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724A - 로즈우드 추출물 - Google Patents

로즈우드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724A
KR20210107724A KR1020217022195A KR20217022195A KR20210107724A KR 20210107724 A KR20210107724 A KR 20210107724A KR 1020217022195 A KR1020217022195 A KR 1020217022195A KR 20217022195 A KR20217022195 A KR 20217022195A KR 20210107724 A KR20210107724 A KR 2021010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sewood
skin
extract
agents
aqueou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슬린 프랑쉬
버지니 페셰
밀렌느 주안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21010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장학적으로 허용되는 극성 용매를 사용한 효소적 추출에 의해 수득된 로즈우드, 바람직하게는 여름 장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특히 피부에서의 노화 증상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제제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즈우드 추출물
본 발명은 로즈우드(rosewood), 특히 에반라트(Evanrat) 또는 쟈뎅 드 그랑빌(Jardin de Granville)® 장미(rose) 품종의 수성 추출물(aqueous extract) 및 피부 노화 증상, 특히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 노화 증상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제(agent)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환경에 대한 신체의 일차 보호 장벽이다. 따라서 피부는 피부 노화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외인성 유래 요인(exogenous origin)(예를 들면, 자외선, 온도 변화, 대기 오염, 담배 연기 등) 또는 내인성 유래 요인(endogenous origin) (예를 들면, 호르몬 등)의 영향을 받게 되며, 이는 각각 외인성 노화 또는 내인성 (또는 생리적) 노화라고 불린다.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는 깊은 주름과 견고성(firmness), 유연성 및 탄력성을 잃은 피부 형성, 피부 장벽 기능(barrier function)의 변화, 피부의 선천성 면역 변화 및 특히 손등, 얼굴, 목선 또는 남성의 경우에는 두개골에 검버섯, 피부 얼룩, 일광 흑색점(solar lentigo), 광선 흑색점 또는 노인성 흑색점이라고도 불리는 피부의 색소 반점 발생과 같은 임상적 변화를 초래한다. 건성 피부는 또한 윤기가 없고 색소 장애에 더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시에 내인성 또는 생리적 노화는 피부 세포인 케라틴 세포(keratinocyte)의 재생을 늦추며, 이는 본질적으로 피하 지방 조직의 감소 및 잔주름 또는 주름 발생과 같은 임상적 변화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내인성 및/또는 외인성 스트레스가 또한 용어 "염증"과 "노화"의 축약형인 염증성 노화 (또는 염증-노화)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2000 년 프란체스키 씨 등 (Franceschi C et al.) (Inflamm-aging.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immunosenescenc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0;908:244-254)에 의해 해석된 이 만성적이고 조용한 염증 과정(silent process of inflammation)은 특히 케라틴성 물질(keratinous material), 특히 피부의 노화를 담당하는 만성적이고 조용한 미세 염증 과정으로 퇴화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면역 체계의 자연적인 방어 반응으로 설명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반복적인 미세 염증이 피부 조직에 퍼지고 세포의 방어 시스템을 약화시켜 주름, 처진 피부, 건조한 피부 및/또는 칙칙하고 고르지 않은 피부색(complexion)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고 모든 피부 유형, 특히 스트레스와 외부 손상에 더 취약해지기 쉬운 민감한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 나이가 들면서 더 얇고 연약한 표피는 이러한 손상받은 곳에 더 잘 침투하여 세포에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자연적인 항상성 상태의 균형을 잃게 된다. 피부의 면역 체계는 자신을 방어하고 자유 라디칼, 신경 펩티드 및 전염증성 매개체 (사이토카인)의 방출, 특히 과다 방출을 촉발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의 분해를 유도하고 세포 재생 능력을 늦추며 피부 노화를 가속화함으로써 장벽 기능의 변화와 함께 색조, 탄력성 및 견고성이 손실되기에 이른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피부 노화 증상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노화 방지 성분을 찾고 있다.
예기치 않게, 본 출원인은 로즈우드, 특히 쟈뎅 드 그랑빌® 장미의 수성 추출물의 시험관 내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특히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노화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거나, 피부 장벽 기능의 변화를 방지 및/또는 감소시키거나, 피부 색소 반점의 발생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거나, 피부의 선천성 면역의 변화를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거나, '염증성 노화'라고도 알려진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chronic microinflammation)과 관련된 피부 노화 증상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활성제로서의 사용을 구상할 수 있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제1 대상은 향장학적으로 허용되는 극성 용매(cosmetically acceptable polar solvent)를 사용한 효소적 추출(enzymatic extraction)에 의해 수득된 로즈우드, 바람직하게는 여름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a) 적합한 입자 크기를 가진 식물 물질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셀룰라제, 적어도 하나의 헤미셀룰라제 및 적어도 하나의 펙티나제, 및 유리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식물 물질 및 효소 혼합물의 교반 하에, 원하는 수율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incubation)하여 반응 매질 중에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방출하는 단계,
d) 반응 매질을 분리하여 유리 오일(free oil),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고체 상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수성 상을 분리하고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medium) 중에 적어도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또는 입술, 특히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피부 노화 증상, 특히 피부의 색조 상실, 탄력성 상실 및/또는 견고성 상실, 장벽 기능의 변화, 주름 및/또는 잔주름 발생, 피부 색소 반점의 발생, 특히 노인성 흑색점 (검버섯) 또는 일광 흑색점, 건성 피부 및/또는 칙칙하고 고르지 않은 피부색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제제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특히 에반라트 또는 쟈뎅 드 그랑빌® 장미 품종의 비치료적 화장 용도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본 발명에 정의된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증상, 특히 피부의 색조 상실, 탄력성 상실 및/또는 견고성 상실, 장벽 기능의 변화, 주름 및/또는 잔주름 발생, 피부 색소 반점의 발생, 특히 노인성 흑색점 (검버섯) 또는 일광 흑색점, 건성 피부 및/또는 칙칙하고 고르지 않은 피부색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비치료적 화장 용도에 관한 것이다.
"칙칙하고 고르지 않은 피부색"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피부 결점 또는 미적 장애(aesthetic disorder)로 느껴지는 불편함 및 증상 인식과 관련된 표면 및/또는 빛깔 불규칙성(color irregularity)을 나타내는, 빛과 광채가 부족한 피부색, 변한 흐릿해진 피부색을 특히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피부 진정 및/또는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과 관련된 피부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특히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증상의 예방 및/또는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이라는 표현은 피부에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퇴화되거나 적절히 조치하지 않으면 만성으로 되는, 보이지 않는 (조용한) 미세 염증 과정을 의미한다.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은 특히 조직 손상의 축적, 면역 체계 장애 또는 노화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세포의 축적과 관련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같이 반복되는 미세 염증 이벤트(repeated microinflammatory event)는 피부 노화에 기여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로즈우드 추출물 및 제조 공정
본 발명의 제1 대상은 향장학적으로 허용되는 극성 용매를 사용한 효소적 추출에 의해 수득된 로즈우드, 바람직하게는 여름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수성 추출물 및 극성 추출물 및 친수성 장미 추출물 및 에코-추출물(eco-extract)은 본원 설명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향장학적으로 허용되는 극성 용매에 의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로즈우드 추출물" 또는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특히 로즈우드의 극성 (친수성) 화합물이 극성 용매에서 가용화 및/또는 추출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리하게는, 이 로즈우드 추출물은 에코 추출 공정(eco-extraction process)을 통해 수득된다. 따라서 이것은 로즈우드 에코 추출물로 지칭된다.
"극성 용매"라는 표현은 용매의 극성 지수값이 4 이상임을 의미한다. 극성 지수는 분자의 상대적인 극성 특성을 나타내는 (용해도 및 상태 변화의) 열역학적 양을 기준으로 계산된 양이다. 용매 극성 지수에 대해서는 엘.알 스나이더 (L.R. SNYDER)의 논문 [Classification of the solvent properties of common liquids; Journal of Chromatography, 92 (1974), 223-230]을 참조한다.
바람직한 극성 용매는 적어도 하나의 O-H 형 극성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구성된 것이다.
향장학적으로 허용되는 극성 용매로는 물, 에탄올과 같은 C1-C4 알콜,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물이 사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4 중량% 내지 96 중량% 범위 함량의 물, 3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 함량의 건조 추출물 및 0.5 중량% 내지 1 중량% 범위 함량의 보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 물질
본 발명의 추출물은 로즈우드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장미 추출물, 로즈우드 추출물 또는 특히 에반라트 또는 쟈뎅 드 그랑빌® 장미 품종의 추출물은 상호교환적으로 언급될 것이다.
당업자는 바람직하게는 환경 및 유기농법에 의해 특성이 보존되는 선별된 장미를 선택할 것이다. 특정하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에반라트 또는 '쟈뎅 드 그랑빌®' 장미 품종의 장미꽃잎 추출물이 사용된다.
'쟈뎅 드 그랑빌®' 장미는 "로제즈 안시엔네스 안드레 이브 에스.아.에스. (Roses anciennes Andr
Figure pct00001
Eve SAS.)"에 의해 독점적으로 공급되며 종명이 로사 엘 (Rosa L.)이고 품종명이 에반라트(Evanrat)로 번호 20110345 하에 식물 육성자 권한 증명에 의해 보호되는 하이브리드 품종이다. 이 장미 덤불은 5 월부터 10 월까지 장미로 영구적으로 덮여 우수한 개화 특성을 나타내는 현대 하이브리드 군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하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로즈우드 추출물이라고도 지칭되는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에반라트 또는 쟈뎅 드 그랑빌® 품종의 로즈우드 추출물이다.
로즈우드는 수확 시기에 따라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일반적으로 11 월과 4 월 사이에 수확되는 겨울 우드(winter wood).
- 일반적으로 5 월에서 10 월 사이에 수확되는 여름 우드(summer wood).
특정하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여름 우드가 사용될 것이다. 로즈우드 또는 여름 로즈우드는 본원 설명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언급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는 갓 자른 전체 장미에서 얻고, 수동 또는 기계적 분리에 의해 나머지 식물로부터 분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로즈우드는 추출에 직접 사용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로즈우드는 추출 전에 사전 건조된다.
특정하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로즈우드는 추출 단계 전에 분쇄된다.
로즈우드는 단당류 (과당, 포도당) 및 다당류, 특히 이당류, 폴리페놀 (카테킨), 아미노산 (주로 아스파르트산, 티로신 및 아르기닌), 무기물 (회분, 나트륨, 칼륨, 칼슘), 플라보노이드 (주로 글리코실화) 및 탄닌을 함유한다.
특히, 칼슘은 표피 분화를 향상시키고 피부 구조를 강화하며, 칼륨은 피부 수분 공급을 강화하고 에너지 동화를 촉진한다. 식물 당 (과당, 포도당)은 피부 세포를 에너지로 채우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천연 극성 화합물에서 농축된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로즈워터(rosewater)와 구별된다. 여기서는 pH 조절제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수성 (극성) 용매의 존재하에 천연 로즈우드 화합물을 추출하고, 제형에서 수용액 또는 농축물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로즈우드 추출물이며, 농축액의 용매가 추출 용매 및/또는 추가 용매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장미의 총 수성 추출물의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를 나타내는 장미꽃 추출물을 적은 비율로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양태에서, 원래의 식물 물질은 0.01% 꽃에서 99.99% 우드 내지 1% 꽃에서 99% 우드의 비율로 로즈우드와 장미꽃을 포함한다.
추출 공정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에코-추출 공정에 따라, 특히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특정하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에반라트 품종의 로즈우드, 바람직하게는 쟈뎅 드 그랑빌® 장미, 바람직하게는 사전 건조된 로즈우드가 아래에 설명된 본 발명에 적합한 추출 공정에서 식물 물질로 사용될 것이다.
"에코-추출"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서 대체 용매 및 재생 가능한 식물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하고 품질이 좋은 제품/추출물을 보장하는 추출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에코-추출은 6 가지 주요 원칙을 도모한다 (Farid
Figure pct00002
- 품종 선택 (varietal selection) 및 재생 가능한 식물 자원의 사용을 통한 혁신을 도모하고,
- 소위 그린 용매 (green solvent) 대안 및 주로 농업-자원 (agro-resource)으로부터의 대안을 선호하고,
-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회수를 촉진하고,
- 유기 또는 농업-정제 경로 (agro-refinery route)를 통합하기 위해 폐기물 대신에 부산물의 생성을 장려하고,
- 기술 혁신을 통해 단위 운영을 줄이고 안전하고 견고하며 제어된 공정을 촉진하고,
- 비변성, 생분해성, 무오염물질 제품, 무엇보다도 "추출물" 값을 가지는 제품을 선호한다. 따라서 물을 극성 그린 용매(polar green solvent)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고체/액체 추출"은 용질(들)인 하나 이상의 가용성 화합물(들)을 액체에 확산/함침시키기 위해 고체 (생체 기반 물질)와 액체 (용매라고 함) 사이의 접촉을 포함하는 추출 유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신속한 물리적 및 물리화학적 작용을 통해 수행된다.
우드는 공기 건조, 오븐 건조, 동결 건조 또는 제올라이트 건조와 같이 숙련가에게 알려진 통상적인 건조 도구를 사용하여 신선, 냉동 또는 사전 건조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추출 단계 자체 이전에, 우드는 건조 및/또는 분쇄되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우드는 젖은 상태로 사용된 뒤, 분쇄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우드는 추출 전에,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모르타르, 냉동 분쇄기, 블렌더, 통상적인 분쇄기 또는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특히 효소적 추출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선택된 효소는 세포벽을 손상시켜 함유된 분자를 용이하게 방출하도록 식물 물질에서 일부 또는 모든 화합물을 가수분해한다.
"세포벽" 또는 "식물벽" 또는 "펙토셀룰로스 벽"은 각 식물 세포를 보호하는 세포 구조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특히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중엽: 펙틴이 풍부하고 셀룰로스가 없음,
- 일차벽: 주로 셀룰로스 (9% 내지 25%), 헤미셀룰로스 (25% 내지 58%), 펙틴 (10% 내지 35%) 및 단백질 (10%)로 구성됨,
- 이차벽: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추출할 분자에 따라, 효소는 이들 분자에 접근하기 위해 가수분해되는 벽에 적합화될 것이다. 유리하게는,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펙티나제 또는 프로테아제 유형의 효소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셀룰라제"는 D-포도당의 선형 사슬과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생체 고분자인 셀룰로스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셀룰라제에 의한 셀룰로스 분해의 최종 산물은 포도당이다. 베타-글루코시다제, 엔도셀룰라제, 엑소셀룰라제, 산화성 셀룰라제 또는 셀룰로스 포스포릴라제와 같은 여러 유형의 셀룰라제가 있다.
"헤미셀룰라제"는 식물 세포벽의 구성 요소인 생체 고분자인 헤미셀룰로스를 분해하여, 특히 셀룰로스 섬유간 가교뿐만 아니라 다른 매트릭스 화합물과의 가교를 허용할 수 있는 효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아라비나제, 자일라나제 또는 갈락타나제와 같은 여러 유형의 헤미셀룰라제가 있다.
"펙티나제"는 식물 세포벽에 존재하는 다당류인 펙틴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엔도폴리갈락투로나제 또는 펙틴 메틸에스테라제와 같은 여러 유형의 펙티나제가 있다.
"프로테아제"는 펩티드 결합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프로테아제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구조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고 펩티드의 생성 없이 원료의 용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포도당과 셀룰로스 방출을 위해 셀룰라제; 환원당의 모노머 및 올리고머 방출을 위해 헤미셀룰라제; 우론산 방출을 위해 펙티나아제; 및 유리하게는 구조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고 원료의 용해 개선을 위해 프로테아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에코-추출은 인스티튜트 나쇼날 폴리테크닉 드 로레인 아이엔피엘 (Institut National Polytechnique de Lorraine INPL)의 특허 출원 WO2011045387 (특허 출원 FR2351461에 대응)에 설명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는 경제적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규제 및 환경 제약을 준수하는 대체 기술이다. 이 혁신적인 공정을 통해 식물 물질에서 오일 (폴리페놀, 스테롤, 비타민 E 등과 같은 영양이 풍부), 수성 추출물 및 케이크 (고체 상)의 세 가지 유형의 제품을 단일 단계로 추출할 수 있다.
이 공정은 특히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적합한 입자 크기를 가진 식물 물질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셀룰라제, 적어도 하나의 헤미셀룰라제 및 적어도 하나의 펙티나제, 및 유리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식물 물질 및 효소 혼합물의 교반 하에, 원하는 수율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반응 매질 중에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방출하는 단계,
d) 반응 매질을 분리하여 유리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고체 상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수성 상을 분리하고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하는 단계.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에 상응하는 수성 상은 분리 단계 (e)의 끝에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a) 적합한 입자 크기로 사전 분쇄된 로즈우드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셀룰라제, 적어도 하나의 헤미셀룰라제 및 적어도 하나의 펙티나제, 및 유리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사전 분쇄된 로즈우드와 효소 혼합물의 교반 하에, 원하는 수율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반응 매질 중에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방출하는 단계,
d) 반응 매질을 분리하여 유리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고체 상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수성 상을 분리하고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은 분리 단계 (e) 후에 수득된다.
유리하게, 이 추출 공정은 시설 및 인력의 안전, 인간 건강 및 환경 보존과 관련된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헥산과 같은 유기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기술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의 배출을 감소시킨다. 이 기술은 화장료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오일 및/또는 수성 추출물의 형태로 단백질, 당 및 기타 고품질의 부산물을 추출할 수 있는 깨끗한 공정이다.
분쇄 단계에서는 사용된 장비와 분쇄할 재료의 건조 또는 습윤 특성에 따라 시간과 속도를 조정해야 한다.
물 첨가 단계에서는 사용할 장비에 따라 속도, 시간, 물/고체 비율을 조정해야 한다.
효소 가수분해 단계에서는 사용할 효소를 결정하고 효소/기질 비율, 가수분해 시간, 교반 속도, pH 및 온도와 같은 다양한 매개 변수를 조정해야 한다.
내인성 또는 외인성 효소 불활성화 단계에서는 불활성화 온도, 온도, 시간 및 pH와 같은 매개 변수를 조정해야 한다.
원심분리 단계에서는 속도, 온도, 시간 및 pH와 같은 매개 변수를 조정해야 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단계 a)에서, 식물 물질의 적합한 입자 크기는 유리하게는 상기 식물 물질을 분쇄함으로써 얻어진다. 분쇄는 효소의 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가능한 미세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모든 입자의 크기가 50 μm, 바람직하게는 10 μm에 가까워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식물 물질에 첨가되는 물의 질량은 상기 식물 물질 질량의 1 내지 2 배이고 이 양을 초과하지 않는다.
특히 단계 b)에서, 펙티나제 활성 대 셀룰라제 활성의 비는 적어도 0.14,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45이고, 펙티나제 활성 대 헤미셀룰라제 활성의 비는 적어도 7.10-3, 바람직하게는 1.10-2 내지 0.5,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2 내지 2.10-2 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된 효소 혼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셀룰라제, 적어도 하나의 헤미셀룰라제, 적어도 하나의 펙티나제, 및 유리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를 함유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셀룰라제(들), 헤미셀룰라제(들) 및 펙티나제(들)는 효소 혼합물의 75%를 나타내고 프로테아제(들)는 상기 효소 혼합물의 25%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셀룰라제는 효소 혼합물의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고, 헤미셀룰라제는 효소 혼합물의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며, 펙티나제는 효소 혼합물의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프로테아제는 효소 혼합물의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사용된 효소 혼합물은 25% 셀룰라제, 25% 헤미셀룰라제, 25% 펙티나제 및 25% 프로테아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의된 효소 혼합물의 사용량은 물/식물 물질 혼합물의 부피 기준으로 0.2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이다.
유리하게는, 단계 c)에 따른 인큐베이션은 25 ℃ 내지 75 ℃,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약 50 ℃에서 2 내지 20 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시간 동안 수행된다.
이어서 효소를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05 ℃에서 5 내지 20 분 동안 가열하여 탈활성화시킴으로써 가수분해 반응을 중지시킨다.
이어서, 단계 d)에 따라, 원심분리 또는 디캔팅(decanting)과 같은 모든 공지된 적합한 분리 기술을 사용하여 반응 매질을 분리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혼합물은 고체 상의 가장 큰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0.8 mm, 이어 0.5 mm 체에서 사전 여과되고, 그 다음 유리하게는 기공 크기가 0.2 μm인 청징 플레이트 (clarifying plate)에서 2 bar의 압력하에 멸균 여과가 수행된다.
멸균 여과 후 얻은 수성 상은 보존제 (시트르산, 소르브산칼륨, 벤조산나트륨)로 안정화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로즈우드, 바람직하게는 여름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 공정에 의해 수득된다:
a) 적합한 입자 크기로 사전 분쇄된 로즈우드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셀룰라제, 적어도 하나의 헤미셀룰라제 및 적어도 하나의 펙티나제, 및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사전 분쇄된 로즈우드와 효소 혼합물의 교반 하에, 원하는 수율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반응 매질 중에 오일, 존재하는 경우,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방출하는 단계,
d) 반응 매질을 분리하여 유리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고체 상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수성 상을 분리하고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특히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 티로신, 아르기닌) 및 전당 (포도당, 과당)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또한 발효 추출물이 아니라는 점이 특징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4 중량% 내지 96 중량% 범위 함량의 물, 1 중량% 내지 6 중량%,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 함량의 건조 추출물 및 0.5 중량% 내지 1 중량% 범위 함량의 보존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로즈우드 추출물의 INCI 명칭은 물 (및) 장미 추출물 (및) 시트르산 (및) 소르브산칼륨 (및) 벤조산나트륨이다.
조성물 및 생약 (galenic)
본 발명은 또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 중에 적어도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또는 입술, 특히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소 적용'은 케라틴성 물질에 적용하도록 의도된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제로, 경구용 조성물은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다.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원하는 효과를 얻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존재한다.
특히, 이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원료의 0.1 중량% 내지 80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제 1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원료의 50 중량% 내지 80 중량%, 특히 60 중량% 내지 75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원료의 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예시적인 예가 아래에 주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케라틴성 물질, 특히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생약 형태, 예를 들어 세럼(serum), 수중유 에멀젼, 유중수 에멀젼, 다중 에멀젼, 마이크로 에멀젼, 로션, 현탁액, 수성 겔, 스틱(stick),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케라틴성 물질을 위한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조성물일 수 있다.
"케라틴성 물질"은 피부 및/또는 그의 부속물, 및 입술, 특히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 및 입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 또는 입술에 적용되도록 의도되며, 예를 들어, 로션, 케어 크림, 세럼, 페이셜 플루이드 (facial fluid), 얼굴 및/또는 신체용 케어 겔 (care gel), 립 케어 조성물, 립밤, 립스틱 또는 글로스의 형태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얼굴용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크림의 형태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눈 윤곽용 수성 겔 형태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형태이다.
수성 상은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99 중량%를 나타낸다.
수성 상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수성 상은 물 및 임의로 수용성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용매'는 실온에서 액체이고 물과 혼화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5 ℃ 및 대기압에서 50 중량% 초과로 물과 혼화성). 구체적으로 특히 다음이 언급될 수 있다.
-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C1-C5 저급 모노-알콜;
-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C2-C8 글리콜;
- 폴리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C2-C32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
이는 또한 친수성 겔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겔화제로서는, 특히 아크릴산 중합체, 예컨대 INCI 명칭 카보머 또는 브랜드명 카보폴 (Carbopol)®의 것,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카복시비닐 중합체, 아크릴계 (acrylic) 또는 폴리우레탄 유형의 회합성 증점제 (associative thickener), 다당류 겔화제, 예컨대 알기네이트, 천연 또는 변형 검, 예컨대 잔탄검, 카라기난검, 한천검, 구아검, 겔란검, 키토산, 만난, 풀루란, 셀룰로스 유도체, 젤라틴, 펙틴, 무기 겔화제, 예컨대 벤톤 또는 변형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천연 또는 변형 검은 수성 매질에서 수화되어 점성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형성하는 임의로 변형된 다당류를 의미한다. 천연 검은 해조 추출물, 식물 삼출물 및 종자 또는 식물 뿌리로부터 추출된 검 및 미생물 발효에 의해 수득한 검을 포함한다. 변형 또는 반합성 검은 셀룰로스 및 전분 유도체 및, 일반적으로, 모든 천연 검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계 중합체, 특히 아크릴산 중합체 또는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존재에 의해 겔화(gelled)된 수성 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의 친수성 겔화제(들)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7 중량% 내지 4 중량%, 바람직하게는 0.9 중량% 내지 3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2 중량% 범위일 것이다.
지방 또는 오일 상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상 (고형 지방) 또는 오일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일상"은 오일 또는 상호 혼화성 오일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오일"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25 ℃ 및 대기압에서 물과 액체에 불용성인 지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상은 탄화수소, 실리콘, 불소화 또는 비불소화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오일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식물성, 무기 또는 합성의 것일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본 발명에 따르면 주로 수소 및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리콘 오일'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원자, 특히 적어도 하나의 Si-O 기를 포함하는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불소화 오일'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비휘발성 탄화수소 오일로서, 특히 탄화수소 오일,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 합성 C10-C40 에테르, 합성 C10-C40 에스테르, C12-C26 지방 알콜, C12-C22 고급 지방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로서, 특히 페닐화 실리콘 오일, 비-페닐화 실리콘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오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95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지방 또는 오일상은 또한 친유성 겔화제, 필름-형성 중합체,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에멀젼, 세럼 또는 겔의 형태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반라트 또는 쟈뎅 드 그랑빌® 장미 품종 추출물 이외의 어떤 다른 장미 추출물도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화장료에서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 예컨대 UV 필터, 항산화제, 향료, 화장료 활성제, 예컨대 연화제(emollient agent), 보습제, 비타민, 노화방지제, 리프팅제 (lifting agent), 조임제 (tightening agent), 플럼핑제 (plumping agent), 진정제, 오염방지제, 미백제 또는 탈색소제, 충전제, 진주광택제(pearlescent agent)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 중에 적어도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및 UV 필터, 항산화제, 향료, 연화제, 보습제, 비타민, 노화방지제, 리프팅제, 조임제, 플럼핑제, 진정제, 오염방지제, 미백제 또는 탈색소제, 충전제, 진주광택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료 보조제(cosmetic adjuvant)를 포함하는, 피부 및/또는 입술, 특히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하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또한 항산화제, 리프팅제, 조임제, 플럼핑제, 진정제, 오염방지제 및/또는 탈색소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료 활성제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또한 피부색 결점 (다크 서클)을 가리고 눈을 빛나게 하기 위한 충전제 및/또는 진주광택제, 특히 백색 진주광택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 용도 및 기타 용도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노화 증상, 특히 피부의 색조 상실, 탄력성 상실 및/또는 견고성 상실, 장벽 기능의 변화, 주름 및/또는 잔주름 발생, 건성 피부 및/또는 칙칙하고 고르지 않은 피부색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제제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특히 에반라트 또는 쟈뎅 드 그랑빌® 장미 품종의 수성 추출물의 비치료적 화장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정의된 바와 같은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 및/또는 입술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증상, 특히 피부 색조 상실, 탄력성 상실 및/또는 견고성 상실, 장벽 기능의 변화, 주름 및/또는 잔주름 발생, 건성 피부 및/또는 칙칙하고 고르지 않은 피부색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고자 하는 비치료적 화장 방법(non-therapeutic cosmetic proces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및/또는 입술'은 특히 건강한 피부 및/또는 입술, 즉 병리학적 상태 (병적 측면으로 고통받는 '건강하지 않은' 대상)와 관련된 상태 또는 장애를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건조하고, 연약하고, 민감하고, 스트레스 받은 피부, 특히 견고성, 유연성 및 탄력성을 잃어버린 지친 피부에 적용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건조하고, 연약하고, 민감하고/하거나 스트레스 받은 입술에 적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건조하고/거나 연약한 입술에 적용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스트레스 받은 입술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민감한 입술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피부 진정 및/또는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과 관련된 피부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특히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증상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만성 미세 염증, 특히 염증성 노화 효과를 갖는 내인성 및/또는 외인성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과 관련된 장애가 있는 피부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일광 흑색점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태양(sun)과 관련된 변화가 있는 피부에 사용된다.
조성물은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 또는 입술에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얼굴 및/또는 신체에 적용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 진정 및/또는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과 관련된 피부 장애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일광 흑색점을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케라틴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 및/또는 입술을 치료하고, 피부를 진정시키고/거나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과 관련된 피부 장애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케라틴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 및/또는 입술을 치료하고 일광 흑색점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제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될 것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로 표현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로즈우드로부터의 추출 및 이들 추출물의 분석
식물 준비
에반라트 품종, 특히 쟈뎅 드 그랑빌® 장미 품종의 로즈우드 및 장미꽃이 사용된다.
원료, 이 경우 임의로 장미꽃이 첨가된 로즈우드를 3 단계로 분말로 축소시켰다.
단계 1: 정원 분쇄기에 통과시켜 2 센티미터 섹션(section) 수득
단계 2: 산업용 그라인더(grinder)에 통과
용액에 투입
최대 용량 70 L인 반응기에서 효소적 추출을 수행하였다. 반응기를 프로펠러(propeller)로 교반하고 이중 재킷(double jacket)에 의해 온도 조절 장치로 제어하였다.
0.1% 장미꽃을 함유한 로즈우드 분말 16 kg을 47.5 kg의 물에 분산시켜 현탁시켰다.
내인성 효소를 탈활성화하기 위해, 혼합물을 1 분 동안 85 ℃의 온도로 올린 다음 50 ℃에서 안정화시켰다.
식물벽 용해
75%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및 펙티나제 및 25% 프로테아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HEL1PR1 효소 칵테일 0.8 kg을 해당 반응 혼합물 (5% w/w)에 첨가하였다. 4 시간 동안 계속 반응시키고, 온도는 50 ℃로 유지하였다.
효소 불활성화
혼합물을 1 분 동안 85 ℃로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한 다음 35 ℃로 되돌렸다.
사전 여과
혼합물을 0.8 mm에 이어 0.5 mm의 체로 사전 여과하여 고체 상의 가장 큰 부분을 제거한 다음 시트에 놓았다.
멸균 여과
2 bar의 압력하에 기공 크기 0.2 ㎛의 청징 플레이트(clarifying plate) (PALL Corporation)에서 여과를 수행하였다.
제형화
멸균 여과 후 얻은 수성 상을 다음 보존제로 안정화시켰다:
- 시트르산
- 소르브산칼륨 및
- 벤조산나트륨
여과 후,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건조물 3.7 중량%를 함유한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 추출물을 다음 실시예에서 피부에서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케라틴 세포 및/또는 멜라닌 세포의 배양을 이용하였다.
보존제에 의해 안정화되지 않은 상기 수성 추출물에 대해 수행된 정량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폴리 페놀 (g/L): 2.5
환원당 (g/L): 16.2
단백질 질소 (g/L): 0.64
총 단백질 (g/L): < 6
포도당 (g/100g): 1.4 (±0.8)
과당 (g/100g): 0.3 (±0.3)
실시예 2: 케라틴 세포 배양에서 관심 유전자의 발현을 연구하기 위한 프로토콜
정상인의 케라틴 세포 (NHK)를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로 처리하였다.
NHK의 처리 후, 연구된 유전자에 대한 TaqMan 저밀도 어레이 (TLDA) 연구를 추출된 전체 RNA의 역전사 후 얻은 cDNA에 대해 수행하였다.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원료 (부형제 물)의 0.1 중량% 또는 0.25 중량%에서 시험하였다.
NHK 배양
정상인의 케라틴 세포는 성형 수술에서 얻은 피부 샘플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에 웰당 50,000 개 세포의 파종 밀도로 완전 Epilife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하위 융합에서, 세포를 상술한 용량의 장미 추출물로 24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TaqMan 저밀도 어레이 (TLDA) 기술
전체 RNA 수득
세포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250 μL의 RLT 용해 완충액 (Nucleospin RNA Trace 키트 (Macherey-Nagel)에 제공)을 첨가하였다. 세포를 세포 스크레이퍼로 긁어 내고, 세포 용해물을 1.2 mL 딥웰 플레이트 (Nucleospin RNA 키트에 제공)에 수집하였다. 전체 RNA를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추출하였다.
Microlab STAR에 결합된 spectrostar NANO (BMG Labtech)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상기 수득한 전체 RNA 용액을 분석하고 품질을 확인하였다. 이 장치는 자동 액체 처리기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연결되며 결과 분석을 위한 특정 소프트웨어 (MARS 소프트웨어)를 가졌다. 상기 기술은 자동 액체 처리기가 수행한 피펫팅과 spectrostar NANO 판독기에서 생성된 값을 검증하기 위해 384 웰 마이크로플레이트 (LoBase), 양성 대조군 (RNA 250, AM7155, Thermofisher)이 필요하다.
상보적 DNA 합성
사용된 역전사 (RT) 키트는 고용량 역전사 키트 (Thermo Fisher)이다. 키트를 제공된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하였다. 500 ng의 전체 RNA를 물에 최종 부피 25μL로 희석한 다음, 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제조한 25 μL의 고용량 역전사 키트 2X 반응 믹스의 존재하에 25 ℃에서 10 분, 이어 37 ℃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TRobot (Biometra)에서 다양한 배양을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3
PCR-TaqMan 저밀도 어레이
각 RT 15 μL를 물 60 μL와 혼합하고 DNA 폴리머라제를 포함하는 TaqMan 유전자 발현 마스터 믹스 (ThermoFisher) 75 μL를 첨가하였다. 균질화 후, 100 μL를 시험된 유전자 (아래 표 2)에 상응하는 프로브를 함유하는 미세유체 카드에 침착시키고, 원심분리하고 밀봉하였다. 플레이트에 침착된 유전자의 프로필에 상응하는 CD 롬을 카드상의 각각의 유전자 위치를 특정하는 SDS 2.3 소프트웨어에 로딩하였다. 결과의 정규화에 사용할 대조 (또는 "내인성") 유전자가 PCR을 시작하기 전에 표시된다. 후자는 ABI Prism 7900HT Sequence Detection System에서 Applied Biosystems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qPCR 단계는 50 ℃에서 2 분, 94.5 ℃에서 10 분, 97 ℃에서 30 초, 59.7 ℃에서 1 분으로 40 사이클 동안이었다. 추구하는 효과에 따라, 당업자는 어떤 유전자가 연구에 포함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사용될 PCR 프라이머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각 유전자에 대해 결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은 그의 일반적인 지식에 달려 있다.
통계 분석
효율성이 90 중량% 내지 110 중량%인 경우 실시간 정량 PCR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샘플에 대해, 신호가 나타나는 주기 수는 SDS 2.3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하였다. 동일한 분석의 경우, 획득한 관심 전사물의 발현 수준을 베타-2-마이크로글로불린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에 대해 획득한 값으로 정규화하였다. 발현이 구성적이고 불변인 이 유전자는 실험 동안 유도된 모든 변동 (전체 RNA 분석, 피펫팅, 역전사 단계, 장치에서의 PCR)을 피할 수 있게 한다.
TLDA RT-PCR 방법에서, ΔΔCt의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획득한 상대 정량화 (RQ) 값은 조사되지 않은 우리의 대조군에 대한 발현의 진폭 수준 (대조군보다 x배 많거나 적음)에 상응한다. 다음 계산으로 RQ를 구하였다 (대조군을 1로 설정함):
RQ = 2-ΔΔCt = 2-(ΔCt 처리 - ΔCt 비처리)
ΔCt 처리 = Ct 처리 표적 유전자 - Ct 처리 하우스키핑 유전자
ΔCt 비처리 = Ct 비처리 표적 유전자 - Ct 비처리 하우스키핑 유전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전사 활성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스튜던트 t-검정 (Student's t-test)을 사용할 것이다. 각각의 조건을 삼중으로 수행하였다 (동일한 조건하에 3 회 비처리 및 3 회 처리). 두 데이터 행렬을 비교함으로써 피셔 F-검정 (Fischer's F-test)을 먼저 적용하였다. 값이 α=0.05 초과인 경우 스튜던트 t-검정의 분산은 2이고, 피셔 F-검정이 α=0.05 미만인 경우 분산은 3과 같을 것이다. 선택한 전사 차이는 α=0.05 미만의 스튜던트 t-검정을 가진 것일 것이다.
결과는 n=3의 평균으로 제시되었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처리 세포와 비처리 세포 간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p<0.05(*) 또는 p<0.01(**)에 대해 유의한 것으로 간주된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이 자유 라디칼 중화에 관여하여 특히 노화에 대해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내인성 항산화 효소의 유전자 발현 자극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실시예 2에 상세히 설명된 프로토콜에 따라 케라틴 세포 배양에 대해 수행되었다.
연구한 유전자의 항목 코드
유전자 부호 TaqMan 항목 코드 RefSeq GenBank
수여 번호
메티오닌 설폭사이드 리덕타제 B1 SELX Hs00249482_m1 NM_016332.2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 4 GPX4 Hs00157812_m1 NM_001039847.2
카탈라제 CAT Hs00156308_m1 NM_001752.3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로 처리한 후 관심 유전자 발현의 조절
유전자 부호 0.1%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
메티오닌 설폭사이드 리덕타제 B1 SELX + 63%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 4 GPX4 + 52%
카탈라제 CAT + 29%
이들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자극하여 자유 라디칼의 축적을 제한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특히 환경, 오염 및 담배로 인한 피부 반응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켜 피부의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실시예 4: 장벽 기능에 대한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이 세포 접착, 표피 분화 또는 표피 항상성에 관여하여 피부 장벽 기능의 조절에 참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실시예 2에 상세히 설명된 프로토콜에 따라 케라틴 세포 배양에 대해 수행되었다.
연구한 유전자의 항목 코드
유전자 부호 TaqMan 항목 코드 RefSeq GenBank
수여 번호
트랜스글루타미나제 TGM1 Hs00165929_m1 NM_000359
칼리크레인 관련 펩티다제 7 KLK7 Hs00192503_m1 NM_001207053.1
NM_001243126.1
NM_005046.3
NM_139277.2
코니핀(Cornifin) SPRR b Hs00824893_m1 NM_003125.2
세라미드 신타제 3 CERS3 Hs00698859_m1 NM_001290341.2
NM_001290342.2
NM_001290343.1
NM_178842.4
사이토케라틴 1 KRT1 Hs00196158_m1 NM_006121.3
코넥신 43 GJA1 Hs00748445_s1 NM_000165.4
데스모글레인 1 DSG1 Hs00170047_m1 NM_001942.3
오클루딘 OCLN Hs00170162_m1 NM_001205254.2
클라우딘 CLDN1 Hs00221623_m1 NM_021101.4
지방산 결합 단백질 5 FABP5 Hs00192700_m1 NM_005094.3
아쿠아포린 9 AQP9 Hs00175573_m1 NM_002638.3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로 처리한 후 관심 유전자 발현의 조절
유전자 부호 0.1%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 0.25%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
트랜스글루타미나제 TGM1 + 304% + 460%
칼리크레인 관련 펩티다제 7 KLK7 + 172% + 174%
코니핀 SPRR b + 334% + 436%
세라미드 신타제 3 CERS3 + 156% + 111%
사이토케라틴 1 KRT1 + 905% + 866%
코넥신 43 GJA1 + 132% + 117%
데스모글레인 1 DSG1 + 545% + 493%
오클루딘 OCLN + 72% + 87%
클라우딘-1 CLDN1 + 178% + 152%
지방산 결합 단백질 5 FABP5 + 271% + 309%
아쿠아포린 9 AQP9 + 858% + 1364%
이들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이 표피 분화 및 세포 접착의 많은 매개체를 자극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피부 장벽 기능을 촉진 및/또는 자극하고 특히 피부 견고성, 유연성 및 탄력성을 촉진하는 데 유리하다.
실시예 5: 멜라닌 전이에 대한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의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의 추정 탈색소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 평가는 케라틴 세포/멜라닌 세포 공-배양 모델에서 멜라닌 전이율을 측정하여 수행된다.
NHK/NHM 공-배양 모델
NHK를 24 웰 배양 배지에 각각 25% 및 75%의 Epilife 및 M254 배지 (Invitrogen)의 혼합물 1 mL에 웰당 50,000 개 세포로 파종하였다.
배양 24 시간 후, NHM을 동일한 재생 배지에 웰당 400 μL에 웰당 4000 세포로 첨가하였다.
세포 처리
37 ℃에서 24 시간 배양 후, 공-배양물을 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 또는 양성 대조군)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았다.
비처리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인 10 μmol/L 농도의 니아신아미드 (Sigma)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세포를 재생없이 48 시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0.1% 로즈우드 추출물 또는 양성 대조군 조건의 경우 니아신아미드로 처리하였다.
면역 염색
48 시간 처리 후, 배양 배지를 제거하였다. 세포를 PBS (Invitrogen)로 헹군 다음, 포르말린 (Sigma)으로 10 분 동안 고정시켰다.
PBS로 헹군 후, 배양 웰을 0.1% PBS/Triton 용액 (Sigma)으로 10 분 동안 채워 고정 세포막에 투과시킨 다음, PBS로 2 회 헹궜다.
세포를 1% PBS/BSA 용액 (Sigma)으로 덮었다. 실온에서 30 분 후, PBS/BSA 용액을 제거하였다. 세포를 1% PBS-BSA 용액에서 1:150으로 희석한 일차 항-흑색종 마커 항체 HMB45 (Dako, 마우스) 용액으로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덮었다. 그런 다음 세포를 PBS 용액으로 3 회 헹궜다.
이어 세포를 1% PBS-BSA 용액에서 1:300으로 희석한 이차 항-마우스 항체 용액 (Alexa fluor 568, 염소 항-마우스, Invitrogen)으로 덮었다. 세포핵을 1:100으로 희석된 DAPI (Invitrogen)로 염색하고 액틴을 이차 항체 용액에서 1:100으로 희석된 Alexa Fluor 488 팔로이딘으로 염색하였다. 세포를 빛으로부터 보호된 실온에서 6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양 웰을 PBS에서 3 회 헹구고 봉입제 (DAKO) 수 방울을 세포에 침착시켰다.
플레이트를 이미지 획득시까지 4 ℃에서 어두운 곳에 보관하였다.
HCS에 의한 이미지 획득
공급업체의 권장 사항에 따라 Thermo Cellomics ArrayScan XTi에서 플레이트를 스캔하였다.
이미지 분석
이미지를 Cell Profiler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케라틴 세포 표면적당 전달된 멜라노좀의 수를 정량화하는 프로그램을 생성하였다. 결과를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파일로 직접 전송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의 통계 분석을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분석은 각질 세포 표면적당 전달된 멜라노좀 수의 평균, 표준 편차 및 신뢰 구간 (α=0.05)의 계산으로 구성된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였다. 두 데이터 행렬을 비교하여 피셔의 F-검정을 먼저 적용하였다. 값이 α=0.05를 초과하면 스튜던트 t-검정의 분산은 2이고, 피셔의 F-검정이 α=0.05 미만이면 분산은 3과 같을 것이다. 유지되는 차이는 α=0.05 미만의 스튜던트 t-검정을 가진 것일 것이다.
결과
양성 대조군과 상이한 용량의 시험 성분을 비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비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양성 대조군 (니아신아미드)에서 멜라노좀 전달이 -30%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0.1% 용량의 로즈우드 추출물의 경우, 비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질 세포당 전달된 멜라노좀 수가 -30%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즉, 니아신아미드 양성 대조군과 동등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로즈우드 추출물의 탈색소 효과를 강조한다. 그러므로, 상기 추출물의 사용은 특히 손등, 얼굴, 목선 또는 남성의 경우 두개골에서 고르지 않은 피부색 외관, 피부 색소 반점 또는 검버섯의 발생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
실시예 6: 선천성 면역에 대한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이 항균 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쳐 선천성 면역에 관여하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예 2에 상세히 설명된 프로토콜에 따라 각질 세포 배양에 대해 수행되었다.
연구한 유전자의 항목 코드
유전자 부호 TaqMan 항목 코드 RefSeq GenBank
수여 번호
베타 디펜신 4 DEFB4 Hs00175474_m1 NM_004942.3
베타 디펜신 3 DEFB3 Hs00218678_m1 NM_018661.4
엘라핀 PI3 Hs00160066_m1 NM_002638.3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로 처리한 후 관심 유전자 발현의 조절
유전자 부호 0.1%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
0.25%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
베타 디펜신 4 DEFB4 > 10,000% > 10,000%
베타 디펜신 3 DEFB3 - + 74.5%
엘라핀 PI3 + 78% + 484%
본 연구에서 항균 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발현의 강력한 자극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피부의 선천성 면역을 촉진하는 능력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의 유익한 효과를 강조한다.
실시예 7: 미세 염증에 대한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이 피부 노화 또는 염증성 노화 현상을 촉진할 수 있는 피부의 미세 염증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사이토카인 또는 사이토카인 수용체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예 2에 상세히 설명된 프로토콜에 따라 각질 세포 배양에 대해 수행되었다.
연구한 유전자의 항목 코드
유전자 부호 TaqMan 항목 코드 RefSeq
GenBank
수여 번호
인터류킨 1 알파 IL-1A Hs00174092_m1 NM_000575.4
인터류킨 1 베타 IL-1B Hs00174097_m1
종양 괴사 인자 TNF Hs00174128_m1 NM_000594.3
인터류킨 1 수용체 II 형 IL-1R2 Hs01030389_m1 NM_004633.3
인터류킨 4 수용체 IL-4R Hs00166237_m1 NM_000418.3
인터류킨 1 수용체
부속 단백질
IL-1RAP Hs00370511_g1 NM_001167928.1
NM_001167929.1
NM_001167930.1
NM_001167931.1
NM_002182.3
NM_134470.3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4 PTGER4 Hs00168761_m1 NM_000958.2
혈관 내피 성장 인자 A VEGFA Hs03929005_m1 NM_001025370.2
NM_001171628.1
사이토카인 신호 전달
단백질 1의 억제제
SOCS1 Hs00864158_g1 NM_003745.1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로 처리한 후 관심 유전자 발현의 조절
유전자 부호 0.1%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
인터류킨 1 알파 IL-1A - 69.5%
인터류킨 1 베타 IL-1B - 68%
종양 괴사 인자 TNF - 41%
인터류킨 1 수용체 II 형 IL-1R2 - 30%
인터류킨 4 수용체 IL-4R - 34%
인터류킨 1 수용체 부속 단백질 IL-1RAP - 38%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4 PTGER4 - 50.5%
혈관 내피 성장 인자 A VEGFA - 47%
사이토카인 신호 전달 단백질 1의 억제제 SOCS1 + 104%
이들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이 수많은 염증 매개체, 특히 사이토카인 및 사이토카인 수용체를 억제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은 피부의 만성 미세 염증 효과를 예방 및/또는 감소시켜 피부 노화 또는 염증성 노화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결론
산화 스트레스, 장벽 기능, 색소 침착, 면역 및 미세 염증에 대해 관찰된 모든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이 피부 노화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여 노화된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는데 유용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8: 제형
8.1 에멀젼 형태의 조성물
수성 상:
탈염수 100.0%에 충분량(qs)
글리콜 20.0%
보존제 0.6%
킬레이트제 0.04%
카보머 (Carbopol® 981) 0.3%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Covacryl® MV60) 0.2%
수산화나트륨 0.15%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 3.0%
지방상:
식물성 오일, 에스테르, 실리콘 16%
항산화제 0.2%
향료 농축물 0.4%
스테아레스 (Steareth)-2 0.8%
스테아레스-21 1.5%
*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음
조성물을 하기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 겔화제를 70 ℃로 가열된 수성 상 (로즈우드 수성 추출물 및 수산화나트륨 제외)에 분산시키고;
- 지방상 (향료 농축물, 항산화제 제외)을 70 ℃로 가열하고;
- 강한 교반하에 지방상을 수성 상에 도입하여 에멀젼을 제조하고;
- 수산화트륨을 첨가하여 겔화제를 중화시키고, 저온에서 온화한 교반하에 향료 농축물, 항산화제 및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도입하면서 에멀젼을 냉각시켰다.
상기 조성물을 피부, 특히 얼굴에 바르면 톤(tone), 탄력성 및 견고성을 부여하고 이목구비를 개선시켜 얼굴을 정돈시킨다.
8.2 구형 또는 회전타원체형 지방 고체 분산물 형태의 조성물
수성 상
탈염수 100.0%에 충분량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 3.00%
페녹시에탄올 0.42%
잔탄검 0.36%
지방상
C10-18 트리글리세리드 38.84%
항산화제 0.1%
*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음
조성물을 하기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 왁스 (C10-18 트리글리세리드 =
Figure pct00004
로부터의 리포사이어 (Lipocire)를 항산화제와 함께 그의 융점을 초과하여 (몇 도) 가열하고;
- 녹은 지방상을 지방상과 동일한 온도로 미리 가열된 물에 교반하면서 붓고;
- 전체를 원하는 액적 크기가 수득될 때까지 수 분 동안 회전 시스템에 의한 교반하에 유지하고;
- 수득된 분산액을 예냉 글리콜 물 (약 -4 ℃)을 첨가함으로써 급속 냉각시켜 지질 회전타원체를 고화시키고;
- 회전타원체가 고화되면 교반을 중지시킨 다음에 표면에서 회수하거나 여과하고;
- 물, 잔탄검, 보존제 및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혼합하여 수성 상을 제조하고;
- 회전타원체를 표면으로부터 회수하고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잔탄 겔에 혼입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면 특히 피부에 탱글함과 견고성을 부여함으로써 눈에 띄는 노화 증상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타원형의 얼굴이 마치 외관을 새로 설계한 것처럼 보인다.
8.3: 얼굴용 수성 겔 형태의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 80.00%
보존제 0.50%
당 0.20%
카보머 0.70%
정제수 100.0%에 충분량
테트라소듐 EDTA 분말 0.20%
수산화나트륨 0.17%
*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음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 추출물 및 보존제를 교반하에 실온에서 혼합하고 균질화하였다. 당을 교반하에 첨가한 다음, 카보머에 이어, 물 및 EDTA를 교반하에 첨가하였다. 균일한 겔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하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수성 겔을 중화시켰다.
이 수성 겔을 얼굴 피부에 바르면 피부 건조와 칙칙하거나 고르지 않은 피부색을 교정하고 피부가 젊어지는데 기여한다.
8.4: 눈 윤곽용 미량영양(micronutrient) 겔-세럼 형태의 조성물
정제수 100.00%에 충분량
글리콜 13.0%
보존제 0.60%
카보머 0.8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0.70%
레시틴 및 소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Lecigel PCR 음성)1.20%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9.0%
비스-디글리세릴 폴리아실아디페이트-2 (Softisan 649MB) 1.0%
실리카 2.0%
진주광택제 1.0%
병풀 추출물 0.5%
마로니에 추출물 0.1%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 3.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0%
로즈향 0.20%
*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음
수성 상의 성분 (물, 글리콜 및 카보머)을 80 ℃에서 교반하에 혼합하였다. 이어 보존제를 첨가한 다음, 겔화제를 80 ℃에서 교반하에 첨가하고 온도를 75 ℃로 낮췄다. 그 다음에 계면활성제를 교반하에 수성 상에서 유화시켰다. 미리 페이스트화(pasted)하고 균질화시킨 충전제 및 진주광택제를 40 ℃에서 첨가하였다. 냉동 추출물,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교반하에 40 ℃에서 첨가하고 30 ℃까지로 하였다.
눈 윤곽 부위에 바른 후, 상기 겔-세럼은 주름과 잔주름을 매끄럽게 하는데 도움이 되고, 눈가를 탱탱해지게 하고 다크 서클 발생 및 붓기를 줄여준다. 적용할 때마다 눈의 젊음이 회복된다.
8.5 립밤
실리카 10%
나일론 분말 7%
폴리에틸렌 왁스 17%
글리세린 14%
본 발명에 따른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 3.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0.0%에 충분량
통상적인 밤 제형 방법에 따라 성분들을 혼합하여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립밤을 건조 및/또는 연약한 입술에 바르면 수분을 공급하고 매끄럽게 한다.

Claims (10)

  1.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 중에, 적어도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로즈우드(rosewood)의 수성 추출물, 및 특히 UV 필터, 항산화제, 향료, 연화제(emollient agent), 보습제, 비타민, 노화방지제, 리프팅제 (lifting agent), 조임제 (tightening agent), 플럼핑제 (plumping agent), 진정제, 오염방지제, 미백제 또는 탈색소제, 충전제, 진주광택제(pearlescent agent)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료 보조제(cosmetic adjuvant)를 포함하는, 피부 및/또는 입술, 특히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원료의 0.1 중량% 내지 80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리프팅제, 조임제, 플럼핑제, 진정제, 오염방지제 및/또는 탈색소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료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건강한 피부, 특히 얼굴 및/또는 신체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증상, 특히 피부의 색조 상실, 탄력성 상실 및/또는 견고성(firmness) 상실, 장벽 기능(barrier function)의 변화, 주름 및/또는 잔주름 발생, 건성 피부 및/또는 칙칙하고 고르지 않은 피부색(complexion)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비치료적 화장 방법(non-therapeutic comsmetic process).
  5. 향장학적으로 허용되는 극성 용매를 사용한 효소적 추출(enzymatic extraction)에 의해 수득된 로즈우드, 바람직하게는 여름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로서, 장미(rose)는 에반라트(Evanrat) 품종, 특히 쟈뎅 드 그랑빌(Jardin de Granville)® 장미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
  6. 제5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적 추출 공정에 의해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
    a) 적합한 입자 크기로 사전 분쇄된 로즈우드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셀룰라제, 적어도 하나의 헤미셀룰라제 및 적어도 하나의 펙티나제, 및 유리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사전 분쇄된 로즈우드와 효소 혼합물의 교반 하에, 원하는 수율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incubation)하여 반응 매질 중에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방출하는 단계,
    d) 반응 매질을 분리하여 유리 오일(free oil),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고체 상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수성 상을 분리하고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하는 단계.
  7.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로즈우드, 바람직하게는 여름 로즈우드 추출물의 제조 방법:
    a) 적합한 입자 크기로 사전 분쇄된 로즈우드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셀룰라제, 적어도 하나의 헤미셀룰라제 및 적어도 하나의 펙티나제, 및 유리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를 함유하는 효소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c) 사전 분쇄된 로즈우드와 효소 혼합물의 교반 하에, 원하는 수율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반응 매질 중에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방출하는 단계,
    d) 반응 매질을 분리하여 유리 오일, 단백질 및 발효 가능한 당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고체 상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수성 상을 분리하고 보존제를 임의로 첨가하는 단계.
  8. 피부 노화 증상, 특히 피부의 색조 상실, 탄력성 상실 및/또는 견고성 상실, 장벽 기능의 변화, 주름 및/또는 잔주름 발생, 건성 피부 및/또는 칙칙하고 고르지 않은 피부색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제제(agent)로서의, 제5항 또는 제6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의 비치료적 화장 용도.
  9. 피부 진정 및/또는 피부의 만성 미세염증(chronic microinflammation)과 관련된 피부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5항 또는 제6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
  10. 일광 흑색점(solar lentigo)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5항 또는 제6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로즈우드의 수성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
KR1020217022195A 2018-12-20 2019-12-10 로즈우드 추출물 KR20210107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73706A FR3090380B1 (fr) 2018-12-20 2018-12-20 Extrait de bois de rose
FRFR1873706 2018-12-20
PCT/EP2019/084365 WO2020126653A1 (fr) 2018-12-20 2019-12-10 Extrait de bois de ros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724A true KR20210107724A (ko) 2021-09-01

Family

ID=6718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195A KR20210107724A (ko) 2018-12-20 2019-12-10 로즈우드 추출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47495A1 (ko)
EP (1) EP3897566A1 (ko)
JP (1) JP7387741B2 (ko)
KR (1) KR20210107724A (ko)
CN (1) CN113316448A (ko)
FR (1) FR3090380B1 (ko)
WO (1) WO2020126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1543B1 (fr) * 2020-06-22 2023-11-03 Lvmh Rech Nouvelles utilisations d’un extrait de bois de rose
FR3136172A1 (fr) 2022-06-07 2023-12-08 L V M H Recherche Composition anti-âge avec extraits de rose et peptid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51461A1 (fr) 1976-05-12 1977-12-09 Holzer Walter Dispositif d'avertissement
FR2613622B1 (fr) * 1987-04-09 1990-05-25 Cariel Leon Composition pharmaceutique et/ou cosmetique a activite regulatrice de la pigmentation cutanee
KR20040038243A (ko) * 2002-10-31 2004-05-08 (주)마이코스메틱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134716B1 (ko) * 2005-02-03 2012-05-24 (주)아모레퍼시픽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090143714A1 (en) * 2007-11-29 2009-06-04 Cheri Lynn Millikin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Skin and/or Hair Care Actives
MX2011004666A (es) * 2008-11-11 2011-05-31 Sigma Tau Ind Farmaceuti Compuesto util para tratar celulitis.
FR2951461B1 (fr) 2009-10-16 2011-11-25 Lorraine Inst Nat Polytech Procede d'extraction enzymatique en milieu aqueux d'huiles et de proteines a partir de matiere vegetale
WO2011108821A2 (ko) * 2010-03-02 2011-09-09 Paek Kyung Shin 강진향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02579273A (zh) * 2012-01-19 2012-07-18 浙江万里学院 芸香苷作为酪氨酸酶抑制剂的应用
CN104547989B (zh) * 2014-12-10 2018-03-06 天祝藏族自治县藏医院 一种用于治疗脊椎病的藏药膏剂及其使用方法
CN105456086B (zh) * 2015-11-02 2018-02-02 澳宝化妆品(惠州)有限公司 一种狗牙蔷薇果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FR3051369B1 (fr) * 2016-05-23 2019-06-14 Biolie Extraits de faine de hetre,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CN106520452A (zh) * 2016-12-27 2017-03-22 苏州祥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罗汉果刺梨养生露酒及其制备方法
FR3066388B1 (fr) * 2017-05-16 2020-05-15 L V M H Recherche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extraits de r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90380A1 (fr) 2020-06-26
JP2022515409A (ja) 2022-02-18
US20220047495A1 (en) 2022-02-17
EP3897566A1 (fr) 2021-10-27
JP7387741B2 (ja) 2023-11-28
WO2020126653A1 (fr) 2020-06-25
FR3090380B1 (fr) 2021-09-17
CN113316448A (zh)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81266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extrait aqueux de fruits de rose
KR101894229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탈모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
CN109152724B (zh) 掌状红皮藻和茉莉的协同提取物、包含该协同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KR101885501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EP2662072B1 (fr) Principe actif obtenu à partir de cichorium intybus pour une action sur la fonction barrière de la peau similaire à celle de la vitamine D
TW201206494A (en) Use of Tiliacora triandra in cosmetics and compositions thereof
EP3370832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qui comprend un extrait de jania rubens et une huile essentielle d&#39;immortelle et son utilisation
JP7174736B2 (ja) ダイダイの地上部の発酵抽出物
JP7387741B2 (ja) バラの木抽出物
FR2928549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l&#39;orchidee brassocattleya marcella koss en tant qu&#39;actif pour prevenir ou retarder l&#39;apparition d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FR3090376A1 (fr) Extrait aqueux de fruits de Rose comme agent neuro-protecteur cutané
US20040224892A1 (en) Oligosaccharides i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for stimulating adhesion of keratinocytes to major proteins of the dermoepidermal junction and restoration of epidermal cohesion
KR101722615B1 (ko) 산뽕나무, 한련초, 지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8059011A (en) Rosa wood extract
FR3111543A1 (fr) Nouvelles utilisations d’un extrait de bois de rose
KR102486873B1 (ko) 효모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971711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e petit epeautre en tant qu&#39;agent activateur de la synthese des proteines de la matrice extracellulaire
TWI740096B (zh) 款冬花萃取物用於提升tgm基因、krt基因、aqp基因、flg基因、gba基因、及has基因表現量的用途
EP429583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lack yeast-derived exosomes
CN107802535B (zh) 紫笋茶护肤面霜及其制备方法
JP2024043524A (ja) ヒラミレモンの皮のアルコール抽出物、それを得るための方法、及びそれを含む化粧用組成物又は皮膚科学組成物
FR3102365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Limonium vulgarepour hydrater la peau et améliorer la fonction barrière.
FR3136172A1 (fr) Composition anti-âge avec extraits de rose et peptides
FR3097763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39;Armérie maritime (Armeria maritima) pour hydrater la peau et améliorer la fonction barriè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