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940A -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940A
KR20210103940A KR1020210009085A KR20210009085A KR20210103940A KR 20210103940 A KR20210103940 A KR 20210103940A KR 1020210009085 A KR1020210009085 A KR 1020210009085A KR 20210009085 A KR20210009085 A KR 20210009085A KR 20210103940 A KR20210103940 A KR 20210103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wall
contact
grounding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완
황현주
송인덕
오상준
이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799,52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56967A1/en
Priority to JP2022537233A priority patent/JP7487311B2/ja
Priority to PCT/KR2021/001540 priority patent/WO2021162357A1/ko
Priority to CN202180008267.3A priority patent/CN114938692A/zh
Publication of KR2021010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 H01R13/6599Dielectric material made conductive, e.g. plastic material coated with meta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접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절연부를 향하는 접지내벽, 상기 접지내벽으로 이격된 접지외벽, 및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 각각에 결합된 접지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은 내측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는 이중차폐벽이며,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는 상기 이중차폐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공간에 위치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것이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중에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무선통신 기기의 내부에는 RF 커넥터, 및 기판 대 기판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 이하 '기판 커넥터'라 함)가 구비된다. RF 커넥터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기판 커넥터는 카메라 등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RF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된다. 기존에는 한정된 PCB 공간에 다수의 부품과 함께 여러 개의 기판 커넥터와 RF 커넥터가 실장되므로, PCB 실장 면적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RF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를 일체화하여 적은 PCB 실장 면적으로 최적화하는 기술이 필요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제1커넥터(110), 및 제2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10)는 제1기판(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110)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111)를 통해 상기 제2커넥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120)는 제2기판(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커넥터(120)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121)를 통해 상기 제1커넥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1컨택트(111)들 및 상기 제2컨택트(121)들이 서로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컨택트(111)들 및 상기 제2컨택트(121)들 중에서 일부의 컨택트들을 RF신호 전송을 위한 RF컨택트들로 사용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RF컨택트를 통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간에 RF신호가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컨택트들(111, 121) 중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로 이격된 컨택트들을 상기 RF컨택트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RF컨택트들(111', 111", 121', 121") 상호 간에 RF신호간섭으로 신호전달이 원활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커넥터 최외곽부에 RF신호 차폐부(112)가 있어, RF신호의 외부에 대한 방사는 차폐할 수 있으나, RF신호간의 차폐는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에 있어서 RF컨택트들(111', 111", 121', 121")은 각각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들(111a', 111a", 121a', 121a")을 포함하는데, 상기 실장부들(111a', 111a", 121a', 121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실장부들(111a', 111a", 121a', 121a")에 대한 차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RF컨택트들 간에 RF신호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접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절연부를 향하는 접지내벽, 상기 접지내벽으로 이격된 접지외벽, 및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 각각에 결합된 접지연결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은 내측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는 이중차폐벽일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는 상기 이중차폐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접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은 내측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는 접지측벽, 상기 접지측벽의 상단에서 상기 내측공간 쪽으로 돌출된 접지상벽, 및 상기 접지측벽의 하단에서 상기 내측공간의 반대 쪽으로 돌출된 접지하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는 상기 접지측벽, 상기 접지상벽, 및 상기 접지하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지하우징을 이용하여 RF컨택트들에 대한 신호, 전자파 등의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RF컨택트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의 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RF컨택트들이 전송하는 RF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지하우징을 이용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을 포함한 RF컨택트들의 전부가 접지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접지하우징을 이용하여 RF컨택트들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하여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결합된 모습을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하우징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결합관계를 도 6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접지 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와 도 16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하우징과 절연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7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하우징과 절연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8과 도 19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하우징과 절연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0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하우징과 절연부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
도 21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2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3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4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5는 도 21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6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결합된 모습을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7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접지 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복수개의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들은 인쇄회로기판(PCB, Pri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및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가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로 규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로 규정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트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복수개의 RF컨택트(210)들, 복수개의 전송컨택트(220)들, 접지하우징(230), 및 절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초고주파 RF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상기 절연부(24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 중에서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RF컨택트(210)들 중에서 제2RF컨택트(212)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24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2개의 RF컨택트(210)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3개 이상의 RF컨택트(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2개의 RF컨택트(210)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제1RF실장부재(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를 통해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제2RF실장부재(2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를 통해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신호(Sinal), 데이터(Data)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 간에 RF신호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를 이격시킨 공간에,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림으로써 RF신호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이격공간에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40)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컨택트(220)들 각각이 갖는 전송실장부재(2201)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전송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4개의 전송컨택트(220)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5개 이상의 전송컨택트(2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절연부(24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RF컨택트(210)들에 대한 신호, 전자파 등의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RF컨택트(210)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의 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RF컨택트(210)들이 전송하는 RF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을 이용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내측공간(230a)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는 상기 절연부(24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 상기 제2RF컨택트(212), 및 상기 전송컨택트(22)들은 전부가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 또한 전부가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 전부에 대한 차폐벽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하여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은 상기 접지하우징(2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이 전체적으로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내측공간(230a)은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이중차폐벽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접지내벽(231), 및 접지외벽(232), 및 접지연결벽(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절연부(240)를 향하는 것이다.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접지내벽(231)으로부터 이격된 것이다.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접지내벽(231)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과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내측공간(230a)의 측방을 둘러싸는 이중차폐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이중차폐벽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이중차폐벽을 이용하여 상기 RF컨택트(210)들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이중차폐벽을 이용하여 EMI 차폐 성능, EMC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접지외벽(232)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의 하단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접지내벽(231)에 비해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을 통해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외벽(232)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어 접지되면, 상기 접지연결벽(233)과 상기 접지내벽(231) 또한 접지됨으로써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상기 접지외벽(232)의 상단과 상기 접지내벽(231)의 상단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외벽(232)과 상기 접지내벽(231)은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 상기 접지외벽(232), 및 상기 접지내벽(23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접지바닥(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접지내벽(231)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230a)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230a)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의 바닥 쪽에 대해서도 상기 접지바닥(234)을 이용하여 차폐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바닥(234)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 간의 접속을 통해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 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서로 인접한 단자 간에 서로의 용량 또는 유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크로스토크(Crosstalk) 등과 같은 전기적 악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Ground)로 전자파가 유입되는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EMI 차폐 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과 상기 접지외벽(232)의 연결부분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바닥(234)과 상기 접지외벽(232)의 연결부분은,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바닥(234)과 상기 접지외벽(232)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내측공간(230a)을 향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며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 상기 접지연결벽(233), 상기 접지외벽(232), 및 상기 접지내벽(23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금속 다이캐스팅(Die Casting), MIM(Metal Injection Molding) 공법 등과 같은 금속 사출 공법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 MCT(Machining Center Tool) 가공 등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켜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접속홈(2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홈(235)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향하는 면(面)이다. 상기 접속홈(235)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Groov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속홈(235)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이 갖는 접속돌기(335)가 상기 접속홈(23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속홈(235)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8에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속홈(235)이 상기 접속돌기(335)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접속홈(235)과 상기 접속돌기(335)는 대략 일치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접속홈(235)에 삽입된 접속돌기(335)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속돌기(335)가 상기 접속홈(23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접속홈(235)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홈(235)들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접속돌기(23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돌기(236)는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돌기(236)는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속돌기(236)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돌기(236)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이 갖는 접속홈(3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속돌기(236)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9에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속돌기(236)가 상기 접속홈(334)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접속돌기(236)와 상기 접속홈(334)은 대략 일치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속돌기(236)는 상기 접속홈(334)에 삽입되어서 상기 접지하우징(33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접속홈(3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접속돌기(236)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돌기(236)들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230)이 상기 접속돌기(236)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접속돌기(236)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이 갖는 접속돌기(335)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속돌기(236)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돌기(236)는 상기 접속돌기(335)의 상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접속돌기(335)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속돌기(33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 간의 면접촉(Surface Contact)을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과 접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도전부재(2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237)는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237)는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이 갖는 코너부분(231a,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하여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도전부재(237)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돌기(236)와 상기 접속홈(235)을 이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이 갖는 코너부분(231a)에 구현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나, 상기 도전부재(237)를 이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이 갖는 코너부분(231a)에 구현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237)는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전부재(237)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237)는 별도로 제작된 후에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에 장착, 부착, 체결 등에 의해 상기 접지내벽(2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237)는 도전성 차폐재가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면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접지내벽(23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접지암(238, 도 1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암(238)은 상기 접지바닥(234)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230a)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접지암(238)은 상기 내측공간(230a) 쪽으로 돌출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암(238)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에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접지바닥(234)에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암(238)은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330)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접지하우징(330)에 강하게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암(238)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접지암(238)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암(238)들은 상기 접지바닥(234)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납땜검사창(239, 도 5와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39)은 상기 접지하우징(23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39)은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가 상기 납땜검사창(239)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는 상기 접지하우징(230)에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239)을 통해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를 포함한 상기 제1RF컨택트(211) 전부가 상기 접지하우징(230)의 내측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제1RF컨택트(211)를 상기 제1기판에 실장하는 실장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39)은 상기 접지바닥(234)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납땜검사창(239)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이 상기 납땜검사창(239)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239)들을 통해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RF컨택트(211), 상기 제2RF컨택트(212), 및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을 상기 제1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RF컨택트(210)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240)에는 상기 RF컨택트(210)들과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RF컨택트(210)들이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지하우징(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절연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41)는 상기 RF컨택트(210)들과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재(241)는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41)는 상기 접지바닥(23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절연부재(24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는 상기 절연부재(241)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삽입부재(242), 및 연결부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는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242)가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 사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는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는 상기 절연부재(24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는 상기 절연부재(24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43)는 상기 삽입부재(242)와 상기 절연부재(241)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43)를 통해 상기 삽입부재(242)와 상기 절연부재(24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243)는 상기 삽입부재(242)와 상기 절연부재(241)에 비해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242)와 상기 절연부재(241)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고, 해당 공간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43)는 상기 접지바닥(23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연결부재(243)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43), 상기 삽입부재(242), 및 상기 연결부재(2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40)은 납땜검사창(244,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44)은 상기 절연부(24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44)은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가 상기 납땜검사창(244)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는 상기 절연부(240)에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244)을 통해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를 포함한 상기 제1RF컨택트(211) 전부가 상기 접지하우징(230)의 내측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제1RF컨택트(211)를 상기 제1기판에 실장하는 실장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44)은 상기 절연부재(2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은 상기 납땜검사창(244)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이 상기 납땜검사창(244)들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244)들을 통해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RF컨택트(211), 상기 제2RF컨택트(212), 및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을 상기 제1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 및 도 14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제1접지컨택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함께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중차폐벽(230b), 제2이중차폐벽(230c), 제3이중차폐벽(230d), 및 제4이중차폐벽(230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중차폐벽(230b), 상기 제2이중차폐벽(230c),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은 각각 상기 접지내벽(231), 상기 접지외벽(232), 및 상기 접지연결벽(23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중차폐벽(230b)과 상기 제2이중차폐벽(230c)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對向)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이중차폐벽(230b)과 상기 제2이중차폐벽(230c)의 사이에는 상기 제1RF컨택트(21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2이중차폐벽(230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제1이중차폐벽(230b)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과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과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의 사이에는 상기 제1RF컨택트(21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과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 각각으로부터 대략 일치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이중차폐벽(230b)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과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 상기 제1이중차폐벽(230b),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을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 상기 제1이중차폐벽(230b),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은 상기 제1RF컨택트(211)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 상기 제1이중차폐벽(230b),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는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해 접지 루프(Ground Loop)(250a, 도 14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 루프(250a)를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 및 도 14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제2접지컨택트(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함께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송컨택트(220)들과 상기 제2R컨택트(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와 상기 제2이중차폐벽(230c)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과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 상기 제2이중차폐벽(230c),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을 이용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 상기 제2이중차폐벽(230c),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은 상기 제2RF컨택트(212)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 상기 제2이중차폐벽(230c), 상기 제3이중차폐벽(230d),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230e)는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해 접지 루프(Ground Loop)(260a, 도 14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 루프(260a)를 이용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가 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40)는 돌출부재(2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삽입부재(2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내측공간(230a, 도 2에 도시됨)을 향하는 상기 삽입부재(242)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230a, 도 2에 도시됨)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가 결합되면,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접지내벽(231)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를 향하는 상기 접지내벽(231)의 면(面)이 상기 돌출부재(245)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가 상기 접지내벽(231)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는 끼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와 상기 삽입부재(2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돌출부재(24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삽입부재(2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돌출부재(2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삽입부재(2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내측공간(230a, 도 2에 도시됨)을 향하는 상기 삽입부재(242)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230a, 도 2에 도시됨)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내벽공(2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공(231b)은 상기 접지내벽(23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가 결합되면,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내벽공(23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245)가 상기 접지내벽(231)을 지지하므로,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와 상기 삽입부재(2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돌출부재(24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삽입부재(2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는 상기 내벽공(231b)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공(231b)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접지내벽(23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돌출부재(2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삽입부재(2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삽입부재(242)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의 외측면은 상기 삽입부재(242)의 내측면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한 면(面)이다. 상기 외측 쪽은 상기 내측공간(230a) 쪽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외벽공(23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공(232a)은 상기 접지외벽(23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가 결합되면, 상기 돌출부재(245)는 상기 외벽공(232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245)가 상기 접지외벽(232)을 지지하므로,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와 상기 삽입부재(2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돌출부재(24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245)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삽입부재(2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는 상기 외벽공(232a)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공(232a)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접지외벽(23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40)는 걸림홈(24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41a)은 상기 절연부재(24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 쪽을 향하는 상기 절연부재(241)의 면(面)에 상기 걸림홈(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가 결합되면, 상기 걸림홈(241a)에는 상기 접지암(238)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재(241)가 상기 접지암(237)을 지지하므로,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지바닥(234)에는 탄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홈은 상기 접지암(238)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홈에 의해, 상기 접지바닥(234)에 대해 상기 접지암(238)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변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홈은 상기 접지바닥(234)에서부터 상기 접지내벽(231)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는 상기 접지암(238)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지암(238)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접지바닥(23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걸림홈(241a)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41a)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241)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가 결합되면, 상기 접지암(238)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에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가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암(238)을 지지하므로,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지바닥(234)에는 탄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홈은 상기 접지암(238)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홈에 의해, 상기 접지바닥(234)에 대해 상기 접지암(238)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변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홈은 상기 접지바닥(234)에서부터 상기 접지내벽(231)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는 상기 접지암(238)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지암(238)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접지바닥(23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암(238)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접지압(238)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 도 14에 도시됨)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다. 상기 접지암(238)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전송컨택트(220, 도 14에 도시됨)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40)는 삽입홈(24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2a)은 상기 삽입부재(24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2a)은 상기 삽입부재(242)의 외측면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Groov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에는 상기 삽입홈(242a)을 향하도록 배치된 걸림면(24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걸림부재(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232b)는 상기 접지외벽(232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외벽(232a)이 상기 삽입홈(242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접지외벽(23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a)들 서로를 향하는 대향측면에 상기 걸림부재(232b)가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가 결합되면, 상기 걸림부재(232b)는 상기 걸림면(242b)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재(232b)는 쐐기와 같이 상기 걸림면(242b)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절연부(24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삽입홈(242a)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홈(242a)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재(24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걸림부재(232b)가 형성된 접지외벽(232)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삽입홈(242a)들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
도 2 및 도 21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복수개의 RF컨택트(310)들, 복수개의 전송컨택트(320)들, 접지하우징(330), 및 절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은 RF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RF컨택트(310)들은 초고주파 RF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은 상기 절연부(34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3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에서의 플러그 커넥터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 중에서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RF컨택트(310)들 중에서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34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2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2개의 RF컨택트(310)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3개 이상의 RF컨택트(3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2개의 RF컨택트(310)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제1RF실장부재(3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를 통해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제2RF실장부재(3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RF실장부재(3121)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2RF실장부재(3121)를 통해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신호(Sinal), 데이터(Data)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3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 간에 RF신호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를 이격시킨 공간에,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림으로써 RF신호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이격공간에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절연부(340)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컨택트(320)들 각각이 갖는 전송실장부재(3201)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전송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2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4개의 전송컨택트(320)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5개 이상의 전송컨택트(3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절연부(34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RF컨택트(310)들에 대한 신호, 전자파 등의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RF컨택트(310)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의 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RF컨택트(310)들이 전송하는 RF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지하우징(330)을 이용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내측공간(330a)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는 상기 절연부(34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311), 상기 제2RF컨택트(312), 및 상기 전송컨택트(22)들은 전부가 상기 내측공간(330a)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 상기 제2RF실장부재(3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3201)들 또한 전부가 상기 내측공간(330a)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 전부에 대한 차폐벽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하여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고,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의 일부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내측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내측공간(330a)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은 상기 접지하우징(3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이 전체적으로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내측공간(330a)은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내측공간(330a)을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접지측벽(331), 및 접지하벽(332), 및 접지상벽(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내측공간(330a)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내측공간(330a)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접지내벽(23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측벽(331)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2)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하단에서 상기 내측공간(330a)의 반대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즉, 상기 접지하벽(332)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2)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어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2)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하벽(332)을 통해, 상기 접지측벽(331)과 상기 접지상벽(333)이 접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접지하벽(332)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하벽(332)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벽(332)은 상기 접지연결벽(233)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2)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상벽(333)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상단에서 상기 내측공간(330a)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접지상벽(333)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어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상벽(333)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상벽(333)은 상기 접지바닥(234)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상벽(33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상벽(333), 상기 접지하벽(332), 및 상기 접지측벽(33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금속 다이캐스팅(Die Casting), MIM(Metal Injection Molding) 공법 등과 같은 금속 사출 공법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 MCT(Machining Center Tool) 가공 등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접지측벽(331)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켜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접속돌기(3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돌기(335)는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돌기(335)는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속돌기(335)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돌기(335)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이 갖는 접속홈(23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속돌기(335)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8에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속돌기(335)가 상기 접속홈(235)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접속돌기(335)와 상기 접속홈(235)은 대략 일치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접속돌기(33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돌기(335)들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접속홈(3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홈(334)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홈(334)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Groov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속홈(334)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이 갖는 접속돌기(236)가 상기 접속홈(3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속홈(334)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9에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속홈(334)이 상기 접속돌기(236)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접속홈(334)과 상기 접속돌기(236)는 대략 일치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접속홈(334)에 삽입된 접속돌기(236)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속돌기(236)가 상기 접속홈(3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접속홈(334)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홈(334)들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330)이 상기 접속돌기(33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접속돌기(335)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이 갖는 접속돌기(236)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속돌기(335)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돌기(335)는 상기 접속돌기(236)의 하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접속돌기(23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 간의 면접촉(Surface Contact)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과 접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도전부재(3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336)는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336)는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이 갖는 코너부분(3301, 도 24에 도시됨)을 포함하여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도전부재(336)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돌기(335)와 상기 접속홈(334)을 이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이 갖는 코너부분(3301)에 구현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나, 상기 도전부재(336)를 이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이 갖는 코너부분(3301)에 구현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336)는 상기 접지측벽(331)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전부재(336)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336)는 별도로 제작된 후에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에 장착, 부착, 체결 등에 의해 상기 접지측벽(3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336)는 도전성 차폐재가 상기 접지측벽(331)의 외면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접지측벽(33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접지판(337, 도 1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판(337)은 상기 접지상벽(333)에서 상기 내측공간(330a)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판(337)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230)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판(337)은 상기 접지하우징(230)이 갖는 접지암(238)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지암(238)을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암(238)은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판(337)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접지판(337)에 강하게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지판(337)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2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접지판(337)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판(337)들은 상기 접지상벽(333)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340)는 상기 RF컨택트(310)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40)에는 상기 RF컨택트(310)들과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40)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40)는 상기 RF컨택트(310)들이 상기 내측공간(330a)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지하우징(3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40)는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상기 접지하우징(3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340)은 납땜검사창(341, 도 2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341)은 상기 절연부(34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341)은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가 상기 납땜검사창(34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는 상기 절연부(340)에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341)을 통해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를 포함한 상기 제1RF컨택트(311) 전부가 상기 접지하우징(330)의 내측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제1RF컨택트(311)를 상기 제2기판에 실장하는 실장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341)은 상기 절연부재(2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40)은 상기 납땜검사창(341)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RF실장부재(3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3201)들이 상기 납땜검사창(341)들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341)들을 통해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 상기 제2RF실장부재(3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3201)들이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RF컨택트(311), 상기 제2RF컨택트(312), 및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을 상기 제2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7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제1접지컨택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3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함께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도 23과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폐벽(330b), 제2차폐벽(330c), 제3차폐벽(330d), 및 제4차폐벽(330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330b), 상기 제2차폐벽(330c), 상기 제3차폐벽(330d),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은 각각 상기 접지측벽(331), 상기 접지하벽(332), 및 상기 접지상벽(33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330b)과 상기 제2차폐벽(330c)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對向)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차폐벽(330b)과 상기 제2차폐벽(330c)의 사이에는 상기 제1RF컨택트(31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제2차폐벽(330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제1차폐벽(330b)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4차폐벽(330e)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4차폐벽(330e)의 사이에는 상기 제1RF컨택트(31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4차폐벽(330e) 각각으로부터 대략 일치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차폐벽(330b)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4차폐벽(330e)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 상기 제1차폐벽(330b), 상기 제3차폐벽(330d),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을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 상기 제1차폐벽(330b), 상기 제3차폐벽(330d),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은 상기 제1RF컨택트(311)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 상기 제1차폐벽(330b), 상기 제3차폐벽(330d), 및 상기 제4차폐벽(330e)는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해 접지 루프(Ground Loop)(350a, 도 27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지 루프(350a)를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들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틈새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됨에 따라 막힐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7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제2접지컨택트(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3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함께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송컨택트(320)들과 상기 제2R컨택트(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와 상기 제2차폐벽(330c)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4차폐벽(330e)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 상기 제2차폐벽(330c), 상기 제3차폐벽(330d),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을 이용하여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 상기 제2차폐벽(330c), 상기 제3차폐벽(330d),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은 상기 제2RF컨택트(312)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 상기 제2차폐벽(330c), 상기 제3차폐벽(330d), 및 상기 제4차폐벽(330e)는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해 접지 루프(Ground Loop)(360a, 도 27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지 루프(360a)를 이용하여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들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틈새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됨에 따라 막힐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기판 커넥터
200 :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
210 : RF컨택트 211 : 제1RF컨택트
212 : 제2RF컨택트 220 : 전송컨택트
230 : 접지하우징 230a : 내측공간
230b : 제1이중차폐벽 230c : 제2이중차폐벽
230d : 제3이중차폐벽 230e : 제4이중차폐벽
231 : 접지내벽 231a : 코너부분
232 : 접지외벽 233 : 접지연결벽
234 : 접지바닥 235 : 접속홈
236 : 접속돌기 237 : 도전부재
238 : 접지암 239 : 납땜검사창
240 : 절연부 241 : 제1절연부재
242 : 삽입부재 243 : 납땜검사창
250 : 제1접지컨택트 250a : 접지루프
260 : 제2접지컨택트 260a : 접지루프
300 :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
310 : RF컨택트 311 : 제1RF컨택트
312 : 제2RF컨택트 320 : 전송컨택트
330 : 접지하우징 330a : 내측공간
330b : 제1차폐벽 330c : 제2차폐벽
330d : 제3차폐벽 330e : 제4차폐벽
331 : 접지측벽 3301 : 코너부분
332 : 접지하벽 333 : 접지상벽
334 : 접속홈 335 : 접속돌기
336 : 도전부재 337 : 접지판
340 : 절연부 341 : 납땜검사창
350 : 제1접지컨택트 350a : 접지루프
360 : 제2접지컨택트 360a : 접지루프

Claims (28)

  1.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접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절연부를 향하는 접지내벽, 상기 접지내벽으로 이격된 접지외벽, 및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 각각에 결합된 접지연결벽을 포함하며,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은 내측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는 이중차폐벽이고,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는 상기 이중차폐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내벽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 쪽으로 돌출된 접지바닥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RF컨택트들과 상기 전송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바닥은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절연부재의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와 상기 절연부재 각각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바닥은 상기 연결부재를 덮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제1접지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對向)되게 배치된 제1이중차폐벽과 제2이중차폐벽,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3이중차폐벽과 제4이중차폐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RF컨택트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이중차폐벽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이중차폐벽과 상기 제4이중차폐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중차폐벽, 상기 제1접지컨택트, 상기 제3이중차폐벽,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은 상기 제1RF컨택트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제2접지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RF컨택트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이중차폐벽과 상기 제2접지컨택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이중차폐벽과 상기 제4이중차폐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중차폐벽, 상기 제2접지컨택트, 상기 제3이중차폐벽, 및 상기 제4이중차폐벽은 상기 제2RF컨택트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내벽의 내면에 형성된 접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내벽의 내면에서 돌출된 접속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내벽의 내면에 결합된 도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접지내벽의 내면이 갖는 코너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접지내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내벽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 쪽으로 돌출된 접지바닥, 및 상기 접지바닥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 쪽으로 돌출된 접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암은 상기 내측공간 쪽으로 돌출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RF컨택트는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RF실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RF실장부재가 상기 절연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납땜검사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RF컨택트는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RF실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RF실장부재가 상기 접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납땜검사창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내벽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 쪽으로 돌출된 접지바닥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바닥은 상기 내측공간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되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하우징이 갖는 접지상벽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외벽은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접지외벽을 통해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7.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가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접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하우징은 내측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는 접지측벽, 상기 접지측벽의 상단에서 상기 내측공간 쪽으로 돌출된 접지상벽, 및 상기 접지측벽의 하단에서 상기 내측공간의 반대 쪽으로 돌출된 접지하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는 상기 접지측벽, 상기 접지상벽, 및 상기 접지하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제1접지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對向)되게 배치된 제1차폐벽과 제2차폐벽,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3차폐벽과 제4차폐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RF컨택트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차폐벽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과 상기 제4차폐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벽, 상기 제1접지컨택트, 상기 제3차폐벽, 및 상기 제4차폐벽은 상기 제1RF컨택트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제2접지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RF컨택트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차폐벽과 상기 제2접지컨택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과 상기 제4차폐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벽, 상기 제2접지컨택트, 상기 제3차폐벽, 및 상기 제4차폐벽은 상기 제2RF컨택트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측벽의 외면에 형성된 접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측벽의 외면에서 돌출된 접속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측벽의 외면에 결합된 도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접지측벽의 외면이 갖는 코너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접지측벽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상벽에서 상기 내측공간 쪽으로 돌출된 접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RF컨택트는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RF실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RF실장부재가 상기 절연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납땜검사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벽은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접지하벽을 통해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KR1020210009085A 2020-02-14 2021-01-22 기판 커넥터 KR20210103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99,523 US20230056967A1 (en) 2020-02-14 2021-02-05 Board connector
JP2022537233A JP7487311B2 (ja) 2020-02-14 2021-02-05 基板コネクタ
PCT/KR2021/001540 WO2021162357A1 (ko) 2020-02-14 2021-02-05 기판 커넥터
CN202180008267.3A CN114938692A (zh) 2020-02-14 2021-02-05 基板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8067 2020-02-14
KR1020200018067 2020-02-14
KR1020200029683 2020-03-10
KR20200029683 2020-03-10
KR20200033572 2020-03-19
KR1020200033572 2020-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40A true KR20210103940A (ko) 2021-08-24

Family

ID=7750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085A KR20210103940A (ko) 2020-02-14 2021-01-22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39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635A1 (ko) * 2022-09-30 2024-04-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WO2024096256A1 (ko) * 2022-11-04 2024-05-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WO2024096257A1 (ko) * 2022-11-04 2024-05-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635A1 (ko) * 2022-09-30 2024-04-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WO2024096256A1 (ko) * 2022-11-04 2024-05-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WO2024096257A1 (ko) * 2022-11-04 2024-05-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3940A (ko) 기판 커넥터
KR101816411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KR20200145713A (ko) 기판 커넥터
KR102647143B1 (ko) 기판 커넥터
JP7430818B2 (ja) 基板コネクタ
US20220360023A1 (en) Board connector
JP7487311B2 (ja) 基板コネクタ
JP7446461B2 (ja) 基板コネクタ
KR102647142B1 (ko) 기판 커넥터
KR20220069796A (ko) 기판 커넥터
KR20210117930A (ko) 기판 커넥터
KR20210113032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45277A (ko) 기판 커넥터
JP7446518B2 (ja) 基板コネクタ
US20230411911A1 (en) Board connector
CN110137721B (zh) 电连接器结构
US20240145998A1 (en) Board connector
CN116569427A (zh) 基板连接器
KR20220029363A (ko) 기판 커넥터
US20230268694A1 (en) Substrate connector
CN116491031A (zh) 基板连接器
US20240146006A1 (en) Connector
KR20220134441A (ko) 커넥터
KR20230123421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8827A (ko) 기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