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574A - 콘텐츠 전시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전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574A
KR20210105574A KR1020200020210A KR20200020210A KR20210105574A KR 20210105574 A KR20210105574 A KR 20210105574A KR 1020200020210 A KR1020200020210 A KR 1020200020210A KR 20200020210 A KR20200020210 A KR 20200020210A KR 20210105574 A KR20210105574 A KR 2021010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nit
area
projecte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943B1 (ko
Inventor
이재용
정은비
정대부
송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보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to KR102020002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9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8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epidiascopic proj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by artificial light sources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sign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투영면을 향해 콘텐츠를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와 투영면까지 이르는 콘텐츠 조사경로 상에 위치한 개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투영면에 상기 콘텐츠가 투영되는 영역(이하, ‘투영영역’이라 칭함)에서 상기 개체가 위치한 영역 및 상기 개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감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콘텐츠의 투영 영상을 조정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한 각 부를 제어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조정된 콘텐츠(이하, ‘조정 콘텐츠’라 칭함)가 투영면에 투영되도록 상기 조정 콘텐츠를 상기 조사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전시 장치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전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시 장치는 스크린이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투영면에 영상(이미지나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투영시켜, 다수의 사람들에게 해당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전시 장치는 그 응용분야에 적합한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전시 장치는 사람 왕래가 잦은 지하철역, 버스터미널, 공항, 공원, 횡단보도 등에 위치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가시 가능한 투영면(바닥면, 벽면 등)에 콘텐츠를 투영시킴으로써,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노출시키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해당 장소를 지나가는 행인의 시선이 투영면에 투영된 콘텐츠에 머무르게 되고, 이를 인지한 행인은 콘텐츠 내용을 자연스럽게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시 장치는 콘텐츠를 투영면에 투영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중 전시 장치와 투영면까지 이르는 콘텐츠 조사 경로 상에 행인이 지나가게 되더라도 기 설정된 형상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조사하기에 해당 위치를 지나가는 행인은 눈부심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콘텐츠를 조사하는 전시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이를 쳐다볼 경우에는 콘텐츠를 조사하는 광에 눈이 직접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시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었다.
한편, 종래의 전시 장치로부터 투영면에 조사되는 콘텐츠는 그 조사 경로 상에 행인이 지나가게 되면 그 행인에 의해 내용이 일부 가려질 수 있어, 조사 경로에 위치한 사람뿐 아니라 콘텐츠에 시선이 머무는 다른 사람들 또한 해당 조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297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33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시 장치로부터 투영면까지 이르는 콘텐츠 조사 경로를 지나가는 행인의 눈부심을 경감하면서, 콘텐츠를 조사하는 전시 장치의 광에 행인의 눈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나가는 행인에 의해 투영면에 투영된 콘텐츠 내용이 일부 가려지더라도 해당 콘텐츠에 시선이 머무르는 행인에게 콘텐츠 내용이 명확히 전달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는 투영면을 향해 콘텐츠를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와 투영면까지 이르는 콘텐츠 조사경로 상에 위치한 개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투영면에 상기 콘텐츠가 투영되는 영역(이하, ‘투영영역’이라 칭함)에서 상기 개체가 위치한 영역 및 상기 개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감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콘텐츠의 투영 영상을 조정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한 각 부를 제어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조정된 콘텐츠(이하, ‘조정 콘텐츠’라 칭함)가 투영면에 투영되도록 상기 조정 콘텐츠를 상기 조사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상기 콘텐츠 조사 경로 상에 개체의 유무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분; 조사 경로 상에 개체가 없는 경우에 상기 감지부분이 감지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1 저장부분; 상기 감지부분이 실시간 감지한 데이터를 감지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2 저장부분; 및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감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개체의 유무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부분;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투영영상 중 상기 감지영역으로 특정 영상을 투영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상기 콘텐츠의 투영영상을 조정하는 콘텐츠 조정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영상은 무채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색으로 이루어진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투영영역 중 상기 감지영역으로의 콘텐츠 투영을 OFF하고,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만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상기 콘텐츠의 투영영상을 조정하는 콘텐츠 조정부분;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콘텐츠 조사경로에 개체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콘텐츠 조사를 중지하고, 상기 콘텐츠 조사경로에 개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재개하도록 상기 조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감지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의 신장을 가지는 개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조사부를 통해 콘텐츠가 조사되는 조사영역으로 출입(出入)하는 개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가 상기 조사영역으로 들어오는 개체를 감지한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중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다른 하나의 센서가 상기 조사영역에서 벗어나는 개체를 감지한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재개하도록 상기 조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콘텐츠 전시 장치로부터 투영면에 이르는 콘텐츠 조사 경로 상에 개체가 감지될 경우, 투영영역 중 감지영역에 대한 영상을 무채색의 이미지로 전환하거나, 어떠한 영상도 포함되지 않도록 조정 콘텐츠를 생성하여, 조정 콘텐츠가 조사되는 동안 투영면을 지나가는 행인의 눈부심이 경감될 수 있다.
둘째, 콘텐츠 조사 경로에 개체가 감지될 경우, 콘텐츠가 투영되지 않도록 콘텐츠 조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투영면을 지나치는 행인이 콘텐츠를 조사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이를 쳐다볼 경우에 콘텐츠를 조사하는 광에 눈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투영영역 중 감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온전한 형태의 콘텐츠가 배치되는 조정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투영면에 투영함으로써, 행인에 의해 투영영역 중 일부가 가려지더라도 콘텐츠 조사 경로에 위치한 사람뿐 아니라 콘텐츠에 시선이 머무는 다른 사람들 또한 해당 조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내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즉, 행인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온전한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4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를 통해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콘텐츠 전시 시스템에 대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시스템(10)은 콘텐츠 전시 장치(100) 및 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특정 이미지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즉, 시각콘텐츠를 전시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장치(100)는 스크린을 대체할 수 있는 투영면(바닥면, 벽면 등)에 콘텐츠를 투영시켜,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100)가 가로등, 전신주 등의 기둥 구조물이나 벽 등에 설치되어, 사람들의 통행이 이루어지는 거리나 건물의 바닥면 즉, 투영면에 콘텐츠를 투영하는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고자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면 또는 건물 등에 설치되어 건물의 벽면을 향해 콘텐츠를 투영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리서버(200)는 콘텐츠 전시 장치(100)와 통신하며, 콘텐츠 전시 장치(100)에서 투영면을 향해 조사할 콘텐츠에 대한 등록, 삭제, 변경 등 콘텐츠 관리와 더불어 콘텐츠 전시 장치(100)의 구동 상태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00)는 다수개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와 통신하며, 콘텐츠 전시 장치(100)의 모니터링 시 각 콘텐츠 전시 장치(100)의 위치, 식별ID 등을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식별정보를 통해 각 콘텐츠 전시 장치(100)에 대한 모니터링에 따른 적합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관리서버(200)는 콘텐츠 전시 장치(100)외에도 타 단말기(미도시)와 통신하며, 타 단말기로부터 추가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는 관리서버(200)에서 관리되어, 콘텐츠 전시 장치(100)로부터 투영될 수 있다. 이때, 타 단말기로부터 콘텐츠가 수신될 때, 해당 콘텐츠가 투영되길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 콘텐츠 전시 장치(100)의 식별정보가 함께 수신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해당 콘텐츠가 투영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서버(200)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콘텐츠 전시 장치(100)에 대한 전반적인 구동 상태가 관리서버(200)에 관리자 단말기로 등록된 타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타 단말기를 통해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모니터링하고, 상황에 적합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관리서버(200)는 해당 제어신호를 콘텐츠 전시 장치(100)에 송출하여, 콘텐츠 전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타 단말기는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콘텐츠 전시 장치에 대한 설명>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통신부(110), 조사부(120), 감지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며, 투영면(PP)을 향해 투영할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서버(200) 및 외부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서버(200) 및 외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외부장치는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상술한 타 단말기와 동일 구성으로 마련될 경우, 외부장치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접속함으로써, 콘텐츠 전시장치(100)와 통신하거나, 외부장치가 콘텐츠 전시 장치(100)와 직접 통신하며 콘텐츠 관리와 더불어 콘텐츠 전시 장치(100)의 전반적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는 콘텐츠 전시 장치(100) 및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마련될 수 있다.
조사부(120)는 투영면(PP)을 향해 콘텐츠를 조사한다. 일예로, 조사부(120)는 DLP(Difital Light Processing) 방식으로 콘텐츠를 투영면(PP)에 투영할 수 있으며, 광원(121), 이미지 패널(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원(121)은 후술할 이미지 패널(122)에 광이 제공되도록 광을 조사한다. 여기서, 광원(121)은 LED, 레이저 등과 같은 광 출력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패널(122)은 콘텐츠 영상을 반영하기 위한 다수개의 이미지 셀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미지 패널(122)은 콘텐츠의 투영 형태에 따른 디지털 신호에 의해 이미지 셀의 출력 형태가 전체적으로 종합되어, 이미지 패널(122) 상에 반영되는 콘텐츠 출력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패널(12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칩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에게 노출시키고자 하는 콘텐츠를 광을 이용해 특정 영역 즉 투영면(PP)에 투영시킬 수 있는 상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광원(121)이 이미지 패널(122)에 광을 조사함에 따라 콘텐츠 투영 형태에 적합하게 각각의 이미지 셀의 출력 형태가 반영된 이미지 패널(122)의 콘텐츠 영상이 투영면(PP)에 투영됨으로써, 조사부(120)를 통한 콘텐츠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광원(120)와 이미지 패널(122) 사이 및 이미지 패널(122)의 선단 즉, 콘텐츠 조사 장치(100)에서 최종적으로 콘텐츠가 조사되는 부분에는 별도의 광학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학부재는 필터, 렌즈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광학부재를 통해 광원(121)이 이미지 패널(122) 상에 투과되는 광량과 더불어 이미지 패널(122)을 통해 콘텐츠가 투영되는 투영영역(PA)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참고로,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통해 투영되는 콘텐츠는 실시간 날씨정보, 국가정책정보, 지역소식, 경관조성을 위한 이미지, 공익광고, 지역홍보, 재난 시 대피요령, 시민제보 영상 등 이밖에도 다양한 콘텐츠가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통해 투영면(PP)에 조사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조사부(120)와 투영면(PP)까지 이르는 콘텐츠 조사 경로(IR) 상에 위치한 개체(O)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부(13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TOF(Time of Flight) 카메라, 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열감지 센서 등으로 마련되어, 콘텐츠 조사 경로(IR)에서의 개체(O)의 유무,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개체(O)는 사람, 동물 등일 수 있다.
만약, 감지부(130)가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마련될 경우, 판단부분(134)은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픽셀을 분석하여, 개체(O)의 유무를 파악하고, 개체(O) 위치 및 투영면(PP)에 콘텐츠가 투영되는 영역(이하, ‘투영영역(PA)’이라 칭함)에서 개체(O)로 인해 가려지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후술할 영상 처리부(140)는 개체(O)의 위치 및 투영영역(PA)에서 개체(O)로 인해 가려지는 영역을 감지영역(DA)으로 구분하여 콘텐츠의 투영 영상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30)는 감지부분(131), 제1 저장부분(132), 제2 저장부분(133) 및 판단부분(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분(131)은 콘텐츠 조사 경로(IR) 상에 개체의 유무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고, 제1 저장부분(132)은 콘텐츠 조사 경로(IR) 상에 개체(O)가 없는 경우에 감지부분(131)이 감지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한다. 그리고, 제2 저장부분(133)은 감지부분(132)이 실시간 감지한 데이터를 감지 데이터로 저장하며, 판단부분(134)은 기준 데이터와 감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개체(O)의 유무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감지부(130)가 TOF 카메라로 마련될 경우, 감지부분(131)은 TOF 카메라로부터 조사된 광이 개체(O)에 부딪침에 따라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광을 감지하고, 판단부분(134)은 제1 저장부분(132) 및 제2 저장부분(133)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 및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지부(130)가 감지하는 영역 즉, 콘텐츠 조사 경로(IR) 상에 위치한 개체(O)의 유무뿐 아니라 콘텐츠 전시 장치(100)와 개체(O)간의 거리를 연산하고, 이로부터 개체(O)의 위치 및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분(134)은 투영면(PP)과 콘텐츠 전사 장치(100)가 콘텐츠를 조사하는 각을 고려하여, 개체(O)의 신장에 따른 그림자 크기 즉, 투영영역(PA)에 드리우는 음영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판단부분(134)은 개체(O)의 유무를 파악하고, 개체(O) 위치 및 투영영역(PA)에서 개체(O)로 인해 가려지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40)는 투영영역(PA)에서 개체(O)가 위치한 영역 및 개체(O)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감지영역(DA)으로 구분하고, 감지영역(DA)을 제외한 영역에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투영 영상을 조정한다. 즉, 영상 처리부(140)는 투영영역(PA) 중 개체(O)가 밟게 되는 위치 및 개체(O)가 투영영역(PA)에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더라도 개체(O)의 신장에 따라 형성된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영역(D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140)를 통항 콘텐츠 투영 영상 조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자세한 예시는 후술하고자 한다.
제어부(150)는 상기한 각 부를 제어하며, 영상 처리부(140)를 통해 조정된 콘텐츠(이하, ‘조정 콘텐츠(AC)’라 칭함)가 투영면(PP)에 투영되도록 조정 콘텐츠(AC)를 조사부(120)에 제공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60)는 제조 당시 기 저장된 콘텐츠 및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에는 감지부(130)로부터 개체(O) 감지 결과가 시간 대 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감지 결과를 통해 시간대 별 통행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행인의 통행량에 따라 조사부(120)의 조사 광량을 조정하거나, 조사부(12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콘텐츠 전시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 즉,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조사 경로(IR) 및 투영영역(PA) 내 개체(O)가 감지될 경우에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로부터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1) 제1 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를 통해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 도4(a)는 콘텐츠 조사 경로(IR)에 개체(O)가 없는 경우에 투영면(PP)에 투영된 투영 콘텐츠(C)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통신부(110), 조사부(120), 감지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구성 및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140)는 콘텐츠 조정부분(141)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30)를 통해 개체(O) 감지가 이루어진 경우, 콘텐츠 조정부분(141)은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으로 특정 영상을 투영하면서, 감지영역(DA)을 제외한 영역에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콘텐츠의 투영영상을 조정한다. 이때, 특정 영상은 무채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색으로 이루어진 영상이다.
즉, 콘텐츠 조정부분(141)을 통해 조정된 조정 콘텐츠(AC)는 도4(b)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DA)에는 검정색으로 이루어진 이미지가 위치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츠(이하, ‘제공 콘텐츠(GC)’라 칭함)가 위치되도록 조정되어, 조사부(1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조정 콘텐츠(AC)의 출력 형태가 이미지 패널(122)에 반영되어, 투영면(PP)에는 조정 콘텐츠(AC)와 대응되는 영상이 조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특정 영상은 검정색뿐 아니라 흰색, 회색으로 이루어진 단색 이미지로 마련되거나, 무채색으로 이루어진 그라데이션 이미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정 콘텐츠(AC)가 조사되는 동안 투영면(PP)을 지나가는 행인의 눈부심이 경감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도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통해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는 투영영역(PA) 중 특정 영상이 포함되어, 감지영역(DA)에 노출되던 일부 내용이 특정 영상으로 전환된 채 투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통해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는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를 제외한 영역에 제공 콘텐츠(GC)가 다수개 노출되는 형태로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조정 콘텐츠(AC)는 개체(O)가 감지되기 이전에 투영영역(PA)에 투영되던 제공 콘텐츠(GC)가 축소된 크기 혹은 동일한 크기로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다수개 배치되는 형태를 가지며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이때, 조정 콘텐츠(AC)는 하나의 제공 콘텐츠(GC)가 중복 배치되거나, 다수개의 제공 콘텐츠(GC)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통해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는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를 제외한 영역의 일부에 단일의 제공 콘텐츠(GC)가 축소된 크기 혹은 동일한 형태로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참고로, 행인의 이동 위치에 따라 감지영역(DA)은 실시간 가변될 수 있기에, 가변되는 감지영역(DA)에 따라 투영면(PP)에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는 제공 콘텐츠(GC)가 감지영역(DA)이 아닌 다른 영역(DA)에 이동 노출되는 형태로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만약, 개체(O)가 기 설정된 시간보다 오래 동일 위치에 머무르는 경우, 조정 콘텐츠(AC) 내 제공 콘텐츠(GC)는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을 제외한 영역 내에서 일정 시간마다 다른 위치로 이동하며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전시 장치(100)로부터 투영면(PP)에 조사되는 콘텐츠가 행인에 의해 투영영역(PA) 중 일부가 가려지더라도 콘텐츠 조사 경로(IR) 또는 투영영역(PA)에 위치한 사람뿐 아니라 콘텐츠에 시선이 머무는 다른 사람들 또한 콘텐츠 전시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내용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를 통해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 도5(a)는 콘텐츠 조사 경로(IR)에 개체(O)가 없는 경우에 투영면(PP)에 투영된 투영 콘텐츠(C)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통신부(110), 조사부(120), 감지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구성 및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140)는 콘텐츠 조정부분(141)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30)를 통해 개체(O) 감지가 이루어진 경우, 콘텐츠 조정부분(141)은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으로의 콘텐츠가 투영을 OFF하고, 감지영역(DA)을 제외한 영역에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콘텐츠의 투영영상을 조정한다.
이에, 콘텐츠 조정부분(141)을 통해 조정된 조정 콘텐츠(AC)는 도5(b) 내지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DA)에는 어떠한 영상도 포함되지 않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공 콘텐츠(GC)가 위치되도록 조정되어, 조사부(12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DA)에는 투영면(PP)이 그대로 노출되고, 감지영역(D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노출하고자 하는 제공 콘텐츠(GC)가 투영되는 것이다. 이후, 조정 콘텐츠(AC)의 출력 형태가 이미지 패널(122)에 반영되어, 투영면(PP)에는 조정 콘텐츠(AC)와 대응되는 영상이 조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정 콘텐츠(AC)가 조사되는 동안 투영면(PP)을 지나가는 행인의 눈부심이 경감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통해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는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를 제외한 영역에 제공 콘텐츠(GC)가 다수개 노출되는 형태로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이때, 조정 콘텐츠(AC)는 제공 콘텐츠(GC)가 개체(O)가 감지되기 이전에 투영영역(PA)에 투영될 때와 동일한 크기 혹은 축소된 크기로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다수개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조정 콘텐츠(AC)는 하나의 제공 콘텐츠(GC)가 중복 배치되거나, 다수개의 제공 콘텐츠(GC)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통해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는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를 제외한 영역의 일부에 단일의 제공 콘텐츠(GC)가 축소된 크기 혹은 동일한 크기로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참고로, 행인의 이동 위치에 따라 감지영역(DA)은 실시간 가변될 수 있기에, 가변되는 감지영역(DA)에 따라 투영면(PP)에 투영되는 조정 콘텐츠(AC)는 제공 콘텐츠(GC)가 감지영역(DA)이 아닌 다른 영역(DA) 상에서 이동 노출되는 형태로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만약, 단일의 제공 콘텐츠(GC)가 일정영역에 노출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경우, 해당 설정 시간보다 개체(O)가 동일 위치에 오래 머무른다면 도5(c) 내지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영역에 투영된 제공 콘텐츠(GC)가 투영영역(PA) 중 감지영역(DA)을 제외한 영역 내에서 일정 시간마다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정된 조정 콘텐츠(AC)가 투영면(PP)에 투영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전시 장치(100)로부터 투영면(PP)에 조사되는 콘텐츠가 행인에 의해 투영영역(PA) 중 일부가 가려지더라도 콘텐츠 조사 경로(IR) 또는 투영영역(PA)에 위치한 사람뿐 아니라 콘텐츠에 시선이 머무는 다른 사람들 또한 콘텐츠 전시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내용이 온전히 전달될 수 있다.
3)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통신부(110), 조사부(120), 감지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구성 및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감지부(130)를 통해 콘텐츠 조사 경로(IR)에 개체(O)가 감지된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중지하고, 콘텐츠 조사 경로(IR)에 개체(O)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재개하도록 조사부(120)를 제어한다.
즉, 영상 처리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개체(O)가 감지될 경우, 투영영역(PA) 전체를 감지영역(DA)으로 구분하여, 콘텐츠의 투영영역(PA)에 어떠한 영상도 포함되지 않도록 조정하여 조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투영영역(PA)에는 투영면(PP)만이 그대로 노출된다.
이를 통해, 조정 콘텐츠(AC)가 조사되는 동안 투영면(PP)을 지나가는 행인의 눈부심이 경감될 수 있으며, 투영면(PP)을 지나치는 행인이 콘텐츠를 조사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이를 쳐다볼 경우에 콘텐츠를 조사하는 광에 눈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150)는 사람의 통행이 적은 시간대에 기 설정된 주기마다 조정 콘텐츠(AC)의 조사가 멈추어졌다가 개시되도록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전시 장치(100)가 지속적으로 구동할 경우에 소비하는 에너지에 비해 적은 에너지로 콘텐츠 전시 장치(100)를 운용할 수 있다.
4)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통신부(110), 조사부(120), 감지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구성 및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개체(O)가 감지될 경우, 투영영역(PA) 전체를 감지영역(DA)으로 구분하여, 콘텐츠의 투영영역(PA) 전체에 무채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색으로 이루어진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조정부분(141)을 통해 조정된 조정 콘텐츠(AC)는 투영영역(PA)에 무채색으로 이루어진 이미지가 위치되도록 조정되어, 조사부(1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조정 콘텐츠(AC)의 출력 형태가 이미지 패널(122)에 반영되어, 투영면(PP)에는 조정 콘텐츠(AC)와 대응되는 영상이 조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정 콘텐츠(AC)는 검정색뿐 아니라 흰색, 회색으로 이루어진 단색 이미지로 마련되거나, 무채색으로 이루어진 그라데이션 이미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정 콘텐츠(AC)가 조사되는 동안 투영면(PP)을 지나가는 행인의 눈부심이 경감될 수 있으며, 투영면(PP)을 지나치는 행인이 콘텐츠를 조사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이를 쳐다볼 경우에 콘텐츠를 조사하는 광에 눈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제5 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통신부(110), 조사부(120), 감지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구성 및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감지부(13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의 신장을 가지는 개체(O)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센서는 조사부(120)를 통해 콘텐츠가 조사되는 조사영역(TF)으로 출입(出入)하는 개체(O)를 감지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센서는 유아 및 성인을 포함한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 이상의 개체(O)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80 cm 내지 1 m 이상의 신장을 가지는 개체(O)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를 통해 감지 가능한 신장은 경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는 적어도 4개 이상 구비되어, 조사영역(TF)의 사방을 감지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센서는 각기 다른 감지지점(SS)을 센싱하며, 각 감지지점(SS)에 접근한 개체(O)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지점(SS)은 콘텐츠 전시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센서가 투영면(PP)을 향해 감지신호를 송출할 때, 기 설정된 일정 높이 이상의 개체(O)를 감지하는 지점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지점을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복수개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가 조사영역(TF)으로 들어오는 개체(O)를 감지한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중지하고, 복수개의 센서 중 다른 하나의 센서가 조사영역(TF)에서 벗어나는 개체(O)를 감지한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재개하도록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개의 센서가 원추형 또는 각뿔 형태로 콘텐츠를 조사가 이루어지는 조사영역(TF)과 외부환경의 경계면에 접근한 개체(O)를 감지하며, 복수개의 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조사부(12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4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외부방향에서 투영영역(PA)을 향해 이동하던 행인이 일측 경계면(IP-1)을 지나치는 순간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조사부(120)가 콘텐츠 조사를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고, 4개의 센서 중 다른 하나의 센서가 상기 행인이 투영영역(PA)을 지나 조사영역(TF)의 외부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타측 경계면(IP-2)을 지나치는 순간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조사부(120)가 콘텐츠 조사를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콘텐츠 전시 장치(100)는 투영영역(PA)을 지나칠 수 있는 동물 및 사람을 포함하는 개체(O) 중 사람만을 감지하여, 행인의 눈부심을 경감하면서도 이동 중 바닥면의 형상을 확인하며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행인의 시야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앞서 언급한 콘텐츠(C)는 콘텐츠 조사 경로(IR) 상에 개체(O)가 없을 경우에 투영면(PP)에 투영된 콘텐츠를 의미하며, 조정 콘텐츠(AC)는 콘텐츠 조사 경로(IR)에 개체(O)가 감지된 경우에 감지영역(DA)에 대한 이미지 전환 혹은 조사 OFF가 반영되도록 조정된 콘텐츠를 의미하고, 제공 콘텐츠(GC)는 상기 콘텐츠(C)의 투영크기 및 투영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동되며 조정 콘텐츠(AC) 내 포함되어 투영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콘텐츠 전시장치
110 : 통신부
120 : 조사부
121 : 광원
122 : 이미지 패널
130 : 감지부
131 : 감지부분
132 : 제1 저장부분
133 : 제2 저장부분
134 : 판단부분
140 : 영상 처리부
141 : 콘텐츠 조정부분
150 : 제어부
160 : 저장부
200 : 관제서버
PP : 투영면
PA : 투영영역
DA : 감지영역
O : 개체
IR : 콘텐츠 조사경로
AC : 조정 콘텐츠
GC : 제공 콘텐츠
TF : 조사영역

Claims (7)

  1. 투영면을 향해 콘텐츠를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와 투영면까지 이르는 콘텐츠 조사경로 상에 위치한 개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투영면에 상기 콘텐츠가 투영되는 영역(이하, ‘투영영역’이라 칭함)에서 상기 개체가 위치한 영역 및 상기 개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감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콘텐츠의 투영 영상을 조정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한 각 부를 제어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조정된 콘텐츠(이하, ‘조정 콘텐츠’라 칭함)가 투영면에 투영되도록 상기 조정 콘텐츠를 상기 조사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콘텐츠 조사 경로 상에 개체의 유무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분;
    조사 경로 상에 개체가 없는 경우에 상기 감지부분이 감지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1 저장부분;
    상기 감지부분이 실시간 감지한 데이터를 감지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2 저장부분; 및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감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개체의 유무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투영영역 중 상기 감지영역으로 특정 영상을 투영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상기 콘텐츠의 투영영상을 조정하는 콘텐츠 조정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영상은 무채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색으로 이루어진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투영영역 중 상기 감지영역으로의 콘텐츠 투영을 OFF하고,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만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상기 콘텐츠의 투영영상을 조정하는 콘텐츠 조정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콘텐츠 조사경로에 개체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콘텐츠 조사를 중지하고, 상기 콘텐츠 조사경로에 개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재개하도록 상기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의 신장을 가지는 개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조사부를 통해 콘텐츠가 조사되는 조사영역으로 출입(出入)하는 개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가 상기 조사영역으로 들어오는 개체를 감지한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중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다른 하나의 센서가 상기 조사영역에서 벗어나는 개체를 감지한 경우에 콘텐츠 조사를 재개하도록 상기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시 장치.
KR1020200020210A 2020-02-19 2020-02-19 콘텐츠 전시 장치 KR10231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10A KR102317943B1 (ko) 2020-02-19 2020-02-19 콘텐츠 전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10A KR102317943B1 (ko) 2020-02-19 2020-02-19 콘텐츠 전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574A true KR20210105574A (ko) 2021-08-27
KR102317943B1 KR102317943B1 (ko) 2021-10-28

Family

ID=7750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210A KR102317943B1 (ko) 2020-02-19 2020-02-19 콘텐츠 전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9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33Y1 (ko) 2002-01-31 2002-04-22 김점동 레이저 광고장치
KR20140122978A (ko) 2013-04-11 2014-10-21 전준석 프로젝션 간판
KR20150033320A (ko) *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프라이머스코즈 투영 영상 가변형 프로젝터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션 시스템
KR20160131252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아보네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KR20190069743A (ko) * 2017-12-12 2019-06-20 (주)휴엔텍 장애물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33Y1 (ko) 2002-01-31 2002-04-22 김점동 레이저 광고장치
KR20140122978A (ko) 2013-04-11 2014-10-21 전준석 프로젝션 간판
KR20150033320A (ko) *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프라이머스코즈 투영 영상 가변형 프로젝터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션 시스템
KR20160131252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아보네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KR20190069743A (ko) * 2017-12-12 2019-06-20 (주)휴엔텍 장애물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943B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569B1 (ko)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US7136513B2 (en)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US7305108B2 (en)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KR102120193B1 (ko) 지능형 도시정보 스마트 폴 장치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US20180182111A1 (en) Illumination system, illumination method, and program
CN109917666B (zh) 智慧家庭的实现方法及智能装置
WO2004064022A1 (en) Kiosk system
US11233665B2 (en) Lighting fixture data hubs and systems and methods to use the same
KR102329778B1 (ko) 횡단보도 투광기
CN111163365B (zh) 投影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899989B1 (ko) 화상인식 및 추적제어가 가능한 방범용 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
JP5271612B2 (ja) 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情報提示プログラムとその記憶媒体
KR20180098071A (ko) 디지털 사이니지
KR102317943B1 (ko) 콘텐츠 전시 장치
KR101271894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led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40197B1 (ko) 차량 우회전 안전 보조장치
KR102208558B1 (ko) 불법 주정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737482B1 (ko) 옥외형 제어함을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CN209084524U (zh) 一种用户引导设备
KR102368132B1 (ko) 미세먼지 신호등
KR102355195B1 (ko)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JP6472987B2 (ja) 映像投影システム
KR20220047186A (ko) 경관 스마트폴
KR100841386B1 (ko) 인터액티브 영상 가로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