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521A -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521A
KR20160112521A KR1020150038376A KR20150038376A KR20160112521A KR 20160112521 A KR20160112521 A KR 20160112521A KR 1020150038376 A KR1020150038376 A KR 1020150038376A KR 20150038376 A KR20150038376 A KR 20150038376A KR 20160112521 A KR20160112521 A KR 2016011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road
light
road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301B1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보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to KR102015003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0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21Y2101/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등 제어장치; 및 상기 신호등 제어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내부 광원을 통한 도로 지면상 이미지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에는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이미지 패널이 내부 광원의 선단에 기 마련되어 상기 내부 광원의 출력에 의해 도로 지면 상에 소정의 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도로 내 매설되지 않고 외부에 기 설치된 신호등과 연동되어 도로표지 출력을 수행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통해 교통 상황 및 도로 상황을 반영한 장치의 설치, 변형 및 제거 상의 작업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Traffic safety system using Convertible road sign device }
본 발명은 신호등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시스템은 도로 상황 및 형태를 반영하여 각각의 구역의 교통 상황에 맞게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이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신호등들의 설치 위치를 반영하여 도로표지가 도포됨으로써 구축된다.
여기서, 도로 상에 도포되어 표시되는 도로표지는 횡단보도, 차량정지선, 차선, 이동방향지시 화살표 및 차량 제한속도 등 다양하게 존재하며, 이러한 도로표지들은 작업자에 의해 인위로 도로 상에 그려졌다.
하지만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도포 작업 수행되어 도로 상에 도로표지가 그려질 경우, 도포 작업 후 소정의 시간 동안 경화되는 과정을 기다려야 했고 모든 과정을 거쳐 도포가 완료된 후에도 수많은 차량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포된 도로표지가 훼손되어 운전자 및 보행자가 도로표지를 인식함에 있어서 시인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도로표지의 전자화 및 조금 더 개선된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8904호의 "도로상의 차량 정지선 표시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도로 상의 매설되어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전자적 광원을 제공함에 따라 교통 상황 및 도로 상황을 반영한 설치, 변경 및 제거에 작업적 효율이 더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교통 상황 및 도로 상황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도로표지를 표시해줌으로써, 효율적인 도로표지 장치의 운용 및 좀 더 안전한 교통시스템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 상황 및 도로 상황을 반영하여 설치, 변경 및 제거가 용이하고, 운용의 효율성 및 교통안전성이 개선된 도로표지출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은,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등 제어장치; 및 상기 신호등 제어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내부 광원을 통한 도로 지면상 이미지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에는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이미지 패널이 내부 광원의 선단에 기 마련되어 상기 내부 광원의 출력에 의해 도로 지면 상에 소정의 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등 제어장치는,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보행자 신호등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는, 내부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 및 상기 LED에 의해 투영가능한 제1이미지가 반영되는 이미지 패널을 포함하는 제1출력부;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부; 및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1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출력부 내 LED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출력부 내 LED를 발광시킴으로써 조사된 광이 상기 제1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1이미지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1구역에 상기 제1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제어신호가 보행자 횡단신호일 경우 상기 제1출력부 내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이 상기 제1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제어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일 경우 상기 제1출력부 내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에 비해 더 많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출력부 내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제1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제어장치는, 차량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신호등 제어부; 및 도로 상에 기 설정된 영역을 지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랑속도정보를 생성하는 속도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는, 내부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 및 상기 LED에 의해 투영가능한 제2이미지 및 제3이미지가 반영되는 이미지 패널을 포함하는 제2출력부;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차량속도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부; 및 상기 제2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2제어신호 및 차량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출력부 내 LED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출력부 내 LED의 일부를 발광시킴으로써 조사된 광이 상기 제2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2이미지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2구역에 상기 제2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2제어신호가 차량 정지신호 또는 차량 주의신호이며, 상기 제2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차량속도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출력부 내 LED의 일부를 발광시킴으로써 조사된 광이 상기 제2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3이미지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3구역에 상기 제3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2출력부 내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제2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별도의 도로 상의 도로표지 도포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도로표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어 도로 상의 도로표지 도포 작업 및 도로 용도 변경에 따른 도로표지 변경 또는 제거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보행자 신호등과 연동되어 도로 상의 횡단보도 출력 형태를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통해, 보행자 횡단신호일 때와 보행자 정지신호일 때에 따라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해 줌으로써, 보행자 횡단신호 시 도로 상에 도시된 횡단보도에 대한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 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둘째, 차량 신호등과 연동되어 출력형태를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통해, 차량 정지 및 차량 주의신호에서 과속하는 차량의 전방의 도로 상에 정지선 준수 및 속도 감속을 위한 소정의 이미지를 도시해 줌으로써 운전자의 차량 전지선 준수 및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셋째, 도로 내 매설되지 않고 외부에 기 설치된 신호등과 연동되어 도로표지 출력을 수행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통해 교통 상황 및 도로 상황을 반영한 장치의 설치, 변형 및 제거 상의 작업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에 관한 계략도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출력부 내 설치된 이미지 패널의 인쇄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출력부 내 설치된 이미지 패널의 인쇄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행자 신호등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의 도로표지 형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8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 신호등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의 도로표지 형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경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은 신호등 제어장치(100); 및 도로표지 출력장치(200);를 포함한다.
신호등 제어장치(100)는 도로 일측에 마련되어 신호등(10)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써, 기 설정된 방식으로 보행자 신호등(12) 또는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를 변화시킨다.
여기서, 신호등 제어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12)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보행자 신호등 제어부(110) 및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등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보행자 신호등 제어부(110)가 출력하는 제1제어신호는 보행자 횡단신호(녹색등 점등신호) 또는 보행자 정지신호(적색등 점등신호)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제어신호는 보행자 신호등(12)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신호등 제어부(120)가 출력하는 제2제어신호는 차량 운전신호(녹색등 점등신호), 차량 주의신호(황색등 점등신호), 차량 정지신호(적색등 점등신호) 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제어신호는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신호등 제어장치(100)는 도로 상에 기 설정된 영역을 지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속도정보를 생성하는 속도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속도감지부(130)는 신호등 제어장치(100) 내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도로를 지나는 차량 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단으로써 도로 상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로표지 출력장치(200, 300)는 신호등 제어장치(100)와 연동되어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내부 광원(211, 311)을 통한 도로 지면 상 도로표지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출력상태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도로표지 출력장치(200, 300)는 소정의 이미지가 반영된 이미지 패널(213, 313)을 내부 광원(211, 311)의 선단에 기 마련하여 광원(211, 311)의 출력에 의해 도로 지면 상에 이미지 패널(213, 313) 상에 반영된 소정의 이미지가 투영되어 도시되도록 한다.
즉, 신호등 제어장치(100) 및 도로표지 출력장치(200, 300)는 일반적이 도로 상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교통안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교통안전시스템은 보행자 신호등(12) 및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장치(100);와 신호등 제어장치(100)와 연동되어 보행자 신호등(12)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200); 및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행자 신호등(12)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12)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지면 상의 제1구역(T1)에 소정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아울러,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역(T1)은 도로 상의 횡단보도가 표지될 지역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300)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신호등(13)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지면 상의 제2구역(T2) 또는 제3구역(T3)에 소정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아울러,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역(T2)은 도로 상의 차량 정지선이 표지될 지역이며, 제3구역(T3)은 제2구역(T2)의 후단 측 소정의 영역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보행자 신호등(12)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출력부(210); 제1수신부(220); 및 제1제어부(230);로 구성되며, 도로 상의 제1구역(T1)에 아래 설명될 제1이미지(213F)가 투영되어 도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선, 제1출력부(210)는 내부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211) 및 LED(211)에 의해 투영 가능한 제1이미지(213F)가 반영되는 이미지 패널(213)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LED(211)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집속 또는 분산을 수행하거나, 이미지 패널(213)로부터 투영되어 지는 이미지의 방향성 및 크기의 조절을 위해 소정의 곡률로 마련되는 렌즈(212)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렌즈(212)는 도로의 규격 및 형태를 반영하여 도로 상의 제1구역(T1)에 도시될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된 제1이미지(213F)가 LED(211)로부터 출력되는 광원을 전 영역에서 조사받을 수 있을 정도의 곡률 또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LED(211)과 이미지 패널(213)사이에 마련되거나, 이미지 패널(213)로부터 투영되어 지는 이미지의 도시 각도,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이미지 패널(213)의 선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두 위치 모두에 설치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출력부(210)를 구성하는 이미지 패널(213)의 실시예 및 나머지 구성(211, 212)과의 상호 결합관계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출력부(210)는 소정의 이미지를 광을 이용해 특정 공간에 투영시켜 도시하기 위한 목적을 구비한 상태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이미지(213F)가 반영된 이미지 패널(213)은 소정의 이미지가 인쇄되어 광원에 의해 이미지가 소정의 영역에 투영될 수 있도록 마련된 투명 재질의 필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OHP(Over Head Projector) 필름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필름의 형태로 마련되는 이미지 패널(213)을 사용할 경우 렌즈(212)의 구성은 내부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211)와 이미지 패널(213)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1출력부(210)는 우선 LED(211)에 의해 조사된 광을 렌즈(212)를 통해 소정의 각도로 집속 또는 분산되게 하고, 이렇게 렌즈(212)를 통과한 광이 필름으로 마련되는 이미지 패널(213)에 인쇄된 제1이미지(213F)를 소정의 공간에 투영시키도록 구성되어 진다. 이 과정을 통해 필름 형태로 마련된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된 제1이미지(213F)는 도로 상의 제1구역(T1)에 도시되게 된다.
그리고 다른 예로써, 제1이미지(213F)가 반영된 이미지 패널(213)은 소정의 이미지 단위를 이루는 유리 재질의 이미지 셀이 기저가 되는 기본 유리판 내측에 별도의 세공작업을 통해 소정의 이미지를 이루도록 다층적으로 압축 성형되어 만들어 지는 유리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출력부(210)는 LED(211)의 발광에 의해 조사된 광이 내측면에 소정의 이미지가 반영되어 지도록 소정의 단위를 이루는 이미지 셀이 적층되어진 유리 필름 형태의 이미지 패널(213)에 조사되어 유리 필름의 내측면을 세공하는 과정에서 반영되어진 제1이미지(213F)를 소정의 공간에 투영시키도록 구성되어 진다. 이 과정을 통해 유리 필름 형태로 마련된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된 제1이미지(213F)는 도로 상의 제1구역(T1)에 도시되게 된다. 여기서, 제1출력부(210)는 추가적으로 LED(211) 및 이미지 패널(213)의 사이 공간 또는 이미지 패널(213)의 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렌즈(212)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외의 추가적인 예로써, 제1이미지(213F)가 반영된 이미지 패널(213)은 디지털 이미지가 출력 가능도록 픽셀 형태의 이미지 셀이 소정의 이미지 단위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미지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출력부(210)는 내부의 별도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211)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미지 패널의 형태로 마련되는 이미지 패널(213)을 포함하고 있는 별도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로 마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로 마련된 제1출력부(210)는 도로표지 출력장치(200) 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별도의 무선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도로표지 출력장치(200)의 관제자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어진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용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시켜 소정의 공간에 광원을 통해 투영되어 도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LED(211)는 소정의 광량을 출력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마련된 LED(211)가 출력하는 소정의 광량은 오전 시간대의 태양광에 의한 외부환경의 조도에서도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된 제1이미지(213F)가 도로 상의 제1구역(T1)에 도시될 정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출력부(210) 내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된 제1이미지(213F)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의 제1구역(T1)의 규격에 맞추어 기 설정된 규격의 횡단보도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는 도로표지의 종류 및 형태를 나타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도로표지가 인쇄될 수 있다.
한편, 제1수신부(220)는 보행자 신호등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1제어부(230)는 제1출력부(210) 내 LED(211)를 발광시킴으로써 조사되는 광이 제1출력부(210) 내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된 제1이미지(213F)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1구역(T1)에 제1이미지(213F)가 도시되도록 하며, 제1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제1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제1출력부(210) 내 LED(211)의 출력상태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1제어부(230)의 제어를 통해 도로 상의 제1구역(T1) 내 투영되어 도시되는 제1이미지(213F)의 출력 정도는 제1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제1제어신호의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로표지 출력상태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보행자 신호등(12)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200)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제1출력부(210) 내 LED(21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제1광량조절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광량조절부(240)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태양광의 양이 많은 오전 시간대에는 제1출력부(210) 내 LED(21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높이고, 태양광의 양이 적은 오후 시간대에는 제1출력부(210) 내 LED(21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낮추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출력부(310); 제2수신부(320); 및 제2제어부(330);로 구성되며, 도로 상의 제2구역(T2) 및 제3구역(T3)에 아래 설명될 제2이미지(313Fa) 및 제3이미지(313Fb)가 각각 투영되어 도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출력부(310)는 내부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311) 및 제2이미지(313Fa)와 제3이미지(313Fb)가 반영된 이미지 패널(313)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LED(311)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집속 또는 분산을 수행하거나, 이미지 패널(313)로부터 투영되어 지는 이미지의 방향성 및 크기의 조절을 위해 소정의 곡률로 마련되는 렌즈(312)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출력부(310) 내 렌즈(312)의 추가적 구성 및 다양한 설치 형태에 대한 특징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 따른 제1출력부(210) 내 렌즈(212)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LED(311)의 발광에 의해 조사된 광은 이미지 패널(313) 내 반영된 제2이미지(313Fa) 및 제3이미지(313Fb)를 투영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제2이미지(313Fa)는 도로 상의 제2구역(T2)에, 제3이미지(313Fb)는 도로 상의 제3구역(T3)에 도시되게 된다.
또한, LED(311)는 소정의 광량을 출력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마련된 LED(311)가 출력하는 소정의 광량은 오전 시간대의 태양광에 의한 외부환경의 조도에서도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제2이미지(313Fa) 및 제3이미지(313Fb)가 도로 상의 제2구역(T2) 및 제3구역(T3)에 각각 도시될 정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출력부(310)를 구성하는 이미지 패널(313)의 실시형태 및 나머지 구성(311, 312)과의 상호 결합관계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출력부(310)는 소정의 이미지를 광을 이용해 특정 공간에 투영시켜 도시하기 위한 목적을 구비한 상태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또한, 이미지 패널(313) 상에 반영된 제2이미지(313Fa) 및 제3이미지(313Fb)는 투영되어 도시될 도로 상의 제2구역(T2) 및 제3구역(T3)의 규격을 반영하여 제작되어 진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출력부(310) 내 이미지 패널(313)의 다양한 구현 가능 형태 및 이를 통한 제2출력부(310)의 이미지 출력 방식에 대한 특징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 따른 제1출력부(210) 내 이미지 패널(213)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2출력부(310) 내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제2이미지(313Fa)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의 제2구역(T2)의 규격에 맞추어 기 설정된 규격의 차량정지선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출력부(310) 내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제3이미지(313Fb)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의 제3구역(T3)의 규격에 맞추어 기 설정된 규격의 문자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이미지(313Fb)에 해당되는 문자 이미지는 교통안전을 위해 차량 운전자의 운전 상태에 주의 및 안내를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는 도로표지의 종류 및 형태를 나타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도로표지가 인쇄될 수 있다.
한편, 제2수신부(320)는 차량 신호등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2제어신호 및 속도감지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속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330)는 제2수신부(320)를 통해 수신된 제2제어신호 및 차량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제2출력부(310) 내 LED(311)의 출력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330)는 제2출력부(310) 내 LED(311)의 일부를 지속적을 발광시킴으로써 도로 상의 제2구역(T2)에 제2이미지(313Fa)가 투영되어 도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300)는 제2출력부(310) 내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제2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도시시켜 별도의 도포 또는 매설 작업 없이도 차량 정지선의 위치를 표지해줄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330)는 제2출력부(310) 내 LED(311)의 일부에 대한 발광을 제2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제2제어신호 및 차량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도로 상의 제3구역(T3)에 제3이미지(313Fb)가 투영되어 도시된 상태가 조건에 따라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2제어부(330)의 제어를 통해 도로 상의 제3구역(T3) 내 투영되어 도시되는 제3이미지(313Fb)의 출력 여부는 달라진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로표지 출력상태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300)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제2출력부(310) 내 LED(31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제2광량조절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광량조절부(340)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태양광의 양이 많은 오전 시간대에는 제2출력부(310) 내 LED(31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높이고, 태양광의 양이 적은 오후 시간대에는 제2출력부(310) 내 LED(31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낮추게 된다.
2.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의 도로표지 출력상태에 관한 설명
도6 내지 도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의 도로표지 출력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보행자 신호등(12)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200)는 보행자 신호등(12)의 신호 종류에 따라 도로 상의 제1구역(T1)에 제1이미지(213F)에 대한 도시 상태를 변경하고,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300)는 지속적으로 도로 상의 제2구역에(T2)에 제2이미지(313Fa)를 도시하고, 차량 신호등(13)이 차량 주의신호(황색등 점등신호), 차량 정지신호(적색등 점등신호)일 경우, 지나가는 차량의 과속여부를 판단하여 도로 상의 제3구역(T3)에 제3이미지(313Fb)를 도시한다.
우선적으로, 보행자 신호등(12)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200)의 도로표지 출력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를 통해 제1출력부(210) 내 LED(211)를 발광시킴으로써 조사되는 광이 제1출력부(210) 내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된 제1이미지(213F)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1구역(T1)에 제1이미지(213F)가 도시된 상태에서 제1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제1제어신호가 보행자 횡단신호(녹색등 점등신호)일 경우, 제1제어부(23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출력부(210) 내 LED(211)를 발광의 정도를 제1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제1제어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적색등 점등신호)일 경우에 비해 더 많이 광이 출력되도록 제1출력부(210) 내 LED(211)의 출력 상태를 조절한다.
즉, 제1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제1제어신호가 보행자 횡단신호(녹색등 점등신호)일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지면 상의 제1구역(T1)에 제1출력부(210) 내 이미지 패널(213)에 반영된 횡단보도 이미지(213F)가 투영되어 도시된 횡단보도 형태의 도로표지는 제1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제1제어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적색등 점등신호)일 경우에 비해 더욱 선명하게 도시된다.
이를 통해, 보행자는 보행자 신호등(12)이 보행자 횡단신호(녹색등 점등신호)일 경우 보행자 및 운전자가 횡단보도의 위치를 인식함에 있어서 더 개선된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 횡단신호(녹색등 점등신호)시 횡단보도 및 보행자의 인지 불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교통사고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차량 신호등(13)의 점등상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300)의 도로표지 출력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어부(330)는 제2수신부(320)로 수신되는 제2제어신호의 형태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제2출력부(310) 내 LED(311)의 일부를 발광시킴으로써 제3출력부(310) 내 렌즈(312)를 통과한 광이 제2출력부(310) 내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제2이미지(313Fa)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2구역(T2)에 제2이미지(313Fa)가 도시되도록 한다.
즉, 제2제어부(33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지면 상의 제2구역(T2)에 제2출력부(310) 내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차량 정지선 이미지(313Fa)가 투영되어 지속적으로 도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도로표지 도포 작업 또는 도로표지 출력 장치의 매설 작업 없이도 용이하게 지속적으로 다양한 규격의 차량 정지선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제2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제2제어신호가 차량 주의신호(황색등 점등신호) 또는 차량 정지신호(적색등 점등신호)일 경우, 제2제어부(330)는 제2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차량속도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이에 해당될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출력부(310) 내 LED(311)의 일부를 발광시킴으로써 제2출력부(310) 내 렌즈(312)를 통과한 광이 제2출력부(310) 내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제3이미지(313Fb)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3구역(T3)에 제3이미지(313Fb)가 도시되도록 한다.
즉, 제2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제2제어신호가 차량 주의신호(황색등 점등신호) 또는 차량 정지신호(적색등 점등신호)이며, 차량속도정보가 기준속도를 초과할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지면 상의 제3구역(T3)에 제2출력부(310) 내 이미지 패널(313)에 반영된 소정의 문자 이미지(313Fb)가 투영되어 도시되고, 제2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제2제어신호가 차량 운전신호(녹색등 점등신호)이거나, 차량 주의신호(황색등 점등신호) 또는 차량 정지신호(적색등 점등신호)이지만 차량속도정보가 기준속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지면 상의 제3구역(T3)에는 어떠한 이미지도 도시되지 않고 차량 주행 도로로써 보이도록 전환된다.
여기서, 도로 지면 상의 제3구역(T3)에 도시되는 소정의 문자 이미지(313Fb)는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의"를 비롯하여 "속도 천천히", "차량정지선 준수"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교통안전을 위해 차량 운전자의 운전 상태에 주의 및 안내를 유도하기 위한 소정의 이미지가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신호등
12 : 보행자 신호등
13 : 차량 신호등
100 : 신호등 제어장치
110 : 보행자 신호등 제어부
120 : 차량 신호등 제어부
130 : 과속감지부
200, 300 : 도로표지 출력장치
210 : 제1출력부
211 : LED 212 : 렌즈 213 : 이미지 패널
213F : 제1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1이미지
220 : 제1수신부
230 : 제1제어부
240 : 제1광량조절부
310 : 제2출력부
311 : LED 312 : 렌즈 313 :이미지 패널
313Fa : 제2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2이미지
313Fb : 제2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3이미지
320 : 제2수신부
330 : 제2제어부
340 : 제2광량조절부
T1 : 도로 지면 상의 제1구역
T2 : 도로 지면 상의 제2구역
T3 : 도로 지면 상의 제3구역

Claims (7)

  1.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등 제어장치; 및
    상기 신호등 제어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내부 광원을 통한 도로 지면상 이미지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에는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이미지 패널이 내부 광원의 선단에 기 마련되어 상기 내부 광원의 출력에 의해 도로 지면 상에 소정의 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제어장치는,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보행자 신호등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는,
    내부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 및 상기 LED에 의해 투영가능한 제1이미지가 반영되는 이미지 패널을 포함하는 제1출력부;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부; 및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1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출력부 내 LED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출력부 내 LED를 발광시킴으로써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1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1이미지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1구역에 상기 제1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제어신호가 보행자 횡단신호일 경우 상기 제1출력부 내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이 상기 제1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제어신호가 보행자 정지신호일 경우 상기 제1출력부 내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에 비해 더 많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출력부 내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제1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제어장치는,
    차량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신호등 제어부; 및
    도로 상에 기 설정된 영역을 지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랑속도정보를 생성하는 속도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는,
    내부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 및 상기 LED에 의해 투영가능한 제2이미지 및 제3이미지가 반영되는 이미지 패널을 포함하는 제2출력부;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차량속도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부; 및
    상기 제2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2제어신호 및 차량속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출력부 내 LED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출력부 내 LED의 일부를 발광시킴으로써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2이미지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2구역에 상기 제2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2제어신호가 차량 정지신호 또는 차량 주의신호이며, 상기 제2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차량속도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출력부 내 LED의 일부를 발광시킴으로써 조사된 광이 상기 제2출력부 내 이미지 패널에 반영된 제3이미지를 투영시켜 도로 지면 상의 제3구역에 상기 제3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 출력장치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2출력부 내 LED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제2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KR1020150038376A 2015-03-19 2015-03-19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KR10167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76A KR101673301B1 (ko) 2015-03-19 2015-03-19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76A KR101673301B1 (ko) 2015-03-19 2015-03-19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21A true KR20160112521A (ko) 2016-09-28
KR101673301B1 KR101673301B1 (ko) 2016-11-22

Family

ID=5710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376A KR101673301B1 (ko) 2015-03-19 2015-03-19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3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62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차량과 보행자 간의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볼라드를 구비하는 보행자 교통안전 시스템
KR20210058066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와이비텔 보행자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도로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2329778B1 (ko) * 2021-05-24 2021-11-22 (주)에스티씨 횡단보도 투광기
KR102442010B1 (ko) 2021-10-27 2022-09-08 (주)에스티씨 투영기를 구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519607B1 (ko) * 2022-04-21 2023-04-11 제이엠건설 주식회사 고보조명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스템
KR102602566B1 (ko) * 2023-05-24 2023-11-16 (주)피엘티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824B1 (ko) * 2019-01-30 2019-11-26 (주)삼성티엔지 레이저 빔 스캐닝을 이용한 보행 신호 알림 장치
KR102213524B1 (ko) * 2020-11-25 2021-02-09 주식회사 일렉콤 스마트 바닥 신호등
KR102648261B1 (ko) 2022-04-14 2024-03-19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254A (ja) * 2003-01-14 2004-08-05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情報の路面投影装置
KR20060007048A (ko) * 2003-05-07 2006-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KR101019093B1 (ko) * 2010-12-14 2011-03-07 고민석 교통손상 예방을 위한 안전증진 표시장치
KR101116696B1 (ko) * 2011-08-05 2012-02-22 (주)나노월드엘이디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254A (ja) * 2003-01-14 2004-08-05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情報の路面投影装置
KR20060007048A (ko) * 2003-05-07 2006-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KR101019093B1 (ko) * 2010-12-14 2011-03-07 고민석 교통손상 예방을 위한 안전증진 표시장치
KR101116696B1 (ko) * 2011-08-05 2012-02-22 (주)나노월드엘이디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62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차량과 보행자 간의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볼라드를 구비하는 보행자 교통안전 시스템
KR20210058066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와이비텔 보행자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도로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2329778B1 (ko) * 2021-05-24 2021-11-22 (주)에스티씨 횡단보도 투광기
KR102442010B1 (ko) 2021-10-27 2022-09-08 (주)에스티씨 투영기를 구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519607B1 (ko) * 2022-04-21 2023-04-11 제이엠건설 주식회사 고보조명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스템
KR102602566B1 (ko) * 2023-05-24 2023-11-16 (주)피엘티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301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301B1 (ko)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US11340089B2 (en) Vehicle having a projector for projecting an image on a road surface
US10946787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 lighting module for generating a set of symbols
JP6042839B2 (ja) 交通標識投影システム
US20180370424A1 (en)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an intelligent motorway flasher
KR20170044561A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제공시스템
US10576875B2 (en) Anti-glare type vehicle road signboard and road lane identification device
KR20190052741A (ko)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CN208580504U (zh) 交通信号光源
CN210561824U (zh) 一种用于城市地下道路的复合功能灯光警示引导装置
KR102506056B1 (ko)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JP6901280B2 (ja) 指標形成装置、指標形成システム、鉄道車両の停止方法及び鉄道車両の停止支援装置
CN113826152A (zh) 交通用系统及交通用基础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