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746A -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 Google Patents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746A
KR20210105746A KR1020200020619A KR20200020619A KR20210105746A KR 20210105746 A KR20210105746 A KR 20210105746A KR 1020200020619 A KR1020200020619 A KR 1020200020619A KR 20200020619 A KR20200020619 A KR 20200020619A KR 20210105746 A KR20210105746 A KR 20210105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haft
rubber
durability
bearing cush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371B1 (ko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주)엘케이지엘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케이지엘에스피 filed Critical (주)엘케이지엘에스피
Priority to KR102020002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3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6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16C27/063Sliding 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해 센터베어링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 스틸브라켓에 비해 응력 및 변위가 효과적으로 감소되어 내구성 증진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 운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0)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측에 평탄면(110)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미세완충보강공(120)이 균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고무재질의 러버베어링쿠션(100);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상기 평탄면(110)이 노출되도록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양측 상단에 마운팅홀(231)을 갖는 장착편(230)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감싸는 경우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평탄면(110)이 상기 장착편(230)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고강성 복합소재브라켓(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은,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감싸는 내주연이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편(210)과, 상기 커버편(2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에 밀착되어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의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상기 장착편(2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편(210)과 장착편(230)에는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플랜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CENTER BEARING OF PROPELLER SHAFT WITH IMPROVED IMPACT ABSORPTION POWER AND DURABILITY}
본 발명은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해 센터베어링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 스틸브라켓에 비해 응력 및 변위가 효과적으로 감소되어 내구성 증진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 운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륜 차량에는 변속기의 토크를 종감속 기어장치로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가 차량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은 변속기와 연결되며, 프로펠러 샤프트의 타단은 종감속 기어장치와 연결된다. 프로펠러 샤프트는 변속기를 거치면서 적절히 변화된 엔진의 동력을 구동바퀴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변속기는 엔진과 함께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고, 구동 바퀴축은 섀시 스프링을 통하여 차체에 장착되어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변속의 출력단과 구동바퀴 측의 입력단 사이에는 높이차가 존재하게 되고, 또한 이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펠러 샤프트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유니버설 조인트를 매개로 변속기 출력단과 구동 바퀴 측 입력단에 장착되어 높이 차를 극복하고, 축을 분할하여 스플라인 결합시킴으로써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로펠러 샤프트는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질 경우, 중간부분에 센터베어링을 설치하고, 브라켓을 통해 센터베어링의 일측을 차체에 고정함으로써, 굽힘 방향으로의 진동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진동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도 방지하고 있다.
즉, 종래의 센터베어링은 프로펠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센터베어링을 감싸서 프로펠러샤프트의 축방향 변위 및 진동을 흡수하는 베어링커버와, 상기 베어링커버를 감싸서 베어링커버의 형상을 유지하는 스틸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틸브라켓은 차체의 크로스맴버에 볼트결합체를 매개로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센터베어링은 상기 베어링커버를 감싸는 상기 스틸브라켓이 스틸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기간 프로펠러샤프트의 축방향 변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과정에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스틸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체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06193호의 프로펠러 샤프트의 센터베어링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해 센터베어링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양한 운전 조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내구성 증진을 통한 수명연장의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펠러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0)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측에 평탄면(110)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미세완충보강공(120)이 균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고무재질의 러버베어링쿠션(100);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상기 평탄면(110)이 노출되도록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양측 상단에 마운팅홀(231)을 갖는 장착편(230)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감싸는 경우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평탄면(110)이 상기 장착편(230)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고강성 복합소재브라켓(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은,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감싸는 내주연이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편(210)과, 상기 커버편(2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에 밀착되어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의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상기 장착편(2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편(210)과 장착편(230)에는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플랜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편(2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장플랜지(240)에 연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장플랜지(240)의 연장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상기 커버편(210)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부(2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홀(231)에는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이 차체의 크로스맴버(30)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40)에 결속볼트유닛(50)을 매개로 결합시, 상기 결속볼트유닛(50)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탄성체(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해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의 전체적인 중량을 효과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의 연비절감효과는 물론 내구성의 증진효과를 통한 고품질의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운전 조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흡수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을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베어링쿠션의 면부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브라켓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브라켓의 응력분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브라켓의 변위분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퍼탄성체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을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베어링쿠션의 면부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브라켓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브라켓의 응력분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브라켓의 변위분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퍼탄성체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은 프로펠러샤프트(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러버베어링쿠션(100)과,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고강성 복합소재브라켓(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은 차체의 크로스맴버(30)에 장착되는 마운팅브라켓(40)에 결속볼트유닛(50)을 매개로 결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샤프트(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진동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센터베어링의 전체적인 중량은 줄이면서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해 응력 및 변위가 효과적으로 감소되어 내구성의 증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프로펠러샤프트(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상측에는 평탄면(110)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미세완충보강공(12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상기 평탄면(110)은 상기 마운팅브라켓(40)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미세완충보강공(120)과 함께 센터베어링(20)으로 인가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은 20~24 MPs의 인장강도와 300~380%의 신율, 55~64HS의 경도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미세완충보강공(120)은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전체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등 여러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은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상기 평탄면(110)이 노출되도록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양측 상단에 마운팅홀(231)을 갖는 장착편(230)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감싸는 경우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평탄면이 상기 장착편(230)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은 수지와 섬유를 적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 PA66(PolyAmid 66)과 GF35%(Glass Fiber 35%)의 소재를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소재를 적용하여 제조된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은 아래 구조해석 결과에 대한 비교를 나타낸 표 1에서와 같이 기존의 스틸형 브라켓에 비해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연비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기존의 스틸형 브라켓에 비해 응력과 변위를 효과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내구성증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구분

기존의
스틸형 브라켓

본 발명의
복합소재브라켓
comparison
감소율(%)
(기존의 스틸형 브라켓/ 본 발명의 복합소재브라켓)
응력(MPa) 3.53 0.32 감소율 90.9%
변위(mm) 0.00263 0.00224 감소율 14.8%
무게(kg) 0.92 0.60 감소율 34.8%
여기서,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이 PA66(PolyAmid 66)과 GF35%(Glass Fiber 35%)의 소재를 적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써 PPS(Polyphthalamide)와 GF50%(Glass Fiber 35%)를 적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은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감싸는 내주연이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편(210)과, 상기 커버편(2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에 밀착되어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의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상기 장착편(230)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상기 커버편(210)과 장착편(230)의 폭방향 양단에는 수직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느 연장플랜지(24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이 안착되는 상기 커버편(210)의 하측 상부면에는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쿠션고정편(211)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편(2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장플랜지(240)에 연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장플랜지(240)의 연장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상기 커버편(210)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부(25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은 도 6에 나타난 응력분포상태와 같이 응력 최대값이 0.32Mpa임을 알 수 있고, 도 7에 나타난 변위분포상태와 같이 관심부위 변위의 최대값이 0.00224mm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에 적용시 기존의 스틸형 브라켓에 비해 응력 및 변위, 중량의 감소를 이룰 수 있어 차량의 연비절감과 내구성 증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착편(230)의 마운팅홀(231)에는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이 차체의 크로스맴버(30)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40)에 결속볼트유닛(50)을 매개로 결합시, 상기 결속볼트유닛(5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탄성체(30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버퍼탄성체(300)는 상기 마운팅홀(231)과 인접된 상기 장착편(230)의 하측면에 밀착되되 중앙부에 상기 결속볼트유닛(50)의 볼트체(51)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관통공(311)이 형성된 밀착러버(310)와, 상기 밀착러버(310)에서 상기 마운팅홀(231)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편(230)의 상측면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패싱러버(320)와, 상기 패싱러버(320)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홀(231)과 인접된 상기 장착편(230)의 상측면에 밀착되되 중앙부에 상기 볼트체(51)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돌출공(331)이 형성된 안착러버(3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을 상기 마운팅브라켓(40)에 장착시, 상기 결속볼트유닛(50)의 볼트체(51)가 상기 버퍼탄성체(300)의 밀착러버(310)와 패싱러버(320), 상기 안착러버(3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마운팅브라켓(4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 노출된 상기 볼트체(51)에 너트체(52)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을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장착편(230)과 마운팅브라켓(40) 사이에 상기 안착러버(33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볼트체(51)의 외측에는 상기 패싱러버(320)가 감싸게 되며, 상기 밀착러버(310)에는 상기 볼트체(51)의 머리부가 밀착되어 상기 결속볼트유닛(50)의 볼트체(51)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어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의 결합상태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러버(330)의 두께는 상기 장착편(230)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된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돌출높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과 함께 상기 마운팅브라켓(4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러버베어링쿠션 110: 평탄면
120: 미세완충보강공 200: 복합소재브라켓
210: 커버편 220: 연장편
230: 장착편 231: 마운팅홀
240: 연장플랜지 250: 보강리브부
300: 버퍼탄성체 310: 밀착러버
320: 패싱러버 330: 안착러버

Claims (3)

  1. 프로펠러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0)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측에 평탄면(110)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미세완충보강공(120)이 균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고무재질의 러버베어링쿠션(100);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상기 평탄면(110)이 노출되도록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양측 상단에 마운팅홀(231)을 갖는 장착편(230)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감싸는 경우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평탄면(110)이 상기 장착편(230)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고강성 복합소재브라켓(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은,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을 감싸는 내주연이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커버편(210)과, 상기 커버편(2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러버베어링쿠션(100)에 밀착되어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의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상기 장착편(2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편(210)과 장착편(230)에는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플랜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편(2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장플랜지(240)에 연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장플랜지(240)의 연장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상기 커버편(210)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격자형의 보강리브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홀(231)에는, 상기 복합소재브라켓(200)이 차체의 크로스맴버(30)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40)에 결속볼트유닛(50)을 매개로 결합시, 상기 결속볼트유닛(50)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탄성체(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KR1020200020619A 2020-02-19 2020-02-19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KR10233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19A KR102333371B1 (ko) 2020-02-19 2020-02-19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19A KR102333371B1 (ko) 2020-02-19 2020-02-19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46A true KR20210105746A (ko) 2021-08-27
KR102333371B1 KR102333371B1 (ko) 2021-12-03

Family

ID=7750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619A KR102333371B1 (ko) 2020-02-19 2020-02-19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831B1 (ko) * 2022-06-13 2024-03-12 (주)엘케이지엘에스피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KR102496783B1 (ko) 2022-11-25 2023-02-07 유영술 사전고장예측 및 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차량의 센터베어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71A (ko) * 1994-08-16 1996-03-22 전성원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JP2000177417A (ja) * 1998-12-15 2000-06-27 Nok Megulastik Co Ltd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KR20120088309A (ko) * 2011-01-31 2012-08-08 효림산업 주식회사 러버의 회동이 가능한 센터 베어링 어셈블리
KR20140135322A (ko) * 2013-05-15 2014-11-26 주식회사 디엠씨 프로펠러샤프트용 장착장치
KR101552199B1 (ko) * 2015-06-11 2015-09-10 주식회사 티에스알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베어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71A (ko) * 1994-08-16 1996-03-22 전성원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JP2000177417A (ja) * 1998-12-15 2000-06-27 Nok Megulastik Co Ltd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KR20120088309A (ko) * 2011-01-31 2012-08-08 효림산업 주식회사 러버의 회동이 가능한 센터 베어링 어셈블리
KR20140135322A (ko) * 2013-05-15 2014-11-26 주식회사 디엠씨 프로펠러샤프트용 장착장치
KR101552199B1 (ko) * 2015-06-11 2015-09-10 주식회사 티에스알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371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71B1 (ko)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JP3445651B2 (ja) 自動車
CN102300733A (zh) 电机支承结构
GB2449965A (en) A plug-in body mount damping device for vehicles
KR20120023993A (ko) 차량의 롤로드 구조
CN111183091B (zh) 作业车
CN101372201B (zh) 一种变速箱悬置软垫
JP2006290111A (ja) エンジン支持構造
JP5531705B2 (ja) インパネメンバの取付構造
KR102583253B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센터베어링 지지장치
CN113853320A (zh) 动力单元悬架结构
KR100820444B1 (ko) 차량용 토크로드
CN216102386U (zh) 一种拉杆可调式半挂车用加强纵梁
CN209096828U (zh) 一种提升后副车架与车身安装点刚度的连接结构
KR101272505B1 (ko) 하이드로 롤로드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CN216002202U (zh) 一种汽车传动轴总成中间支撑架
KR102238055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서스펜션
CN218118438U (zh) 悬置衬套、悬置总成和车辆
WO2019004972A2 (en) STABILIZER BAR SOCKET
KR102223261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195197B1 (ko) 차량 추진축의 강도 보강 장치
CN211592324U (zh) 具有减震功能的拖拉机底盘
KR20110053565A (ko) 하이드로 서브프레임 부쉬
KR100581124B1 (ko) 트랜스 미션 마운팅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