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946B1 - 휴대용 미스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미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946B1
KR101888946B1 KR1020160107247A KR20160107247A KR101888946B1 KR 101888946 B1 KR101888946 B1 KR 101888946B1 KR 1020160107247 A KR1020160107247 A KR 1020160107247A KR 20160107247 A KR20160107247 A KR 20160107247A KR 101888946 B1 KR101888946 B1 KR 101888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e
water
fasten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215A (ko
Inventor
양남수
Original Assignee
양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남수 filed Critical 양남수
Priority to KR102016010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9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 구조를 가지며, 미용수가 수용된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는 속커버지를 제거하지 않고 부착된 상태로 용기고정부에 결속함으로써, 용기를 용기고정부에 고정시킬 때 미용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용기를 결속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에 설치되어 미용수가 충전된 용기가 결속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설치되어 용기에 수용된 미용수를 이동시키는 미용수이동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미용수이동부로부터 미용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미용수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미스트장치{Portable mist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 구조를 가지며, 미용수가 수용된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는 속커버지를 제거하지 않고 부착된 상태로 용기고정부에 결속함으로써, 용기를 용기고정부에 고정시킬 때 미용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용기를 결속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스트(mist) 장치는 화장수나 보습, 미백효과, 영양분 공급 등 미용수를 미립상태로 사용자의 얼굴이나 피부 등에 분사하는 분사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미스트 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분사하는 스프레이식 미스트장치와, 거치식으로 사용하는 스팀 가열방식 미스트장치가 있다.
여기서, 스프레이식 미스트장치는 미용수가 담긴 용기의 상단에 분사모듈을 장착하여 분사모듈의 펌핑동작에 의해 용기의 미용수가 분사구를 통해 미세입자로 분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스트장치의 경우 분사모듈의 펌핑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분사모듈의 분사스위치를 수차례 가압하는 동작을 취해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고, 가압력에 따라 분사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균일한 상태로 미립화된 미용수가 분사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스팀 가열방식 미스트장치는 액체를 가열하여 스팀 형식으로 액체를 미립화시켜 분사하는 방식으로, 액체를 비교적 작고 균일한 미립의 형태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가열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어 휴대가 불가능한 것은 물론 액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라 액체 화장품의 성분에 변화가 생기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7339호 "고분자 또는 세라믹 필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수분공급기"가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10-2010-0057339호는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우수한 비산효과는 있는 반면, 분무가 단순히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사거리가 비교적 짧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로 공급된 액체가 완전히 비산 배출되지 못하고 잔존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잔존하는 액체가 오염 또는 변질되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초음파 진동자에 잔존하는 액체가 전원 또는 전기적 구동 장치로 스며들게 되어 부식이나 오작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미용수가 수용된 용기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와, 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수단이 구비되어 버튼의 조작에 의해 에어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에어가 외부로 분사될 때 용기에 수용된 미용수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미스트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미스트 장치는 결속부에 미용수가 수용된 용기를 체결 고정시킬 때 용기의 입구를 커버하는 뚜껑과 용기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속커버지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 결속수단에 결속 고정시킴으로써, 용기의 속커버지를 제거하는 과정과 용기를 결속수단에 결속 고정시킬 때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미스트장치 및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의 입구를 커버하는 속커버지를 제거할 때 사용자가 속커버지를 파지하여 제거함으로써, 속커버지의 특성상 사용자가 속커버지를 파지하기 힘들어 속커버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733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가 결속 고정되는 용기고정부재의 내측에 용기의 속커버지를 관통하는 돌출봉이 형성된 체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용기의 속커버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결속 고정이 가능하고, 용기의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용기의 속커버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결속부에 결속 고정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된 미용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미스트장치의 오염 및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용기고정부재로부터 결속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체결부재를 용기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켜 세척작업이 가능함으로써, 미용수가 공급되는 용기고정부재 및 체결부재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용기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공기유입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내측에 수용된 미용수가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하여 미용수분사부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에 설치되어 미용수가 충전된 용기가 결속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설치되어 용기에 수용된 미용수를 이동시키는 미용수이동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미용수이동부로부터 미용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미용수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는 하부가 케이스에 결속되되, 상부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 고정공과 연통되게 유로가 형성된 용기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용기고정부재의 고정공 내주면에는 공기유입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용기고정부재의 고정공 상단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고정부재의 유로 내주면에는 하부가 개방되게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이 가이드홈의 상부에는 측부로 절곡된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용수이동부는 결속부의 용기고정부재에 형성된 유로에 결합 고정되어 내측에 이동통로가 형성된 체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로 돌출되어 이동통로와 연통되게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돌출봉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측부에는 용기고정부재의 유로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가이드되어 체결홈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돌출봉의 상부는 원뿔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용수분사부는 케이스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분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몸체의 일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분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재가 커버되게 분사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몸체는 일측부에 용기고정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용기고정부재의 유로와 연통되게 미용수이동공이 형성되며, 이 미용수이동공이 형성된 측부에는 에어발생부재와 연결되는 에어이동공이 형성되고, 용기고정부재가 결속된 타측부 중앙에는 끼움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분사부재는 양측부에 단턱홈이 형성되고, 분사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타측부에 미용수분사구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관통되게 미용수분사공이 형성되고, 이 미용수분사공이 형성된 외측에는 양측부에 형성된 단턱홈이 서로 연계되게 에어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용수분사구는 일측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의 끝단부에는 직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공간과 연통되되, 분사부재의 미용수분사구에 형성된 직선면의 직경보다 크게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용수분사부의 하우징이 지지되게 케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기가 결속 고정되는 용기고정부재의 내측에 용기의 속커버지를 관통하는 돌출봉이 형성된 체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용기의 속커버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결속 고정이 가능하고, 용기의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기의 속커버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결속부에 결속 고정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된 미용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미스트장치의 오염 및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용기고정부재로부터 결속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체결부재를 용기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켜 세척작업이 가능함으로써, 미용수가 공급되는 용기고정부재 및 체결부재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기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공기유입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내측에 수용된 미용수가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하여 미용수분사부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와 미용수이동부를 보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미용수분사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와 미용수이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미용수분사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설치되어 미용수가 충전된 용기(102)가 결속 고정되는 결속부(210)와, 상기 결속부(210)에 설치되어 용기(102)에 들어 있는 미용수를 이동 공급하는 미용수이동부(310)와, 상기 케이스(110)에 설치되어 미용수이동부(310)를 통하여 이동하는 미용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미용수분사부(4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0)는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에는 에어발생부재(112)가 구비되고, 이 에어발생부재(112)가 설치된 일측부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충전지(114)가 구비되며, 이 충전지(114)가 설치된 위치에는 휴대용 미스트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116)이 구비되되, 이 기판(116)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지(114)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단자(미도시)가 구비되고, 케이스(110)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는 버튼(11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116)에 구비된 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충전지(114)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버튼(118)의 조작에 의해 에어발생부재(112)가 동작하면서 에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의 설치공간에 구비된 에어발생부재(112)와, 충전지(114), 기판(116) 및 버튼(118)의 설치구조 및 구성은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210)는 하부가 케이스(110)의 설치공간에 위치되게 결합 고정되되, 상부에는 확장 형성되어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고정공(214)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이 고정공(214)과 연통되게 유로(216)가 형성된 용기고정부재(2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고정부재(212)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공(214)으로 미용수가 충전되어 있는 용기(102)의 입구가 결속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고정부재(212)의 고정공(214) 상단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18)이 형성되고, 고정공(214)의 내주면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공기유입홈(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고정부재(212)의 고정공(214)에 결합 고정된 용기(102)의 입구에 형성된 걸림돌기(미도시)가 걸림턱(218)에 지지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용기고정부재(212)로부터 용기(102)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공기유입홈(220)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102)에 충전된 미용수가 미용수분사부(410)로 이동할 때 용기고정부재(212)의 내측에 발생하는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미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용기고정부재(212)의 유로(216) 내주면에는 하부가 개방되게 다수개의 가이드홈(22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222)의 상단, 즉 고정공(214)이 형성된 방향 끝단부는 측부로 절곡된 체결홈(2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고정부재(212)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용수이동부(310)는 결속부(210)의 용기고정부재(212)에 형성된 유로(216)에 결합 고정되되, 내측에 하부가 개방되게 이동통로(314)가 형성된 체결부재(3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12)는 상부에 용기고정부재(212)의 고정공(214)에 위치되게 돌출 형성되어 내측에 위치되게 이동통로(314)가 연장 형성되되, 상단 끝단부는 원뿔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되고, 측부에는 이동통로(314)와 연통되게 다수개의 유입공(318)이 마련된 돌출봉(3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봉(316)에 형성된 유입공(318)은 용기고정부재(212)의 고정공(214)에 결합 고정되는 용기(102)의 내측에 위치되게 다단으로 다수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312)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봉(316)은 용기(102)가 용기고정부재(212)의 고정공(214)으로 삽입 고정될 때 용기(102)의 입구를 커버하고 있는 속커버지(104)를 관통하면서 용기(102)가 결합 고정되므로, 용기(102)의 입구를 커버하고 있는 속커버지(104)를 분리시키지 않고 용기(102)를 용기고정부재(212)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고, 용기고정부재(212)에 용기(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118)의 조작에 의해 용기(102)에 충전된 미용수가 유입공(318)을 통하여 유입되며, 유입공(318)으로 유입된 미용수는 이동통로(314)를 통하여 미용수분사부(410)로 이동 공급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체결부재(312)의 외측면에는 용기고정부재(212)의 유로(216)에 형성된 가이드홈(222)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체결홈(224)에 안착 고정되는 체결돌기(3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312)에 형성된 체결돌기(320)를 가이드홈(22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홈(224)이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다음 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체결돌기(320)는 가이드홈(222)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홈(224)으로 이동하면서 결속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102)에 충전된 미용수가 체결부재(312)의 이동통로(314)를 통하여 미용수분사부(410)로 이동할 때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용기고정부재(212)에 형성된 공기유입홈(220)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체결부재(312)의 이동통로(31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314)와 연통되도록 돌출봉(316)에는 공기유입공(322)이 형성되되, 이 공기유입공(322)은 미용수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공(322)은 돌출봉(316)에 형성된 상태를 일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즉 체결부재(312)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유로(216)의 내주면과 체결부재(312)의 외주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고정부재(212)의 고정공(214)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유로(216)의 내주면과 체결부재(312)의 외주면 사이 틈을 통하여 이동하여 미용수분사부(410)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용수분사부(410)는 케이스(110) 설치공간에 일측부가 위치되고 타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 고정되는 분사몸체(4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몸체(412)는 일측부에 용기고정부재(212)의 유로(216)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구(414)가 형성되고, 중앙 길이 방향과 결합구(414)에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용기고정부재(212)의 유로(216)와 연계되도록 하여 미용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미용수이동공(416)이 형성되며, 결합구(414)가 형성된 타측 중앙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움구(418)가 형성되고, 이 미용수이동공(416)이 형성된 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에어발생부재(112)와 에어관으로 연결되는 에어이동공(4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고정부재(212)에 결합 고정된 용기(102)로부터 공급되는 미용수는 체결부재(312)의 이동통로(314)와 유로(216)를 통하여 미용수이동공(416)으로 공급되고, 에어발생부재(112)에서 발생된 에어는 에어이동공(420)으로 공급되어 이동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끼움구(418)가 형성된 방향의 분사몸체(412)에 결합 고정되는 분사부재(430)가 구비되되, 이 분사부재(430)는 분사몸체(412)에 결합 고정되는 방향과 타측부에 각각 함몰되게 단턱홈(432a)(432b)이 형성되고, 분사몸체(412)가 결합 고정되는 타측부에 형성된 단턱홈(432b)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미용수분사구(434)가 형성되며, 분사부재(430)의 중앙부에는 분사몸체(412)의 미용수이동공(416)과 동축상에 위치되게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미용수분사공(436)이 형성되고, 이 미용수분사공(436)이 형성된 외측에는 양측부에 형성된 단턱홈(432a)(432b)이 서로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에어분사공(43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사부재(430)에 형성된 미용수분사공(436)의 일측부, 즉 분사몸체(412)가 결합고정되는 방향의 미용수분사공(436)의 입구에는 끼움구(418)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단턱지게 형성되고, 이 단턱지게 형성된 미용수분사공(436)에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용기고정부재(212)의 끼움구(418)가 결속되는 패킹(440)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미용수분사구(434)는 소정의 위치에 경사면(434a)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434a)과 연통되게 끝단부에 직선면(434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몸체(412)의 미용수이동공(416)을 통하여 이동하는 미용수는 분사부재(430)에 형성된 미용수분사공(436)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고, 분사몸체(412)의 에어이동공(420)을 통하여 이동한 에어는 에어분사공(438)을 통하여 분사몸체(412)가 결합 고정된 타측부, 즉 분사부재(430)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홈(432a)에서 분사부재(430)의 에어분사공(438)을 통하여 타측부에 형성된 단턱홈(432b)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재(430)가 커버되게 분사몸체(412)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4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50)은 일측이 개방되에 분사몸체(412)에 결합 고정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분사몸체(412)가 결합 고정되는 타측부 중앙에는 분사부재(430)의 미용수분사구(434)가 위치되되, 미용수분사구(434)의 직선면(434b)이 소정의 길이로 외측부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관통공(4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50)에 형성된 관통공(452)에는 미용수분사구(434)의 직선면(434b)이 위치되되, 관통공(452)의 지름은 미용수분사구(434)에 형성된 직선면(434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미용수분사구(434)의 직선면(434b) 외측과 관통공(452) 내주면의 사이에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부재(430)의 에어분사공(438)을 통하여 이동한 에어는 하우징(450)의 내측 공간으로 공급되고, 이 내측 공간으로 공급된 에어는 미용수분사구(434)의 직선면(434b) 외측과 관통공(452)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450)의 내측 공간 일측부, 즉 관통공(452)이 형성된 내주면에는 이 관통공(452)과 연결되는 방향이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경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50)의 일측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면서 하우징(450) 및 분사몸체(412)가 커버되게 케이스(110)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커버부재(51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분사몸체(412)와 분사부재(430)의 결합 위치 및 하우징(450)과 커버부재(510)의 사이 지지면 각각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O링(512)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100)는 먼저, 미용수가 충전된 용기(102)를 용기고정부재(212)에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고정부재(212)에 용기(102)를 결합 고정시킬 때 용기(102)의 뚜껑을 제거하고, 용기(102)의 입구를 커버하고 있는 속커버지(104)가 용기(102)에 고정된 상태에서 용기고정부재(212)의 고정공(214)으로 용기(102) 입구를 삽입시키게 되면 용기(102)가 용기고정부재(212)에 결속됨과 동시에 체결부재(312)의 돌출봉(316)이 속커버지(104)를 관통하여 돌출봉(316)의 상단부가 용기(102)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결속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고정부재(212)의 고정공(214)에 삽입시 용기(102)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부가 고정공(214)의 걸림턱(218)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102)의 입구를 커버하고 있는 속커버지(104)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로 용기고정부재(212)에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용기(102)에 충전되어 있는 미용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용기(102) 및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용기(102)를 용기고정부재(212)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용기고정부재(212)에 용기(102)를 결합 고정시킨 상태에서 버튼(118)를 조작하게 되면 에어발생부재(112)가 작동하면서 에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발생부재(112)에서 발생된 에어는 에어관을 통하여 분사몸체(412)의 에어이동공(420)으로 공급되고, 이 에어이동공(420)으로 공급된 에어는 분사몸체(412) 사이에 형성된 분사부재(430)의 단턱홈(432a)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분사부재(430)의 일측 단턱홈(432a)으로 공급된 에어는 다수개의 에어분사공(438)을 통하여 타측 단턱홈(432b)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우징(450)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하여 하우징(450)에 형성된 관통공(452)과 이 관통공(452)에 끼워진 미용수분사구(434)의 직선면(434b) 사이 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50)의 관통공(452)과 미용수분사구(434)의 직선면(434b) 사이 틈으로 배출되는 에어는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434a)을 통하여 직선면(434b)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내측에 테이퍼진 경사면에 의해 에어의 통과 단면적이 감소되어 에어의 유속이 증가한 상태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발생부재(112)에서 발생된 에어가 하우징(450)의 관통공(452)을 통하여 고속으로 배출되는 에어의 흐름에 의하여 미용수분사구(434)의 직선면(434b) 끝단부에 가해지는 가압은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주변의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압력 차이에 의하여 미용수는 체결부재(312)의 돌출봉(316)에 형성된 유입공(318)을 통하여 유입되어 이동통로(314)를 따라 이동하여 분사몸체(412)의 미용수이동공(416)과 분사부재(430)의 미용수분사공(436)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102)에 충전된 미용수가 미용수분사공(43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용기고정부재(212)에 형성된 공기유입홈(220)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되어 압력 저항을 받지않고 용이하게 미용수가 이동하여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한편, 상기 미용수분사구(434)의 직선면(434b)이 하우징(450)의 관통공(452)을 통하여 소정의 길이가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미용수분사공(436)을 통하여 분사되는 미용수가 하우징(45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모두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용수분사부(410)에 미용수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부에 잔존하는 미용수에 의해 오염 또는 변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원 및 전기적 구동 장치에 미용수가 침투하여 오작동 등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휴대용 미스트장치 102 : 용기
104 : 속커버지 110 : 케이스
112 : 에어발생부재 114 : 충전지
116 : 기판 118 : 버튼
210 : 결속부 212 : 용기고정부재
214 : 고정공 216 : 유로
218 : 걸림턱 220 : 공기유입홈
222 : 가이드홈 224 : 체결홈
310 : 미용수이동부 312 : 체결부재
314 : 이동통로 316 : 돌출봉
318 : 유입공 320 : 체결돌기
410 : 미용수분사부 412 : 분사몸체
414 : 결합구 416 : 미용수이동공
418 : 끼움구 420 : 에어이동공
430 : 분사부재 432a, 432b : 단턱홈
434 : 미용수분사구 434a : 경사면
434b : 직선면 436 : 미용수분사공
438 : 에어분사공 440 : 패킹
450 : 하우징 452 : 관통공
510 : 커버부재 512 : O링

Claims (13)

  1. 휴대용 미스트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에 설치되어 미용수가 충전된 용기가 결속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설치되어 용기에 수용된 미용수를 이동시키는 미용수이동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미용수이동부로부터 미용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미용수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속부는 상부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정공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케이스에 결속되는 용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공의 상단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에는 측부로 절곡된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부재의 고정공 내주면에는 공기유입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수이동부는 결속부의 용기고정부재에 형성된 유로에 결합 고정되어 내측에 이동통로가 형성된 체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로 돌출되어 이동통로와 연통되게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돌출봉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측부에는 용기고정부재의 유로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가이드되어 체결홈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돌출봉의 상부는 원뿔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수분사부는 케이스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분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몸체의 일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분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재가 커버되게 분사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몸체는 일측부에 용기고정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용기고정부재의 유로와 연통되게 미용수이동공이 형성되며, 이 미용수이동공이 형성된 측부에는 에어발생부재와 연결되는 에어이동공이 형성되고, 용기고정부재가 결속된 타측부 중앙에는 끼움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는 양측부에 단턱홈이 형성되고, 분사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타측부에 미용수분사구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관통되게 미용수분사공이 형성되고, 이 미용수분사공이 형성된 외측에는 양측부에 형성된 단턱홈이 서로 연계되게 에어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수분사구는 일측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의 끝단부에는 직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공간과 연통되되, 분사부재의 미용수분사구에 형성된 직선면의 직경보다 크게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수분사부의 하우징이 지지되게 케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장치.
KR1020160107247A 2016-08-23 2016-08-23 휴대용 미스트장치 KR101888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47A KR101888946B1 (ko) 2016-08-23 2016-08-23 휴대용 미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47A KR101888946B1 (ko) 2016-08-23 2016-08-23 휴대용 미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15A KR20180022215A (ko) 2018-03-06
KR101888946B1 true KR101888946B1 (ko) 2018-08-16

Family

ID=6172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247A KR101888946B1 (ko) 2016-08-23 2016-08-23 휴대용 미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35B1 (ko) 2021-04-20 2022-09-23 주식회사 맘앤인펀트 휴대용 미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9703B2 (en) 2018-02-23 2021-11-23 Lg Chem. Ltd. Catalyst for processing oxychlorination of hydrocarb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preparation method of oxychlorinated compound of hydrocarbon using same
KR102263147B1 (ko) * 2019-08-30 2021-06-10 주식회사 설랩 뷰티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33B1 (ko) * 2013-05-24 2014-08-28 (주)하배런메디엔뷰티 화장품 에어 브러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199A (ja) * 1996-09-27 1998-06-09 Tanabe Seiyaku Co Ltd 薬剤の噴霧装置
KR101042699B1 (ko) 2008-11-21 2011-06-20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또는 세라믹 필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수분공급기
JP3159019U (ja) * 2010-01-28 2010-05-06 株式会社ストーリア エアノズル
KR20110122497A (ko) * 2010-05-04 2011-11-10 주태숙 유로연결부가 구비된 액체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33B1 (ko) * 2013-05-24 2014-08-28 (주)하배런메디엔뷰티 화장품 에어 브러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35B1 (ko) 2021-04-20 2022-09-23 주식회사 맘앤인펀트 휴대용 미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15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1232B2 (ja) 静電式流体吐出バックパックシステム
KR101888946B1 (ko) 휴대용 미스트장치
KR101530424B1 (ko) 에어브러시
KR101278532B1 (ko) 휴대용 액상 화장품 전동 미스트 공급기
KR101747913B1 (ko) 휴대용 미용 수소살균수 미스트 기기
CA2960368C (en) Airbrush
KR101501945B1 (ko) 피부 관리 장치
EP2181771B1 (en) Dome pump spray assembly
EP3368110B1 (en) Aseptic aerosol misting device
KR20180105691A (ko) 분무 가능한 유체를 분무하기 위한 분배 장치
KR102046089B1 (ko) 휴대용 미스트 장치
KR101463718B1 (ko) 흑채 자동분사기
JP7457024B2 (ja) シリコーンノズル配列を有する噴霧システム
US5193748A (en) Spray head for spray device
KR102273076B1 (ko) 휴대용 미스트 분사기
JP2018538030A (ja) 無菌エアロゾルミスト噴霧装置
US20130333733A1 (en) Single Pass Roller Cleaner
KR102046090B1 (ko) 휴대용 미스트 장치용 앰플 설치 구조
KR102441793B1 (ko) 초음파 분무기 및 이를 이용한 혼합 분사 방법
KR20210133746A (ko) 휴대용 액체 분사 장치
KR101982798B1 (ko) 휴대용 고분자 용액 분무기
WO2022141989A1 (zh) 一种连接结构和喷雾花洒
KR102197390B1 (ko) 휴대용 에어브러시용 앰플 탄성 장착구
KR200202736Y1 (ko) 헤어세팅장치를 위한 무스 공급장치
KR102441794B1 (ko) 초음파 분무기 및 이를 이용한 분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