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778B1 - 횡단보도 투광기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투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778B1
KR102329778B1 KR1020210066149A KR20210066149A KR102329778B1 KR 102329778 B1 KR102329778 B1 KR 102329778B1 KR 1020210066149 A KR1020210066149 A KR 1020210066149A KR 20210066149 A KR20210066149 A KR 20210066149A KR 102329778 B1 KR102329778 B1 KR 102329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image
unit
pedestria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씨 filed Critical (주)에스티씨
Priority to KR102021006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투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 제어, 또는 신호등 제어에 기반하여 횡단보도 이미지를 동적 제어하는 횡단보도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횡단보도 투광기는 횡단보도 이미지를 도로에 투사하며, 가로등 제어, 또는 신호등 제어를 지시하는 감시센터로부터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수신하여 도로 위에 횡단보도를 투사해서 보행자 또는 차량에 횡단보도를 정확히 인지시킨다.

Description

횡단보도 투광기{CROSSWALK FLOOD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횡단보도 투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 제어, 또는 신호등 제어에 기반하여 횡단보도 이미지를 동적 제어하는 횡단보도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횡단보도 투광기는 횡단보도 이미지를 도로에 투사하며, 가로등 제어, 또는 신호등 제어를 지시하는 감시센터로부터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수신하여 도로 위에 횡단보도를 투사해서 보행자 또는 차량에 횡단보도를 정확히 인지시킨다.
보행자가 도로를 가로질러 건널 때 보행 신호등의 신호를 보고, 횡단보도를 이용한다. 횡단보도는 도로 위에 인쇄되어 있거나, 횡단보도 투광기에 의해 보행 신호가 있을 때 횡단보도 이미지가 도로 위에 투사될 수 있다.
종래 횡단보도 투광기는 도 1의 특허문헌 2 동영상이 구현되는 로고라이트를 이용하여 횡단보도 이미지를 도로에 투사하여 횡단보도를 비춘다. 보행자는 도로에 투사된 횡단보도를 인지하고, 건넌다. 또한, 도로에 투사된 횡단보도는 차량 운전자에게 인지되어 횡단보도 앞에 차량이 정지된다. 이러한 종래 횡단보도 투광기는 일반 횡단보도를 투사하는데 그치고, 차량 감지, 보행자 감지, 조도 감지 등에 반응하지 않고 정적인 장치에 불과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은 도로표지 출력장치가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형태의 횡단보도 이미지를 출력한다. 종래 교통안전시스템은 제한된 관할 지역에 설치된 로컬 신호등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으며, 중앙 통제 방식 형태인 원격지 감시 센터의 제어를 받지 않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73301호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1965656호 동영상이 구현되는 로고라이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126호 횡단보도 투광기의 브래킷 구조 등록특허공보 제10-2184728호 영상 감지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 안내 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915456호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장치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 구역과 같이 교통사고 빈번 발생 지역에 횡단보도를 발광 투사하고, 가로등 체계 또는 신호등 체계의 제어로 횡단보도 투사를 제어하는 횡단보도 투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접근, 보행자 감지, 조도 데이터 등의 감지 데이터에 반응하는 횡단보도 이미지를 처리해서 동적인 횡단보도를 도로에 투사하는 횡단보도 투광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횡단보도에 일시 정지하고,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는 횡단보도 투광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LED모듈(210), 방열부(211), 이미지글라스(212), 렌즈(213), 조리개(214), 소형프로젝터(220), 영상처리부(221), 통신모듈(222), 전반사판(233)을 포함하고, 도로에 횡단보도 이미지를 투사하는 횡단보도 투광기에 있어서, 감시센터(230)로부터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는 통신모듈(222); 및 상기 통신모듈(222)이 상기 감시센터(230)로부터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수신하면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에 따라 횡단보도를 도로 위에 투사하거나 투사를 중지시키는 투광기(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기(3)는, 상기 횡단보도 이미지를 동적으로 만드는 영상처리부(221); 및 상기 투광기(3)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164)를 제어하는 제어부(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5)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166);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167); 및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168);를 포함하고, 차량 유무, 보행자 감지, 조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투광기(3)의 횡단보도 이미지 투사,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164)의 동적인 횡단보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기(3)는, 상기 횡단보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62); 상기 표시패널(162)에 광을 출력하는 램프(163); 및 상기 표시패널(162)에 반사된 광을 집광하여 도로 위의 상기 반사판(310)에 투사하는 렌즈(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자 감지부(167)는, 보행자 거동을 분석하는 보행자 거동 분석부(71);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신호 정보 수집부(72); DB(60)로부터 보행 안내 컨텐츠를 추출하는 보행 안내 컨텐츠 추출부(73); 및 분석된 보행자 거동, 상기 신호 정보, 추출된 보행 안내 컨텐츠를 종합 처리하는 보행 신호 안내부(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 신호 안내부(74)는, 추출된 보행 안내 컨텐츠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LED 패널(77); 상기 LED 패널(77)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빔 조사기(78); 및 추출된 보행 안내 컨텐츠의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기(3)는, 통신 모듈(222)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222)을 이용하여 감시센터(23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해서 상기 횡단보도 이미지에 중첩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기(3)는, 로고 프로젝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기(3)는, 레이저 센서(169)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센서(169)를 이용하여 광 투과율을 측정해서 안개 유무를 판단하고, 안개가 낀 경우 레이저 빔 조사기(78)의 출력을 기설정된 레벨로 강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통사고 빈번 지역에서 운전자 부주의 또는 보행자 돌발 행동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차량 접근, 보행자 감지, 조도 데이터 등에 반응하는 횡단보도 이미지를 동적으로 투사하여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정확히 인지하고, 차량이 횡단보도에 정지 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로고 라이트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횡단보도 투광기가 설치된 지주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가 설치되는 도로 환경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가 설치되는 지주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로에 횡단보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9는 투광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횡단보도 투사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횡단보도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횡단보도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의 투광기 구성에 레이저 센서가 더 포함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투광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포함된 구성은 개별 또는 복합 결합 구성되어 동작한다.
도 2는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횡단보도 투광기는 통신모듈(222), 투광기(3), 감시센터(23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222)은 감시센터(230)로부터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며, LTE, 5G, 라디오, 인터넷, 광통신 등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투광기(3)는 통신모듈(222)이 감시센터(230)로부터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수신하면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에 따라 횡단보도를 도로 위에 투사하거나 투사를 중지시킨다. 투광기(3)는 로고 프로젝터를 이용할 수 있고, 어린이 보호 구역과 같이 교통사고 다발 지역에 횡단보도를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눈에 잘 식별되도록 설치된다. 투광기(3)는 도로에 인쇄된 횡단보도에 보조 수단으로 발광하는 횡단보도를 투사한다. 여기서, 횡단보도는 투광기(30)에서 출력되는 횡단보도 이미지가 도로 위에 표시되는 횡단보도를 나타내고, 횡단보도 이미지는 제어부(165)에서 처리되는 이미지 데이터로, 투광기(3)에서 디스플레이 소자에 출력되고, 발광 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소자의 횡단보도 이미지가 투사됨을 나타낸다.
감시센터(230)는 가로등 제어기, 가로등 중앙센터, 신호등 제어기 등 도로 신호 제어 체계 또는 가로등 제어 체계의 제어를 받을 수 있고, 통신모듈(222)에 가로등 제어 명령 또는 신호 제어 명령을 전송해서 통신모듈(222)이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투광기(3)에 전달한다. 감시센터(230)는 각 지역 도로에 설치된 투광기(3)를 중앙 집중 제어하고, 투광기(3)는 감시센터(230)의 제어에 의해 도로 위에 횡단보도를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횡단보도 투광기는 렌즈(161), 표시패널(162), 램프(163), 이미지 처리부(164), 제어부(165), 차량 감지부(166), 보행자 감지부(167), 조도 감지부(168)를 포함한다. 제어부(165)에는 차량 감지부(166), 보행자 감지부(167), 조도 감지부(168)가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165)는 차량 감지, 보행자 감지, 조도 감지를 수행하고, 감지 데이터에 따라 횡단보도 이미지를 처리하고 표시패널(162)로 출력해서 램프(163)와 렌즈(161)를 이용하여 횡단보도를 도로에 투사한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62)은 도 5의 LED 패널(77), LCD, OLED, 마이크로 LED, QLED일 수 있고, 램프(163)는 도 5의 레이저 빔 조사기(78), 할로겐램프, 백열전구, LED 램프일 수 있다.
램프(163)는 RGB 광원을 출력하고, 이미지 처리부(164)는 횡단보도 이미지를 표시패널(162)에 제공하고, 표시패널(162)은 횡단보도 이미지를 표시하고, 렌즈(161)는 램프(163)에 의해 표시패널(162)의 횡단보도 이미지가 투사됨을 초점 조정하여 도로에 비춘다.
차량 감지부(166)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보행자 감지부(167)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조도 감지부(168)는 횡단보도 주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한다.
제어부(165)는 차량 감지부(166), 보행자 감지부(167), 조도 감지부(168)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횡단보도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부(164)에 의해 처리하고, 처리된 횡단보도 이미지를 표시패널(162)에 출력하여 도로에 비춘다.
이미지 처리부(164)는 차량 감지부(166)로부터 차량 감지를 입력받으면 횡단보도 이미지의 세로 측면 가장자리를 하이라이트로 처리하고 출력한다. 이미지 처리부(164)는 보행자 감지부(167)로부터 보행자 감지를 입력받으면 횡단보도 이미지의 가로 줄무늬를 순차적으로 점등 처리하고 출력한다. 이미지 처리부(164)는 조도 감지부(168)의 조도 감지를 입력받으면 횡단보도 이미지의 조도를 조정하여 출력한다.
조도 감지부(168)는 시간, 날씨에 따라 달라지는 조도를 감지하고, 조도 데이터를 제어부(165)에 제공해서 제어부(165)가 시간, 날씨에 따른 횡단보도 이미지를 처리하여 투사한다.
도 4는 도 3의 횡단보도 투광기가 설치된 지주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주는 수직등주(1), 수평암대(2), 투광기(3), 고정 브래킷(10), 각도조정 브래킷(20), 반사갓(30), 문자판(40), 도로표지판(41)을 포함한다.
수직등주(1)는 지주를 수직으로 도로 옆 도보 가장자리에 고정하고, 수평암대(2)는 수직등주(1)로부터 도로로 연장되고, 투광기(3)는 수평암대(2)에 다수 장착된다.
투광기(3)의 고정 브래킷(10)은 투광기(3)를 수평암대(2)에 고정하고, 각도조정 브래킷(20)은 투광기(3)의 각도를 조정하고, 반사갓(30)은 투광기(3)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집광하고, 문자판(40)은 운전자에게 도로 정보를 제공하고, 도로표지판(41)은 도로 이정표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횡단보도 투광기 제어부는 보행자 거동 분석부(71), 신호 정보 수집부(72), 보행 안내 콘텐츠 추출부(73), 보행 신호 안내부(74), 차량 감지부(166)를 포함하고, 주변 장치로 카메라(75), LED 패널(77), 레이저 빔 조사기(78), 스피커(79)를 포함한다.
카메라(75)는 횡단보도 주변 환경을 촬영하고, 보행자 거동 분석부(71)는 카메라(75)의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여 보행자 거동을 분석하고, 신호 정보 수집부(72)는 신호등(50)으로부터 신호 정보를 수집하고, 보행 안내 콘텐츠 추출부(73)는 DB(60)에 저장된 보행 안내 콘텐츠를 읽어들여 보행 신호를 생성하고, 차량 감지부(166)는 도 6의 차량 감지기(111)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보행 신호 안내부(74)는 생성된 보행 신호를 LED 패널(77), 레이저 빔 조사기(78), 스피커(79)를 통해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가 설치되는 도로 환경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로 환경은 도로(100), 제1지주(110), 차량 감지기(111), 차량용 경고패널(112, 123), 횡단보도(120), 보행자 감지기(121, 121-1), 노면등(122), 제2지주(130), 카메라(131), 보행자용 경고패널(132), 제3지구(140), 투광기(141), 분사부(150), 초음파 감지부(151), 노즐(152)을 포함한다.
제1지주는 차량 감지기(111)와 차량용 경고패널(112, 123)을 지지하고, 제2지주(130)는 카메라(131), 투광기(141)를 지지하고, 제3지주(140)는 보행자용 경고패널(132)을 지지한다.
차량 감지기(111)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용 경고패널(112, 123)은 차량에 경고 정보를 제공하고, 보행자 감지기(121, 121-1)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노면등(122)은 횡단보도 진입 지점을 표시하고, 카메라(131)는 횡단보도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보행자용 경고패널(132)은 보행자에게 경고 정보를 제공하고, 투광기(141)는 횡단보도 이미지를 도로에 투사하고, 분사부(150)는 화재에 대비하고, 노즐(152)은 물을 분사하고, 초음파 감지부(151)는 분사부(150)에 접근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를 감지한다.
차량 감지기(111)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차량 속도, 위치를 측정해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차량 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보행자 감지기(121, 121-1)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보행자 유무를 감지할 수 있고, 도 3의 보행자 감지부(167)는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분석 감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횡단보도 투광기가 설치되는 지주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주에는 수직등주(1), 수평암대(2), 투광기(3), 신호등(4)이 포함된다.
수직등주(1)는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고, 수평암대(2)는 수직등주(1)로부터 연장되고, 투광기(3)에는 로고 프로젝터가 사용될 수 있고, 신호등(4)는 차량에 교통 신호를 제공한다. 투광기(3)는 신호등(4)의 신호 정보에 따라 횡단보도 이미지를 출력한다.
투광기(3)는 횡단보도 이미지를 도로에 투사하여 횡단보도를 표시한다. 투광기(3)는 수직등주(1)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이미지를 지주로부터 도로에 측면에서 투사한다. 투광기(3)가 도 4에서는 도로 위에서 아래로 비추는 방식이었다면, 도 7에서는 도로 측면에서 아래로 비추는 방식이다. 투광기(3)가 수직 또는 측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에 설치되어 도로 주변의 환경에 따라 알맞은 설치 방법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로에 횡단보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횡단보도(120)가 파란색과 노란색이 번갈아 반복되는 패턴을 가진다. 횡단보도(120)가 도로에 표시되고, 차량 접근, 보행자 감지, 조도에 따라 파란색과 노란색의 색상 조정, 조도 조정, 모양 조정이 이루어진다. 횡단보도(120)에 차량이 접근하면 횡단보도(120)의 색상, 조도, 모양이 달라질 수 있고, 횡단보도(120)에 보행자가 보행하면 횡단보도(120)의 가로 패턴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고, 횡단보도(120) 주변의 조도가 달라지면 횡단보도(120)의 조도가 변화할 수 있다.
도 9는 투광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투광기는 LED모듈(210), 방열부(211), 이미지글라스(212), 렌즈(213), 조리개(214), 소형프로젝터(220), 영상처리부(221), 통신모듈(222), 전반사판(233)을 포함한다.
감시센터(230)는 투광기(3)에 횡단보도와 더불어 동영상을 출력하도록 명령하면, 투광기(3)의 통신모듈(222)은 감시센터(230)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하고, 영상처리부(221)는 동영상으로부터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고, 전반사판(233)은 출력 이미지를 이미지글라스(212)에 표시하고, 이미지글라스(212)는 렌즈(213)에 이미지를 제공한다.
감시센터(230)는 실시간으로 투광기(3)에 디자인된 횡단보도 이미지를 제공해서 투광기(3)가 디자인된 횡단보도 이미지를 도로에 투사할 수 있다. 계절, 날씨에 따라 디자인된 횡단보도 이미지는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각기 다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LED모듈(210)은 이미지글라스(212)에 광을 조사하여 렌즈(213)를 통해 출력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방열부(211)는 LED모듈(210)의 열을 방열하고, 조리개(214)는 광량을 조절한다. LED모듈(210)은 도 5의 LED 패널(77)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횡단보도 투사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로 위에 반사판(310)이 설치되어 있고, 투광기(3)가 도로의 반사판(310)을 이용하여 횡단보도 이미지를 투사한다. 반사판(310) 각도와 투광기(3)의 투사 각도에 따라 횡단보도 이미지의 투사 방향이 달라진다. 횡단보도 이미지의 투사 방향이 차량 운전자를 향하거나 보행자를 향하도록 해서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횡단보도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12는 사시도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횡단보도(120)는 세로바(410), 가로바(420)로 이루어지고, 세로바(410)는 횡단보도(120)의 측면 경계선을 표시하고, 가로바(420)는 횡단보도(120)의 보행 경로를 가이드한다. 투광기(3)는 세로바(410) 또는 가로바(420)의 색상, 조도, 반사 각도를 조절해서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도 13은 도 3의 투광기 구성에 레이저 센서가 더 포함된 예시도로서, 투광기(3)는 레이저 센서(169)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센서(169)를 이용하여 광 투과율을 측정해서 안개 유무를 판단하고, 안개가 낀 경우 레이저 빔 조사기(78)의 출력을 기설정된 레벨로 강하게 조절한다. 레이저 센서(169)는 레이저 발광 센서와 레이저 수광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수직등주
2: 수평암대
3: 투광기
10: 고정 브래킷
20: 각도조정 브래킷
30: 반사갓
40: 문자판
41: 도로표지판
71: 보행자 거동 분석부
72: 신호 정보 수집부
73: 보행 안내 콘텐츠 추출부
74: 보행 신호 안내부
75: 카메라
77: LED 패널
78: 레이저 빔 조사기
79: 스피커
100: 도로
110 : 제1지주
111 : 차량 감지기
112,123 : 차량용 경고패널
120 : 횡단보도
121,121-1 : 보행자 감지기
122 : 노면등
130 : 제2지주
131 : 카메라
132 : 보행자용 경고패널
140 : 제3지주
141 : 투광기
150 : 분사부
151 : 초음파 감지부
152 : 노즐
161: 렌즈
162: 표시패널
163: 램프
164: 이미지 처리부
165: 제어부
166: 차량 감지부
167: 보행자 감지부
168: 조도 감지부
169: 레이저 센서
210 : LED모듈
211 : 방열부
212 : 이미지글라스
213 : 렌즈
214 : 조리개
220 : 소형프로젝터
221 : 영상처리부
222 : 통신모듈
233 : 전반사판
230 : 감시센터
310: 반사판
410: 세로바
420: 가로바

Claims (7)

  1. 광을 조사하는 LED모듈(210), LED모듈(210)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211), 횡단보도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글라스(212), 이미지글라스(212)에서 반사된 광을 집광하여 도로 위에 설치된 반사판(310)으로 횡단보도 이미지를 투사하는 렌즈(213),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214), 동영상을 전반사판(233)으로 투사하는 소형프로젝터(220), 횡단보도 이미지를 동적으로 만들고 소형프로젝터(220)로 동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처리부(221), 감시센터(230)로부터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는 통신모듈(222), 소형 프로젝터(220)로부터 전송된 동영상을 이미지글라스(212)로 반사하는 전반사판(233)을 포함하고, 도로에 횡단보도 이미지를 투사하는 횡단보도 투광기에 있어서,
    상기 투광기와 상기 영상처리부(221)를 제어하는 제어부(16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5)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부(166);
    보행자 거동을 분석하는 보행자 거동 분석부(71),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신호 정보 수집부(72) 및 DB(60)로부터 보행 안내 컨텐츠를 추출하는 보행 안내 컨텐츠 추출부(73), 및 분석된 보행자 거동, 상기 신호 정보, 추출된 보행 안내 컨텐츠를 종합 처리하고, 추출된 보행 안내 컨텐츠의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79)를 포함하는 보행 신호 안내부(74) 를 포함하는 보행자 감지부(167); 및
    횡단보도 주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168);를 포함하고,
    차량 유무, 보행자 감지, 조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투광기의 횡단보도 이미지를 투사, 또는 상기 영상처리부(221)의 동적인 횡단보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레이저 센서(169)를 이용하여 광 투과율을 측정해서 안개 유무를 판단하고, 안개가 낀 경우 소형프로젝터(220)의 출력을 기설정된 레벨로 강하게 조절하고,
    상기 통신모듈(222)이 상기 감시센터(230)로부터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을 수신하면 횡단보도 온/오프 명령에 따라 횡단보도 이미지를 도로 위에 투사하거나 투사를 중지시키며,
    상기 영상처리부(221)는,
    차량 감지를 입력받으면, 횡단보도 이미지의 세로 측면 가장자리를 하이라이트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보행자 감지부(167)에서 보행자 감지를 입력받으면 횡단보도 이미지의 가로 줄무늬를 순차적으로 점등 처리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투광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66149A 2021-05-24 2021-05-24 횡단보도 투광기 KR102329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149A KR102329778B1 (ko) 2021-05-24 2021-05-24 횡단보도 투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149A KR102329778B1 (ko) 2021-05-24 2021-05-24 횡단보도 투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778B1 true KR102329778B1 (ko) 2021-11-22

Family

ID=7871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149A KR102329778B1 (ko) 2021-05-24 2021-05-24 횡단보도 투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7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64B1 (ko) * 2023-02-08 2023-07-28 전청민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면표시 발광 시스템 및 빔 프로젝터
KR102595652B1 (ko) * 2023-03-27 2023-11-17 성풍솔레드(주) 바닥빔형 멀티 보행신호등
KR102656588B1 (ko) * 2023-10-06 2024-04-11 주식회사 캡쳐 가변형 레이저를 이용한 바닥용 보행 신호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813A (ja) * 1996-08-29 1998-03-17 Koito Ind Ltd 誘導装置
KR200436126Y1 (ko) 2006-11-08 2007-06-08 (주)영상엔지니어링 횡단보도 투광기의 브래킷 구조
JP2009032260A (ja) * 2007-07-24 2009-02-12 Choruju Yun 歩行者保護装置
KR20160112521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아보네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KR20180109387A (ko) * 2017-03-28 2018-10-08 박기철 동영상이 구현되는 로고라이트
KR101915456B1 (ko) 2017-04-18 2018-11-06 최병주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장치
KR102184728B1 (ko) 2020-03-27 2020-11-30 염상훈 영상 감지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 안내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813A (ja) * 1996-08-29 1998-03-17 Koito Ind Ltd 誘導装置
KR200436126Y1 (ko) 2006-11-08 2007-06-08 (주)영상엔지니어링 횡단보도 투광기의 브래킷 구조
JP2009032260A (ja) * 2007-07-24 2009-02-12 Choruju Yun 歩行者保護装置
KR20160112521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아보네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KR101673301B1 (ko) 2015-03-19 2016-11-22 주식회사 아보네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KR20180109387A (ko) * 2017-03-28 2018-10-08 박기철 동영상이 구현되는 로고라이트
KR101965656B1 (ko) 2017-03-28 2019-04-03 박기철 동영상이 구현되는 로고라이트
KR101915456B1 (ko) 2017-04-18 2018-11-06 최병주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장치
KR102184728B1 (ko) 2020-03-27 2020-11-30 염상훈 영상 감지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 안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64B1 (ko) * 2023-02-08 2023-07-28 전청민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면표시 발광 시스템 및 빔 프로젝터
KR102595652B1 (ko) * 2023-03-27 2023-11-17 성풍솔레드(주) 바닥빔형 멀티 보행신호등
KR102656588B1 (ko) * 2023-10-06 2024-04-11 주식회사 캡쳐 가변형 레이저를 이용한 바닥용 보행 신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778B1 (ko) 횡단보도 투광기
US10981497B2 (en) Control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3164719A (ja) 画像投射装置
KR101276385B1 (ko) 보행자 무단 횡단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547807B1 (ko) 교통신호 보조안전시스템
KR102184728B1 (ko) 영상 감지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 안내 장치
KR101829220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20090010935A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655730B1 (ko) 빔프로젝터를 구비한 스마트형 교통안전시스템
KR102263867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Czajewski et al. Innovative solutions for improving safety at pedestrian crossings
KR102185100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7347B1 (ko) 횡단보도 음성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2788A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044561A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제공시스템
JP2019051793A (ja) 車両の路面描画装置
Gibbons et al. Development of a mobile measurement system for roadway lighting
KR102502155B1 (ko) 음성 안내를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23522A (ko) 도로 마킹 조명 장치
KR101728494B1 (ko) 눈부심 방지형 차량용 도로표시판 및 도로차선 식별장치
KR101056738B1 (ko) 도로 경계선 유도등 장치
KR20170129523A (ko) 횡단보도용 조명 스마트 제어 시스템
KR101851773B1 (ko) 투광기와 레이더를 이용한 횡단보도 음성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796875A (zh) 人行道灯光提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