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975A - 외부에서 도입된 세포 신호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 세포 및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외부에서 도입된 세포 신호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 세포 및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975A
KR20210103975A KR1020210019765A KR20210019765A KR20210103975A KR 20210103975 A KR20210103975 A KR 20210103975A KR 1020210019765 A KR1020210019765 A KR 1020210019765A KR 20210019765 A KR20210019765 A KR 20210019765A KR 20210103975 A KR20210103975 A KR 2021010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cells
domain
fragment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언
왕유
전춘주
Original Assignee
(주)이뮤노텍바이오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뮤노텍바이오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뮤노텍바이오팜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1010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8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46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cancer treated
    • A61K2239/48Blood cells, e.g. leukemia or lympho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3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recombinant expression
    • A61K39/4631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3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recombinant expression
    • A61K39/4632T-cell receptors [TCR]; antibody T-cell receptor constr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464403Receptors for growth factors
    • A61K39/464406Her-2/neu/ErbB2, Her-3/ErbB3 or Her 4/ ErbB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464411Immunoglobulin super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464411Immunoglobulin superfamily
    • A61K39/464412CD19 or B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84Cancer testis antigens, e.g. SSX, BAGE, GAGE or SAGE
    • A61K39/464488NY-ES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93Prostate associated antigens e.g. Prostate stem cell antigen [PSCA]; Prostate carcinoma tumor antigen [PCTA]; Prostatic acid phosphatase [PAP]; Prostate-specific G-protein-coupled receptor [PSGR]
    • A61K39/464495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2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48Tumour specific antigens; Tumour rejection antigen precursors [TRAP], e.g. M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07K14/495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7CD8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78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07K16/3069Reproductive system, e.g. ovaria, uterus, testes, pro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3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translation products of onco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90Isomerases (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6Animal cells expressing foreign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07K2317/53Hi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2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signal sequ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3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ransmembrane se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7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domain for protein-protein interaction
    • C07K2319/72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domain for protein-protein interaction containing SH2 doma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5011Lentivirus, not HIV, e.g. FIV, SIV
    • C12N2740/15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5011Lentivirus, not HIV, e.g. FIV, SIV
    • C12N2740/15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40/150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5011Lentivirus, not HIV, e.g. FIV, SIV
    • C12N2740/15071Demonstrated in vivo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60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 C12N2740/16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40/160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n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도입된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세포 및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 일 예로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발현하는 면역세포는 세포막에 발현된 키메라 항원 수용체에 의해 대상 암세포를 선별하여 면역반응을 수행한다. 이때, 세포질에서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과발현되어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 및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세포는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에서 도입된 세포 신호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 세포 및 이들의 용도{IMMUNE CELLS OVEREXPRESSING EXTERNALLY INTRODUCED SIGNAL REGULATOR,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외부에서 도입된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면역 세포 및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이환율 및 사망률의 두 번째 주된 원인이다. 발병율이 높은 암은 유방암, 폐 및 기관지암, 전립선암, 결장 및 직장암, 방광암, 피부의 흑색종, 비호지킨 림프종, 갑상선암, 신장 및 신우암, 자궁내막암, 백혈병 및 췌장암이다. 암을 치료하기 위해,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요법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면서 최근 환자의 면역기능을 이용한 면역치료법이 개발되고 있다. 특정 암세포를 인지할 수 있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또는 T 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를 바이러스 벡터를 통해 면역세포에 발현시킨 다음 암환자에 이식하는 치료법 연구(CAR-T-based/TCR T-based Adoptive cell therapy)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항체의 단편, 힌지 영역, 막통과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발현된 T 세포(CAR-T 세포) 또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발현된 자연살해세포(CAR-NK 세포)와 같은 면역세포는, 항체의 단편이 표적분자를 발현하는 세포(암세포 등)를 특이적으로 인지하여 면역세포의 세포독성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표적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가 발현된 면역세포는 유전자이입 세포 치료요법(genetically engineered cell therapy)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는 CD19가 발현된 혈액암에 대해 매우 높은 치료 효과를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혈액암과 달리 고형암의 경우, CAR-T 세포와 같은 유전자가 도입된 면역세포가 암세포 성장이 이루어지는 종양조직으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면역세포가 종양조직으로 침투를 하더라도, 암세포 또는 암세포 주변의 세포들에서 발현되는 여러 종류의 면역관문 단백질들과 다양한 사이토카인들로 인해 CAR-T 세포의 면역반응이 저하되어 아직까지 고형암에서 치료 효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그 중, TGF-β는 CAR-T 세포의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TGF-β의 신호전달 경로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2 종류의 수용체인 TGFβR1 및 TGFβR2에 의해 매개된다. 먼저, TGF-β가 TGFβR2에 결합하면, TGFβR1을 인산화시켜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TGFβR1은 SMAD 단백질을 인산화시킨다. 인산화된 SMAD 단백질은 삼중결합체를 이루어 핵으로 이동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한다(Andres Rojas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793 (2009) 1165-1173). 따라서, 이와 같은 CAR-T 세포의 면역반응 억제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고 활성이 더 좋은 면역세포를 제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Andres Rojas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793 (2009) 1165-1173.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전자 도입된 면역세포의 활성이 억제되는 기작을 막을 뿐만 아니라, 유전자 도입된 면역세포가 세포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유전자가 도입된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하는 CAR-T 세포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 CAR-T 세포가 억제되는 기작을 막을 뿐만 아니라, CAR-T 세포의 세포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iv)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i)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v) IRES(Internal Ribosome Entry Site)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i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발현하며,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세포는 세포막에 발현된 키메라 항원 수용체에 의해 지정되는 특정 암세포에 대해 특이적으로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면역세포의 세포질에서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과발현되기 때문에, 면역세포의 활성을 저해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하여 종양살상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세포는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19bbz CAR 실험군의 도메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19bbz CAR 실험군의 도메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Hbbz CAR 실험군의 도메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43bbz CAR 실험군의 도메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47bbz CAR 실험군의 도메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Pbbz CAR 실험군의 도메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혈액암 동물모델에서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 세포 시험군의 항암효과 평가(II)에서 항암활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F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M을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N을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C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S1을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TC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RG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T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19bbz#FC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bbz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bbz#F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bbz#C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bbz#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bbz#FC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3bbz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3bbz#F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3bbz#C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3bbz#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3bbz#FC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7bbz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7bbz#F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7bbz#C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7bbz#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47bbz#FC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Pbbz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Pbbz#F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Pbbz#C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Pbbz#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Pbbz#FC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ERV-E에 특이적인 TCR을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ERV-E에 특이적인 TCR 및 #F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ERV-E에 특이적인 TCR 및 #C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ERV-E에 특이적인 TCR 및 #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ERV-E에 특이적인 TCR 및 #FC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NY-ESO-1에 특이적인 TCR을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NY-ESO-1에 특이적인 TCR 및 #F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NY-ESO-1에 특이적인 TCR 및 #C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NY-ESO-1에 특이적인 TCR 및 #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NY-ESO-1에 특이적인 TCR 및 #FCS2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는 일 실시예로서 수행한 혈액암 동물모델 항암효과 평가(I)에서 사용한 CAR-T 실험군을 정리한 표이다.
도 50은 일 실시예로서 수행한 혈액암 동물모델 항암효과 평가(I)에서 CAR-T 세포의 항암 활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51은 FKBP12와 결합한 TGF-β 1형 수용체의 키나아제(Kinase) 도메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는 TGF-β 1형 수용체와의 결합에 관여하는 FKBP12의 중요 서열인 방향족 아미노산(Aromatic Residues)의 사분면 위치(Tetrad)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3은 TGF-β 1형 수용체와의 결합에 관여하는 FKBP12 및 결합에 관여하는 주요 방향족 아미노산을 나타낸 것이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 세포의 CD19-특이적 CAR의 발현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확인한 도면이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표면 CAR 발현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 세포와 타겟종양세포의 결합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체외증식된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T 세포 아형(subset)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CAR(+) 세포 게이트하에서 분석한 도면이다.
도 58은 K562, K562-CD19 및 Daudi 세포의 CD19 발현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에서 FKBP12,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 단백질의 N-말단 SH2 도메인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에서 FKBP12,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 단백질의 N-말단 SH2 도메인의 RNA 발현량을 나타낸 표이다. RNA의 발현량은 동량의 RNA로 cDNA를 합성 후,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것이다.
도 61은 CD19-특이적 CAR-T 세포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IFNγ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2는 CD19-특이적 CAR-T 세포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TNFα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3은 CD19-특이적 CAR-T 세포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IL-2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4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 세포에서 TGF-β1 존재 시, 항원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IFNγ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5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 세포에서 TGF-β1 존재 시, 항원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TNFα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6은 CD19-특이적 CAR-T 세포를 항 CD3/항 CD28 비드로 활성화한 다음 in vitro에서의 세포 이동(migration)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7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 세포의 항원 자극에 의한 내인성 이동(intrinsic motility) 능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은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타겟종양세포인 K562-CD19 세포(상)와 Daui Fluc-eGFP 세포(하)에 대한 세포 용해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9는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CAR의 발현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확인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Hbbz, Hbbz#F, Hbbz#C, Hbbz#S2 또는 Hbbz#FCS2 렌티바이러스를 형질도입한 T 세포에서 Her2-특이적 CAR 발현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0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표면 CAR 발현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1은 Her2-특이적 CAR-T 세포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IFNγ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2는 Her2-특이적 CAR-T 세포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TNFα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3은 Her2-특이적 CAR-T 세포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IL-2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4는 Her2-특이적 CAR-T 세포를 항 CD3/항 CD28 비드로 활성화한 다음 in vitro에서의 세포 이동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5는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타겟종양세포인 SKBR3-Luc 세포에 대한 세포 용해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6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항암 활성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77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 세포의 PSMA-특이적 CAR의 발현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확인한 도면이다.
도 78은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PSMA-특이적 CAR-T 세포의 표면 CAR 발현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9는 체외 증식된 PSMA-특이적 CAR-T 세포의 T 세포 아형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CAR(+) 세포 게이트하에서 분석한 도면이다.
도 80은 체외 증식된 PSMA-특이적 CAR-T 세포에서 T 세포 탈진(exhaustion) 표현형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CAR(+) 세포 게이트하에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1은 PSMA-특이적 CAR-T 세포를 항 CD3/항 CD28 비드로 활성화한 다음 in vitro에서의 세포 이동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2 및 도 83은 PSMA-특이적 CAR-T 세포의 타겟종양세포에 대한 세포 용해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자가-절단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iv)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i) 항원 결합 도메인과 (ii) 막관통 도메인 사이에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 일 수 있다:
(a)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스페이서 및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v)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b) (i)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 스페이서 및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v)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때, 상기 (i)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v)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5'에서 3' 순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세포질에서 발현될 수 있는 한 배열 순서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항원 결합 도메인 전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가-절단성 서열이 신호 기전 조절 인자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
또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b) 이뮤노필린 또는 이의 단편, c) 항원 손실-매개 재발(antigen loss-mediated relapse)에 관여하는 단백질, d)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e)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및 f) 이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세포질 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TGF-β/SMAD 신호 경로
상기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TGF-β/SMAD(FKBP12-FK506/rapamycin)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TGF-β/SMAD(FKBP12-FK506/rapamycin)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FKBP12(FK506-binidng protein 12,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FKBP12를 #F라 함, 서열번호 13),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을 #M라 함, 서열번호 20) 및 N-SKI(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N-SKI를 #N라 함, 서열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형질전환 성장인자 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는 형질전환 성장인자 β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으로, 세포성장, 분화, 세포사멸, 발생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세포 기능을 수행하는 사이토카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TGF-β/SMAD 신호 경로"는 TGF-β에 의해 활성화되는 신호 전달 경로를 의미한다. TGF-β에 의한 신호 전달은 리간드가 수용체에 결합하면 TGF-β 1형/2형으로 이루어진 이중 복합 수용체의 형성이 촉진되고, TGF-β 2형 수용체에 의해 TGF-β 1형 수용체의 인산화가 일어나게 된다. TGF-β 1형 수용체가 인산화되면, 세포질에 존재하는 신호 매개 단백질인 SMAD를 인산화할 수 있게 되어, 이후의 신호전달 진행이 가능하게 된다. 인산화된 SMAD는 C-말단에 의해 SMAD 삼량체를 형성한 다음, 핵으로 이동하여 다른 전사조절인자(cofactor) 및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와 결합하여 표적 유전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억제한다. T 세포에서 TGF-β/SMAD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은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T 세포의 증식 및 면역반응 억제를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TGF-β/SMAD 신호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은 FKBP12,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 및 N-SKI 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FKBP12"는 12 kDa의 FK506 결합 단백질 패밀리의 하나로, 단백질의 접힘(folding)과 이동(trafficking), 면역 조절 등의 세포내 반응에 관여한다. 특별히, FKBP12는 TGF-β 1형 수용체에 결합하여, TGF-β 2형 수용체에 의한 TGF-β 1형 수용체의 인산화를 방해함으로써, TGF-β의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한다. 흥미롭게도, TGF-β 부재하에서도, TGF-β 1형 수용체와 TGF-β 2형 수용체는 내재된 상호 친화력으로 인해 TGF-β 1형/2형으로 이루어진 이중 복합 수용체를 어느 정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TGF-β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일어나는 수용체간의 결합에 의해 상시 leaky signaling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TGF-β 1형 수용체의 인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FKBP12는 결과적으로 "TGF-β leaky signaling을 억제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면역억제제인 라파마이신(rapamycin)과 FK506은 FKBP12에 결합하여, 경쟁적으로 FKBP12와 TGF-β 1형 수용체간의 결합을 방해한다. 이로써, 라파마이신과 FK506은 TGF-β 1형 인산화를 통한 면역억제 신호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면역억제제인 FK506와 FKBP12의 결합으로 형성된 FKBP12/FK506 복합체는 칼슘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시뉴린(calcineurin)에 결합하여 이의 활성을 억제한다. 상기 "칼시뉴린"은 칼슘(Ca2+)-의존적으로 활성화되는 탈인산화효소(phosphatase)로서, NFAT(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의 탈인산화를 유도하여 염증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NFAT(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는 전사인자로서, 대부분의 면역세포에서 발현되어 있다. 특히, NFAT의 활성은 T 세포에서 인터루킨-2(IL-2)의 발현을 유도하여 T 세포의 면역반응을 증가시킨다.
상기 FKBP12는 인간 유래일 수 있으며, NCBI Reference Sequence: NP_000792.1 또는 NP_001186715.1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FKBP12는 NP_004107(FKBP12.6)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KBP12는 서열번호 13 또는 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KBP12는 서열번호 13 또는 19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KBP12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KBP12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과 약 95%, 97%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FKBP12의 단편은 서열번호 13의 27번 아미노산부터 100번째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열번호 13의 27번째 아미노산, 47번째 아미노산, 60번째 아미노산, 100번째 아미노산이 TGF-β 수용체의 결합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SMAD"는 TGF-β 슈퍼패밀리 수용체에 대한 주요 신호전달 매개 단백질로서, 세포성장, 분화, 세포사멸, 발생 등에 관여한다. SMAD에는 수용체 조절 SMADs(R-SMADs), 공통 파트너 SMAD(Co-SMAD) 및 억제 SMADs(I-SMADs)의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두 개의 수용체 조절 SMAD와 공통 파트너 SMAD의 삼량체는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작용한다. 수용체 조절 SMAD에는 SMAD1, SMAD2, SMAD3, SMAD5 및 SMAD8/9가 있고, 공통 파트너 SMAD에는 SMAD4가 있으며, 억제 SMAD에는 SMAD6 및 SMAD7이 있다. 수용체 조절/공통 파트너 SMAD 복합체는 주로 세포질에 존재하지만, TGF-β 신호를 받은 후 핵에 축적되어 작용하고, I-SMADs는 주로 핵에 존재하며 전사조절인자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SMAD4"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공통 파트너 수용체로서, 수용체 조절 SMAD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수용체 조절 SMAD의 작용을 돕는다. 한편, SMAD4는 T 세포에서 TGF-β 의존적으로 c-myc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T 세포의 증식 및 면역반응을 감소시킨다. 상기 "c-myc"은 원발암 유전자(proto-oncogene)로서, 세포의 증식과 생장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이다. 구체적으로, SMAD4는 NP_005350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SMAD4의 단편(SMAD4 단백질의 C-말단의 MH2 도메인)은 "SMAD Trimerization"에 관여한 도메인이다. 따라서, 면역세포내에서 이 단편의 과발현시에는, DNA 결합능력이 결여되어 전사인자로서 작용할 수 없는 SMAD 삼중복합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TGF-β에 의한 면역억제 신호전달이 차단됨으로서 전체적으로 면역활성을 높이게 된다. 이 SMAD4 단편은 서열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 SMAD4 단편은 서열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SKI"는 세포핵 내에 존재하는 전사조절인자로 작용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증대하는 원발암 유전자이다. SKI 단백질의 알려진 여러 활성 중 하나가 SMAD 삼량체 형성을 저해하여 TGF-β신호를 차단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SKI 단백질의 N-말단 부위는 TGF-β 신호를 차단하는 SKI 단백질 기능에 관여한다. 구체적으로, SKI 단백질의 N-말단 부위는 SMAD와 직접 상호 결합하여 TGF-β의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함으로써 TGF-β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SMAD에 결합하는 SKI 단백질의 N-말단 부위를 N-SKI로 지칭할 수 있다. 이 N-SKI는 SMAD 단백질의 Trimerization 도메인에 결합하여, 전사인자인 SMAD 삼량체의 형성을 방해한다. 따라서, 면역세포내에서 이 단편의 과발현시에는, TGF-β에 의한 면역억제 신호전달을 차단함으로서 전체적으로 면역활성을 높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SKI는 NP_003027로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N-SKI의 단편은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또한, N-SKI의 단편은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면역체크포인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상기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 경로(inhibitory immune checkpoint pathway)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Src homology region 2 domain-containing phosphatase 1,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SHP-1을 #S1이라 함, 서열번호 26) 또는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SHP-2를 #S2라 함, 서열번호 28)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 경로(inhibitory immune checkpoint pathway)"는 면역관용(immune tolerance)을 유도하거나 면역계 저해경로를 유도하는 세포내 신호 전달 경로를 의미한다. T 세포에서 상기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는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 단백질(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 PD-1), 세포독성 T-림프구-연관 항원 4(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antigen 4: CTLA-4)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PD-1이 리간드인 PD-L1(PD-1 ligand) 및 PD-L2와 결합하면 PD-1의 세포질 도메인에 존재하는 ITIM(immunoreceptor tyrosine-based inhibitory motif) 및 ITSM(immunoreceptor tyrosine-based switch motif)의 인산화를 통해 SHP-2/SHP-1이 활성화되어 T 세포의 면역활성 신호 전달을 억제한다. CTLA-4는 CD80/86과 결합하여 CD28 신호 전달을 억제하고, 세포질 도메인에 존재하는 YVKM 모티프를 통해 SHP-2를 활성화시켜 RAS를 억제함으로써, T 세포의 면역활성 신호 전달을 억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SHP-1"은 PTP(protein tyrosine phosphatase) 패밀리 중 하나이며, PTPN6(tyrosine-protein phosphatase non-receptor type 6)로 알려져 있다. 상기 "PTP"는 세포 성장, 분화, 유사분열주기(mitotic cycle) 및 발암성 형질전환(oncogenic transformation)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과정을 조절하는 신호 분자이다. SHP-1는 N-말단 부분에 단백질 인산화 티로신 결합 도메인으로 작용하는 2개의 직렬 Src 상동체(SH2, N-SH2 및 C-SH2) 도메인 및 C-말단 부분에 탈인산화 활성을 가지는 PTP 도메인(catalytic domain)을 포함한다. 상기 N-SH2 도메인은 SHP-1의 활성을 조절하는데, 불활성 상태에서 PTP 도메인에 결합하여 효소의 활성을 억제한다. 하지만, N-SH2 도메인의 Tyr 잔기가 인산화되면, PTP 도메인에서 N-SH2 도메인이 분리되어, 자유로운 PTP 도메인이 기질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SHP-1가 탈인산화 활성을 갖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면역세포내에서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의 과발현시에는, SHP-1 단백질의 PDP 도메인에 결합하여 불활성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 신호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면역세포의 전체적인 면역활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SHP-1은 NP_002822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SHP-1의 단편은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HP-1의 단편은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SHP-2"는 PTP 패밀리 중 하나이며, PTPN11(tyrosine-protein phosphatase non-receptor type 11), PTP-1D(protein-tyrosine phosphatase 1D) 또는 PTP-2C(protein-tyrosine phosphatase 2C)로도 알려져 있다. SHP-2도 상기 SHP-1와 유사하게 N-말단 부분에 단백질 인산화 티로신 결합 도메인으로 작용하는 2개의 직렬 Src 상동체(SH2, N-SH2 및 C-SH2) 도메인 및 C-말단 부분에 탈인산화 활성을 가지는 PTP 도메인(catalytic domain)으로 구성된다. SHP-2가 불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SHP-2의 N-SH2 도메인과 PTP 도메인이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며, SH2 도메인의 Tyr 인산화가 인산화되면 PTP 도메인과의 결합이 분리되면서 효소 활성이 유도된다. 따라서, 면역세포내에서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의 과발현시에는, SHP-2 단백질의 PDP 도메인에 결합하여 불활성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 신호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면역세포의 전체적인 면역활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SHP-2는 NP_002825로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SHP-2의 단편은 서열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HP-2의 단편은 서열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뮤노필린: FKBP12 및 사이클로필린 A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이뮤노필린"은 FK506, Rapamycin, 사이클로스포린과 같은 잘 알려진 면역억제제의 타겟 단백질을 일컫는다. 이제까지 알려진 이뮤노필린의 한 부류는 FK506에 결합하는 단백질로서 16여종이며, 그 중 하나가 FKBP12 이다. 이제까지 알려진 이뮤노필린의 또 다른 부류는 사이클로스포린에 결합하는 단백질로서 16여종이며, 그 중 하나가 사이클로필린 A이다. 이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펩티딜 프롤릴 이소머라제(peptidyl prolyl isomerase, PPI) 활성을 가진다. 이러한 활성은 펩타이드 결합 이성질화를 촉진하고 단백질 폴딩을 매개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한다. 이들이 면역억제제와 결합하여 본래의 기능을 방해받게 되면 면역억제가 유도되기 때문에, 이들 이뮤노필린 단백질은 면역활성에 중요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한 면역관련 기능의 일례로서 FKBP12와 사이클로필린 A(CYPA)가 수행하는 알려진 기능 중 하나는 T 세포의 부착(adhesion) 및 이동(migration)을 조절하는 것이다.
T 세포에서 이뮤노필린은 CrkII(CT10 regulator of kinase II)와 결합하여 CrkII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Crk"는 외부 자극과 반응한 T 세포 항원 수용체(T cell antigen receptor, TCR)에서 형성된 신호를 수용체의 하위 단백질에 전달하여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어댑터 단백질의 하나로, CrkI과 CrkII가 있다.
T 세포에서 "CrkII"는 TCR의 신호 전달 경로의 하위에 위치한 단백질인 ZAP70과 결합하여 C3G(Crk SH3 domain-binding guanine-nucleotide releasing factor)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RAP1(Ras-related protein 1)의 활성을 유도한다. 상기 TCR은 T 세포의 표면에 위치한 수용체로서,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의 주조직 적합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에 의해 제시되는 항원을 인식하여 T 세포의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ZAP70"은 TCR의 구성 단백질로서, TCR의 활성화 신호를 하위 단백질에 전달하여 T 세포의 활성을 유도한다. 상기 "RAP1"은 small GTPase로서, Ras 슈퍼패밀리에 속한다. GTPase는 GTP와 결합하였을 때 활성화되고, GDP와 결합하였을 때 불활성화된다. 이러한 GTPase의 활성은 GTPase 활성 단백질(GAPs)와 GEF(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에 의해 조절되는데, GAP은 GDP가 결합된 GTPase 형성을 촉진하고, GEF는 GTP가 결합된 GTPase 형성을 촉진한다.
상기 "C3G"는 GEF의 한 종류로서, T 세포에서 GTP가 결합된 RAP1를 증가시킴으로써 LFA-1(lymphocyte function-associated antigen 1)의 활성을 유도하여, T 세포 부착을 증가시킨다. 상기 "LFA-1"은 T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테그린 중 하나로서, 혈액으로부터 체내 조직 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표적세포에 발현되어 있는 리간드인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과 결합하여 표적세포에 대한 T 세포의 부착(adhesion)을 매개한다. FKBP12 및 CYPA와 같은 이뮤노필린은 CrkII와 결합하여 CrkII와 C3G의 결합을 증가시킴으로써, C3G의 하위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을 증가시켜 LFA-1에 의해 조절되는 T 세포 부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FKBP 계열의 일 구체예는 FKBP12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KBP12 단백질과 단편의 서열은 앞에서"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또한, 사이클로필린의 일 구체예는 사이클로필린 A 일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필린 A 매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CYPA(cyclophilin A,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CYPA를 #C라 함, 서열번호 24)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사이클로스포린(cyclosproine, CsA)"은 천연물 유래의 면역억제제이다. 구강으로 섭취하거나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되며,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크론병, 신증후군 및 장기 이식 거부 반응을 예방하는 약물로 사용된다. 상기 사이클로필린 A는 CsA와 결합하는 세포질 결합 단백질로서, CsA/CYPA 복합체는 칼시뉼린(calcineurin)의 탈인산화효소(phosphatase)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림프구의 면역반응을 억제한다. 또한, CYPA는 펩티딜 프롤릴 이소머라제(peptidyl prolyl isomerase, PPI) 활성을 통해 단백질 폴딩에 관여하며, 이러한 활성을 통해 세포 내 신호 전달, 전사, 염증 및 세포사멸 등의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한다. 세포 내 역할 외에도 CYPA는 염증 자극, 저산소증(hypoxia), 감염 및 산화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분비될 수 있으며, 이는 바이러스 감염, 치주염, 죽상동맥경화증에서 주화성 물질(chemoattractant)로 작용하여,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사이클로필린 A는 NP_066953로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로필린 A는 서열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클로필린 A는 서열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상기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트로고사이토시스(Trogocytosis)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로고사이토시스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TC21(teratocarcinoma oncogene 21,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TC21을 #TC라 함, 서열번호 32) 또는 RhoG(Ras homology growth-related,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RhoG를 #RG라 함, 서열번호 34)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TC21"은 R-Ras2로도 알려져 있으며, Ras GTPases 슈퍼패밀리 중 하나이다. 세포막과 결합하고, 세포 증식에 관련된 신호 전달을 매개한다. 또한, TCR에 결합하여 신호 전달 경로 상의 하위 단백질인 PI3K(phosphoinositide 3-kin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 시냅스의 내재화(internalization)를 유도하여 막분자전달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TC21는 NP_036382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TC21은 변이체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TC21은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C21은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RhoG"는 단량체 GTP 결합 단백질(G 단백질)로, 세포 운동성, 전사, 세포 내 이입(endocytosis), 신경 돌기 성장 등의 조절에 관여한다. 또한, TC21 및 PI3K에 의해 활성화되어 TCR에 의해 유도되는 막분자전달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RhoG는 NP_001656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hoG는 변이체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RhoG의 단편은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hoG의 단편은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막분자전달"은 면역 시냅스(immunological synapse)를 통해 T 세포와 항원제시세포가 결합한 상태에서 한 세포의 표면 분자(surface molecule)가 떨어져 나와 다른 세포에게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 면역반응의 억제 또는 증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면역 시냅스"는 T 세포와 항원제시세포의 부착 및 인식 과정에서 형성되는 분자 구조체이다.
면역세포 내에서 상기 TC21 및 RhoG 단백질의 과발현시에는, 암세포와의 반응에서 트로고사이토시스가 방해되므로, 암세포의 항원손실로 인한 면역회피 기전을 억제할 수 있다.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TCR/ZAP70 경로의 어댑터 단백질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TCR/ZAP70 경로의 어댑터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TCR/ZAP70 경로의 어댑터 단백질은 NCK1(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NCK1을 #K라 함), LAT(linker for activation of T cells,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LAT을 #L라 함) 및 NEMO(NF-κB essential modulator,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NEMO를 #I라 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TCR/ZAP70 경로"는 미접촉 T 세포의 T 세포 항원 수용체가 항원제시세포의 MHC/항원 복합체와 결합하여 발생하는 신호 전달 경로로서 T 세포의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미접촉 T 세포(naive T cell)의 TCR이 MHC/항원 복합체와 결합하면 TCR의 보조 단백질 CD3의 감마(γ), 델타(δ), 엡실론(ε) 및 제타(ζ) 사슬이 인산화 되고, 인산화된 CD3ζ 사슬에 ZAP70이 결합한다. 이후, T 세포의 보조 수용체인 CD4 또는 CD8과 결합된 LCK는 ZAP70을 인산화한다.
활성화된 ZAP70은 LAT와 SLP-76(SH2 domain-containing leukocyte protein 76 kDa)을 인산화하여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AP-1(activator protein 1) 및 NFAT 등의 전사인자를 활성화하는 신호 반응을 유도한다. 상기 NF-κB는 염증반응 조절, 면역체계 조절(immune modulation), 세포사멸, 세포증식 및 분화 등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p50, p52, RelA(p65), RelB, c-Rel 및 v-Rel로 구성되어 있다. AP-1은 염증반응 조절, 세포사멸, 세포증식 및 분화 등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서, c-Fos, c-Jun, ATF(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및 JDP 등의 다른 전사인자와 이량체를 이루어 전사조절 작용을 한다. NF-κB, AP-1 및 NFAT와 같은 전사인자들은 인터루킨-2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T 세포의 분열, 분화 및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NCK1"는 SH2 및 S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신호 전달 매개 단백질로서, 티로신 카이나아제(tyrosine kinase) 수용체의 신호 전달을 매개한다. 또한, NCK1은 WASP/Arp2/3 복합체와 결합하여 세포 골격 재배열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WASP/Arp2/3 복합체"는 세포 골격인 액틴 필라멘트 형성을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T 세포에서 NCK는 TCR의 활성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 시냅스 형성을 촉진한다. 상기 NCK1는 NP_006144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LAT"는 34 kDa의 세포막 관통(transmembrane) 단백질로서, TCR의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에 따라 ZAP70/Syk(spleen-associated tyrosine kinase)에 의해 인산화 된다. 인산화된 LAT에 TCR의 신호 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SH2 도메인을 포함하는 어댑터 단백질들(adaptor protein)이 직/간접적으로 결합하여 신호 전달을 매개한다. 상기 어댑터 단백질은 PLCγ1(phospholipase C γ1), Grb2(growth factor receptor-bound protein 2), Gads(Grb2-related adapter protein downstream of Shc), Grap(Grb2-related adaptor protein), SH3BP2(SH3 domain-binding protein 2), Shb(SH2 domain-containing adapter protein B), SOS1(son of sevenless homolog 1), c-Cbl(casitas B lymphoma), VAV, SLP-76(SH2 domain-containing leukocyte protein of 76 kDa) 및 Itk(IL-2 inducible T cell kina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AT는 NP_055202로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NEMO"는 IKKγ(IκB kinase γ)로 알려져 있으며, IKKα/IKKβ와 함께 복합체를 형성하여 IκB(inhibitor of nuclear factor κ-B kinase)의 인산화 및 분해를 유도함으로써 NF-κB의 활성을 촉진한다. 상기 NEMO는 NP_001093326 로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TNFR/TLR 수용체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TNFR/TLR 수용체(TRAF/NF-kB)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TNFR/TLR 수용체(TRAF/NF-kB) 경로 단백질은 TLR4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LR4 단백질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TLR4 단백질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T라 함, 서열번호 3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는 종양괴사인자 α(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의 수용체이다. 상기 TNFα는 활성화된 대식세포, 보조 T 세포, 자연살해세포 등에서 주로 생성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세포의 성장, 분화 및 세포사멸, 염증반응 등의 다양한 생체활성을 조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TNFR 신호 전달 경로"는 TNFR가 리간드와 결합하여 유도되는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의미한다. TNFR1에 TNFα가 결합하면 TRADD(TNF receptor-associated death domain), RIP1(receptor-interacting protein kinase 1), TRAF(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TNFR)-associated factors) 2 또는 TRAF5(TRAF2/5), cIAP1(apoptosis Inhibitor 1) 및 cIAP2가 복합체를 형성하여 TAK1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활성화된 TAK1(transforming growth factor-β-activated kinase 1)은 IKKβ를 인산화 하여 IκB의 인산화 및 단백질 분해를 유도시킴으로써 NF-κB의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TLR(Toll-like receptor)"는 선천 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TLR은 세포막에 박혀 있는 비촉매성 단일 단백질 수용체로, 선천 면역의 과정에서 주로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의 표면이나 점막상피세포, 중성구 등에 발현된다. TLR은 TLR1,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LR10, TLR11, TLR12 및 TLR13과 같이 총 13가지 종류가 있다. 이 중 TLR11, TLR12 및 TLR13은 인간에서 발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TLR 신호 전달 경로"는 TLRs가 리간드와 결합하여 유도되는 세포내 신호 전달 경로로, TLRs는 일반적으로 MyD88(myeloid differential factor 88)과 TRIF(Toll/IL-1R domain-containing adaptor inducing IFN-γ)를 통해 신호전달이 활성화된다. MyD88은 TLRs의 TIR(Toll/IL-1R) 도메인 결합하여 IRAK-4(IL-1 receptor-associate kinase 4)의 활성을 유도하고, 활성화된 IRAK-4는 IRAK-1을 인산화시켜 TRAF6의 인산화를 유도한다. 인산화된 TRAF6는 IKK를 활성화시켜, IκB의 인산화 및 단백질 분해를 유도시킴으로써 NF-κB의 활성을 유도한다.
상기 "TLR4"는 TLR 패밀리에 속하는 수용체로서, LPS(lipopolysaccharide)를 인식하여 활성화된다. "LPS"는 내독소(endotoxin)로도 일컬어지며, 지질과 다당류로 구성된 분자로서, 그람 음성균의 외막 구성성분이다. 상기 TLR4는 NP_003257로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TLR4의 단편은 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상기 TLR4의 단편은 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과 약 80%, 90%, 95%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사이토카인 수용체(JAK-STAT)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사이토카인 수용체(JAK-STAT)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사이토카인"은 생체 내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분비하여 세포증식, 분화, 활성화 등에 관여하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당단백질로, 면역 및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사이토카인 수용체 신호 전달 경로"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의미한다. 다양하게 존재하는 사이토카인 종류에 비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은 유사한 경로를 거친다. 사이토카인이 각각의 수용체에 결합하면 수용체의 이량화(dimerization)가 유도되고, 수용체에 위치한 JAKs(janus kinases)가 인산화되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JAKs에 의해 수용체의 세포질 도메인의 티로신 잔기가 인산화되어 STAT(signal transducers and activators of transcription)과 결합한다. 또한, 수용체와 결합된 STAT은 JAKs에 의한 인산화를 통해 활성화되어 수용체에서 분리된다. 활성화된 STAT은 세포질 내에서 동형이량체(homodimer) 또는 이형이량체(heterodimer)를 형성한 후, 핵 내로 들어가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한다.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MAP 키나제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MAP 키나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AP 키나제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은 GADD45α(growth arrest and DNA-damage-inducible gene 45α,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GADD45α를 #A라 함), CDC42(cell division cycle 42,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CDC42를 #B라 함) 및 HRAS(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HRAS를 #H라 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MAPK 신호 전달 경로"는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또는 호르몬 등의 각종 마이토겐(mitogen)에 활성화되어, 세포 증식, 분화 및 이동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기능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경로를 의미한다. 이 경로는 ERK(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로 명명된 MAPK를 포함하여 많은 단백질을 포함하며, 인접 단백질을 인산화 하여 신호를 전달한다. MAPK 신호 전달 경로는 염증, 세포 스트레스 반응, 세포 분화, 세포 분열, 세포 증식, 대사, 운동성 및 세포 사멸 등 세포 반응을 조절한다. 포유류에서 MAPK는 ERK-1/2, JNK1/2/3(jun amino-terminal kinases 1, 2, 3), p38 단백질(p38α, β, γ, δ) 및 ERK5의 4 그룹으로 나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GADD45"는 핵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GADD45α, β 및 γ의 3 종류가 있다. 환경 및 생리적 스트레스의 센서 역할을 하며, 세포주기, 세포 생존, 세포 사멸, 게놈 안정성 유지 및 DNA 복구와 관련된 단백질과 결합하거나 활성을 조절한다. GADD45α는 세포주기의 G2/M 전환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며, DNA-탈메틸화를 통해 유전체를 안정화시킨다. 또한, 1형 보조 T 세포(Th1) 및 수지상세포에서 p38MAPK와 결합하여 p38MAPK의 인산화(Tyr323)를 억제하여 T 세포의 활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GADD45는 NP_001915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CDC42"는 세포 모양, 이동, 엔도사이토시스(endocytosis) 및 세포 주기 등을 조절하는 Rho 패밀리에 속하는 GTPase이다. CDC42의 활성은 세포 골격 재배열을 촉진하여, 세포 부착 및 이동을 유도한다. 또한, TCR의 하위 신호 전달 단백질에 의해 활성화되어 JNK 및 p38MAPK의 활성화를 촉진함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 및 T 세포의 증식을 유도한다. 상기 CDC42는 NP_001782로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HRAS"는 transforming protein 21로도 알려져 있는 GTPase로서, 성장인자(growth factor)에 의한 세포 분열을 조절한다. 활성화된 HRAS는 신호 전달 경로 상의 하위 단백질인 c-Raf 및 PI3K 등 신호 전달 단백질들을 활성화시킨다. HRAS는 활성상태에서 GTP에 결합하고 뉴클레오티드 말단의 인산염을 절단하여 GDP로 전환되면서 불활성화된다. 상기 HRAS는 NP_005334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일 수 있다.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한,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의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of cytokine signaling pathway)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의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신호 조절 인자는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suppressor of cytokine signaling 1, 이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뒤에 결합된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을 #Q라 함, NP_003736)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는 상기 사이토카인 수용체 신호 전달 경로에 기술한 바와 같다. 상기 JAK-STAT 신호 전달 경로는 네거티브 피드백 조절 기전을 포함하며, 이는 PIAS(protein inhibitors of activated STAT), PTPs 및 SOCS의 3종류의 조절 단백질 그룹에 의해 이루어진다. PIAS는 STAT에 SUMO(small ubiquitin-like modifier)를 결합시키거나, STAT과 DNA 결합을 저해하여 STAT의 활성을 억제시킨다. PIAS는 PIAS1, PIAS3, PIASx 및 PIASγ일 수 있다. 상기 "SUMO"는 단백질에 공유결합으로 탈부착되는 단백질로, 표적단백질과 결합하여 표적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한다. 주로 핵-세포질 수송, 전사조절, 단백질 안정성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PTPs는 사이토카인 수용체, JAK 및 STAT과 결합하여 이들의 인산기를 제거함 사이토카인 신호 전달 경로를 저해한다. PTPs는 SHP-1, SHP-2 및 CD45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SOCS"는 C-말단에 SH2 도메인과 40개의 아미노산 영역을 가진 SOCS box motif를 포함하는 단백질 패밀리이다. 상기 패밀리는 CISH(cytokine-inducible SH2 domain-containing protein), SOCS1, SOCS2, SOCS3, SOCS4, SOCS5, SOCS6, 및 SOCS7의 8개 단백질을 포함한다. 상기 SOCS와 JAB(JAK-binding protein), CIS(cytokine-inducible STAT inhibitor) 및 SSI(STAT-induced STAT inhibitor)는 동일한 단백질 패밀리이다. 사이토카인에 의한 JAK-STAT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은 CISH, SOCS1 및 SOCS3의 발현을 유도하며, 이들 단백질들은 JAK의 활성화를 방해하거나 수용체의 인산화 도메인에 결합하여 STAT의 결합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STAT의 활성화를 저해한다. 특히, "SOCS-1"은 인산화된 JAK에 결합하여 인산화된 JAK의 단백질 분해를 유도한다.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은 온전한 SOCS1과 경쟁적으로 유비퀴틴 리가아제(Ubiquitin ligase)를 매개하는 Elongin B/C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을 과발현하면, 온전한 SOCS1 단백질이 인산화된 JAK에 결합하더라도, 유비퀴티네이션(Ubiquitination)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인산화된 JAK 단백질이 분해가 되지 않고 구제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전으로 면역세포의 면역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신호 조절 인자는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으로서 NP_003736으로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일 수 있다.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조합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하나 이상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 사이에는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두 개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세개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조합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하기 구조식 (I)의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N'-X-L1-Y-C' (I)
이때, 상기 구조식(I)에 있어서,
상기 N'은 융합단백질의 N-말단이고,
상기 C'는 융합단백질의 C-말단이며,
상기 X 및 Y는 각각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b) 이뮤노필린 또는 이의 단편; c)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d)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및 e)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L1은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또는 IRES(Internal Ribosome Entry Site)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X는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SMAD4의 C-말단 M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N-SKI 또는 이의 단편;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X는 이뮤노필린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사이클로필린 A(CYPA)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또한, X는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TC21 또는 이의 단편; RHOG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X는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NCK1 또는 이의 단편; LAT 또는 이의 단편; NEMO 또는 이의 단편; TLR4 세포내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GADD45α 또는 이의 단편; CDC42 또는 이의 단편; 및 HRAS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X는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Y는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N-SKI 또는 이의 단편;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Y는 이뮤노필린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사이클로필린 A(CYPA)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또한, Y는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TC21 또는 이의 단편; 및 RhoG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Y는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NCK1 또는 이의 단편; LAT 또는 이의 단편; NEMO 또는 이의 단편; TLR4의 세포내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GADD45α 또는 이의 단편; CDC42 또는 이의 단편; HRAS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Y는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이뮤노필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사이클로필린 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조합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및 사이클로필린 A 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로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및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로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로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및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로 사이클로필린 A 및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로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일 수 있다.
세 개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조합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하기 구조식 (II)의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N'-X-L1-Y-L2-Z-C' (II)
이때, 상기 구조식 (II)에 있어서,
상기 N'은 융합단백질의 N-말단이고,
상기 C'는 융합단백질의 C-말단이며,
상기 X, Y 및 Z는 각각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b) 이뮤노필린 또는 이의 단편; c)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d)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및 e)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L1 및 L2는 각각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또는 또는 IRES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X는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SMAD4의 C-말단 M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N-SKI 또는 이의 단편;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X는 이뮤노필린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사이클로필린 A(CYPA)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또한, X는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TC21 또는 이의 단편; 및 RhoG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X는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NCK1 또는 이의 단편; LAT 또는 이의 단편; NEMO 또는 이의 단편; TLR4 세포내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GADD45α 또는 이의 단편; CDC42 또는 이의 단편; HRAS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X는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X는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Y는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N-SKI 또는 이의 단편;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Y는 이뮤노필린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사이클로필린 A(CYPA)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또한, Y는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TC21 또는 이의 단편; 및 RhoG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Y는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NCK1 또는 이의 단편; LAT 또는 이의 단편; NEMO 또는 이의 단편; TLR4의 세포내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GADD45α 또는 이의 단편; CDC42 또는 이의 단편; HRAS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Y는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Y는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Z는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Z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N-SKI 또는 이의 단편;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Z는 이뮤노필린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Z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사이클로필린 A(CYPA)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또한, Z는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Z는 TC21 또는 이의 단편; 및 RhoG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Z는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Z는 NCK1 또는 이의 단편; LAT 또는 이의 단편; NEMO 또는 이의 단편; TLR4의 세포내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GADD45α 또는 이의 단편; CDC42 또는 이의 단편; HRAS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Z는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는 상기 Z는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신호 기존 조절 인자는 다양한 조합으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개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 중 적어도 하나는 이뮤노필린일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조합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로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사이클로필린 A 및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일 수 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항원 결합 도메인(antigen binding domain)"이란, 항원과 결합하는 항체의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항원 결합 단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항체에서 하나의 중쇄와 하나의 경쇄가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갖는 단편일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scFv, Fab 및 Fa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scFv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항원 결합 도메인으로 scFv를 사용하였다.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알파 엽산 수용체(타겟종양 예시: 난소암, 위암 등), 5T4(신장암, 전립선암 등), αvβ6 인테그린(난소암, 췌장암 등), BCMA(다발 골수종), B7-H3(뇌암, 골육종 등), B7-H6(림프종, 흑색종 등), CAIX(신장암, 교모세포종 등), CD16(IgG-opsonized tumor), CD19(백혈병, 림프종), CD20(백혈병, 림프종), CD22(백혈병, 림프종), CD30(백혈병, 림프종), CD33(백혈병), CD43(백혈병), CD44(간암), CD44v6(백혈병, 다발 골수종,난소암 등), CD44v7/8(자궁암), CD47(백혈병, 림프종, 난소암, 췌장암 등) CD70(백혈병,림프종,신경종), CD79a(백혈병,림프종), CD79b(백혈병,림프종), CD123(백혈병), CD138(다발 골수종), CD171(신경모세포종), CEA(대장암, 위암, 폐암), CSPG4(백혈병, 교모세포종), EGFR(유방암, 폐암), ErbB2(HER2)를 포함하는 EGFR 패밀리(교모세포종, 육종), EGFRvIII(교모세포종), EGP2(대장암), EGP40(대장암), EPCAM(대장암), EphA2(식도암), FAP(중피종, 폐암, 대장암), 태아 AchR(횡문육종), FRα(난소암, 유방암), GD2(신경모세포종), GD3(흑색종, 신경종 등), 글리피칸-3(GPC3)(간암), HLA-A1+MAGE1(흑색종), HLA-A2+MAGE1(흑색종), HLA-A3+MAGE1(흑색종), HLA-A1+NY-ESO-1(활막육종, 흑색종), HLA-A2+NY-ESO-1(활막육종, 흑색종), HLA-A3+NY-ESO-1(활막육종, 흑색종), IL-11Rα(골육종), IL-13Rα2(신경종), 람다, 루이스-Y, 카파(림프종), 메소텔린(중피종, 췌장암 등), Muc1(유방암), Muc16(난소암), NCAM(신경모세포종, 폐암), NKG2D 리간드(백혈병, 다발 골수종), NY-ESO-1(다발 골수종), PRAME(수질세포종), PSCA(전립선암), PSMA(전립선암), ROR1(폐암, 유방암), SSX(활막육종), 서바이빈(폐암), TAG72(난소암), TEMs, VEGFR2(흑색종, 신장암) 및 WT-1(백혈병)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이 CD19, HER2, PSMA, CD43, 및 CD4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 CD19
CD19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CD1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D19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L-CDR1(서열번호 73), L-CDR2(서열번호 74) 및 L-CDR3(서열번호 75)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19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H-CDR1(서열번호 76), H-CDR2(서열번호 77) 및 H-CDR3(서열번호 78)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D19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19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 HER2
Her2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Her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Her2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L-CDR1(서열번호 79), L-CDR2(서열번호 80) 및 L-CDR3(서열번호 81)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er2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H-CDR1(서열번호 82), H-CDR2(서열번호 83) 및 H-CDR3(서열번호 84)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er2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4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er2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46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 PSMA
PSMA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PSM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PSMA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L-CDR1(서열번호 85), L-CDR2(서열번호 86) 및 L-CDR3(서열번호 87)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SMA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H-CDR1(서열번호 88), H-CDR2(서열번호 89) 및 H-CDR3(서열번호 90)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SMA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5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SMA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5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 CD43
CD43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CD4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D43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L-CDR1(서열번호 91), L-CDR2(서열번호 92) 및 L-CDR3(서열번호 9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43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H-CDR1(서열번호 94), H-CDR2(서열번호 95) 및 H-CDR3(서열번호 96)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D43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47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43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48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 CD47
CD47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CD4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D47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L-CDR1(서열번호 100), L-CDR2(서열번호 101) 및 L-CDR3(서열번호 102)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47에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H-CDR1(서열번호 97), H-CDR2(서열번호 98) 및 H-CDR3(서열번호 99)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D47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50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47 특이적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51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막관통 도메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막관통 도메인(trans membrane domain)"이란, 세포막에 위치하는 단백질의 구조 중에서 항원이 결합하는 도메인과 세포내 신호를 전달하는 도메인을 연결하며 세포막을 관통하고 있는 부위를 의미하며, 상기 세포막에 위치하는 단백질이 세포막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T-세포 수용체, CD3δ, CD3ε, CD3γ, CD3ζ, CD4, CD5, CD8α, CD9, CD16, CD22, CD27, CD28, CD33, CD37, CD45, CD64, CD80, CD86, CD134, CD137, CD152, CD154, AMN 및 PD-1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CD8α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CD8α로부터 유래된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및 막관통 도메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및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스페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항원 결합 도메인과 막관통 도메인은 스페이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링커를 의미하며,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일 수 있다. 또한, 1 내지 1,00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10 내지 30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5 내지 10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15 내지 6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15 내지 45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커는 Fc 영역과 같은 인체내 단백질의 단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커는 CD3δ, CD3ε, CD3γ, CD3ζ, CD4, CD5, CD8α, CD9, CD16, CD22, CD27, CD28, CD33, CD37, CD45, CD64, CD80, CD86, CD134, CD137, CD152, CD154, AMN 및 PD-1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CD8α의 힌지에서 유래된 것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이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 수용체(항원 결합 도메인)가 세포외 항원을 인지하면 세포의 활성화, 세포독성 인자 방출, 사이토카인 생산, 증식 등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세포 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나의 항원 수용체(항원 결합 도메인)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로는 세포의 활성화에 불충분하므로, 2차 또는 공자극 신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1차 신호전달 도메인과 2차 신호전달 도메인 및/또는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공자극 도메인 및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자극 도메인은 TLR1,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LR10, CARD11, CD2, CD7, CD27, CD28, CD30, CD40, CD54(ICAM), CD83, CD134(OX40), CD137(4-1BB), CD278(ICOS), DAP10, LAT, NKD2C, SLP76, TRIM 및 ZAP7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자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자극 도메인은 CD137(4-1BB)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CD137(4-1BB)로부터 유래된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공자극 도메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공자극 도메인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상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은 FcRγ, FcRβ, CD3γ, CD3δ, CD3ε, CD3ζ, CD22, CD79a, CD79b 또는 CD66d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특히, T 세포의 경우 CD3의 γ, δ, ε, ζ 사슬을 통해 세포 내에 신호를 전달하며, CAR-T 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를 제작하는 경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CD3의 γ, δ, ε, ζ 사슬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은 CD3ζ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CD3ζ로부터 유래된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CD137(4-1BB) 및 CD3ζ를 포함할 수 있다.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자가-절단성 펩타이드(self-cleavage peptide)"란, 세포 내에서 합성되는 단백질의 절단을 유도할 수 있는 10개 내지 50개, 12개 내지 42개, 14개 내지 34개, 16개 내지 26개 또는 18개 내지 2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상기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2A 영역(region)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는 P2A, E2A, F2A 또는 T2A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는 P2A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대신 세포질 내 존재하는 분해효소에 의해 절단되는 펩타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2A로부터 유래된 서열번호 11 또는 5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일 수 있다.
융합단백질의 구체적인 예시
상기 융합단백질의 구체적인 예시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1)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FKBP12 또는 이의 단편) - C-말단;
(2)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공자극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사이클로필린 A) - C-말단;
(3)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 C-말단;
(4)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 C-말단;
(5)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 C-말단;
(6)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N-SKI 또는 이의 단편) - C-말단;
(7)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FKBP12 또는 이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사이클로필린 A)- C-말단;
(8)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FKBP12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C-말단;
(9)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사이클로필린 A)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C-말단;
(10) N-말단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FKBP12 또는 이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사이클로필린 A)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 C-말단;
(11)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FKBP12 또는 이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12)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사이클로필린 A)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공자극 도메인 - C-말단;
(13)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14)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15)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16)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N-SKI 또는 이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17)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N-SKI 또는 이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사이클로필린 A)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18)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FKBP12 또는 이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19)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사이클로필린 A)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20) N-말단 - 신호 기전 조절 인자(FKBP12 또는 이의 단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사이클로필린 A)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신호 기전 조절 인자(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 시그널 펩타이드 - 항원 결합 도메인 - 힌지 - 막관통 도메인 - 공자극 도메인 - 1차 신호전달 도메인 - C-말단.
이때, 상기 (1) 내지 (20)의 식에서, 항원 결합 도메인, 힌지, 막관통 도메인, 공자극 도메인, 1차 신호전달 도메인,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및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내지 (20)의 식에서, 항원 결합 도메인은 CD19에 특이적인 scFv, Her2에 특이적인 scFv, PSMA에 특이적인 scFv, CD43에 특이적인 scFv, CD47에 특이적인 scFv 일 수 있으며, 막관통 도메인은 CD8α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고, 공자극 도메인은 도메인은 CD137(4-1BB)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은 CD3ζ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는 P2A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항원 결합 도메인(CD19 scFv), 막관통 도메인(CD8α),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4-1BB 및 CD3ζ), 자가-절단성 펩타이드(P2A) 및 FKBP12를 포함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를 "19bbz#F"로 명명하였다. 그 외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 및 표기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란, 데옥시리보핵산(DNA), 리보핵산(RNA) 및 DNA/RNA 혼성체를 의미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이고 재조합, 합성이거나, 또는 단리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전-전령 RNA(전-mRNA), 전령 RNA(mRNA), RNA, 게놈 RNA(gRNA), 플러스 가닥 RNA(RNA(+)), 마이너스 가닥 RNA(RNA(-)), 합성 RNA, 합성 mRNA, 게놈 DNA(gDNA), PCR 증폭된 DNA, 상보성 DNA(cDNA), 합성 DNA 또는 재조합 DNA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코돈-최적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돈-최적화된"란, 폴리펩타이드의 발현, 안정성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내 코돈을 치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돈 최적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i) 유기체, 유전자 또는 유전자 세트 내에서 코돈 편향 정도의 변형, (ii) 맥락을 포함하는 코돈의 체계적 변형, (iii) 그들의 탈암호 tRNA에 따른 코돈의 변형, (iv) 전반적으로 또는 삼중 중 하나의 위치에서 GC%에 따른 코돈의 변형, (v) 기준 서열, 예를 들어 천연 유래 서열과의 유사성 정도의 변형, (vi) 코돈 빈도 컷오프에서의 변형, (vii) DNA 서열로부터 전사된 mRNA의 구조적 특성, (viii) 코돈 치환 세트의 설계에 기반한 DNA 서열의 기능에 관한 사전 지식, (ix) 각각의 아미노산에 대한 코돈 세트의 체계적 변형, 및/또는 (x) 비논리적 번역 개시 부위의 단리된 제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당업계에 공지되고 이용가능한 임의의 다양한 확립된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거나, 조작되고, 발현되어 전달될 수 있다. 목적으로 하는 융합단백질을 발현시키기 위해,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적절한 벡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당 분야에 공지된 벡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항원 수용체를 생산하고자 하는 숙주세포의 종류에 따라 프로모터(promoter), 종결자(terminator), 인핸서(enhancer) 등과 같은 발현조절 서열,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서열 등을 적절히 선택하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스미드 벡터, 박테리오 파지 벡터 및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벡터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및 인핸서 같은 발현 조절 엘리먼트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시그널 펩타이드 또는 리더 서열을 포함하며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벡터는 바이러스 벡터일 수 있으며, 상기 바이러스 벡터는 레트로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연관바이러스, 헤르페스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 바큘로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및 파보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였다.
상기 벡터는 항원 결합 도메인의 세포막 바깥쪽에 노출시키기 위해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은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서열 앞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서열일 수 있다.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바이러스는 레트로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연관바이러스, 헤르페스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 바큘로바이러스, 유두종바이러스 또는 파보바이러스 일 수 있다.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발현하는 세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벡터가 도입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벡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면역세포는 T 세포 또는 자연살해세포일 수 있다.
상기 벡터를 면역세포 내로 도입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시적 형질감염(transient transfection), 미세주사, 형질도입(transduction), 세포융합, 칼슘 포스페이트 침전법, 리포좀 매개된 형질감염(liposome-mediated transfection), DEAE 덱스트란-매개된 형질감염(DEAE Dextran-mediated transfection), 폴리브렌-매개된 형질감염(polybrene-mediated transfection), 전기침공법(electroporation), 유전자 총(gene gun) 또는 세포 내로 핵산을 유입시키기 위한 다른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세포 내로 도입할 수 있다(Wu et al., J. Bio. Chem., 267:963-967, 1992; Wu and Wu, J. Bio. Chem., 263:14621-14624, 1988). 하지만,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형질도입된 또는 형질감염된 면역세포는 벡터 도입 후, 탈체에서 증식된다. 일 구체예에서, 형질감염된 면역세포는 증식하도록 최소한 약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또는 14일 동안 배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일 내지 14일 동안 배양될 수 있다.
상기 면역세포에서 벡터가 잘 도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예로서,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분자 생물학적 검정, 예를 들면, 서던 및 노던 블로팅, RT-PCR 및 PCR; 생화학적 검정, 예를 들면, 예로서 면역학적 방법(가령, ELISAs 및 웨스턴 블롯)에 의한 특정 펩티드의 존재 또는 부재의 검출을 포함한다.
상기 융합단백질이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는 경우, (iv)의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로 인해 세포질에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에 해당하는 부분인 (i) 내지 (iii)에서 신호 기전 조절 인자(예, FKBP12 또는 이의 단편)가 분리되고,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경우 세포막에 고정되어 세포외 항원을 인지하고, 세포 내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신호 기전 조절 인자, 예를 들어, FKBP12는 TGFβR1과 결합하여 TGF-β의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IRES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i)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v) IRES(Internal Ribosome Entry Site)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이에 스페이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및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IRES"는 internal ribosome entry site의 약자이다. 상기 IRES는 두가지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시키고자 이용하는 핵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발현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벡터 및 이에 포함되는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바이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이러스 및 이에 포함되는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이때, 면역세포 및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도입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자가-절단 서열 또는 IRES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i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융합단백질은 (i) 항원 결합 도메인과 (ii) 막관통 도메인 사이에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TNFR/TLR 수용체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TNFR/TLR 수용체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은 TLR4 세포내 도메인(이하, TLR4 세포내 도메인을 T라 함)일 수 있다.
이때,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사이토카인 수용체(JAK-STAT)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토카인 수용체(JAK-STAT)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은 γc(이하, γc를 γ)일 수 있다.
이때,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CAR에 결합된 상태로 세포내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발현 벡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벡터는 항원 결합 도메인의 세포막 바깥쪽에 노출시키기 위해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은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서열 앞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 펩타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상기 바이러스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이때, 면역세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면역세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면역세포는 T 세포 또는 NK 세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역세포는 형질전환된 T 세포 또는 NK 세포 일 수 있다. 이때, 형질전환된 T 세포는 CAR-T 세포 또는 TCR-T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SMAD4 단백질의 C-M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N-SKI 또는 이의 단편; 사이클로필린 A(CYPA) 또는 이의 단편;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및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TC21 또는 이의 단편; 및 RhoG 또는 이의 단편; NCK1 또는 이의 단편; LAT 또는 이의 단편; NEMO 또는 이의 단편; TLR4 세포내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GADD45α 또는 이의 단편; CDC42 또는 이의 단편; HRAS 또는 이의 단편; 및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세포질 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세포질 내에서 발현되며,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세포밖으로 분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면역세포 내에서 위치하며, 세포내 신호 기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신호 기전 조절 인자 두 개 또는 세 개를 발현할 수 있다.
CAR-T 면역세포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는 암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특징적인 항원을 인지하는 단클론항체의 scFv(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를 발현하는 T 세포는 종양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게 되어 종양 세포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AR의 구조를 보면 종양 항원과 결합하는 수용체 부위, 수용체가 항원과 결합한 후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공자극 인자(co-stimulatory domain), 그리고 이 두 부위를 연결하는 스페이서 및 막관통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CAR-T 세포는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및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형질전환된 CAR-T 면역세포는 상술한 (i)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 스페이서 및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v) 자가-절단성 펩타이드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형질도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질전환된 면역세포는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스페이서 및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신호 기전 조절인자를 포함하는 제2 폴리뉴클레이드를 각각 형질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하나의 바이러스를 통해 도입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바이러스를 통해서도 면역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기전 조절인자는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b) 이뮤노필린, c)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d)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e)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및 f) 이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신호 기전 조절인자 및 조합에 대한 사항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면역세포는 이뮤노필린을 과발현하는 세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FKBP12 또는 이의 단편 및/또는 사이클로필린 A를 과발현하는 CAR-T 세포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적재한 벡터를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TCR-T 면역세포
상기 TCR-T 세포는 T 세포 수용체 발현 T 세포(T cell receptor-engineered T cell, TCR-T)를 의미한다. TCR-T는 종양 세포 표면에 MHC 분자와 같이 제시되는 종양 특이적인 항원 펩타이드를 인지하는 T 세포 수용체의 유전자를 T 세포내에 도입하여, 특정 종양 항원을 인지하여 공격대상을 선별하는 TCR이 T 세포 표면에 발현하도록 제조하여 이를 증식한 다음 생체내로 투여하는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이다.
TCR은 일반적으로 2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 예를 들어 TCR의 α-사슬, TCR의 β-사슬, TCR의 γ-사슬, TCR의 δ-사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TCR의 폴리펩타이드 사슬들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TCR-T는 항원 인지 가능한 α-사슬 및 β-사슬을 발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질환-관련 항원 또는 그의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상기를 면역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한, α-사슬 또는 β-사슬은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CR 유전자를 T 세포 내로 도입방법으로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바이러스 벡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로, 상기 형질전환된 TCR-T 면역세포는 상술한 (i) TCR의 α-사슬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i) TCR의 β-사슬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v)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형질도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질전환된 면역세포는 (i) TCR의 α-사슬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 자가-절단성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i) TCR의 β-사슬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신호 기전 조절인자를 포함하는 제2 폴리뉴클레이드를 각각 형질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로 다른 바이러스를 통해 면역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기전 조절인자는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b) 이뮤노필린, c)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d)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e)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및 f) 이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신호 기전 조절인자 및 조합에 대한 사항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면역세포는 이뮤노필린을 과발현하는 세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FKBP12 또는 이의 단편 및/또는 사이클로필린 A를 과발현하는 TCR-T 세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형질도입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적재한 벡터를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면역세포는 T 세포, NK 세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D8+ T 세포 또는 CD4+ T 세포 또는 이들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세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역세포는 상술한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형질도입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암은 위암, 간암, 폐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후두암,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뇌종양, 신경모세포종, 망막 모세포종, 두경부암, 침샘암, 림프종, 신장암, 흑색종, 다발 골수종, 뇌암, 골육종, 교모세포종, IgG-opsonized tumor, 림프종, 신경종, 중피종 및 식도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암의 종류는 항원 결합 도메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CD19-특이적 면역세포는 혈액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혈액암은 백혈병일 수 있다.
항원 결합 도메인이 암에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경우, 상기 암을 표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고형암에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단백질을 인지할 경우, 다양한 고형암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Her2-특이적 CAR-T 세포는 Her2 과발현된 암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Her2(+)인 유방암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PSMA-특이적 CAR-T 세포는 전립선암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인간 환자에서 면역 요법을 위한 "약학 조성물"은 면역 세포를 포함한다. 세포 이외에 면역 반응을 추가로 개선시킬 수 있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담체, 부형제, 비히클 및 기타 첨가제 등이 약학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유효량" 또는 "치료적 유효량"은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특정 생물학적 결과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 제제, 재료 또는 조성물, 예컨대, 면역세포 세포의 양을 지칭한다. 일 구체예로, CAR-T 세포는 1회 투여시 1X102 내지 1X1010, 1X103 내지 1X108, 1X104 내지 1X106 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뇌내,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이용한 암 치료 또는 예방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세포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면역세포는 상술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면역세포는 CAR-T 세포 및 TCR-T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면역세포의 용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세포의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용도를 제공한다.
이때,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면역세포는 상술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면역세포는 CAR-T 세포 및 TCR-T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CAR-T의 특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발현되는 CD19-타겟팅 CAR-T 세포의 제조(도 2 및 도 54)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유용성이 확인되어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nd 세대 CAR 형태의 CAR-T 세포를 대표하는 "CD19-특이적 CAR-T(19bbz)"를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또한, CAR-T 세포안에 과발현 시켰을 때, CAR-T 세포의 항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면역-조절 세포질 소분자 단백질(immune-regulatory cytoplasmic small-sized protein)(이하,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을 상기 CAR 유전자와 함께 렌티바이러스를 통해 발현시켰다. 구체적인 예로서, 두 개의 이뮤노필린(immunophilin)인 FKBP12(12kDa), 사이클로필린 A(18kDa)을 각각 발현하는 두 종류의 CAR-T 세포(19bbz#F, 19bbz#C)를 각각 제조하였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억제성 면역관문 분자의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작은 크기의 면역 조절자(small-sized immune regulator)로 작동하는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설계하였다. 일 실시예로서, 다양한 억제성 면역관문 분자에 의한 신호 전달(signaling)의 상위단계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티로신 탈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것으로 예측되는 단백질을 고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도메인(small sized-domain)으로서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12kDa)을 CAR-T 세포질에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S2)를 제조하였다.
SHP2 단백질(Src homology-2 domain-containing protein tyrosine phosphatase-2)은 SHP1 단백질과 함께, 면역세포를 무력화하는 100 여종의 다양한 억제성 면역관문 신호를 매개하는 데 공통적 인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미 1998년에 밝혀진 SHP2 단백질의 결정구조 데이터로부터 티로신 탈인산화 효소인 SHP2 단백질의 N-말단 SH2 도메인이 실제 “촉매활성부위(catalytic active site)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차단하는 일종의 병마개(lid)”역할을 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는 작은 크기의 N-말단 SH2 도메인을 세포질에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S2)를 제조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다른 면역활성기전을 보유한 작은 크기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FCS2)를 제조하였을 때, 이들 다른 기전의 조절자들의 상보적 시너지를 통해 면역억제 환경에서도 항암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Super-armed CAR-T 세포를 제조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FACS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렌티바이러스 형질도입 후 4일째의 CAR-T 세포에 대하여 FITC가 표지된 재조합 CD19 단백질의 결합을 통해 세포 표면상의 CAR 발현을 확인하였을 때, 모든 CAR-T 세포에서 CAR가 의도한 바와 같이 만들어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통한 유전체 전달은 전달하려는 형질전환 유전자(transgene) 크기가 클수록 그 효율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 유전자를 CAR 유전자와 함께 전달하는 렌티바이러스 형질도입의 경우, 한 종류의 조절 인자(modulator)를 CAR 유전자와 전달하는 형질도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형질 도입율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후 세포 배양을 통해, 19bbz#FCS2의 경우, CAR(+)-T 세포의 비율은 40-50% 수준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각 CAR-T 세포 제조상의 형질 도입율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in vitro 기능 분석 수행 직전에 형질도입을 하지 않은 T 세포(non-transduction mock T cells)(즉, 동일한 donor의 말초혈액세포유래 T 세포로서 렌티바이러스만 처리하지 않고 동일 배양공정을 통해 얻어진, CAR(-)-T 세포)를 적절히 추가하여, 모든 CAR-T 세포 시료에 있어서, “T 세포수” 및 “Total T 세포수”를 동일하게 조정한 다음에 암세포와 반응을 수행하였다.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CAR-T 세포의 항암 효과(II): In vivo (도 7)
CAR-T 세포_19bbz#F, CAR-T 세포_19bbz#C, CAR-T 세포_19bbz#M, CAR-T 세포_19bbz#N, CAR-T 세포_19bbz#S1, CAR-T 세포_19bbz#S2, CAR-T 세포_19bbz#TC, CAR-T 세포_19bbz#RG 및 CAR-T 세포_19bbzT의 항암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나타났듯이, 2 세대 대조군 CAR-T 세포(19bbz)를 처치한 군은 세가지 용량 모두에서 급격히 진행되는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포 신호 기전 조절로서 이뮤노필린인 FKBP12를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F)를 처치한 군 및 이뮤노필린인 사이클로필린 A를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C)를 처치한 군은 종양진행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뮤노필린의 과발현이 면역세포의 항암활성을 배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시사한다.
또한, TGF-β 신호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세포질 면역 조절자(Cytoplasmic immune modulator)로서, FKBP12을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F)를 처치한 군과,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을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M)를 처치한 군과, N-SKI를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N)를 처치한 군에서도 종양진행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면역억제 사이토카인의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조절인자를 과발현하는 것이 면역세포의 항암활성을 배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시사한다.
다양한 면역억제체크포인트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세포질 면역 조절자로서,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을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S1)를 처치한 군과,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을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S2)를 처치한 군에서도 종양진행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관련한 조절인자의 과발현을 통해서 다양한 면역억제체크포인트 신호를 매개하는 티로신 탈인산화 효소를 억제하는 기술이 면역세포의 항암활성을 배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시사한다.
암세포의 항원손실을 유발하는 트로고사이토시스를 억제할 수 있는 Cytoplasmic immune modulator로서, TC21을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TC)를 처치한 군과, RG를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RG)를 처치한 군에서도 종양진행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관련한 조절인자의 과발현을 통해서 트로고사이토시스를 억제하는 기술이 면역세포의 항암활성을 배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시사한다.
면역 증강 신호전달계에 속하는 조절인자의 일례로서, TIR 도메인(Toll/IL-1 Receptor homology domain)을 보유한 TLR4 단백질의 세포내 도메인을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T)를 처치한 군에서도 종양진행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면역 증강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조절인자를 과발현하는 기술이 면역세포의 항암활성을 배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시사한다.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CAR-T 세포의 항암 효과(I): In vivo (도 49 및 도 50)
CAR-T 세포_19bbz와 CAR-T 세포_19bbz#F의 항암효능을 여러 용량(1x106, 3x106, 1x107)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50에서 나타났듯이, 2 세대 대조군 CAR-T 세포(19bbz)를 처치한 군은 급격히 진행되는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포질 면역 조절자로서 이뮤노필린 FKBP12를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F)를 처치한 군에서 CAR-T 용량의존적인 항암효과가 관찰되었다. 특별히 CAR-T 세포(19bbz#F)를 고용량(1x107) 처치한 군에서 급격히 성장하는 종양을 억제하는 탁월한 항암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이뮤노필린 FKBP12의 과발현이 면역세포의 항암활성을 배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시사한다.
FKBP12와 TGF-β 수용체간의 결합(도 51 내지 도 53)
도 51은 세 종류의 TGF-β 1형 수용체와 FKBP12간 결합체의 Protein Co-crystal 구조연구에서 밝혀진 "수용체의 키나제 도메인"에 결합한 "FKBP12"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다음의 단백질 데이터 뱅크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TGFβR1(PDB ID: 1b6c), ACVR1A(PDB ID: 3h9r) 및 BMPR1B(PDB ID: 3mdy). 회색톤의 표면 구조는 TGF-β 1형 수용체의 키나아제 도메인을 나타내며, 빨간 리본식 뼈대 구조는 FKBP12 단백질에 해당한다. 도 5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세 가지 TGF-β 1형 수용체 단백질에서 FKBP12와 결합하는 부위는 구조적으로 매우 잘 보존되어 있다. 이것은 이제까지 알려진 총 일곱 종의 TGF-β 1형 수용체들을 통한 신호전달이 모두 공통적으로, FKBP12 결합에 의하여 억제되고 있는 그 작용기전을 잘 설명하는 것이다. TGF-β 2형 수용체에 의하여 인산화되어야 하는 부위를 공통적으로 FKBP12 가 결합하여 막고 있는 형태이다.
도 52는 세 종류의 TGF-β 1형 수용체와 FKBP12간 결합체의 Protein Co-crystal 구조연구에서 밝혀진 단백질 결합에 관여하는 FKBP12의 방향성 아미노산 4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들 결합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추정되는, FKBP12의 방향성 아미노산들은 27번째 타이로신과 47번째 페닐알라닌과 60번째 트립토판과 100번째 페닐알라닌이며, 그들의 위치는 삼차원 구조상 매우 잘 보존되어 있다.
도 53은 FKBP12 단백질의 아미노산서열상에서 TGF-β 1형 수용체 결합에 중요한 방향성 아미노산(27번째 타이로신과 47번째 페닐알라닌과 60번째 트립토판과 100번째 페닐알라닌)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면역형광분석에 의한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CAR 발현 관찰(도 55)
CAR-T의 경우, 대상 암세포를 선별하는 기능은, 암항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특이성을 의도적으로 부가한 CAR 분자의 "표면발현양"에 의존한다. 그러나 적절한 수준 이상으로 지나치게 CAR 발현이 높게 유도되는 경우, "항원(Ag) 부재하에서 과도한 CAR clustering"이 일어나고 응집(Aggregation)을 형성한다. 따라서, CAR가 세포 표면상에 균일한 발현 분포를 보이지 않고, 뭉침과 부재를 반복하는 discontinuity를 보인다(punctate phenotype). 이 현상이 결국 항원-비의존적인 T 세포 신호 전달을 유발하여, 항암활성이 저해된 탈진된 T 세포 표현형(Exhausted T Cell phenotype)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바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AR 유전자와 세포질 면역 조절 인자 유전자를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해 동시에 전달하였을 때, 항원 발현양이 과도하여“항원 부재하에서 과도한 CAR clustering”이 일어나, CAR 분포형태가 불균일한 비정상적 분포특성(punctate phenotype)이 유도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CD19-특이적 CAR에 결합하는 Cy3이 표지된 염소 항-마우스 IgG 항체를 사용한 면역 형광염색 분석을 수행하였다. 염색은 Initial stimulation 후 7 일째 배양에서 얻어진 CAR-T 세포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따라서, 충분히 CAR 발현이 안정화된 상태의 분포를 반영한다고 생각되며, 결과에서 보듯이, 제조된 각 CAR-T에서 세포표면에 발현된 CAR 분자가 세포 표면에 균일하게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면역형광분석에 의한 CAR-T 세포와 타겟종양세포간의 CAR-매개 상호작용 관찰(도 56)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된 CAR-T가 CD19를 발현하는 암세포와의 상호작용을, CAR-T 세포 표면의 CAR 분자를 통해 수행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eGFP를 발현하여 녹색 형광을 띄는 Daudi 세포와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슬라이드 글라스상에서 Cy3이 표지된 염소 항-마우스 IgG 항체를 이용한 CAR 분자의 면역염색을 수행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AR-T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Cyanine 3 형광(red)으로 염색된 CAR 분자를 통해서, eGFP 형광을 띄는 타겟종양세포(green)를 인식하고 긴밀한 접촉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CAR-T 세포와 긴밀한 상호작용을 진행하는 Daudi 세포의 녹색형광은, 자유로운 Daudi 세포의 녹색 형광에 비하여 다소 밝기가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CAR-T 세포의 아형 분석(도 57)
최근 환자를 대상으로 한 CAR-T 세포의 임상적 적용 및 비임상 동물효력모델을 통해서 밝혀진 사실은, 종양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CAR-T 세포 이식후에 유도된 항암면역의 지속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CAR-T 세포 아형 분석이 이루어지면서, 생체내에서 장기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T 세포 줄기세포능(stemness)을 보유한 줄기세포 유사 기억 T 세포(T memory stem cell, Tscm, CD45RA+CCR7+), 중심 기억 T 세포(central memory T cell, CD45RA-CCR7+)와 같은 특정 T 세포 아형이 특히 중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항암 치료용 CAR-T 세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IL-2 보다 IL-7, IL-15, IL-21 등을 사용하여 이와 같이 줄기세포능이 높은 세포를 유도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최근 문헌을 보면, 친화력을 조절한 어떠한 GD2-specific CAR-T 세포(HA-28z)의 경우에, 의도했던 바와 다르게 T 세포 탈진이 유도되어서 T 세포 아형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T 세포 줄기세포능이 상당히 감소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조한 CAR-T 세포가 세포질 면역 조절자의 과발현을 통해 높은 Effector T 세포활성을 보유하면서도, 항암면역의 장기적 지속성에 중요한 T 세포 줄기세포능을 잘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조한 CAR-T 세포의 종양세포 살해능(tumor cell killing activity) 및 사이토카인 분비(cytokine release) 활성, T 세포 이동성(motility) 등의 기능적 분석을 수행하고, 이와 병행하여 T 세포 줄기세포능을 확인하기 위해, 표현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도너(donor)에서 유래한 T 세포를 렌티바이러스 벡터와의 접촉만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 동일한 이뮤노비드 자극(immunobead stimulation), T 세포 증식 배양과정을 거친 NTD(Non-transduced control T cells)를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상기 음성 대조군 T 세포의 경우에는 줄기세포능(renew potential)이 가장 적은, 분화된 세포에 해당하는 효과 집단(effector population)이 절반정도(49%)에 해당하고, Tscm 아형이 47%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 세대 CAR만 발현하는 Control CAR-T(19bbz)의 경우, Tscm 비율이 70% 정도로서 NTD 보다 20% 이상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S2)의 경우는, 2 세대 CAR만 발현하는 Control CAR-T 세포(19bbz)와 가장 유사한 T 세포 집단(population)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FKBP12 또는 사이클로필린 A와 같은 이뮤노필린 단백질을 과발현시킨 CAR-T 세포(19bbz#F, 19bbz#C)의 경우, Tscm 비율이 76%로서 2세대 Control CAR-T 세포(19bbz)보다 6% 정도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종류의 이뮤노필린과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동시에 발현하는 CAR-T 세포(19bbz#FCS2)의 경우, Tscm 비율이 80% 정도로서 2세대 Control CAR-T보다 10% 이상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줄기세포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도입한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과발현이, CAR-T 세포의 항암효능에 바람직한 성질인 T 세포의 줄기세포능(stemness)의 감소를 동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종양 세포에서 CD19 발현을 분석(도 58)
제조한 CD19-특이적 CAR-T의 in vitro 종양세포 살해능 및 사이토카인 분비 활성 평가에 필요한 CD19 발현 종양 세포주들을 배양하였다. 또한, CD19의 발현양을 비교하기 위해 APC가 표지된 마우스 항-CD19 항체로 염색한 후 유세포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CD19 발현양을 평균 형광 강도로 비교하였을 때, Daudi의 경우가 Nalm6 보다 대략 2배 정도 CD19 항원의 발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alm6은 K562-CD19 보다 CD19 항원의 발현이 대략 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D19 발현 수준: Daudi > Nalm6 > K562-CD19).
특히 Daudi의 경우, 에메랄드 녹색 형광 단백질(Emeral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 유전자를 발현하고 있어서 형광 현미경으로 분석시 표적세포로 사용되었다. 뿐만 아울러 반딧불 루시퍼라아제(firefly luciferase, Fluc) 유전자를 발현하고 있어서, 생물발광(Bioluminescence) 측정을 통한 in vitro 종양세포 살해 활성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외에 앞서 실시되었던 혈액암 모델의 in vivo CAR-T 효능 평가에서도 표적세포로 Daudi-Fluc-Puro 세포를 사용하였다.
CD19-특이적 CAR-T 세포 관련 그 외의 여러 in vitro 기능 분석 실험에서는, CD19 발현이 없는 변형되지 않은 K562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세포의 크기가 T 세포보다 훨씬 커서 현미경 상에서와 유세포 분석 상에서 T 세포와 구분이 용이한 K562-CD19를 주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CAR-T에서 FKBP12,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 단백질의 N-말단 SH2 도메인의 발현의 수준을 확인(도 59 및 도 60))
렌티바이러스 벡터 형질도입를 통해서 세포내 유입된 면역 조절자를 코딩하는 외부유전자가 실제 각 CAR-T 세포 내에서 해당 세포내 단백질과 비교하여 과발현 된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qRT-PCR 분석과 항체를 이용한 면역블랏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60에 명시한 바와 같이, 앞서 발표된 T lymphocyte proteomic data(Hukelmann et al., Nature Immunology, 2015)를 통해 밝혀진 T 세포내 각 단백질의 양은, FKBP12는 1,623,586 카피/세포, 사이클로필린 A는 28,065,984 카피/세포, SHP2는 23,530 카피/세포이다. 즉, Cyclophilin A>> FKBP12 >> SHP2 순으로 카피가 많으며, 이들 중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들의 신호에 관여하는 SHP2 단백질의 경우가 가장 소량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AR 유전자와 동일한 프로모터를 통해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발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발현 정도는 상이하였다. 구체적으로, FKBP12를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F) 경우, FKBP12가 내인성 발현(endogenous expression) 대비 6배 정도 많이 발현되었다. 또한, 사이클로필니 A를 과발현하는 CAR-T세포(19bbz#C) 경우, 사이클로필린 A가 내인성 발현 대비 2배 정도 많이 발현되었다. 반면,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S2) 경우에는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이 내인성 SHP2 발현 대비 38배 정도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내인성 단백질(endogenous protein)의 양적 차이가 존재한다. CAR(+)-T 세포 비율이 40% 정도인 CAR-T 세포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면역블랏 이미지 상에서, 내인성 단백질 발현 수준 대비 상대적 과발현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그 분석값이 상이하였다. 즉,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S2)의 경우, 과발현된 양이 비교적 확실하게 관찰되었다(endogenous SHP2 양 대비 30배 이상). 또한, FKBP12를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F)의 경우에는, 그보다 낮은 수준으로서 내인성 FKBP12 대비 2-7배 범위수준의 과발현이 관찰되었다. 사이클로필린 A를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C) 경우에는 내인성 단백질 수준이 너무 많고, 그 차이가 일반적 분석오차 범위안에 놓이게 되어 정량적 분석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동시에 발현하는 CAR-T 세포(19bbz#FCS2)의 경우, FKBP12 과발현 정도는 CAR-T 세포(19bbz#F)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세 차례의 P2A 자가절단 활성에 의존하는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의 과발현 정도는,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의 과발현이 한 차례의 P2A 자가절단 활성에 의존하는 CAR-T 세포(19bbz#S2)에서 관찰된 발현량의 1/3 수준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항원 자극시 CAR-T 세포에서 분비되는 IFNγ, TNFα 및 IL-2 측정 결과(도 61 내지 도 63)
일반적으로 CAR-T의 항암효과는 i) CAR-T 가 항원-양성 타겟 종양 세포(Ag-positive target tumor cell)와 면역 시냅스(Immune Synapse)를 형성한 후 분비하는 퍼포린(perforin)/그랜자임 그래뉼(granzyme granule)에 의존한 종양 세포 살상 활성, ii) 활성화된 CAR-T 세포 표면에서 발현이 증가된 Fas 리간드에 의존한 종양 세포 살상 및 방관자 살상(Bystander killing) 활성, 및 iii) 사이토카인 생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간접적인 기전(이차적 기전)에 의거한 종양 세포 살상 활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CAR-T에서 분비되는 중요한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FNγ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i) 기질세포(Stroma cell) 표면에 IFNγ 수용체 발현을 증가시켜서, 증가된 IP10(CXCL10), MIC(CXCL9) 등의 chemokine 분비를 유도하여 종양 조직으로의 T 세포, NK 세포, DC, 단핵구/마크로파지 등의 면역 세포 침투(immune cell infiltration)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유발한다. 또한, ii) 직접적으로 종양 기질 세포 파괴(tumor stroma cell destruction)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iii) 종양 세포에 작용하여 증식을 억제하는 성장 억제 효과(Cytostatic effect)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iv) 면역 억제상태의 종양 연관 마크로파지(tumor-associated macrophage) 및 종양 위치 T 세포(tumor-resident T cell) 들의 분극화(polarization)을 유도한다. 이로서, 종양 세포를 살해할 수 있는 항암활성을 간접적으로 부여하고, 이들을 통해 이차적 항암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CAR-T에서 분비되는 또 다른 중요한 사이토카인인 종양 TNFα(Tumor necrosis factor alpha)는 i) 종양 세포 표면에 발현된 TNFα 수용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종양 세포 살해능을 유도한다. 또한, ii) TNFα는 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s)를 억제하여 효과기 T 세포(effector T cells) 및 NK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iii) TNFα는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에 작용하여 종양 미세혈관계 붕괴(tumor microvasculature collapse)를 유발하고, 신생혈관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iv) TNFα는 항암 활성이 없는 M2 마크로파지를 항암 활성을 갖는 M1 마크로파지로 분극화(polarization)하는 유도하는 활성을 갖는다. 또한, v) TNFα는 호중구(neutrophils)와 단핵구(monocytes)를 종양 조직으로 유인하고 활성화하여 항암활성을 갖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마지막으로, vi) TNFα는 암조직에 있는 호산구 유사 세포(eosinophilic-like cells)에 의한 IL-13 발현을 억제하여 단핵구가 면역억제 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CAR-T에서 분비되는 또 다른 중요한 사이토카인인 IL-2(Interleukin-2)는 현재 항암면역치료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T 세포 증식을 증진시키는 잘 알려진 활성 이외에도 NK 세포 및 림포카인-활성화 킬러 세포(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의 세포용해성 활성(Cytolytic Activity)을 크게 증진시키는 역할을 통해서, 항암면역에 기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CAR-T(19bbz#F), CAR-T(19bbz#C), CAR-T(19bbz#S2), CAR-T(19bbz#FCS2)의 사이토카인 분비 활성이 기존의 2nd 세대 CAR-T의 활성 대비 우수한지 비교 평가하였다.
도면에서 보듯이, 세 종류 사이토카인(IFNγ(도 61), TNFα(도 62), IL-2(도 63))의 분비활성을 평가하였을 때, 모든 CAR-T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타겟 항원인 CD19를 발현하지 않는 K562 세포와 CAR-T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배양액 내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사이토카인 분비가 감지되지 않았다.
반면, CAR-T의 타겟 항원인 CD19를 발현하도록 재조합한 K562-CD19 세포와 CAR-T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배양액내에서는 각 CAR-T 배양액에서 상당히 많은 양의 사이토카인이 분비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의도한 바와 같이, T 세포의 기저 면역활성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진 이뮤노필린을 과발현 시키거나, 면역 체크포인트 시그널에 의한 티로신 탈인산화(Tyrosine dephosphorylation)를 억제할 수 있는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 시킨 CAR-T 세포(19bbz#F), CAR-T 세포(19bbz#C), CAR-T 세포(19bbz#S2)의 경우, 사이토카인 분비 활성에 있어서, 모두 기존의 Control CAR-T 세포(19bbz)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과발현 시킨 CAR-T 세포(19bbz#FCS2)의 경우에는 타겟 종양 세포 자극에 의존한 사이토카인 분비 활성이, 기존의 음성 대조군 CAR-T 세포(19bbz)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의 사람을 대상으로한 CAR-T 임상경험에 의하면, 고형암의 경우 혈액암보다 종양 부위로 접근이 어렵다. 설령, 종양 부위에 도달하더라도 여러 기전으로 면역 억제 종양 미세 환경(immune suppressive tumor microenvironment, TME)에서 방어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TME에 존재하는 면역 억제 신호 하에서도 견딜 수 있는 Super-armed CAR-T를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
본 실시예의 결과에 의하면, CAR-T(19bbz#FCS2)는 면역억제 환경에서도 상당히 많은 양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CAR-T는 많은 양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을 통해 종양내의 면역억제환경을 우호적 환경으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지 않은 항암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GF-β1 존재 시, 항원 자극에 의해 CAR-T 세포에서 분비되는 IFNγ 및 TNFα 측정(도 64 및 도 65)
일반적으로, 암조직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TGF-β는 T 세포 표면에 발현된 TGFβ 수용체(TGFβRI, TGFβRII)를 통한 면역-억제 신호를 통해, 암조직내에서의 T 세포 활성화 및 증식, 분화 등의 기능을 크게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마우스 실험에서 naive T 세포의 TGF-β 신호를 방해하면, 자가면역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CAR-T 세포의 항암효능 배가를 위해 TGF-β 신호를 억제하더라도, 자가 면역의 위험성을 동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느 정도는 약화된 형태의 TGF-β 신호가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TGF-β1의 농도 범위는 생체내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한 반응이 일어나는 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EC50)가 0.04-0.2 ng/㎖ 임을 고려하였다. 또한, 병리적 환경에서 축적될 수 있는 고농도의 상한을 충분히 초과하도록 광범위한 구간으로 시험 농도를 설정하였다.
또한, 종양진행과정에서 암세포의 다양성(microheterogeneity of tumor cells)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을 대변할 수 있도록“Ag인 CD19 발현양” 및 “세포 크기"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있는 세 종류의 암세포를 대상으로 CAR-T 활성을 시험하였다(세포크기 순서: K562-CD19>> Nalm6, Daudi; Ag 발현양 순서: Daudi> Nalm6> K562-CD19).
평가 방법으로서, CAR-T의 항암면역기전에서 중요한 기능으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의 분비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CAR-T 세포가 배양액에 존재하는 TGFβ1 농도에 의존적으로 영향을 받는 정도는 타겟 세포 및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TGFβ1의 광범위한 농도 구간 전반에 걸쳐(0 ng/㎖-5 ng/㎖), FKBP12 과발현 CAR-T 세포(19bbz#F)의 경우가, FKBP12 과발현이 없는 기본 2nd 세대 CAR-T 세포(19bbz) 보다 높은 활성 내지 동등 이상의 활성을 보이는 것이, 세 종류의 타겟 세포반응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FKBP12 과발현에 의한 CAR-T 세포 활성차이는 특히 Target 표면상에 항원 발현량이 높아 CAR-T 세포의 활성화 유도가 비교적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 Daudi와의 반응보다, 항원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CAR-T 세포의 활성화 유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는 Nalm6 또는 K562-CD19의 경우에 그 차이가 크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암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의 면역회피기전(Immune-evasive mechanism) 중 하나가 “항원 발현양을 저해하는 기전을 통한 회피”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항원이 낮은 종양 세포(Ag-low tumor cells)에 의한 암진행 억제력이 보다 향상된 CAR-T 세포를 설계할 때, FKBP12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조절 단백질(small-sized regulatory protein)을 세포내에 축적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TGFβ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활성상태를 유지하는 TGFβRII가 TGFβRI과 결합하여 TGFβ 신호를 유도하는 토닉 신호(tonic signaling)(TGFβ-independent dimerization-mediated signaling)에 의해 T 세포 기저 활성은 낮게 조절된다. 그러나, 수용체 이량화(receptor dimerization)의 경쟁적 억제제(competitive inhibitor)인 FKBP12가 과발현이 될 경우, 그러한 T 세포의 기저 활성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항원 발현량이 낮은 암세포와의 반응에서도 활성화가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상된다.
CAR-T 세포의 이동능 확인(도 66 및 도 67)
CAR-T가 생체내에 주입된 이후. 종양 부위로 효과적으로 이동하는 능력은 CAR-T의 활성에 중요한 고려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TME(tumor microenvironment)로 T 세포의 이동은 여러 단계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T 세포의 이동 단계 중, 특히 인테그린 매개 T 세포 부착(Integrin-mediated T cell adhesion )과 T 세포 이동은 FKBP12, 사이클로필린 A와 같은 이뮤노필린에 의하여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AR-T의 in vitro 이동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CAR-T를 anti-CD3/CD28 Dynabeads를 이용한 활성화 배양한 후, 세포를 수거하여 세척하고, 0.25% 인간 혈청 알부민(human serum albumin)이 첨가된 무혈청(serum-free) 배지에 현탁하여, 트랜스웰 이동(transwell migration)을 수행하였다. 3D 상에서, 일반적으로, 동물 세포들은 바이오매트릭스의 구멍(pore)을 아메바 운동(amoeboid motion)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단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시간동안 하부 챔버로 이동된 세포의 CAR(+) %를 비교하여 CAR(+) T 세포의 이동능을 비교하였다. 설정된 초기 총 T 세포 농도와 CAR(+) T 세포 농도가 모두 동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CAR-T 세포(19bbz#FCS2) 경우, 다른 CAR-T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이동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T 세포 침투를 방해하는 사이토카인 알려진 EGF가 상부 챔버에 첨가된 상태에서 T 세포 이동을 분석하였다. 이 경우에도, 중간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 챔버로 이동한 CAR(+) 세포수를 비교하였을 때, 특정 CAR-T 세포(19bbz#FCS2)가 다른 CAR-T에 비하여 월등히 우월한 이동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단 그래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시간 이동한 CAR(-) 세포수에 있어서는 CAR-T 세포(19bbz#FCS2) 시료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동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하단). 따라서, 이러한 CAR-T 세포(19bbz#FCS2) 시료가 보이는 높은 이동능이 세 종류의 세포질 조절인자를 과발현하는 CAR(+) 세포에 국한된 활성임을 확인하였다.
세 종류의 세포질 조절인자(cytoplasmic modulators)를 동시에 과발현하는 CAR-T 세포(19bbz#FCS2)가 월등히 우월한 높은 이동능을 보이는 것은 96 웰 플레이트 상에서 표적 세포와 공배양을 48시간 수행한 다음에 촬영한 사진에서도 명확하게 관찰되었다(도 60).
사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CAR-T 세포의 이동성은 항원인 CD19를 표면에 발현하여 활성화 신호가 충분히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K562-CD19와의 공배양에서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종양 세포 살해능 확인: In vitro (도 68)
본 실시예에서는 CAR-T 세포의 종양 세포 살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K562-CD19 세포를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는, 종양 세포 용해를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세포 용해(cell lysis)에 의해 배지로 분비된 TDA(2,2':6',2"-terpyridine-6,6"-dicarboxylic acid)를 TRF(Time-Resolved Fluorometry)로 정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그림의 상단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R(+)-T 세포에 의한 종양 세포 살해 활성을 평가한 결과는 앞서 기술한 사이토카인 분비 활성 평가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 세포의 기저 면역활성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진 이뮤노필린을 과발현 시키거나, 면역 체크포인트 신호에 의한 티로신 탈인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 시킨 CAR-T 세포(19bbz#F), CAR-T 세포(19bbz#C), CAR-T 세포(19bbz#S2)의 경우, 종양 세포 살해 활성에 있어서, 모두 기존의 음성 대조군 CAR-T 세포(19bbz)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이러한 세 종류의 small-sized cytoplasmic immune modulator 들을 동시에 과발현 시킨 CAR-T 세포(19bbz#FCS2)의 경우에는 기존의 대조군 CAR-T 세포(19bbz)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Daudi 세포를 대상으로 CAR-T 세포의 종양 세포 살해 활성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CAR(+)-T 세포에 의한 종양 세포 용해(tumor cell lysis)를 Bioluminescence 감소량으로 비교하였다. 하단 그래프에서 보면, Eu-TDA release에 의한 평가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 시킨 CAR-T 세포(19bbz#F), CAR-T 세포(19bbz#C), CAR-T 세포(19bbz#S2)의 경우, 모두 기존의 대조군 CAR-T 세포(19bbz)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종양 세포 살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CAR-T 세포(19bbz#FCS2)의 경우에는 E:T ratio 전 구간에 걸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r2-특이적 CAR-T 세포 제조(도 3 및 도 69)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Her2를 과발현하는 암세포를 겨냥한 CAR-T 로서 2nd 세대 CAR 형태의 CAR-T를 대표하는 “Her2-특이적 CAR-T 세포(Hbbz)”를 제조하였다. 또한, CAR-T 세포의 항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두 개의 이뮤노필린인 FKBP12(12 kDa), Cyclophilin A(18 kDa)을 각각 발현하는 두 종류의 CAR-T 세포(Hbbz#F, Hbbz#C)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면역 체크포인트 시그널에 의한 티로신 탈인산화(Tyrosine dephosphorylation)를 억제할 수 있는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 시킨 CAR-T 세포(Hbbz#S2)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과발현 시킨 CAR-T 세포(Hbbz#FCS2)도 제조하였다. 렌티바이러스로 형질도입 후 4일째 측정한 CAR 발현율은 도 69에 나타난 바와 같다. 이후 배양을 통해 CAR-T 세포(Hbbz#FCS2)의 CAR(+)-T 세포의 비율은 40-50% 수준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면역형광분석에 의한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CAR의 발현 관찰(도 70)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된 각 CAR-T 세포에서 세포표면에 발현된 CAR 분자가 세포 표면에 균일하게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원 자극 시, Her2-특이적 CAR-T 세포에서 분비되는 IFNγ, TNFα 및 IL-2 측정 결과(도 71 내지 도 73)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CAR-T 세포(Hbbz#F), CAR-T 세포(Hbbz#C), CAR-T 세포(Hbbz#S2), CAR-T 세포(Hbbz#FCS2)의 사이토카인 분비활성이 기존의 2nd 세대 CAR-T 세포(H)의 활성 대비 어떠한 지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림에서 보듯이, 상기 세 종류 사이토카인(IFNγ, TNFα, IL-2)의 분비활성을 평가하였을 때, 모든 CAR-T 세포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타겟 항원인 Her2를 발현하지 않는 음성 대조군로 사용된 Daudi 세포와 CAR-T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배양액내에서, TNFα와 IL-2의 사이토카인 분비는 거의 감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IFNγ의 경우에는, TNFα와 IL-2 사이토카인과 달리, 타겟 항원인 Her2를 발현하는 SKBR3 세포와의 배양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 양의 1/3이내에 해당하는 IFNγ분비가 감지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Daudi가 Her2는 발현하지 않지만, B 림포사이트로서 Costimulatory molecule을 발현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즉, Daudi가 타인유래 항원제시세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특정 조직적합성 항원에 반응할 수 있는 TCR을 보유한 일부 T 세포에 대하여,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CAR-T 세포의 타겟 항원인 Her2를 발현하는 SKBR3 세포와 CAR-T 세포를 24시간동안 배양한 배양액내에서는 각 CAR-T 세포 배양액에서 그에 비해 확실히 많은 양의 사이토카인이 분비되었음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CAR-T 세포(Hbbz#F), CAR-T 세포(Hbbz#C), CAR-T 세포(Hbbz#S2)의 경우, cytokine 분비활성에 있어서, 기존의 2세대 대조군 CAR-T 세포(Hbbz) 수준과 거의 같거나 약간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CAR-T 세포(Hbbz#FCS2)의 경우에는, 타겟종양세포 자극에 의존한 Cytokine 분비활성이, 기존의 2세대 Control CAR-T 세포(Hbbz)에 비하여 향상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r2-특이적 CAR-T의 세포 이동 평가(도 74)
본 실시예에서는,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in vitro migration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CAR-T 세포를 항-CD3/CD28 Dynabeads를 이용한 활성화 배양한 후, 세포를 수거하여 세척하고, 0.25% 인간 혈청 알부민이 첨가된 무혈청 배지에 현탁하여, 트랜스웰 이동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설정된 초기 전체 T 세포 농도와 CAR(+)-T 세포 농도가 모두 동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CAR-T 세포(Hbbz#FCS2) 경우, 다른 CAR-T 세포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이동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종양 살해능 확인: In vitro (도 75)
CAR-T 세포(Hbbz#F), CAR-T 세포(Hbbz#C), CAR-T 세포(Hbbz#S2)의 경우, 종양 세포 살해 활성에 있어서, 모두 기존의 2세대 Control CAR-T 세포(Hbbz) 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이러한 세 종류의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과발현 시킨 CAR-T 세포(Hbbz#FCS2)의 경우에는 월등히 높은 활성을 E:T ratio 전 구간에 걸쳐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항암 효과: In vivo (도 76)
본 발명에서 도입된 CAR-T 세포 기술의 유용성을 고형암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면역부전 NSGA 마우스에 SKBR3-Luc 세포(개체당 2x106 세포)를 주입하여, 14일동안 복강내 xenograft tumor를 유도하였다. 각 군별 10마리 개체에, 각각 지정된 CAR-T 세포를 정맥으로 동량(1x106 CAR(+)-T 세포)으로 투여하였다. 그 후, 일주일 간격으로 Tumor burden을 IVIS 장비를 이용한 bioluminescence imaging으로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그림에서 보듯이, 2 세대 대조군 CAR-T 세포(Hbbz)를 처치한 군은 복강에 확립된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호 기전 조절 인자로서 이뮤노필린 FKBP12를 과발현시킨 CAR-T 세포(Hbbz#F)를 처치한 군과,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과발현 시킨 CAR-T 세포(Hbbz#FCS2)를 투여한 군에서는 복강에서 성장하던 고형암에 대한 억제 및 퇴치효과가 신속하고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본 결과는 다른 실시예로서 수행된 여러 in vitro CAR-T 세포 활성(사이토카인 분비활성, 이동(migration) 활성, 종양 세포 살해능) 평가에서 관찰된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서, in vivo 모델을 이용한 고형암 대상의 항암활성에 있어서도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과발현시킨 CAR-T 세포(Hbbz#FCS2)가 월등히 우월한 성능을 in vivo에서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결과는 다른 실시예로서 수행된 혈액암 모델의 항암효능평가에서 관찰된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서, 고형암 모델의 항암효능평가에서도, 이뮤노필린 FKBP12만 과발현한 CAR-T 세포(Hbbz#F)를 주입한 군이 2세대 대조군 CAR-T 세포(Hbbz)보다 우수한 항암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형암 모델 결과에서,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과발현시킨 CAR-T 세포(Hbbz#FCS2)가 월등히 우월한 항암효능을 보이는 것은, 다른 기전에 근거한 신호 기전 조절 인자 매개 강화(potentiation)의 상보적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시사된다.
PSMA-표적 CAR-T 세포 제조(도 6 및 도 77)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PSMA를 과발현하는 종양세포를 겨냥한 CAR-T 세포로서 2nd 세대 CAR 형태의 CAR-T 세포를 대표하는 "PSMA-특이적 CAR-T 세포(Pbbz)"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때, CAR-T 세포의 항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두 개의 이뮤노필린인 FKBP12(12kDa), 사이클로필린 A(18kDa)를 각각 발현하는 두 종류의 CAR-T 세포(Pbbz#F, Pbbz#C)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면역 체크포인트 시그널에 의한 티로신 탈인산화(Tyrosine dephosphorylation)를 억제할 수 있는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 시킨 CAR-T 세포(Pbbz#S2)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들을 동시에 과발현 시킨 CAR-T 세포(Pbbz#FCS2)도 제조하였다. 렌티바이러스 형질도입 후 4일째 측정한 CAR 발현율은 도 77에 나타난 바와 같다. 이후 배양을 통해 CAR-T 세포(Pbbz#FCS2)의 CAR(+)-T 세포의 비율은 40-50% 수준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면역형광분석에 의한 PSMA-특이적 CAR-T 세포 표면의 CAR 발현 관찰(도 70)
도면에서 보듯이, 제조된 각 CAR-T 세포에서 세포표면에 발현된 CAR분자가 세포 표면에 균일하게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SMA-특이적 CAR(+)-T 세포의 아형 분석(도 79)
NTD(Non-transduced control T cells)의 경우에는 줄기세포능(renew potential)이 가장 적은, 분화된 세포에 해당하는 효과 집단이 거의 절반정도(47%)에 해당하고, Tscm 아형이 4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와 달리, 2nd 세대 CAR만 발현하는 Control CAR-T 세포(Pbbz)의 경우, Tscm 비율이 53% 정도로서 NTD보다 8% 정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과발현하는 CAR-T 세포(Pbbz#S2)의 경우는, 2nd 세대 CAR만 발현하는 Control CAR-T세포(Pbbz)와 비교적 가장 유사한 T 세포 집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FKBP12 또는 사이클로필린 A와 같은 이뮤노필린 단백질을 과발현 시킨 CAR-T 세포(Pbbz#F, Pbbz##C)의 경우, Tscm 비율이 각각 63%, 64%로서 2nd 세대 대조군 CAR-T 세포(Pbbz)보다 약 10% 정도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종류의 이뮤노필린과 SHP2의 N-말단 SH2 도메인을 동시에 발현하는 CAR-T 세포(Pbbz#FCS2)의 경우, Tscm 비율이 66% 정도로서 2nd 세대 대조군 CAR-T 세포보다 10%이상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줄기세포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시예의 T 세포 아형 분석결과에서 볼 때,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과발현을 통해 CAR-T 세포의 기능적 활성을 배가시키는 경우에도, 치료용 CAR-T 세포의 바람직한 성질인 T 세포 줄기세포능이 손상되지 않고, 여전히 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 세포 탈진 표현형 분석 결과(도 80)
항체를 이용한 유세포 형광분석 결과, 분석된 모든 CAR-T 세포의 CAR(+)-T 세포 게이트 하에서, PD-1 양성세포의 비율은 10+/-3 % 범위이내, LAG-3 양성세포의 비율은 3% 이내, TIGIT 양성세포의 비율은 12+/-3 %범위이내, CTLA-4 양성세포의 비율 역시 2-3% 수준으로서, T 세포 탈진 마커들의 발현율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도입한 세포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과발현이 CAR-T 세포 탈진을 동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SMA-특이적 CAR-T 세포의 In vitro 이동능을 평가(도 81)
상단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시간동안 하부 챔버로 이동된 세포수와 이동된 세포의 CAR(+) %를 측정하여, CAR(+)-T 세포의 motility를 비교하였다. 설정된 초기 total T 세포 농도와 CAR(+)-T 세포 농도가 모든 CAR-T 시료에서 모두 동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CAR-T 세포(Pbbz#FCS2) 경우, 다른 CAR-T 세포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이동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동일한 시간동안 하부 챔버로 이동한 CAR(-)-T 세포수에 있어서는 CAR-T 시료 간에 이러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하단), 이러한 CAR-T 세포(Pbbz#FCS2) 시료가 보이는 높은 이동능이 세 종류의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CAR(+) 세포에 국한된 활성임을 시사하고 있다.
PSMA-특이적 CAR-T 세포의 타겟종양세포 살해능 평가: In vitro (도 82 및 83)
반응 2시간 시점(도 82)과 3시간 시점(도 83)에 각각 평가한 결과에서 잘 나타났듯이, CAR-T 세포(Pbbz#F), CAR-T 세포(Pbbz#C), CAR-T 세포(Pbbz#S2)의 경우, 타겟종양세포 살해 활성에 있어서, 모두 기존의 2 세대 대조군 CAR-T 세포(Pbbz)보다 확실히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이러한 세 종류의 small-sized cytoplasmic immune modulator 들을 동시에 과발현 시킨 CAR-T 세포(Pbbz#FCS2)의 경우에는 월등히 향상된 높은 활성을 E:T ratio 전 구간에 걸쳐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도입된 CAR-T의 제조
실시예 1. 융합단백질의 구조 설계
실시예 1.1. FKBP12 구조 설계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FKBP12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의 구조는 시그널 펩타이드, 항원 결합 도메인, 힌지 및 막관통 도메인,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및 FKBP12를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
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그널 펩탕이드(ss), 항원 결합 도메인(CD19 scFv), 힌지 및 막관통 도메인(H+TM),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4-1BB 및 CD3Z), 자가-절단성 펩타이드(P2A) 및 FKBP12를 포함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를 "19bbz#F"로 명명하였다. 또한, 시그널 펩타이드(ss), 항원 결합 도메인(CD19 scFv), 힌지 및 막관통 도메인(H+TM)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4-1BB 및 CD3ζ)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19bbz"로 명명하였다.
구체적으로, CD19-특이적 CAR는 ⅰ) CD8 시그널 펩타이드(Uniprot: P01732-1, 1-21 aa, 서열번호 1)에서 유래된 염기서열과 ⅱ) CD19-특이적 FMC63 항체(Nichoison et al, 1997)에서 유래된 scFv의 단편에 대한 염기서열(서열번호 3)을 연결한 다음, ⅲ) CD8 힌지-막 관통 도메인(Uniprot: P01732-1, 138-206 aa, 서열번호 5), ⅳ) 인간 4-1BB 공동자극인자 도메인 세포질 영역(Uniprot: Q07011, 214-255 aa, 서열번호 7) 및 ⅴ) 인간 CD3ζ 세포내 도메인(GenBank: NP 000725.1, 52-163 aa, 서열번호 9)에서 유래된 염기서열을 연결하여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그 외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포함된 벡터 구조 설계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FKBP12 대신 Cyclophilin A(#C),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M), N-SKI(#N), SHP-1 단백질의 N-말단 SH2 도메인(#S1), SHP-2 단백질의 N-말단 NH2 도메인(#S2), TC21(#TC), RhoG(#RG),FKBP12/Cyclophilin A/ SHP-2 단백질의 N-말단 SH2 도메인(#F#C#S2, 또는 간략히 #FCS2)이 포함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각각 "19bbz#C", "19bbz#M", "19bbz#N", "19bbz#S1", "19bbz#S2","19bbz#TC","19bbz#RG" 및 "19bbz#FCS2"로 명명하였다. 또한,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자가-절단 서열이 없는 컨스트럭트에 FKBP12 대신 TLR4 세포내 도메인(T)이 포함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를 "19bbzT"로 명명하였다(도 1 내지 도 2).
실시예 2.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벡터 제작
실시예 2.1. FKBP12가 포함된 벡터 제작
벡터는 인간 신장 인자 α(EF1α: 531 bp 또는 212 bp) 프로모터를 포함하고 있는 3세대 자가 불활성 렌티바이러스 벡터인 pPVLV5 벡터를 사용하였다. 상기 pPVLV5 벡터 내에 시그널 펩타이드(ss), CD1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 사슬 가변 단편(CD19 scFv), 인간 CD8의 힌지 및 막 통과 도메인(H+TM)과,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4-1BB 및 CD3ζ)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와 자가-절단성 펩타이드(P2A) 및 FKBP12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삽입하였다. 이를 "p_19bbz#F"로 명명하였다.
또한, 상기 pPVLV5 벡터 내에 시그널 펩타이드(ss), CD1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 사슬 가변 단편(CD19 scFv), 인간 CD8의 힌지 및 막 통과 도메인(H+TM)과,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4-1BB 및 CD3ζ)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삽입하였다. 이를 "p_19bbz"로 명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아미노산 서열 및 염기서열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FKBP12(#F)의 아미노산 서열 및 염기서열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벡터는 pLenti-EF1a-Backbone(NG)(Addgene, #27963)를 변형한 3 세대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였고, DNA assembly Master Mix(NEB, #E2621)를 이용하여 CAR 암호화 유전자를 벡터에 적재하였다.
또한, 면역 조절 단백질을 세포질 내에서 발현시키기 위하여, CAR 서열 후단에 면역 조절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삽입하였다. 상기 면역 조절 단백질은 FKBP12(#F, 서열번호 14)이었다.
실시예 2.2. 그 외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포함된 벡터 제작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사이클로필린 A(#C, 서열번호 25), SMAD4 단백질의 C-말단 MH2 도메인(#M, 서열번호 21), N-SKI(#N, 서열번호 23), SHP-1 단백질의 N-SH2도메인(#S1, 서열번호 27), SHP-2 단백질의 N-SH2도메인(#S2, 서열번호 29), TC21(#TC, 서열번호 33), RhoG(#RG, 서열번호 35), 또는 FKBP12/cyclophilin A/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FCS2,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25, 서열번호 29)를 포함되도록 벡터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각각 "p_19bbz#F" "p_19bbz#C", "p_19bbz#M", "p_19bbz#N", "p_19bbz#S1", "p_19bbz#S2", "p_19bbz#TC" "p_19bbz#RG", 및 "p_19bbz#F#CS#2", 로 명명하였다. 또한,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가-절단 서열이 없고, FKBP12 대신 TLR4 세포질내 도메인(T, 서열번호 31)가 포함되도록 벡터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p_19bbzT"로 명명하였다.
상기 p_19bbz#C, p_19bbz#M, p_19bbz#N, p_19bbz#S1, p_19bbz#S2, "p_19bbz#TC", p_19bbz#RG, p_19bbz#F#C#S2 및 p_19bbzT 벡터의 제조에 사용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에 해당되는 아미노산 서열 및 염기서열을 하기 <표 3> 내지 <표 10>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플라스미드의 구조도를 도 8 내지 도 18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4>
Figure pat00004
<표 5>
Figure pat00005
<표 6>
Figure pat00006
<표 7>
Figure pat00007
<표 8>
Figure pat00008
<표 9>
Figure pat00009
<표 10>
Figure pat00010
실시예 3. 렌티바이러스 생산
실시예 3.1. FKBP12가 포함된 렌티바이러스 생산
각 렌티바이러스를 생산하기 위해, 최적화된 렌티바이러스 생산 키트인 LV-MAX Lentiviral Production System(Gibco, #A35684)을 이용하였다. 상기에서 제작된 3세대 렌티바이러스 전달 플라스미드를 pMD2.G(Addgene, #12259), pMDLg/pRRE(Addgene, #12251) 및 pRSV-Rev(Addgene, #12253)를 변형한 렌티바이러스 엔벨로프 플라스미드 및 패키징 플라스미드와 공-형질감염시켜 렌티바이러스를 제조하였다. 무혈청 배지에 적응된 HEK293F 세포에 상기 벡터를 형질 도입시키고 50~54시간 배양한 후,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는 배양배지를 수거하여 Lenti-X concentrator(Takara, #631232)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바이러스는 사용 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이와 같이 생산된 렌티바이러스를 "Lenti_19bbz#F"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2. 그 외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포함된 렌티바이러스 생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p_19bbz#C, p_19bbz#M, p_19bbz#N, p_19bbz#S1, p_19bbz#S2, p_19bbz#TC, p_19bbz#RG, "p_19bbz#F#CS#2", 및 p_19bbzT 렌티바이러스 전달 플라스미드를 이용하여 렌티바이러스를 생산하였으며, 이를 각각 "Lenti_19bbz#C", "Lenti_19bbz#M", "Lenti_19bbz#N", "Lenti_19bbz#S1", "Lenti_19bbz#S2", "Lenti_19bbz#TC", "Lenti_19bbz#RG" , "Lenti_19bbz#F#C#S2" 및 "Lenti_19bbzT"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 CAR-T 세포 제작
실시예 4.1. FKBP12가 도입된 CAR-T 세포 제작
CAR-T 세포는 건강한 공여자 말초 혈액 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PBMC에서 부착성 세포(adherent cells)를 제거한 다음, 200 IU/㎖의 rhIL-2(BMI Korea) 및 항-CD3/CD28 Dynabeads(Life Technologies)가 포함된 X-VIVO 15 배지(Lonza)배지에서 배양하여 T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bead:CD3+T 세포=1:1).
2일 후 실시예 3.1.에서 생산한 2 종류의 렌티바이러스(Lenti_19bbz#F, Lenti_19bbz)를 활성화된 T 세포에 각각 처리하였다. 다음날 원심분리하여 렌티바이러스를 포함한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T 세포를 200 IU/㎖의 rhIL-2를 함유하는 X-VIVO 15 배지에 3x105 세포/㎖로 재현탁 시키고 3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이후에는 항-CD3/CD28 Dynabeads를 제거한 상태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또는 3일마다 rhIL-2를 포함하는 새로운 배지로 바꿔주면서 T세포를 증식시켰다. 이때, Lenti_19bbz#F를 이용하여 제조한 CAR-T 세포를 "CAR-T 세포_19bbz#F"로 명명하였으며, Lenti_19bbz를 이용하여 제조한 CAR-T 세포를 "CAR-T 세포_19bbz"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2. 그 외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도입된 CAR-T 세포 제작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2.에서 생산한 "Lenti_19bbz#C", "Lenti_19bbz#M", "Lenti_19bbz#N", "Lenti_19bbz#S1", "Lenti_19bbz#S2", "Lenti_19bbz#TC", "Lenti_19bbz#RG" , "Lenti_19bbz#F#C#S2" 및 "Lenti_19bbzT"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하여 형질전환시켜 CAR-T 세포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각각 "CAR-T 세포_19bbz#C", "CAR-T 세포_19bbz#M", "CAR-T 세포_19bbz#N", "CAR-T 세포_19bbz#S1", "CAR-T 세포_19bbz#S2", "CAR-T 세포_19bbz#TC", "CAR-T 세포_19bbz#RG", "CAR-T 세포_19bbz#FCS2", 및 "CAR-T 세포_19bbzT"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5. Her2-특이적 CAR-T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과 동일하게 Her2-특이적 CAR-T를 제조하였다. 다만, 항원 결합 도메인을 CD19 scFv에서 Her2 scFv로 바꾸어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Her2-특이적 CAR는 ⅰ) CD8 시그널 펩타이드(Uniprot: P01732-1, 1-21 aa, 서열번호 1)에서 유래된 염기서열과 ⅱ) Her2-특이적 항체인 trastuzumab(IMGT database)에서 유래된 scFv의 단편(서열번호 45)에 대한 염기서열(서열번호 46)을 연결한 다음, ⅲ) CD8 힌지-막 관통 도메인(서열번호 5), ⅳ) 인간 4-1BB 공동자극인자 도메인 세포질 영역(서열번호 7) 및 ⅴ) 인간 CD3ζ 세포내 도메인(서열번호 9)에서 유래된 염기서열을 연결하여 제작하였다(표 11).
또한, Her2-특이적 CAR와 함께 발현되는 신호 기전 조절 인자도 다양하게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발현되는 Her2 특이적인 CAR-T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모두 발현되는 CAR-T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벡터는 도 19 내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1>
Figure pat00011
실시예 6. PSMA-특이적 CAR-T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과 동일하게 PSMA-특이적 CAR-T를 제조하였다. 다만, 항원 결합 도메인을 CD19 scFv에서 PSMA-scFv로 바꾸어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PSMA-특이적 CAR는 ⅰ) Ig 중쇄 유래의 시그널 펩타이드(GenBank AAA51634.1, 1-19 aa, 서열번호 52)에서 유래된 염기서열과 ⅱ) PSMA-특이적 J591 항체(WO2002/098897A2)에서 유래된 scFv의 단편에 대한 염기서열(서열번호 55)을 연결한 다음, ⅲ) CD8 힌지-막 관통 도메인(서열번호 5), ⅳ) 인간 4-1BB 공동자극인자 도메인 세포질 영역(서열번호 7) 및 인간 ⅴ) 인간 CD3ζ 세포내 도메인(서열번호 9)에서 유래된 염기서열을 연결하여 제작하였다(표 12).
또한, PSMA-특이적 CAR와 함께 발현되는 신호 기전 조절 인자도 다양하게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발현되는 PSMA-특이적 CAR-T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모두 발현되는 CAR-T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벡터는 도 34 내지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2>
Figure pat00012
실시예 7. CD43-특이적 CAR-T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과 동일하게 CD43-특이적 CAR-T를 제조하였다. 다만, 항원 결합 도메인을 CD19 scFv에서 CD43 scFv로 바꾸어 제작하였다. 이때, 사용된 서열은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또한, CD43-특이적 CAR와 함께 발현되는 신호 기전 조절 인자도 다양하게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발현되는 CD43-특이적 CAR-T 세포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모두 발현되는 CAR-T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벡터는 도 24 내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3>
Figure pat00013
실시예 8. CD47-특이적 CAR-T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과 동일하게 CD47-특이적 CAR-T를 제조하였다. 다만, 항원 결합 도메인을 CD19 scFv에서 CD47 scFv로 바꾸어 제작하였다. 이때, 사용된 서열은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또한, CD47-특이적 CAR와 함께 발현되는 신호 기전 조절 인자도 다양하게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발현되는 CD47-특이적 CAR-T 세포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모두 발현되는 CAR-T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벡터는 도 29 내지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4>
Figure pat00014
실시예 9. HERV-E TCR-T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과 동일하게, HLA-A11-제한적 HERV-E 에피토프를 발현하는 암세포를 타겟팅하는 HERV-E-특이적 TCR-T를 제조하였다. 다만, CAR 부분을 TCR로 바꾸어 제작하였다. HERV-E-특이적 TCR과 함께 발현하는 신호 기전 조절 인자도 다양하게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발현되는 HERV-E-특이적 TCR-T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모두 발현되는 TCR-T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서열은 하기 표 15 내지 표 24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벡터는 도 39 내지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5>
Figure pat00015
<표 16>
Figure pat00016
<표 17>
Figure pat00017
<표 18>
Figure pat00018
<표 19>
Figure pat00019
<표 20>
Figure pat00020
<표 21>
Figure pat00021
<표 22>
Figure pat00022
<표 23>
Figure pat00023
<표 24>
Figure pat00024
실시예 10. NY-ESO-1-특이적 TCR-T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과 동일하게, HLA-A2-제한적 NY-ESO-1 에피토프를 발현하는 암세포를 타겟팅하는 NY-ESO-1-특이적 TCR-T를 제조하였다. 다만, CAR 부분을 TCR로 바꾸어 제작하였다. NY-ESO-1-특이적 TCR과 함께 발현되는 신호 기전 조절 인자도 다양하게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발현되는 NY-ESO-1-특이적 TCR-T를 각기 제조하였다. 또한, FKBP12 단백질,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nSH2이 모두 발현되는 TCR-T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서열은 하기 표 25 내지 표 34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벡터는 도 44 내지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25>
Figure pat00025
<표 26>
Figure pat00026
<표 27>
Figure pat00027
<표 28>
Figure pat00028
<표 29>
Figure pat00029
<표 30>
Figure pat00030
<표 31>
Figure pat00031
<표 32>
Figure pat00032
<표 33>
Figure pat00033
<표 34>
Figure pat00034
II.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도입된 CAR-T의 활성 확인: In vitro
실험예 1. CAR-T 세포의 항원 수용체 발현 확인
실험예 1.1. 유세포 분석을 통한 CAR 발현 평가
CAR-T 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 표면의 CAR의 발현 및 타겟종양세포의 항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감염 후 4일 후에, CAR-T 세포를 FITC가 표지된 재조합 인간 CD19(Acro, #CD9-HF2H2)로 염색하여 CD19-특이적 CAR를 분석하였다(도 54). 또한, Alexa-Fluor 488이 표지된 AffiniPure F(ab')2 단편 염소 항-인간 IgG(H+L) 항체(Jackson ImmunoResearch, #109-546-003)로 염색하여, Her2-특이적 CAR 발현을 확인하였다(도 69).
또한, PSMA-특이적 CAR의 발현은 Biotin이 표지된 AffiniPure F(ab')2 단편 염소 항-마우스 IgG 항체(F(ab')2 단편 특이적 항체)(Jackson ImmunoResearch, #115-066-006) 및 PE가 표지된 streptavidin(BD Pharmingen, #554061)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도 77).
타겟종양세포의 경우, CD19의 발현은 APC가 표지된 항-인간 CD19 항체(BD Pharmingen, #555415)로 염색하였다(도 58). 각각 염색된 세포에서의 발현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세포 분석기(FACS)는 CytoFLEX S(Beckman Coulter)를 사용하였고, 결과는 CytExpert softwa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예 1.2.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CAR 발현 평가
자극을 주기 시작한 8일 후, 실시예 4에서 제작된 CD19-특이적 CAR-T 세포는 Cyanine 3이 표지된 염소-항-마우스 IgG 항체(Invitrogen, #A10521)로 염색하고(도 55), 실시예 5에서 제작된 Her-특이적 CAR-T 세포는 Alexa-Fluor 488가 표지된 AffiniPure F(ab')2 단편 염소 항-인간 IgG(H+L) 항체(Jackson ImmunoResearch, #109-546-003)(도 70)로 염색하였다. 또한 실시예 6에서 제작된 PSMA-특이적 CAR-T 세포는 Cyanine 3이 표지된 염소-항-마우스 IgG 항체(Invitrogen, #A10521)로 염색하였다(도 78). CAR가 염색된 세포를 eBioscience 용액(eBioscience, #00-5123)에서 20분 간 고정(fixation) 및 투과처리(permeabilization)하였다. 그 후, 시료를 마운팅하고 DAPI가 포함된 ProLong Gold Antifade Mountant 용액(Invitrogen, #P36931)로 핵을 염색하였다.
또 다른 예에서, 자극을 주기 시작한 9일 후, CD19-특이적 CAR-T 세포를 Daudi-Fluc-eGFP 세포와 1:1 비율로 1시간 공배양 후, Cyanine 3이 표지된 염소-항-마우스 IgG 항체 및 DAPI를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세포 이미지는 Optinity HDMI 4K C-Mount Camera KCX-80이 장착된 Optinity KI-2000 현미경을 이용하여 400X배 비율로 촬영하였다(도 56). Daudi-Fluc-EGFP 세포는 세포질내 EGFP의 녹색형광으로 관찰하였다.
실험예 2. T 세포 아형 분석
자극을 주기 시작한 8일 후, 실시예 8에서 제작된 CAR-T 세포에 대하여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T 세포 아형을 분석하였다: CD45RA 및 CCR7 발현 여부에 따라 줄기세포 유사 기억 T 세포(T memory stem cells, CD45RA+CCR7+), 중심 기억 T 세포(central memory T cells, CD45RA-CCR7+), 효과 기억 T 세포(effector memory T cells CD45RA-CCR7-) 및 효과 T 세포(effector T cells, CD45RA+CCR7-)로 분류하였다. CD19-특이적 CAR(+) 세포를 분석하는 경우, CAR를 염색하기 위해서 FITC가 표지된 재조합 인간 CD19 단백질(Acro, #CD9-HF2H2)을 사용하였다. 또한, PSMA-특이적 CAR(+) 세포를 분석하는 경우, CAR를 염색하기 위해서, FITC가 표지된 재조합 인간 PSMA 단백질(Acro, #PSA-HF244)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두 경우 모두 공통적으로, 아래 표 35에 명기된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T 세포 아형을 분석하였다(도 57).
<표 35>
Figure pat00035
실험예 3. 신호 기전 조절 인자의 발현 확인
실험예 3.1. 웨스턴 블롯팅을 통한 단백질 발현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작된 CAR-T 세포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CAR-T 세포를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가 포함된 PROPREP 단백질 추출용액(iNtRON Biotechnology, #17081)으로 용해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CA Protein Assay 키트(Pierce)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동량의 단백질을 SDS-PAGE를 이용하여 전기영동한 후, XCell SureLock Mini-Cell Electrophoresis System and XCell II Blot Module(Invitrogen)을 통해 PVDF 멤브레인에 트랜스퍼하였다. 그 후, 멤브레인을 블로킹 용액(5% 탈지분유 용액)으로 블로킹하고, 1차 항체 및 2차 항체와 순차적으로 반응시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2차 항체는 염소-항-마우스 IgG HRP(Invitrogen, #62-6520) 또는 염소-항-래빗 IgG HRP(Abcam, #ab6721)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발현에 대한 이미지는 Azure C400 Gel Imaging System을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 AzureSpot Analysis 소프트웨어(Azure Biosystems)로 분석하였다(도 59). 실험에 사용된 1차 항체는 아래 표 36과 같다.
<표 36>
Figure pat00036
실험예 3.2.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mRNA 발현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작된 CAR-T 세포에서 mRNA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극을 주기 시작한 8일 후, ISOLATEII RNA Mini 키트(Bioline, #52072)를 이용하여, CAR-T 세포에서 RNA를 분리하였다. 그 후, Nanodrop 1000 분광 광도계(Thermo Scientific)로 정량하였다. 0.5 ㎍ 또는 1 ㎍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후, SensiFAST Probe Hi-ROX One-Step 키트(Bioline, #77001)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quantitative PCR, Q-PCR)을 수행하였다.
GAPDH 유전자를 내부 대조군(internal reference)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2회 반복 진행하였다. 유전자 발현은 ΔΔC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도 60). Q-PCR에 사용된 프라이머(primer)와 TaqMan 프로브(probe)는 아래 표 37과 같다.
<표 37>
Figure pat00037
실험예 4. CAR-T 세포의 활성 확인
실험예 4.1. 타겟종양세포주 및 이의 배양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in vitro 수준에서의 기능 분석에 사용할 타겟종양세포를 제작하기 위하여, 인간 골수성 백혈병 K562 세포(ATCC, #CCL-243)에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인간 CD19 단백질을 안정적으로 발현시켰다(K562-CD19). CD19 특이적 CAR-T 세포의 기능 분석을 위해, in vitro 기능 분석을 위해, 음성 대조군으로 K562 음성 세포를 사용하였다.
또한 반딧불 루시퍼라아제(firefly luciferase)와 에메랄드 그린 형광단백질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인간 B 림프모세포 Daudi 세포(GFP, Imanis, #CL158)를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in vitro 기능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반딧불 루시퍼라아제(firefly luciferase)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인간 B 림프모세포 Daudi 세포를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in vivo 항암효능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인간 B 세포 전구체 백혈병 세포주 Nalm6(ATCC, #CCL-3273)을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in vitro 기능분석에 사용하였다.
반딧불 루시퍼라아제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인간 유방암 세포주 SKBR3(JCRB, #1627.1)를 Her2-특이적 CAR-T 세포의 in vitro 기능 분석과 in vivo 항암효능 분석에 사용하였다. 반딧불 루시퍼라아제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 LNCaP(ATCC, #CRL-1740-LUC2)은 PSMA-특이적 CAT-T 세포의 in vitro 기능 분석에 사용하였다.
K562, K562-CD19, Nalm6 및 Daudi-Fluc-eGFP 타겟종양세포주는 각각의 세포주는 10% FBS(fetal bovine serum)와 항생제-항균제(Gibco, #15240096)가 포함된 RPMI-1640 배지(Gibco, #11875-085)에서 배양하였다. SKBR3-Luc 세포는 10% FBS와 항생제-항균제가 포함된 McCoy's 5a 배지(Gibco, #16600-082)에서 배양하였다. LnCap-Luc 세포는 10% FBS, 항생제-항균제 및 2μg/mL Blasticidin(Gibco, #A1113903)가 포함된 RPMI-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4.2. CAR-T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작된 CAR-T 세포(4×104)를 타겟종양세포와 1:1 비율로 24시간 공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배지를 수득하여 배지 내의 IFNγ, TNFα 및 IL-2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ELISA(R&D Systems)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2회 실험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도 61 내지 도 63/도 71 내지 도 73).
또한 TGF-β1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분비능을 평가하는 경우, 지정된 농도(0 ng/㎖~5 ng/㎖)의 TGF-β1 가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CAR-T 세포(1x105)와 타겟종양세포를 1:1 비율로 24시간 공배양하였다. 결과는 2회 실험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도 64 및 도 65).
형질 도입 시 효율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형질도입 되지 않은 T 세포를 사용하여 형질 도입된 CAR-T 세포수와 T 세포의 총 수를 동일하게 조정한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5. CAR-T 세포의 세포사멸 활성 확인
실험예 5.1. EuTDA 기반으로 한 CAR-T 세포의 세포사멸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작된 CD19-특이적 CAR-T 세포의 타겟종양세포에 대한 세포사멸 활성은 4시간 동안 방출된 EuTDA를 DELFIA 세포독성 측정 키트(PerkinElmer, #AD0116)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타겟종양세포를 DELFIA BATDA 시약과 15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RPMI 1640 배지로 3회 세척하였다. 그 후, 타겟종양세포를 5×104 세포/㎖이 되도록 배양배지에 재현탁하였다. CAR-T 세포를 상기 타겟종양세포(5×103)와 96웰 V-bottom plate에서 소정의 비율로 공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배지(20 ㎕)를 white bottom plate에 옮겨 Europium 용액(200 ㎕)와 섞고 15분 동안 약하게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배지로 방출된 TDA는 SpectraMax iD5 MultiMode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각 실험은 삼중(triplication)으로 진행하였고, 용해도는 형광 측정치를 이용하여 다음의 식을 통해 산출하였다:
<수학식 1>
% 용해도 = {(실험군의 방출값-기본 방출값)/(최대 방출값-기본 방출값)}x100;
이때, 기본 방출값은 타겟종양세포의 자발적 방출에서 측정된 값이며, 최대 방출값은 타겟종양세포를 DELFIA 용해버퍼로 완전용해시킨 후 측정한 값이다.
실험예 5.2. 루시퍼라아제를 기반으로 한 CAR-T 세포의 세포사멸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작한 CAR-T 세포와 반딧불 루시퍼라아제가 발현되는 타겟종양세포(3×104)를 96웰 U-bottom plate에서 소정의 비율로 공배양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2회 반복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75 ㎍/㎖ D-Luciferin potassium salt(PerkinElmer, #122799)를 첨가하고 37℃에서 타겟종양세포별 최적화한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SpectraMax iD5 MultiMode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CAR(+)-T 세포에 의한 타겟종양세포 용해능은 각각의 E:T(effector(CAR-T 세포):target(타겟종양세포)) 비율에서 CAR-T 세포에 의해 유도된 루시퍼레이즈 활성값과 형질 도입되지 않은 T 세포에 의해 유도된 루시퍼레이즈 활성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2회 실험에 대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도 68(하단), 도 75). 각 실험에 있어서, 형질 도입 시 효율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형질도입 되지 않은 T 세포를 사용하여 CAR-T 세포수와 T 세포의 총 수를 동일하게 보정한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6. 세포 이동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작된 CAR-T 세포의 이동능은 8 μm pore의 멤브레인 인서트를 갖춘 트랜스웰(24웰, Corning, #3422)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항-CD3/항-CD28 Dynabeads와 반응시킨 CAR-T 세포에서 bead를 제거한 후, 0.2 ㎍/㎖ 재조합 인간 EGF(Sino Biological, #10605-HNAE)가 첨가된 무혈청 RPMI1640 배지(0.25% 인간 혈청 알부민(GreenCross) 포함)에 CAR-T 세포를 재현탁하였다. 상기 CAR-T 세포를 트랜스웰의 상부 챔버에 로딩하고, 하부 챔버에는 0.25% 인간 혈청 알부민(GreenCross)을 포함한 RPMI1640 배지를 처리하였다. 1시간 배양 후, 하부 챔버로 이동한 세포수를 유세포 분석 및 트리판 블루 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도 66, 도 74).
또한, CAR-T 세포의 항원 자극에 의한 내인성 이동능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CAR-T 세포와 타겟종양세포를 1:1비율로 37℃에서 48시간 배양 후(96웰 U-bottom plate 이용), 세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이때, CAR-T 단독 배양한 실험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도 67).
형질 도입 시 효율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형질도입 되지 않은 T 세포를 사용하여 형질 도입된 CAR-T 세포(CAR(+)-T 세포)수와 T 세포의 총 수를 동일하게 보정한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 1 및 배지 2에 사이토카인을 처리하지 않았으며, 배지 1과 배지 2의 혈청 조성은 상이하다.
II.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도입된 CAR-T의 활성 확인: In vivo
실험예 7. 혈액암 세포 모델을 이용한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도입된 CAR-T 세포의 항암효능 평가(I)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CAR-T 세포_19bbz와 CAR-T 세포_19bbz#F의 항암효능을 용량별(1x106, 3x106, 1x107) 비교 평가하였다. 혈액암 세포 모델로 firefly luciferase 유전자가 도입된 Daudi 암세포주(Daudi-Fluc)를 사용하였다.
혈액암을 유도하기 위해서, 일정기간 순화기간을 거친 건강한 NPG(NOD-Prkdcscid IL2rgnull)(Vital Star, China) 암컷 마우스(7 주령)의 꼬리 좌우측 정맥에 100 ㎕에 제조된 1Х106 Daudi-Fluc 세포를 주입하였다. Daudi-Fluc 암세포주 이식 후, 10일 차에 D-luciferin(PerkinElmer,USA) 용액을 복강주사하고, 10분 후 IVIS 이미징 장비(PerkinElmer, USA)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이후 IVIS Lumina Series Software로 개체별 Luciferase 발현도를 측정한 뒤, 평균값을 계산하여 군분리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CAR-T 세포의 항암효능 평가를 위해서, 100 ㎕에 지정용량(1x106, 3x106, 1x107)의 CAR-T 세포를 마우스 꼬리의 좌우측 정맥에 1 ㎖ 주사기(BD REF328820, 31G)를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암세포 주입 후, 각기 14일, 21일, 28일, 35일, 42일차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D-Luciferin용액을 복강주사하고, IVIS 이미징을 통해 종양 성장을 추적 관찰하였다(도 50). CAR-T 세포_19bbz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 5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CAR-T 세포를 고용량으로 투여시 CAR-T_19bbz#F를 처리한 군에서만 종양의 억제가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혈액암 세포 모델을 이용한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도입된 CAR-T 세포의 항암효능 평가(II)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CAR-T 세포_19bbz#F, CAR-T 세포_19bbz#C, CAR-T 세포_19bbz#M, CAR-T 세포_19bbz#N, CAR-T 세포_19bbz#S1, CAR-T 세포_19bbz#S2, CAR-T 세포_19bbz#TC, CAR-T 세포_19bbz#RG 및 CAR-T 세포_19bbzT의 항암효능을 평가하였다. 혈액암 세포 모델로 firefly luciferase 유전자가 도입된 Daudi 암세포주(Daudi-Fluc)를 사용하였다.
혈액암을 유도하기 위해서, 일정기간 순화기간을 거친 건강한 NPG(NOD-Prkdcscid IL2rgnull)(Vital Star, China) 암컷 마우스(7 주령)의 꼬리 좌우측 정맥에 100 ㎕에 제조된 1Х106 Daudi-Fluc 세포를 주입하였다. Daudi-Fluc 암세포주 이식 후, 10일 차에 D-luciferin(PerkinElmer, USA)용액을 복강주사하고, 10분 후 IVIS 이미징 장비(PerkinElmer, USA)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이후 IVIS Lumina Series Software로 개체별 Luciferase 발현도를 측정한 뒤, 평균값을 계산하여 군분리를 수행하였다.
군분리 후 각각의 CAR-T 세포의 항암효능 평가를 위해서, 100 ㎕에 제조된 1Х107 CAR-T 세포를 마우스 꼬리의 좌우측 정맥에 1 ㎖ 주사기(BD REF328820, 31G)를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암세포 주입 후, 각기 14일, 17일, 21일, 28일과 35일 차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D-Luciferin용액을 복강주사하고, IVIS 이미징을 통해 종양 성장을 추적 관찰하였다(도 7). CAR-T 세포_19bbz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 신호 인자를 과발현하는 CAR-T의 항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고형암 모델을 이용한 신호 기전 조절 인자가 도입된 CAR-T 세포의 항암효능 평가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CAR-T 세포_Hbbz, CAR-T 세포_Hbbz#F 및 CAR-T 세포_Hbbz#FCS2의 항암효능을 평가하였다. Her2를 발현하는 고형암 세포 모델로 firefly luciferase 유전자가 도입된 SKBR3암세포주(SKBR3-Luc)를 사용하였다.
일정기간 순화기간을 거친 건강한 NSGA(NOD-Prkdcscid IL2rgnull)(JA Bio, Korea) 암컷 마우스(7 주령)의 복강에 200 ㎕에 제조된 2Х106 SKBR3-Luc 세포를 주입하였다. SKBR3-Luc 암세포주 이식 후, 14일 차에 D-luciferin(PerkinElmer, USA)용액을 복강주사하고, 10분 후 IVIS 이미징 장비(PerkinElmer, USA)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이후 IVIS Lumina Series Software로 개체별 Luciferase 발현도를 측정한 뒤, 평균값을 계산하여 군분리를 수행하였다.
군분리 후 각각의 CAR-T 세포의 항암효능 평가를 위해서, 100 ㎕에 제조된 CAR T 세포(용량: 1x106 CAR(+)-T 세포)를 마우스 꼬리의 좌우측 정맥에 1 ㎖ 주사기(BD REF328820, 31G)를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암세포 주입 후, 21일차(1 주 Post-CAR T injection), 28일차(2 주 Post-CAR T injection), 35일차(3 주 Post-CAR T injection)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D-Luciferin용액을 복강주사하고, IVIS 이미징을 통해 종양 성장을 추적 관찰하였다. 정량적 이미지 데이터는 Lumina Series Software를 통해 확보하였다. PBS 투여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6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CAR-T 세포가 고형암에서도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110> Immunotech Biopharm Korea Inc. <120> IMMUNE CELLS OVEREXPRESSING EXTERNALLY INTRODUCED SIGNAL REGULATOR, AND USE THEREOF <130> SPD21-007IBK <150> KR 2020-0018169 <151> 2020-02-14 <160> 11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ignal peptide <400> 1 Met Ala Leu Pro Val Thr Ala Leu Leu Leu Pro Leu Ala Leu Leu Leu 1 5 10 15 His Ala Ala Arg Pro 20 <210> 2 <211> 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ignal peptide <400> 2 atggccttac cagtgaccgc cttgctcctg ccgctggcct tgctgctcca cgccgccagg 60 ccg 63 <210> 3 <211> 2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cFv(CD19) <400> 3 Asp Ile Gln Met Thr Gln Thr Thr Ser Ser Leu Ser Ala Ser Leu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Ser Lys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Asp Gly Thr Val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His Thr Ser Arg Leu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Tyr Ser Leu Thr Ile Ser Asn Leu Glu Gln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Phe Cys Gln Gln Gly Asn Thr Leu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Thr Gly Gly Gly Gly Ser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Val Lys Leu Gln Glu 115 120 125 Ser Gly Pro Gly Leu Val Ala Pro Ser Gln Ser Leu Ser Val Thr Cys 130 135 140 Thr Val Ser Gly Val Ser Leu Pro Asp Tyr Gly Val Ser Trp Ile Arg 145 150 155 160 Gln Pro Pro Arg Lys Gly Leu Glu Trp Leu Gly Val Ile Trp Gly Ser 165 170 175 Glu Thr Thr Tyr Tyr Asn Ser Ala Leu Lys Ser Arg Leu Thr Ile Ile 180 185 190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Phe Leu Lys Met Asn Ser Leu Gln 195 200 205 Thr Asp Asp Thr Ala Ile Tyr Tyr Cys Ala Lys His Tyr Tyr Tyr Gly 210 215 220 Gly Ser Tyr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225 230 235 240 Ser Ser <210> 4 <211> 7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cFv(CD19) <400> 4 gacatccaga tgacacagac tacatcctcc ctgtctgcct ctctgggaga cagagtcacc 60 atcagttgca gggcaagtca ggacattagt aaatatttaa attggtatca gcagaaacca 120 gatggaactg ttaaactcct gatctaccat acatcaagat tacactcagg agtcccatca 180 aggttcagtg gcagtgggtc tggaacagat tattctctca ccattagcaa cctggagcaa 240 gaagatattg ccacttactt ttgccaacag ggtaatacgc ttccgtacac gttcggaggg 300 gggaccaagc tggagatcac aggtggcggt ggctcgggcg gtggtgggtc gggtggcggc 360 ggatctgagg tgaaactgca ggagtcagga cctggcctgg tggcgccctc acagagcctg 420 tccgtcacat gcactgtctc aggggtctca ttacccgact atggtgtaag ctggattcgc 480 cagcctccac gaaagggtct ggagtggctg ggagtaatat ggggtagtga aaccacatac 540 tataattcag ctctcaaatc cagactgacc atcatcaagg acaactccaa gagccaagtt 600 ttcttaaaaa tgaacagtct gcaaactgat gacacagcca tttactactg tgccaaacat 660 tattactacg gtggtagcta tgctatggac tactggggcc aaggaacctc agtcaccgtc 720 tcctca 726 <210> 5 <211> 6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hinge and transmembrane domain <400> 5 Thr Thr Thr Pro Ala Pro Arg Pro Pro Thr Pro Ala Pro Thr Ile Ala 1 5 10 15 Ser Gln Pro Leu Ser Leu Arg Pro Glu Ala Cys Arg Pro Ala Ala Gly 20 25 30 Gly Ala Val His Thr Arg Gly Leu Asp Phe Ala Cys Asp Ile Tyr Ile 35 40 45 Trp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Val Leu Leu Leu Ser Leu Val 50 55 60 Ile Thr Leu Tyr Cys 65 <210> 6 <211> 20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hinge and transmembrane domain <400> 6 accacgacgc cagcgccgcg accaccaaca ccggcgccca ccatcgcgtc gcagcccctg 60 tccctgcgcc cagaggcgtg ccggccagcg gcggggggcg cagtgcacac gagggggctg 120 gacttcgcct gtgatatcta catctgggcg cccttggccg ggacttgtgg ggtccttctc 180 ctgtcactgg ttatcaccct ttactgc 207 <210> 7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co-stimulatory domain <400> 7 Lys Arg Gly Arg Lys Lys Leu Leu Tyr Ile Phe Lys Gln Pro Phe Met 1 5 10 15 Arg Pro Val Gln Thr Thr Gln Glu Glu Asp Gly Cys Ser Cys Arg Phe 20 25 30 Pro Glu Glu Glu Glu Gly Gly Cys Glu Leu 35 40 <210> 8 <211> 1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co-stimulatory domain <400> 8 aaacggggca gaaagaaact cctgtatata ttcaaacaac catttatgag accagtacaa 60 actactcaag aggaagatgg ctgtagctgc cgatttccag aagaagaaga aggaggatgt 120 gaactg 126 <210> 9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1st signal transduction domain <400> 9 Arg Val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Pro Ala Tyr Gln Gln Gly 1 5 10 15 Gln Asn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Gly Arg Arg Glu Glu Tyr 20 25 30 Asp Val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Pro Glu Met Gly Gly Lys 35 40 45 Pro Arg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Tyr Asn Glu Leu Gln Lys 50 55 60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Gly Met Lys Gly Glu Arg 65 70 75 80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Gln Gly Leu Ser Thr Ala 85 90 95 Thr Lys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Gln Ala Leu Pro Pro Arg 100 105 110 <210> 10 <211> 3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1st signal transduction domain <400> 10 agagtgaagt tcagcaggag cgcagacgcc cccgcgtacc agcagggcca gaaccagctc 60 tataacgagc tcaatctagg acgaagagag gagtacgatg ttttggacaa gagacgtggc 120 cgggaccctg agatgggggg aaagccgaga aggaagaacc ctcaggaagg cctgtacaat 180 gaactgcaga aagataagat ggcggaggcc tacagtgaga ttgggatgaa aggcgagcgc 240 cggaggggca aggggcacga tggcctttac cagggtctca gtacagccac caaggacacc 300 tacgacgccc ttcacatgca ggccctgccc cctcgc 336 <210> 11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elf-cleavage peptide(P2A) <400> 11 Gly Ser Gly Ala Thr Asn Phe Ser Leu Leu Lys Gln Ala Gly Asp Val 1 5 10 15 Glu Glu Asn Pro Gly Pro 20 <210> 12 <211> 6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elf-cleavage peptide(P2A) <400> 12 ggatccggcg caacaaactt ctctctgctg aaacaagccg gagatgtcga agagaatcct 60 ggaccg 66 <210> 13 <211> 10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FKBP12 <400> 13 Met Gly Val Gln Val Glu Thr Ile Ser Pro Gly Asp Gly Arg Thr Phe 1 5 10 15 Pro Lys Arg Gly Gln Thr Cys Val Val His Tyr Thr Gly Met Leu Glu 20 25 30 Asp Gly Lys Lys Phe Asp Ser Ser Arg Asp Arg Asn Lys Pro Phe Lys 35 40 45 Phe Met Leu Gly Lys Gln Glu Val Ile Arg Gly Trp Glu Glu Gly Val 50 55 60 Ala Gln Met Ser Val Gly Gln Arg Ala Lys Leu Thr Ile Ser Pro Asp 65 70 75 80 Tyr Ala Tyr Gly Ala Thr Gly His Pro Gly Ile Ile Pro Pro His Ala 85 90 95 Thr Leu Val Phe Asp Val Glu Leu Leu Lys Leu Glu 100 105 <210> 14 <211> 3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FKBP12 <400> 14 atgggagtgc aggtggaaac catctcccca ggagacgggc gcaccttccc caagcgcggc 60 cagacctgcg tggtgcacta caccgggatg cttgaagatg gaaagaaatt tgattcctcc 120 cgggacagaa acaagccctt taagtttatg ctaggcaagc aggaggtgat ccgaggctgg 180 gaagaagggg ttgcccagat gagtgtgggt cagagagcca aactgactat atctccagat 240 tatgcctatg gtgccactgg gcacccaggc atcatcccac cacatgccac tctcgtcttc 300 gatgtggagc ttctaaaact ggaa 324 <210> 15 <211> 48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chimeric antigen receptor(19bbz) <400> 15 Met Ala Leu Pro Val Thr Ala Leu Leu Leu Pro Leu Ala Leu Leu Leu 1 5 10 15 His Ala Ala Arg Pro Asp Ile Gln Met Thr Gln Thr Thr Ser Ser Leu 20 25 30 Ser Ala Ser Leu Gly Asp Arg Val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n 35 40 45 Asp Ile Ser Lys Tyr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Asp Gly Thr 50 55 60 Val Lys Leu Leu Ile Tyr His Thr Ser Arg Leu His Ser Gly Val Pro 65 70 75 80 Ser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Ser Leu Thr Ile 85 90 95 Ser Asn Leu Glu Gln Glu Asp Ile Ala Thr Tyr Phe Cys Gln Gln Gly 100 105 110 Asn Thr Leu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Thr 115 120 125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130 135 140 Val Lys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Ala Pro Ser Gln Ser 145 150 155 160 Leu Ser Val Thr Cys Thr Val Ser Gly Val Ser Leu Pro Asp Tyr Gly 165 170 175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Arg Lys Gly Leu Glu Trp Leu Gly 180 185 190 Val Ile Trp Gly Ser Glu Thr Thr Tyr Tyr Asn Ser Ala Leu Lys Ser 195 200 205 Arg Leu Thr Ile Ile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Phe Leu Lys 210 215 220 Met Asn Ser Leu Gln Thr Asp Asp Thr Ala Ile Tyr Tyr Cys Ala Lys 225 230 235 240 His Tyr Tyr Tyr Gly Gly Ser Tyr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245 250 255 Thr Ser Val Thr Val Ser Ser Thr Thr Thr Pro Ala Pro Arg Pro Pro 260 265 270 Thr Pro Ala Pro Thr Ile Ala Ser Gln Pro Leu Ser Leu Arg Pro Glu 275 280 285 Ala Cys Arg Pro Ala Ala Gly Gly Ala Val His Thr Arg Gly Leu Asp 290 295 300 Phe Ala Cys Asp Ile Tyr Ile Trp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305 310 315 320 Val Leu Leu Leu Ser Leu Val Ile Thr Leu Tyr Cys Lys Arg Gly Arg 325 330 335 Lys Lys Leu Leu Tyr Ile Phe Lys Gln Pro Phe Met Arg Pro Val Gln 340 345 350 Thr Thr Gln Glu Glu Asp Gly Cys Ser Cys Arg Phe Pro Glu Glu Glu 355 360 365 Glu Gly Gly Cys Glu Leu Arg Val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370 375 380 Pro Ala Tyr Gln Gln Gly Gln Asn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385 390 395 400 Gly Arg Arg Glu Glu Tyr Asp Val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405 410 415 Pro Glu Met Gly Gly Lys Pro Arg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420 425 430 Tyr Asn Glu Leu Gln Lys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435 440 445 Gly Met Lys Gly Glu Arg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450 455 460 Gln Gly Leu Ser Thr Ala Thr Lys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465 470 475 480 Gln Ala Leu Pro Pro Arg 485 <210> 16 <211> 145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chimeric antigen receptor(19bbz) <400> 16 atggccttac cagtgaccgc cttgctcctg ccgctggcct tgctgctcca cgccgccagg 60 ccggacatcc agatgacaca gactacatcc tccctgtctg cctctctggg agacagagtc 120 accatcagtt gcagggcaag tcaggacatt agtaaatatt taaattggta tcagcagaaa 180 ccagatggaa ctgttaaact cctgatctac catacatcaa gattacactc aggagtccca 240 tcaaggttca gtggcagtgg gtctggaaca gattattctc tcaccattag caacctggag 300 caagaagata ttgccactta cttttgccaa cagggtaata cgcttccgta cacgttcgga 360 ggggggacca agctggagat cacaggtggc ggtggctcgg gcggtggtgg gtcgggtggc 420 ggcggatctg aggtgaaact gcaggagtca ggacctggcc tggtggcgcc ctcacagagc 480 ctgtccgtca catgcactgt ctcaggggtc tcattacccg actatggtgt aagctggatt 540 cgccagcctc cacgaaaggg tctggagtgg ctgggagtaa tatggggtag tgaaaccaca 600 tactataatt cagctctcaa atccagactg accatcatca aggacaactc caagagccaa 660 gttttcttaa aaatgaacag tctgcaaact gatgacacag ccatttacta ctgtgccaaa 720 cattattact acggtggtag ctatgctatg gactactggg gccaaggaac ctcagtcacc 780 gtctcctcaa ccacgacgcc agcgccgcga ccaccaacac cggcgcccac catcgcgtcg 840 cagcccctgt ccctgcgccc agaggcgtgc cggccagcgg cggggggcgc agtgcacacg 900 agggggctgg acttcgcctg tgatatctac atctgggcgc ccttggccgg gacttgtggg 960 gtccttctcc tgtcactggt tatcaccctt tactgcaaac ggggcagaaa gaaactcctg 1020 tatatattca aacaaccatt tatgagacca gtacaaacta ctcaagagga agatggctgt 1080 agctgccgat ttccagaaga agaagaagga ggatgtgaac tgagagtgaa gttcagcagg 1140 agcgcagacg cccccgcgta ccagcagggc cagaaccagc tctataacga gctcaatcta 1200 ggacgaagag aggagtacga tgttttggac aagagacgtg gccgggaccc tgagatgggg 1260 ggaaagccga gaaggaagaa ccctcaggaa ggcctgtaca atgaactgca gaaagataag 1320 atggcggagg cctacagtga gattgggatg aaaggcgagc gccggagggg caaggggcac 1380 gatggccttt accagggtct cagtacagcc accaaggaca cctacgacgc ccttcacatg 1440 caggccctgc cccctcgc 1458 <210> 17 <211> 6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fusion protein(19bbz#F) <400> 17 Met Ala Leu Pro Val Thr Ala Leu Leu Leu Pro Leu Ala Leu Leu Leu 1 5 10 15 His Ala Ala Arg Pro Asp Ile Gln Met Thr Gln Thr Thr Ser Ser Leu 20 25 30 Ser Ala Ser Leu Gly Asp Arg Val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n 35 40 45 Asp Ile Ser Lys Tyr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Asp Gly Thr 50 55 60 Val Lys Leu Leu Ile Tyr His Thr Ser Arg Leu His Ser Gly Val Pro 65 70 75 80 Ser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Ser Leu Thr Ile 85 90 95 Ser Asn Leu Glu Gln Glu Asp Ile Ala Thr Tyr Phe Cys Gln Gln Gly 100 105 110 Asn Thr Leu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Thr 115 120 125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130 135 140 Val Lys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Ala Pro Ser Gln Ser 145 150 155 160 Leu Ser Val Thr Cys Thr Val Ser Gly Val Ser Leu Pro Asp Tyr Gly 165 170 175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Arg Lys Gly Leu Glu Trp Leu Gly 180 185 190 Val Ile Trp Gly Ser Glu Thr Thr Tyr Tyr Asn Ser Ala Leu Lys Ser 195 200 205 Arg Leu Thr Ile Ile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Phe Leu Lys 210 215 220 Met Asn Ser Leu Gln Thr Asp Asp Thr Ala Ile Tyr Tyr Cys Ala Lys 225 230 235 240 His Tyr Tyr Tyr Gly Gly Ser Tyr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245 250 255 Thr Ser Val Thr Val Ser Ser Thr Thr Thr Pro Ala Pro Arg Pro Pro 260 265 270 Thr Pro Ala Pro Thr Ile Ala Ser Gln Pro Leu Ser Leu Arg Pro Glu 275 280 285 Ala Cys Arg Pro Ala Ala Gly Gly Ala Val His Thr Arg Gly Leu Asp 290 295 300 Phe Ala Cys Asp Ile Tyr Ile Trp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305 310 315 320 Val Leu Leu Leu Ser Leu Val Ile Thr Leu Tyr Cys Lys Arg Gly Arg 325 330 335 Lys Lys Leu Leu Tyr Ile Phe Lys Gln Pro Phe Met Arg Pro Val Gln 340 345 350 Thr Thr Gln Glu Glu Asp Gly Cys Ser Cys Arg Phe Pro Glu Glu Glu 355 360 365 Glu Gly Gly Cys Glu Leu Arg Val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370 375 380 Pro Ala Tyr Gln Gln Gly Gln Asn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385 390 395 400 Gly Arg Arg Glu Glu Tyr Asp Val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405 410 415 Pro Glu Met Gly Gly Lys Pro Arg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420 425 430 Tyr Asn Glu Leu Gln Lys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435 440 445 Gly Met Lys Gly Glu Arg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450 455 460 Gln Gly Leu Ser Thr Ala Thr Lys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465 470 475 480 Gln Ala Leu Pro Pro Arg Gly Ser Gly Ala Thr Asn Phe Ser Leu Leu 485 490 495 Lys Gln Ala Gly Asp Val Glu Glu Asn Pro Gly Pro Met Gly Val Gln 500 505 510 Val Glu Thr Ile Ser Pro Gly Asp Gly Arg Thr Phe Pro Lys Arg Gly 515 520 525 Gln Thr Cys Val Val His Tyr Thr Gly Met Leu Glu Asp Gly Lys Lys 530 535 540 Phe Asp Ser Ser Arg Asp Arg Asn Lys Pro Phe Lys Phe Met Leu Gly 545 550 555 560 Lys Gln Glu Val Ile Arg Gly Trp Glu Glu Gly Val Ala Gln Met Ser 565 570 575 Val Gly Gln Arg Ala Lys Leu Thr Ile Ser Pro Asp Tyr Ala Tyr Gly 580 585 590 Ala Thr Gly His Pro Gly Ile Ile Pro Pro His Ala Thr Leu Val Phe 595 600 605 Asp Val Glu Leu Leu Lys Leu Glu 610 615 <210> 18 <211> 18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fusion protein(19bbz#F) <400> 18 atggccttac cagtgaccgc cttgctcctg ccgctggcct tgctgctcca cgccgccagg 60 ccggacatcc agatgacaca gactacatcc tccctgtctg cctctctggg agacagagtc 120 accatcagtt gcagggcaag tcaggacatt agtaaatatt taaattggta tcagcagaaa 180 ccagatggaa ctgttaaact cctgatctac catacatcaa gattacactc aggagtccca 240 tcaaggttca gtggcagtgg gtctggaaca gattattctc tcaccattag caacctggag 300 caagaagata ttgccactta cttttgccaa cagggtaata cgcttccgta cacgttcgga 360 ggggggacca agctggagat cacaggtggc ggtggctcgg gcggtggtgg gtcgggtggc 420 ggcggatctg aggtgaaact gcaggagtca ggacctggcc tggtggcgcc ctcacagagc 480 ctgtccgtca catgcactgt ctcaggggtc tcattacccg actatggtgt aagctggatt 540 cgccagcctc cacgaaaggg tctggagtgg ctgggagtaa tatggggtag tgaaaccaca 600 tactataatt cagctctcaa atccagactg accatcatca aggacaactc caagagccaa 660 gttttcttaa aaatgaacag tctgcaaact gatgacacag ccatttacta ctgtgccaaa 720 cattattact acggtggtag ctatgctatg gactactggg gccaaggaac ctcagtcacc 780 gtctcctcaa ccacgacgcc agcgccgcga ccaccaacac cggcgcccac catcgcgtcg 840 cagcccctgt ccctgcgccc agaggcgtgc cggccagcgg cggggggcgc agtgcacacg 900 agggggctgg acttcgcctg tgatatctac atctgggcgc ccttggccgg gacttgtggg 960 gtccttctcc tgtcactggt tatcaccctt tactgcaaac ggggcagaaa gaaactcctg 1020 tatatattca aacaaccatt tatgagacca gtacaaacta ctcaagagga agatggctgt 1080 agctgccgat ttccagaaga agaagaagga ggatgtgaac tgagagtgaa gttcagcagg 1140 agcgcagacg cccccgcgta ccagcagggc cagaaccagc tctataacga gctcaatcta 1200 ggacgaagag aggagtacga tgttttggac aagagacgtg gccgggaccc tgagatgggg 1260 ggaaagccga gaaggaagaa ccctcaggaa ggcctgtaca atgaactgca gaaagataag 1320 atggcggagg cctacagtga gattgggatg aaaggcgagc gccggagggg caaggggcac 1380 gatggccttt accagggtct cagtacagcc accaaggaca cctacgacgc ccttcacatg 1440 caggccctgc cccctcgcgg atccggcgca acaaacttct ctctgctgaa acaagccgga 1500 gatgtcgaag agaatcctgg accgatggga gtgcaggtgg aaaccatctc cccaggagac 1560 gggcgcacct tccccaagcg cggccagacc tgcgtggtgc actacaccgg gatgcttgaa 1620 gatggaaaga aatttgattc ctcccgggac agaaacaagc cctttaagtt tatgctaggc 1680 aagcaggagg tgatccgagg ctgggaagaa ggggttgccc agatgagtgt gggtcagaga 1740 gccaaactga ctatatctcc agattatgcc tatggtgcca ctgggcaccc aggcatcatc 1800 ccaccacatg ccactctcgt cttcgatgtg gagcttctaa aactggaa 1848 <210> 19 <211> 9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FKBP12(isoform b) <400> 19 Met Gly Val Gln Val Glu Thr Ile Ser Pro Gly Asp Gly Arg Thr Phe 1 5 10 15 Pro Lys Arg Gly Gln Thr Cys Val Val His Tyr Thr Asp Glu Cys Gly 20 25 30 Ser Glu Ser Gln Thr Asp Tyr Ile Ser Arg Leu Cys Leu Trp Cys His 35 40 45 Trp Ala Pro Arg His His Pro Thr Thr Cys His Ser Arg Leu Arg Cys 50 55 60 Gly Ala Ser Lys Thr Gly Met Thr Gly Met Ala Ser Ser Leu Ser Ser 65 70 75 80 Leu Phe Leu Asp Leu Pro Trp Arg Asp Leu Val Pro Pro Asp Met Cys 85 90 95 Thr <210> 20 <211> 23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2 domain of SMAD4 <400> 20 Ala Pro Glu Tyr Trp Cys Ser Ile Ala Tyr Phe Glu Met Asp Val Gln 1 5 10 15 Val Gly Glu Thr Phe Lys Val Pro Ser Ser Cys Pro Ile Val Thr Val 20 25 30 Asp Gly Tyr Val Asp Pro Ser Gly Gly Asp Arg Phe Cys Leu Gly Gln 35 40 45 Leu Ser Asn Val His Arg Thr Glu Ala Ile Glu Arg Ala Arg Leu His 50 55 60 Ile Gly Lys Gly Val Gln Leu Glu Cys Lys Gly Glu Gly Asp Val Trp 65 70 75 80 Val Arg Cys Leu Ser Asp His Ala Val Phe Val Gln Ser Tyr Tyr Leu 85 90 95 Asp Arg Glu Ala Gly Arg Ala Pro Gly Asp Ala Val His Lys Ile Tyr 100 105 110 Pro Ser Ala Tyr Ile Lys Val Phe Asp Leu Arg Gln Cys His Arg Gln 115 120 125 Met Gln Gln Gln Ala Ala Thr Ala Gln Ala Ala Ala Ala Ala Gln Ala 130 135 140 Ala Ala Val Ala Gly Asn Ile Pro Gly Pro Gly Ser Val Gly Gly Ile 145 150 155 160 Ala Pro Ala Ile Ser Leu Ser Ala Ala Ala Gly Ile Gly Val Asp Asp 165 170 175 Leu Arg Arg Leu Cys Ile Leu Arg Met Ser Phe Val Lys Gly Trp Gly 180 185 190 Pro Asp Tyr Pro Arg Gln Ser Ile Lys Glu Thr Pro Cys Trp Ile Glu 195 200 205 Ile His Leu His Arg Ala Leu Gln Leu Leu Asp Glu Val Leu His Thr 210 215 220 Met Pro Ile Ala Asp Pro Gln Pro Leu Asp 225 230 <210> 21 <211> 70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MH2 domain of SMAD4 <400> 21 gctcctgagt attggtgttc cattgcttac tttgaaatgg atgttcaggt aggagagaca 60 tttaaggttc cttcaagctg ccctattgtt actgttgatg gatacgtgga cccttctgga 120 ggagatcgct tttgtttggg tcaactctcc aatgtccaca ggacagaagc cattgagaga 180 gcaaggttgc acataggcaa aggtgtgcag ttggaatgta aaggtgaagg tgatgtttgg 240 gtcaggtgcc ttagtgacca cgcggtcttt gtacagagtt actacttaga cagagaagct 300 gggcgtgcac ctggagatgc tgttcataag atctacccaa gtgcatatat aaaggtcttt 360 gatttgcgtc agtgtcatcg acagatgcag cagcaggcgg ctactgcaca agctgcagca 420 gctgcccagg cagcagccgt ggcaggaaac atccctggcc caggatcagt aggtggaata 480 gctccagcta tcagtctgtc agctgctgct ggaattggtg ttgatgacct tcgtcgctta 540 tgcatactca ggatgagttt tgtgaaaggc tggggaccgg attacccaag acagagcatc 600 aaagaaacac cttgctggat tgaaattcac ttacaccggg ccctccagct cctagacgaa 660 gtacttcata ccatgccgat tgcagaccca caacctttag ac 702 <210> 22 <211> 3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terminal domain of SKI <400> 22 Met Glu Ala Ala Ala Gly Gly Arg Gly Cys Phe Gln Pro His Pro Gly 1 5 10 15 Leu Gln Lys Thr Leu Glu Gln Phe His Leu Ser Ser Met Ser Ser Leu 20 25 30 Gly Gly Pro Ala Ala Phe Ser Ala Arg Trp Ala Gln Glu Ala Tyr Lys 35 40 45 Lys Glu Ser Ala Lys Glu Ala Gly Ala Ala Ala Val Pro Ala Pro Val 50 55 60 Pro Ala Ala Thr Glu Pro Pro Pro Val Leu His Leu Pro Ala Ile Gln 65 70 75 80 Pro Pro Pro Pro Val Leu Pro Gly Pro Phe Phe Met Pro Ser Asp Arg 85 90 95 Ser Thr Glu Arg Cys Glu Thr Val Leu Glu Gly Glu Thr Ile Ser Cys 100 105 110 Phe Val Val Gly Gly Glu Lys Arg Leu Cys Leu Pro Gln Ile Leu Asn 115 120 125 Ser Val Leu Arg Asp Phe Ser Leu Gln Gln Ile Asn Ala Val Cys Asp 130 135 140 Glu Leu His Ile Tyr Cys Ser Arg Cys Thr Ala Asp Gln Leu Glu Ile 145 150 155 160 Leu Lys Val Met Gly Ile Leu Pro Phe Ser Ala Pro Ser Cys Gly Leu 165 170 175 Ile Thr Lys Thr Asp Ala Glu Arg Leu Cys Asn Ala Leu Leu Tyr Gly 180 185 190 Gly Ala Tyr Pro Pro Pro Cys Lys Lys Glu Leu Ala Ala Ser Leu Ala 195 200 205 Leu Gly Leu Glu Leu Ser Glu Arg Ser Val Arg Val Tyr His Glu Cys 210 215 220 Phe Gly Lys Cys Lys Gly Leu Leu Val Pro Glu Leu Tyr Ser Ser Pro 225 230 235 240 Ser Ala Ala Cys Ile Gln Cys Leu Asp Cys Arg Leu Met Tyr Pro Pro 245 250 255 His Lys Phe Val Val His Ser His Lys Ala Leu Glu Asn Arg Thr Cys 260 265 270 His Trp Gly Phe Asp Ser Ala Asn Trp Arg Ala Tyr Ile Leu Leu Ser 275 280 285 Gln Asp Tyr Thr Gly Lys Glu Glu Gln Ala Arg Leu Gly Arg Cys Leu 290 295 300 Asp Asp Val Lys Glu Lys Phe Asp Tyr Gly Asn 305 310 315 <210> 23 <211> 9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N-terminal domain of SKI <400> 23 atggaggcgg cggcaggcgg ccgcggctgt ttccagccgc acccggggct gcagaagacg 60 ctggagcagt tccacctgag ctccatgagc tcgctgggcg gcccggccgc tttctcggcg 120 cgctgggcgc aggaggccta caagaaggag agcgccaagg aggcgggcgc ggccgcggtg 180 ccggcgccgg tgcccgcagc caccgagccg ccgcccgtgc tgcacctgcc cgccatccag 240 ccgccgccgc ccgtgctgcc cgggcccttc ttcatgccgt ccgaccgctc caccgagcgc 300 tgcgagaccg tactggaagg cgagaccatc tcgtgcttcg tggtgggagg cgagaagcgc 360 ctgtgtctgc cgcagattct caactcggtg ctgcgcgact tctcgctgca gcagatcaac 420 gcggtgtgcg acgagctcca catctactgc tcgcgctgca cggccgacca gctggagatc 480 ctcaaagtca tgggcatcct gcccttctcg gcgccctcgt gcgggctcat caccaagacg 540 gacgccgagc gcctgtgcaa cgcgctgctc tacggcggcg cctacccgcc gccctgcaag 600 aaggagctgg ccgccagcct ggcgctgggc ctggagctca gcgagcgcag cgtccgcgtg 660 taccacgagt gcttcggcaa gtgtaagggg ctgctggtgc ccgagctcta cagcagcccg 720 agcgccgcct gcatccagtg cctggactgc cgcctcatgt acccgccgca caagttcgtg 780 gtgcactcgc acaaggccct ggagaaccgg acctgccact ggggcttcga ctcggccaac 840 tggcgggcct acatcctgct gagccaggat tacacgggca aggaggagca ggcgcgcctc 900 ggccgctgcc tggacgacgt gaaggagaaa ttcgactatg gcaac 945 <210> 24 <211> 16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A (PPIA) <400> 24 Met Val Asn Pro Thr Val Phe Phe Asp Ile Ala Val Asp Gly Glu Pro 1 5 10 15 Leu Gly Arg Val Ser Phe Glu Leu Phe Ala Asp Lys Val Pro Lys Thr 20 25 30 Ala Glu Asn Phe Arg Ala Leu Ser Thr Gly Glu Lys Gly Phe Gly Tyr 35 40 45 Lys Gly Ser Cys Phe His Arg Ile Ile Pro Gly Phe Met Cys Gln Gly 50 55 60 Gly Asp Phe Thr Arg His Asn Gly Thr Gly Gly Lys Ser Ile Tyr Gly 65 70 75 80 Glu Lys Phe Glu Asp Glu Asn Phe Ile Leu Lys His Thr Gly Pro Gly 85 90 95 Ile Leu Ser Met Ala Asn Ala Gly Pro Asn Thr Asn Gly Ser Gln Phe 100 105 110 Phe Ile Cys Thr Ala Lys Thr Glu Trp Leu Asp Gly Lys His Val Val 115 120 125 Phe Gly Lys Val Lys Glu Gly Met Asn Ile Val Glu Ala Met Glu Arg 130 135 140 Phe Gly Ser Arg Asn Gly Lys Thr Ser Lys Lys Ile Thr Ile Ala Asp 145 150 155 160 Cys Gly Gln Leu Glu 165 <210> 25 <211> 49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CypA (PPIA) <400> 25 atggtcaacc ccaccgtgtt cttcgacatt gccgtcgacg gcgagccctt gggccgcgtc 60 tcctttgagc tgtttgcaga caaggtccca aagacagcag aaaattttcg tgctctgagc 120 actggagaga aaggatttgg ttataagggt tcctgctttc acagaattat tccagggttt 180 atgtgtcagg gtggtgactt cacacgccat aatggcactg gtggcaagtc catctatggg 240 gagaaatttg aagatgagaa cttcatccta aagcatacgg gtcctggcat cttgtccatg 300 gcaaatgctg gacccaacac aaatggttcc cagtttttca tctgcactgc caagactgag 360 tggttggatg gcaagcatgt ggtgtttggc aaagtgaaag aaggcatgaa tattgtggag 420 gccatggagc gctttgggtc caggaatggc aagaccagca agaagatcac cattgctgac 480 tgtggacaac tcgaa 495 <210> 26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terminal SH2 domain of SHP-1 <400> 26 Met Val Arg Trp Phe His Arg Asp Leu Ser Gly Leu Asp Ala Glu Thr 1 5 10 15 Leu Leu Lys Gly Arg Gly Val His Gly Ser Phe Leu Ala Arg Pro Ser 20 25 30 Arg Lys Asn Gln Gly Asp Phe Ser Leu Ser Val Arg Val Gly Asp Gln 35 40 45 Val Thr His Ile Arg Ile Gln Asn Ser Gly Asp Phe Tyr Asp Leu Tyr 50 55 60 Gly Gly Glu Lys Phe Ala Thr Leu Thr Glu Leu Val Glu Tyr Tyr Thr 65 70 75 80 Gln Gln Gln Gly Val Leu Gln Asp Arg Asp Gly Thr Ile Ile His Leu 85 90 95 Lys Tyr Pro Leu Asn Cys Ser Asp Pro Thr Ser 100 105 <210> 27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N-terminal SH2 domain of SHP-1 <400> 27 atggtgaggt ggtttcaccg agacctcagt gggctggatg cagagaccct gctcaagggc 60 cgaggtgtcc acggtagctt cctggctcgg cccagtcgca agaaccaggg tgacttctcg 120 ctctccgtca gggtggggga tcaggtgacc catattcgga tccagaactc aggggatttc 180 tatgacctgt atggagggga gaagtttgcg actctgacag agctggtgga gtactacact 240 cagcagcagg gtgtcctgca ggaccgcgac ggcaccatca tccacctcaa gtacccgctg 300 aactgctccg atcccactag t 321 <210> 28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terminal SH2 domain of SHP-2 <400> 28 Met Thr Ser Arg Arg Trp Phe His Pro Asn Ile Thr Gly Val Glu Ala 1 5 10 15 Glu Asn Leu Leu Leu Thr Arg Gly Val Asp Gly Ser Phe Leu Ala Arg 20 25 30 Pro Ser Lys Ser Asn Pro Gly Asp Phe Thr Leu Ser Val Arg Arg Asn 35 40 45 Gly Ala Val Thr His Ile Lys Ile Gln Asn Thr Gly Asp Tyr Tyr Asp 50 55 60 Leu Tyr Gly Gly Glu Lys Phe Ala Thr Leu Ala Glu Leu Val Gln Tyr 65 70 75 80 Tyr Met Glu His His Gly Gln Leu Lys Glu Lys Asn Gly Asp Val Ile 85 90 95 Glu Leu Lys Tyr Pro Leu Asn Cys Ala Asp Pro 100 105 <210> 29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N-terminal SH2 domain of SHP-2 <400> 29 atgacatcgc ggagatggtt tcacccaaat atcactggtg tggaggcaga aaacctactg 60 ttgacaagag gagttgatgg cagttttttg gcaaggccta gtaaaagtaa ccctggagac 120 ttcacacttt ccgttagaag aaatggagct gtcacccaca tcaagattca gaacactggt 180 gattactatg acctgtatgg aggggagaaa tttgccactt tggctgagtt ggtccagtat 240 tacatggaac atcacgggca attaaaagag aagaatggag atgtcattga gcttaaatat 300 cctctgaact gtgcagatcc t 321 <210> 30 <211> 18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ternal Cytoplasmic domain of TLR4 <400> 30 Lys Phe Tyr Phe His Leu Met Leu Leu Ala Gly Cys Ile Lys Tyr Gly 1 5 10 15 Arg Gly Glu Asn Ile Tyr Asp Ala Phe Val Ile Tyr Ser Ser Gln Asp 20 25 30 Glu Asp Trp Val Arg Asn Glu Leu Val Lys Asn Leu Glu Glu Gly Val 35 40 45 Pro Pro Phe Gln Leu Cys Leu His Tyr Arg Asp Phe Ile Pro Gly Val 50 55 60 Ala Ile Ala Ala Asn Ile Ile His Glu Gly Phe His Lys Ser Arg Lys 65 70 75 80 Val Ile Val Val Val Ser Gln His Phe Ile Gln Ser Arg Trp Cys Ile 85 90 95 Phe Glu Tyr Glu Ile Ala Gln Thr Trp Gln Phe Leu Ser Ser Arg Ala 100 105 110 Gly Ile Ile Phe Ile Val Leu Gln Lys Val Glu Lys Thr Leu Leu Arg 115 120 125 Gln Gln Val Glu Leu Tyr Arg Leu Leu Ser Arg Asn Thr Tyr Leu Glu 130 135 140 Trp Glu Asp Ser Val Leu Gly Arg His Ile Phe Trp Arg Arg Leu Arg 145 150 155 160 Lys Ala Leu Leu Asp Gly Lys Ser Trp Asn Pro Glu Gly Thr Val Gly 165 170 175 Thr Gly Cys Asn Trp Gln Glu Ala Thr Ser Ile 180 185 <210> 31 <211> 56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Internal Cytoplasmic domain of TLR4 <400> 31 aagttctatt ttcacctgat gcttcttgct ggctgcataa agtatggtag aggtgaaaac 60 atctatgatg cctttgttat ctactcaagc caggatgagg actgggtaag gaatgagcta 120 gtaaagaatt tagaagaagg ggtgcctcca tttcagctct gccttcacta cagagacttt 180 attcccggtg tggccattgc tgccaacatc atccatgaag gtttccataa aagccgaaag 240 gtgattgttg tggtgtccca gcacttcatc cagagccgct ggtgtatctt tgaatatgag 300 attgctcaga cctggcagtt tctgagcagt cgtgctggta tcatcttcat tgtcctgcag 360 aaggtggaga agaccctgct caggcagcag gtggagctgt accgccttct cagcaggaac 420 acttacctgg agtgggagga cagtgtcctg gggcggcaca tcttctggag acgactcaga 480 aaagccctgc tggatggtaa atcatggaat ccagaaggaa cagtgggtac aggatgcaat 540 tggcaggaag caacatctat c 561 <210> 32 <211> 20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23V mutant of TC21 (RRAS2) <400> 32 Met Ala Ala Ala Gly Trp Arg Asp Gly Ser Gly Gln Glu Lys Tyr Arg 1 5 10 15 Leu Val Val Val Gly Gly Val Gly Val Gly Lys Ser Ala Leu Thr Ile 20 25 30 Gln Phe Ile Gln Ser Tyr Phe Val Thr Asp Tyr Asp Pro Thr Ile Glu 35 40 45 Asp Ser Tyr Thr Lys Gln Cys Val Ile Asp Asp Arg Ala Ala Arg Leu 50 55 60 Asp Ile Leu Asp Thr Ala Gly Gln Glu Glu Phe Gly Ala Met Arg Glu 65 70 75 80 Gln Tyr Met Arg Thr Gly Glu Gly Phe Leu Leu Val Phe Ser Val Thr 85 90 95 Asp Arg Gly Ser Phe Glu Glu Ile Tyr Lys Phe Gln Arg Gln Ile Leu 100 105 110 Arg Val Lys Asp Arg Asp Glu Phe Pro Met Ile Leu Ile Gly Asn Lys 115 120 125 Ala Asp Leu Asp His Gln Arg Gln Val Thr Gln Glu Glu Gly Gln Gln 130 135 140 Leu Ala Arg Gln Leu Lys Val Thr Tyr Met Glu Ala Ser Ala Lys Ile 145 150 155 160 Arg Met Asn Val Asp Gln Ala Phe His Glu Leu Val Arg Val Ile Arg 165 170 175 Lys Phe Gln Glu Gln Glu Cys Pro Pro Ser Pro Glu Pro Thr Arg Lys 180 185 190 Glu Lys Asp Lys Lys Gly Cys His Cys Val Ile Phe 195 200 <210> 33 <211> 61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G23V mutant of TC21 (RRAS2) <400> 33 atggccgcgg ccggctggcg ggacggctcc ggccaggaga agtaccggct cgtggtggtc 60 ggcggggtcg gcgtgggcaa gtcggcgctc accatccagt tcatccagtc ctattttgta 120 acggattatg atccaaccat tgaagattct tacacaaagc agtgtgtgat agatgacaga 180 gcagcccggc tagatatttt ggatacagca ggacaagaag agtttggagc catgagagaa 240 cagtatatga ggactggcga aggcttcctg ttggtctttt cagtcacaga tagaggcagt 300 tttgaagaaa tctataagtt tcaaagacag attctcagag taaaggatcg tgatgagttc 360 ccaatgattt taattggtaa taaagcagat ctggatcatc aaagacaggt aacacaggaa 420 gaaggacaac agttagcacg gcagcttaag gtaacataca tggaggcatc agcaaagatt 480 aggatgaatg tagatcaagc tttccatgaa cttgtccggg ttatcaggaa atttcaagag 540 caggaatgtc ctccttcacc agaaccaaca cggaaagaaa aagacaagaa aggctgccat 600 tgtgtcattt tc 612 <210> 34 <211> 19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61V mutant of RhoG <400> 34 Met Gln Ser Ile Lys Cys Val Val Val Gly Asp Gly Ala Val Gly Lys 1 5 10 15 Thr Cys Leu Leu Ile Cys Tyr Thr Thr Asn Ala Phe Pro Lys Glu Tyr 20 25 30 Ile Pro Thr Val Phe Asp Asn Tyr Ser Ala Gln Ser Ala Val Asp Gly 35 40 45 Arg Thr Val Asn Leu Asn Leu Trp Asp Thr Ala Gly Val Glu Glu Tyr 50 55 60 Asp Arg Leu Arg Thr Leu Ser Tyr Pro Gln Thr Asn Val Phe Val Ile 65 70 75 80 Cys Phe Ser Ile Ala Ser Pro Pro Ser Tyr Glu Asn Val Arg His Lys 85 90 95 Trp His Pro Glu Val Cys His His Cys Pro Asp Val Pro Ile Leu Leu 100 105 110 Val Gly Thr Lys Lys Asp Leu Arg Ala Gln Pro Asp Thr Leu Arg Arg 115 120 125 Leu Lys Glu Gln Gly Gln Ala Pro Ile Thr Pro Gln Gln Gly Gln Ala 130 135 140 Leu Ala Lys Gln Ile His Ala Val Arg Tyr Leu Glu Cys Ser Ala Leu 145 150 155 160 Gln Gln Asp Gly Val Lys Glu Val Phe Ala Glu Ala Val Arg Ala Val 165 170 175 Leu Asn Pro Thr Pro Ile Lys Arg Gly Arg Ser Cys Ile Leu Leu 180 185 190 <210> 35 <211> 5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Q61V mutant of RhoG <400> 35 atgcagagca tcaagtgcgt ggtggtgggt gatggggctg tgggcaagac gtgcctgctc 60 atctgctaca caactaacgc tttccccaaa gagtacatcc ccaccgtgtt cgacaattac 120 agcgcgcaga gcgcagttga cgggcgcaca gtgaacctga acctgtggga cactgcgggc 180 gtggaggagt atgaccgcct ccgtacactc tcctaccctc agaccaacgt tttcgtcatc 240 tgtttctcca ttgccagtcc gccgtcctat gagaacgtgc ggcacaagtg gcatccagag 300 gtgtgccacc actgccctga tgtgcccatc ctgctggtgg gcaccaagaa ggacctgaga 360 gcccagcctg acaccctacg gcgcctcaag gagcagggcc aggcgcccat cacaccgcag 420 cagggccagg cactggccaa gcagatccac gctgtgcgct acctcgaatg ctcagccctg 480 caacaggatg gtgtcaagga agtgttcgcc gaggctgtcc gggctgtgct caaccccacg 540 ccgatcaagc gtgggcggtc ctgcatcctc ttgtga 576 <210> 3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KBP12 Forward <400> 36 gacctgcgtg gtgcacta 18 <210> 3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KBP12 Reverse <400> 37 cccgggagga atcaaatttc 20 <210> 38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KBP12 TaqMan Probe <400> 38 cgggatgctt gaagat 16 <210> 3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clophilin A Forward <400> 39 gcaaagtgaa agaaggcatg aa 22 <210> 4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clophilin A Reverse <400> 40 ccattcctgg acccaaagc 19 <210> 41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clophilin A TaqMan Probe <400> 41 tccatggcct ccacaat 17 <210> 42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terminal SH2 domain of SHP2 Forward <400> 42 cgggatgctt gaagat 16 <210> 4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terminal SH2 domain of SHP2 Reverse <400> 43 ttctcccctc catacaggtc at 22 <210> 4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terminal SH2 domain of SHP2 Probe <400> 44 tcagaacact ggtgattac 19 <210> 45 <211> 2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cFv(Her2) <400> 45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Val Asn Thr Ala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Ser Ala Ser Phe Leu Tyr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Arg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His Tyr Thr Thr Pro Pro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Gly Gly Gly Gly Ser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Val Gln Leu Val Glu 115 120 125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Ser Leu Arg Leu Ser Cys 130 135 140 Ala Ala Ser Gly Phe Asn Ile Lys Asp Thr Tyr Ile His Trp Val Arg 145 150 155 160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Ala Arg Ile Tyr Pro Thr 165 170 175 Asn Gly Tyr Thr Arg Tyr Ala Asp Ser Val Lys Gly Arg Phe Thr Ile 180 185 190 Ser Ala Asp Thr Ser Lys Asn Thr Ala Tyr Leu Gln Met Asn Ser Leu 195 200 205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Ser Arg Trp Gly Gly Asp 210 215 220 Gly Phe Tyr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225 230 235 240 Ser Ser <210> 46 <211> 7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cFv(Her2) <400> 46 gacatccaga tgacccagtc tccgtcttct ctgtctgctt ctgttggtga ccgtgttacc 60 atcacctgcc gtgcttctca ggacgttaac accgctgttg cttggtacca gcagaaaccg 120 ggtaaagctc cgaaactgct gatctactct gcttctttcc tgtactctgg tgttccgtct 180 cgtttctctg gttctcgttc tggtaccgac ttcaccctga ccatctcttc tctgcagccg 240 gaagacttcg ctacctacta ctgccagcag cactacacca ccccgccgac cttcggtcag 300 ggtaccaaag ttgaaatcaa aggtggcggt ggctcgggcg gtggtgggtc gggtggcggc 360 ggatctgaag ttcagctggt tgaatctggt ggtggtctgg ttcagccggg tggttctctg 420 cgtctgtctt gcgctgcttc tggtttcaac atcaaagaca cctacatcca ctgggttcgt 480 caggctccgg gtaaaggtct ggaatgggtt gctcgtatct acccgaccaa cggttacacc 540 cgttacgctg actctgttaa aggtcgtttc accatctctg ctgacacctc taaaaacacc 600 gcttacctgc agatgaactc tctgcgtgct gaagacaccg ctgtttacta ctgctctcgt 660 tggggtggtg acggtttcta cgctatggac tactggggtc agggtaccct ggttaccgtt 720 tcttct 726 <210> 47 <211> 24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cFv(CD43) <400> 47 Asp Thr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Val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Ser Asn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Ala Thr Ser Arg Leu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Ser Asn Met Phe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Gly Gly Gly Gly Ser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n Val Gln Leu Val Gln 115 120 125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Ser Val Lys Val Ser Cys 130 135 140 Lys Ala Ser Gly Tyr Thr Phe Asn Gly Tyr Phe Met Asn Trp Val Arg 145 150 155 160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Arg Met Gly Arg Ile Asn Pro Asn 165 170 175 Asn Gly Asp Ser Phe Tyr Asn Gln Lys Phe Gln Gly Arg Val Thr Met 180 185 190 Thr Arg Asp Thr Ser Thr Ser Thr Val Tyr Met Glu Leu Pro Ser Leu 195 200 205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Arg Glu Gly Tyr Tyr 210 215 220 Gly Gly Arg Gly Tyr Ala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225 230 235 240 Thr Val Ser Ser <210> 48 <211> 7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cFv(CD43) <400> 48 gacacccaga tgacacagag ccctagctcc gtgtctgcca gcgtgggaga cagagtgacc 60 atcacctgta gagccagcca ggacatcagc aactacctga actggtatca gcagaagccc 120 ggcaaggccc ctaagctgct gatctacgcc acaagcagac tgcacagcgg cgtgccaagc 180 agattttctg gcagcggctc tggcaccgac ttcaccctga ccatatctag cctgcagcct 240 gaggacttcg ccacctacta ctgccagcag agcaacatgt tcccctacac ctttggccag 300 ggcaccaagc tggaaatcaa aggcggcgga ggatctggcg gaggtggaag tggcggaggc 360 ggatctcaag ttcagctggt tcagtctggc gccgaagtga agaaacctgg cgcctctgtg 420 aaggtgtcct gcaaggccag cggctacacc ttcaacggct acttcatgaa ctgggtccga 480 caggcccctg gacagggact cgaaagaatg ggcagaatca accccaacaa cggcgacagc 540 ttctacaacc agaaattcca gggccgcgtg accatgacca gagacaccag cacaagcacc 600 gtgtacatgg aactgcccag cctgagaagc gaggacaccg ccgtgtacta ctgtgccaga 660 gagggctatt acggcggcag aggctacgcc ctggattatt ggggacaggg cacactggtc 720 accgtgtcta gc 732 <210> 49 <211> 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ignal peptide(CD47) <400> 49 atggccctgc ccgtgacagc cctgctgctg cccctggccc tgctgctgca cgccgcccgg 60 ccc 63 <210> 50 <211> 2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cFv(CD47) <400> 50 Ala Ser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1 5 10 15 Gly Gly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20 25 30 Gly Tyr Gly Met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Val Ala Thr Ile Thr Ser Gly Gly Thr Tyr Thr Tyr Tyr Pro Asp 50 55 60 Ser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65 70 75 80 Leu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85 90 95 Tyr Cys Ala Arg Ser Leu Ala Gly Asn Ala Met Asp Tyr Trp Gly Gln 100 105 110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115 120 125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130 135 140 Thr Leu Ser Leu Ser Pro Gly Glu Arg Ala Thr Leu Ser Cys Arg Ala 145 150 155 160 Ser Gln Ser Ile Ser Asp Tyr Leu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165 170 175 Gln Ala Pro Arg Leu Leu Ile Tyr Phe Ala Ser Gln Arg Ala Thr Gly 180 185 190 Ile Pro Ala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195 200 205 Thr Ile Ser Ser Leu Glu Pro Glu Asp Phe Ala Val Tyr Tyr Cys Gln 210 215 220 Gln Gly His Gly Phe Pro Arg Thr Phe Gly Gly Gly Thr Lys Val Glu 225 230 235 240 Ile Lys <210> 51 <211> 7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cFv(CD47) <400> 51 gcctccgagg tgcagctggt ggagagcggg ggggggctcg tgcagcctgg gggctccctg 60 aggctcagct gcgccgcctc cgggttcacc ttctccgggt acgggatgag ctgggtgagg 120 caggcccccg gcaagggcct ggagtgggtc gccaccatca cctccggcgg cacatacacc 180 tactaccccg acagcgtgaa gggccggttc acaattagcc gggataacgc caagaacagc 240 ctgtacctgc agatgaacag cctgagggcc gaggacactg ccgtgtacta ctgcgccagg 300 agcctggccg gcaacgcaat ggattactgg gggcagggca cactggtgac agtgagcagc 360 ggcgggggcg ggagcggggg cggggggagc ggcggggggg gcagcgagat tgtgctcacc 420 cagtcccccg ccaccctgag cctgagcccc ggcgagaggg ccacactgtc gtgccgggcc 480 agccagtcca tctccgacta cctgcactgg tatcagcaga agcccggcca ggcccctagg 540 ctgctgatct acttcgccag ccagagggcc accgggattc ctgccaggtt cagcggcagc 600 gggagcggga ctgattttac actgacaatt tctagtttgg aacctgaaga tttcgctgtg 660 tattactgcc agcagggaca cggctttcct agaacatttg gaggaggaac aaaggtggag 720 attaag 726 <210> 52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ignal peptide(PSMA) <400> 52 Met Gly Trp Ser Cys Ile Ile Leu Phe Leu Val Ala Thr Ala Thr Gly 1 5 10 15 Val His Ser <210> 53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ignal peptide(PSMA) <400> 53 atgggatggt catgtatcat cctttttcta gtagcaactg caactggagt acattca 57 <210> 54 <211> 2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cFv(PSMA) <400> 54 Asp Ile Val Met Thr Gln Ser His Lys Phe Met Ser Thr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Ser Ile Ile Cys Lys Ala Ser Gln Asp Val Gly Thr Ala 20 25 30 Val Asp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Ser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rp Ala Ser Thr Arg His Thr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Thr Asn Val Gln Ser 65 70 75 80 Glu Asp Leu Ala Asp Tyr Phe Cys Gln Gln Tyr Asn Ser Tyr Pro Leu 85 90 95 Thr Phe Gly Ala Gly Thr Met Leu Asp Leu Lys Arg Gly Gly Gly Gly 100 105 110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Val Gln Leu Gln 115 120 125 Gln Ser Gly Pro Glu Leu Lys Lys Pro Gly Thr Ser Val Arg Ile Ser 130 135 140 Cys Lys Thr Ser Gly Tyr Thr Phe Thr Glu Tyr Thr Ile His Trp Val 145 150 155 160 Lys Gln Ser His Gly Lys Ser Leu Glu Trp Ile Gly Asn Ile Asn Pro 165 170 175 Asn Asn Gly Gly Thr Thr Tyr Asn Gln Lys Phe Glu Asp Lys Ala Thr 180 185 190 Leu Thr Val Asp Lys Ser Ser Ser Thr Ala Tyr Met Glu Leu Arg Ser 195 200 205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Ala Ala Gly Trp Asn 210 215 220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Thr Leu Thr Val Ser Ser 225 230 235 <210> 55 <211> 7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for scFv(PSMA) <400> 55 gacatcgtga tgacccagag ccacaagttc atgagcacca gcgtgggcga cagagtgtcc 60 atcatctgca aggccagcca ggacgtggga accgccgtgg actggtacca gcagaaacct 120 ggccagagtc ctaagctgct gatctactgg gcctctacaa gacacaccgg cgtgcctgat 180 agattcaccg gctctggcag cggcaccgac ttcaccctga caatcaccaa cgtgcagagc 240 gaggacctgg ccgactactt ctgccagcaa tacaacagct accccctgac cttcggcgcc 300 ggcacaatgc tggacctgaa gcggggtggc ggtggctcgg gcggtggtgg gtcgggtggc 360 ggcggatctg aggtgcagct gcagcagtct ggtcctgagc tgaagaagcc cggcacaagc 420 gtgcggatca gctgtaaaac cagcggctac accttcaccg agtacaccat ccactgggtc 480 aagcagagcc acggcaagtc cctggaatgg atcggcaaca tcaaccccaa caacggcgga 540 acaacctaca accagaagtt cgaggacaag gccacactga ccgtggacaa gagcagcagc 600 accgcctaca tggaactgag aagcctgaca agtgaagata gcgccgtgta ctactgcgcc 660 gctggctgga acttcgacta ctggggccag ggcaccaccc tgaccgtgtc cagc 714 <210> 56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for self-cleavage peptide(P2A) <400> 56 Ala Thr Asn Phe Ser Leu Leu Lys Gln Ala Gly Asp Val Glu Glu Asn 1 5 10 15 Pro Gly Pro <210> 57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signal peptide for TCR alpha(HERV-E) <400> 57 Met Lys Arg Ile Leu Gly Ala Leu Leu Gly Leu Leu Ser Ala Gln Val 1 5 10 15 Cys Cys Val Arg Gly 20 <210> 58 <211> 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signal peptide for TCR alpha(HERV-E) <400> 58 atgaagagga tattgggagc tctgctgggg ctcttgagtg cccaggtttg ctgtgtgaga 60 gga 63 <210> 59 <211> 25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TCR alpha(HERV-E) <400> 59 Ile Gln Val Glu Gln Ser Pro Pro Asp Leu Ile Leu Gln Glu Gly Ala 1 5 10 15 Asn Ser Thr Leu Arg Cys Asn Phe Ser Asp Ser Val Asn Asn Leu Gln 20 25 30 Trp Phe His Gln Asn Pro Trp Gly Gln Leu Ile Asn Leu Phe Tyr Ile 35 40 45 Pro Ser Gly Thr Lys Gln Asn Gly Arg Leu Ser Ala Thr Thr Val Ala 50 55 60 Thr Glu Arg Tyr Ser Leu Leu Tyr Ile Ser Ser Ser Gln Thr Thr Asp 65 70 75 80 Ser Gly Val Tyr Phe Cys Ala Val Arg Gly Gly Ala Asp Gly Leu Thr 85 90 95 Phe Gly Lys Gly Thr His Leu Ile Ile Gln Pro Tyr Ile Gln Asn Pro 100 105 110 Asp Pro Ala Val Tyr Gln Leu Arg Asp Ser Lys Ser Ser Asp Lys Ser 115 120 125 Val Cys Leu Phe Thr Asp Phe Asp Ser Gln Thr Asn Val Ser Gln Ser 130 135 140 Lys Asp Ser Asp Val Tyr Ile Thr Asp Lys Thr Val Leu Asp Met Arg 145 150 155 160 Ser Met Asp Phe Lys Ser Asn Ser Ala Val Ala Trp Ser Asn Lys Ser 165 170 175 Asp Phe Ala Cys Ala Asn Ala Phe Asn Asn Ser Ile Ile Pro Glu Asp 180 185 190 Thr Phe Phe Pro Ser Pro Glu Ser Ser Cys Asp Val Lys Leu Val Glu 195 200 205 Lys Ser Phe Glu Thr Asp Thr Asn Leu Asn Phe Gln Asn Leu Ser Val 210 215 220 Ile Gly Phe Arg Ile Leu Leu Leu Lys Val Ala Gly Phe Asn Leu Leu 225 230 235 240 Met Thr Leu Arg Leu Trp Ser Ser Thr Gly 245 250 <210> 60 <211> 7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TCR alpha(HERV-E) <400> 60 atacaagtgg agcagagtcc tccagacctg attctccagg agggagccaa ttccacgctg 60 cggtgcaatt tttctgactc tgtgaacaat ttgcagtggt ttcatcaaaa cccttgggga 120 cagctcatca acctgtttta cattccctca gggacaaaac agaatggaag attaagcgcc 180 acgactgtcg ctacggaacg ctacagctta ttgtacattt ccagcagcca gaccacagac 240 tcaggcgttt atttctgtgc tgtgcgagga ggtgctgacg gactcacctt tggcaaaggg 300 actcatctaa tcatccagcc ctatatccag aaccctgacc ctgccgtgta ccagctgaga 360 gactctaaat ccagtgacaa gtctgtctgc ctattcaccg attttgattc tcaaacaaat 420 gtgtcacaat caaaggattc tgatgtgtat atcacagaca aaactgtgct agacatgagg 480 tctatggact tcaagagcaa cagtgctgtg gcctggagca acaaatctga ctttgcatgt 540 gcaaacgcct tcaacaacag cattattcca gaagacacct tcttccccag cccagaaagt 600 tcctgtgatg tcaagctggt cgagaaaagc tttgaaacag atacgaacct aaactttcaa 660 aacctgtcag tgattgggtt ccgaatcctc ctcctgaaag tggccgggtt taatctgctc 720 atgacgctgc ggctgtggtc cagcaccggt 750 <210> 61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signal petide for TCR beta(HERV-E) <400> 61 Gly Pro Gly Cys Arg Leu Leu Cys Cys Ala Val Leu Cys Leu Leu Gly 1 5 10 15 Ala Val Pro Ile Asp Thr 20 <210> 62 <211> 6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signal petide for TCR beta(HERV-E) <400> 62 gggcccggct gcaggctgct ctgctgtgcg gttctctgtc tcctgggagc agttcccata 60 gacact 66 <210> 63 <211> 28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TCR beta(HERV-E) <400> 63 Glu Val Thr Gln Thr Pro Lys His Leu Val Met Gly Met Thr Asn Lys 1 5 10 15 Lys Ser Leu Lys Cys Glu Gln His Met Gly His Arg Ala Met Tyr Trp 20 25 30 Tyr Lys Gln Lys Ala Lys Lys Pro Pro Glu Leu Met Phe Val Tyr Ser 35 40 45 Tyr Glu Lys Leu Ser Ile Asn Glu Ser Val Pro Ser Arg Phe Ser Pro 50 55 60 Glu Cys Pro Asn Ser Ser Leu Leu Asn Leu His Leu His Ala Leu Gln 65 70 75 80 Pro Glu Asp Ser Ala Leu Tyr Leu Cys Ala Ser Ser Pro Pro Asn Glu 85 90 95 Lys Leu Phe Phe Gly Ser Gly Thr Gln Leu Ser Val Leu Glu Asp Leu 100 105 110 Asn Lys Val Phe Pro Pro Glu Val Ala Val Phe Glu Pro Ser Glu Ala 115 120 125 Glu Ile Ser His Thr Gln Lys Ala Thr Leu Val Cys Leu Ala Thr Gly 130 135 140 Phe Phe Pro Asp His Val Glu Leu Ser Trp Trp Val Asn Gly Lys Glu 145 150 155 160 Val His Ser Gly Val Ser Thr Asp Pro Gln Pro Leu Lys Glu Gln Pro 165 170 175 Ala Leu Asn Asp Ser Arg Tyr Cys Leu Ser Ser Arg Leu Arg Val Ser 180 185 190 Ala Thr Phe Trp Gln Asn Pro Arg Asn His Phe Arg Cys Gln Val Gln 195 200 205 Phe Tyr Gly Leu Ser Glu Asn Asp Glu Trp Thr Gln Asp Arg Ala Lys 210 215 220 Pro Val Thr Gln Ile Val Ser Ala Glu Ala Trp Gly Arg Ala Asp Cys 225 230 235 240 Gly Phe Thr Ser Val Ser Tyr Gln Gln Gly Val Leu Ser Ala Thr Ile 245 250 255 Leu Tyr Glu Ile Leu Leu Gly Lys Ala Thr Leu Tyr Ala Val Leu Val 260 265 270 Ser Ala Leu Val Leu Met Ala Met Val Lys Arg Lys Asp Phe Glu Phe 275 280 285 <210> 64 <211> 86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TCR beta(HERV-E) <400> 64 gaagttaccc agacaccaaa acacctggtc atgggaatga caaataagaa gtctttgaaa 60 tgtgaacaac atatggggca cagggctatg tattggtaca agcagaaagc taagaagcca 120 ccggagctca tgtttgtcta cagctatgag aaactctcta taaatgaaag tgtgccaagt 180 cgcttctcac ctgaatgccc caacagctct ctcttaaacc ttcacctaca cgccctgcag 240 ccagaagact cagccctgta tctctgcgcc agcagccctc ccaatgaaaa actgtttttt 300 ggcagtggaa cccagctctc tgtcttggag gacctgaaca aggtgttccc acccgaggtc 360 gctgtgtttg agccatcaga agcagagatc tcccacaccc aaaaggccac actggtgtgc 420 ctggccacag gcttcttccc tgaccacgtg gagctgagct ggtgggtgaa tgggaaggag 480 gtgcacagtg gggtcagcac ggacccgcag cccctcaagg agcagcccgc cctcaatgac 540 tccagatact gcctgagcag ccgcctgagg gtctcggcca ccttctggca gaacccccgc 600 aaccacttcc gctgtcaagt ccagttctac gggctctcgg agaatgacga gtggacccag 660 gatagggcca aacccgtcac ccagatcgtc agcgccgagg cctggggtag agcagactgt 720 ggctttacct cggtgtccta ccagcaaggg gtcctgtctg ccaccatcct ctatgagatc 780 ctgctaggga aggccaccct gtatgctgtg ctggtcagcg cccttgtgtt gatggcaatg 840 gtcaagagaa aggatttcga attc 864 <210> 65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signal peptide for TCR alpha(NY-ESO-1) <400> 65 Met Glu Thr Leu Leu Gly Leu Leu Ile Leu Trp Leu Gln Leu Gln Trp 1 5 10 15 Val Ser Ser <210> 66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signal peptide for TCR alpha(NY-ESO-1) <400> 66 atggagaccc tcttgggcct gcttatcctt tggctgcagc tgcaatgggt gagcagc 57 <210> 67 <211> 2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TCR alpha(NY-ESO-1) <400> 67 Lys Gln Glu Val Thr Gln Ile Pro Ala Ala Leu Ser Val Pro Glu Gly 1 5 10 15 Glu Asn Leu Val Leu Asn Cys Ser Phe Thr Asp Ser Ala Ile Tyr Asn 20 25 30 Leu Gln Trp Phe Arg Gln Asp Pro Gly Lys Gly Leu Thr Ser Leu Leu 35 40 45 Leu Ile Gln Ser Ser Gln Arg Glu Gln Thr Ser Gly Arg Leu Asn Ala 50 55 60 Ser Leu Asp Lys Ser Ser Gly Arg Ser Thr Leu Tyr Ile Ala Ala Ser 65 70 75 80 Gln Pro Gly Asp Ser Ala Thr Tyr Leu Cys Ala Val Arg Pro Thr Ser 85 90 95 Gly Gly Ser Tyr Ile Pro Thr Phe Gly Arg Gly Thr Ser Leu Ile Val 100 105 110 His Pro Tyr Ile Gln Asn Pro Asp Pro Ala Val Tyr Gln Leu Arg Asp 115 120 125 Ser Lys Ser Ser Asp Lys Ser Val Cys Leu Phe Thr Asp Phe Asp Ser 130 135 140 Gln Thr Asn Val Ser Gln Ser Lys Asp Ser Asp Val Tyr Ile Thr Asp 145 150 155 160 Lys Thr Val Leu Asp Met Arg Ser Met Asp Phe Lys Ser Asn Ser Ala 165 170 175 Val Ala Trp Ser Asn Lys Ser Asp Phe Ala Cys Ala Asn Ala Phe Asn 180 185 190 Asn Ser Ile Ile Pro Glu Asp Thr Phe Phe Pro Ser Pro Glu Ser Ser 195 200 205 Cys Asp Val Lys Leu Val Glu Lys Ser Phe Glu Thr Asp Thr Asn Leu 210 215 220 Asn Phe Gln Asn Leu Ser Val Ile Gly Phe Arg Ile Leu Leu Leu Lys 225 230 235 240 Val Ala Gly Phe Asn Leu Leu Met Thr Leu Arg Leu Trp Ser Ser 245 250 255 <210> 68 <211> 76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TCR alpha(NY-ESO-1) <400> 68 aaacaggagg tgacgcagat tcctgcagct ctgagtgtcc cagaaggaga aaacttggtt 60 ctcaactgca gtttcactga tagcgctatt tacaacctcc agtggtttag gcaggaccct 120 gggaaaggtc tcacatctct gttgcttatt cagtcaagtc agagagagca aacaagtgga 180 aggcttaatg cctcgctgga taaatcatca ggacgtagta ctttatacat tgcagcttct 240 cagcctggtg actcagccac ctacctctgt gctgtgaggc ccacatcagg aggaagctac 300 atacctacat ttggaagagg aaccagcctt attgttcatc cgtatatcca gaaccctgat 360 cctgccgtgt accagctgcg ggacagcaag agcagcgaca agagcgtgtg cctgttcacc 420 gacttcgaca gccagaccaa cgtgtcccag agcaaggaca gcgacgtgta catcaccgac 480 aagaccgtgc tggacatgcg gagcatggac ttcaagagca acagcgccgt ggcctggtcc 540 aacaagagcg atttcgcctg cgccaacgcc ttcaacaaca gcattatccc cgaggacaca 600 ttcttcccaa gccccgagag cagctgcgac gtgaagctgg tggaaaagag cttcgagaca 660 gacaccaacc tgaacttcca gaacctgagc gtgatcggct tccggatcct gctgctgaag 720 gtggccggct tcaacctgct gatgaccctg agactgtggt ccagc 765 <210> 69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signal peptide for TCR beta(NY-ESO-1) <400> 69 Met Ser Ile Gly Leu Leu Cys Cys Ala Ala Leu Ser Leu Leu Trp Ala 1 5 10 15 Gly Pro Val Asn Ala 20 <210> 70 <211> 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signal peptide for TCR beta(NY-ESO-1) <400> 70 atgagcatcg gcctcctgtg ctgtgcagcc ttgtctctcc tgtgggcagg tccagtgaat 60 gct 63 <210> 71 <211> 28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TCR beta(NY-ESO-1) <400> 71 Gly Val Thr Gln Thr Pro Lys Phe Gln Val Leu Lys Thr Gly Gln Ser 1 5 10 15 Met Thr Leu Gln Cys Ala Gln Asp Met Asn His Glu Tyr Met Ser Trp 20 25 30 Tyr Arg Gln Asp Pro Gly Met Gly Leu Arg Leu Ile His Tyr Ser Val 35 40 45 Gly Ala Gly Ile Thr Asp Gln Gly Glu Val Pro Asn Gly Tyr Asn Val 50 55 60 Ser Arg Ser Thr Thr Glu Asp Phe Pro Leu Arg Leu Leu Ser Ala Ala 65 70 75 80 Pro Ser Gln Thr Ser Val Tyr Phe Cys Ala Ser Ser Tyr Val Gly Asn 85 90 95 Thr Gly Glu Leu Phe Phe Gly Glu Gly Ser Arg Leu Thr Val Leu Glu 100 105 110 Asp Leu Asn Lys Val Phe Pro Pro Glu Val Ala Val Phe Glu Pro Ser 115 120 125 Glu Ala Glu Ile Ser His Thr Gln Lys Ala Thr Leu Val Cys Leu Ala 130 135 140 Thr Gly Phe Phe Pro Asp His Val Glu Leu Ser Trp Trp Val Asn Gly 145 150 155 160 Lys Glu Val His Ser Gly Val Ser Thr Asp Pro Gln Pro Leu Lys Glu 165 170 175 Gln Pro Ala Leu Asn Asp Ser Arg Tyr Cys Leu Ser Ser Arg Leu Arg 180 185 190 Val Ser Ala Thr Phe Trp Gln Asn Pro Arg Asn His Phe Arg Cys Gln 195 200 205 Val Gln Phe Tyr Gly Leu Ser Glu Asn Asp Glu Trp Thr Gln Asp Arg 210 215 220 Ala Lys Pro Val Thr Gln Ile Val Ser Ala Glu Ala Trp Gly Arg Ala 225 230 235 240 Asp Cys Gly Phe Thr Ser Val Ser Tyr Gln Gln Gly Val Leu Ser Ala 245 250 255 Thr Ile Leu Tyr Glu Ile Leu Leu Gly Lys Ala Thr Leu Tyr Ala Val 260 265 270 Leu Val Ser Ala Leu Val Leu Met Ala Met Val Lys Arg Lys Asp Phe 275 280 285 <210> 72 <211> 86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of TCR beta(NY-ESO-1) <400> 72 ggtgtcactc agaccccaaa attccaggtc ctgaaaacag gacagagcat gacactgcag 60 tgtgcccagg atatgaacca tgaatacatg tcctggtatc gacaagaccc aggcatgggg 120 ctgaggctga ttcattactc agttggtgct ggtatcactg accaaggaga agtccccaat 180 ggctacaatg tctccagatc aaccacagag gatttcccgc tcaggctgct gtcggctgct 240 ccctcccaga catctgtgta cttctgtgcc agcagttacg tcgggaacac cggggagctg 300 ttttttggag aaggctctag gctgaccgta ctggaggatc tgaacaaggt gttcccccca 360 gaggtggccg tgttcgagcc ttctgaggcc gagatcagcc acacccagaa agccaccctc 420 gtgtgcctgg ccaccggctt tttccccgac cacgtggaac tgtcttggtg ggtcaacggc 480 aaagaggtgc acagcggcgt gtccaccgat ccccagcctc tgaaagaaca gcccgccctg 540 aacgacagcc ggtactgcct gagcagcaga ctgagagtgt ccgccacctt ctggcagaac 600 ccccggaacc acttcagatg ccaggtgcag ttctacggcc tgagcgagaa cgacgagtgg 660 acccaggaca gagccaagcc cgtgacccag atcgtgtctg ccgaagcctg gggcagagcc 720 gattgcggct ttaccagcgt gtcctatcag cagggcgtgc tgagcgccac catcctgtac 780 gagatcctgc tgggcaaggc caccctgtac gccgtgctgg tgtctgccct ggtgctgatg 840 gccatggtca agcggaagga cttc 864 <210> 7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1(CD19) <400> 73 Arg Ala Ser Gln Asp Ile Ser Lys Tyr Leu Asn 1 5 10 <210> 74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2(CD19) <400> 74 Tyr His Thr Ser Arg Leu His Ser 1 5 <210> 7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3(CD19) <400> 75 Gln Gln Gly Asn Thr Leu Pro Tyr Thr 1 5 <210> 76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1(CD19) <400> 76 Thr Val Ser Gly Val Ser Leu Pro Asp Tyr Gly Val Ser 1 5 10 <210> 7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2(CD19) <400> 77 Val Ile Trp Gly Ser Glu Thr Thr Tyr 1 5 <210> 7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3(CD19) <400> 78 His Tyr Tyr Tyr Gly Gly Ser Tyr Ala Met Asp Tyr 1 5 10 <210> 79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1(Her2) <400> 79 Arg Ala Ser Gln Asp Val Asn Thr Ala Val Ala 1 5 10 <210> 8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2(Her2) <400> 80 Tyr Ser Ala Ser Phe Leu Tyr Ser 1 5 <210> 8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3(Her2) <400> 81 Gln Gln His Tyr Thr Thr Pro Pro Thr 1 5 <210> 82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1(Her2) <400> 82 Ala Ala Ser Gly Phe Asn Ile Lys Asp Thr Tyr Ile His 1 5 10 <210> 8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2(Her2) <400> 83 Arg Ile Tyr Pro Thr Asn Gly Tyr Thr Arg 1 5 10 <210> 8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3(Her2) <400> 84 Trp Gly Gly Asp Gly Phe Tyr Ala Met Asp Tyr 1 5 10 <210> 85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1(PSMA) <400> 85 Lys Ala Ser Gln Asp Val Gly Thr Ala Val Asp 1 5 10 <210> 86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2(PSMA) <400> 86 Tyr Trp Ala Ser Thr Arg His Thr 1 5 <210> 8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3(PSMA) <400> 87 Gln Gln Tyr Asn Ser Tyr Pro Leu Thr 1 5 <210> 88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1(PSMA) <400> 88 Lys Thr Ser Gly Tyr Thr Phe Thr Glu Tyr Thr Ile His 1 5 10 <210> 89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2(PSMA) <400> 89 Asn Ile Asn Pro Asn Asn Gly Gly Thr Thr 1 5 10 <210> 90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3(PSMA) <400> 90 Gly Trp Asn Phe Asp Tyr 1 5 <210> 9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1(CD43) <400> 91 Arg Ala Ser Gln Asp Ile Ser Asn Tyr Leu Asn 1 5 10 <210> 9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2(CD43) <400> 92 Tyr Ala Thr Ser Arg Leu His Ser 1 5 <210> 93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3(CD43) <400> 93 Gln Gln Ser Asn Met Phe Pro Tyr Thr 1 5 <210> 94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1(CD43) <400> 94 Lys Ala Ser Gly Tyr Thr Phe Asn Gly Tyr Phe Met Asn 1 5 10 <210> 95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2(CD43) <400> 95 Arg Ile Asn Pro Asn Asn Gly Asp Ser Phe 1 5 10 <210> 96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3(CD43) <400> 96 Glu Gly Tyr Tyr Gly Gly Arg Gly Tyr Ala Leu Asp Tyr 1 5 10 <210> 97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1(CD47) <400> 97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Gly Tyr Gly Met Ser 1 5 10 <210> 98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2(CD47) <400> 98 Thr Ile Thr Ser Gly Gly Thr Tyr Thr Tyr 1 5 10 <210> 99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HCDR3(CD47) <400> 99 Ser Leu Ala Gly Asn Ala Met Asp Tyr 1 5 <210> 100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1(CD47) <400> 100 Arg Ala Ser Gln Ser Ile Ser Asp Tyr Leu His 1 5 10 <210> 10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2(CD47) <400> 101 Tyr Phe Ala Ser Gln Arg Ala Thr 1 5 <210> 10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LCDR3(CD47) <400> 102 Gln Gln Gly His Gly Phe Pro Arg Thr 1 5 <210> 10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ACDR1(NY-ESO-1) <400> 103 Ser Phe Thr Asp Ser Ala Ile Tyr Asn Leu Gln 1 5 10 <210> 10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ACDR2(NY-ESO-1) <400> 104 Leu Ile Gln Ser Ser Gln Arg Glu Gln Thr Ser 1 5 10 <210> 105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ACDR3(NY-ESO-1) <400> 105 Ala Val Arg Pro Thr Ser Gly Gly Ser Tyr Ile Pro Thr 1 5 10 <210> 10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BCDR1(NY-ESO-1) <400> 106 Ala Gln Asp Met Asn His Glu Tyr Met Ser 1 5 10 <210> 10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BCDR2(NY-ESO-1) <400> 107 Tyr Ser Val Gly Ala Gly Ile Thr Asp Gln Gly 1 5 10 <210> 10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BCDR3(NY-ESO-1) <400> 108 Ala Ser Ser Tyr Val Gly Asn Thr Gly Glu Leu Phe 1 5 10 <210> 109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ACDR1(HERV-E) <400> 109 Asn Phe Ser Asp Ser Val Asn Asn Leu Gln 1 5 10 <210> 11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ACDR2(HERV-E) <400> 110 Tyr Ile Pro Ser Gly Thr Lys Gln Asn 1 5 <210> 11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ACDR3(HERV-E) <400> 111 Ala Val Arg Gly Gly Ala Asp Gly Leu Thr 1 5 10 <210> 11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BCDR1(HERV-E) <400> 112 Glu Gln His Met Gly His Arg Ala Met Tyr 1 5 10 <210> 11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BCDR2(HERV-E) <400> 113 Val Tyr Ser Tyr Glu Lys Leu Ser Ile Asn Glu 1 5 10 <210> 11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of BCDR3(HERV-E) <400> 114 Ala Ser Ser Pro Pro Asn Glu Lys Leu Phe 1 5 10

Claims (71)

  1. 하기 (i) 내지 (v)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iv) 자가-절단성 펩타이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i) 항원 결합 도메인과 (ii) 막관통 도메인 사이에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b) 이뮤노필린, c) 항원 손실-매개 재발(antigen loss-mediated relapse)에 관여하는 단백질, d)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e)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및 f) 이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세포질 내에서 작동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TGF-β/SMAD(FKBP12-FK506/rapamycin)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TGF-β/SMAD(FKBP12-FK506/rapamycin)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FKBP12, SMAD4 단백질 C-말단 MH2 도메인 및 N-SK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 경로(Inhibitory immune checkpoint pathway)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성 면역체크포인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SHP-1 단백질의 N-SH2 도메인이나 이의 단편 또는 SHP-2 단백질의 N-SH2 도메인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뮤노필린은 FKBP12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사이클로필린 A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트로고사이토시스(Trogocytosis)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이, 폴리뉴클레오티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고사이토시스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TC21 또는 RhoG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TCR/Zap70 경로의 어댑터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TCR/Zap70 경로의 어댑터는 NCK1, LAT 및 NE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TNFR/TLR 수용체(TRAF/NF-kB)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사이토카인 수용체(JAK-STAT)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MAP 키나제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MAP 키나제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은 GADD45α, CDC42 및 HRA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의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of cytokine signaling pathway)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 신호 경로의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SOCS1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하기 구조식 (I)을 가지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N'-X-L1-Y-C' (I)
    이때, 상기 구조식(I)에 있어서,
    상기 N'은 융합단백질의 N-말단이고,
    상기 C'는 융합단백질의 C-말단이며,
    상기 L1은 자가-절단성 펩타이드이며,
    상기 X 및 Y는 각각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b) 이뮤노필린 또는 이의 단편; c)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d)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및 e)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하기 구조식 (II)를 가지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N'-X-L1-Y-L2-Z-C' (II)
    이때, 상기 구조식 (II)에 있어서,
    상기 N'은 융합단백질의 N-말단이고,
    상기 C'는 융합단백질의 C-말단이며,
    상기 L1은 자가-절단성 펩타이드이며,
    상기 X, Y 및 Z는 각각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b) 이뮤노필린 또는 이의 단편; c) 항원 손실-매개 재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d)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및 e) 네거티브 피드백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사이클로필린 A 및 SHP2 단백질의 N-말단 SH2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이 알파 엽산 수용체, 5T4, αvβ6 인테그린, BCMA, B7-H3, B7-H6, CAIX, CD16, CD19, CD20, CD22, CD30, CD33, CD44, CD44v6, CD44v7/8, CD70, CD79a, CD79b, CD123, CD138, CD171, CEA, CSPG4, EGFR, ErbB2(HER2)를 포함하는 EGFR 패밀리, EGFRvIII, EGP2, EGP40, EPCAM, EphA2, EpCAM, FAP, 태아 AchR, FRα, GD2, GD3, 글리피칸-3(GPC3), HLA-A1+MAGE1, HLA-A2+MAGE1, HLA-A3+MAGE1, HLA-A1+NY-ESO-1, HLA-A2+NY-ESO-1, HLA-A3+NY-ESO-1, IL-11Rα, IL-13Rα2, 람다, 루이스-Y, 카파, 메소텔린, Muc1, Muc16, NCAM, NKG2D 리간드, NY-ESO-1, PRAME, PSCA, PSMA, ROR1, SSX, 서바이빈, TAG72, TEMs, VEGFR2 및 WT-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이 CD1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이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이 T-세포 수용체, CD3δ, CD3ε, CD3γ, CD3ζ, CD4, CD5, CD8α, CD9, CD16, CD22, CD27, CD28, CD33, CD37, CD45, CD64, CD80, CD86, CD134, CD137, CD152, CD154, AMN 및 PD-1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이 CD8α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이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이 공자극 도메인 및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시 공자극 도메인이 TLR1,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LR10, CARD11, CD2, CD7, CD27, CD28, CD30, CD40, CD54(ICAM), CD83, CD134(OX40), CD137(4-1BB), CD278(ICOS), DAP10, LAT, NKD2C, SLP76, TRIM 및 ZAP7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자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공자극 도메인이 CD137(4-1BB)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공자극 도메인이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이 FcRγ, FcRβ, CD3γ, CD3δ, CD3ε, CD3ζ, CD22, CD79a, CD79b 또는 CD66d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이 CD3ζ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이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절단성 펩타이드가 P2A, E2A, F2A 또는 T2A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절단성 펩타이드가 P2A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8. 제1항 내지 제37항의 어느 한 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발현 벡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가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을 더 포함하는 것인, 벡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이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서열 앞에 삽입되는 것인, 벡터.
  41. 제1항 내지 제37항의 어느 한 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바이러스.
  42. 제1항 내지 제37항의 어느 한 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면역세포.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세포가 T 세포 또는 자연살해세포인 것인, 면역세포.
  44. 하기 (i) 내지 (v)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 막관통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v) IRES(Internal Ribosome Entry Site)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45. 제44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발현 벡터.
  46. 제44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바이러스.
  47. 제44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면역세포.
  48. 하기 (i) 내지 (iv)를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
    (iv)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49. 제48항에 있어서,
    (i) 항원 결합 도메인과 (ii) 막관통 도메인 사이에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TNFR/TLR 수용체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TNFR/TLR 수용체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은 TLR4 세포내 도메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은 사이토카인 수용체(JAK-STAT)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 수용체(JAK-STAT) 경로에 위치한 단백질은 γc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55. 제48항 내지 제54항의 어느 한 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발현 벡터.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가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을 더 포함하는 것인, 벡터.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이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서열 앞에 삽입되는 것인, 벡터.
  58. 제48항 내지 제54항의 어느 한 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 바이러스.
  59. 제48항 내지 제54항의 어느 한 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된 면역세포.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세포가 T 세포 또는 자연살해세포인 것인, 면역세포.
  61. 외래에서 도입된 신호 기전 조절 인자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세포는 T 세포 또는 NK 세포인 것인,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세포는 CAR-T 세포 또는 TCR T 세포인 것인,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64.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a) 면역억제 신호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b) 항원 손실-매개 재발(antigen loss-mediated relapse)에 관여하는 단백질, c) T 세포 자극 경로에 위치하는 단백질, d)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 및 e)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FKBP1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 SMAD4 단백질 C말단 MH2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N-SKI 또는 이의 단편; 사이클로필린 A(CYPA) 또는 이의 단편; SHP-1 단백질 N-말단 SH2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SHP-2 단백질 N-말단 SH2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TC21 또는 이의 단편; RhoG 또는 이의 단편; NCK1 또는 이의 단편; LAT 또는 이의 단편; NEMO 또는 이의 단편; TLR4 세포내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 GADD45α 또는 이의 단편; CDC42 또는 이의 단편; HRAS 또는 이의 단편; 및 SOCS1 C-말단 도메인 또는 이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CAR-T 세포는 (i) 항원 결합 도메인; (ii) 막관통 도메인; 및 (iii) 적어도 하나의 공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을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기전 조절 인자는 세포질 내에서 작동하는 것인,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68. 제42항의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또는 제61항의 형질전환된 면역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간암, 폐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후두암,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뇌종양, 신경모세포종, 망막 모세포종, 두경부암, 침샘암, 림프종, 신장암, 흑색종, 다발 골수종, 뇌암, 골육종, 교모세포종, IgG-opsonized tumor, 림프종, 신경종, 중피종, 및 식도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 조성물.
  70. 제42항의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또는 제61항의 형질전환된 면역세포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 방법.
  71. 암 치료를 위한 제42항의 형질전환된 면역세포 또는 제61항의 형질전환된 면역세포의 용도.
KR1020210019765A 2020-02-14 2021-02-15 외부에서 도입된 세포 신호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 세포 및 이들의 용도 KR202101039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8169 2020-02-14
KR1020200018169 2020-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75A true KR20210103975A (ko) 2021-08-24

Family

ID=7729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765A KR20210103975A (ko) 2020-02-14 2021-02-15 외부에서 도입된 세포 신호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 세포 및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12254A1 (ko)
EP (1) EP4105232A4 (ko)
JP (1) JP2023513752A (ko)
KR (1) KR20210103975A (ko)
CN (1) CN115427451A (ko)
AU (1) AU2021219233A1 (ko)
TW (1) TW202146440A (ko)
WO (1) WO2021162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8494A1 (en) * 2022-02-03 2023-08-10 University College Cardiff Consultants Limited Novel t-cell receptor
CN118256444A (zh) * 2022-04-26 2024-06-28 深圳市体内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嵌合抗原受体t细胞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121426A1 (en) * 2022-12-09 2024-06-13 Cemm - Forschungszentrum Für Molekulare Medizin Gmbh Method for optimizing t cells for immuno-therapy
CN116355859B (zh) * 2023-05-31 2023-08-11 四川大学华西医院 包含shp2 n-sh2结构域的靶向her2阳性肿瘤的car-t及制备方法和应用
CN116376844B (zh) * 2023-05-31 2023-08-11 四川大学华西医院 包含shp2 sh2结构域的靶向her2阳性肿瘤的car-t及制备方法和应用
CN116814664B (zh) * 2023-08-25 2023-12-12 中国医学科学院肿瘤医院 一种扩展肿瘤识别表位的cea嵌合抗原受体t细胞的制备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18169B2 (en) 2001-06-01 2007-10-18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odified antibodies to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and uses thereof
LT3597742T (lt) * 2014-10-09 2022-09-12 Yamaguchi University Car raiškos vektorius ir t ląstelės, vykdančios car raišką
KR20240046620A (ko) * 2016-11-17 2024-04-09 2세븐티 바이오, 인코포레이티드 TGFβ 신호 컨버터
KR20190111058A (ko) * 2017-01-25 2019-10-01 테사 테라퓨틱스 피티이. 엘티디. TGF-β 디코이 수용체
EP3592764A2 (en) * 2017-02-17 2020-01-15 Unum Therapeutics Inc. Co-use of anti-bcma antibody and antibody-coupled t celll receptor (actr) in cancer therapy and b cell disorders
SG11201908719QA (en) * 2017-03-22 2019-10-30 Novartis Ag Biomarkers and car t cell therapies with enhanced efficac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dres Rojas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793 (2009) 1165-11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27451A (zh) 2022-12-02
AU2021219233A1 (en) 2022-10-06
EP4105232A1 (en) 2022-12-21
EP4105232A4 (en) 2023-10-11
TW202146440A (zh) 2021-12-16
JP2023513752A (ja) 2023-04-03
US20230212254A1 (en) 2023-07-06
WO2021162521A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1235B2 (ja) 抗cld18a2ナノ抗体及びその応用
KR20210103975A (ko) 외부에서 도입된 세포 신호 조절 인자를 과발현하는 면역 세포 및 이들의 용도
JP2021184749A (ja) 融合タンパク質を用いたtcrの再プログラミング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200026805A (ko) 세포 요법 및 면역조절 화합물의 조합
JP2019533676A (ja) トリプトファン代謝経路調節剤を含む免疫療法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2022516557A (ja) 修飾il-2ポリペプチドを含むポリ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CN109562126A (zh) 嵌合抗原受体(car)、组合物及其使用方法
CA3047999A1 (en) Engineered t cell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12094353A (zh) 具有针对T细胞受体beta恒定区的抗原结合域的嵌合抗原受体(CAR)
RU2770002C2 (ru) Химерный антигенный рецептор
Maccalli et al. NKG2D engagement of colorectal cancer‐specific T cells strengthens TCR‐mediated antigen stimulation and elicits TCR independent anti‐tumor activity
EP2944651B1 (en) Novel marker genes for regulatory t cells from human blood
CN116615440A (zh) 包含修饰的il-2多肽的多肽及其用途
JP2021536432A (ja) 融合タンパク質を使用するtcr再プログラミング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CN107602703B (zh) 靶向人EpCAM的基因工程化淋巴细胞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23517063A (ja) 操作されたメモリー様nk細胞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CN115551544A (zh) 细胞
CN115151267A (zh) 用于免疫治疗的组合物和方法
JP7531603B2 (ja) Cd28hドメイン含有キメラ抗原受容体および使用方法
US20240189351A1 (en) Il-13ra2 chimeric antigen receptors and methods of use
US20240239902A1 (en) Co-stimulatory multispecific antibodies
RU2775674C2 (ru) Способы иммунотерапии и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модуляторы метаболического пути триптоф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