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645A -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645A
KR20210107645A KR1020217017596A KR20217017596A KR20210107645A KR 20210107645 A KR20210107645 A KR 20210107645A KR 1020217017596 A KR1020217017596 A KR 1020217017596A KR 20217017596 A KR20217017596 A KR 20217017596A KR 20210107645 A KR20210107645 A KR 2021010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ircui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가와시마
코지 쿠스노키
카즈노리 와타나베
나오토 쿠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21010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H01L27/3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9Details of voltage level shif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저소비 전력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반전 회로, 및 데이터를 가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화소를 가지는 표시 장치이고, 반전 회로는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반전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화소는 소스 드라이버 및 반전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가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화소에서는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의 수배의 전압을 생성하고 표시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을 작게 할 수 있어, 저소비 전력의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기술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등에서 개시(開示)하는 발명의 일 형태의 기술분야는 물건, 방법, 또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공정(process), 기계(machine), 제품(manufacture), 또는 조성물(composition of matter)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더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기술분야로서는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조명 장치, 축전 장치, 기억 장치, 촬상 장치, 이들의 동작 방법, 또는 이들의 제조 방법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반도체 장치란, 반도체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능할 수 있는 장치 전반을 가리킨다. 트랜지스터, 반도체 회로는 반도체 장치의 일 형태이다. 또한 기억 장치, 표시 장치, 촬상 장치, 전자 기기는 반도체 장치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기판 위에 형성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아연 또는 In-Ga-Zn계 산화물을 사용한 트랜지스터를 표시 장치의 화소의 스위칭 소자 등에 사용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오프 전류가 매우 낮은 트랜지스터를 메모리 셀에 사용하는 구성의 기억 장치가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238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9605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19674호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저소비 전력화를 위해서는 표시 장치의 저전압 동작이 하나의 수단이 된다.
표시 장치가 가지는 소스 드라이버는, 고속이며 구동 전압이 낮은 로직부, 및 고내압이며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앰프부를 가진다. 비교적 높은 전원 전압을 필요로 하는 앰프부의 소비 전력은 로직부의 소비 전력보다 높다.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을 작게 하는 것 즉 앰프부의 전원 전압을 작게 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으면 앰프부를 로직부와 같은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앰프부와 로직부의 테크놀로지를 공통화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의 소비 전력 및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화소에서는 입력 데이터가 저전압이어도 표시 디바이스를 적절히 동작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저소비 전력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 이상의 전압을 표시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표시 화상의 휘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저비용 드라이버로 동작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신규 표시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상기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신규 반도체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이들 과제의 기재는 다른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과제 모두를 해결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들 이외의 과제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백해지는 것이며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이들 이외의 과제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저소비 전력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회로와, 제 2 회로와, 화소를 가지는 표시 장치로서, 제 1 회로와 제 2 회로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회로와 화소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회로와 화소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회로는 제 1 데이터를 제 2 회로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제 1 회로는 제 1 데이터를 화소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제 2 회로는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를 화소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제 1 데이터의 전위를 D1로, 제 2 데이터의 전위를 D2로, 기준 전위를 V0으로 한 경우, V0=(D1+D2)/2의 관계에 있고, 화소는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3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제 3 데이터에 따라 표시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이다.
제 2 회로는 제 3 회로를 더 가질 수 있다. 제 3 회로는 출력 경로의 선택 기능을 가지고, 제 3 회로의 입력 단자는 제 2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회로의 출력 단자는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화소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와, 제 3 트랜지스터와, 제 1 커패시터와, 제 4 회로를 가지고, 제 1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은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3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은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제 2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제 1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제 2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회로는 표시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제 3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제 1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제 4 회로는 표시 디바이스로서 액정 디바이스를 가지고, 액정 디바이스의 한쪽 전극은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커패시터를 가지고, 제 2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은 액정 디바이스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좋다.
또는 제 4 회로는 제 4 트랜지스터와, 제 3 커패시터와, 표시 디바이스로서 발광 디바이스를 가지고,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발광 디바이스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발광 디바이스의 한쪽 전극은 제 3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은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 2 회로는 제 5 트랜지스터와, 제 6 트랜지스터와, 제 7 트랜지스터와, 제 8 트랜지스터와, 제 9 트랜지스터와, 제 10 트랜지스터와, 제 4 커패시터와, 제 5 커패시터를 가지고,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4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은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5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7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7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4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은 제 8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8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6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8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제 9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9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5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9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제 10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0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제 1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 2 회로, 제 3 회로, 및 화소가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채널 형성 영역에 금속 산화물을 가지고, 금속 산화물은 In과 Zn과 M(M은 Al, Ti, Ga, Sn, Y, Zr, La, Ce, Nd, 또는 Hf)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에 표시 디바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화소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이고, 제 1 데이터와, 특정의 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데이터를 반전한 제 2 데이터를 생성하고,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에 제 1 데이터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에 제 2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1 단계와,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을 부유 상태로 한 상태에서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에 제 1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2 단계를 가지고, 이 순서대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저소비 전력의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 이상의 전압을 표시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화상의 휘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저비용 드라이버로 동작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규 표시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규 반도체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반전 회로 및 화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반전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반전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반전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의 (A), (B)는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화소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의 (A), (B)는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반전 회로 및 화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B)는 반전 회로 및 화소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는 반전 회로, 선택 회로, 및 화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A), (B)는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반전 회로를 생략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A) 내지 (D)는 표시 디바이스를 가지는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의 (A) 내지 (D)는 표시 디바이스를 가지는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A), (B)는 화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의 (A) 내지 (C)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의 (A), (B)는 터치 패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의 (A), (B)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A), (B)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의 (A), (B)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의 (A) 내지 (E)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A1) 내지 (C2)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의 (A1) 내지 (C2)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의 (A1) 내지 (C2)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의 (A1) 내지 (C2)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의 (A) 내지 (F)는 전자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 기재된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구성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다른 도면 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을 구성하는 같은 요소의 해칭을 다른 도면 간에서 적절히 생략 또는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회로도상에서는 단일 요소로서 도시된 경우에도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으면 상기 요소가 복수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스위치로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는 복수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도 좋은 경우가 있다. 또한 커패시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하나의 도전체가 배선, 전극, 및 단자 등 복수의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가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 요소에 대하여 복수의 호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회로도상에서 요소 간이 직접 접속되는 것처럼 도시된 경우에도 실제로는 상기 요소 간이 복수의 도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도 직접 접속의 범주에 포함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데이터를 반전하는 기능을 가지는 회로(이하, 반전 회로), 및 데이터를 가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화소를 가지는 표시 장치이다.
반전 회로는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반전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화소는 소스 드라이버 및 반전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가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화소에서는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생성하고 표시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전압을 작게 할 수 있어, 저소비 전력의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반전 회로에 의하여 양의 데이터 전위 및 음의 데이터 전위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소스 드라이버가 출력할 수 있는 전위가 양 전위 및 음 전위 중 어느 쪽이어도, 액정 디바이스의 양극성 동작 및 음극성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드라이버의 회로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칩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 소스 드라이버로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반전이란 기준 전위와의 차의 절댓값이 같고(또는 실질적으로 같고) 원래의 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뜻한다. 원래의 데이터를 제 1 데이터(D1)로, 반전 후의 데이터를 제 2 데이터(D2)로, 기준 전위(예를 들어 코먼 전위)를 V0으로 한 경우, V0=(D1+D2)/2의 관계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설명의 대부분에서, 기준 전위를 0V로 하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절댓값이 같고 극성이 반대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 전위는 설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식을 만족한다면,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는 극성이 같아도 좋다. 또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는 절댓값이 달라도 좋다.
<표시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는 열 방향 및 행 방향으로 배치된 화소(10)를 가지는 표시 영역(15)과, 소스 드라이버(12)와, 게이트 드라이버(13)와, 회로(11)를 가진다. 소스 드라이버(12)는 회로(11) 및 화소(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게이트 드라이버(13)는 화소(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11)는 화소(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12) 및 게이트 드라이버(13)는 복수 개 있어도 좋다.
회로(11)는 예를 들어 화소(10)의 열마다 제공될 수 있고, 같은 열에 배치된 화소(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회로(11)는 반전 회로이고, 소스 드라이버(12)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전위(제 1 데이터)를 반전한 아날로그 전위(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소(10)는 회로(20) 및 회로(21)를 가진다. 회로(20)는 소스 드라이버(12)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및 회로(11)로부터 공급되는 제 2 데이터를 용량 결합에 의하여 가산하여 제 3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회로(21)는 표시 디바이스를 가지고, 회로(20)로부터 공급되는 제 3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표시 장치의 임의의 1열(제 m 열)에 배치된 회로(11) 및 수직 방향(소스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인접한 화소(10)(화소(10[n, m]), 화소(10[n+1, m])(m, n은 1 이상의 자연수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반전 회로>
도 3에 회로(1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회로(11)는 트랜지스터(111)와, 트랜지스터(112)와, 트랜지스터(113)와, 트랜지스터(114)와, 트랜지스터(115)와, 트랜지스터(116)와, 커패시터(117)와, 커패시터(118)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1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커패시터(117)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패시터(117)의 한쪽 전극은 트랜지스터(11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커패시터(117)의 다른 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패시터(117)의 다른 쪽 전극은 트랜지스터(114)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4)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트랜지스터(115)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115)의 게이트는 커패시터(118)의 한쪽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트랜지스터(116)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서, 트랜지스터(11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입력 단자에 상당하고, 배선(127[m_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16)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출력 단자에 상당하고, 배선(127[m_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회로(11)는 입력 단자에 상당하는 요소 및 출력 단자에 상당하는 요소를 가지고,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전위를 반전하고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113)의 게이트는 배선(12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2)의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114)의 게이트는 배선(129)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6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6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패시터(118)의 다른 쪽 전극은 배선(16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6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6)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6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6)의 게이트는 배선(16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28, 129)은 게이트선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선(128, 129)은 회로(11)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배선(161, 162, 163, 164, 165)은 전원선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선(161, 163, 165)은 저전위 전원선, 배선(162, 164)은 고전위 전원선으로 할 수 있다. 배선(166)은 정전위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열에 배치된 회로(11)가 트랜지스터(112) 및 트랜지스터(113)를 공유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4에는 3열 이상에서 트랜지스터(112) 및 트랜지스터(113)가 공유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2열에서 공유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도 4에서는 트랜지스터(112) 및 트랜지스터(113)가 회로(11) 테두리 밖에 도시되어 있지만, 트랜지스터(112) 및 트랜지스터(113)는 각 회로(11)가 공유하는 요소이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로(11)의 구성 요소를 줄일 수 있어 내로 베젤화에 유효하다.
<화소 회로>
화소(10)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회로(20)와,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회로(21)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회로(20)는 트랜지스터(101)와, 트랜지스터(102)와, 트랜지스터(103)와, 커패시터(104)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커패시터(104)의 한쪽 전극은 트랜지스터(10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회로(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패시터(104)의 다른 쪽 전극은 트랜지스터(10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트랜지스터(10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21)는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표시 디바이스 등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회로(11) 및 화소(10) 각각이 가지는 요소와, 각종 배선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소(10[n, m])에서, 트랜지스터(101)의 게이트는 배선(126[n])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2)의 게이트는 배선(125[n])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3)의 게이트는 배선(126[n])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27[m_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27[m_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27[m_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25, 126)은 게이트선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배선(125, 126)은 게이트 드라이버(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도 1 참조). 배선(127(127[m_1], 127[m_2]))은 소스선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배선(127[m_1])은 소스 드라이버(12)가 가지는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화소(10)와 배선(127[m_1]) 및 배선(127[m_2])의 접속 관계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배선(127[m_1])과 배선(127[m_2])이 서로 바뀐 접속 관계에 있어도 좋다.
여기서, 회로(11)에서, 트랜지스터(11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커패시터(117)의 한쪽 전극과, 트랜지스터(11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을 접속하는 배선을 노드(NA)로 한다. 트랜지스터(11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커패시터(117)의 다른 쪽 전극과, 트랜지스터(114)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을 접속하는 배선을 노드(NB)로 한다. 트랜지스터(114)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과, 트랜지스터(115)의 게이트와, 커패시터(118)의 한쪽 전극을 접속하는 배선을 노드(NC)로 한다. 트랜지스터(11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트랜지스터(116)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배선(127[m_2])을 접속하는 배선을 노드(ND)로 한다.
또한 화소(10)에서, 커패시터(104)의 한쪽 전극과, 트랜지스터(10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회로(21)를 접속하는 배선을 노드(NM)로 한다. 커패시터(104)의 다른 쪽 전극과, 트랜지스터(10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트랜지스터(10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을 접속하는 배선을 노드(NE)로 한다.
노드(NM)는 부유 상태로 할 수 있고, 회로(21)가 가지는 표시 디바이스는 노드(NM)의 전위에 따라 동작한다.
<반전 동작의 설명>
회로(11)에서는, 먼저 노드(NA)에 "+D"(제 1 데이터)를, 노드(NB)에 "+V1"(예를 들어 양의 전원 전위)를 기록한다. 이때, 커패시터(117)에는 "+V1-D1"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노드(NB)를 부유 상태로 하고, 노드(NA)에 "-V1"(예를 들어 음의 전원 전위)를 기록한다.
이때, 커패시터(117)의 용량값을 C117로 하고, 노드(NB)의 용량값을 CNB로 하면, 노드(NB)의 전위는 "+V1+(C117/(C117+CNB))×(-V1-D1)"이 된다. 여기서, C117의 값을 크게 하여 CNB의 값을 무시할 수 있게 되면, 노드(NB)의 전위는 "-D1"이 된다.
노드(NB)의 전위는 스위치(트랜지스터(114))를 통하여 노드(NC)에 공급된다. 또한 노드(NC)의 전위는 소스 폴로어 회로(트랜지스터(115, 116))를 통하여 노드(ND)에 출력된다. 즉, 먼저 노드(NA)에 입력된 "+D"의 반전 데이터인 "-D"(제 2 데이터)를 노드(ND)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제 1 데이터에 양의 전위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음의 전위이어도 좋다.
<가산 동작(승압 동작)의 설명>
화소(10)에서는, 먼저, 노드(NM)에 "+D"(제 1 데이터)를, 노드(NE)에 "-D"(제 2 데이터)를 서로 겹치는 타이밍에 기록한다. 이때, 커패시터(117)에는 "+D-(-D)=+2D"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노드(NM)를 부유 상태로 하고, 노드(NE)에 "+D"를 공급한다.
이때, 커패시터(117)의 용량값을 C117로 하고, 노드(NM)의 용량값을 CNM로 하면, 노드(NM)의 전위는 "+D1+(C117/(C117+CNM))×(+D-(D))"가 된다. 여기서, C117의 값을 크게 하여 CNM의 값을 무시할 수 있게 되면, 노드(NM)의 전위는 "+D+(+D-(-D))"="+3D"가 된다.
즉, 소스 드라이버(12)의 출력의 약 3배의 전위인 제 3 데이터("+3D")를 노드(NM)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작용에 의하여, 일반적인 액정 디바이스나 발광 디바이스 등을 구동하기 위하여 소스 드라이버(12)로부터 공급하는 전압을 최대 약 1/3까지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저소비 전력화할 수 있다. 또는 범용 드라이버 IC를 사용하여도 높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조 제어에 높은 전압이 필요한 액정 디바이스 등을 범용 드라이버 IC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12)의 전원 전압을 낮출 수 있으므로 소스 드라이버의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하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가 가지는 복수의 회로의 전원 전압을 같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회로를 공통의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버의 제작 공정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11)에서 생성한 반전 데이터 전위를 특정의 화소(10)에 공급하여 노드(NM)의 전위를 확정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같은 행의 각 화소(10)에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각 화소(10)의 노드(NM)의 전위를 확정시킬 수 있다. 즉, 각 화소(10)에 상이한 화상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노드(NA), 노드(NB), 노드(NC), 노드(ND), 노드(NE), 노드(NM)는 기억 노드로서 작용한다. 각 노드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를 도통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각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를 비도통으로 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각 노드에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에 오프 전류가 매우 낮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누설 전류를 억제할 수 있고, 각 노드의 전위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에는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을 채널 형성 영역에 사용한 트랜지스터(이하, 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101, 102, 103, 111, 112, 113, 114, 115, 116) 중 어느 것 또는 모두에 OS 트랜지스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로(21)가 가지는 요소에 OS 트랜지스터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누설 전류량의 허용 범위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Si를 채널 형성 영역에 가지는 트랜지스터(이하, Si 트랜지스터)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는 OS 트랜지스터 및 Si 트랜지스터를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Si 트랜지스터로서는 비정질 실리콘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결정성 실리콘(미결정 실리콘, 저온 폴리실리콘, 단결정 실리콘)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등을 들 수 있다.
OS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로서는 에너지 갭이 2eV 이상, 바람직하게는 2.5eV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eV 이상인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인듐을 포함한 산화물 반도체 등이 있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CAAC-OS 또는 CAC-O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AAC-OS는 결정을 구성하는 원자가 안정적이고, 신뢰성을 중시하는 트랜지스터 등에 적합하다. 또한 CAC-OS는 고이동도 특성을 나타내므로, 고속 구동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 등에 적합하다.
OS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의 에너지 갭이 크기 때문에, 수yA/μm(채널 폭 1μm당 전류값)라는 매우 낮은 오프 전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OS 트랜지스터는 임팩트 이온화, 애벌란시(avalanche) 항복, 및 단채널 효과 등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등, Si 트랜지스터와는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신뢰성이 높은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Si 트랜지스터에서 문제가 되는 결정성의 불균일성에 기인하는 전기 특성의 편차도 OS 트랜지스터에서는 일어나기 어렵다.
OS 트랜지스터가 가지는 반도체층은 예를 들어 인듐, 아연, 및 M(알루미늄, 타이타늄, 갈륨, 저마늄, 이트륨, 지르코늄, 란타넘, 세륨, 주석, 네오디뮴, 또는 하프늄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In-M-Zn계 산화물로 표기되는 막으로 할 수 있다. In-M-Zn계 산화물은, 예를 들어 스퍼터링법, ALD(Atomic layer deposition)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M-Zn계 산화물을 스퍼터링법으로 성막하는 경우, 스퍼터링 타깃의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는 In≥M, Zn≥M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퍼터링 타깃의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로서는, In:M:Zn=1:1:1, In:M:Zn=1:1:1.2, In:M:Zn=3:1:2, In:M:Zn=4:2:3, In:M:Zn=4:2:4.1, In:M:Zn=5:1:6, In:M:Zn=5:1:7, In:M:Zn=5:1:8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막되는 반도체층의 원자수비는 각각 상기 스퍼터링 타깃에 포함되는 금속 원소의 원자수비의 ±40%의 변동을 포함한다.
반도체층에는 캐리어 농도가 낮은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에는 캐리어 농도가 1×1017/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15/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3/cm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1/cm3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1010/cm3 미만이고, 1×10-9/cm3 이상인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를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인 산화물 반도체라고 부른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결함 준위 밀도가 낮고, 안정된 특성을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로 하는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특성 및 전기 특성(전계 효과 이동도, 문턱 전압 등)에 따라 적절한 조성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필요로 하는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특성을 얻기 위하여, 반도체층의 캐리어 농도나 불순물 농도, 결함 밀도, 금속 원소와 산소의 원자수비, 원자 간 거리, 밀도 등을 적절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을 구성하는 산화물 반도체에 14족 원소의 하나인 실리콘이나 탄소가 포함되면, 산소 결손이 증가되어 n형화된다. 그러므로 반도체층에서의 실리콘이나 탄소의 농도(2차 이온 질량 분석법으로 얻어지는 농도)를 2×1018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17atoms/cm3 이하로 한다.
또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은 산화물 반도체와 결합하면 캐리어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고,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가 증대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반도체층에서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농도(2차 이온 질량 분석법으로 얻어지는 농도)를 1×1018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16atoms/cm3 이하로 한다.
또한 반도체층을 구성하는 산화물 반도체에 질소가 포함되면, 캐리어인 전자가 생기고 캐리어 농도가 증가되어 n형화되기 쉽다. 이 결과, 질소가 포함되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이 되기 쉽다. 그러므로 반도체층에서의 질소 농도(2차 이온 질량 분석법으로 얻어지는 농도)는 5×1018atoms/cm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도체층을 구성하는 산화물 반도체에 수소가 포함되면 금속 원자와 결합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물이 되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 내에 산소 결손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산화물 반도체 내의 채널 형성 영역에 산소 결손이 포함되면,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산소 결손에 수소가 들어간 결함은 도너로서 기능하고, 캐리어인 전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소의 일부가 금속 원자와 결합하는 산소와 결합하여, 캐리어인 전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이 되기 쉽다.
산소 결손에 수소가 들어간 결함은 산화물 반도체의 도너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함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산화물 반도체에서는 도너 농도가 아니라 캐리어 농도로 평가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등에서는 산화물 반도체의 파라미터로서 도너 농도가 아니라 전계가 인가되지 않는 상태를 상정한 캐리어 농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즉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캐리어 농도"는 "도너 농도"로 바꿔 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 내의 수소는 가능한 한 저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산화물 반도체에서 2차 이온 질량 분석법(SIMS: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으로 얻어지는 수소 농도를 1×1020atoms/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1×1019atoms/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1018atoms/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018atoms/cm3 미만으로 한다. 수소 등의 불순물이 충분히 저감된 산화물 반도체를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 영역에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전기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금속 산화물)는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와, 이 외의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 나누어진다.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CAAC-OS(C-Axis Aligned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다결정 산화물 반도체, nc-OS(nano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a-like OS(amorphous-like oxide semiconductor), 및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등이 있다. 비단결정 구조에서 비정질 구조는 결함 준위 밀도가 가장 높고, CAAC-OS는 결함 준위 밀도가 가장 낮다.
비정질 구조의 산화물 반도체막은 예를 들어 원자 배열이 무질서하며 결정 성분을 가지지 않는다. 또는 비정질 구조의 산화물막은 예를 들어 완전한 비정질 구조이며, 결정부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반도체층이 비정질 구조의 영역, 미결정 구조의 영역, 다결정 구조의 영역, CAAC-OS의 영역, 단결정 구조의 영역 중 2종류 이상을 가지는 혼합막이어도 좋다. 혼합막은 예를 들어 상술한 영역 중 어느 2종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아래에서는, 비단결정의 반도체층의 일 형태인 CAC(Cloud-Aligned Composite)-O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CAC-OS란,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를 구성하는 원소가 0.5nm 이상 1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nm 이상 2nm 이하, 또는 그 근방의 크기로 편재한 재료의 하나의 구성이다. 또한 아래에서는 산화물 반도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 원소가 편재하고, 상기 금속 원소를 가지는 영역이 0.5nm 이상 1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nm 이상 2nm 이하, 또는 그 근방의 크기로 혼합된 상태를 모자이크 패턴 또는 패치 패턴이라고도 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는 적어도 인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듐 및 아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에 더하여 알루미늄, 갈륨, 이트륨, 구리, 바나듐, 베릴륨, 붕소, 실리콘,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및 마그네슘 등 중에서 선택된 1종류 또는 복수 종류가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In-Ga-Zn 산화물에서의 CAC-OS(CAC-OS 중에서도 In-Ga-Zn 산화물을 특히 CAC-IGZO라고 불러도 좋음)란, 인듐 산화물(이하, InOX1(X1은 0보다 큰 실수(實數))로 함) 또는 인듐 아연 산화물(이하, InX2ZnY2OZ2(X2, Y2, 및 Z2는 0보다 큰 실수)로 함)과, 갈륨 산화물(이하, GaOX3(X3은 0보다 큰 실수)으로 함) 또는 갈륨 아연 산화물(이하, GaX4ZnY4OZ4(X4, Y4, 및 Z4는 0보다 큰 실수)로 함) 등으로 재료가 분리함으로써 모자이크 패턴이 되고, 모자이크 패턴의 InOX1 또는 InX2ZnY2OZ2가 막 내에 균일하게 분포된 구성(이하, 클라우드상(cloud-like)이라고도 함)이다.
즉 CAC-OS는 GaOX3이 주성분인 영역과,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이 혼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복합 산화물 반도체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제 1 영역의 원소 M에 대한 In의 원자수비가 제 2 영역의 원소 M에 대한 In의 원자수비보다 큰 것을, 제 1 영역은 제 2 영역과 비교하여 In의 농도가 높다고 한다.
또한 IGZO는 통칭이며, In, Ga, Zn, 및 O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화합물을 말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InGaO3(ZnO)m1(m1은 자연수임) 또는 In(1+x0)Ga(1-x0)O3(ZnO)m0(-1≤x0≤1, m0은 임의의 수임)으로 나타내어지는 결정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화합물은 단결정 구조, 다결정 구조, 또는 CAAC 구조를 가진다. 또한 CAAC 구조는 복수의 IGZO의 나노 결정이 c축 배향을 가지고 또한 a-b면에서는 배향하지 않고 연결된 결정 구조이다.
한편, CAC-OS는 산화물 반도체의 재료 구성에 관한 것이다. CAC-OS란 In, Ga, Zn, 및 O를 포함한 재료 구성에서, 일부에 Ga를 주성분으로 하는 나노 입자상으로 관찰되는 영역과, 일부에 In을 주성분으로 하는 나노 입자상으로 관찰되는 영역이 각각 모자이크 패턴으로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는 구성을 말한다. 따라서 CAC-OS에서 결정 구조는 부차적인 요소이다.
또한 CAC-OS는 조성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막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In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과, Ga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GaOX3이 주성분인 영역과,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에서는, 명확한 경계를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갈륨 대신에 알루미늄, 이트륨, 구리, 바나듐, 베릴륨, 붕소, 실리콘,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및 마그네슘 등 중에서 선택된 1종류 또는 복수 종류가 포함되는 경우, CAC-OS는 일부에 상기 금속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나노 입자상으로 관찰되는 영역과, 일부에 In을 주성분으로 하는 나노 입자상으로 관찰되는 영역이 각각 모자이크 패턴으로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는 구성을 말한다.
CAC-OS는 예를 들어 기판을 의도적으로 가열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CAC-OS를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성막 가스로서 불활성 가스(대표적으로는 아르곤),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성막 시의 성막 가스의 총유량에 대한 산소 가스의 유량비는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산소 가스의 유량비를 0% 이상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C-OS는 X선 회절(XRD: X-ray diffraction) 측정법의 하나인 Out-of-plane법에 의한 θ/2θ 스캔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명확한 피크가 관찰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즉 X선 회절 측정으로부터 측정 영역의 a-b면 방향 및 c축 방향의 배향이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AC-OS는 프로브 직경이 1nm인 전자선(나노 빔 전자선이라고도 함)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전자선 회절 패턴에서, 링 형상으로 휘도가 높은 영역(링 영역)과, 상기 링 영역에 복수의 휘점이 관측된다. 따라서 전자선 회절 패턴으로부터 CAC-OS의 결정 구조가 평면 방향 및 단면 방향에서 배향성을 가지지 않는 nc(nano-crystal) 구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In-Ga-Zn 산화물에서의 CAC-OS에서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EDX: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을 사용하여 취득한 EDX 매핑에 의하여, GaOX3이 주성분인 영역과,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이 편재되고 혼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AC-OS는 금속 원소가 균일하게 분포된 IGZO 화합물과는 상이한 구조이고, IGZO 화합물과는 상이한 성질을 가진다. 즉 CAC-OS는 GaOX3 등이 주성분인 영역과,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으로 서로 상분리(相分離)되어, 각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영역이 모자이크 패턴인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은 GaOX3 등이 주성분인 영역과 비교하여 도전성이 높은 영역이다. 즉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을 캐리어가 흐름으로써, 산화물 반도체로서의 도전성이 발현된다. 따라서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이 산화물 반도체 내에 클라우드상으로 분포됨으로써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μ)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GaOX3 등이 주성분인 영역은 InX2ZnY2OZ2 또는 InOX1이 주성분인 영역과 비교하여 절연성이 높은 영역이다. 즉, GaOX3 등이 주성분인 영역이 산화물 반도체 내에 분포됨으로써 누설 전류가 억제되어 양호한 스위칭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CAC-OS를 반도체 소자에 사용한 경우, GaOX3 등에 기인하는 절연성과, InX2ZnY2OZ2 또는 InOX1에 기인하는 도전성이 상보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높은 온 전류(Ion) 및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CAC-OS를 사용한 반도체 소자는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CAC-OS는 다양한 반도체 장치의 구성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11)가 소스 드라이버(12)에 포함되어도 좋다. 또는 소스 드라이버(12)와 회로(11)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는 스택 구조로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내로 베젤화가 가능하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12)에는 외장형 IC칩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기판 위에 화소 회로와 함께 모놀리식화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는 열마다 회로(11)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12)와 화소(10) 사이에 선택 회로(16)를 제공하고, 회로(11)와 화소(10) 사이에 선택 회로(17)를 제공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열의 화소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하나의 회로(11)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로(11)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내로 베젤화가 가능하다. 또한 도 5의 (B)에서는, 하나의 회로(11)에 의하여 3열분의 화소(10)(화소([m] 내지 [m+2]))에 기록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시간의 허용 범위에서 열수를 결정하면 좋다.
또한 도 5의 (B)의 구성을 변형하여,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 회로(18)를 통하여 회로(11)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5의 (B), (C)의 구성에 대하여 도 5의 (A)의 구성을 적용하여도 좋다.
회로(11)가 가지는 트랜지스터(111 내지 116)는 표시 영역(15)(도 1 참조) 외측에 제공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점유 면적의 제약을 받기 어려워, 화소(10)에 제공되는 트랜지스터보다 채널 폭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채널 폭이 큰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배선(127)에 대한 충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프레임 주파수를 높이기 쉽다. 또한 화소수가 많고 수평 기간이 짧은 고정세(高精細)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하기 쉽다.
또한 트랜지스터(111 내지 116)로서 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회로(1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비교적 높은 전압으로도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11 내지 116)를 IC칩 내에 제공된 Si 트랜지스터로 하는 경우에는, 보다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IC칩 내에 트랜지스터(111 내지 116)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상기 트랜지스터를 OS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다.
<표시 장치의 변형예>
도 6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12) 및 회로(11)는 표시 영역(15)의 한쪽 단부 측뿐만 아니라, 대향하는 다른 쪽 단부 측에도 제공하여도 좋다.
여기서, 표시 영역(15)의 한쪽 단부 측에 제공된 회로(11)를 회로(11A)로 한다. 회로(11A)는 소스 드라이버(12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표시 영역(15)의 다른 쪽 단부 측에 제공된 회로(11)를 회로(11B)로 한다. 회로(11B)는 소스 드라이버(12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선(127[1], 127[2])을 고속으로 충방전할 수 있어, 화소수가 많고 수평 기간이 짧은 표시 장치, 배선(127)의 기생 용량이 큰 대형 표시 장치 등에 대응하기 쉽다.
또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10[1]) 내지 화소(10[x])(x는 2 이상의 자연수이고, 예를 들어 실질적인 행의 중앙 값 등)에 소스 드라이버(12A) 및 회로(11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화소(10[x+1]) 내지 화소(10[y])(y는 행의 마지막 값)에 소스 드라이버(12B) 및 회로(11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소스 드라이버(12A) 및 회로(11A)는 배선(127[1a], 127[2a])의 충방전을 수행하고, 소스 드라이버(12B) 및 회로(11B)는 배선(127[1b], 127[2b])의 충방전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배선(127)을 분할함으로써 배선(127)의 충방전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고속 구동에 대응하기 쉽다.
또한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게이트 드라이버(13A, 13B))를 제공하여도 좋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및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를 사용함으로써, 분할한 배선(127) 각각에 대하여 병행하여 충방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록 시간을 확보하기 쉽다.
도 6의 (B), (C)는 소위 분할 구동을 수행하는 구성이고, 화소 수가 많고 수평 기간이 짧은 표시 장치이어도 데이터의 기록을 수행하기 쉽다.
<반전 회로의 동작 예>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 및 도 8의 (A), (B)에 나타낸 회로 동작의 설명도를 사용하여, 회로(11)에서의 반전 동작의 자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고전위를 "H"로, 저전위를 "L"로 나타낸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12)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데이터를 "+D"로, 배선(161)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의 전원 전위를 "-V1"로, 배선(162)으로부터 공급되는 양의 전원 전위를 "+V1"로 한다. 또한 "+D[n]"은 제 n 행의 화소 데이터를, "+D[n+1]"은 제 n+1 행의 화소 데이터를 뜻한다.
또한 여기서는 전위의 분배, 결합, 또는 손실에서 회로의 구성이나 동작 타이밍 등에 기인하는 자세한 변화는 감안하지 않는다. 또한 커패시터를 사용한 용량 결합에 의한 전위의 변화는 상기 커패시터와, 접속되는 요소의 용량비에 의존하지만, 설명의 명료화를 위하여 상기 요소의 용량값은 충분히 작은 값으로 가정한다.
시각 T1에서, 배선(127[m_1])에 "+D[n]"을 공급하고, 배선(128)의 전위를 "H"로 하고, 배선(129[n])"의 전위를 "L"로 하면, 트랜지스터(111, 113)가 도통되고, 노드(NA)의 전위는 "+D[n]"이 되고, 노드(NB)의 전위는 "+V1"이 된다(도 8의 (A) 참조). 이때, 커패시터(117)에는 "+V1-D[n]"이 유지된다.
시각 T2에서, 배선(128)의 전위를 "L"로 하고, 배선(129)"의 전위를 "H"로 하면, 트랜지스터(111, 113)가 비도통이 되고, 트랜지스터(112, 114)가 도통된다. 이때, 노드(NA)의 전위는 "-V1"이 되고, 커패시터(117)의 용량 결합에 의하여 노드(NB)의 전위는 "+V1+(-V1-D[n])"="-D[n]"이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14)를 통하여 노드(NC)의 전위는 "-D[n]"이 된다. 노드(NC)의 전위는 트랜지스터(115) 및 트랜지스터(116)로 구성되는 소스 폴로어 회로에 의하여 노드(ND)에 판독된다. 즉 회로(11)는 배선(127[m_1])으로부터 입력된 "+D[n]"(제 1 데이터)를 반전한 "-D[n]"(제 2 데이터)를 배선(127[m_2])으로 출력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시각 T3에서, 배선(128)의 전위를 "L"로 하고, 배선(129)의 전위를 "L"로 하면, 트랜지스터(112, 114)가 비도통이 되고, 노드(NC)의 전위가 유지된다. 즉 배선(127[m_2])에 출력된 "-D[n]"은 유지된다.
시각 T4 내지 시각 T6에서, 배선(127[m_1])에 "+D[n+1]"을 공급하여 반전 데이터 "-D[n+1]"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로(11)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반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소 회로의 동작 예>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 및 도 10의 (A), (B)에 나타낸 회로 동작의 설명도를 사용하여, 소스 드라이버(12)가 출력하는 데이터 전위의 약 3배의 데이터 전위를 화소(10)의 표시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화소(10)에 공급되는 제 2 데이터의 생성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각 T1에서, 배선(127[m, 1])에 "+D[n]"을 공급하고, 배선(127[m, 2])에 "-D[n]"을 공급하고, 배선(125[n])의 전위를 "L"로 하고, 배선(126[n])의 전위를 "H"로 하면, 트랜지스터(101, 103)가 도통되고, 노드(NM)의 전위는 "+D[n]"이 되고, 노드(NE)의 전위는 "-D[n]"이 된다. 이때, 커패시터(104)에는 "+2D[n]"이 유지된다(도 10의 (A) 참조).
시각 T2에서, 배선(125[n])의 전위를 "H"로 하고, 배선(126[n])의 전위를 "L"로 하면, 트랜지스터(101)가 비도통이 되고, 노드(NM)가 부유 상태가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03)가 비도통이 되고, 트랜지스터(102)가 도통되면, 노드(NE)의 전위는 "-D[n]"으로부터 "+D[n]"으로 재기록된다. 그 변화량이 커패시터(104)와 노드(NM)의 용량비에 따라 노드(NM)의 전위에 가산되므로, 노드(NM)의 전위는 "+D[n]+(+D[n]-(-D[n])"="+3D[n]"이 된다(도 10의 (B) 참조).
시각 T3에서, 배선(125[n])의 전위를 "L"로 하고, 배선(126[n])의 전위를 "L"로 하면, 트랜지스터(102)가 비도통이 되고, 노드(NE) 및 노드(NM)의 전위는 유지된다.
시각 T4 내지 시각 T6에서는, 배선(127[m, 1])에 "+D[n+1]"을 공급하고, 배선(127[m, 2])에 "-D[n+1]"을 공급하고,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화소([n+1, m])의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하여, 화소(10)에서는 소스 드라이버(12)로부터 공급된 전압의 약 3배의 전압을 표시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11의 (A)에 나타낸 구성은 화소(10)와 2개의 소스선의 접속 관계를 바꾼 구성이다. 배선(127[m_1])에는 트랜지스터(10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27[m_2])에는 트랜지스터(10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 및 트랜지스터(10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낸 구성의 화소(10)의 기록 동작은, 첫 번째 동작에서 소스 드라이버(12)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데이터와 회로(11)로부터 공급되는 제 2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하고, 두 번째 동작에서 제 1 데이터를 다시 기록한다. 이 경우, 두 번째 동작까지 제 1 데이터의 출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회로(11)가 대기하는 기간이 생긴다.
한편, 도 11의 (A)에 나타낸 구성의 화소(10)의 기록 동작은, 첫 번째 동작에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하고, 두 번째 동작에서 제 2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도 11의 (B)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n 행의 화소에 대한 데이터 기록 시간과, 회로(11)에서 제 n+1 행의 화소에 대한 반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간을 중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소수가 많고 수평 기간이 짧은 경우에도 기록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수평 기간을 단축하여도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2는 소스 드라이버(12) 및 회로(11)와, 화소(10) 사이에 선택 회로(19)가 제공된 구성이다.
선택 회로(19)는 트랜지스터(131)와, 트랜지스터(132)와, 트랜지스터(133)와, 트랜지스터(134)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3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트랜지스터(13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3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트랜지스터(13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3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트랜지스터(134)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34)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트랜지스터(13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3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배선(127[m_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27[m_1a])은 소스 드라이버(12)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3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27[m_2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27[m_2a])은 회로(11)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선택 회로(19)의 트랜지스터(131, 132)를 도통하고, 트랜지스터(133, 134)를 비도통으로 함으로써,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127[m_1a])에 출력된 데이터 "+D"를 배선(127[m_1b])에 출력하고, 배선(127[m_2a])에 출력된 데이터 "-D"를 배선(127[m_2b])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131, 132)를 비도통으로 하고, 트랜지스터(133, 134)를 도통함으로써,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127[m_1a])에 출력된 데이터 "+D"를 배선(127[m_2b])에 출력하고, 배선(127[m_1b])에 출력된 데이터 "-D"를 배선(127[m_2a])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액정 디바이스의 반전 동작(양극성 동작 및 음극성 동작)에 유효하다. 또한 회로(11)에서는 반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소스 드라이버가 출력할 수 있는 전위가 양 전위 및 음 전위 중 어느 쪽이어도 좋다. 따라서 기능이 간략화된 소스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기능이 간략화된 소스 드라이버는 회로 구성이 간략화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 및 칩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비용을 저감할 수도 있다.
<변형예 3>
소스 드라이버(12)가 제 1 데이터와, 그 반전 데이터인 제 2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11)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변형예 1 내지 변형예 3을 서로 조합할 수 있다.
<회로 21>
도 15의 (A) 내지 (D)는 회로(21)에 적용할 수 있고 표시 디바이스로서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A)에 나타낸 구성은 커패시터(141) 및 액정 디바이스(142)를 가진다. 액정 디바이스(142)의 한쪽 전극은 커패시터(141)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패시터(141)의 한쪽 전극은 노드(NM)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패시터(141)의 다른 쪽 전극은 배선(1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액정 디바이스(142)의 다른 쪽 전극은 배선(15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51, 152)은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배선(151, 152)은 GND나 0V 등의 기준 전위나 임의의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패시터(141)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드(NM)와 접속되는 트랜지스터에 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OS 트랜지스터는 누설 전류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저장 용량으로서 기능하는 커패시터(141)를 생략하여도 표시를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필드 시??셜 구동과 같이 고속 동작으로 표시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는 경우에도 커패시터(141)를 생략하는 것이 유효하다. 커패시터(141)를 생략함으로써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화소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의 (A), (B)의 구성에서는, 노드(NM)의 전위가 액정 디바이스(142)의 동작 문턱값 이상이 되었을 때 액정 디바이스(142)의 동작이 시작된다. 따라서, 노드(NM)의 전위가 확정되기 전에 표시 동작이 시작되는 경우가 있다. 다만,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노드(NM)의 전위가 확정될 때까지 백라이트를 소등하는 등의 동작을 병용함으로써, 불필요한 표시 동작이 수행되어도 그것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5의 (C)는 도 15의 (A)의 구성에 트랜지스터(143)를 부가한 구성이다. 트랜지스터(14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커패시터(141)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3)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노드(NM)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트랜지스터(143)의 도통에 따라 액정 디바이스(142)에 노드(NM)의 전위가 인가된다. 따라서 노드(NM)의 전위가 확정된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 액정 디바이스(142)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5의 (D)는 도 15의 (C)의 구성에 트랜지스터(144)를 부가한 구성이다. 트랜지스터(144)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액정 디바이스(142)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4)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5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5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170)는 커패시터(141) 및 액정 디바이스(142)에 공급된 전위를 리셋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6의 (A) 내지 (D)는, 회로(21)에 적용할 수 있고 표시 디바이스로서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의 (A)에 나타낸 구성은 트랜지스터(145)와, 커패시터(146)와, 발광 디바이스(147)를 가진다. 트랜지스터(14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발광 디바이스(147)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광 디바이스(147)의 한쪽 전극은 커패시터(146)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패시터(146)의 다른 쪽 전극은 트랜지스터(145)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5)의 게이트는 노드(NM)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5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광 디바이스(147)의 다른 쪽 전극은 배선(15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54, 155)은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배선(154)은 고전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선(155)은 저전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노드(NM)의 전위가 트랜지스터(111)의 문턱 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 발광 디바이스(147)에 전류가 흐른다.
또는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디바이스(147)의 한쪽 전극을 배선(154)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발광 디바이스(147)의 다른 쪽 전극을 트랜지스터(14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은 발광 디바이스(147)를 가지는 다른 회로(21)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6의 (C)는 도 16의 (A)의 구성에 트랜지스터(148)를 부가한 구성이다. 트랜지스터(148)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트랜지스터(14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8)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발광 디바이스(147)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노드(NM)의 전위가 트랜지스터(111)의 문턱 전압 이상이고 트랜지스터(148)가 도통되었을 때 발광 디바이스(147)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노드(NM)의 전위가 확정된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 발광 디바이스(147)의 발광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6의 (D)는 도 16의 (A)의 구성에 트랜지스터(149)를 부가한 구성이다. 트랜지스터(149)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트랜지스터(14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9)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배선(15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156)은 기준 전위 등의 특정 전위의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배선(156)으로부터 트랜지스터(145)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 특정 전위를 공급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기록을 안정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147)의 발광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배선(156)은 회로(171)와 접속될 수 있고, 모니터선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회로(171)는 상기 특정 전위의 공급원으로서의 기능, 트랜지스터(145)의 전기 특성을 취득하는 기능, 및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변형예>
또한 도 17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회로에서는, 백 게이트가 제공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17의 (A)는 백 게이트가 프런트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온 전류를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는 백 게이트가 정전위를 공급할 수 있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로(11) 및 회로(21)가 가지는 트랜지스터에도 백 게이트를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화소(10)에서 트랜지스터(101, 102)는 용량값이 비교적 큰 커패시터(104)를 신속히 충방전하는 역할을 한다. 트랜지스터(103)는 커패시터(104)와 회로(21)의 합성 용량(C)을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합성 용량(C)은 커패시터(104)의 용량값을 C104, 회로(21)의 용량값을 C21로 하였을 때, C104×(C21/(C104+C21))이 되고, C104보다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도 17의 (B)에 나타낸 개념도와 같이, 트랜지스터(103)로서는, 트랜지스터(101, 102)보다 전류 공급 능력이 작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103)의 채널 폭을 트랜지스터(101, 102)의 채널 폭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두 같은 크기의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개구율을 높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다음으로, 화소의 동작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화소(10)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회로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회로(21)로서는 액정 디바이스(Clc) 및 커패시터(Cs)를 가지는 구성을 사용하였다. 입력 전압을 약 3배로 하는 동작에서의 노드(NM)의 전압 변화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파라미터는 아래와 같고, 트랜지스터 크기는 L/W=3μm/60μm(트랜지스터(Tr1, Tr2)), L/W=3μm/30μm(트랜지스터(Tr3))로 하고, 커패시터(C1)의 용량값은 14.4pF로 하고, 커패시터(Cs)의 용량값은 1.2pF로 하고, 액정 소자(Clc)의 용량값은 1.2pF로 하였다. 게이트선(GL1, GL2)에 인가하는 전압은 "H"로서 +26V로, "L"로서 -21V로 하였다. 또한 VCOM 및 TCOM(코먼 전압)의 전위는 +8V로 하였다. 또한 회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서는 SPICE를 사용하였다.
도 19는 위에서 나타낸 화소의 타이밍 차트에 따른 동작의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가로축은 시간(초)을, 세로축은 화소(10)의 노드(NM)의 전압(V)을 나타낸다. 또한 SL1은 배선(127[m_1])에 상당하고, SL2는 배선(127[m_2])에 상당하고, GL1은 배선(126)에 상당하고, GL2는 배선(125)에 상당한다. 또한 양극성 동작 시에 DATA1은 +16V로, DATA2는 0V로 하였다. 음극성 동작시에 DATA1은 0V로, DATA2는 +16V로 하였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성 동작, 음극성 동작의 양쪽 모두가 코먼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약 21V(약 2.6배 이상) 승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의 향상 및 기생 용량의 저감 등을 수행함으로써 더 높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 등에 기재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디바이스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구성예와,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의 요소, 동작,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 장치에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화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는 게이트 드라이버에 상당하고, 신호선 구동 회로는 소스 드라이버에 상당한다.
도 2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사용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A)에서, 제 1 기판(4001) 위에 제공된 표시부(215)를 둘러싸도록 밀봉재(4005)가 제공되고, 밀봉재(4005) 및 제 2 기판(4006)으로 표시부(215)가 밀봉되어 있다.
도 20의 (A)에서, 주사선 구동 회로(221a), 신호선 구동 회로(231a), 신호선 구동 회로(232a), 및 공통선 구동 회로(241a)는 각각이 인쇄 기판(4041) 위에 제공된 집적 회로(4042)를 복수로 가진다. 집적 회로(4042)는 단결정 반도체 또는 다결정 반도체로 형성되어 있다. 공통선 구동 회로(241a)는 실시형태 1에 나타낸 배선(151, 152, 129, 154, 155) 등에 규정의 전위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주사선 구동 회로(221a), 공통선 구동 회로(241a), 신호선 구동 회로(231a), 및 신호선 구동 회로(232a)에 공급되는 각종 신호 및 전위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4018)를 통하여 공급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21a) 및 공통선 구동 회로(241a)가 가지는 집적 회로(4042)는 표시부(215)에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신호선 구동 회로(231a) 및 신호선 구동 회로(232a)가 가지는 집적 회로(4042)는 표시부(215)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집적 회로(4042)는 제 1 기판(4001) 위의 밀봉재(4005)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집적 회로(4042)의 접속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와이어 본딩법, COF(Chip On Film)법, COG(Chip On Glass)법, TCP(Tape Carrier Package)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0의 (B)는 신호선 구동 회로(231a) 및 신호선 구동 회로(232a)에 포함되는 집적 회로(4042)를 COG법으로 실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구동 회로의 일부 또는 전체를 표시부(215)와 같은 기판 위에 일체로 형성하여, 시스템 온 패널(system-on-panel)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의 (B)에서는 주사선 구동 회로(221a) 및 공통선 구동 회로(241a)를 표시부(215)와 같은 기판 위에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구동 회로를 표시부(215) 내의 화소 회로와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0의 (B)에서는 제 1 기판(4001) 위에 제공된 표시부(215)와, 주사선 구동 회로(221a) 및 공통선 구동 회로(241a)를 둘러싸도록, 밀봉재(4005)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15), 주사선 구동 회로(221a), 및 공통선 구동 회로(241a) 위에 제 2 기판(4006)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부(215), 주사선 구동 회로(221a), 및 공통선 구동 회로(241a)는 제 1 기판(4001)과 밀봉재(4005)와 제 2 기판(4006)에 의하여 표시 디바이스와 함께 밀봉되어 있다.
또한 도 20의 (B)에서는 신호선 구동 회로(231a) 및 신호선 구동 회로(232a)를 별도로 형성하고 제 1 기판(4001)에 실장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사선 구동 회로를 별도로 형성하고 실장하여도 좋고, 신호선 구동 회로의 일부 또는 주사선 구동 회로의 일부를 별도로 형성하고 실장하여도 좋다. 또한 도 2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 구동 회로(231a) 및 신호선 구동 회로(232a)를 표시부(215)와 같은 기판 위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 장치는 표시 디바이스가 밀봉되어 있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IC 등이 실장되어 있는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 1 기판 위에 제공된 표시부 및 주사선 구동 회로는 트랜지스터를 복수로 가진다. 상기 트랜지스터로서,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Si 트랜지스터 또는 OS 트랜지스터를 적용할 수 있다.
주변 구동 회로가 가지는 트랜지스터와, 표시부의 화소 회로가 가지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같아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주변 구동 회로가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모두 같은 구조의 트랜지스터이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가져도 좋다. 마찬가지로 화소 회로가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모두 같은 구조의 트랜지스터이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가져도 좋다.
또한 제 2 기판(4006) 위에는 입력 장치(4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의 (A) 내지 (C)에 나타낸 표시 장치에 입력 장치(4200)를 제공한 구성은 터치 패널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터치 패널이 가지는 검지 디바이스(센서 소자라고도 함)에 한정은 없다.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검지 디바이스로서 적용할 수 있다.
센서의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광학 방식, 감압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검지 디바이스를 가지는 터치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표면형 정전 용량 방식,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등이 있다. 또한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자기 용량 방식, 상호 용량 방식 등이 있다. 상호 용량 방식을 사용하면, 여러 지점을 동시에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터치 패널에는, 따로 제작된 표시 장치와 검지 디바이스를 접합시키는 구성, 표시 디바이스를 지지하는 기판 및 대향 기판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검지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전극 등을 제공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1의 (A), (B)에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도 21의 (A)는 터치 패널(4210)의 사시도이다. 도 21의 (B)는 입력 장치(4200)의 사시 개략도이다. 또한 명료화를 위하여 대표적인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었다.
터치 패널(4210)은 따로 제작된 표시 장치와 검지 디바이스를 접합시킨 구성을 가진다.
터치 패널(4210)은 입력 장치(4200)와 표시 장치를 가지고, 이들이 중첩되어 제공되어 있다.
입력 장치(4200)는 기판(4263), 전극(4227), 전극(4228), 복수의 배선(4237), 복수의 배선(4238), 및 복수의 배선(4239)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극(4227)은 배선(4237) 또는 배선(4239)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전극(4228)은 배선(4239)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FPC(4272b)는 복수의 배선(4237) 및 복수의 배선(4238)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FPC(4272b)에는 IC(4273b)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4001)과 제 2 기판(4006) 사이에 터치 센서를 제공하여도 좋다. 제 1 기판(4001)과 제 2 기판(4006) 사이에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외에,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한 광학식 터치 센서를 적용하여도 좋다.
도 22의 (A), (B)는 도 20의 (B)에서 N1-N2의 쇄선으로 나타낸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2의 (A), (B)에 나타낸 표시 장치는 전극(4015)을 가지고, 전극(4015)은 이방성 도전층(4019)을 통하여 FPC(4018)가 가지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2의 (A), (B)에서, 전극(4015)은 절연층(4112), 절연층(4111), 및 절연층(4110)에 형성된 개구에서 배선(401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4015)은 제 1 전극층(4030)과 같은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배선(4014)은 트랜지스터(4010) 및 트랜지스터(4011)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같은 도전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판(4001) 위에 제공된 표시부(215)와 주사선 구동 회로(221a)는 트랜지스터를 복수로 가지고, 도 22의 (A), (B)에는 표시부(215)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4010) 및 주사선 구동 회로(221a)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4011)를 예시하였다. 또한 도 22의 (A), (B)에서는 트랜지스터(4010) 및 트랜지스터(4011)로서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를 예시하였지만,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이어도 좋다.
도 22의 (A), (B)에서는 트랜지스터(4010) 및 트랜지스터(4011) 위에 절연층(4112)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 22의 (B)에서는 절연층(4112) 위에 격벽(45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4010) 및 트랜지스터(4011)는 절연층(4102) 위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4010) 및 트랜지스터(4011)는 절연층(4111) 위에 형성된 전극(4017)을 가진다. 전극(4017)은 백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A), (B)에 나타낸 표시 장치는 커패시터(4020)를 가진다. 커패시터(4020)는 트랜지스터(4010)의 게이트 전극과 같은 공정에서 형성된 전극(4021)과, 절연층(4103)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같은 공정에서 형성된 전극을 가지는 예를 나타내었다. 커패시터(40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도전층 및 절연층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표시부(215)에 제공된 트랜지스터(4010)는 표시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2의 (A)는 표시 디바이스로서 액정 디바이스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이다. 도 22의 (A)에서 표시 디바이스인 액정 디바이스(4013)는 제 1 전극층(4030), 제 2 전극층(4031), 및 액정층(4008)을 포함한다. 또한 배향막으로서 기능하는 절연층(4032), 절연층(4033)이 액정층(4008)을 끼우도록 제공되어 있다. 제 2 전극층(4031)은 제 2 기판(4006) 측에 제공되고, 제 1 전극층(4030)과 제 2 전극층(4031)은 액정층(4008)을 개재(介在)하여 중첩된다.
액정 디바이스(4013)로서는, 다양한 모드가 적용된 액정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Vertical Alignment) 모드, TN(Twisted Nematic) 모드, IPS(In-Plane-Switching) 모드, ASM(Axially Symmetric aligned Micro-cell)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 FLC(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모드, AFLC(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모드,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 VA-IPS 모드, 게스트 호스트 모드 등이 적용된 액정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노멀리 블랙형 액정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수직 배향(VA) 모드를 채용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하여도 좋다. 수직 배향 모드로서는, MVA(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모드,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 ASV(Advanced Super View) 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디바이스는 액정의 광학 변조 작용에 의하여 광의 투과 또는 비투과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이다. 액정의 광학적 변조 작용은 액정에 가해지는 전계(수평 방향의 전계, 수직 방향의 전계, 또는 비스듬한 방향의 전계를 포함함)에 의하여 제어된다. 액정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액정으로서는, 서모트로픽 액정, 저분자 액정, 고분자 액정,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강유전성 액정, 반강유전성 액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액정 재료는 조건에 따라 콜레스테릭상, 스멕틱상, 큐빅상, 키랄 네마틱상, 등방상 등을 나타낸다.
도 22의 (A)에서는 수직 전계 방식의 액정 디바이스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에는 수평 전계 방식의 액정 디바이스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수평 전계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는 블루상을 나타내는 액정을 사용하여도 좋다. 블루상은 액정상 중 하나이고, 콜레스테릭 액정을 승온시키면 콜레스테릭상으로부터 등방상으로 전이(轉移)하기 직전에 발현하는 상이다. 블루상은 좁은 온도 범위에서만 발현하기 때문에, 온도 범위를 개선하기 위하여 5중량% 이상의 키랄제를 혼합시킨 액정 조성물을 액정층(4008)에 사용한다. 블루상을 나타내는 액정과 키랄제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은 응답 속도가 빠르고 광학적 등방성을 나타낸다. 또한 블루상을 나타내는 액정과 키랄제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은 배향 처리가 불필요하고 시야각 의존성이 작다. 또한 배향막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러빙 처리도 불필요하게 되어, 러빙 처리에 기인한 정전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제작 공정 중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불량 또는 파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4035)는 절연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둥 형상의 스페이서이고, 제 1 전극층(4030)과 제 2 전극층(4031) 사이의 간격(셀 갭)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또한 구(球)상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차광층), 착색층(컬러 필터), 편광 부재, 위상차 부재, 반사 방지 부재 등의 광학 부재(광학 기판) 등을 적절히 제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편광 기판 및 위상차 기판에 의한 원편광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광원으로서 백라이트, 사이드 라이트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및 사이드 라이트로서 마이크로 LED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22의 (A)에 나타낸 표시 장치에서는, 제 2 기판(4006)과 제 2 전극층(4031) 사이에 차광층(4132), 착색층(4131), 절연층(4133)이 제공되어 있다.
차광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카본 블랙, 타이타늄 블랙, 금속, 금속 산화물, 복수의 금속 산화물의 고용체를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차광층은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막이어도 좋고, 금속 등의 무기 재료의 박막이어도 좋다. 또한 차광층에 착색층의 재료를 포함한 막의 적층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착색층에 사용되는 재료를 포함한 막과, 다른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착색층에 사용되는 재료를 포함한 막의 적층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착색층과 차광층의 재료를 공통화함으로써, 장치를 공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도 간략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착색층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금속 재료, 수지 재료, 안료 또는 염료가 포함된 수지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차광층 및 착색층은 예를 들어 잉크젯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A), (B)에 나타낸 표시 장치는 절연층(4111)과 절연층(4104)을 가진다. 절연층(4111)과 절연층(4104)으로서, 불순물 원소를 투과시키기 어려운 절연층을 사용한다. 절연층(4111)과 절연층(4104) 사이에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을 끼우면, 외부로부터의 불순물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디바이스로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발광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일렉트로루미네선스를 이용하는 EL 디바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EL 디바이스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발광성 화합물을 포함한 층("EL층"이라고도 함)을 가진다. EL 디바이스의 문턱 전압보다 큰 전위차를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발생시키면, EL층에 양극 측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 측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된다.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EL층에서 재결합하고, EL층에 포함되는 발광성 화합물이 발광한다.
EL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EL 디바이스 또는 무기 EL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재료로서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LED(마이크로 LED를 포함함)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EL층은 발광성 화합물 외에,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 정공 블로킹 재료,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 또는 양극성 물질(전자 수송성 및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 등을 가져도 좋다.
EL층은 증착법(진공 증착법을 포함함), 전사법, 인쇄법, 잉크젯법, 도포법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무기 EL 디바이스는 그 소자 구성에 따라 분산형 무기 EL 디바이스와 박막형 무기 EL 디바이스로 분류된다. 분산형 무기 EL 디바이스는 발광 재료의 입자를 바인더 내에 분산시킨 발광층을 가지는 것이며, 발광 메커니즘은 도너 준위와 억셉터 준위를 이용하는 도너-억셉터 재결합형 발광이다. 박막형 무기 EL 디바이스는 발광층을 유전체층 사이에 끼우고, 또한 그것을 전극 사이에 끼운 구조를 가지고, 발광 메커니즘은 금속 이온의 내각 전자 전이(inner-shell electron transition)를 이용하는 국재형 발광이다. 또한 여기서는, 발광 디바이스로서 유기 EL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발광 디바이스는 발광을 추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쌍의 전극 중 한쪽이 투명하면 좋다. 그리고,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 및 발광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과는 반대쪽의 면으로부터 발광을 추출하는 상면 사출(top emission) 구조나, 기판 측의 면으로부터 발광을 추출하는 하면 사출(bottom emission) 구조나, 양쪽 면으로부터 발광을 추출하는 양면 사출(dual emission) 구조의 발광 디바이스가 있고, 어느 사출 구조를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이든 적용할 수 있다.
도 22의 (B)는 표시 디바이스로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한 발광 표시 장치("EL 표시 장치"라고도 함)의 일례이다. 표시 디바이스인 발광 디바이스(4513)는 표시부(215)에 제공된 트랜지스터(40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4513)의 구성은 제 1 전극층(4030), 발광층(4511), 제 2 전극층(4031)의 적층 구조이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 디바이스(4513)로부터 추출되는 광의 방향 등에 따라 발광 디바이스(4513)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격벽(4510)은 유기 절연 재료 또는 무기 절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특히 감광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제 1 전극층(4030) 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의 측면이 연속된 곡률을 가지는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4511)은 단층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복수의 층이 적층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발광 디바이스(4513)의 발광색은 발광층(4511)을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백색, 적색, 녹색, 청색, 시안, 마젠타, 또는 황색 등으로 할 수 있다.
컬러 표시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는, 발광색이 백색인 발광 디바이스(4513)와 착색층을 조합하는 방법과, 화소마다 발광색이 상이한 발광 디바이스(4513)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후자의 방법보다 생산성이 높다. 한편, 후자의 방법에서는 화소마다 발광층(4511)을 나누어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자의 방법보다 생산성이 떨어진다. 다만, 후자의 방법에서는 전자의 방법보다 색 순도가 높은 발광색을 얻을 수 있다. 후자의 방법에 더하여 발광 디바이스(4513)에 마이크로캐비티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색 순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발광층(4511)은 퀀텀닷(quantum dot) 등의 무기 화합물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어, 퀀텀닷을 발광층에 사용함으로써 발광 재료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산소, 수소, 수분, 이산화 탄소 등이 발광 디바이스(4513)에 들어가지 않도록, 제 2 전극층(4031) 및 격벽(4510)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보호층으로서는 질화 실리콘, 질화산화 실리콘, 산화 알루미늄, 질화 알루미늄, 산화질화 알루미늄, 질화산화 알루미늄, DLC(Diamond Like Carbon)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4001), 제 2 기판(4006), 및 밀봉재(4005)로 밀봉된 공간에는 충전재(4514)가 제공되어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이 높고 탈가스가 적은 보호 필름(접합 필름, 자외선 경화 수지 필름 등)이나 커버재로 패키징(봉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4514)로서는 질소나 아르곤 등의 불활성 기체 외에,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열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PVC(폴리바이닐클로라이드),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silicone)계 수지, PVB(폴리바이닐뷰티랄), 또는 EVA(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재(4514)에 건조제가 포함되어도 좋다.
밀봉재(4005)에는 유리 프릿 등의 유리 재료나, 2액 혼합형 수지 등 상온에서 경화되는 경화 수지, 광 경화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밀봉재(4005)에 건조제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발광 디바이스의 사출면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타원 편광판을 포함함), 위상차판(λ/4판, λ/2판), 컬러 필터 등의 광학 필름을 적절히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반사 방지막을 제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표면의 요철에 의하여 반사광을 확산시켜 눈부심을 저감할 수 있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를 마이크로캐비티 구조로 함으로써, 색 순도가 높은 광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캐비티 구조와 컬러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눈부심이 저감되어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표시 디바이스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화소 전극층, 공통 전극층, 대향 전극층 등이라고도 함)에서는, 추출하는 광의 방향, 전극층이 제공되는 위치, 및 전극층의 패턴 구조에 따라 투광성, 반사성을 선택하면 좋다.
제 1 전극층(4030), 제 2 전극층(4031)에는, 산화 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 산화물, 산화 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타이타늄을 포함하는 인듐 산화물, 인듐 주석 산화물, 산화 타이타늄을 포함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실리콘을 첨가한 인듐 주석 산화물 등의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층(4030), 제 2 전극층(4031)은 텅스텐(W), 몰리브데넘(Mo), 지르코늄(Zr), 하프늄(Hf), 바나듐(V), 나이오븀(Nb), 탄탈럼(Ta), 크로뮴(Cr), 코발트(Co), 니켈(Ni), 타이타늄(Ti), 백금(Pt),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등의 금속, 그 합금, 또는 그 금속 질화물로부터 1종류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층(4030), 제 2 전극층(4031)은 도전성 고분자(도전성 폴리머라고도 함)를 포함하는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소위 ð전자 공액 도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닐린 또는 그 유도체, 폴리피롤 또는 그 유도체, 폴리싸이오펜 또는 그 유도체, 혹은 아닐린, 피롤, 및 싸이오펜 중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또는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는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파괴되기 쉽기 때문에, 구동 회로 보호용 보호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회로는 비선형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나 커패시터가 높이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는 스택 구조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4011) 및 트랜지스터(4022)를 중첩시켜 배치하면, 내로 베젤의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화소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4010), 트랜지스터(4023), 커패시터(4020) 등이 일부라도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도록 배치하면 개구율이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3에는 도 22의 (A)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스택 구조를 응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도 22의 (B)에 나타낸 EL 표시 장치에 응용하여도 좋다.
또한 화소 회로에서 전극이나 배선에 가시광에 대한 투광성이 높은 투광성 도전막을 사용함으로써, 화소 내의 광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어, 실질적으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도체층도 투광성을 가지기 때문에 개구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이들은 트랜지스터 등을 스택 구조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와 발광 장치를 조합하여 표시 장치를 구성하여도 좋다.
발광 장치는 표시면의 반대쪽 또는 표시면의 단부에 배치된다. 발광 장치는 표시 디바이스에 광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발광 장치는 백라이트라고도 부를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장치는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도광부(도광판이라고도 함)와, 상이한 색의 광을 나타내는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디바이스를 도광부의 측면 근방에 배치하면 도광부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광을 발할 수 있다. 도광부는 광로를 변경하는 기구(광 추출 기구라고도 함)를 가지고, 이에 의하여 발광 장치는 표시 패널의 화소부에 광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는 도광부를 제공하지 않고 화소 직하에 발광 장치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발광 장치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의 발광 디바이스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색(W)의 발광 디바이스를 가져도 좋다. 이들 발광 디바이스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는 그 발광 스펙트럼의 반치전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이 5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40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nm 이하인, 색 순도가 매우 높은 발광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반치전폭은 작으면 작을수록 좋고, 예를 들어 1n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컬러 표시를 수행할 때, 색 재현성이 높고 선명한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적색의 발광 디바이스에는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625nm 이상 650nm 이하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녹색의 발광 디바이스에는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515nm 이상 540nm 이하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색의 발광 디바이스에는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445nm 이상 470nm 이하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장치는 3색의 발광 디바이스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면서 이와 동기시켜 화소를 구동하고, 계시 가법 혼색법에 의거하여 컬러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방법은 필드 시??셜 구동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필드 시??셜 구동에서는 선명한 컬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매끄러운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화소를 복수의 상이한 색의 부화소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하나의 화소의 유효 반사 면적(유효 표시 면적, 개구율이라고도 함)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밝은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소에 컬러 필터를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소의 투과율도 향상시킬 수 있어 더 밝은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작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4의 (A), (B)는 필드 시??셜 구동이 가능한 표시 장치의 단면 개략도의 일례이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4001) 측에는 RGB 각 색의 발광이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필드 시??셜 구동에서는 RGB 각 색의 시분할 발광으로 색을 표현하기 때문에 컬러 필터는 불필요하다.
도 24의 (A)에 나타낸 백라이트 유닛(4340a)은 화소 직하에 확산판(4352)을 개재하여 발광 디바이스(4342)가 복수로 제공된 구성이다. 확산판(4352)은 발광 디바이스(4342)로부터 제 1 기판(4001) 측으로 사출된 광을 확산시키고 표시부 면내의 휘도를 균일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발광 디바이스(4342)와 확산판(4352)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편광판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확산판(4352)은 불필요하면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차광층(4132)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백라이트 유닛(4340a)에는 발광 디바이스(4342)를 많이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밝은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도광판은 불필요하고 발광 디바이스(4342)의 광 효율이 저하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발광 디바이스(4342)에 광 확산용의 렌즈(4344)를 제공하여도 좋다.
도 24의 (B)에 나타낸 백라이트 유닛(4340b)은 화소 직하에 확산판(4352)을 개재하여 도광판(4341)이 제공된 구성이다. 도광판(4341)의 단부에는 발광 디바이스(4342)가 복수로 제공된다. 도광판(4341)은 확산판(4352)과 반대쪽에 요철 형상을 가지고, 도파한 광을 상기 요철 형상으로 산란시켜 확산판(4352)의 방향으로 사출할 수 있다.
발광 디바이스(4342)는 인쇄 기판(4347)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B)에서는 RGB 각 색의 발광 디바이스(4342)가 중첩되도록 나타내었지만 깊이 방향으로 RGB 각 색의 발광 디바이스(4342)를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4341)에서 발광 디바이스(4342)와 반대쪽의 측면에는 가시광을 반사하는 반사층(4348)을 제공하여도 좋다.
백라이트 유닛(4340b)은 발광 디바이스(4342)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하고 또한 박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디바이스에는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로서는 액정과 고분자의 복합 재료를 가지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분자 분산형 액정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고분자 네트워크형 액정(PNLC(Polymer Network Liquid Crystal)) 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끼워지는 수지부의 3차원 네트워크 구조 내에 액정부가 제공된 구조이다. 액정부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부로서는 광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광 경화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單官能) 모노머,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 또는 이들을 혼합시킨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는 액정 재료의 굴절률의 이방성을 이용하여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킴으로써 표시를 수행한다. 또한 수지부도 굴절률의 이방성을 가져도 좋다.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액정 분자가 일정 방향으로 배열될 때 액정부와 수지부의 굴절률의 차이가 작아지는 방향이 발생하고, 상기 방향을 따라 입사하는 광은 액정부에서 산란되지 않고 투과한다. 따라서,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는 상기 방향으로부터는 투명한 상태로 시인된다. 한편,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액정 분자가 무작위하게 배열될 때 액정부와 수지부의 굴절률의 차이에 큰 변화가 생기지 않으므로 입사하는 광은 액정부에서 산란된다. 따라서,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는 시인 방향에 상관없이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
도 25의 (A)는 도 24의 (A)의 표시 장치의 액정 디바이스(4013)를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4016)로 바꾼 구성이다.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4016)는 액정부 및 수지부를 가지는 복합층(4009), 그리고 제 1 전극층(4030) 및 제 2 전극층(4031)을 가진다. 필드 시??셜 구동에 관한 요소는 도 24의 (A)와 동일하지만,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401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향막 및 편광판이 불필요하다. 또한 스페이서(4035)는 구상 형태로 나타내었지만 기둥 형상이어도 좋다.
도 25의 (B)는 도 24의 (B)의 표시 장치의 액정 디바이스(4013)를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4016)로 바꾼 구성이다. 도 24의 (B)의 구성에서는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4016)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경우에 광을 투과시키고,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광을 산란시키는 모드로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노멀 상태(표시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투명한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광을 산란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였을 때 컬러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5의 (B)에 나타낸 표시 장치의 변형예를 도 26의 (A) 내지 (E)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26의 (A) 내지 (E)에서는 명료화를 위하여 도 25의 (B)의 일부 요소를 사용하고 다른 요소를 생략하여 나타내었다.
도 26의 (A)는 제 1 기판(4001)이 도광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다. 제 1 기판(4001)의 외측 면에는 요철 형상을 제공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도광판을 별도로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으로 인한 광의 감쇠도 없어져 발광 디바이스(4342)가 사출하는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6의 (B)는 복합층(4009)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광이 입사하는 구성이다. 복합층(4009)과 제 2 기판(4006) 사이의 계면, 및 복합층(4009)과 제 1 기판(4001) 사이의 계면에서의 전반사를 이용하여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로부터 외부로 광을 사출할 수 있다. 복합층(4009)의 수지부에는 제 1 기판(4001) 및 제 2 기판(4006)보다 굴절률이 큰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4342)는 표시 장치의 1변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 2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2변에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3변 또는 4변에 제공하여도 좋다. 발광 디바이스(4342)를 복수의 변에 제공함으로써 광의 감쇠를 보완할 수 있고, 대면적 표시 디바이스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 26의 (D)는 발광 디바이스(4342)로부터 사출되는 광이 미러(4345)를 통하여 표시 장치에 도광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표시 장치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부터의 도광을 수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전반사광(total reflection light)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26의 (E)는 복합층(4009) 위에 층(4003)과 층(4004)의 적층을 가지는 구성이다. 층(4003) 및 층(4004) 중 한쪽은 유리 기판 등의 지지체이고, 다른 쪽은 무기막, 유기 수지의 코팅막 또는 필름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복합층(4009)의 수지부에는 층(4004)보다 굴절률이 큰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층(4004)에는 층(4003)보다 굴절률이 큰 재료를 사용한다.
복합층(4009)과 층(4004) 사이에는 첫 번째 계면이 형성되고, 층(4004)과 층(4003) 사이에는 두 번째 계면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첫 번째 계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투과한 광을 두 번째 계면에서 전반사시켜 복합층(4009)으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디바이스(4342)가 사출하는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B) 및 도 26의 (A) 내지 (E)에서의 구성은 서로 조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 등에 기재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트랜지스터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일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는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나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형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제조 라인에 맞추어, 사용하는 반도체층의 재료나 트랜지스터 구조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
도 27의 (A1)은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일종인 채널 보호형 트랜지스터(810)의 채널 길이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7의 (A1)에서, 트랜지스터(810)는 기판(771) 위에 형성된다. 또한 트랜지스터(810)는 기판(771) 위에 절연층(772)을 개재하여 전극(746)을 가진다. 또한 전극(746) 위에 절연층(726)을 개재하여 반도체층(742)을 가진다. 전극(746)은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절연층(726)은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742)의 채널 형성 영역 위에 절연층(741)을 가진다. 또한 반도체층(742)의 일부와 접촉하여 절연층(726) 위에 전극(744a) 및 전극(744b)을 가진다. 전극(744a)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한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극(744b)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다른 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극(744a)의 일부 및 전극(744b)의 일부는 절연층(741) 위에 형성된다.
절연층(741)은 채널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채널 형성 영역 위에 절연층(741)을 제공함으로써, 전극(744a) 및 전극(744b)의 형성 시에 발생하는 반도체층(742)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744a) 및 전극(744b)의 형성 시에 반도체층(742)의 채널 형성 영역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전기 특성이 양호한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810)는 전극(744a), 전극(744b), 및 절연층(741) 위에 절연층(728)을 가지고, 절연층(728) 위에 절연층(729)을 가진다.
반도체층(742)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전극(744a) 및 전극(744b)에서 적어도 반도체층(742)과 접촉하는 부분에, 반도체층(742)의 일부로부터 산소를 빼앗아 산소 결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742)에서 산소 결손이 발생한 영역은 캐리어 농도가 증가되므로, 상기 영역은 n형화되어 n형 영역(n+ 영역)이 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은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반도체층(742)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반도체층(742)으로부터 산소를 빼앗아 산소 결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료의 일례로서 텅스텐, 타이타늄 등을 들 수 있다.
반도체층(742)에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전극(744a) 및 전극(744b)과 반도체층(742)의 접촉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전계 효과 이동도나 문턱 전압 등의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반도체층(742)에 실리콘 등의 반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도체층(742)과 전극(744a) 사이 및 반도체층(742)과 전극(744b) 사이에, n형 반도체 또는 p형 반도체로서 기능하는 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형 반도체 또는 p형 반도체로서 기능하는 층은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절연층(729)은 외부로부터 트랜지스터로의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저감하는 기능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절연층(729)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27의 (A2)에 나타낸 트랜지스터(811)는 절연층(729) 위에 백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전극(723)을 가지는 점에서 트랜지스터(810)와 상이하다. 전극(723)은 전극(746)과 같은 재료 및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백 게이트 전극은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과 백 게이트 전극으로 반도체층의 채널 형성 영역을 끼우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백 게이트 전극을 게이트 전극과 같이 기능시킬 수 있다. 백 게이트 전극의 전위는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전위로 하여도 좋고, 접지 전위(GND 전위)나 임의의 전위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백 게이트 전극의 전위를 게이트 전극과 연동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전극(746) 및 전극(723)은 모두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726), 절연층(728), 및 절연층(729)은 각각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전극(723)은 절연층(728)과 절연층(729) 사이에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전극(746) 및 전극(723) 중 한쪽을 "게이트 전극"이라고 하는 경우, 다른 쪽을 "백 게이트 전극"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811)에서 전극(723)을 "게이트 전극"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전극(746)을 "백 게이트 전극"이라고 한다. 또한 전극(723)을 "게이트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811)를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일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전극(746) 및 전극(723) 중 어느 한쪽을 "제 1 게이트 전극"이라고 하고, 다른 쪽을 "제 2 게이트 전극"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반도체층(742)을 사이에 끼워 전극(746) 및 전극(723)을 제공함으로써, 또한 전극(746) 및 전극(723)을 동일한 전위로 함으로써, 반도체층(742)에서 캐리어가 흐르는 영역이 막 두께 방향에서 더 커지기 때문에, 캐리어의 이동량이 증가된다. 이 결과, 트랜지스터(811)의 온 전류가 커짐과 함께, 전계 효과 이동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811)는 점유 면적에 대하여 큰 온 전류를 가지는 트랜지스터이다. 즉, 요구되는 온 전류에 대하여 트랜지스터(811)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트랜지스터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집적도가 높은 반도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과 백 게이트 전극은 도전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외부에서 생기는 전계가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특히 정전기 등에 대한 전계 차폐 기능)을 가진다. 또한 백 게이트 전극을 반도체층보다 크게 형성하고, 백 게이트 전극으로 반도체층을 덮음으로써, 전계 차폐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백 게이트 전극을 차광성을 가지는 도전막으로 형성함으로써, 백 게이트 전극 측으로부터 반도체층에 광이 입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층의 광 열화를 방지하고,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시프트되는 등의 전기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신뢰성이 양호한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이 양호한 반도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7의 (B1)은, 도 27의 (A1)과는 상이한 구성의 채널 보호형 트랜지스터(820)의 채널 길이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트랜지스터(820)는 트랜지스터(810)와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지지만, 절연층(741)이 반도체층(742)의 단부를 덮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반도체층(742)과 중첩되는 절연층(741)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한 개구부에서, 반도체층(742)과 전극(744a)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반도체층(742)과 중첩되는 절연층(741)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형성한 다른 개구부에서, 반도체층(742)과 전극(744b)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절연층(741)에서 채널 형성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은 채널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27의 (B2)에 나타낸 트랜지스터(821)는 절연층(729) 위에 백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전극(723)을 가지는 점에서 트랜지스터(820)와 상이하다.
절연층(741)을 제공함으로써, 전극(744a) 및 전극(744b)의 형성 시에 발생하는 반도체층(742)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744a) 및 전극(744b)의 형성 시에 반도체층(742)의 박막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820) 및 트랜지스터(821)는 전극(744a)과 전극(746) 사이의 거리와 전극(744b)과 전극(746) 사이의 거리가 트랜지스터(810) 및 트랜지스터(811)보다 길다. 따라서, 전극(744a)과 전극(746)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극(744b)과 전극(746)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전기 특성이 양호한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7의 (C1)은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 중 하나인 채널 에칭형 트랜지스터(825)의 채널 길이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트랜지스터(825)는 절연층(741)을 사용하지 않고 전극(744a) 및 전극(744b)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전극(744a) 및 전극(744b)의 형성 시에 노출되는 반도체층(742)의 일부가 에칭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절연층(741)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7의 (C2)에 나타낸 트랜지스터(826)는 절연층(729) 위에 백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전극(723)을 가지는 점에서 트랜지스터(825)와 상이하다.
도 28의 (A1) 내지 (C2)에 트랜지스터(810, 811, 820, 821, 825, 826)의 채널 폭 방향에서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도 28의 (B2), (C2)에 나타낸 구조에서는, 게이트 전극과 백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게이트 전극과 백 게이트 전극의 전위는 동일한 전위가 된다. 또한 반도체층(742)은 게이트 전극과 백 게이트 전극 사이에 끼워져 있다.
게이트 전극 및 백 게이트 전극의 각각의 채널 폭 방향의 길이는 반도체층(742)의 채널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반도체층(742)의 채널 폭 방향 전체는 절연층(726, 741, 728, 729)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 및 백 게이트 전극으로 덮인 구성이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반도체층(742)을 게이트 전극 및 백 게이트 전극의 전계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트랜지스터(821) 또는 트랜지스터(826)와 같이, 게이트 전극 및 백 게이트 전극의 전계에 의하여, 채널 형성 영역이 형성되는 반도체층(742)을 전기적으로 둘러싸는 트랜지스터의 디바이스 구조를 Surrounded channel(S-channel) 구조라고 부를 수 있다.
S-channel 구조로 함으로써, 게이트 전극 및 백 게이트 전극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의하여 채널을 유발시키기 위한 전계를 효과적으로 반도체층(742)에 인가할 수 있으므로, 트랜지스터의 전류 구동 능력이 향상되어, 높은 온 전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온 전류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랜지스터를 미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S-channel 구조로 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
도 29의 (A1)에 예시된 트랜지스터(842)는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하나이다. 전극(744a) 및 전극(744b)은 절연층(728) 및 절연층(729)에 형성한 개구부에서 반도체층(74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극(746)과 중첩되지 않는 절연층(726)의 일부를 제거하고, 전극(746)과 잔존한 절연층(726)을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불순물을 반도체층(742)에 도입함으로써, 반도체층(742) 내에 자기 정합(自己整合)(셀프 얼라인먼트)적으로 불순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842)는 절연층(726)이 전극(746)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영역을 가진다. 반도체층(742)에서 절연층(726)을 통하여 불순물이 도입된 영역의 불순물 농도는 절연층(726)을 통하지 않고 불순물이 도입된 영역보다 낮다. 따라서, 반도체층(742)에서 절연층(726)과 중첩되는 영역이며 전극(746)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이 형성된다.
도 29의 (A2)에 나타낸 트랜지스터(843)는 전극(723)을 가지는 점에서 트랜지스터(842)와 상이하다. 트랜지스터(843)는 기판(771) 위에 형성된 전극(723)을 가진다. 전극(723)은 절연층(772)을 개재하여 반도체층(742)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진다. 전극(723)은 백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29의 (B1)에 나타낸 트랜지스터(844) 및 도 29의 (B2)에 나타낸 트랜지스터(845)와 같이, 전극(746)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의 절연층(726)을 모두 제거하여도 좋다. 또한 도 29의 (C1)에 나타낸 트랜지스터(846) 및 도 29의 (C2)에 나타낸 트랜지스터(847)와 같이 절연층(726)을 잔존시켜도 좋다.
트랜지스터(842) 내지 트랜지스터(847)에서도, 전극(746)을 형성한 후에, 전극(746)을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불순물을 반도체층(742)에 도입함으로써, 반도체층(742) 내에 자기 정합적으로 불순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전기 특성이 양호한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집적도가 높은 반도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0의 (A1) 내지 (C2)에 트랜지스터(842, 843, 844, 845, 846, 847)의 채널 폭 방향에서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트랜지스터(843), 트랜지스터(845), 및 트랜지스터(847)는 각각 상술한 S-channel 구조를 가진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랜지스터(843), 트랜지스터(845), 및 트랜지스터(847)를 S-channel 구조로 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 등에 기재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서 표시 기기, 퍼스널 컴퓨터, 기록 매체를 가지는 화상 기억 장치 또는 화상 재생 장치, 휴대 전화기, 휴대용을 포함하는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전자책 단말기,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카메라, 고글형 디스플레이(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카 오디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등),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프린터 복합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자동 판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예를 도 31에 나타내었다.
도 31의 (A)는 디지털 카메라이고, 하우징(961), 셔터 버튼(962), 마이크로폰(963), 스피커(967), 표시부(965), 조작 키(966), 줌 레버(968), 렌즈(969) 등을 가진다. 표시부(965)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화상의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1의 (B)는 휴대 정보 단말기이고, 하우징(911), 표시부(912), 스피커(913), 조작 버튼(914), 카메라(919) 등을 가진다. 표시부(912)가 가지는 터치 패널 기능에 의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91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화상의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1의 (C)는 휴대 전화기이고, 하우징(951), 표시부(952), 조작 버튼(953), 외부 접속 포트(954), 스피커(955), 마이크로폰(956), 카메라(957) 등을 가진다. 상기 휴대 전화기는 표시부(952)에 터치 센서를 가진다. 전화를 걸거나,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등의 모든 조작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으로 표시부(952)를 터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951) 및 표시부(952)는 가요성을 가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시켜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95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화상의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1의 (D)는 비디오 카메라이고, 제 1 하우징(901), 제 2 하우징(902), 표시부(903), 조작 키(904), 렌즈(905), 접속부(906), 스피커(907) 등을 가진다. 조작 키(904) 및 렌즈(905)는 제 1 하우징(901)에 제공되고, 표시부(903)는 제 2 하우징(902)에 제공된다. 표시부(903)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화상의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1의 (E)는 텔레비전이고, 하우징(971), 표시부(973), 조작 버튼(974), 스피커(975), 통신용 접속 단자(976), 광 센서(977) 등을 가진다. 표시부(973)에는 터치 센서가 제공되고, 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표시부(973)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화상의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1의 (F)는 디지털 사이니지이고, 대형의 표시부(922)를 가진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예를 들어 기둥(921)의 측면에 대형 표시부(922)가 장착된다. 표시부(92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표시 품위가 높은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 등에 기재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화소, 11: 회로, 11A: 회로, 11B: 회로, 12: 소스 드라이버, 12A: 소스 드라이버, 12B: 소스 드라이버, 13: 게이트 드라이버, 13A: 게이트 드라이버, 13B: 게이트 드라이버, 15: 표시 영역, 16: 선택 회로, 17: 선택 회로, 18: 선택 회로, 19: 선택 회로, 20: 회로, 21: 회로, 101: 트랜지스터, 102: 트랜지스터, 103: 트랜지스터, 104: 커패시터, 111: 트랜지스터, 112: 트랜지스터, 113: 트랜지스터, 114: 트랜지스터, 115: 트랜지스터, 116: 트랜지스터, 117: 커패시터, 118: 커패시터, 125: 배선, 126: 배선, 127: 배선, 128: 배선, 129: 배선, 131: 트랜지스터, 132: 트랜지스터, 133: 트랜지스터, 134: 트랜지스터, 141: 커패시터, 142: 액정 디바이스, 143: 트랜지스터, 144: 트랜지스터, 145: 트랜지스터, 146: 커패시터, 147: 발광 디바이스, 148: 트랜지스터, 149: 트랜지스터, 151: 배선, 152: 배선, 153: 배선, 154: 배선, 155: 배선, 156: 배선, 161: 배선, 162: 배선, 163: 배선, 164: 배선, 165: 배선, 166: 배선, 170: 회로, 171: 회로, 215: 표시부, 221a: 주사선 구동 회로, 231a: 신호선 구동 회로, 232a: 신호선 구동 회로, 241a: 공통선 구동 회로, 723: 전극, 726: 절연층, 728: 절연층, 729: 절연층, 741: 절연층, 742: 반도체층, 744a: 전극, 744b: 전극, 746: 전극, 771: 기판, 772: 절연층, 810: 트랜지스터, 811: 트랜지스터, 820: 트랜지스터, 821: 트랜지스터, 825: 트랜지스터, 826: 트랜지스터, 842: 트랜지스터, 843: 트랜지스터, 844: 트랜지스터, 845: 트랜지스터, 846: 트랜지스터, 847: 트랜지스터, 901: 하우징, 902: 하우징, 903: 표시부, 904: 조작 키, 905: 렌즈, 906: 접속부, 907: 스피커, 911: 하우징, 912: 표시부, 913: 스피커, 914: 조작 버튼, 919: 카메라, 921: 기둥, 922: 표시부, 951: 하우징, 952: 표시부, 953: 조작 버튼, 954: 외부 접속 포트, 955: 스피커, 956: 마이크로폰, 957: 카메라, 961: 하우징, 962: 셔터 버튼, 963: 마이크로폰, 965: 표시부, 966: 조작 키, 967: 스피커, 968: 줌 레버, 969: 렌즈, 971: 하우징, 973: 표시부, 974: 조작 버튼, 975: 스피커, 976: 통신용 접속 단자, 977: 광 센서, 4001: 기판, 4003: 층, 4004: 층, 4005: 밀봉재, 4006: 기판, 4008: 액정층, 4009: 복합층, 4010: 트랜지스터, 4011: 트랜지스터, 4013: 액정 디바이스, 4014: 배선, 4015: 전극, 4016: 광 산란형 액정 디바이스, 4017: 전극, 4018: FPC, 4019: 이방성 도전층, 4020: 커패시터, 4021: 전극, 4022: 트랜지스터, 4023: 트랜지스터, 4030: 전극층, 4031: 전극층, 4032: 절연층, 4033: 절연층, 4035: 스페이서, 4041: 인쇄 기판, 4042: 집적 회로, 4102: 절연층, 4103: 절연층, 4104: 절연층, 4110: 절연층, 4111: 절연층, 4112: 절연층, 4131: 착색층, 4132: 차광층, 4133: 절연층, 4200: 입력 장치, 4210: 터치 패널, 4227: 전극, 4228: 전극, 4237: 배선, 4238: 배선, 4239: 배선, 4263: 기판, 4272b: FPC, 4273b: IC, 4340a: 백라이트 유닛, 4340b: 백라이트 유닛, 4341: 도광판, 4342: 발광 디바이스, 4344: 렌즈, 4345: 미러, 4347: 인쇄 기판, 4348: 반사층, 4352: 확산판, 4510: 격벽, 4511: 발광층, 4513: 발광 디바이스, 4514: 충전재

Claims (11)

  1. 제 1 회로와, 제 2 회로와, 화소를 가지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 1 회로와 상기 제 2 회로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회로와 상기 화소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회로와 상기 화소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회로는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회로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제 1 회로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화소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제 2 회로는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를 상기 화소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제 1 데이터의 전위를 D1로, 상기 제 2 데이터의 전위를 D2로, 기준 전위를 V0으로 한 경우, V0=(D1+D2)/2의 관계에 있고,
    상기 화소는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3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제 3 데이터에 따라 표시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회로를 더 가지고,
    상기 제 3 회로는 출력 경로의 선택 기능을 가지고,
    상기 제 3 회로의 입력 단자는 상기 제 2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와, 제 3 트랜지스터와, 제 1 커패시터와, 제 4 회로를 가지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3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상기 제 2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상기 제 1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상기 제 2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회로는 표시 디바이스를 가지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회로는 상기 표시 디바이스로서 액정 디바이스를 가지고,
    상기 액정 디바이스의 한쪽 전극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커패시터를 더 가지고,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은 상기 액정 디바이스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회로는 제 4 트랜지스터와, 제 3 커패시터와, 상기 표시 디바이스로서 발광 디바이스를 가지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발광 디바이스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발광 디바이스의 한쪽 전극은 상기 제 3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제 5 트랜지스터와, 제 6 트랜지스터와, 제 7 트랜지스터와, 제 8 트랜지스터와, 제 9 트랜지스터와, 제 10 트랜지스터와, 제 4 커패시터와, 제 5 커패시터를 가지고,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4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은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7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7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4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은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5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은 상기 제 1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 상기 제 3 회로, 및 상기 화소가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채널 형성 영역에 금속 산화물을 가지고, 상기 금속 산화물은 In과 Zn과 M(M은 Al, Ti, Ga, Sn, Y, Zr, La, Ce, Nd, 또는 Hf)을 가지는, 표시 장치.
  10.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에 표시 디바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화소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 1 데이터와, 특정의 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를 반전한 제 2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에 제 1 데이터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에 상기 제 2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커패시터의 한쪽 전극을 부유 상태로 한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다른 쪽 전극에 상기 제 1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 2 단계를 가지고,
    상기 순서대로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전자 기기로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와,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기기.
KR1020217017596A 2018-12-26 2019-12-16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2101076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2749 2018-12-26
JP2018242749 2018-12-26
PCT/IB2019/060823 WO2020136494A1 (ja) 2018-12-26 2019-12-16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645A true KR20210107645A (ko) 2021-09-01

Family

ID=7112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596A KR20210107645A (ko) 2018-12-26 2019-12-16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373610B2 (ko)
JP (1) JP7477461B2 (ko)
KR (1) KR20210107645A (ko)
CN (1) CN113228327A (ko)
TW (1) TW202105347A (ko)
WO (1) WO2020136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6993B2 (en) 2018-12-19 2022-09-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055A (ja) 2005-09-29 2007-04-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2007123861A (ja) 2005-09-29 2007-05-1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11119674A (ja) 2009-10-30 2011-06-1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0489B2 (ja) 1995-02-16 2005-03-16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3705123B2 (ja) * 2000-12-05 2005-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階調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072332B2 (ja) 2001-01-09 2008-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908084B2 (ja) 2002-04-26 2007-04-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電子機器
KR20040078646A (ko) * 2002-10-11 2004-09-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
GB0318611D0 (en) 2003-08-08 2003-09-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ircuit for signal amplification and use of the same in active matrix devices
EP3614442A3 (en) 2005-09-29 2020-03-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xide semiconductor layer and manufactoring method thereof
US8310423B2 (en) * 2008-03-05 2012-11-13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head-up display
KR101783193B1 (ko) 2008-09-12 2017-09-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JP5310244B2 (ja) 2009-05-12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
CN102034443A (zh) 2009-09-30 2011-04-27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提高像素电极电压准确性的方法和阵列基板
TWI427606B (zh) * 2009-10-20 2014-02-21 Au Optronics Corp 具畫素資料自我保持機能之液晶顯示裝置與其靜止模式運作方法
JP5804732B2 (ja) 2011-03-04 2015-11-04 株式会社Joled 駆動方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20110387A (ko) 2011-03-29 2012-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소 회로 및 화소 회로의 구동 방법
KR101924417B1 (ko) * 2011-11-24 2019-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9583057B2 (en) * 2012-01-12 2017-02-28 Sharp Kabushiki Kaisha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JP6108856B2 (ja) 2012-03-09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6158588B2 (ja) * 2012-05-31 2017-07-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KR102131874B1 (ko) * 2013-11-04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529694B (zh) 2014-08-19 2016-04-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面板驅動電路、液晶畫素資料的升壓電路及驅動其的方法
US10140940B2 (en) 2015-07-24 2018-11-27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JP2017027012A (ja) * 2015-07-24 2017-02-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201709192A (zh) 2015-08-31 2017-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像素驅動電路及其驅動方法
US10224386B2 (en) * 2016-09-23 2019-03-05 Apple Inc. Display with power supply mesh
WO2019043483A1 (en) 2017-08-31 2019-03-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302278B2 (en) 2017-09-15 2022-04-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ixel and electronic device
JPWO2019123064A1 (ja) 2017-12-21 2021-01-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6669178B2 (ja) * 2018-01-30 2020-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612016B1 (ko) * 2018-12-13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436993B2 (en) 2018-12-19 2022-09-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055A (ja) 2005-09-29 2007-04-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2007123861A (ja) 2005-09-29 2007-05-1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11119674A (ja) 2009-10-30 2011-06-1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36494A1 (ko) 2020-07-02
US20240105138A1 (en) 2024-03-28
US11842705B2 (en) 2023-12-12
WO2020136494A1 (ja) 2020-07-02
CN113228327A (zh) 2021-08-06
US20220051639A1 (en) 2022-02-17
TW202105347A (zh) 2021-02-01
US20220319461A1 (en) 2022-10-06
US11373610B2 (en) 2022-06-28
JP7477461B2 (ja)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8927B2 (ja) 表示装置
KR102606487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715435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2024045230A (ja) 表示装置
US202401051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7487111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435637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20210091187A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671921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7486480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7412360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