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566B1 -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566B1
KR102602566B1 KR1020230066744A KR20230066744A KR102602566B1 KR 102602566 B1 KR102602566 B1 KR 102602566B1 KR 1020230066744 A KR1020230066744 A KR 1020230066744A KR 20230066744 A KR20230066744 A KR 20230066744A KR 102602566 B1 KR102602566 B1 KR 10260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unit
safety device
signal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영
Original Assignee
(주)피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엘티 filed Critical (주)피엘티
Priority to KR102023006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보행자정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로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를 인식하게 하거나,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선택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안전장치몸체(100);, 보행자를 인식하는 보행자인식부(200);, 횡단보도(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횡단보도조명부(300);,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제공하는 횡단보도신호부(400);,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로부터 보행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와 횡단보도신호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Smart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without Traffic Lights}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보행자정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로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를 인식하게 하거나,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선행문헌 001 내지 선행문헌 004는 본 발명과 기술적 관련성이 존재하는 발명이며, 선행문헌 001 내지 선행문헌 002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 있어서, 보행자와 차량을 감지하여 이를 알람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003 내지 선행문헌 004는 횡단보도에 빛을 조사하여 보행자를 인식시키거나, 횡단보도에 빛을 조사하여 횡단보도를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001 내지 선행문헌 004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센서를 통해 보행자를 인식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횡단보도로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수월하게 인식되도록 하는 기술에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하나,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보행자를 인식하는 영역을 제어할 수 있고, 횡단보도의 모니터링을 통해 선택되는 상황이 발생할 시, 이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KR 10-2021-0102561 A (공개일자 2021년08월20일) KR 10-1739988 B1 (등록일자 2017년05월19일) KR 10-2011-0111115 A (공개일자 2011년10월10일) KR 10-2011-0085414 A (공개일자 2011년07월27일)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보행자정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로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를 인식하게 하거나,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택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안전장치몸체(100);, 보행자를 인식하는 보행자인식부(200);, 횡단보도(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횡단보도조명부(300);,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제공하는 횡단보도신호부(400);,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로부터 보행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와 횡단보도신호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전장치몸체(100)는 차도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신호생성부(410)가 형성되는 안내바(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는 횡단보도(1)에 대응하는 인식범위를 가지는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와, 상기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인식범위를 가지는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는 횡단보도(1)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모니터링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는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부(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는 도로에 횡단보도 형상을 조사하는 횡단보도형성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전장치몸체(100)로부터 차도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보조안전장치몸체(100-1)와, 상기 보조안전장치몸체(100-1)에 형성되어 상기 횡단보도신호부(400)의 신호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하는 보조횡단보도신호부(400-1)와, 상기 제어부(500)와 연동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500-1)를 포함하는 보조안전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조안전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부(50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과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인식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형성되므로,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적한 시골지역에의 사고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도에 따라 빛의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보행자인식부의 동작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 조도센서부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 보조안전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 보조안전장치의 동작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인용번호는 지정번호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든 번호를 인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의 하위개념은 직접기재 하지 않아도 내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택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안전장치몸체(100);, 보행자를 인식하는 보행자인식부(200);, 횡단보도(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횡단보도조명부(300);,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제공하는 횡단보도신호부(400);,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로부터 보행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와 횡단보도신호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는 AI카메라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는 이미지센서, 초음파모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는 횡단보도(1)와 인접한 인도까지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신호부(400)는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10)와, 도로에 빛을 조사하여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바닥신호부(4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신호부(400)는 선택되는 색을 가지는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 점멸을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 선택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선택되는 크기의 소리로 보행자정보를 알람하는 알람신호부(430)를 포함한다.
도 1,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시골지역의 2차선 도로, 차량의 운행이 적은 2차선 도로에 형성되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 있어서,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인식하여 보행자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획득된 보행자정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1)로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를 인식시키거나,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변환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보행자가 횡단보도(1)를 횡단할 경우에는 신호등 역할을 수행하여 보행자에게 안전을 제공하며, 보행자가 횡단보도(1)를 횡단할 경우, 또는 관리자의 선택되는 동작 제어를 통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크게 안전장치몸체(100), 보행자인식부(200), 횡단보도조명부(300), 횡단보도신호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안전장치몸체(100)는 횡단보도(1)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선택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안전장치몸체(100)는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 또는 횡단보도(1)를 횡단하기 위해 대기하는 보행자를 수월하게 인식할 수 있음과 더불어,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수월하게 제공할 수 있는 위치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행자인식부(200)는 보행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보행자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보행자인식부(200)는 AI카메라를 포함한다. 보행자인식부(200)는 AI카메라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1)와 그 주변의 상황까지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보행자인식부(200)는 AI카메라뿐만 아니라, 레이저센서 및 라이다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센서, 초음파모션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행자인식부(200)는 AI카메라에 더해 이미지센서, 초음파모션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보행자의 인식 및 횡단보도(1)의 주변상황까지 수월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횡단보도조명부(300)는 보행자가 횡단하는 횡단보도(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를 인식하도록 형성된다.
횡단보도조명부(300)는 횡단보도(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사되는 빛에 의해 보행자를 인식시켜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횡단보도조명부(300)는 다수의 LED모듈을 포함하여 횡단보도(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1)의 위치인식 및 보행자의 인식이 수월하다면 다양한 광원수단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때 횡단보도조명부(300)는 횡단보도(1)뿐만 아니라, 횡단보도(1)에 인접한 인도까지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즉 횡단보도(1)를 횡단하기 위해 대기하는 보행자까지 운전자가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인식에 따른 주의를 제공하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횡단보도신호부(400)는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횡단보도신호부(400)는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정보를 신호등에 대응하는 신호정보로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횡단보도신호부(400)는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10)와, 도로에 빛을 조사하여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바닥신호부(4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신호생성부(410)는 일방적인 신호등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어 신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신호생성부(410)는 도로 양차선의 진행방향으로 진행하는 운전자에게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신호부(420)는 도로에 빛을 조사하여 신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닥신호부(420) 또한 양차선의 바닥으로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신호생성부(410)와 바닥신호부(420)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신호부(400)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선택되는 색을 가지는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 점멸을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 및 선택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되는 색을 가지는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신호등과 같이 보행자를 인식하게 되면 적색으로 신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점멸을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보행자를 인식하게 되면 적색 또는 황색을 가지고 점멸되는 신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이동에 대한 보행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되는 형상의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보행자를 인식하게 되면 보행자형상 또는 경고표현을 포함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신호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술된 횡단보도신호부(400)는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드물거나,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드문 시간대에는 신호정보 생성 동작을 멈추었다가, 보행자를 인식하게 되면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많은 시간대에는 신호등과 같이 운전자에게 녹색을 포함하는 운행을 지시하는 신호정보를 생성하였다가, 보행자를 인식하게 되면 보행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적색을 포함하는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선택되는 크기의 소리로 보행자정보를 알람하는 알람신호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신호부(430)는 소리로 보행자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어떠한 상황에 의해 운전자가 신호생성부(410) 또는 바닥신호부(420)가 생성하는 신호정보의 인지가 실패할 경우, 보조적으로 보행자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신호등이 없는 2차선 도로가 흔한 시골지방에서는 빛의 조사를 통한 신호생성과 더불어, 소리로 추가적인 보행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추가적인 안전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보행자인식부(200)로부터 보행자정보를 입력받아 횡단보도조명부(300) 및 횡단보도신호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횡단보도신호부(400)는 보행자의 인식 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행자가 없을 경우에는 동작을 멈추어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단보도조명부(300)는 보행자의 인식 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에게 횡단보도의 위치를 알리도록 야간에는 동작하도록 하고 주간에는 동작이 멈추도록 제어하여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몸체(100)는 차도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신호생성부(410)가 형성되는 안내바(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410)는 상기 안내바(110)의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바닥신호부(420)는 상기 안전장치몸체(100), 안내바(1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는 상기 안전장치몸체(100), 안내바(1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안전장치몸체(100)는 차도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신호생성부(410)가 형성되는 안내바(110)를 포함한다.
안내바(110)는 안전장치몸체(100)로부터 차도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신호생성부(410)는 안내바(110)의 양측면에 생성되므로, 양 방향 차선에서 운행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신호생성부(410)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정보를 수월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신호생성부(410)가 안전장치몸체(100)에 형성될 경우, 서로 마주하여 진행되는 양 차선에서의 인식을 위해서는 둘로 형성되거나, 안전장치몸체(100)가 위치하지 않는 차선에서의 운전자가 신호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신호생성부(410)의 각도를 제어함과 함께, 반사판 등을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이는 운전자의 시야반경에 위치되지 못해 신호정보의 인식이 어려우며, 가로수 등 외부물체에 의해 맞은편 차선에서 운행하는 운전자는 신호정보를 인식하기 어렵다.
반면에 도로로 연장되는 안내바(110)를 통해 신호생성부(410)가 생성하는 신호정보의 인식이 쉬우므로, 하나의 안전장치몸체(100)를 선택되는 차선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더라도, 보행자정보를 수월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신호생성부(410)는 운전자에게 신호정보를 수월하게 인식하도록 안내바(110)의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생성부(410)는 안내바(110)의 길이에 대응하는 LED모듈의 배열을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산판을 이용하여 안내바(110)의 길이에 대응하는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바닥신호부(420)는 안전장치몸체(100), 안내바(1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신호부(420)는 도로로 빛을 조사하여 신호정보를 생성하므로, 양 방향의 차선으로 수월하게 신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면 안전장치몸체(100)에 형성하여 유지보수 및 동작의 제어가 유리한 점을 이용할 수 있고, 양 방향의 차선 중 어느 하나의 차선에 신호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애물 등이 발생한다면 원활한 신호정보의 생성을 위해 안내바(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횡단보도조명부(300) 또한 횡단보도 방향으로 빛을 수월하게 조사할 수 있다면 안전장치몸체(100)에 형성하여 유지보수 및 동작의 제어가 유리한 점을 이용할 수 있고, 안전장치몸체(100)로부터 거리가 먼 위치까지의 빛의 조사가 어렵거나, 장애물이 있다면 안내바(110)에 형성하여 고르게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는 횡단보도(1)에 대응하는 인식범위를 가지는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와, 상기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인식범위를 가지는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는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 및 횡단보도(1)와 접하는 인도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를 인식 가능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는 항상 동작하고, 상기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보행자인식부(200)는 횡단보도(1)에 대응하는 인식범위를 가지는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와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인식범위를 가지는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를 포함한다.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는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 및 횡단보도(1)와 접하는 인도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를 인식함으로써, 이를 제어부(500)에 보행자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는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인식범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항상 동작하는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와 달리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보행자가 잦은 마을의 입구 초입,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보행자의 동선이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동선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경우, 횡단보도(1)를 횡단하기 위한 보행자는 횡단보도(1)를 통해 횡단하므로,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만으로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는 동작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횡단보도(1)와 마을의 입구, 버스정류장 등 보행자가 자주 다니는 동선이 횡단보도(1)를 횡단하기 위한 동선과 불일치할 경우,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벗어나 도로를 횡단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를 통해 횡단보도(1)를 벗어난 지점에서 보행하는 보행자를 인식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안전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는 횡단보도(1)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모니터링부(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선택되는 상황의 발생 시, 관제실로 알람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통신수단(510)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모니터링부(230)를 통해 선택되는 상황의 발생에 따른 영상을 저장 가능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선택되는 상황의 발생에 따른 영상을 상기 제어부통신수단(510)을 통해 관제실로 송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은 선택되는 상황의 발생 시, 외부로 알람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피커부(52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보행자인식부(200)는 횡단보도(1)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모니터링부(23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30)는 AI카메라를 이용하여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이 운행하는 횡단보도(1)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의한 보행자와의 사고발생 시, 이를 인식하여 모니터링하도록 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모니터링부(230)를 통해 모니터링 중 선택되는 상황의 발생 시, 관제실로 알람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통신수단(510)을 포함한다. 즉 보행자가 횡단보도(1)의 횡단 중 발생하는 특별한 상황 특히, 보행자가 넘어져 다치거나, 차량과의 접촉에 따른 사고의 발생 시, 이를 제어부통신수단(510)을 이용하여 관제실로 알람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한다.
아울러, 제어부(500)는 모니터링부(230)를 통해 선택되는 상황의 발생에 따른 영상을 저장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보행자가 횡단보도(1) 횡단 중 특별한 상황, 특히 사고의 발생 시, 이를 저장 가능하게 형성되어 향후 사고발생의 처리 동작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선택되는 상황의 발생에 따른 영상을 제어부통신수단(510)을 이용하여 관제실로 송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관제실에서는 제어부통신수단(510)을 통해 수신받은 영상을 참고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00)는 선택되는 상황의 발생 시, 외부로 알람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피커부(520)를 포함한다. 즉 선택되는 상황 중 보행자와 차량과의 충돌에 따른 사고의 발생 시, 일정 크기의 소리로 스피커부(520)를 통해 알람하도록 동작함으로써, 다가오는 차량에 의한 2차 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한적한 시골지역에 경우 차량이 빠른 속도로 운행할 가능성이 높아 2차 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아, 이를 소리로 미리 알람함으로써, 다가오는 운전자에게 감속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에너지공급부(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전기에너지공급부(600)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전기에너지공급부(60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게 형성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전기에너지공급부(600)의 전기에너지의 사용량, 동작시간, 배터리의 충전상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관제실로 송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에너지공급부(600)를 포함한다.
전기에너지공급부(600)는 동작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옥외배선을 통해 공급할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되어 충전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이 적은 2차선 도로 또는 시골지역의 2차선 도로에 형성되므로, 옥외배선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기 어려운 지역일 경우, 배터리를 통해 전기에너지의 충전 및 사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의 충전을 위해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며,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이를 배터리에 저장한 후,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기에너지공급부(600)는 상술된 태양광뿐만 아니라, 풍력, 압전기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어부(500)는 전기에너지공급부(600)의 전기에너지의 사용량, 동작시간 및 배터리의 충전상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통신수단(510)을 통해 관제실로 송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직접 본 발명이 위치된 지역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관제실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는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부(31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조도센서부(310)에서 측정된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조도센서부(310)에서 측정된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횡단보도신호부(40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횡단보도조명부(300)는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부(310)를 포함한다.
조도센서부(310)는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 가능하며, 제어부(500)는 조도센서부(310)에서 측정된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조명부(30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일반적인 태양의 빛이 강한 낮시간대에는 운전자가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인식하기 수월하므로, 횡단보도조명부(300)는 빛을 조사하는 동작을 멈추게 하고, 날씨가 흐린 낮시간대에는 횡단보도조명부(3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낮게 동작하도록 하며, 외부의 빛이 없는 밤시간대에는 횡단보도조명부(3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함으로써, 야간에 운행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수월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선택되는 조도에 대비한 횡단도보조명부(3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인식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조명부(300)의 효율적인 동작 제어를 통해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00)는 조도센서부(310)에서 측정된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신호부(40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시간, 날씨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신호부(400)가 생성하는 신호정보의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큰 피로감 없이 신호정보를 제공받아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는 도로에 횡단보도 형상을 조사하는 횡단보도형성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6-1, 실시예 7-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조도센서부(310)에서 측정된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횡단보도형성부(320)가 형성하는 횡단보도의 밝기를 제어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 횡단보도조명부(300)는 도로에 횡단보도 형상을 조사하는 횡단보도형성부(320)를 포함한다.
횡단보도조명부(300)는 횡단보도형성부(320)를 통해 도로에 횡단보도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횡단보도(1)의 위치를 수월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횡단보도가 그려진 상태에서 많은 차량의 운행과 외부의 수분 및 바람 등에 의해 페인트가 벗겨져 횡단보도의 형상을 파악하기 어려울 경우, 횡단보도형성부(320)를 이용하여 횡단보도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횡단보도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횡단보도형성부(320)는 빔프로젝트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횡단보도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이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어부(500)는 조도센서부(310)에서 측정된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보도형성부(320)가 형성하는 횡단보도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몸체(100)로부터 차도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보조안전장치몸체(100-1)와, 상기 보조안전장치몸체(100-1)에 형성되어 상기 횡단보도신호부(400)의 신호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하는 보조횡단보도신호부(400-1)와, 상기 제어부(500)와 연동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500-1)를 포함하는 보조안전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보조안전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부(500-2)를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은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부(500-1)는 횡단보도(1)와의 거리와 차량의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되는 값 이상일 경우, 이를 알람하도록 형성된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안전장치몸체(100)로부터 차도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보조안전장치몸체(100-1)와, 보조안전장치몸체(100-1)에 형성되어 횡단보도신호부(400)의 신호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하는 보조횡단보도신호부(400-1)와, 제어부(500)와 연동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500-1)를 포함하는 보조안전장치를 포함한다.
보조안전장치는 횡단보도신호부(400)의 신호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함으로써, 횡단보도(1)로 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이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시골지역이거나, 도로가 곡선으로 이루어져 전방의 횡단보도신호부(400)가 생성하는 신호정보를 미리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사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보조안전장치는 횡단보도신호부(400)의 신호정보를 미리 차량으로 제공하는 보조횡단보도신호부(400-1)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한다.
보조제어부(500-1)는 제어부(500)와 연동되어 횡단보도신호(400)의 신호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보조횡단보도신호부(400-1)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횡단보도(1)로 진행하는 차량에게 미리 신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안전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부(500-2)를 포함한다. 속도측정부(500-2)는 운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수월하게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센서로 형성 가능하다. 이때 보조제어부(500-1)는 횡단보도(1)와의 거리와 차량의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가 선택되는 값 이상일 경우, 이를 알람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보조제어부(500-1)는 보조횡단보도신호부(400)를 동작을 제어하여 점멸 동작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주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주의제공수단을 이용하여 신호의 점멸 또는 소리로 주의를 제공할 수 있다.
100 : 안전장치몸체 100-1 : 보조안전장치몸체
110 : 안내바
200 : 보행자인식부
300 : 횡단보도조명부
310 : 조도센서부 320 : 횡단보도형성부
400 : 횡단보도신호부 400-1 : 보조횡단보도신호부
410 : 신호생성부 420 : 바닥신호부
430 : 알람신호부
500 : 제어부 500-1 : 보조제어부
510 : 제어부통신수단 520 : 스피커부

Claims (8)

  1. 선택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안전장치몸체(100);
    보행자를 인식하는 보행자인식부(200);
    횡단보도(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횡단보도조명부(300);
    운전자에게 보행자정보를 신호정보로 제공하는 횡단보도신호부(400);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로부터 보행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와 횡단보도신호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는,
    횡단보도(1)에 대응하는 인식범위를 가지는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 및 상기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인식범위를 가지는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는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 및 횡단보도(1)와 접하는 인도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를 인식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근거리보행자인식부(210)는 항상 동작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거리보행자인식부(220)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는 도로에 횡단보도 형상을 조사하는 횡단보도형성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몸체(100)로부터 차도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보조안전장치 몸체(100-1)와, 상기 보조안전장치몸체(100-1)에 형성되어 상기 횡단보도신호부(400)의 신호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하는 보조횡단보도신호부(400-1)와, 상기 제어부(500)와 연동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500-1)를 포함하는 보조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횡단보도신호부(400)는,
    빛의 조사를 통해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410)와 도로에 빛을 조사하여 신호정보를 생성하는 바닥신호부(4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500-1)는 횡단보도(1)와의 거리와 차량의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되는 값 이상일 경우, 이를 알람하도록 형성하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몸체(100)는 차도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신호생성부(410)가 형성되는 안내바(110)를 포함하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인식부(200)는 횡단보도(1)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모니터링부(230)를 포함하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조명부(300)는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부(310)를 포함하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안전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부(500-2)를 포함하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KR1020230066744A 2023-05-24 2023-05-24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KR10260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744A KR102602566B1 (ko) 2023-05-24 2023-05-24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744A KR102602566B1 (ko) 2023-05-24 2023-05-24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566B1 true KR102602566B1 (ko) 2023-11-16

Family

ID=8896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744A KR102602566B1 (ko) 2023-05-24 2023-05-24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56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86Y1 (ko) * 2005-09-16 2005-12-09 (주)에이피에스테크 횡단보도 표시장치
KR20110085414A (ko) 2010-01-20 2011-07-27 주식회사 광명라이팅 횡단보도 표시장치
KR20110111115A (ko) 2010-04-02 2011-10-10 (유)도로앤도시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241623B1 (ko) * 2012-07-06 2013-03-18 박상현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KR20160112521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아보네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KR101739988B1 (ko) 2017-02-09 2017-05-26 (주)패스넷 무신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20200115912A (ko) * 2019-03-29 2020-10-08 하이테크시스(주) 볼라드형 교통 신호 장치
KR20210102561A (ko) 2020-02-11 2021-08-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86Y1 (ko) * 2005-09-16 2005-12-09 (주)에이피에스테크 횡단보도 표시장치
KR20110085414A (ko) 2010-01-20 2011-07-27 주식회사 광명라이팅 횡단보도 표시장치
KR20110111115A (ko) 2010-04-02 2011-10-10 (유)도로앤도시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241623B1 (ko) * 2012-07-06 2013-03-18 박상현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KR20160112521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아보네 전환식 도로표지 출력장치를 이용한 교통안전시스템
KR101739988B1 (ko) 2017-02-09 2017-05-26 (주)패스넷 무신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20200115912A (ko) * 2019-03-29 2020-10-08 하이테크시스(주) 볼라드형 교통 신호 장치
KR20210102561A (ko) 2020-02-11 2021-08-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66405B (zh) 低高度安装型低功耗智能路灯系统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US5939987A (en) Roadside deer warning method and system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US7471213B2 (en) Emergency response warning system
KR102182257B1 (ko) 곡선도로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통행 안내시스템
CN206805801U (zh) 危险车辆过街警示系统
CN109668094B (zh) 智能路灯系统
KR101258326B1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70139811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73477A (ko) 횡단보도 안전 조명 시스템
WO2023155283A1 (zh) 一种基于智慧灯杆的自动驾驶信息辅助系统
KR20230074464A (ko) 복합기능이 구비되는 볼라드
KR20170139800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JP3832955B2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1651836B1 (ko) 스마트 보행신호음성안내보조장치
KR102144772B1 (ko) 가변구간 설치용 차선 변환시스템
KR20170139807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02566B1 (ko)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스마트 안전장치
KR102033922B1 (ko) 보행자 및 차량운전자를 위한 안전 경보시스템
KR20190140797A (ko) 능동형 스마트 가로등
CN210052255U (zh) 一种道路智能警示装置及道路智能警示系统
KR102193155B1 (ko) 횡단보도용 표출수단의 제어시스템
KR20210043552A (ko) 하이브리드 자가 발전 시스템을 가진 횡단보도 안전용 엘이디 조명 장치
CN215068612U (zh) 一种行人过街激光警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