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031A -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 - Google Patents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031A
KR20210104031A KR1020217016488A KR20217016488A KR20210104031A KR 20210104031 A KR20210104031 A KR 20210104031A KR 1020217016488 A KR1020217016488 A KR 1020217016488A KR 20217016488 A KR20217016488 A KR 20217016488A KR 20210104031 A KR20210104031 A KR 2021010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groove
frame
hol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238B1 (ko
Inventor
차오 장
팡 장
가오 공
지우잔 수
신 리
루하오 동
밍싱 덩
펑후이 리우
페이 왕
루이 우
웨이지에 자오
즈타오 웨이
지엔후이 왕
둔잉 중
잔친 리우
Original Assignee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filed Critical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Publication of KR2021010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agnetic or electric supporting means
    • F16C32/0406Magnetic bearings
    • F16C32/044Active magnetic bearings
    • F16C32/0474Active magnetic bearings for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agnetic or electric supporting means
    • F16C32/0406Magnetic bearings
    • F16C32/044Active magnetic bearings
    • F16C32/0459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F16C32/0461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of 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5Annular coils, e.g. for cores of the claw-pol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2/00Apparatus for lighting or heating
    • F16C2362/52Compressors of refrigerators, e.g. air-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F16C2380/26Dynamo-electric machines or combinations therewith, e.g. electro-motors an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with magnet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자기부상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1)에는 축방향 권선(3)의 위치를 한정하는 수용홈(11)이 형성되되, 수용홈(11) 내에는 축방향 권선(3)의 위치를 수용홈(11) 내에 제한하도록 구성된 위치제한부(110)가 형성되고, 프레임(1)의 수용홈(11) 양측의 외벽 표면에는 베어링 코어(2)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위치고정부(12)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1)이 베어링 코어(2) 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축방향 권선(3)이 프레임(1) 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축방향 권선(3)과 베어링 코어(2)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
본 출원은 2018년 12월 18일에 출원된, 출원 번호는 201811550030.4인 중국 특허 출원을 바탕으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개시 내용은 인용되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개시는 자기부상 베어링 고정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자기부상(magnetic levitation) 베어링은 자기력 작용을 이용하여 회전자를 공중에 부양시켜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기계적 접촉이 없도록 한다.
발명자는 관련 기술에서 적어도, 자기부상 베어링 코어와 권선 사이의 고정이 불안정하여 이탈이 쉽게 발생하고 권선 위치 추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는 베어링 고정자의 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한,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레임, 베어링 코어 및 축방향 권선을 포함하는 베어링 고정자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 내에는 위치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양측의 외벽 표면에는 제1 위치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코어의 임의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 표면에는 권선홈이 구비되되, 상기 권선홈의, 상기 베어링 코어의 반경 방향을 따른 상대 양측에 상기 제1 위치고정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 위치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축방향 권선은 상기 권선홈 내에 위치하되, 상기 축방향 권선의, 상기 프레임과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수용홈 내에 압입된다.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축방향 권선의 위치를 상기 수용홈 내에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 코어의 원주 방향을 따른 상기 프레임의 길이가 상기 축방향 권선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홈은 관통홈이며,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에 위치한 돌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홈은 개구부에서 저부로의 순으로, 제1 구간홈 및 제2 구간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구간홈의 두 측면은 상기 수용홈의 저부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구간홈의 두 측면은 상기 수용홈의 저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구간홈의 두 측면의 경사 방향은 상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고정부는 돌기 구조 및 오목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하부암 및 2 개의 사이드암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암 각각의 재질은 탄성 재료이며, 2 개의 상기 사이드암의 내측은 모두 상기 위치제한부를 구비하고, 2 개의 상기 사이드암의 외측은 모두 상기 제1 위치고정부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된 권선라인 통과홀이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권선라인 통과홀은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2 개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권선홈은 환형홈이며, 상기 권선홈의 축선은 상기 베어링 코어의 축선과 동축(coaxial)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1 위치고정부와 끼워맞춤되는 오목 구조 또는 돌기 구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권선홈 내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 코어의, 상기 권선홈 반대편인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과 대응되게, 권선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권선홈과 연통된다.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끼워맞춤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어링 코어 사이의 위치 고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은 타원형 홀이며, 상기 관통홀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프레임의 저부의 길이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권선홈과 끼워맞춤되는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권선홈의 폭과 같고,
상기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권선홈의 깊이에 비해 작거나, 또는 같거나, 또는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권선홈 내에는 상기 축방향 권선을 밀봉하고 고정하기 위한 밀봉제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축방향 권선은 제1 권선라인과 제2 권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는 제1 권선라인 통과홀과 제2 권선라인 통과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권선라인은 상기 제1 권선라인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어링 코어의, 상기 권선홈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권선라인은 상기 제2 권선라인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어링 코어의, 상기 권선홈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임의의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제공된 베어링 고정자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더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임의의 기술적 해결수단에서 제공된 압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을 더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자기부상 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축방향 권선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 내에는 상기 축방향 권선의 위치를 상기 수용홈 내에 제한하도록 구성된 위치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용홈 양측의 외벽 표면에는 베어링 코어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위치고정부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베어링 코어의 원주 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축방향 권선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블록 형상 구조이며, 상기 프레임의, 상기 베어링 코어의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베어링 코어의 반경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홈은 관통홈이며,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에 위치한 돌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 위치고정부를 통해 상기 베어링 코어와 자가 잠금되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홈은 개구부에서 저부로의 순으로, 제1 구간홈 및 제2 구간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구간홈의 두 측면은 상기 수용홈의 저부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구간홈의 두 측면은 상기 수용홈의 저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 방향은 상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고정부는 돌기 구조 또는 오목 구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고정부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돌기 구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하부암 및 2 개의 탄성 재질의 사이드암을 포함하되, 2 개의 상기 사이드암의 내측은 모두 상기 위치제한부를 구비하고, 2 개의 상기 사이드암의 외측은 모두 상기 제1 위치고정부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의 2 개의 사이드암이 가압되면, 2 개의 사이드암은 하부암에 상대적으로, 서로를 향해 경사지고, 프레임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면, 2 개의 사이드암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2 개의 사이드암이 하부암에 상대적으로 수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에는 권선라인 통과홀이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권선라인 통과홀은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2 개로 형성된다.
제2 측면으로서, 본 개시는 전술한 자기부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는 베어링 코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코어는 임의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 표면에 권선홈을 구비하되, 상기 권선홈의, 상기 베어링 코어의 반경 방향을 따른 상대 양측에 상기 제1 위치고정부와 끼워맞춤되어 걸림 결합되는 제2 위치고정부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권선홈은 환형홈이며, 상기 권선홈은 상기 베어링 코어와 동축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1 위치고정부와 끼워맞춤되는 오목 구조 또는 돌기 구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위치고정부는 돌기 구조이고, 제2 위치고정부는 제1 위치고정부와 끼워맞춤되는 오목 구조이며, 제2 위치고정부는 환형홈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권선홈 내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 코어의, 상기 권선홈 반대편인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과 대응되게, 권선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권선홈과 연통된다.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끼워맞춤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어링 코어 사이의 위치 고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권선홈과 끼워맞춤되는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권선홈의 폭과 같고,
상기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권선홈의 깊이에 비해 작거나, 또는 같거나, 또는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은 타원형 홀이며, 상기 관통홀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프레임의 저부의 길이보다 작다.
제3 측면으로서, 본 개시는 전술한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베어링 고정자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 고정자는 축방향 권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축방향 권선은 상기 권선홈 내에 위치하되, 상기 축방향 권선의, 상기 프레임과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수용홈 내에 압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방향 권선을 수용하는 권선홈 내에는 상기 축방향 권선을 밀봉하고 고정하기 위한 밀봉제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방향 권선은 제1 권선라인과 제2 권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는 제1 권선라인 통과홀과 제2 권선라인 통과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권선라인은 상기 제1 권선라인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어링 코어의, 상기 권선홈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권선라인은 상기 제2 권선라인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어링 코어의, 상기 권선홈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된다.
제4 측면으로서, 본 개시는 전술한 베어링 고정자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제5 측면으로서, 본 개시는 전술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베어링 고정자는, 프레임이 베어링 코어와 끼워맞춤되되, 프레임의 수용홈 양측의 외벽에 베어링 코어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위치고정부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이 베어링 코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수용홈 내에는 위치제한부가 형성되어, 상기 축방향 권선이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 고정된 후 위치제한부는 축방향 권선이 프레임 내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없도록 한다. 베어링 코어의 축방향 단부 표면에는 권선홈이 형성되어, 축방향 권선이 권선홈 내에 배치되면, 프레임이 축방향 권선의 이탈을 제한하고 축방향 권선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서 사용될 도면을 아래에 간략히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하기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간주되지 말아야 하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통상적인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관련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프레임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프레임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고정자 구조의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고정자 구조의 조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의 A-A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예시적인 국부적 확대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베어링 고정자의 조립 과정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자명한 점이라면,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구성으로 배치되고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제공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된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본 개시의 선택적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통상적인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획득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도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속해야 할 것이다.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하기의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와 문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므로, 일단 하나의 도면에서 어느 한 요소가 정의되면 이후 도면에서 그에 대해 추가적으로 정의하고 설명할 필요가 없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개시의 설명에서 용어 "중앙",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등에 의해 지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 또는 본 발명의 제품이 사용될 때 통상적으로 배치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단지 본 개시에 대한 설명 상 편리와 설명의 간결함을 위한 것에 불과하며,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위를 가져야 하고,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작동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개시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단지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명시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용어 "수평"은 수평면과의 각도가 0 도임을 의미하고, 용어 "수직"은 중력 방향을 따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 요소 또는 구조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명되는 경우, 가공 정밀도 오차 등과 같은 요인을 감안하여 구성 요소가 절대적으로 수평을 이루거나 또는 드리워져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약간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개시의 설명에서, 명확한 정의와 한정이 없는 한, 용어 "배치", "장착", "상호 연결", "연결" 등은 광의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적인 연결일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고 일체로 된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두 구성 요소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와 같은 용어들이 본 개시에서 갖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f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자기부상 프레임, 베어링 어셈블리,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자기부상 프레임을 제공한다. 프레임(1)에는 축방향 권선(3)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수용홈(11)이 형성되되, 수용홈(11) 내에는 축방향 권선(3)의 위치를 수용홈(11) 내에 제한하도록 구성된 위치제한부(110)가 형성된다. 프레임(1)의 수용홈(11) 양측의 외벽 표면에는 베어링 코어(2)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위치고정부(12)가 형성된다. 제1 위치고정부(12)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베어링 코어(2)의 원주 방향을 따른 길이(a)가 축방향 권선(3)의 원주 방향 길이 πd보다 작다. 여기서, d는 축방향 권선(3)의 외곽선 직경이고, π는 원주율이다. 프레임(1)은 블록 형상 구조이며, 프레임(1)의, 베어링 코어(2)의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가 베어링 코어(2)의 반경보다 작다. 수용홈(11)은 관통홈이며, 위치제한부(110)는 수용홈(11)의 개구부에 위치한 돌기이다. 수용홈(11)은 제1 위치고정부(12)를 통해 베어링 코어(2)와 자가 잠금되어 연결된다. 수용홈(11)은 개구부에서 저부로의 순으로, 제1 구간홈(111) 및 제2 구간홈(112)을 포함하되, 제1 구간홈(111)의 두 측면은 수용홈(11)의 저부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고, 제2 구간홈(112)의 두 측면은 수용홈(11)의 저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 방향은 상반된다. 제1 구간홈(111)은 직선형 홈이고 제2 구간홈(112)은 플레어형 홈이며, 제2 구간홈(112)의 저부 개방 사이즈는 제1 구간홈(111)의 개구부의 개방 사이즈보다 크다. 제1 구간홈(111)의 개방 사이즈는 제2 구간홈(112)의 개구부 상단의 개방 사이즈와 같다. 제1 구간홈(111)의 홈벽은 전술한 위치제한부(110)로서 작용한다.
상기에서는 프레임(1)의 수용홈(11)의 구조를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프레임(1)의 벽체를 살펴볼 것이다. 프레임(1)은 하부암(15) 및 2 개의 탄성 재질의 사이드암(16)을 포함한다. 2 개의 사이드암(16)의 내측은 모두 위치제한부(110)를 구비하고, 2 개의 사이드암(16)의 외측은 모두 제1 위치고정부(12)를 구비한다. 프레임(1)의 2 개의 사이드암(16)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면, 2 개의 사이드암(16)은 하부암(15)에 상대적으로, 서로를 향해 경사진다. 프레임(1)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면, 2 개의 사이드암(16)은 원상태로 복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된 2 개의 사이드암(16)의, 제1 위치고정부(12)가 형성된 측면이 하부암에 상대적으로 수직된다. 프레임(1)에는 권선라인 통과홀(13)이 형성되며, 권선라인 통과홀(13)은 프레임(1)의 저부에 2 개로 형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프레임(1)은 베어링 고정자와 연결되되, 프레임(1)은 수용홈(11)을 구비하며, 수용홈(11)은 관통홈이다. 위치제한부(110)는 수용홈(11)의 개구부의 두 측면에 형성되어, 축방향 권선(3)의 일부가 수용홈(11) 내에 위치한 경우, 위치제한부(110)는 축방향 권선(3)이 수용홈(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며, 위치제한부(110)는 돌기이거나, 또는 위치제한부(110)는 수용홈(11)의 개구부의 네킹 구조이다.
프레임(1)의 저부에는 권선라인 통과홀(13)이 형성된다. 프레임(11)의 2 개의 사이드암(16)의 외측은 모두 제1 위치고정부(12)를 구비하며, 제1 위치고정부(12)의, 프레임(1)의 수직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삼각형이고, 제1 위치고정부(12)의, 수용홈(11)의 개구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일면(즉, 도 2에 도시된 상면(121))은 프레임(1)에 수직된다. 두 사이드암(16)의 외측면은 하부암(15)에 수직되며, 프레임(1)의 두 사이드암(16)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면, 두 사이드암(16)은 하부암(15)에 상대적으로, 서로를 향해 경사지고, 프레임(1)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면, 두 사이드암(16)은 원상태로 복귀된다.
수용홈(11)은 개구부에서 저부로의 순으로, 제1 구간홈(111) 및 제2 구간홈(112)을 포함한다. 제1 구간홈(111)의 두 측면은 저부가 위치한 평면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된다. 제2 구간홈(112)의 두 측면은 저부가 위치한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구간홈(112)의 두 측면의 경사 방향은 상반된다. 축방향 권선(3)이 수용홈(11) 내에 압입되면, 수용홈(11)의 개구부는 축방향 권선(3)에 대해 위치 제한 작용을 하여, 축방향 권선(3)이 수용홈(11) 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축방향 권선(3)이 베어링 코어(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용홈(11)의 제1 구간홈(111)에 의해 형성된 네킹 구조는 위치제한부(110)로서 작용하며, 위치제한부(110)는 축방향 권선(3)이 베어링 코어(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축방향 권선 고정자에 적용되는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베어링 어셈블리는 복수의 자기부상 프레임(1)을 포함하며, 베어링 어셈블리는 베어링 코어(2)를 더 포함한다. 베어링 코어(2)는 임의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 표면에 권선홈(21)이 형성되되, 권선홈(21)의, 베어링 코어(2)의 반경 방향을 따른 상대 양측에 제1 위치고정부(12)와 끼워맞춤되어 걸림 결합되는 제2 위치고정부(22)가 형성되며, 제2 위치고정부(22)는 환형홈이다. 제1 위치고정부(12)와 제2 위치고정부(22)가 걸림 결합됨으로써, 프레임(1)은 권선홈(21) 내에 걸림 설치된다. 제1 위치고정부(12)와 제2 위치고정부(22)는 자가 잠금 연결을 형성한다.
권선홈(21)은 환형홈이며, 권선홈(21)의 축선은 베어링 코어(2)의 축선과 동축이다.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에는 프레임(1)과 대응되게, 권선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23)이 형성되되, 관통홀(23)은 권선홈(21)과 연통된다. 프레임(1)의 저부에는 관통홀(23)과 끼워맞춤되는 돌기부(14)가 형성되되, 돌기부(14)는 기둥형 돌기이며, 돌기부(14)는 프레임(1)과 베어링 코어(2) 사이의 위치 고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1)의, 권선홈(2)과 끼워맞춤되는 방향을 따른 길이는 권선홈(21)의 폭과 같고, 프레임(1)의 높이(c)는 권선홈(21)의 깊이(h)에 비해 작거나, 또는 같거나, 또는 크며, 이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관통홀(23)은 타원형 홀이며, 관통홀(23)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프레임(1)의 저부의 길이보다 작으며, 프레임(1)의 높이가 권선홈(21)의 깊이보다 크면, 프레임(1)이 부분적으로 베어링 코어(2)로부터 노출되어, 베어링 코어(2)가 스러스트 베어링과 접촉할 때 프레임(1)이 먼저 스러스트 베어링과 접촉하게 되어, 베어링 코어(2)의 마모를 방지한다.
복수의 프레임(1)은 동일한 중심각을 두고 권선홈(21) 내에 배치되며, 베어링 코어(2)의 임의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 표면에 권선홈(21)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권선홈(21)은 환형홈이며, 권선홈(21) 내측의 두 벽면에는 제1 위치고정부(12)와 걸림 결합되는 제2 위치고정부(22)가 형성된다. 제2 위치고정부(22)는 권선홈(21) 내측의 두 벽면에 형성된 환형홈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위치고정부(12)의, 베어링 코어(2)의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b)는 권선홈(21)의 폭(L)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코어(2)의 반경 방향을 따른 길이(b)는 두 제1 위치고정부(12)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두 제1 위치고정부(12)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권선홈(21)의 폭(L)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프레임(1)이 제자리에 장착되도록 장착 시에는 작은 힘을 가해야 한다.
프레임(1)의 두 사이드암(16)이 가압되면, 프레임(1)의 두 사이드암(16)은 프레임(1)의 하부암(15)에 상대적으로, 서로를 향해 경사진다. 프레임(1)의 하부암(15)을 권선홈(21)에 조준하여, 프레임(1) 양측의 제1 위치고정부(12)와 권선홈(21) 내의 제2 위치고정부(22)를 끼워맞춤시킨다. 제1 위치고정부(12)의, 프레임(1)의 수직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삼각형이며, 제2 위치고정부(22)는 권선홈(21) 양측의 환형 요홈이다. 프레임(1)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면, 프레임(1)의 두 사이드암(16)이 하부암(15)에 상대적으로 수직된다. 프레임(1)이 가압되어 프레임(1)이 권선홈(21) 내에 장착된 후, 프레임(1)의 두 사이드암(16)의 제1 위치고정부(12)와 제2 위치고정부(22)가 끼워맞춤되어, 프레임(1)과 권선홈(21)이 자가 잠금 연결을 형성한다. 권선홈(21)의 깊이는 프레임(1)의 높이보다 작아, 베어링 코어(2)이 스러스트 베어링과 접촉할 때 프레임(1)이 먼저 스러스트 베어링과 접촉하게 되어, 베어링 코어(2)의 마모를 방지한다.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에는 관통홀(23)이 형성되되, 관통홀(23)은 프레임(1)과 대응되며 권선홈(21)과 연통된다. 관통홀(23)은 타원형 홀이며, 관통홀(23)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프레임(1)의 하부암(15)의 길이보다 작다. 권선라인 통과홀(13)은 관통홀(23)과 대응된다. 관통홀(23)은 제1 권선라인(25) 및 제2 권선라인(26)의 인출에 사용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를 결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는 전술한 베어링 어셈블리와 축방향 권선(3)을 포함하는, 베어링 고정자를 제공한다. 축방향 권선(3)은 권선홈(21) 내에 위치되며, 축방향 권선(3)의, 프레임(1)과 대응되는 부분은 수용홈(11) 내에 압입된다. 권선홈(21) 내에는 밀봉제(24)가 형성되며, 축방향 권선(3)은 제1 권선라인(25)과 제2 권선라인(26)을 포함한다. 프레임(1)의 하부암(15)에는 제1 권선라인(25) 통과홀(13)과 제2 권선라인(26) 통과홀(13)이 형성되되, 제1 권선라인(25)은 제1 권선라인(25) 통과홀(13)을 통과하여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되고, 제2 권선라인(26)은 제2 권선라인(26) 통과홀(13)을 통과하여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된다.
축방향 권선(3)의, 프레임(1)과 대응되는 부분은 수용홈(11) 내에 압입되고, 권선홈(21) 내에 밀봉제(24)가 형성된다. 축방향 권선(3)은 제1 권선라인(25)과 제2 권선라인(26)을 포함하고, 권선라인 통과홀(13)은 제1 권선라인 통과홀(131)과 제2 권선라인 통과홀(132)을 포함하되, 제1 권선라인(25)은 제1 권선라인 통과홀(131)을 통과하여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되고, 제2 권선라인(26)은 제2 권선라인 통과홀(132)을 통과하여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된다.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면, 고정자 조립 시에,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이 형성된 일면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프레임(1)의 개구부의 두 사이드암(16)을 가압하여 두 사이드암(16)이 서로를 향해 경사지도록 한 후, 프레임(1)을 권선홈(21) 내에 삽입하여, 프레임(1)의 두 측부가 권선홈(21) 내의 두 측면과 맞닿고 프레임(1)의 저부가 권선홈(21)의 저부와 접촉하고 제1 위치고정부(12)가 권선홈(21) 내의 제2 위치고정부(22)와 끼워맞춤되도록 한다. 프레임(1)이 권선홈(21) 내에 완전히 장착되면, 프레임(1)의 두 사이드암이 권선홈(21)의 두 측벽과 맞닿고, 제1 위치고정부(12)와 제2 위치고정부(22)가 걸림 결합되어, 베어링 코어(2)가 회전 과정에서, 프레임(1)이 권선홈(21) 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용홈(11)의 개구부의 두 측면에 위치제한부(110)가 형성되거나 또는 수용홈(11)의 개구부가 네킹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축방향 권선(3)이 베어링 코어(2) 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면, 권선홈(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프레임(1)이 회전 이동시켜, 임의의 하나의 프레임(1)이 관통홀(23)과 대응되도록 한다. 프레임(1)의 저부에는 제1 권선라인 통과홀(131)과 제2 권선라인 통과홀(132)이 형성되어, 제1 권선라인 통과홀(131)과 제2 권선라인 통과홀(132)이 모두 관통홀(23)과 대응된다. 남은 프레임(1)은 원주 방향을 따라 권선홈(21)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권취된 축방향 권선(3)을 권선홈(21) 내에 배치하여, 제1 권선라인(25)은 제1 권선라인 통과홀(131)을 통과하여 관통홀(23)을 지나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되도록 하고, 제2 권선라인(26)은 제2 권선라인 통과홀(132)을 통과하여 관통홀(23)을 지나 베어링 코어(2)의,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되도록 한 후, 축방향 권선(3)이 프레임(1) 내에 압입되도록 한다. 축방향 권선(3) 자체는 제1 권선라인 통과홀(131)과 제2 권선라인 통과홀(132)에 대해 일정한 밀봉 작용이 있다. 축방향 권선(3)이 배치된 권선홈(21) 내에 밀봉제(24)가 프레임(1)의 상부까지 넘쳐 지지하도록 주입된 후, 밀봉제(24)가 가열 건조되어 밀봉이 완료된다.
상기 구조와 원리를 바탕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베어링 고정자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더 제공하되, 베어링 고정자는 압축기 회전자와 끼워맞춤된다.
상기 구조와 원리를 바탕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을 더 제공한다.
본 해결수단에서의 프레임(1)은 단일 블록 형상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프레임(1)의 자재 소모가 줄어들고, 프레임(1)의 가공이 간단하여 금형 제작이 편리하며, 베어링 코어(2)의 축방향 단부 표면에 권선홈(21)이 형성되어 프레임(1)이 자가 잠금 구조를 통해 권선홈(21)에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1)의 이탈을 방지한다. 프레임(1)에 축방향 권선(3)이 수용되도록 구성된 수용홈(11)이 형성되되, 수용홈(11)의 개구부가 수용홈(11)의 저부보다 작아 수용홈(11) 나팔형 홈 또는 테이퍼형 홈일 수 있어, 축방향 권선(3)이 수용홈(11)에 압입된 후 쉽게 이탈될 수 없도록 한다. 프레임(1) 구조는 그 자체의 자재 소모를 줄이도록 하며, 금형이 간단하고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며, 프레임(1)의 범용성이 뛰어나 상이한 구조의 베어링 코어(2) 또는 권선에 대해 프레임(1)의 사이즈를 변경하기만 하면 되도록 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개시의 설명에서 용어 "중심", "세로", "가로",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상단", "하단", "내", "외" 등으로 지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본 개시에 대한 설명 상 편의 및 간략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위를 가짐, 및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작동됨을 지시하거나 또는 암시하기 위한 것은 아니므로,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다. 비록 본 개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본 개시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정되거나 또는 일부 기술적 특징이 동등하게 대체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 본 개시에 의해 청구된 기술적 해결수단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8)

  1. 프레임(1), 베어링 코어(2) 및 축방향 권선(3)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에는 수용홈(11)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11) 내에는 위치제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 양측의 외벽 표면에는 제1 위치고정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코어(2)는 임의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 표면에 권선홈(21)을 구비하되, 상기 권선홈(21)의, 상기 베어링 코어(2)의 반경 방향을 따른 상대 양측에 상기 제1 위치고정부(12)와 걸림 결합되는 제2 위치고정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축방향 권선(3)은 상기 권선홈(21) 내에 위치하되, 상기 축방향 권선(3)의, 상기 프레임(1)과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수용홈(11) 내에 압입되며,
    상기 위치제한부(110)는 상기 축방향 권선(3)의 위치를 상기 수용홈(11) 내에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상기 베어링 코어(2)의 원주 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축방향 권선(3)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1)은 관통홈이며, 상기 위치제한부(110)는 상기 수용홈(11)의 개구부에 위치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1)은 개구부에서 저부로의 순으로, 제1 구간홈(111) 및 제2 구간홈(11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구간홈(111)의 두 측면은 상기 수용홈(11)의 저부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구간홈(112)의 두 측면은 상기 수용홈(11)의 저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구간홈(112)의 두 측면의 경사 방향은 상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고정부(12)는 돌기 구조 및 오목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하부암(15) 및 2 개의 사이드암(16)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암(16) 각각의 재질은 탄성 재료이며, 2 개의 상기 사이드암(16)의 내측은 모두 상기 위치제한부(110)를 구비하고, 2 개의 상기 사이드암(16)의 외측은 모두 상기 제1 위치고정부(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에는 상기 수용홈(11)과 연통된 권선라인 통과홀(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권선라인 통과홀(13)은 상기 프레임(1)의 저부에 2 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선홈(21)은 환형홈이며, 상기 권선홈(21)의 축선은 상기 베어링 코어(2)의 축선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고정부(22)는 상기 제1 위치고정부(12)와 끼워맞춤되는 오목 구조 또는 돌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권선홈(21) 내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코어(2)의, 상기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1)과 대응되게, 권선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23)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23)은 상기 권선홈(21)과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1)의 저부에는 상기 관통홀(23)과 끼워맞춤되는 돌기부(14)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14)는 상기 프레임(1)과 상기 베어링 코어(2) 사이의 위치 고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23)은 타원형 홀이며, 상기 관통홀(23)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프레임(1)의 저부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상기 권선홈(21)과 끼워맞춤되는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권선홈(21)의 폭과 같고;
    상기 프레임(1)의 높이는 상기 권선홈(21)의 깊이에 비해 작거나, 또는 같거나, 또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선홈(21) 내에는 상기 축방향 권선(3)을 밀봉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밀봉제(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권선(3)은 제1 권선라인(25)과 제2 권선라인(26)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의 저부에는 제1 권선라인 통과홀(131)과 제2 권선라인 통과홀(132)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권선라인(25)은 상기 제1 권선라인 통과홀(131)을 통과하여 상기 베어링 코어(2)의, 상기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권선라인(26)은 상기 제2 권선라인 통과홀(132)을 통과하여 상기 베어링 코어(2)의, 상기 권선홈(21) 반대편인 일측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고정자.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베어링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8. 청구항 17에 따른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KR1020217016488A 2018-12-18 2019-09-23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 KR102605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50030.4 2018-12-18
CN201811550030.4A CN109654121A (zh) 2018-12-18 2018-12-18 磁悬浮骨架及轴承组件及轴承定子及压缩机及空调
PCT/CN2019/107282 WO2020125111A1 (zh) 2018-12-18 2019-09-23 轴承定子、压缩机及空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031A true KR20210104031A (ko) 2021-08-24
KR102605238B1 KR102605238B1 (ko) 2023-11-24

Family

ID=6611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488A KR102605238B1 (ko) 2018-12-18 2019-09-23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55519B2 (ko)
EP (1) EP3865722B1 (ko)
JP (1) JP7127218B2 (ko)
KR (1) KR102605238B1 (ko)
CN (1) CN109654121A (ko)
DK (1) DK3865722T3 (ko)
WO (1) WO2020125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4121A (zh) * 2018-12-18 2019-04-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磁悬浮骨架及轴承组件及轴承定子及压缩机及空调
CN109882504B (zh) * 2019-04-16 2022-05-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磁悬浮轴向轴承组件及具有其的电机
CN109973525B (zh) * 2019-04-22 2024-04-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定子框架、磁悬浮轴向轴承、电机和压缩机
CN110864043B (zh) * 2019-10-08 2021-09-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磁悬浮径向轴承及其装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6361A (zh) * 2013-12-05 2015-06-1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用于安装电磁线圈的定子框架及具有其的磁悬浮轴向轴承
CN205371309U (zh) * 2015-12-18 2016-07-06 贵州大学 一种大承载轴向混合磁轴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688A (ja) * 1991-09-25 1993-04-09 Mitsuba Electric Mfg Co Ltd 磁石発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JPH11311251A (ja) * 1998-04-28 1999-11-09 Mitsutoyo Corp 磁気スラスト軸受
JP2002042689A (ja) * 2000-07-31 2002-02-08 Sony Corp 偏向ヨーク装置
KR101104274B1 (ko) 2004-10-08 2012-0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JP2007155058A (ja) 2005-12-07 2007-06-21 Marunaka:Kk 電磁クラッチ用コアの製造方法及びコイルつき電磁クラッチ用コア
JP2008236925A (ja) 2007-03-22 2008-10-02 Jtekt Corp アキシアル磁気軸受用電磁石および磁気軸受装置
JP6068018B2 (ja) * 2012-06-21 2017-01-25 アイチエレック株式会社 固定子
JP6069693B2 (ja) * 2012-09-05 2017-02-01 株式会社明電舎 3軸能動制御型磁気軸受
CN104467212B (zh) * 2014-11-28 2017-07-04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定子铁芯及定子、电机
JP2016114114A (ja) 2014-12-12 2016-06-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磁気軸受
JP6585372B2 (ja) * 2015-04-28 2019-10-0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205136373U (zh) * 2015-11-20 2016-04-06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轴向磁悬浮轴承用定心装置及轴向磁悬浮轴承
CN105351358A (zh) 2015-12-11 2016-02-2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磁悬浮轴承骨架及磁悬浮轴承
CN205278108U (zh) 2015-12-31 2016-06-01 天津飞旋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径向磁力轴承的设计和装配结构
CN105471125A (zh) * 2016-01-04 2016-04-06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电机的定子及具有其的电机
CN205753728U (zh) * 2016-05-19 2016-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机、定子组件及其绝缘骨架
CN109891531B (zh) * 2016-11-09 2022-01-11 Ntn株式会社 电感器
CN107559302A (zh) 2017-09-04 2018-01-09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径向磁悬浮轴承及其定子骨架和定子组件
CN107612175A (zh) * 2017-09-25 2018-01-19 珠海凯邦电机制造有限公司 绝缘骨架及具有其的定子组件
CN108092436A (zh) * 2018-01-03 2018-05-29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和制冷设备
CN108448776A (zh) * 2018-05-16 2018-08-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磁悬浮轴承绕组固定结构、轴向磁悬浮轴承及装配方法
CN108644230B (zh) * 2018-06-27 2023-06-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混合式轴向轴承
CN108847729A (zh) * 2018-06-27 2018-11-20 新界泵业(江苏)有限公司 永磁直流电机
CN209687928U (zh) * 2018-12-18 2019-1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磁悬浮骨架及轴承组件及轴承定子及压缩机及空调
CN109654121A (zh) * 2018-12-18 2019-04-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磁悬浮骨架及轴承组件及轴承定子及压缩机及空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6361A (zh) * 2013-12-05 2015-06-1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用于安装电磁线圈的定子框架及具有其的磁悬浮轴向轴承
CN205371309U (zh) * 2015-12-18 2016-07-06 贵州大学 一种大承载轴向混合磁轴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238B1 (ko) 2023-11-24
WO2020125111A1 (zh) 2020-06-25
US11855519B2 (en) 2023-12-26
US20210265894A1 (en) 2021-08-26
JP7127218B2 (ja) 2022-08-29
EP3865722A1 (en) 2021-08-18
CN109654121A (zh) 2019-04-19
EP3865722B1 (en) 2022-08-31
EP3865722A4 (en) 2021-12-08
JP2022513150A (ja) 2022-02-07
DK3865722T3 (da) 202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4031A (ko) 베어링 고정자, 압축기 및 에어컨
KR101629829B1 (ko) 실링 팬 모터
JP5004022B2 (ja) 軸流ファン
JP2009228675A (ja) 直列式軸流ファン
US10533561B2 (en) Ceiling fan
TWI599153B (zh) 吊扇及其馬達
JP6332261B2 (ja) 軸受支持装置
US10718343B2 (en) Ceiling fan motor with axle and a sleeve with cable groove and a shoulder, the sleeve wrapped around the axle, bearings around the sleeve and rotor/stator coupling portions
BR102015020167A2 (pt) invólucro para máquina elétrica girante
EP3581804A1 (en) Fan unit
US11901798B2 (en) Fan motor
TWI707089B (zh) 吊扇及其吊架
KR101071418B1 (ko) 모터
CN207968113U (zh) 一种轴向磁场电机转子总成
KR101560055B1 (ko) 모터의 로터
JP6757102B2 (ja) ジェットファンの支持構造
JP2008301667A (ja) ダブルステータ型モータ
KR20140069949A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어셈블리 및 조립 방법
KR102030088B1 (ko) 실링 팬 모터
KR102673582B1 (ko) 외전형 모터용 밸런스 웨이트
BR102015025359B1 (pt) sistema de fechamento entre tampa e estator de máquina elétrica e processo de fechamento entre tampa e estator de máquina elétrica
ITMI960088U1 (it) Scudo di cuscinetto in lamiera
KR102320751B1 (ko) 등속 조인트 어셈블리
EP4155548A1 (en) Axial fan
US20160344253A1 (en) Compressor and method of assembling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