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897A -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897A
KR20210106897A KR1020210016326A KR20210016326A KR20210106897A KR 20210106897 A KR20210106897 A KR 20210106897A KR 1020210016326 A KR1020210016326 A KR 1020210016326A KR 20210016326 A KR20210016326 A KR 20210016326A KR 20210106897 A KR20210106897 A KR 2021010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terminal
press
end side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데 우치다
다카유키 구로카와
히로카즈 모리
마사토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각선 단자를 하우징의 단자 장착 구멍에 삽입할 때에, 금속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각선 단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해결 수단] 하우징(2)에 마련된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되는 각선 단자(3)로서, 각선 단자(3)는, 일단측 압입부(311)와 타단측 압입부(312)를 가지며, 일단측 압입부(311) 및 타단측 압입부(312) 각각은, 축(X)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1a, 312a)와, 축(X) 방향에서 볼록부(311a, 312a)의 양측에 인접하여 마련된 한 쌍의 오목홈(311b, 312b)을 가지며,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에서 볼록부(311a, 312a) 및 홈(311b, 312b)의 양측에, 볼록부(311a, 312a) 또는 홈(311b, 31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R)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Rectangular wire terminal, connector, method for manufacturing rectangular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본 발명은, 각선(角線, rectangular wire)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의 단자를 하우징에 접속하는 경우, 예를 들면, 금속제의 각선 단자가 하우징에 형성된 각(角)구멍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각선 단자가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커넥터 단자의 압입부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압입부의 이면(裏面)으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도드라짐부가 형성된 커넥터 단자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커넥터 단자는, 압입부에 도드라짐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도드라짐부가 하우징의 장착 구멍의 내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573736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커넥터 단자와 같은 압입 구조의 경우, 커넥터 단자를 장착 구멍에 삽입할 때에, 장착 구멍의 내면과 도드라짐부가 넓은 면적에서 면접촉한 상태로 서로 슬라이드 접촉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 단자로부터 금속 버(burr)가 발생하여, 도통(導通)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커넥터 단자와 장착 구멍의 내면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있는 경우, 금속 버(burr)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지만, 커넥터 단자의 위치 정밀도가 나오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각선 단자를 하우징의 단자 장착 구멍에 삽입할 때에, 금속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각선 단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선 단자는, 하우징에 마련된 단자 장착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단자 장착 구멍에 유지되는 유지부를 가지는 각선 단자로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은, 상기 각선 단자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내면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각선 단자의 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의 축 방향 일단측에서 마련된 일단측 압입부와, 상기 유지부의 축 방향 타단측에서 마련되고, 상기 일단측 압입부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에서 이간하여 마련된 타단측 압입부를 가지며, 상기 일단측 압입부 및 상기 타단측 압입부 각각은,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의 양측에 인접하여 마련된 한 쌍의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볼록부의 꼭대기부 및 상기 오목홈의 저부는, 상기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이 마련된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서, 상기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일단측 압입부는,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 마련되고, 각각이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을 가지는 복수의 압입부를 가지며, 상기 각선 단자의 하나의 면에 마련된 압입부는, 상기 각선 단자의 하나의 면에 대해서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다른 면에 마련된 압입부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타단측 압입부는,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 마련되고, 각각이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을 가지는 복수의 압입부를 가지며, 상기 각선 단자의 하나의 면에 마련된 압입부는, 상기 각선 단자의 하나의 면에 대해서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다른 면에 마련된 압입부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선 단자는,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일단측 압입부와 상기 타단측 압입부와의 사이에, 상기 일단측 압입부의 볼록부 및 상기 타단측 압입부의 볼록부의 돌출 높이보다도 높은 돌출 높이를 가지는 걸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각선 단자와, 상기 각선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장착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일단측 압입부의 볼록부는,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상기 축 방향 일단측에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복수의 내면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단측 압입부의 볼록부는,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상기 축 방향 타단측에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복수의 내면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각선 단자를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한 가압 가공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 가공 공정은,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의 둘레 방향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 상기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선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압출된 상기 각선 단자의 여유 두께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의 사이에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각선 단자와, 상기 각선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장착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각선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자 장착 구멍에 삽입하는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각선 단자는, 상기 각선 단자를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한 가압 가공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가압 가공 공정은,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의 상기 둘레 방향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 상기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선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압출된 상기 각선 단자의 여유 두께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의 사이에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측 압입부의 볼록부는,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상기 축 방향 일단측에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복수의 내면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단측 압입부의 볼록부는,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상기 축 방향 타단측에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복수의 내면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각선 단자를 하우징의 단자 장착 구멍에 삽입할 때에, 금속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각선 단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각선 단자의 상면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각선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A)의 영역 A1의 부분 확대도이며, (B)는, 도 2의 (B)의 영역 A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B)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각선 단자가 하우징의 단자 장착 구멍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각선 단자의 유지부가 하우징의 단자 장착 구멍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의 압입부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 가공용의 금형에 의해서, 볼록부 및 오목홈이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B)는, 금형을 이용한 가압 가공에 의해서, 볼록부 및 오목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의 압입부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 가공용의 금형에 의해서, 볼록부 및 오목홈이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선 단자를 축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8의 (A)는, 각선 단자에 금속 버(burr)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B)는, 금속 버(burr)가 오목홈의 부분에서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의 (A)는,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서, 오목홈의 비형성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각선 단자의 참고 상면도이며, (B)는,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서, 오목홈의 비형성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은 각선 단자의 참고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본 발명의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는, 복수의 단자 장착 구멍(21)을 가지는 하우징(2)과, 단자 장착 구멍(21)에 유지되는 유지부(31)를 가지는 각선 단자(3)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은,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선 단자(3)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각선 단자(3)가 장착되는 장착면을 관통하여 마련된 단자 장착 구멍(21)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2)은 절연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단자 장착 구멍(21)은, 각선 단자(3)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내면에 의해서 획정(劃定)되고, 각선 단자(3)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단자 장착 구멍(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장착 구멍(21)은, 각선 단자(3)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며, 4개의 서로 수직인 내면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장착 구멍(21)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면(21a)(도 1에서의 상면) 및 제2 면(21b)(도 1에서의 하면)과, 제1 면(21a) 및 제2 면(21b)에 대해서 수직이고, 서로 대향하는 제3 면(21c)(도 1에서의 좌측의 면) 및 제4 면(21d)(도 1에서의 우측의 면)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제1 면(21a) 및 제2 면(21b)을 잇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고 부른다. 또, 제3 면(21c) 및 제4 면(21d)을 잇는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고 부른다. 또,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포함하는, 각선 단자(3)의 축(X) 둘레 방향을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양쪽 모두에 수직인 방향, 즉, 각선 단자(3)의 삽입·이탈 방향을 제3 방향(D3)이라고 부른다. 또, 삽입·이탈 방향인 제3 방향(D3) 중, 삽입 방향을 D31이라고 부르고, 이탈 방향을 D32라고 부른다(도 1 참조). 또, 각선 단자(3)의 축을 X라고 부르고, 단자 장착 구멍(21)의 축은, 각선 단자(3)의 축과 동축(同軸) 상이 되기 때문에, 단자 장착 구멍(21)의 축도 X라고 부른다.
단자 장착 구멍(21)은, 도 5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제4 면(21a~21d)에 의해 획정되고, 대략 직방체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는 직선부(211)와, 각선 단자(3)를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넓힌 입구부(212)를 가지고 있다(도 1에서는 입구부(212)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입구부(212)는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단자 장착 구멍(21)의 직선부(211)에서의 내면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방향(D3)에 평행하게 또한 평탄하게 나타내어져 있지만, 제3 방향(D3)에 대해서 약간 경사져 있거나, 제3 방향(D3)에서 약간 단차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또, 도 1에서는, 하우징(2) 중, 각선 단자(3)가 장착되는 장착면만을 나타내고 있고, 하우징(2)의 다른 부분은 생략하고 있다. 하우징(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선 단자(3)가 장착되는 여러가지 형상의 하우징(2)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단자 장착 구멍(2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라도 복수라도 괜찮다. 예를 들면, 단자 장착 구멍(21)은, 제1 방향(D1) 및/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서 복수 마련될 수 있다.
각선 단자(3)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되고, 하우징(2)에 접속된다. 각선 단자(3)는, 도 1, 도 2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가늘고 긴 핀 모양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선 단자(3)는, 도 2의 (A), (B),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단자 장착 구멍(21)의 제1 면(21a)에 대향하는 제1 면(3a), 단자 장착 구멍(21)의 제2 면(21b)에 대향하는 제2 면(3b), 단자 장착 구멍(21)의 제3 면(21c)에 대향하는 제3 면(3c), 단자 장착 구멍(21)의 제4 면(21d)에 대향하는 제4 면(3d)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각선 단자」라고 하는 경우, 각선 부분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의 단자를 포함한다. 각선 단자(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체가 직선 모양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지만, 일부 휨 가공이나 크러싱(crushing) 가공이 되어 있어도 괜찮다.
각선 단자(3)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선 단자(3)는, 도 1, 도 2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선 단자(3)의 축(X) 방향에서 양측에 전기 접촉부(32, 33)를 가지고 있다. 전기 접촉부(32)는, 예를 들면, 커넥터(1)와 접속되는 상대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단자에 접속된다. 한편, 전기 접촉부(33)는, 커넥터(1)가 실장되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납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도 2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기 접촉부(32) 및 전기 접촉부(33)의 사이에는, 하우징(2)의 단자 장착 구멍(21)에 유지되는 유지부(31)를 가지고 있다.
유지부(31)는, 단자 장착 구멍(21)에 압입되어, 단자 장착 구멍(21)에 유지되는, 각선 단자(3)의 축(X)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부분이다. 유지부(31)는, 도 2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유지부(31)의 축(X) 방향에서 일단측(각선 단자(3)의 삽입 방향(D31)측)에 마련된 일단측 압입부(311)와, 유지부(31)의 축(X) 방향에서 타단측(각선 단자(3)의 이탈 방향(D32)측)에 마련되고, 일단측 압입부(311)에 대해서 축(X) 방향에서 이간하여 마련된 타단측 압입부(312)를 가지고 있다. 또, 각선 단자(3) 중, 유지부(31)보다도 각선 단자(3)의 삽입 방향(D31)측의 부분(전기 접촉부(32))의 제1 방향(D1)의 치수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의 제1 방향(D1)의 치수(제1 면(21a)과 제2 면(21b)과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또, 각선 단자(3) 중, 유지부(31)보다도 각선 단자(3)의 삽입 방향(D31)측의 부분(전기 접촉부(32))의 제2 방향(D2)의 치수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의 제2 방향(D2)의 치수(제3 면(21c)과 제4 면(21d)과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이것에 의해, 각선 단자(3)는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될 때에, 유지부(31)에 도달할 때까지는 원활히 삽입할 수 있다.
일단측 압입부(311) 및 타단측 압입부(312)는, 도 5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선 단자(3)가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되었을 때에, 단자 장착 구멍(21)(단자 장착 구멍(21)의 직선부(211))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또, 일단측 압입부(311)가 마련되는 유지부(31)의 일단측은, 각선 단자(3)가 단자 장착 구멍(21)에 장착된 상태(도 5의 (B) 참조)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에 유지된 유지부(31)의 제3 방향(D3)의 중앙에 대해서 삽입 방향(D31)측의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일단측 압입부(311)가 마련되는 유지부(31)의 일단측은, 각선 단자(3)의 유지부(31)가 단자 장착 구멍(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의 삽입 방향(D31)측의 단부로부터, 유지부(31)의 전체 길이의 1/3~1/4의 영역(도 5의 (B)에서의, 단자 장착 구멍(21)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이탈 방향(D32)측을 향해 직선부(211)의 길이의 1/3~1/4의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또, 타단측 압입부(312)가 마련되는 유지부(31)의 타단측은, 각선 단자(3)가 단자 장착 구멍(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에 유지된 유지부(31)의 제3 방향(D3)의 중앙에 대해서 이탈 방향(D32)측의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타단측 압입부(312)가 마련되는 유지부(31)의 타단측은, 각선 단자(3)의 유지부(31)가 단자 장착 구멍(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직선부(211))의 이탈 방향(D32)측의 단부로부터, 유지부(31)의 전체 길이의 1/3~1/4의 영역(도 5의 (B)에서의, 단자 장착 구멍(21)의 직선부(211)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이탈 방향(D32)측을 향해 직선부(211)의 길이의 1/3~1/4의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일단측 압입부(311)는, 도 3의 (A), (B)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축(X)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1a)와, 축(X) 방향에서 볼록부(311a)의 양측에 인접하여 마련된 한 쌍의 오목홈(311b)을 가지고 있다.
볼록부(311a)는, 유지부(31)의 일단측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을 압압하도록,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에 맞닿는다. 볼록부(311a)는, 볼록부(311a)를 포함하는 일단측 압입부(311)에서의 각선 단자(3)의 제1 방향(D1) 및/또는 제2 방향(D2)의 치수가,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內)치수보다도 크게 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311a)는, 도 3의 (A), (B)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방향(D1)에서 양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제2 방향(D2)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311a)를 포함하는 일단측 압입부(311)의 제1 방향(D1)의 치수가, 단자 장착 구멍(21)의 제1 방향(D1)의 치수보다도 크고, 또한, 볼록부(311a)를 포함하는 일단측 압입부(311)의 제2 방향(D2)의 치수가, 단자 장착 구멍(21)의 제2 방향(D2)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볼록부(311a)는, 도 1, 도 3의 (A), (B)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볼록부(311a)의 꼭대기부(T)가,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311a)는, 각선 단자(3)의 하나의 면에서, 축(X)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이다. 볼록부(311a)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311a)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축(X) 방향 일단측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의 제1~제4 면(21a~21d)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볼록부(311a)의 꼭대기부(T)의 높이(전기 접촉부(32)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볼록부(311a)의 꼭대기부(T)가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자 장착 구멍(21)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볼록부(311a)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홈(311b)은,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3 방향(D3)에서 볼록부(311a)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홈(311b)의 저부(B)는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볼록부(311a)의 꼭대기부(T)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오목홈(311b)의 깊이(전기 접촉부(32)의 표면으로부터 저부(B)까지의 깊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오목홈(311b)은, 서로 대략 동일한 둘레 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오목홈(311b)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의 (A), (B)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선 단자(3)는, 볼록부(311a) 및 오목홈(311b)이 마련된 각선 단자(3) 각각의 면에서,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에서 볼록부(311a) 및 오목홈(311b)의 양측에, 볼록부(311a) 또는 오목홈(311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R)을 가지고 있다.
비형성 영역(R)은, 볼록부(311a) 및 오목홈(311b)이 형성되는 면(도 3의 (A)에서는, 제1 면(3a))의, 둘레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E)(도 3의 (A)에서는, 제1 면(3a)을 포함하는 평면과, 제3 면(3c) 또는 제4 면(3d)을 포함하는 평면이 교차하는 선)로부터, 둘레 방향에서 소정의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형성 영역(R)은, 전기 접촉부(32)의 제1~ 제4 면(3a~3d) 등의 면과 동일 면 상에 연속한 평탄면이다. 또, 비형성 영역(R)은,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면의 경계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경계 부분은,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 형상이 된 라운드 형성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도 4 참조).
비형성 영역(R)의 둘레 방향의 길이(도 3의 (A) 및 (B)에서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형성 영역(R)은, 각선 단자(3)의 하나의 면에서,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E)로부터의 길이(L1)(도 3의 (A) 참조)가, 라운드 형성 부분을 초과하는 길이임과 아울러, 하나의 면의 둘레 방향의 폭(L2)(제3 면(3c)으로부터 제4 면(3d)까지의 거리. 도 3의 (A) 참조)의 5~20%, 바람직하게는 1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8%로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오목홈(311b)(또는 볼록부(311a))의 둘레 방향의 단부가,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E)로부터, 하나의 면의 둘레 방향의 길이(L2)의 5~20%, 바람직하게는 1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8%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오목홈(311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비형성 영역(R)은, 볼록부(311a) 및 오목홈(311b)의 둘레 방향에서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균등한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다른 크기로 되어 있어도 괜찮다.
타단측 압입부(312)는, 도 3의 (A),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축(X)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2a)와, 축(X) 방향에서 볼록부(312a)의 양측에 인접하여 마련된 한 쌍의 오목홈(312b)을 가지고 있다. 타단측 압입부(312)의 볼록부(312a)의 높이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단측 압입부(311)의 볼록부(311a)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일단측 압입부(311)의 볼록부(311a) 및 타단측 압입부(312)의 볼록부(312a)는, 각선 단자(3)를 단자 장착 구멍(21)에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서로 다른 높이로 설계되어 있어도 괜찮다. 타단측 압입부(312)의 볼록부(312a)는, 일단측 압입부(311)의 볼록부(311a)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타단측 압입부(312)의 오목홈(312b)은, 일단측 압입부(311)의 오목홈(311b)과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볼록부(312a) 및 오목홈(312b)의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타단측 압입부(312)에 마련되는 볼록부(312a) 또는 오목홈(31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R)도, 일단측 압입부(311)에 마련된 비형성 영역(R)과 동일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단측 압입부(311)는,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축(X)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각각이 볼록부(311a) 및 오목홈(311b)을 가지는 복수의 압입부(P1, P2)를 가지고 있다. 일단측 압입부(311)의 복수의 압입부(P1, P2) 각각은,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 중 일부에만 볼록부(311a) 및 오목홈(311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단측 압입부(311)의 복수의 압입부(P1, P2) 전부에 의해서, 일단측 압입부(311)의 볼록부(311a)가, 단자 장착 구멍(21)의 축(X) 방향 일단측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의 복수의 내면(제1~ 제4 면(21a~21d))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단측 압입부(311)는, 도 3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2 방향(D2)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볼록부(311a)를 가지는 압입부(P1)와, 도 3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방향(D1)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볼록부(311a)를 가지는 압입부(P2)를 가지고 있다. 압입부(P1)에서는, 각선 단자(3)의 제1 방향(D1)을 향한 면에는 볼록부 및 오목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압입부(P2)에서는, 각선 단자(3)의 제2 방향(D2)을 향한 면에는 볼록부 및 오목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압입부(P1) 및 압입부(P2)는 축(X)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여 마련되고, 압입부(P1) 및 압입부(P2) 양쪽 모두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일단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압입부(P1)에 마련된 볼록부(311a)의 축(X) 방향에서 양측에는, 오목홈(311b, 311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압입부(P2)에 마련된 볼록부(311a)의 축(X) 방향에서 양측에는, 오목홈(311b, 3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단측 압입부(312)는,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축(X)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각각이 볼록부(312a) 및 오목홈(312b)을 가지는 복수의 압입부(P3, P4)를 가지고 있다. 타단측 압입부(312)의 복수의 압입부(P3, P4) 각각은,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 중 일부에만 볼록부(312a) 및 오목홈(312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타단측 압입부(312)의 복수의 압입부(P3, P4) 전부에 의해서, 타단측 압입부(312)의 볼록부(312a)가, 단자 장착 구멍(21)의 축(X) 방향 타단측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의 복수의 내면(제1~ 제4 면(21a~21d))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단측 압입부(312)는, 도 3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2 방향(D2)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볼록부(312a)를 가지는 압입부(P3)와, 도 3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방향(D1)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볼록부(312a)를 가지는 압입부(P4)를 가지고 있다. 압입부(P3)에서는, 각선 단자(3)의 제1 방향(D1)을 향한 면에는 볼록부 및 오목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압입부(P4)에서는, 각선 단자(3)의 제2 방향(D2)을 향한 면에는 볼록부 및 오목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압입부(P3) 및 압입부(P4)는 축(X)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여 마련되고, 압입부(P3) 및 압입부(P4) 양쪽 모두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타단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압입부(P3)에 마련된 볼록부(312a)의 축(X) 방향에서 양측에는, 오목홈(312b, 312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압입부(P4)에 마련된 볼록부(312a)의 축(X) 방향에서 양측에는, 오목홈(312b, 312b)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입부(P1)의 볼록부(311a)는, 제3 면(21c) 및 제4 면(21d)을 향해 돌출되고, 압입부(P2)의 볼록부(311a)는, 제1 면(21a) 및 제2 면(21b)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압입부(P1, P2)(또는 압입부(P3, P4))의 볼록부(311a)(볼록부(312a))의 돌출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입부(P1)의 볼록부(311a)는, 본 실시 형태와는 달리, 제1 면(21a) 및 제3 면(21c)을 향해 돌출되고, 압입부(P2)의 볼록부(311a)는, 제2 면(21b) 및 제4 면(21d)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일단측 압입부(311) 및 타단측 압입부(312)에 마련된 볼록부(311a, 312a) 및 홈(311b, 312b)은, 본 실시 형태와는 달리, 각선 단자(3) 각각의 면에서 축(X) 방향에서 일치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의 (B) 및 도 3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선 단자(3)는, 축(X) 방향에서 일단측 압입부(311)와 타단측 압입부(312)와의 사이에, 일단측 압입부(311)의 볼록부(311a) 및 타단측 압입부(312)의 볼록부(312a)의 돌출 높이보다도 높은 돌출 높이를 가지는 걸림부(313)를 가지고 있다. 일단측 압입부(311)와 타단측 압입부(312)와의 사이에 걸림부(313)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서, 각선 단자(3)의 단자 장착 구멍(21)에 대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걸림부(31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향(D1)으로 돌출, 즉, 단자 장착 구멍(21)의 제1 면(21a) 및 제2 면(21b)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313)가 돌출되는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자 장착 구멍(21)의 복수의 내면(제1 면(21a)~ 제4 면(21d)) 중 적어도 1개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면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3) 및 커넥터(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3)는, 볼록부(311a) 및 한 쌍의 오목홈(311b, 311b)을 가지는 일단측 압입부(311)와, 볼록부(312a) 및 한 쌍의 오목홈(312b, 312b)을 가지는 타단측 압입부(312)를 가지고 있다. 일단측 압입부(311)의 볼록부(311a)는,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되었을 때에, 단자 장착 구멍(21)의 축(X) 방향 일단측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의 복수의 내면(제1~ 제4 면(21a~21d))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타단측 압입부(312)의 볼록부(312a)는,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되었을 때에, 단자 장착 구멍(21)의 축(X) 방향 타단측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의 복수의 내면(제1~ 제4 면(21a~21d))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선 단자(3)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일단측에서, 일단측 압입부(311)의 볼록부(311a)에 의해서, 제1 방향(D1)(도 1에서의 상하 방향)과, 제2 방향(D2)(도 1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안정되게 지지된다. 게다가, 각선 단자(3)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타단측에서도, 타단측 압입부(312)의 볼록부(312a)에 의해서,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에서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볼록부(311a) 및 볼록부(312a)가, 축(X) 방향으로 이간한 일단측과 타단측 2개소에서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으므로, 각선 단자(3)가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되었을 때에, 각선 단자(3)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볼록부(311a) 및 볼록부(312a)의 꼭대기부(T)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과의 접촉 면적이 작다. 이것에 의해, 각선 단자(3)와 단자 장착 구멍(21)이 넓은 면적에서 면접촉하면서 압입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선 단자(3)를 작은 삽입력으로 삽입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금속 버(burr)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버(burr)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지만, 각선 단자(3)를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할 때에, 도 8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물(PR)에 의해서, 전기 접촉부(32)의 선단으로부터 일단측 압입부(311)까지의 사이에서 각선 단자(3)의 금속 표면에 깎임이 생겨, 가늘고 실 모양의 버(burr)(수염 버)(Bu)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각선 단자(3)에 오목홈(311b(312b))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깎인 수염 버(Bu)는, 도 8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금속 표면의 깎임이 오목홈(311b(312b))에 도달하는 것에 의해서, 각선 단자(3)로부터 분리되어 절단된다(또, 절단된 수염 버(Bu)는, 단자 장착 구멍(21)의 외부로 배출되면, 에어 블로우 등에 의해서 커넥터(1)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수염 버(Bu)가 각선 단자(3)와 일체로 된 상태에서 각선 단자(3)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각선 단자(3)로부터 절단되지 않고, 수염 버(Bu)가 생긴 각선 단자(3)와, 해당 수염 버(Bu)가 생긴 각선 단자(3)에 인접하는 각선 단자(3)와 접촉하여 단자 사이에서 단락하는 것이나, 커넥터(1)가 기판에 실장될 때에 수염 버(Bu)가 각선 단자(3)로부터 기판으로 떨어져 단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3) 및 커넥터(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각선 단자(3) 및 커넥터(1)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양단이 가늘게 된 가늘고 긴 사각 기둥 모양의 각선 단자(3)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각선 단자(3)에 일단측 압입부(311) 및 타단측 압입부(312)를 형성하기 위해서, 각선 단자(3)를 유지한다(도 6의 (A) 및 도 7 참조). 각선 단자(3)는, 도시하지 않은 가공 장치에서, 후술하는 가압 가공시에 각선 단자(3)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자 유지부(H)(도 7 참조)에 의해서 안정되게 유지된다. 일 예로서, 각선 단자(3)는,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단자 유지부(H)에 의해서, 가압 가공에 의해서 가공되는 면에 수직인 2개의 면(또는 가공되는 면의 반대측의 면)이 적어도 유지된다. 단자 유지부(H)가 맞닿아 각선 단자(3)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는, 가압 가공에 의해서 홈(311b, 312b)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압 가공시에 각선 단자(3)가 보다 안정되고, 가공 정밀도가 높아진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일단측 압입부(311) 및 타단측 압입부(312)에서, 각선 단자(3)의 하나의 면에 마련된 압입부(P1, P3)는, 각선 단자(3)의 하나의 면에 대해서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다른 면에 마련된 압입부(P2, P4)에 대해서 축(X)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홈(311b, 312b)을 형성할 때에, 홈(311b, 312b)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서 각선 단자(3)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선 단자(3)의 가압 가공이 용이하고,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각선 단자(3)가 유지된 후, 각선 단자(3) 각각의 면에서, 볼록부(311a, 312a) 및 한 쌍의 오목홈(311b, 312b)을 형성하기 위해서 가압 가공이 행해진다. 이 가압 가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Ma, Mb)(도 6의 (A) 및 (B) 참조)에 의해서, 각선 단자(3)의 면에 한 쌍의 오목홈(311b, 312b)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오목홈(311b, 312b)의 개소에 있던 각선 단자(3)의 금속 재료가 한 쌍의 오목홈(311b(312b))의 사이로 이동함으로써 볼록부(311a(312a))를 형성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오목홈(311b(312b))과 그 사이의 볼록부(311a(312a))를 한 번에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압 가공은, 각선 단자(3)에 비형성 영역(R)이 형성되도록, 오목홈(311b, 312b)을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그 형성 방법이나 가압 가공에 이용되는 가공 장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압 가공은, 자동 조립기에 의한 코이닝(coining) 가공이라도 좋고, 프레스기에 의한 프레스 가공이라도 괜찮다.
가압 가공은,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가공 장치에 마련된 금형(M)을 각선 단자(3)를 향해 이동시켜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행해진다. 금형(M)은, 한 쌍의 돌출부(Ma, Mb)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돌출부(Ma, Mb)는, 형성될 홈(311b, 312b)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한 쌍의 돌출부(Ma, Mb)의 사이에는, 형성될 볼록부(311a, 312a)의 용적 이상의 공극(S)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돌출부(Ma, Mb)는, 한 쌍의 오목홈(311b(312b))의 둘레 방향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돌출부(Ma, Mb)는,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짧은 폭(도 7에서의 좌우 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다.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Ma, Mb)를 각선 단자(3)를 향해 이동시켜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도 6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오목홈(311b)이 형성됨과 아울러, 한 쌍의 오목홈(311b)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압출된 각선 단자(3)의 여유 두께에 의해서, 한 쌍의 오목홈(311b)의 사이에 볼록부(3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에서 오목홈(311b)의 양측에, 오목홈(311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R)이 형성된다. 오목홈(311b)의 양단에 비형성 영역(R)이 있는 것에 의해, 가압 가공시에(오목홈이 단부로부터 단부까지 형성되어 비형성 영역(R)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선 단자(3)가 축(X) 방향으로 연장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단측 압입부(311)를 형성하기 위해서, 각선 단자(3)의 모든 면에서 가압 가공에 의해서, 한 쌍의 오목홈(311b)과 그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311a)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타단측 압입부(312)를 형성하기 위해서, 각선 단자(3)의 모든 면에서 가압 가공에 의해서, 한 쌍의 오목홈(312b)과 그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312a)가 형성된다.
또, 일단측 압입부(311)와 타단측 압입부(31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313)도, 다른 금형을 이용하여 동일한 가압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다. 걸림부(313)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 가공은, 일단측 압입부(311) 및 타단측 압입부(312)의 가압 가공 공정의 전에 행해져도 괜찮고, 후에 행해져도 괜찮다.
각선 단자(3)의 가공이 종료되면, 복수의 각선 단자(3)가 하우징(2)의 복수의 단자 장착 구멍(21)에 삽입된다. 복수의 각선 단자(3)가 복수의 단자 장착 구멍(21) 각각에 삽입된 후, 소정의 공정을 거쳐 커넥터(1)가 완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선 단자(3)의 둘레 방향에서 홈(311b, 312b)의 양측에, 오목홈(311b, 31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R)이 형성되도록 각선 단자(3)를 가압하여 한 쌍의 오목홈(311b, 312b)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오목홈이 둘레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단부까지 형성되어 볼록부가 형성된 경우(비형성 영역(R)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목홈의 깊이가 동일해도, 볼록부(311a, 312a)의 돌출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볼록부의 돌출 높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동일한 각선 단자(3)(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의 폭이 0.64mm)를, 도 6의 (A)에 나타내어지는 한 쌍의 돌출부(Ma, Mb)를 가지는 금형(M)과, 금형(M)과 단면 형상은 동일하고, 둘레 방향의 길이가 각선 단자(3)의 폭보다도 긴 금형을 이용하여, 오목홈의 깊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가압 가공했다. 그 결과, 비형성 영역(R)을 가지는 각선 단자(3)의 볼록부(311a)의 높이를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계측했는데, 볼록부(311a)의 높이는 21.3μm가 되고,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비형성 영역(R)을 가지지 않는 각선 단자(30)의 볼록부(30a)의 높이는 7.7μm가 되었다.
게다가,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오목홈(311b, 30b)의 주위의 높이를 확인했는데, 본 실시 형태의 오목홈(311b)의 주위는, 대향하는 오목홈(311b)과는 반대 방향으로, 일부 두께가 빠져 있었지만, 비형성 영역(R)이나 오목홈(311b)이 형성된 면에 대해서 수직인 면으로 두께가 빠져 있는 것은 없었다(평탄한 상태인 그대로였다). 한편, 비형성 영역(R)을 가지지 않고, 오목홈(30b)이 둘레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단부까지 형성되어 볼록부(30a)가 형성된 참고예에서는,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오목홈(30b)의 주위의 높이를 확인했는데,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오목홈(30b)이 형성된 면에 수직인 면에서, 두께가 빠져 융기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각선 단자(30)에서, 오목홈(30b)을 찌그러뜨려 볼록부(30a)를 형성하는 경우, 도 9의 (B)에 나타내어지는 영역(R1)이 지면 직전 방향으로 융기하고 있었다. 또, 오목홈(30d)을 찌그러뜨려 볼록부(30c)를 형성하는 경우, 도 9의 (A)에 나타내어지는 영역(R2)이 지면 직전 방향으로 융기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둘레 방향에서 오목홈(311b, 312b)의 양측에 비형성 영역(R)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오목홈(311b, 312b)의 가압시에 압출된 여유 두께가 한 쌍의 오목홈(311b, 312b)의 사이로부터 둘레 방향에서 외측으로 빠지지 않고, 오목홈(311b(312b))의 사이에 모이는 것에 의해, 볼록부(311a, 312a)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장착 구멍(21)에 각선 단자(3)를 삽입했을 때에, 단자 장착 구멍(21)의 내면과 볼록부(311a, 312a)를 보다 확실히 맞닿게 할 수 있으므로, 각선 단자(3)의 하우징(2)에 대한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단자 삽입 구멍(21)에 전(全)압입되는 각선 단자(전기 접촉부와 단자 삽입 구멍(21)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없고, 볼록부 및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도시하지 않음)와,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3)와,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참고예에 나타내어지는 각선 단자(30)를 준비하고, 각각의 각선 단자를 단자 삽입 구멍(21)에 삽입하여 수염 버의 발생율을 계측했다. 전압입되는 각선 단자를 10000개,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3)를 340개,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어지는 참고예의 각선 단자(30)를 190개 각각 준비하고, 단자 삽입 구멍(21)에 삽입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3) 및 참고예의 각선 단자(30)는, 단자 삽입 구멍(21)의 내면과의 사이에 10μm의 클리어런스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3)는, 각선 단자(3)의 폭 0.64mm에 대해서, 비형성 영역(R)은 단부 가장자리(E)로부터 0.1mm가 되도록 홈(311b, 312b)이 형성되었다. 수염 버는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 크기마다, 특대(1.2mm 이상), 대(0.6mm 이상 1.2mm 미만), 중(0.3mm 이상 0.6mm 미만), 소(0.3mm 미만)으로 분류하여 그 수를 세고, 수염 버 각각의 크기마다, 전체에 대한 비율(%)을 산출했다. 크기가 특대, 대인 수염 버는 단락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크기가 중, 소인 수염 버는 단락의 원인은 되기 어렵고, 크기가 소인 수염 버는 거의 단락의 문제가 없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하의 표 1에서, 도 9의 (A) 및 (B)에 나타내어진 각선 단자(30)에 의한 참고예를 참고예 1로 하고, 전(全)압입되는 볼록부 및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각선 단자에 의한 참고예를 참고예 2로 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염 버의 발생에 대해서, 비형성 영역(R)이 마련되어 있어도, 단부로부터 단부까지 오목홈(30b)이 형성된 참고예 1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각선 단자(3)에 의하면, 볼록부(311a, 312a)의 높이를 높게 하여 각선 단자(3)의 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염 버의 발생에 의한 불량율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것도 알았다.
1 : 커넥터 2 : 하우징
21 : 단자 장착 구멍 21a : 제1 면
21b : 제2 면 21c : 제3 면
21d : 제4 면 211 : 직선부
212 : 입구부 3, 30 : 각선 단자
3a : 제1 면 3b : 제2 면
3c : 제3 면 3d : 제4 면
30a, 30c : 볼록부 30b, 30d : 오목홈
31 : 유지부 311 : 일단측 압입부
311a : 볼록부 311b : 오목홈
312 : 타단측 압입부 312a : 볼록부
312b : 오목홈 313 : 걸림부
32, 33 : 전기 접촉부 B : 오목홈의 저부
Bu : 버 D1 : 제1 방향
D2 : 제2 방향 D3 : 제3 방향
D31 : 삽입 방향 D32 : 이탈 방향
E :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H : 단자 유지부
L1 : 비형성 영역의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의 길이
L2 :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의 폭
M : 금형 Ma, Mb : 돌출부
P1, P2, P3, P4 : 압입부 PR : 돌기물
R : 비형성 영역 R1, R2 : 영역
S : 공극 T : 볼록부의 꼭대기부
X : 각선 단자의 축

Claims (7)

  1. 하우징에 마련된 단자 장착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단자 장착 구멍에 유지되는 유지부를 가지는 각선(角線) 단자로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은, 상기 각선 단자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내면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각선 단자의 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의 축 방향 일단측에서 마련된 일단측 압입부와,
    상기 유지부의 축 방향 타단측에서 마련되고, 상기 일단측 압입부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에서 이간하여 마련된 타단측 압입부를 가지며,
    상기 일단측 압입부 및 상기 타단측 압입부 각각은,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의 양측에 인접하여 마련된 한 쌍의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볼록부의 꼭대기부 및 상기 오목홈의 저부는, 상기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이 마련된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서, 상기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을 가지고 있는 각선 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단측 압입부는,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 마련되고, 각각이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을 가지는 복수의 압입부를 가지며,
    상기 각선 단자의 하나의 면에 마련된 압입부는, 상기 각선 단자의 하나의 면에 대해서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다른 면에 마련된 압입부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각선 단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단측 압입부는,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 마련되고, 각각이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을 가지는 복수의 압입부를 가지며,
    상기 각선 단자의 하나의 면에 마련된 압입부는, 상기 각선 단자의 하나의 면에 대해서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다른 면에 마련된 압입부에 대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각선 단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선 단자는,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일단측 압입부와 상기 타단측 압입부와의 사이에, 상기 일단측 압입부의 볼록부 및 상기 타단측 압입부의 볼록부의 돌출 높이보다도 높은 돌출 높이를 가지는 걸림부를 가지고 있는 각선 단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선 단자와,
    상기 각선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장착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일단측 압입부의 볼록부는,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상기 축 방향 일단측에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복수의 내면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단측 압입부의 볼록부는,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상기 축 방향 타단측에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복수의 내면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각선 단자를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한 가압 가공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 가공 공정은,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의 둘레 방향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 상기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선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압출된 상기 각선 단자의 여유 두께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의 사이에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는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선 단자와, 상기 각선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장착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각선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자 장착 구멍에 삽입하는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각선 단자는,
    상기 각선 단자를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각선 단자 각각의 면에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한 가압 가공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가압 가공 공정은,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의 상기 둘레 방향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각선 단자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 상기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형성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선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압출된 상기 각선 단자의 여유 두께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오목홈의 사이에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측 압입부의 볼록부는,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상기 축 방향 일단측에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복수의 내면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단측 압입부의 볼록부는,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상기 축 방향 타단측에서, 상기 단자 장착 구멍의 복수의 내면 전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210016326A 2020-02-21 2021-02-04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2101068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8465 2020-02-21
JP2020028465A JP7388706B2 (ja) 2020-02-21 2020-02-21 角線端子、コネクタ、角線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897A true KR20210106897A (ko) 2021-08-31

Family

ID=7731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326A KR20210106897A (ko) 2020-02-21 2021-02-04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88706B2 (ko)
KR (1) KR20210106897A (ko)
CN (1) CN1133001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361B2 (ko) 1978-10-28 1982-08-09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3877B2 (ja) 1999-02-19 2004-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角線材を使用した基板用の端子構造
DE102006055086B3 (de) 2006-11-21 2008-06-19 Tyco Electronics Amp Gmbh Einpressstift für elektrische Kontakte aus Drahtmaterial
DE102012206035A1 (de) 2012-04-13 2013-10-17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Kontakt mit Dichtste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361B2 (ko) 1978-10-28 1982-08-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36057A (ja) 2021-09-13
CN113300144A (zh) 2021-08-24
JP7388706B2 (ja)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992B2 (en) Press-fit contact
JP4940356B2 (ja) ベースとコンタクトピンと第2のピンとを有した圧入コンタクト
KR20120052933A (ko) 인쇄 회로 기판에 전자 컴포넌트를 연결하기 위한 프레스-인 콘택 및 프레스-인 콘택을 생성하기 위한 프레스-인 툴
CN103997164A (zh) 用于制造转子层叠铁心的方法
CN109672038B (zh) 具有倒角边缘的弯曲的电触头元件及其制造方法
US4748841A (en)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ic contact pin for printed circuit boards, and di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6431903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use with fine wires
KR20210106897A (ko) 각선 단자, 커넥터, 각선 단자의 제조 방법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JP2015504586A (ja) コンタクトピン
US20120289102A1 (en) Contact having a profiled compliant pin
JP7465654B2 (ja) 可動コネクタ及び可動コネクタ用の端子の製造方法
JP2016149336A (ja) ピン端子、端子群及びコネクタ
CN102195152A (zh) 基板用的端子
JP7191380B2 (ja) コネクタ
JP4746904B2 (ja) 加工方法、ダイ及び金型構造
JP5157784B2 (ja) 接続端子構成体、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組立方法
WO2019044677A1 (ja) 端子金具
CN110314975B (zh) 冲压模具的冲头结构、冲压模具、冲压成型件的制造方法及冲压成型件
KR20140056365A (ko) 전기 접속 박스, 그 성형 금형 및 가공 금형
JPH10264163A (ja) インサート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7594809B2 (en) Molding die unit
KR200391345Y1 (ko) 코어 제조용 피어싱 펀치
CN108835941B (zh) 密集架底架轴承梁及其制作方法
US20230283007A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20426488U (zh) 加工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