 고전압 하에 충분히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유체의 불안정성에 기초한다. 여기서 유체는 고전압을 받게 된다. 유체는 콘으로 형상화되고, 그 팁으로부터 얇은 제트가 방출되며, 이후에 미세하게 분산된 액적 스프레이로 직접 분해된다. 특정 조건 하에, 테일러 콘(Taylor cone) 모드에서, 액적은 좁은 크기 분포를 갖는다.
분무 효과는 또한 유체 유동, 예를 들어, 펌프의 강제 유압 제공과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전기수력학적 분무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노즐 캡 및 캐리어를 갖는 분무기 노즐 시스템의 제1 실시예 뿐만 아니라 노즐 커넥터의 변형의 개략적인 단면을 상세의 예시로 도시하며;
도 3a는 노즐 캡 및 캐리어를 갖는 분무기 노즐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분무기 노즐 시스템의 분무기 노즐의 확대된 단면을 도시한다.
특히, 도 1은 분무기 부분(2) 및 유체 탱크(3)를 포함하는 전기수력학적 분무기(1)를 도시한다.
노즐 시스템(4)은 상부 전방 영역에서 분무기 부분(2) 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노즐 시스템은 제1 노즐(10), 제2 노즐(11) 및 제3 노즐(12)을 포함한다.
여기서, 노즐(10, 11, 12)은 노즐 시스템(14)의 평면(13) 밖으로 돌출하는 노즐 본체(14, 15, 16)로서 구현되며, 노즐 본체는 노즐 시스템(4)을 연장시키기 위해 횡방향(17)으로 만곡된 측방향 에지를 갖도록 비대칭적으로 형상화된다.
각각의 노즐(10, 11, 12)은 그 팁에 노즐 개구(21, 22, 23)를 갖는다. 노즐 개구(21 및 22)는 가능한 한 큰 거리(24)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노즐(22, 23)은 가능한 한 큰 거리(25)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노즐(21, 22, 23)의 배열은 그 간격에서 지그재그 패턴을 따르므로, 가능한 최상의 간격이 노즐 시스템(4)의 평면(13)에 형성된다.
분무기 부분(2)은, 노즐 시스템(4)의 주변에, 이송 상태에서 노즐 시스템(4)을 덮고 보호하는 뚜껑(예시되지 않음)용 리셉터클(30)을 갖는다.
더욱이, 분무기 부분(2)은 전기수력학적 분무기(1)를 활성화하고 분무하는 동안 필요한 전류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와 접점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푸시 버튼 키(31)를 갖는다. 추가적인 2개의 접점, 특히 조작자 제어 푸시 버튼 키는, 전기수력학적 분무기(1)가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어려움 없이 조작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후방측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예시되지 않음).
더욱이, 분무기 부분(2)에서, 여기서는 접촉 링(32) 주위에서 모두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금속화된 접촉 영역이 분무기 부분(2)과 유체 탱크(3) 사이의 영역에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분무 동안 필요한 전류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접점-형성 수단의 역할을 한다. 프로세스 신뢰성을 갖는 양호한 접점 형성을 수반하는 한 다른 배열이 또한 디바이스에서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노즐 캡 및 캐리어를 갖는 분무기 노즐 시스템의 제1 실시예 뿐만 아니라 노즐 커넥터의 변형의 개략적인 단면을 상세의 예시로 도시한다.
여기서 캐리어(41)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로 노즐 캡(40)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 캡(40)은 여기서 실리콘으로 제조된 노즐 구조(42)를 포함한다. 노즐 구조(42)는 노즐 캡의 평면(44) 밖으로 돌출하는 노즐 본체(43)를 형성한다.
노즐 구조(42) 아래에서, 노즐 캡(40)은 여기서 노즐 구조(42)의 실리콘보다 더 강성인 재료, 특히 비교적 강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베이스 판(45)을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노즐 캡(40)은 캐리어(41) 상에 잘 고정되고 다시 해제될 수 있는 강성 조립체로서 제공된다.
캐리어(41) 상에 노즐 캡(40)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캐리어(41) 상에 위치 설정된 노즐 캡(40)을 클램핑 방식으로 고정하는 래칭 요소(50)가 형성된다.
노즐 캡(40)의 분무기 노즐(60)은 노즐 개구(61) 및 노즐 소켓(63)으로 개방되는 노즐 채널(62)을 포함한다. 노즐 소켓(63)을 위한 정합 피스는 캐리어(41) 상의 노즐 커넥터(64)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예시된 실시예에서, 노즐 커넥터(64) 및 노즐 소켓(63)은, 노즐 캡(40)이 캐리어(41) 상에 끼워질 때, 2개의 원추형 에지가 서로 지탱하고 따라서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원추형으로 형상화된다.
노즐 커넥터(64)에는 유체 채널(65)이 제공되며, 그 하단부에는 유체에 고전압을 도입하기 위한 전기 접점(66)이 배열된다. 여기서 전기 접점에는 유체 채널(65)의 영역에 천공된 구멍이 제공되어, 상기 유체가 노즐 개구(61)로 이송되는 동안 유체가 전기 접점(66)을 통해 유동한다.
절결 도면(I)에서, 원추형 형상 대신에 배열된 밀봉 요소를 갖는 원통형 형상을 사용하는 노즐 커넥터의 대안적인 변형이 예시되어 있다. 이 변형은 도 3b에서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지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41) 상의 지정된 지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노즐 캡(100) 및 캐리어(101)를 갖는 분무기 노즐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3개의 분무기 노즐(102, 103, 104)이 노즐 캡(100) 상에 배열된다. 분무기 노즐은 노즐 본체 상에 만곡된 에지를 갖는다. 예로서 노즐(103)을 참조한다. 여기서 전방에 예시되어 있는 에지(105)는 연속적으로 만곡된 프로파일을 갖고, 후방에 예시되어 있는 에지(106)와 비교하여, 곡률이 상당히 더 뚜렷하다. 노즐 본체(110, 111, 112a)의 에지의 램프형 구조는 세정이 용이하고 융기된 노즐 본체를 갖는 표면이 제공되게 하며, 이를 이용하여 노즐(102, 103, 104)의 이격된 표면이 가능한 큰 거리에 있다.
노즐 캡(100) 아래에 배열된 캐리어(101)는 각각의 분무기 노즐(102, 103, 104)에 대한 연결 플랜지(112b, 113, 114)를 포함한다. 연결 플랜지는 여기서 원통형이며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 밀봉 비드로서 설계된 밀봉 링을 그 상부 에지에 포함한다.
도 3b는 캐리어(201) 상에 끼워진 노즐 캡(200)의 대응하는 확대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노즐 캡(200)은 실리콘으로 구성되고 비교적 강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베이스 구조(203) 상에 배열되는 노즐 구조(202)를 다시 포함한다.
캐리어(201)의 연결 플랜지(204)는 여기서 원통형 설계이다. 유체 채널(205)은 연결 플랜지(204)의 중심에서 연장된다. 전기 접촉 요소(206)는 유체 채널(205)의 하단부에 배열되며, 이 접촉 요소(206)는, 전기수력학적 분무를 위해 대전될 유체가 유동하고 그 프로세스에서 인가된 고전압으로 대전되는 중앙의 천공된 구멍(206)을 갖는다.
연결 플랜지(204)의 상단부에는 밀봉 링(210)이 제공된다. 여기서 노즐 본체(211)는 연결 플랜지(204)가 안으로 진입하는 원통형 노즐 소켓(212)을 구비하고, 그 밀봉 링(210)과 함께 노즐 본체(211)의 실리콘의 가요성 재료에 대해 밀봉부를 형성한다. 연결 플랜지(204) 위에서, 노즐 본체(211)에는 그 상단부에서 단부 채널(214)로 개방되는 노즐 채널(213)이 있다. 노즐 개구(215)는 차례로 단부 채널(214)의 상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노즐 채널(213)은 콘의 형상으로, 특히 원추형 캡 섹션의 형태로 구현된다.
실시예의 하나의 바람직한 치수는 여기서 0.2 mm의 노즐 개구(215)의 직경(220)으로 제공된다. 노즐(213)은 바람직하게는 약 5.5 mm의 길이(221)로 구현된다. 노즐 내부의 노즐 채널(213)과 함께, 유체 채널(205)의 전체 길이(222)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14 mm이고, 결과적으로, 분무 효과가 시작되기 전에, 10 mm 내지 15 mm의 개방 제트 길이로 노즐 개구 전방에 분무된 유체(예시되지 않음)의 개방 제트가 생성된다.
I 노즐 커넥터 변형
1 분무기
2 분무기 부분
3 유체 탱크
3a 분무기 노즐 시스템의 변형예
3B 변형예
3b 확대 도면
4 노즐 시스템
10 노즐
11 노즐
12 노즐
13 평면
14 노즐 본체
15 노즐 본체
16 노즐 본체
17 횡방향
21 노즐 개구
22 노즐 개구
23 노즐 개구
24 거리
25 거리
30 리셉터클
31 조작자 제어 푸시 버튼 키
32 접촉 링
40 노즐 캡
41 캐리어
42 노즐 구조
43 노즐 본체
44 노즐 캡의 평면
45 베이스 판
50 래칭 요소
60 분무기 노즐
61 노즐 개구
62 노즐 채널
63 노즐 소켓
64 노즐 커넥터
65 유체 채널
66 전기 접점
100 노즐 캡
101 캐리어
102 분무기 노즐
103 분무기 노즐
104 분무기 노즐
110 노즐 본체 에지
111 노즐 본체 에지
112a 노즐 본체 에지
112b 연결 플랜지
113 연결 플랜지
114 연결 플랜지
200 노즐 캡
201 캐리어
202 노즐 구조
203 베이스 구조
204 연결 플랜지
205 유체 채널
206 전기 접촉 요소
207 천공된 구멍
210 밀봉 링
211 노즐 본체
212 노즐 소켓
213 노즐 채널
214 단부 채널
215 노즐 개구
220 노즐 개구의 직경

Claims (15)

  1. 특히 전기수력학적 분무기용 분무기 노즐 시스템으로서, 노즐 캡(40)은 복수의 노즐(10, 11, 12)을 포함하고, 노즐(10, 11, 12)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노즐 개구(21, 22, 23, 61, 215), 적어도 하나의 노즐 채널(62) 및 적어도 하나의 노즐 소켓(63)을 포함하며,
    노즐 캡(40, 100, 200)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41, 101, 201) 상에 배열되고 캐리어(41, 101, 201)는 각각의 노즐 소켓을 위한 노즐 커넥터(64)를 포함하는 분무기 노즐 시스템에 있어서,
    노즐 캡(40, 100, 200)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캐리어(41, 64, 101, 201)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노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 캡(40, 100, 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 특히 가요성 전기 절연체,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캐리어(41, 101, 201)는 강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특히 PC, ABS, PE, PET 또는 PP 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노즐 시스템.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노즐 캡(40, 100, 200)은 래칭 요소(50)를 탄성적으로 인장하거나 가요성 재료를 인장함으로써 캐리어(41, 101, 201) 상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캡(40, 100, 200)은 베이스 구조(203), 특히 베이스 판(45) 또는 노즐 구조가 배열된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베이스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노즐 구조(42, 202)와 비교하여 더 강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베이스 구조는, 특히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PC, ABS, PE, PET 또는 PP 등으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특히 래칭 요소(50)를 포함하여 캐리어(41, 101, 201)와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캡(40, 100, 200)은, 할당된 노즐 채널(62, 213)을 각각 갖고 할당된 노즐 소켓(63, 212)을 각각 갖는 적어도 3개의 노즐 개구(21, 22, 23, 61, 215)를 포함하고, 노즐 개구(61)는 노즐 영역에서 최대 정도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특히 지그재그 라인을 따라 서로를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의 노즐 개구(21, 22, 23, 61, 215)는 노즐 캡의 평면(13) 밖으로 돌출하고, 돌출되는 노즐의 에지(110, 111, 112a)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만곡된 곡선으로서 구현되며, 특히 노즐의 에지(110, 111, 112a)는 에지 측면에서 노즐의 반대쪽 에지 측면에 대해 비대칭성이고, 특히 적어도 1.5배 큰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캡(40, 100, 200) 및/또는 베이스 판(45) 및/또는 캐리어 판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캡(40, 100, 200) 및 베이스 판(45) 및/또는 캐리어 판은, 바람직하게는 다부품 사출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일부 다른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캡(40, 100, 200)은 연결 플랜지(112b, 113, 114, 204) 주위에서 노즐 커넥터(64) 상의 탄성 섹션과 맞물리고 탄성 변형에 의해 노즐 커넥터 상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커넥터(64)는, 특히 주연 밀봉 링(210), 바람직하게는 연결 플랜지(112b, 113, 114, 204) 상에 일체로 형성된 밀봉 비드를 갖는 원통형 연결 플랜지(112b, 113, 114, 204)를 갖고, 노즐 소켓(63, 212)은 인터로킹, 밀봉부-형성 형합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원통형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커넥터(64)는 원추형 연결 플랜지(112b, 113, 114, 204)를 갖고, 노즐 소켓은 인터로킹, 밀봉부-형성 형합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원추형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 채널(62, 213)은 원추형 섹션으로서 또는 원추형 캡으로서 형상화되도록 구현되고, 특히 노즐 개구(21, 22, 23, 61, 215)를 향하는 단부 채널을 형성하며, 단부 채널(214)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또는 원추형 관형 섹션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무기 노즐의 노즐 개구(21, 22, 23, 61, 215)는 0.1 mm 내지 0.3 mm이고, 바람직하게는 0.2 mm이며, 노즐 채널의 길이는 4 mm 내지 6 mm이고, 바람직하게는 5.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 요소(206), 특히 고전압 접점이 노즐 커넥터(64)에 형성되고, 접점은 유체 채널(64, 205)로 돌출하고, 유체 채널(65, 205)은 바람직하게는 접점(206)을 통해 안내되며, 특히 전기 접촉 요소와 노즐 개구 사이의 거리는 5 mm 내지 20 mm이고, 바람직하게는 11 mm 내지 15 mm이며, 특히 1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시스템.
KR1020217023179A 2018-12-21 2019-12-19 실리콘 노즐 어레이를 갖는 분무기 시스템 KR102595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33440.0 2018-12-21
DE102018133440 2018-12-21
PCT/EP2019/086282 WO2020127713A1 (de) 2018-12-21 2019-12-19 Zerstäubersystem mit einem silikon-düsenfe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777A true KR20210107777A (ko) 2021-09-01
KR102595109B1 KR102595109B1 (ko) 2023-10-30

Family

ID=6910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179A KR102595109B1 (ko) 2018-12-21 2019-12-19 실리콘 노즐 어레이를 갖는 분무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79608A1 (ko)
EP (2) EP3897999B1 (ko)
JP (1) JP7457024B2 (ko)
KR (1) KR102595109B1 (ko)
CN (1) CN113453804B (ko)
DE (1) DE102019135150A1 (ko)
WO (1) WO2020127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4928A (ja) * 2018-12-21 2022-02-16 ジェイ. ワグナー ゲーエムベーハー 電気流体力学的噴霧器の機能制御
DE102021109651A1 (de) 2021-04-16 2022-10-20 J. Wagner Gmbh Sprühvorrichtung zum Versprühen einer kosmetischen Flüssigkei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prühvorrichtung, Düse für eine Sprühvorrichtung und Düsenfeld für eine Sprühvorrichtung
GB202106111D0 (en) * 2021-04-29 2021-06-16 7Rdd Ltd Improvements to spray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1699A (ja) * 2010-05-31 2011-12-15 Yoshino Kogyosho Co Ltd ノズル付きキャップ
KR20130005836U (ko) * 2012-03-28 2013-10-08 영 근 송 잔수 배출방지 구조를 갖는 고정식 샤워기 헤드
JP2014236926A (ja) * 2013-06-10 2014-1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ャワーヘッド
KR20150116611A (ko) * 2014-04-08 2015-10-16 아산텍 주식회사 살균정화 샤워기
WO2018193065A1 (de) * 2017-04-21 2018-10-25 J. Wagner Gmbh Elektrostatischer zerstäuber für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ostatischen zerstäubers
JP2018183442A (ja) * 2017-04-26 2018-1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0801C2 (de) * 1998-07-09 2001-05-10 Anton Jaeger Vorrichtung zum Ausstoßen von Flüssigkeit
JP3462398B2 (ja) 1998-07-22 2003-11-05 荏原 裕行 シャワー装置
JP2000237638A (ja) 1999-02-16 2000-09-05 Toto Ltd シャワー装置
CA2395694C (en) * 1999-12-30 2006-11-21 Advion Biosciences, Inc. Multiple electrospray device, systems and methods
ATE392955T1 (de) * 2002-02-25 2008-05-15 Procter & Gamble Elektrostatische sprühvorrichtung
US9138760B2 (en) * 2012-10-22 2015-09-22 Steven C. Cooper Electrostatic liquid spray nozzle having an internal dielectric shroud
JP2015058402A (ja) 2013-09-19 2015-03-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成膜装置
DE102014200741A1 (de) * 2014-01-16 2015-07-16 Hansgrohe Se Brause mit mehrkanaligen Strahlaustrittseinheiten
ES2820584T5 (es) * 2014-09-04 2024-05-09 Octet Medical Inc Sistema de suministro de fluido electrostático
CN106076676B (zh) 2016-08-16 2018-02-02 宁波大叶园林工业有限公司 喷洒角度可调式喷洒机构
US10583448B2 (en) * 2017-06-20 2020-03-10 Progressive Grower Technologies, Inc. Electrostatic spraying system for agriculture
CN108554662A (zh) * 2018-06-29 2018-09-21 江苏大学 一种螺旋式气液双流体静电雾化喷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1699A (ja) * 2010-05-31 2011-12-15 Yoshino Kogyosho Co Ltd ノズル付きキャップ
KR20130005836U (ko) * 2012-03-28 2013-10-08 영 근 송 잔수 배출방지 구조를 갖는 고정식 샤워기 헤드
JP2014236926A (ja) * 2013-06-10 2014-1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ャワーヘッド
KR20150116611A (ko) * 2014-04-08 2015-10-16 아산텍 주식회사 살균정화 샤워기
WO2018193065A1 (de) * 2017-04-21 2018-10-25 J. Wagner Gmbh Elektrostatischer zerstäuber für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ostatischen zerstäubers
JP2018183442A (ja) * 2017-04-26 2018-11-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109B1 (ko) 2023-10-30
DE102019135150A1 (de) 2020-06-25
EP3897999A1 (de) 2021-10-27
EP3897999B1 (de) 2023-09-13
JP2022514927A (ja) 2022-02-16
CN113453804B (zh) 2023-10-24
US20210379608A1 (en) 2021-12-09
CN113453804A (zh) 2021-09-28
EP4268973A3 (de) 2024-01-24
WO2020127713A1 (de) 2020-06-25
JP7457024B2 (ja) 2024-03-27
EP4268973A2 (de)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7777A (ko) 실리콘 노즐 어레이를 갖는 분무기 시스템
CN106739506B (zh) 一种用于电流体喷印的压电式集成喷头
JP2010530795A5 (ko)
KR101275225B1 (ko) 정전기력을 이용한 잉크토출장치
KR101501945B1 (ko) 피부 관리 장치
KR102009496B1 (ko)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KR20160031200A (ko) 전기수력학적 잉크젯 장치
US9855749B2 (en) Liquid discharge head with a wiring member for grounding cover, and liquid discharge device,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2011056331A (ja) 静電塗装スプレーガン
KR101634243B1 (ko) 약액 분사장치
KR101888946B1 (ko) 휴대용 미스트장치
US20150343771A1 (en) Liquid ejection head, liquid ejection device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liquid ejection head and liquid container
CN209904262U (zh) 一种手持与支撑通用型喷码机
FR2350887A1 (fr) Buse de pulverisation de produits liquides
JP2005066588A (ja) ノズル部材、ポンプ式噴出器用噴出装置、エアゾール式噴出器用噴出装置、押出し式噴出器用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KR20130013432A (ko) 액적 분사 장치
CN106794483A (zh) 非冲击的喷射分配模块及方法
KR101690681B1 (ko) 유체 분사용 에어나이프
KR101400269B1 (ko) 정전분무노즐과 이를 이용한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방법
JP4997403B2 (ja) 静電噴霧装置の噴口
SU387744A1 (ko)
KR20130125175A (ko) 액체 토출 장치
KR101415610B1 (ko) 개선된 멀티 헤드용 토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멀티 헤드 및 스프레이 방식의 패턴 형성 장치
US10772211B2 (en) Cartridge nozzle assembly and apparatus for injecting ink
KR20110000125U (ko) 도료 분사 기능이 구비된 붓 도장용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