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252A -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252A
KR20160131252A KR1020150063183A KR20150063183A KR20160131252A KR 20160131252 A KR20160131252 A KR 20160131252A KR 1020150063183 A KR1020150063183 A KR 1020150063183A KR 20150063183 A KR20150063183 A KR 20150063183A KR 20160131252 A KR20160131252 A KR 2016013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unit
advertis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보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보네
Priority to KR102015006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252A/ko
Publication of KR2016013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5B33/0833
    • H05B37/0218
    • H05B37/02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을 이용해 이미지를 투영시킴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영역 내에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노출시키는 출력 유닛;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의 노출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 출력 정보는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노출시키고자 하는 소정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 영역 내에 소정의 이미지를 노출시켜 별도의 광고판을 설치하지 않고도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이 노출된 이미지를 좀 더 명확하고 쉽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SHADOW ADVERTISEMENT FRAM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설치되어, 빛을 통한 조명의 제공과 동시에 광고로 사용되는 이미지를 조명이 제공되는 영역 내에 출력하기 위한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 설치되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일정 영역에 빛을 조사하여 조명 영역을 형성해줌으로써, 저녁 혹은 야간과 같이 어두워진 상황에서도 이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충분한 시야 확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야외 곳곳에 설치된 조명장치는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밝은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어두워진 주변 조도와 비교해 확연한 밝기 차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명 영역은 단순한 조명의 역할 외에도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의 시선을 주목시키고, 멀리서도 쉽게 인지 가능한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를 통한 조명 영역 내에 공간이 야간에 사람의 시선을 주목시킬 수 있는 점을 착안하여 조명장치에 광고제공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4081호의 "가로등을 이용한 그림자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른 선행문헌을 통해 투명 재질의 광고 필름을 통해 조명 영역 내에 광고 이미지를 출력 시켜주기 위한 그림자 광고 시스템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그림자 광고 시스템의 장시간 사용 시, 가로등을 비롯한 다양한 조명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높은 광량에 의해 필름 표면상에 발생하는 열이 설치된 광고 필름을 손상시켜 조명 영역 내 출력된 이미지가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관리자가 원하는 이미지가 광고 필름 상에 인쇄되어 있어, 광고의 교체 혹은 출력 상태의 제어 상에 있어서, 수동적인 교체 과정과 제어 과정을 통해서만 수행되어져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조명 영역 내에 소정의 이미지를 출력하여, 별도의 광고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광고 공간 내 출력되는 이미지의 출력 상태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는, 광원을 이용해 이미지를 투영시킴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영역 내에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노출시키는 출력 유닛;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의 노출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 출력 정보는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노출시키고자 하는 소정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유닛은, 특정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조명 영역을 형성하는 광원; 및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하기 위한 이미지 셀이 단위를 이루어 형성된 이미지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패널 상에 반영된 소정의 이미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투영되어 상기 조명 영역 내에 노출된다.
아울러,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광원에 의한 광의 조사 영역 및 상기 이미지 패널을 통해 투영된 이미지의 노출 영역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 출력 정보는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의 노출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패널에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시키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 패널 상에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시키는 시간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 유닛은,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 및 상기 조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출력 유닛 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그림자 출력장치의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 내의 대상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량조절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기 설정된 영역 내의 대상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출력 유닛 내 광원을 제어하여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광고 출력 정보는 상기 광고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의 관리자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관리자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기 저장된 관리자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관리자 인증 정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가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 영역 내에 소정의 이미지를 노출시켜 별도의 광고판을 설치하지 않고도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이 노출된 이미지를 좀 더 명확하고 쉽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노출된 이미지에 대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제공되는 이미지의 교체, 출력 시간 및 출력 영역을 관리자가 단말을 통해 통신하여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광고 교체 및 제어에 수반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셋째,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제공하는 광의 정도를 주변 환경상의 조도를 고려하여 제공함으로써, 비용적 측면 및 제공되는 이미지의 선명도 측면에서 효율성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 출력 제어를 명령하는 단말의 관리자 인증여부를 판단하여 제공되는 제어 관련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관리자 외의 사용자 단말에 의한 이미지 출력 제어 및 이를 통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가 조명 장치 상에 설치되어 소정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2은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가 조명 장치 상에 설치되어 조명 제공의 역할을 수행하는 광만을 출력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를 이용한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경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는 출력 유닛(100); 및 제어 유닛(200);를 포함한다.
출력 유닛(100)은 광원(110)을 이용해 이미지를 투영시킴으로써, 광원(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영역(LT) 내에 투영된 이미지를 노출시킨다. 여기서 출력 유닛(100)은 기존에 야외에 설치된 조명장치(10)의 광원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추가 광원(110)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투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는 기존의 조명장치(10)에 추가 설계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써, 조명장치(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조명장치(10)가 제공하는 조명 영역(LT) 내에 투영된 이미지를 노출시키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출력 유닛(1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0); 이미지 패널(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광원(110)은 특정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조명 영역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여기서 광원(110)은 LED등과 같은 광 출력부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미지 패널(120)은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하기 위한 이미지 셀이 단위를 이루어 형성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로써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 설명될 제어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패널 상에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이미지 패널(120)를 이루는 이미지 셀은 전체 이미지 출력의 기본 단위를 이루는 픽셀 형태의 단위 구조로써, 이와 같은 이미지 셀이 행과 열을 이루어 이미지 패널(120)을 구성함으로써, 디지털 신호에 따른 각각의 이미지 셀 출력 형태가 전체적으로 종합되어 이미지 패널(120) 상에 반영되는 소정의 이미지 형태를 결정한다.
따라서, 이미지 패널(1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패널과 같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칩과 같은 이미지 투사 장치를 통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영된 소정의 이미지를 광을 이용해 특정 공간에 투영시켜 도시하기 위해 위한 목적을 구비한 상태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출력 유닛(100)은 광원(110)에 의한 광의 조사 영역 및 이미지 패널(120)을 통해 투영된 이미지의 노출 영역(IT)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120)는 결과적으로 투과되는 빛의 출력 영역의 변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곡률로 마련 가능하며, 광원(110)에 의한 광의 조사 영역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광원(110)과 이미지 패널(12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이미지 패널(120)을 통해 투영된 이미지의 노출 영역(IT)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패널의 선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20)는 광원(110)과 이미지 패널(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이미지 패널(120) 상에 적절히 투과되면서도, 소정의 조명영역(LT)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조절하고, 이미지 패널(120)의 선단에 위치하여 광원(110)을 통해 형성되는 조명영역(LT) 내 이미지 패널(120)을 통해 투영된 이미지의 노출 영역(IT)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유닛(2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T)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T)로부터 광고 출력 정보를 수신 받아 이를 기반으로 출력 유닛(100)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의 노출 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유닛(200)과 관리자 단말(T)이 데이터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구축하는 네트워크 연결 형태는 특정되거나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으로 구현 시 RF통신(RADIO FREQUENCY), 블루투스를 통한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시스템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거리 무선통신시스템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광고 출력 정보는 출력 유닛(100)을 통해 노출시키고자 하는 소정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출력 유닛(100)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의 노출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광고 출력 정보는 추가적으로 광고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의 관리자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관리자 인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출력 정보 내 관리자 인증 정보는 구체적으로 광고 출력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정보로써, 단말의 개별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단말 전화번호 혹은 단말에 등록된 관리자 인적 정보, 단말기식별번호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등록된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출력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자가 기 등록하거나, 관리자에게 기 부여된 ID 및 이와 대응되는 암호정보로써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한편, 제어 유닛(200)은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10); 제1제어부(220); 제2제어부(230); 조도감지부(240); 광량조절부(250); 인증부(260); 및 동작감지부(270);를 통해 구성된다.
우선, 수신부(210)는 관리자 단말(T)로부터 광고 출력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이와 같이 광고 출력 정보를 관리자 단말(T)로부터 수신한 수신부(210)는 아래 설명될 제1제어부(220) 및 제2제어부(230)의 동작 수행에 기반이 되는 광고 출력 정보를 제공해 준다.
여기서, 수신부(210)는 관리자 단말(T)로부터 광고 출력 정보를 수신하여 무조건적으로 제1제어부(220) 및 제2제어부(230)에 수신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증부(260)를 통해 별도의 인증 과정을 거쳐, 광고 출력 정보를 제공한 단말이 관리자 단말(T)임이 확인된 뒤에 제공 가능하다.
다시 말해, 인증부(260)에는 관리자 인증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인증부(260)는 이와 같이 기 저장된 관리자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관리자 인증 정보가 기 저장된 관리자 인증 정보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에만 수신부(210)를 통해 관리자 단말(T)로부터 광고 출력 정보가 제1제어부(220) 및 제2제어부(23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즉,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 유닛(200)은 기 등록된 관리자의 단말(T)을 통해서만 출력 유닛(100)의 이미지 노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관리 대상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유닛(100) 내 이미지 패널(120) 상에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시킨다.
여기서,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이미지 정보는 관리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소정의 이미지가 데이터화된 이미지 정보로써, 제1제어부(220)는 이미지 정보 내 데이터화된 소정의 이미지가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마련된 이미지 패널(120)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미지 셀에 픽셀 단위로 구분되어 반영됨으로써 광원(110)에 의해 이미지가 투영되기 위한 조건을 형성한다.
또한, 제2제어부(23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제1제어부(220)가 이미지 패널(120) 상에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시키는 시간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2제어부(230)는 광고 출력 정보 내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 영역 대를 판단하여, 해당 시간 영역에만 제1제어부(220)가 이미지 패널(120) 상에 해당 광고 출력 정보 내 이미지 정보가 데이터화한 이미지를 반영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원하는 시간 대에 소정의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시간대별 광고 출력 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시간 대 별로 출력되는 이미지의 형상을 달리하도록 설정하여,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을 통한 관리자 별 특정 광고 출력 패턴을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 유닛(200)은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240) 및 조도감지부(240)를 통해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출력 유닛(100) 내 광원(110)으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량조절부(250)는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태양광의 양이 많은 오전 시간대 혹은 이른 오후 시간대에는 제1출력부(210) 내 LED(21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높이고, 태양광의 양이 적은 늦은 오후 시간대에는 제1출력부(210) 내 LED(211)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낮추게 된다.
즉, 시간대가 늦어져 주변 환경의 조도가 어두워지면 어두워질수록 광량조절부(250)는 출력 유닛(100) 내 광원(110)으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의 정도를 좀 더 낮아지도록 조절하여, 고정적인 광량의 제공을 통한 비효율적 전기 소비를 해소하고 주변의 조도에 비해 출력 유닛(100) 내 광원(110)으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의 정도가 과도하게 제공되어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20)가 설치된 조명장치(10)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눈부심 및 시야 방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동작감지부(270)는 그림자 출력장치(20)의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 내의 대상(특히, 보행자)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는 그림자 출력장치(20)의 주변에 출력되는 광고를 인식할 수 있는 대상자가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광량조절부(250)와 연동되어 작동한다.
여기서, 그림자 출력장치(20)의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은 동작감지부(270)에 의한 감지영역을 의미하며, 이러한 영역은 대상자가 그림자 출력장치(20)에 의해 출력되는 광고이미지를 확인가능한 정도의 반경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작감지부(270)와 연동되어진 광량조절부(250)는 동작감지부(270)를 통해 기 설정된 영역 내에 대상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즉 광고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 상에 사람이 있을 경우 출력 유닛(100) 내 광원(110)의 출력상태를 제어하여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20)는 추가적으로 광원(110)을 비롯한 상기 각 구성들에 대한 전원 공급의 보조적 수단으로써, 태양광 충전 유닛(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광 충전 유닛은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 상에 추가적으로 설계되어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가 사용되지 않거나, 최소한의 사용만이 제공될 오전 시간대에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이와 연결된 배터리와 같은 축전지에 저장한 뒤,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20)가 주로 사용되는 오후 시간대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가 없이도, 혹은 최소한의 전원 공급만으로도, 광원(110)의 발광 및 각 구성들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광 충전 유닛은 태양광의 집광을 위한 프렌넬 렌즈(Plannel lens)와 PN접합 반도체를 사용하는 솔라셀 어레이(Solar module array, PV array)로 마련되며, 프랜넬 렌즈(Plannel lens)로 집광된 태양 에너지가 여러 배열의 솔라셀 어레이로 비춰지면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DC 전류와 DC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태양광 충전 유닛은 100kWp 미만의 태양전지 용량을 보유할 수 있도록 소규모 태양광 발전 시스템(small-scale PV power system)을 구축하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 충전유닛은 충전 콘트롤러(Charge Controller) 및 과충전/과방전 방지 회로를 더 포함하며, 충전 코트롤러는 여러 배열의 솔라셀 어레이에 의해 발생된 DC 전류 및 전압(+,-)을 부하(load)에 직접 공급하거나, 배터리에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과충전/과방전 방지 회로는 충전 콘트롤러로부터 공급되는 DC 전류 및 전압이 충전이나 방전 시 축전지의 용량 따라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재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는 과충전(Over Charge)의 경우 축전지가 일정 전압 이상으로 상승되면, 축전지에 부식이 일어나고 가스가 발생하여 축전지의 수명이 단축되고, 과방전의 경우 축전지가 일정 전압(예: DC 23V) 이하로 감소되면, 축전지에서 침전물이 생기고, 축전지의 성능이 점차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이다.
2.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를 이용한 광고 출력상태 제어 형태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20)가 설치된 조명장치(10)를 이용한 광고 출력상태 제어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20) 내 제어 유닛(200)은 관리자 단말(T)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받은 광고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유닛(100)에 반영되는 이미지 및 시간을 제어하여 출력 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영역(LT) 내 소정의 이미지가 노출되는 상태를 달리한다.
우선적으로,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20)의 해당 관리자는 별도의 인증 과정 또는 등록 과정을 통해 제어 유닛(200) 내 인증부(260)에 본인을 비롯한 관리자 권한을 가진 단말의 식별을 위한 관리자 인증 정보를 기 저장해 둔다.
이 후, 관리자는 본인이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20)를 통해 광고하고자 하는 이미지 및 이와 같은 이미지의 노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본인의 단말(T)을 이용해 설정하여 통신망을 통해 제어 유닛(200) 내 수신부(210)에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관리자의 단말(T)임을 식별할 수 있는 관리자 인증 정보가 같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렇게 수신부(210)를 통해 이미지 정보, 시간 정보,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유닛(200)은 아래 설명될 각각의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 광고 출력 정보 내 관리자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부(260)는 기 저장되었던 관리자 인증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등록된 관리자의 단말(T)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단말(T)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출력 정보임이 인증되고 나면 수신부(210)가 제1제어부(220) 및 제2제어부(230)에 광고 출력 정보를 전달해줄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광고 출력 정보를 전달받은 제1제어부(220)는 광고 출력 정보 내 관리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소정의 이미지가 데이터화된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마련된 이미지 패널(120)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미지 셀에 픽셀 단위로 구분되어 반영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패널(120) 상에 광원(110)을 통해 투영될 수 있는 소정의 이미지가 반영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광고 출력 정보를 전달받은 제2제어부(230)는 광고 출력 정보 내 광고 출력 정보 내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 영역 대를 판단하여, 현재 시간이 해당 시간 정보 내 영역에 속할 경우 제1제어부(220)가 이미지 패널(120) 상에 해당 광고 출력 정보 내 이미지 정보가 데이터화한 이미지를 반영시키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이미지 패널(120) 상에 광고로 노출될 이미지가 반영된 상태에서 출력 유닛(100) 내 광원(110)이 발광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 혹은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가 설치된 조명장치(10)에 의해 형성되는 조명 영역(LT) 내에 소정의 이미지가 노출된다.
즉, LED로 마련되는 광원(110)에 의해 조사되어 제공되는 조명영역(LT) 내에는 이미지 패널(120) 상에 반영된 이미지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는 소정의 이미지 노출 영역(IT)이 형성된다.
이 후에 관리자는 단말(T)을 통해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 내 출력 유닛(100)에 반영된 이미지 및 이미지의 노출 시간을 변경시킬 수 있고, 선택에 따라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는 광고를 제거하여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를 조명장치로써의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그림자 광고 출력장치(20)는 관리자의 기호를 실시간을 반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적인 광고 설치작업, 교체작업 및 해체작업이 별도로 필요 없기 때문에 광고의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후 관리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조명장치
20 :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100 : 출력 유닛
110 : 광원
120 : 이미지 패널
130 : 렌즈
200 : 제어 유닛
210 : 수신부
220 : 제1제어부
230 : 제2제어부
240 : 조도감지부
250 : 광량조절부
260 : 인증부
270 : 동작감지부
T : 관리자 단말
LT : 광원을 통해 제공되는 조명 영역
IT : 이미지 패널을 통해 투영되는 이미지 노출 영역

Claims (7)

  1. 광원을 이용해 이미지를 투영시킴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영역 내에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노출시키는 출력 유닛;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의 노출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 출력 정보는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노출시키고자 하는 소정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특정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소정의 조명 영역을 형성하는 광원; 및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하기 위한 이미지 셀이 단위를 이루어 형성된 이미지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패널 상에 반영된 소정의 이미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투영되어 상기 조명 영역 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은 상기 광원에 의한 광의 조사 영역 및 상기 이미지 패널을 통해 투영된 이미지의 노출 영역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출력 정보는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노출되는 이미지의 노출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패널에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시키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이미지 패널 상에 소정의 이미지를 반영시키는 시간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외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 및
    상기 조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조도의 정도에 따라 상기 출력 유닛 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그림자 출력장치의 주변에 기 설정된 영역 내의 대상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량조절부는 상기 동작감지부를 통해 기 설정된 영역 내의 대상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 상기 출력 유닛 내 광원을 제어하여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출력 정보는 상기 광고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의 관리자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관리자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기 저장된 관리자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 내 관리자 인증 정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고 출력 정보가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KR1020150063183A 2015-05-06 2015-05-06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KR20160131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183A KR20160131252A (ko) 2015-05-06 2015-05-06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183A KR20160131252A (ko) 2015-05-06 2015-05-06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52A true KR20160131252A (ko) 2016-11-16

Family

ID=5754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183A KR20160131252A (ko) 2015-05-06 2015-05-06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2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898A (ko)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썬루미 이미지 변환이 가능한 투영기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190065722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아보네 스마트 조명 장치
KR101995754B1 (ko) * 2019-03-08 2019-07-0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스마트 로고젝터 시스템
KR20200102732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아보네 디지털 사이니지와 스마트 조명 일체형 컨텐츠 표시 장치
KR20210105574A (ko) * 2020-02-19 2021-08-27 주식회사 아보네 콘텐츠 전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898A (ko)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썬루미 이미지 변환이 가능한 투영기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190065722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아보네 스마트 조명 장치
WO2019112076A1 (ko) * 2017-12-04 2019-06-13 주식회사 아보네 스마트 조명 장치
KR20200102732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아보네 디지털 사이니지와 스마트 조명 일체형 컨텐츠 표시 장치
KR101995754B1 (ko) * 2019-03-08 2019-07-0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스마트 로고젝터 시스템
KR20210105574A (ko) * 2020-02-19 2021-08-27 주식회사 아보네 콘텐츠 전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1252A (ko) 그림자 광고 출력 장치
JP6429288B2 (ja) 送信機、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49120B2 (ja) 信号生成方法、信号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70034B1 (ko) 조명광통신장치
EP2490439B1 (en) Illumination device for a monitoring camera
WO2015075937A1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10129937B1 (en) Controlling flicker caused by multiple light sources
KR101524345B1 (ko) 절전형 다기능 야외 조명 장치
JP2006115539A (ja) 発光装置及び可視光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1228274B1 (ko) 교통안내 제공 시스템
KR20150052992A (ko)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제어되는 그림자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62468A1 (en) Luminaire with disinfection light exposure and dosage limit control protocol and sensor integration with height controller
JP5073559B2 (ja) 太陽電池照明装置
NL2016739B1 (en) Street light system
JP6707342B2 (ja) 送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66734B1 (ko) Smps 분리형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00926B1 (ko) 지능형 led 조명 장치
KR101800479B1 (ko) 디밍 조절 기능이 있는 하이브리드형 야외 조명 장치
KR101790765B1 (ko) 하이브리드 태양광 led 투광 시스템
KR20160039799A (ko) 야외 조명등 안전 관리시스템
JP4015645B2 (ja) 太陽光電池利用の自動点灯・消灯型街路灯装置
ITMI20101091A1 (it) Lampione ad energia fotovoltaica.
KR20130006428U (ko) 휴대it기기 충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가로등
JP5453931B2 (ja) 液晶表示装置、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電力供給方法、及び該液晶表示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US20220347329A1 (en) Luminaire emitting two different bands of disinfection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