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155A -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 - Google Patents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155A
KR20210104155A KR1020217024302A KR20217024302A KR20210104155A KR 20210104155 A KR20210104155 A KR 20210104155A KR 1020217024302 A KR1020217024302 A KR 1020217024302A KR 20217024302 A KR20217024302 A KR 20217024302A KR 20210104155 A KR20210104155 A KR 20210104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rear body
engaging portion
drill chuck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775B1 (ko
Inventor
야오팅 리우
Original Assignee
야오팅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오팅 리우 filed Critical 야오팅 리우
Publication of KR2021010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207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huck in a plane containing this axis
    • B23B31/123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huck in a plane containing this axis with lo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207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huck in a plane containing this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207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huck in a plane containing this axis
    • B23B31/1246Jaws movement actuated by a bolt with conical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2Adapters for drills or chucks; Tapered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44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7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207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huck in a plane containing this axis
    • B23B31/1253Jaws movement actuated by an axially movabl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615Obliquely guided reciprocating jaws
    • Y10T279/17641Threaded central cone and ja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32Means to prevent jaw loos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클러치 장치는 복귀 탄성 부재(216),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회동부(203)를 포함하고;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되, 두 개의 계합부 사이의 계합을 통해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0) 사이는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두 개의 계합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복귀 탄성 부재(216)가 압축 가능하고; 두 개의 계합부를 계합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압축된 복귀 탄성 부재(216)가 위치 복원 가능하다. 드릴 척은 프론트 바디(101), 리어 바디(100), 클램핑 조(102) 및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고; 동력 공구는 구동축 및 드릴 척을 포함한다. 해당 장치는 드릴 척의 드릴 툴의 더욱 안정적인 장착을 확보할 수 있고, 느슨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피하며, 드릴 툴의 교체에 더욱 편리하다.

Description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04월 28일에 중국 지적재산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9103515375호이고, 발명 명칭이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인 중국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부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결부한다.
본 출원은 드릴 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의 자동 조임 드릴 척은 진동 작동 상태 또는 공회전 상태에서 갑자기 시동되고, 공회전의 회전 방향이 드릴 툴이 풀리는 방향일 경우, 드릴 툴이 느슨해지기 쉽고, 심지어 드릴 툴이 드릴 척에서 이탈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자동 조임 드릴 척이 진동 작동 상태 또는 공회전 상태에서 갑자기 시동되고, 공회전의 회전 방향이 드릴 툴이 풀리는 방향일 경우, 드릴 툴이 느슨해지기 쉽고, 심지어 드릴 툴이 드릴 척에서 이탈될 수 있는 기술 과제를 해결하고자,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출원은 복귀 탄성 부재,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되, 하나의 상기 계합부는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계합부는 상기 드릴 척의 리어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며; 두 개의 상기 계합부 사이의 계합을 통해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는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두 개의 상기 계합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압축 가능하고; 두 개의 상기 계합부를 계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압축된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위치 복원 가능한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두 개의 상기 계합부 사이는 톱니 구조를 통해 계합 또는 분리를 실현하고, 상기 계합부는 시트형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톱니 구조는 상기 시트형 구조의 시트면에 설치된 복수의 톱니이고, 상기 복수의 톱니는 원형으로 상기 시트면에 분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클러치 장치는 상기 리어 바디와의 고정 연결을 위한 리어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슬리브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연결 방식은 억지 끼움 또는 키 연결(key connection)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리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압축되거나 위치 복원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상기 트리거 부재가 하나의 상기 계합부를 밀어 운동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귀 탄성 부재는 어느 한 상기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두 개의 상기 계합부의 내측은 서로 대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합부의 수량은 두 개이고, 두 개의 상기 계합부는 각각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이며;
상기 복귀 탄성 부재는 제2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복귀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계합부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복귀 탄성 부재는 제1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복귀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계합부 사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상기 제2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리어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부재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상기 제2 계합부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가 제1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를 통해 상기 제2 계합부가 상기 리어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회동부에 고정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회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콘택트 헤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제1 융기부 및 상기 제1 융기부에 연결되는 제2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융기부와 상기 제2 융기부 사이는 각을 이룬다.
선택적으로, 상기 레버는 핀 샤프트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1 계합부의 원주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회동부는 슬리브형 구조이며, 상기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푸싱하는 돌출 블록이 마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계합부에는 포지셔닝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삽입부 및 프레이부(prying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길이 연장 방향은 상기 프레이부의 길이 연장 방향과 각을 이루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포지셔닝홀에 삽입되며, 상기 회동부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상기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상기 프레이부가 운동하도록 상기 포지셔닝홀에서 상기 삽입부가 스윙하도록 푸싱하는 돌출 블록이 마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리어 바디에 고정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회동부에 고정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회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콘택트 헤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계합부의 표면에는 콘택트 헤드 소켓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콘택트 헤드는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콘택트 헤드 소켓에 진입하거나 상기 콘택트 헤드 소켓에서 이탈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종동부 및 상기 종동부에 고정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종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콘택트 헤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종동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는 나사산을 통해 동력 전달되며; 상기 프론트 바디의 원주 방향에는 상기 연결바가 상기 연결바 가이드홈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바 가이드홈이 마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부재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상기 제2 계합부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가 제1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를 통해 상기 제1 계합부가 상기 프론트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계합부에는 포지셔닝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삽입부 및 프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길이 연장 방향은 상기 프레이부의 길이 연장 방향과 각을 이루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포지셔닝홀에 삽입되며, 상기 회동부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상기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상기 프레이부가 운동하도록 상기 포지셔닝홀에서 상기 삽입부가 스윙하도록 푸싱하는 돌출 블록이 마련되어 있다.
본 출원은 프론트 바디, 리어 바디, 클램핑 조 및 상기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 척에 장착된 드릴 툴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리어 바디를 통해 상기 클램핑 조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리어 바디는 상기 프론트 바디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하나의 상기 계합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계합부는 상기 리어 바디에 연결되는 드릴 척을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은 상기 리어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 바디가 회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축 및 상기 드릴 척을 포함하는 동력 공구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은 리어 바디, 프론트 바디 및 클램핑 조를 포함하는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를 통해 상기 클램핑 조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리어 바디가 상기 프론트 바디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리어 바디와 상기 프론트 바디를 계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 바디와 상기 프론트 바디 사이에 복귀 탄성 부재, 하나는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드릴 척의 리어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회동부를 포함하는 클러치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두 개의 상기 계합부 사이의 계합을 통해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가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두 개의 상기 계합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상기 복귀 탄성 부재를 압축시키는 단계; 및 두 개의 상기 계합부를 계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압축된 상기 복귀 탄성 부재를 위치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을 더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출원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은, 회동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 사이의 계합 또는 분리를 실현하는 데에 편리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하나의 계합부를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계합부를 상기 드릴 척의 리어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 후, 회동부를 회전시켜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 사이의 계합 또는 분리를 실현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가 서로 계합된 상태인 경우, 드릴 척이 진동 작동 상태 또는 공회전 상태에서 갑자기 시동 시 드릴 척의 드릴 툴의 장착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며, 느슨해지거나 이탈되는 경우를 피하고, 또한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의 계합을 통해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도 실현하여 드릴 툴을 구동하여 양방향 작동을 실현하며, 더욱 안정적이고, 용이하며, 간단하고, 편리하게 드릴 툴의 교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사용을 필요로 하는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형태이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첨부 도면을 기반으로 진보적인 노력 없이 다른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2는 도 1 중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다른 시각에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 중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 중 클러치 장치의 회동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 중 클러치 장치의 제2 계합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 중 클러치 장치의 레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15는 도 12 중 클러치 장치의 레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 중 클러치 장치의 레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2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도 2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2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조립도(슬리브 바디 미장착)이다.
도 3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 중 클러치 장치의 제2 계합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 중 클러치 장치의 제2 계합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3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3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3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4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39 중 클러치 장치의 회동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2는 도 39 중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고정 슬리브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3은 도 39 중 클러치 장치의 제2 계합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4는 도 39 중 고정 슬리브 및 회동부가 서로 결합된 제1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5는 도 39 중 고정 슬리브 및 회동부가 서로 결합된 제2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이다.
도 4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분해도(리어 슬리브 미장착)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전체의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진보적인 노력 없이 얻을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등의 용어가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따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인바, 이는 단지 본 출원의 설명 상 편의 및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위치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 위치 방향으로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명백하게 규정되고 한정하지 않는 한 "장착", "서로 연결" 및 "연결"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바,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일체로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직접 연결일 수 있으며, 중간 매개물을 거친 연결될 수도 있고,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상기 용어의 본 출원에서의 구체적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클러치 장치는 자동 조임 드릴 척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자동 조임 드릴 척은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 또는 외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다. 해당 클러치 장치는 복귀 탄성 부재(216),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회동부(203)를 포함하고;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되, 하나의 계합부는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101)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다른 하나의 계합부는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며; 두 개의 계합부 사이의 계합을 통해 프론트 바디(101) 및 리어 바디(100) 사이는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두 개의 계합부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복귀 탄성 부재(216)가 압축될 수 있고; 두 개의 계합부 사이를 계합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압축된 복귀 탄성 부재(216)가 위치 복원될 수 있다.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리어 바디(100)의 구동 베벨 기어(108)를 통해 프론트 바디(101)에 장착된 종동 베벨 기어(105)를 회동시키고, 종동 베벨 기어(105)의 회동을 통해 클램핑 조(102)가 프론트 바디(101)의 클램핑 조 슬라이드(103)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프론트 바디(101)의 드릴 툴 수용홀에 삽입된 드릴 툴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을 실현한다.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리어 바디(100)를 통해 외부 나사산 구조를 구비하는 구동부(217)를 회동시키고, 구동부(217)를 통해 그에 연결되는 클램핑 조(102)가 프론트 바디(101)의 클램핑 조 슬라이드(103)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리어 바디(100)의 구동부(217)의 외부 나사산 구조와 클램핑 조(102)의 나사산 구조가 매칭되어 동력 전달을 실현하고, 이로써 리어 바디(100)의 회동 시에, 클램핑 조(102)가 프론트 바디(101)의 클램핑 조 슬라이드(103)를 따라 이동하도록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합부의 수량은 두 개이다. 복귀 탄성 부재(216)는 파형 와셔일 수 있고,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다. 동력 전달 어셈블리가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를 포함할 경우, 두 개의 계합부 사이는 서로 계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두 개의 계합부 사이는 톱니 구조를 통해 계합 또는 분리를 실현하며, 계합부는 시트형 구조일 수 있고, 톱니 구조는 시트형 구조의 시트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톱니(206)이며, 복수의 톱니는 원형으로 시트면에 분포되고, 톱니는 래칫 톱니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언클램핑 방향이고, 언클램핑 방향은 즉 드릴 척의 드릴 툴을 언클램핑할 때의 회동부(203)의 회동 방향이며; 제2 방향은 클램핑 방향이고, 클램핑 방향은 드릴 척의 드릴 툴을 클램핑할 때의 회동부(203)의 회동 방향이다. 두 개의 계합부는 각각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이다. 회동부(203)가 클램핑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를 회동한 후, 제2 계합부(202)는 복귀 탄성 부재(216)의 작용 하에 제2 계합부(202)와 제1 계합부(201)의 계합을 실현함으로써, 드릴 척의 드릴 툴의 언클램핑을 방지할 수 있고; 회동부(203)가 언클램핑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를 회동한 후, 제2 계합부(202)와 제1 계합부(201)가 분리됨으로써, 드릴 척의 드릴 툴의 언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다. 복귀 탄성 부재(216)는 파형 스프링 와셔이다. 드릴 척의 클램핑 조(102)가 드릴 툴을 클램핑한 후, 드릴 툴의 작동단(예를 들어 드릴 툴이 드릴일 경우, 드릴의 작동단은 물체에 구멍을 뚫을 수 있음)에서 드릴 척이 위치한 방향으로 드릴 척을 관찰 시에, 역시침 방향의 회전은 드릴 척의 정회전이고, 순시침 방향의 회전은 드릴 척의 역회전이다.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정회전하여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하고,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역회전하여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언클램핑을 실현한다. 리어 바디(100)의 정회전 방향, 프론트 바디(101)의 정회전 방향은 모두 드릴 척의 정회전 방향과 같고; 리어 바디(100)의 역회전 방향, 프론트 바디(101)의 역회전 방향은 모두 드릴 척의 역회전 방향과 같다.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리어 바디(10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와 동축으로 설치된다. 회동부(203)의 클램핑 방향은 드릴 척의 역회전 방향과 같고, 그의 언클램핑 방향은 드릴 척의 정회전 방향과 같다. 해당 실시예에서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의 정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고, 리어 바디(100)의 역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언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으며; 리어 바디(100)를 정회전시킴으로써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한 후, 통상의 정회전을 실현할 수 있고, 이때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와 함께 정회전하며; 클램핑 조(102)가 드릴 툴을 클램핑한 경우, 클러치 장치를 통해 리어 바디(100)와 프론트 바디(101)를 계합시킨 후, 클러치 장치를 통해 리어 바디(100)와 프론트 바디(101) 사이의 상대적으로 정지된 고정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말해서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와 함께 역회전함으로써, 클러치 장치를 통해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을 실현하여 드릴 툴의 양방향 작동을 실현하며, 사용자 체험이 비교적 우수하다. 유의할 점은 복귀 탄성 부재(216)는 스프링 등일 수도 있고; 파형 와셔의 재질은 금속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클러치 장치는 리어 슬리브(121)를 더 포함하고, 리어 슬리브(121)는 리어 바디(100)에 고정 연결되기 위해 사용되며, 리어 슬리브(121)와 리어 바디(100) 사이의 연결 방식은 억지 끼움 또는 키 연결(key connection)일 수 있다. 사용 시에, 리어 슬리브(121)를 회동시켜 리어 바디(1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클러치 장치는 회동부(203)의 회전 조작을 통해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 사이의 계합 또는 분리를 실현하는 데에 편리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하나의 계합부를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101)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계합부를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한 후, 회동부(203)를 회전시키면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0) 사이의 계합 또는 분리를 실현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0)가 서로 계합된 상태인 경우, 드릴 척이 진동 작동 상태 또는 공회전 상태에서 갑자기 시동 시 드릴 척의 드릴 툴이 장착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며, 느슨해지거나 이탈되는 상황을 피하고, 또한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0)의 계합을 통해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도 실현하여 드릴 툴의 양방향 작동을 실현한다.
선택적으로, 클러치 장치는 트리거 부재를 더 포함하고, 복귀 탄성 부재(216)가 압축되거나 위치 복원 가능하도록, 회동부(203)의 회동을 통해 트리거 부재가 하나의 계합부를 밀어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장치가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101), 리어 바디(100)에 연결되는 후, 회동부(203)가 회동하여야만 복귀 탄성 부재(216)가 압축 또는 위치 복원 가능하도록 하고; 복귀 탄성 부재(216)가 압축될 때,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 사이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으며, 압축된 복귀 탄성 부재(216)가 위치 복원될 때,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 사이의 계합을 실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귀 탄성 부재(216)는 하나의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두 개의 계합부의 내측은 서로 대향한다. 톱니 구조는 계합부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는 모두 시트형 구조일 수 있다.
해당 실시예는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을 더 제공하고, 드릴 척은 리어 바디(100), 프론트 바디(101) 및 클램핑 조(102)를 포함하고, 해당 방법은, 리어 바디(100)를 통해 클램핑 조(102)가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리어 바디(100)와 프론트 바디(101)를 계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리어 바디(100)와 프론트 바디(101) 사이에 클러치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여기서 클러치 장치는 복귀 탄성 부재(216),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회동부(203)를 포함하고;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되, 하나의 계합부는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101)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며, 다른 하나의 계합부는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두 개의 계합부 사이의 계합을 통해 프론트 바디(101)와 리어 바디(100)가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두 개의 계합부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1 방향에 따른 회동을 통해 복귀 탄성 부재(216)를 압축시키는 하는 단계; 및 두 개의 계합부를 계합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압축된 복귀 탄성 부재(216)를 위치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귀 탄성 부재(216)는 제2 계합부(202)의 외측에 위치하되, 제2 계합부(202)는 복귀 탄성 부재(216)와 제1 계합부(201) 사이에 위치하고, 리어 슬리브(121)는 복귀 탄성 부재(216)의 압축 또는 위치 복원을 실현하도록 복귀 탄성 부재(216)에 대해 위치 제한을 진행하는 데에 추가로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복귀 탄성 부재(216)가 제2 계합부(202)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제1 계합부(201)와 프론트 바디(101)는 나사(111)를 통해 고정 연결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의 원주 방향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홈(133)이 마련되어 있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에 슬리브 설치되며, 제2 계합부(202)의 축공의 내벽에는 리어 바디(100)의 스트립홈(133)에 매칭되는 포지셔닝 키(134)가 설치되어 있고, 포지셔닝 키(134)와 축공의 공벽은 일체 구조이고, 이로써 원주 방향에서의 리어 바디(100)와 제2 계합부(202)의 상대적 고정을 실현하되, 축방향에서는 변위될 수 있다. 리어 슬리브(121)는 복귀 탄성 부재(216)에 대해 위치 제한을 진행하는 데에 추가로 사용되고, 리어 슬리브(121)를 통해 복귀 탄성 부재(216)를 위치 제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하나의 목적은, 복귀 탄성 부재(216)가 압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목적은, 압축된 복귀 탄성 부재(216)가 위치 복원될 때, 제2 계합부(202)를 제1 계합부(201)의 방향으로 운동시켜, 제2 계합부(202)와 제1 계합부(201)를 서로 계합시키는 목적을 실현하는 것이다. 유의해야 할 점은, 리어 바디(100)와 제2 계합부(202) 사이는 이형홀 구조를 통해 연결되어 원주 방향에서의 리어 바디(100)와 제2 계합부(202)의 상대적 고정을 실현할 수도 있되, 축방향에서는 변위될 수 있으며, 이형 홀은 신장 모양 홀(kidney-shaped round hole) 또는 사각형 홀 등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서, 트리거 부재는 레버(208)를 포함하고;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은 레버(208)를 통해 제2 계합부(202)가 리어 바디(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즉, 레버(208)는 제2 계합부(202)를 제1 계합부(2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계합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은 복귀 탄성 부재(216)가 위치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제2 계합부(202)가 제1 계합부(20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트리거 부재는 회동부(203)에 고정되는 연결바(205)를 더 포함하고, 연결바(205)는 회동부(203)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연결바(205)에는 콘택트 헤드(204)가 마련되어 있고; 레버(208)는 제1 융기부(220) 및 제1 융기부(220)에 연결되는 제2 융기부(221)를 포함하며, 제1 융기부(220)와 제2 융기부(221)는 각을 이루는 방식으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융기부(220)와 제2 융기부(221)가 이루는 각은 90도보다 크고, 그 각도는 120도 내지 170도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0도 또는 160도일 수 있다. 레버(208)는 회동 리브(209)를 더 포함하고, 회동 리브(209)는 기본적으로 제1 융기부(220)와 제2 융기부(221)의 연결 위치에 위치하며; 회동 리브(209)는 프론트 바디(101)의 후단부(116)에 계합면 접촉되고, 레버(208)의 수량은 3개이다. 연결바(205)의 수량은 3개이다. 콘택트 헤드(204)는 삼각형 구조(308)를 구비하고, 해당 삼각형 구조(308)의 하나의 꼭지각은 제1 융기부(220) 또는 제2 융기부(221)에 당접된다. 회동 리브(209)는 적어도 원호면을 구비하는 기둥 형상 구조일 수 있다. 회동부(203)가 제1 방향을 따라 회동 시에, 콘택트 헤드(204)의 삼각형 구조의 꼭지각은 제1 융기부(220)에서 제2 융기부(221)로 이동하고, 회동 리브(209)의 원호면의 작용으로 인해 제1 융기부(220)와 제2 융기부(221)는 회동 리브(209)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이로써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분리시키도록 제2 계합부(202)가 리어 바디(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드릴 척을 더 제공하고, 해당 드릴 척은 프론트 바디(101), 리어 바디(100), 클램핑 조(102) 및 해당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며; 드릴 척에 장착된 드릴 툴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기 위해, 리어 바디(100)를 통해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에 연결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연결된다. 드릴 툴은 드릴, 호닝 헤드(honing head) 또는 보링 헤드(boring head) 등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의 원주 방향에는 연결바(205)를 위치 제한하기 위한 수용홈(222)이 마련되어 있고, 수용홈(222)의 홈 폭은 연결바(205)의 폭보다 크며, 이로써 연결바(205)가 회동부(203)에 따라 일정한 각도를 회동하여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의 분리 또는 계합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회동부(203)가 제1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분리시킨 후, 회동부(203)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수용홈(222)에 스프링홈(223)을 마련할 수 있고, 스프링홈(223)에는 복귀 스프링(118)이 장착될 수 있으며, 복귀 스프링(118)의 일단은 스프링홈(223)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당접되고, 복귀 스프링(118)의 타단은 연결바(205)에 당접되며, 복귀 스프링(118)의 연장 방향은 수용홈(22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수용홈(222)의 길이 방향은 프론트 바디(101)의 축방향에 평행된다.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해당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에 슬리브 설치되며,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의 샤프트 숄더(224)에 의해 위치 제한되어 슬리브형 구조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는 것을 피한다.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하되, 리어 바디(100)와 제1 계합부 사이는 간극을 두고 설치되고,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제2 계합부(202)에 연결되어 원주 방향에서의 리어 바디(100)와 제2 계합부(202)의 상대적 고정을 실현하되, 축방향에서는 변위될 수 있으며;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2 계합부(202)를 통과한 후, 다시 리어 슬리브(121)에 고정 연결된다. 리어 바디(100)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샤프트 숄더(224)를 구비한다. 프론트 바디(101)의 후단부(116)의 단면에는 내부에 회동 리브(209)를 설치하기 위한 회동홈(210)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드릴 척은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고, 자동 조임 드릴 척은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 또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다.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가 분리되면, 리어 바디(100)의 정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고, 리어 바디(100)의 역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언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해당 실시예에서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가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하는 구조 및 프론트 바디(101)에 클램핑 조(102)를 장착시키는 구조는 종래 기술이기에, 해당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해당 실시예에서, 트리거 부재는 레버(208)를 포함하고;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은 레버(208)를 통해 제2 계합부(202)가 리어 바디(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즉, 레버(208)는 제2 계합부(202)를 제1 계합부(2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계합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은 복귀 탄성 부재(216)가 위치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제2 계합부(202)가 제1 계합부(20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레버(208)는 핀 샤프트(225)를 통해 제1 계합부(201)의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며,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레버(208)를 밀어 핀 샤프트(225)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푸시하는 돌출 블록(231)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계합부(201)의 원주 방향에는 복수의 회피홈(226)이 구비되어 있고, 핀 샤프트(225)는 회피홈(226)의 홈 벽에 위치하며, 핀 샤프트(225)의 축방향은 회동부(203)의 반경 방향에 평행될 수 있다. 레버(208)에 핀 샤프트(225)를 통과시키기 위한 핀홀(227)이 마련되어 있다. 레버(208)는 본체부(228) 및 부가부(229)를 포함하고, 핀홀(227)은 본체부(228)에 위치한다. 부가부(229)는 제2 계합부(202)에 접촉되어 제2 계합부(202)가 운동하도록 하는 데에 사용된다.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회동부(203)는 레버(208)의 본체부(228)에 힘을 가하고, 레버(208)는 핀 샤프트(225)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부가부(229)의 에지는 제2 계합부(202)에 당접되어 제2 계합부(202)를 움직이게 하는 목적을 실현하고;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가 서로 계합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복귀 탄성 부재(216)의 작용으로 인해, 제2 계합부(202)를 강제로 제1 계합부(20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운동시키고, 제2 계합부(202)가 부가부(229)에 힘을 가함으로써, 레버(208)를 위치 복원시키기 위해 레버(208)를 다시 회동시킨다. 회피홈(226)의 수량, 레버(208)의 수량, 돌출 블록(231)의 수량은 서로 같고, 모두 3개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드릴 척을 더 제공하고, 상기 드릴 척은 프론트 바디(101), 리어 바디(100), 클램핑 조(102) 및 해당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고; 드릴 척에 장착된 드릴 툴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기 위해, 리어 바디(100)를 통해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에 연결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연결된다. 드릴 툴은 드릴, 호닝 헤드 또는 보링 헤드 등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의 원주 방향으로 레버(208) 및 돌출 블록(23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22)이 마련되어 있고, 수용홈(222)의 폭은 레버(208)의 본체부(228)의 폭 및 돌출 블록(231)의 폭의 합보다 크며, 이로써 회동부(203)가 회동 시에, 레버(208)가 수용홈(222)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분리 또는 계합 목적을 실현한다.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해당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에 슬리브 설치되며,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의 샤프트 숄더(224)에 의해 위치 제한되어 슬리브형 구조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는 것을 피한다.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하되, 리어 바디(100)와 제1 계합부 사이는 간극을 두고 설치되며,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2 계합부(202)에 연결되어 원주 방향에서의 리어 바디(100)와 제2 계합부(202)의 상대적 고정을 실현하되, 축방향에서는 변위될 수 있으며;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제2 계합부(202)를 통과한 후, 리어 슬리브(121)에 다시 고정 연결된다. 리어 바디(100)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샤프트 숄더(224)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드릴 척은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고, 자동 조임 드릴 척은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 또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다.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가 분리되면, 리어 바디(100)의 정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고, 리어 바디(100)의 역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언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해당 실시예에서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가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하는 구조 및 프론트 바디(101)에 클램핑 조(102)를 장착시키는 구조는 종래 기술이기에, 해당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0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트리거 부재는 레버(208)를 포함하고;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회동부(203)가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은 레버(208)를 통해 제2 계합부(202)가 리어 바디(10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즉, 레버(208)는 제2 계합부(202)를 제1 계합부(2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계합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은 복귀 탄성 부재(216)가 위치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제2 계합부(202)가 제1 계합부(20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제1 계합부(201)에는 포지셔닝홀(234)이 마련되어 있고, 레버(208)는 삽입부(232) 및 프레이부(233)를 포함하며; 삽입부(232)의 길이 연장 방향은 프레이부(233)의 길이 연장 방향과 각을 이루고, 삽입부(232)는 포지셔닝홀(234)에 삽입되며,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프레이부(233)가 운동하도록 포지셔닝홀(234)에서 삽입부(232)가 스윙하도록 푸싱하는 돌출 블록(231)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홀(234)은 직사각형 홀일 수 있고, 삽입부(232)가 직사각형 홀에 삽입된 후, 삽입부(232)는 직사각형 홀과 틈새 끼움 결합되어 직사각형 홀에서 스윙할 수 있다. 포지셔닝홀(234)의 수량과 레버(208)의 수량은 모두 복수 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개이며, 이로써 제2 계합부(202)의 운동을 더 평온하게 할 수 있다.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분리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회동부(203)는 레버(208)의 삽입부(232)에 힘을 가함으로써, 프레이부(233)의 단부를 들어올려 제2 계합부(202)에 당접시켜 제2 계합부(202)를 움직이는 목적을 실현하고;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계합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복귀 탄성 부재(216)의 작용으로 제2 계합부(202)를 제1 계합부(20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운동시키고, 제2 계합부(202)는 프레이부(233)에 대해 힘을 가하여 레버(208)를 위치 복원시킨다.
본 실시예는 드릴 척을 더 제공하고, 해당 드릴 척은 프론트 바디(101), 리어 바디(100), 클램핑 조(102) 및 해당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고; 드릴 척에 장착된 드릴 툴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기 위해, 리어 바디(100)를 통해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에 연결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연결된다. 드릴 툴은 드릴, 호닝 헤드 또는 보링 헤드 등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 블록(23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22)이 마련되어 있고, 수용홈(222)의 폭은 돌출 블록(231)의 폭보다 크며, 이로써 회동부(203)가 회동 시에, 돌출 블록(231)이 수용홈(222)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분리 또는 계합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상기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에 슬리브 설치되며,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의 샤프트 숄더(224)에 의해 위치 제한되어 슬리브형 구조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는 것을 피한다.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하되, 리어 바디(100)와 제1 계합부는 간극을 두고 설치되며,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제2 계합부(202)에 연결되어 원주 방향에서의 리어 바디(100)와 제2 계합부(202)의 상대적 고정을 실현하되, 축방향에서는 변위될 수 있으며;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제2 계합부(202)를 통과한 후, 리어 슬리브(121)에 다시 고정 연결된다. 리어 바디(100)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샤프트 숄더(224)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드릴 척은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고, 자동 조임 드릴 척은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 또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다.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가 분리되면, 리어 바디(100)의 정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고, 리어 바디(100)의 역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언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해당 실시예에서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가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하는 구조 및 프론트 바디(101)에 클램핑 조(102)를 장착시키는 구조는 종래 기술이기에, 해당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8 내지 도 31를 참조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복귀 탄성 부재(216)는 제1 계합부(201)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1 계합부(201)는 복귀 탄성 부재(216)와 제2 계합부(202) 사이에 위치한다. 클러치 장치는 엔드 커버(126)를 더 포함하고, 회동부(203)를 통해 복귀 탄성 부재(216)의 압축 또는 위치 복원을 실현한다. 복귀 탄성 부재(216)가 제1 계합부(201)의 외측에 위치 시에,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고정 연결되며; 프론트 바디 및 리어 바디가 동축으로 설치되기에, 프론트 바디의 축방향을 따른 제1 계합부의 이동은 리어 바디의 축방향을 따른 제1 계합부의 이동과 동등하다.
예를 들어, 엔드 커버(126)는 디스크부(301) 및 디스크부(301)에 연결되는 샤프트 볼록부(302)를 포함하고; 디스크부(301)는 나사(111)를 통해 프론트 바디(101)에 고정 연결되며; 엔드 커버(126)에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통과하는 축공이 마련되어 있다. 복귀 탄성 부재(216)는 엔드 커버(126)의 샤프트 볼록부(302)의 외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샤프트 볼록부(302)의 외주면에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립홈(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계합부(201)의 축공의 내벽에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스트립홈(133)에 매칭되는 포지셔닝 키(134)가 설치되고, 포지셔닝 키(134)와 제1 계합부(201)의 축공의 공벽은 일체 구조로서, 이로써 원주 방향에서의 샤프트 볼록부(302)와 제1 계합부(201)의 상대적 고정을 실현하되, 축방향에서는 변위될 수 있다. 리어 슬리브는 슬리브 바디(309) 및 슬리브 커버를 포함하고, 슬리브 커버와 슬리브 바디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 연결되며, 제2 계합부(202)와 리어 슬리브(121)의 슬리브 커버는 일체 구조로서,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공을 통과한 후, 제2 계합부(202)의 축공에 삽입되고,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와 제2 계합부(202)는 억지 끼움 방식, 키 연결 방식 또는 핀 연결 방식으로 고정 연결된다. 복귀 탄성 부재(216)는 엔드 커버(126)의 디스크부(301)와 제1 계합부(201) 사이에 위치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트리거 부재는 레버(208)를 포함하고;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은 레버(208)를 통해 제1 계합부(201)가 프론트 바디(10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즉, 레버(208)를 제1 계합부(201)를 제2 계합부(20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즉 제1 계합부를 프론트 바디의 후단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운동시킴).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를 계합시키기 위해, 회동부(203)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은 복귀 탄성 부재(216)가 위치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제1 계합부(201)가 제2 계합부(20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제1 계합부(201)에는 포지셔닝홀(234)이 마련되어 있고, 레버(208)는 삽입부(232) 및 프레이부(233)를 포함하며; 삽입부(232)의 길이 연장 방향 및 프레이부(233)의 길이 연장 방향은 각을 이루고, 삽입부(232)는 포지셔닝홀(234)에 삽입되며,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프레이부(233)가 운동하도록 포지셔닝홀(234)에서 삽입부(232)가 스윙하도록 푸싱하는 돌출 블록(231)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홀(234)은 직사각형 홀일 수 있고, 삽입부(232)가 직사각형 홀에 삽입된 후, 삽입부(232)는 직사각형 홀과 틈새 끼움 결합되어 직사각형 홀에서 스윙한다. 포지셔닝홀(234)의 수량과 레버(208)의 수량은 모두 복수 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개이며, 이로써 제1 계합부(201)의 운동을 더 평온하게 할 수 있다.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분리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회동부(203)는 레버(208)의 삽입부(232)에 힘을 가함으로써, 프레이부(233)의 일단을 제2 계합부(202)에 당접시키고, 프레이부(233)의 타단을 제1 계합부(201)의 표면에 당접시키며, 제2 계합부(202)와 리어 바디(100)가 고정 연결되고, 제1 계합부(201)와 프론트 바디는 상대척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제2 계합부(202)가 움직이지 않기에, 제1 계합부(201)는 프레이부(233)의 타단의 작용하에 제1 계합부(201)를 눌러 제1 계합부가 프론트 바디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계합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복귀 탄성 부재(216)의 작용으로 제1 계합부(201)를 제2 계합부(20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운동시키고, 제1 계합부(201)는 프레이부(233)에 대해 힘을 가하여 레버(208)를 위치 복원시킨다.
본 실시예는 드릴 척을 더 제공하고, 상기 드릴 척은 프론트 바디(101), 리어 바디(100), 클램핑 조(102) 및 해당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고; 드릴 척에 장착된 드릴 툴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기 위해, 리어 바디(100)를 통해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에 연결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연결된다. 드릴 툴은 드릴, 호닝 헤드 또는 보링 헤드 등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 블록(23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22)이 마련되어 있고, 수용홈(222)의 폭은 레버(208)의 본체부(228)의 폭과 돌출 블록(231)의 폭의 합보다 크며, 이로써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분리 또는 계합 목적을 실현하도록 회동부(203)가 회동 시에, 돌출 블록(231)이 수용홈(222)에서 운동하고 삽입부이 수용홈에서 스윙하도록 할 수 있다.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해당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에 슬리브 설치되며,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의 샤프트 숄더(224)에 의해 위치 제한되어 슬리브형 구조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는 것을 피한다.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엔드 커버(126)의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공을 통과하되, 리어 바디(100)와 샤프트 볼록부(302)는 간극을 두고 설치되며,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엔드 커버(126)의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공을 통과하여,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제2 계합부(202)에 연결되어, 리어 바디(100)와 제2 계합부(202) 사이의 고정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리어 바디(100)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공을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리어 바디(100)가 기본적으로 프론트 바디(101)와 축방향에서의 상대적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샤프트 숄더(224)를 구비한다. 엔드 커버(126)의 디스크부(301)에는 원주 방향으로 레버의 삽입부를 회피하기 위한 복수의 회피홈(226)이 마련되어 있고, 회피홈(226)의 폭은 기본적으로 수용홈(222)의 폭과 동일하며, 이로써 삽입부의 스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드릴 척은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고, 자동 조임 드릴 척은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 또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으며, 해당 실시예에서, 자동 조임 드릴 척은 기어 자동 조임 드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 분리 시에, 리어 바디(100)의 정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고, 리어 바디(100)의 역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언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해당 실시예에서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가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하는 구조 및 프론트 바디(101)에 클램핑 조(102)를 장착시키는 구조는 종래 기술이기에, 해당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2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복귀 탄성 부재(216)는 제1 계합부(201)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1 계합부(201)는 복귀 탄성 부재(216)와 제2 계합부(202) 사이에 위치한다. 클러치 장치는 엔드 커버(126)를 더 포함하고, 회동부(203)를 통해 복귀 탄성 부재(216)의 압축 또는 위치 복원을 실현한다. 복귀 탄성 부재(216)가 제1 계합부(201)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고정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엔드 커버(126)는 디스크부(301) 및 디스크부(301)에 연결되는 샤프트 볼록부(302)를 포함하고; 디스크부(301)는 나사(111)를 통해 프론트 바디(101)에 고정 연결되며; 엔드 커버(126)에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통과하는 축공이 마련되어 있다. 복귀 탄성 부재(216)는 엔드 커버(126)의 샤프트 볼록부(302)의 외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샤프트 볼록부(302)의 외주면에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립홈(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계합부(201)의 축공의 내벽에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스트립홈(133)에 매칭되는 포지셔닝 키(134)가 설치되어 있고, 포지셔닝 키(134)와 제1 계합부(201)의 축공의 공벽은 일체 구조로서, 이로써 원주 방향에서의 샤프트 볼록부(302)와 제1 계합부(201)의 상대적 고정을 실현하되, 축방향에서는 변위될 수 있다. 리어 슬리브는 슬리브 바디(309) 및 슬리브 커버를 포함하고, 슬리브 커버와 슬리브 바디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 연결되며, 제2 계합부(202)와 리어 슬리브(121)의 슬리브 커버는 일체 구조로서,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공을 통과한 후, 제2 계합부(202)의 축공에 삽입되고,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와 제2 계합부(202)는 억지 끼움 방식, 키 연결 방식 또는 핀 연결 방식으로 고정 연결된다. 복귀 탄성 부재(216)는 엔드 커버(126)의 디스크부(301)와 제1 계합부(201) 사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트리거 부재는 회동부(203)에 고정되는 연결바(205)를 포함하고, 연결바(205)는 회동부(203)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연결바(205)에는 콘택트 헤드(204)가 마련되어 있고; 제1 계합부(201)의 표면에는 콘택트 헤드 소켓(235)이 마련되어 있으며; 콘택트 헤드(204)는 회동부(203)의 회동에 따라 콘택트 헤드 소켓(235)에 진입하거나 콘택트 헤드 소켓(235)에서 이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연결바(205)의 연장 방향은 슬리브형 구조의 축방향에 평행된다. 연결바(205)의 일단은 슬리브형 구조에 연결되고, 연결바(205)의 타단에는 콘택트 헤드(204)가 마련되어 있으며, 콘택트 헤드(204)는 적어도 제1 원호면(236)을 구비하고; 콘택트 헤드 소켓(235)은 제1 계합부(201)의 내측면(132)에 위치한다. 콘택트 헤드 소켓(235)은 콘택트 헤드(204)의 제1 원호면(236)에 매칭되는 제2 원호면을 구비하고, 다시 말해서 콘택트 헤드 소켓(235)의 저부는 원호면 구조이다.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연결바(205)는 회동부(203)를 따라 회동하고, 연결바(205)의 콘택트 헤드(204)는 콘택트 헤드 소켓(235)에서 이탈되며, 콘택트 헤드(204)는 제1 계합부(201)의 내측면(132)에 당접되고, 이로써 콘택트 헤드(204)를 통해 제1 계합부(201)가 운동하여, 제1 계합부(201)를 통해 복귀 탄성 부재(216)가 다시 압축되어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가 분리되는 목적을 실현한다.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가 계합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연결바(205)는 회동부(203)를 따라 회동하고, 연결바(205)의 콘택트 헤드(204)는 다시 콘택트 헤드 소켓(235)에 진입하며, 복귀 탄성 부재(216)를 통해 제1 계합부(201)를 제2 계합부(20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계합부(202) 및 제1 계합부(201)를 계합시키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드릴 척을 더 제공하고, 상기 드릴 척은 프론트 바디(101), 리어 바디(100), 클램핑 조(102) 및 해당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며; 드릴 척에 장착된 드릴 툴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기 위해, 리어 바디(100)를 통해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에 연결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연결된다. 드릴 툴은 드릴, 호닝 헤드 또는 보링 헤드 등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의 원주 방향에는 연결바(205)를 위치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홈(222)이 마련되어 있고, 수용홈(222)의 폭은 연결바(205)의 폭보다 크며, 이로써 회동부(203)가 회동 시에, 연결바(205)가 수용홈(222)에서 일정한 회동 각도를 가지도록 하여,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분리 또는 계합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회동부(203)는 프론트 바디(101)에 슬리브 설치되고, 슬리브형 구조는 프론트 바디(101)의 샤프트 숄더(224)에 의해 위치 제한되어, 슬리브형 구조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는 것을 피한다.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하되, 리어 바디(100)와 제1 계합부는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리어 바디(100)가 제1 계합부(201)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확보하고; 리어 바디(100)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샤프트 숄더(224)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드릴 척은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고, 자동 조임 드릴 척은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 또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다.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가 분리되면, 리어 바디(100)의 정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고, 리어 바디(100)의 역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언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해당 실시예에서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가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하는 구조 및 프론트 바디(101)에 클램핑 조(102)를 장착시키는 구조는 종래 기술이기에, 해당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9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복귀 탄성 부재(216)는 제1 계합부(201)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1 계합부(201)는 복귀 탄성 부재(216)와 제2 계합부(202) 사이에 위치한다. 클러치 장치는 엔드 커버(126)를 더 포함하고, 회동부(203)를 통해 복귀 탄성 부재(216)의 압축 또는 위치 복원을 실현한다. 복귀 탄성 부재(216)가 제1 계합부(201)의 외측에 위치 시에,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고정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엔드 커버(126)는 디스크부(301) 및 디스크부(301)에 연결되는 샤프트 볼록부(302)를 포함하고; 디스크부(301)는 나사(111)를 통해 프론트 바디(101)에 고정 연결되며; 엔드 커버(126)에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통과하는 축공이 마련되어 있다. 복귀 탄성 부재(216)는 엔드 커버(126)의 샤프트 볼록부(302)의 외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샤프트 볼록부(302)의 외주면에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립홈(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계합부(201)의 축공의 내벽에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스트립홈(133)에 매칭되는 포지셔닝 키(134)가 설치되고, 포지셔닝 키(134)와 제1 계합부(201)의 축공의 공벽은 일체 구조로서, 이로써 원주 방향에서의 샤프트 볼록부(302)와 제1 계합부(201)의 상대적 고정을 실현하되, 축방향에서는 변위될 수 있다. 리어 슬리브는 슬리브 바디(309) 및 슬리브 커버를 포함하고, 슬리브 커버와 슬리브 바디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 연결되며, 제2 계합부(202)와 리어 슬리브(121)의 슬리브 커버는 일체형 구조로서,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샤프트 볼록부(302)의 축공을 통과한 후, 제2 계합부(202)의 축공에 삽입되고,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와 제2 계합부(202)는 억지 끼움 방식, 키 연결 방식 또는 핀 연결 방식으로 고정 연결된다. 복귀 탄성 부재(216)는 엔드 커버(126)의 디스크부(301)와 제1 계합부(201) 사이에 위치한다. 리어 바디(100)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엔드 커버(126)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샤프트 숄더(224)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트리거 부재는 종동부(310) 및 종동부(310)에 고정되는 연결바(205)를 포함하고, 연결바(205)는 종동부(3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연결바(205)에는 콘택트 헤드(204)가 마련되어 있고; 종동부(310)와 회동부(203) 사이는 나사산을 통해 동력 전달되며; 프론트 바디(101)의 원주 방향에는 연결바 가이드홈이 마련되어 있어, 연결바(205)가 상기 연결바 가이드홈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운동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회동부(203)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연결바(205)의 연장 방향은 슬리브형 구조의 축방향에 평행된다. 종동부(310)는 슬리브 형상을 이룬다. 회동부(203)의 축공의 내벽에는 내부 나사산(303)이 구비되어 있고, 종동부(310)의 외부 표면에는 회동부(203)의 내부 나사산에 매칭되는 외부 나사산(304)이 구비되어 있다.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회동부(203)와 종동부(310)는 다시 나사산을 통해 동력 전달되고, 종동부(310)의 연결바(205)의 콘택트 헤드(204)는 제1 계합부(201)에 대해 힘을 가하여 제1 계합부(201)가 복귀 탄성 부재(216)를 압축하여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를 분리시키는 목적을 실현한다. 회동부(203)가 제1 계합부(201) 및 제2 계합부(202)가 계합되는 방향으로 회동 시에, 복귀 탄성 부재(216)를 통해 제1 계합부(201)를 제2 계합부(20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계합부(202) 및 제1 계합부(201)를 계합시키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드릴 척을 더 제공하고, 상기 드릴 척은 프론트 바디(101), 리어 바디(100), 클램핑 조(102) 및 해당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며; 드릴 척에 장착된 드릴 툴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기 위해, 리어 바디(100)를 통해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리어 바디(100)는 프론트 바디(101)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제1 계합부(201)는 프론트 바디(101)에 연결되고, 제2 계합부(202)는 리어 바디(100)에 연결된다. 드릴 툴은 드릴, 호닝 헤드 또는 보링 헤드 등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의 원주 방향에는 종동부(310)가 프론트 바디(10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결바(205)를 위치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홈(222)이 마련되어 있고, 이로써 회동부(203)가 회동 시에, 종동부(310)가 프론트 바디(10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의 분리 또는 계합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종동부(310)의 콘택트 헤드(204)가 복귀 탄성 부재(216)에 대한 압축 또는 해제를 실현할 수 있다. 회동부(203)는 프론트 바디(101)에 슬리브 설치되고, 프론트 바디(101)의 전단부(115)에는 고정 슬리브(305)가 고정되며, 프론트 바디(101)의 후단부(116)에 서로 대향되는 고정 슬리브(305)의 면에는 제1 호형 돌기(306)가 구비되고, 회동부(203)의 축공의 내벽에는 제1 호형 돌기(306)에 매칭되는 제2 호형 돌기(307)가 마련되어 회동부(203)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며, 다시 말해서 회동부(203)의 회동 각도를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고정 슬리브(305)와 프론트 바디(101)의 전단부(115)는 억지 끼움 또는 나사(111) 연결 방식으로 고정 연결되고, 고정 슬리브(305)는 회동부(203)가 프론트 바디(101)의 전단부(1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추가로 사용된다. 회동부(203)가 제1 방향으로 일정한 회동 각도로 회동 시에, 제2 호형 돌기(307)의 일단은 제1 호형 돌기(306)의 일단에 의해 저지되고; 회동부(203)가 제2 방향으로 일정한 회동 각도로 회동 시에, 제2 호형 돌기(307)의 타단은 제1 호형 돌기(306)의 타단에 의해 저지된다.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는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하고, 리어 바디(100)와 제1 계합부는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리어 바디(100)가 제1 계합부(201)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확보하며; 리어 바디(100)는 리어 바디(100)의 후단부(116)가 제1 계합부(201)를 통과한 후 리어 바디(100)가 프론트 바디(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샤프트 숄더(224)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드릴 척은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고, 자동 조임 드릴 척은 기어 자동 조임 드릴 척, 플랫-조 자동 조임 드릴 척 또는 내부 나사산 자동 조임 드릴 척일 수 있다. 제1 계합부(201)와 제2 계합부(202) 사이 분리 시에, 리어 바디(100)의 정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고, 리어 바디(100)의 역회전은 드릴 툴에 대한 클램핑 조(102)의 언클램핑을 실현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해당 실시예에서 자동 조임 드릴 척의 리어 바디(100)가 클램핑 조(102)의 운동을 구동하는 구조 및 프론트 바디(101)에 클램핑 조(102)를 장착시키는 구조는 종래 기술이기에, 해당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동축 및 드릴 척을 포함하는 동력 공구를 제공하고, 해당 드릴 척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드릴 척일 수 있고; 구동축은 리어 바디(100)에 연결되어 리어 바디(100)의 회동을 구동하는 데에 사용된다. 리어 바디(100)는 구동축에 연결하기 위한 축방향 나사산 홀 또는 추형홀을 더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유의해야 할 점은, 이상의 각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기술특징에 대해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대응되는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 제공된 명세서에서 많은 구체적인 세부 정보를 설명하였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은 드릴 척의 드릴 툴이 장착 안정성을 구비하도록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고, 느슨해지거나 이탈되는 경우를 피하며, 또한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을 실현하여, 드릴 툴을 구동하여 양방향 작동을 실현하고, 더욱 안정적이고, 용이하며 간단하고 빠르게 드릴 툴의 교체를 실현할 수 있다.
100: 리어 바디
101: 프론트 바디
102: 클램핑 조
103: 클램핑 조 슬라이드
105: 종동 베벨 기어
108: 구동 베벨 기어
111: 나사
115: 전단부
116: 후단부
118: 복귀 스프링
121: 리어 슬리브
126: 엔드 커버
127: 드릴 툴 수용홀
132: 내측면
133: 스트립홈
134: 포지셔닝 키
201: 제1 계합부
202: 제2 계합부
203: 회동부
204: 콘택트 헤드
205: 연결바
206: 톱니
208: 레버
209: 회동 리브
210: 회동홈
216: 복귀 탄성 부재
217: 구동부
220: 제1 융기부
221: 제2 융기부
222: 수용홈
223: 스프링홈
224: 샤프트 숄더
225: 핀 샤프트
226: 회피홈
227: 핀홀
228: 본체부
229: 부가부
231: 돌출 블록
232: 삽입부
233: 프레이부
234: 포지셔닝홀
235: 콘택트 헤드 소켓
236: 제1 원호면
301: 디스크부
302: 샤프트 볼록부
303: 내부 나사산
304: 외부 나사산
305: 고정 슬리브
306: 제1 호형 돌기
307: 제2 호형 돌기
308: 삼각형 구조
309: 슬리브 바디
310: 종동부

Claims (19)

  1.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복귀 탄성 부재,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되, 하나의 상기 계합부는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계합부는 상기 드릴 척의 리어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며;
    두 개의 상기 계합부 사이의 계합을 통해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는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두 개의 상기 계합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압축 가능하고;
    두 개의 상기 계합부를 계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압축된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위치 복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계합부 사이는 톱니 구조를 통해 계합 또는 분리를 실현하고, 상기 계합부는 시트형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톱니 구조는 상기 시트형 구조의 시트면에 마련된 복수의 톱니이고, 상기 복수의 톱니가 원형으로 상기 시트면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는 상기 리어 바디와의 고정 연결을 위한 리어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슬리브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연결 방식은 억지 끼움 또는 키 연결(key connection)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압축되거나 위치 복원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상기 트리거 부재가 하나의 상기 계합부를 밀어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탄성 부재는 어느 한 상기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두 개의 상기 계합부의 내측이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의 수량은 두 개이고, 두 개의 상기 계합부는 각각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이며;
    상기 복귀 탄성 부재는 제2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복귀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계합부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복귀 탄성 부재는 제1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복귀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계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상기 제2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리어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상기 제2 계합부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가 제1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를 통해 상기 제2 계합부가 상기 리어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회동부에 고정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회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콘택트 헤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제1 융기부 및 상기 제1 융기부에 연결되는 제2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융기부와 상기 제2 융기부 사이는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핀 샤프트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1 계합부의 원주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회동부는 슬리브형 구조이며, 상기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푸싱하는 돌출 블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에는 포지셔닝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삽입부 및 프레이부(prying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길이 연장 방향은 상기 프레이부의 길이 연장 방향과 각을 이루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포지셔닝홀에 삽입되며, 상기 회동부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상기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상기 프레이부가 운동하도록 상기 포지셔닝홀에서 상기 삽입부가 스윙하도록 푸싱하는 돌출 블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계합부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계합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리어 바디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회동부에 고정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회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콘택트 헤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계합부의 표면에는 콘택트 헤드 소켓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콘택트 헤드는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콘택트 헤드 소켓에 진입하거나 상기 콘택트 헤드 소켓에서 이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4.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종동부 및 상기 종동부에 고정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종동부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콘택트 헤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종동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는 나사산을 통해 동력 전달되며;
    상기 프론트 바디의 원주 방향에는 상기 연결바가 그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바 가이드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합부와 상기 제2 계합부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가 제1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를 통해 상기 제1 계합부가 상기 프론트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에는 포지셔닝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삽입부 및 프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길이 연장 방향은 상기 프레이부의 길이 연장 방향과 각을 이루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포지셔닝홀에 삽입되며, 상기 회동부는 슬리브형 구조이고, 상기 슬리브형 구조의 내표면에는 상기 프레이부가 운동하도록 상기 포지셔닝홀에서 상기 삽입부가 스윙하도록 푸싱하는 돌출 블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7. 드릴 척에 있어서,
    프론트 바디, 리어 바디, 클램핑 조 및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 척에 장착된 드릴 툴을 클램핑하거나 언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리어 바디를 통해 상기 클램핑 조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리어 바디는 상기 프론트 바디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하나의 상기 계합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계합부는 상기 리어 바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척.
  18. 동력 공구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 바디가 회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축 및 제17항에 따른 드릴 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공구.
  19. 리어 바디, 프론트 바디 및 클램핑 조를 포함하는,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를 통해 상기 클램핑 조의 운동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리어 바디가 상기 프론트 바디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리어 바디와 상기 프론트 바디를 계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 바디와 상기 프론트 바디 사이에 복귀 탄성 부재, 하나는 드릴 척의 프론트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드릴 척의 리어 바디에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대향 설치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회동부를 포함하는 클러치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두 개의 상기 계합부 사이의 계합을 통해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가 동기화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두 개의 상기 계합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의 제1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상기 복귀 탄성 부재를 압축시키는 단계; 및
    두 개의 상기 계합부를 계합시키기 위해, 상기 회동부의 제2 방향을 따른 회동을 통해 압축된 상기 복귀 탄성 부재를 위치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
KR1020217024302A 2019-04-28 2019-05-27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 KR102565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51537.5 2019-04-28
CN201910351537.5A CN109940200B (zh) 2019-04-28 2019-04-28 离合装置、钻夹头、动力工具和钻夹头双向转动的方法
PCT/CN2019/088564 WO2020220420A1 (zh) 2019-04-28 2019-05-27 离合装置、钻夹头、动力工具和钻夹头双向转动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155A true KR20210104155A (ko) 2021-08-24
KR102565775B1 KR102565775B1 (ko) 2023-08-11

Family

ID=6701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302A KR102565775B1 (ko) 2019-04-28 2019-05-27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18528A1 (ko)
EP (1) EP3892406A4 (ko)
JP (1) JP7274593B2 (ko)
KR (1) KR102565775B1 (ko)
CN (1) CN109940200B (ko)
CA (1) CA3126169C (ko)
WO (1) WO2020220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0200B (zh) * 2019-04-28 2024-09-10 柳尧亭 离合装置、钻夹头、动力工具和钻夹头双向转动的方法
EP4364889A1 (en) * 2021-08-24 2024-05-08 Shandong Weida Machinery Co., Ltd Clamping mechanism and electric tool
WO2024000194A1 (zh) * 2022-06-28 2024-01-04 福比特精工科技有限公司 离合切换组件、钻夹头、动力工具和钻夹头正反转动方法
WO2024159354A1 (zh) * 2023-01-30 2024-08-08 威海达旺机械科技有限公司 自紧钻夹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5849A (zh) * 2018-12-03 2019-02-22 柳尧亭 开关装置、钻夹头及钻夹头双向转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20912B (de) * 1960-11-09 1962-04-25 Wiener Werkzeug Und Werkzeugma Einrichtung zur Beendigung und gewünschtenfalls auch Umsteuerung der bei Werkzeugmaschinen zwischen Werkstück und Werkzeug bestehenden relativen Vorschubbewegung
US5407215A (en) * 1993-12-30 1995-04-18 Tsung-Hsun Yang Chuck assembly for holding releasably a bit member
US5499828A (en) * 1994-03-04 1996-03-19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Lever bar keyless chuck
CA2224057A1 (en) * 1995-06-07 1996-12-19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Lever actuated keyless chuck
JPH09234612A (ja) * 1996-02-29 1997-09-09 Yukiwa Seiko Kk チャック装置
US6260856B1 (en) * 1999-11-17 2001-07-17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Locking chuck
US6572310B2 (en) * 2000-12-08 2003-06-03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Self-cleaning drill chuck
DE10101212A1 (de) * 2001-01-11 2002-07-18 Roehm Gmbh Bohrfutter
CN2633481Y (zh) * 2003-07-17 2004-08-18 山东威达机械股份有限公司 锁紧式钻夹头
JP5378056B2 (ja) * 2009-04-30 2013-12-25 ユキワ精工株式会社 チャック装置
CN102343447B (zh) * 2011-09-02 2015-09-02 威海达旺五金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新式自紧钻夹头
DE102013111730A1 (de) * 2013-10-24 2015-04-30 Röhm Gmbh Bohrfutter
ES2610053B2 (es) * 2015-09-22 2019-11-27 Stryker Corp Portabrocas sin llave con dispositivo de bloqueo
CN106424861A (zh) * 2016-12-08 2017-02-22 柳尧亭 齿轮自紧钻夹头和扁爪自紧钻夹头
CN208662858U (zh) * 2018-08-01 2019-03-29 柳尧亭 自紧钻夹头及钻类工具
CN208728703U (zh) * 2018-08-01 2019-04-12 柳尧亭 自紧钻夹头及钻类工具
CN108971536A (zh) * 2018-08-01 2018-12-11 柳尧亭 自紧钻夹头、自紧钻夹头双向转动的方法及钻类工具
CN109940200B (zh) * 2019-04-28 2024-09-10 柳尧亭 离合装置、钻夹头、动力工具和钻夹头双向转动的方法
CN210023858U (zh) * 2019-04-28 2020-02-07 柳尧亭 离合装置、钻夹头和动力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5849A (zh) * 2018-12-03 2019-02-22 柳尧亭 开关装置、钻夹头及钻夹头双向转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775B1 (ko) 2023-08-11
EP3892406A4 (en) 2022-02-23
CA3126169C (en) 2023-09-05
CN109940200B (zh) 2024-09-10
CN109940200A (zh) 2019-06-28
JP2022521903A (ja) 2022-04-13
WO2020220420A1 (zh) 2020-11-05
US20220118528A1 (en) 2022-04-21
EP3892406A1 (en) 2021-10-13
CA3126169A1 (en) 2020-11-05
JP7274593B2 (ja)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4155A (ko) 클러치 장치, 드릴 척, 동력 공구 및 드릴 척의 양방향 회동 방법
US11154974B2 (en) Hand-held tool and clamping device thereof
US20190162362A1 (en) Quick locking device
CN114658752B (zh) 铰链机构和电子设备
WO2019233482A1 (zh) 手持式动力工具以及夹头组件
TW201206653A (en) Apparatus for aligned supply of fastening parts
WO2013097297A1 (zh) 动力工具
CN109079691B (zh) 棘轮齿轮加强环
EP1721707B1 (en) Bi-directional adjustable spanner with a driving roller
US20140001714A1 (en) Clamping device for clamping a fastener
WO2020113703A1 (zh) 开关装置、钻夹头及钻夹头双向转动的方法
WO2008092300A1 (fr) Mandrin de perçage à verrouillage
CN110587529B (zh) 折叠把手装置
CN102537025A (zh) 空间楔合式无级定位铰链
CN210023858U (zh) 离合装置、钻夹头和动力工具
KR102568646B1 (ko) 래칫 렌치 핸들
RU2776267C1 (ru) Механизм сцепления, зажимной патрон, приводной инструмент и способ двунаправленного вращения зажимного патрона
CN113203015B (zh) 活动关节及具有该活动关节的支架
US20130330140A1 (en) Reversible tool assembly
CA2547071C (en) Screw feeder adapter for a power screwdriver
CN111434463A (zh) 水管钳
JP2016150422A (ja) 間接ラチェットレンチ姿勢保持具
CN113993330B (zh) 一种基于pa6t材质的铁路照明器具驱动控制装置
CN217195027U (zh) 扳手
CN220540828U (zh) 旋转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