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277A -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277A
KR20220145277A KR1020220046744A KR20220046744A KR20220145277A KR 20220145277 A KR20220145277 A KR 20220145277A KR 1020220046744 A KR1020220046744 A KR 1020220046744A KR 20220046744 A KR20220046744 A KR 20220046744A KR 20220145277 A KR20220145277 A KR 2022014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insulating part
contact
mova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령구
황현주
전형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4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를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RF컨택트들은 상대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컨택트, 제1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컨택트, 및 상기 접속컨택트와 상기 실장컨택트를 연결하는 가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기판에 결합되어서 상기 실장컨택트를 지지하는 고정절연부, 및 상기 접속컨택트를 지지하는 가동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절연부는 상기 고정절연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동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가동절연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절연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동절연부를 상기 고정절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중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무선통신 기기의 내부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전달하는 RF 커넥터, 카메라 등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기판 대 기판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 이하 '기판커넥터'라 함) 등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컨택트(11), 상기 컨택트(11)가 결합된 절연부(12), 상기 절연부(12)에 결합된 쉘(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11)는 상대커넥터(2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11)는 기판(미도시)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대커넥터(2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과 상기 상대커넥터(20)가 실장된 상대기판(미도시)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대커넥터(20)는 상대컨택트(21), 상기 상대컨택트(21)가 결합된 상대절연부(22), 상기 상대절연부(22)가 결합된 상대쉘(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컨택트(21)는 상기 상대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컨택트(1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과 상기 상대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에 기판커넥터들을 이용한 전기적 연결방식을 나타낸 개념적인 도면이다.
도 2을 참고하면, 제1기판(10A)과 제2기판(20B)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상기 제1기판(10A)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기판(20A)에 실장된 상대커넥터(20)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 제한됨에 따라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roard)(30)을 통해 상대커넥터(20)에 간접적으로 접속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은 일측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대커넥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A)과 상기 제2기판(2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것으로, 상기 제1기판(10A)과 상기 제2기판(20B)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직접 접속되는 것이 제한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와 상기 상대커넥터(20)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와 상기 상대커넥터(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성회로기판(30)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보다 단가가 더 높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기판들(11, 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가 연성회로기판(30)을 통해 상대커넥터(20)에 간접적으로 결합되므로, 접속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를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들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 및 상기 접속부와 상기 실장부를 연결하는 가동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실장컨택트를 지지하는 고정절연부, 및 상기 접속컨택트를 지지하는 가동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절연부는 상기 가동연결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절연부는 상기 고정절연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가동절연부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도 상대커넥터와 직접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에 수반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경감하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접속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연부를 고정절연부와 가동절연부로 구성하고, 가동연결부를 이용하여 가동절연부를 고정절연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가동연결부를 통해 상대커넥터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절연부를 적절하게 이동시키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넥터들이 직접 접속되는 과정에서 오정렬로 인한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하고, 접속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커넥터와 결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커넥터와 결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절연부와 RF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절연부과 RF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와 결합된 모습을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쉴드플레이트와 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쉴드플레이트가 절연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탄성접속부가 이너쉘과 접지쉴드 사이의 거리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쉴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하부플레이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은 도 8의 B에 대한 확대도
도 15는 도 4의 II-II선을 기준으로 절연부와 RF컨택트들을 생략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6은 도 4의 III-III선을 기준으로 절연부와 RF컨택트만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7은 도 7을 기준으로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상대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복수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들은 인쇄회로기판(PCB, Pri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100A)과 제2기판(20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1기판(100A)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기판(200A)에 실장된 상대커넥터(2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상대커넥터(200)에 직접 접속됨으로써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내용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200)는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가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200)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으나,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가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복수개의 RF컨택트(110), 절연부(120), 및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들은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RF컨택트(110)들은 초고주파 RF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들은 상기 절연부(1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120)와 일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들은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들은 상기 제1기판(100A)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들은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갖는 상대컨택트(210)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2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RF컨택트(110)는 상대커넥터(200)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컨택트(111), 제1기판(100A)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컨택트(112), 및 상기 접속컨택트(111)와 상기 실장컨택트(112)를 연결하는 가동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컨택트(111)는 상대커넥터(200)가 갖는 상대컨택트(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컨택트(111)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장컨택트(112)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면에 형성된 실장패턴(미도시)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A)의 내부에 배치된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연결부(113)는 상기 접속컨택트(111)와 상기 실장컨택트(112)에 각각 결합되어서 상기 접속컨택트(111)와 상기 실장컨택트(11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접속컨택트(111)에 접속되면 상기 가동연결부(113)를 통해 상기 실장컨택트(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실장컨택트(112)를 통해 상기 제1기판(1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컨택트(111), 상기 실장컨택트(112), 및 상기 가동연결부(11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RF컨택트(110)들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면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고정절연부(121), 및 가동절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절연부(121)는 상기 제1기판(100A)에 결합되어서 상기 실장컨택트(11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절연부(121)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기판(10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컨택트(112)는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기판(100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B)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컨택트(111)가 상기 상대컨택트(210)와 직접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컨택트(111)들은 상기 가동절연부(1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컨택트(210)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상대커넥터(2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적절하게 이동함으로써,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상기 상대컨택트(21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절연부(121)는 상기 가동연결부(113)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고정절연부(121)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가동연결부(113)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와 상기 가동연결부(113)를 통해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대한 플로팅(Floating)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가동절연부(122)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가동절연부(122)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B)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상기 상대컨택트(210)에 직접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이 수반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커넥터간 직접 접속을 구현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을 통한 커넥터간 간접 접속구조로 인해 접속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가동연결부(113)와 상기 가동절연부(122)를 통해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대한 플로팅(Floating)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가동절연부(122)가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상대커넥터(2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적절하게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오정렬된 상태에서 삽입되거나 또는 상대커넥터(200)와 체결 후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정합 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접촉을 유지시켜주며, 제품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커넥터의 특성상 기판에 의해 작업자의 시야가 방해됨에 따라 상대커넥터(200)와 오정렬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대커넥터(200)와 직접 접속을 구현하면서도 오정렬로 인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기존에 존재하는 가동절연부(122)와 RF컨택트(110)를 이용하여 플로팅 구조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구성인 상기 절연부(120)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고정절연부(121)와 상기 가동절연부(122)로 구현하고, 상기 RF컨택트(110)에서 상기 접속컨택트(111)와 상기 실장컨택트(112)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존 구성을 상기 가동연결부(113)로 구현함으로써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대한 플로팅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의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대한 플로팅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작업공수를 줄임으로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130)는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커버(130)는 내부에 상기 절연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130)는 상기 절연부(120)와 상기 RF컨택트(110)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130)는 접지(Ground)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에 대한 차폐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130)는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의 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RF컨택트(110)들이 전송하는 RF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커버(130)를 이용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30)는 전방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130)는 상기 전방면을 통해 상대커넥터(200)를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130)는 하방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130)는 동일 높이 대비 더 많은 내부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저배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RF컨택트(110), 상기 절연부(120), 및 상기 커버(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RF컨택트(110)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면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기판(20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속컨택트(111)는 상기 실장컨택트(112)로부터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연결부(113)는 상기 실장컨택트(112)로부터 상기 접속컨택트(111) 쪽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실장컨택트(112)와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가동연결부(113)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에 결합된 접속연결부재(1131),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결합된 실장연결부재(1132, 및 상기 실장연결부재(1132에 결합된 플로팅부재(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부재(1133)는 상기 실장연결부재(1132)로부터 상기 접속연결부재(1131)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실장연결부재(1132)와 상기 접속연결부재(113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플로팅부재(1133)를 통해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오정렬되어 삽입된 상대커넥터(200)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오정렬되어 삽입된 상대커넥터(200)에 의해 상기 가동절연부(122)가 삽입방향인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이 아닌 상기 폭방향(X축 방향) 또는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플로팅부재(1133)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가동절연부(122)를 해당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와 상기 가동절연부(122)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접속연결부재(1131)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상기 접속연결부재(1131)를 상기 상대컨택트(210)에 대한 접속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대커넥터에 대한 접속신뢰성과 접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로팅부재(1133)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와 상기 고정절연부(121)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20S)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가동절연부(122)가 상기 고정절연부(12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수반되는 이격공간(120S)을 활용하여 상기 플로팅부재(1133)의 설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향상시켜서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RF컨택트(11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110)를 구성하는 상기 접속컨택트(111), 상기 실장컨택트(112), 및 상기 가동연결부(1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RF컨택트(110)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기판(100A)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기판(100A)에는 상기 절연부(120)를 삽입시키기 위한 제1기판홈(H,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제1기판홈(H)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기판(10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120)의 일부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부(120)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기판(100A)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절연부(120)가 상기 제1기판(100A)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택일적으로 위치하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제1기판(100A)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고정절연부(121)와 상기 가동절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절연부(121)는 상기 제1기판(100A)에 결합되어서 상기 실장컨택트(11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절연부(121)는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기판(10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절연부(12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갖는 상대컨택트(210)와 직접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가동본체(1221), 및 가동돌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본체(1221)는 상기 접속연결부재(1131)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속연결부재(1131)는 상기 가동본체(1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본체(1221)는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절연부(12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본체(1221)는 상기 가동돌기(122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돌기(1222)는 상기 접속컨택트(111)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가동돌기(1222)는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갖는 상대커버(2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돌기(1222)는 상기 가동본체(1221)로부터 상기 제1기판(100A)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기판(200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 상기 가동돌기(1222)는 상기 가동본체(1221)로부터 상기 제1기판(100A)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기판(200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동돌기(1222)가 상기 상대커버(230)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접속컨택트(111)들은 상기 상대커버(230) 내부에 위치하는 상대컨택트(210)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도 상대커넥터(200)에 대한 직접 접속을 구현함으로써 접속성능을 향상시킴에 더하여 연성회로기판을 수반하지 않음으로써 제조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120)는 연결절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절연부(123)는 상기 가동절연부(122)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절연부(123)는 일측이 상기 가동절연부(122)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절연부(123)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와 상기 고정절연부(121) 모두에 비해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절연부(123)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와 상기 고정절연부(121)와 대비하여 더 적은 힘으로 변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연결절연부(123)를 이용하여 상기 가동절연부(122)가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하면서도, 상기 플로팅부재(1133)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플로팅부재(113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절연부(123)는 상기 플로팅부재(113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로팅부재(1133)는 상기 연결절연부(12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연결절연부(123)를 이용하여 상기 플로팅부재(1133)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면서도, 상기 플로팅부재(1133)를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상기 플로팅부재(113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절연부(123)는 상기 이격공간(120S)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가동절연부(122)가 상기 고정절연부(12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수반되는 이격공간(120S)을 활용하여 상기 연결절연부(123)의 설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향상시켜서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연결절연부(123)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절연부(123)들은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가동절연부(122)와 상기 고정절연부(1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절연부(121), 상기 가동절연부(122), 및 상기 연결절연부(1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이너쉘(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커버(130)의 내부에 삽입된 것이다.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커버(130)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쉘(140)은 접지(Ground)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에 대한 차폐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의 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RF컨택트(110)들이 전송하는 RF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이너쉘(140)을 이용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이너쉘(140)은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너쉘(14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30)부는 커버본체(131), 및 수용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31)는 상기 절연부(120)와 상기 이너쉘(14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홈(132)은 상기 절연부(120)와 상기 이너쉘(140)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본체(131)에는 상기 수용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31)는 상기 수용홈(132)에 상기 절연부(120)와 상기 이너쉘(140)이 수용되도록 상기 절연부(120)와 상기 이너쉘(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120)와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커버(1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31)는 상기 기판(100A)에 형성된 접지패턴(미도시)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31)는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갖는 상대커버(230)를 통해 접지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본체(131)는 접지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에 대한 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본체(131)는 커버좌벽(1311), 커버우벽(1312), 커버후벽(1313), 및 커버상벽(1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좌벽(1311)은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32)의 좌방(左方)을 가리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커버우벽(1312)은 상기 수용홈(132)의 우방(右方)을 가리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우방은 상기 좌방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후벽(1313)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전후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32)의 후방(後方)을 가리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커버상벽(1314)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32)의 상방(上方)을 가리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커버좌벽(1311), 상기 커버우벽(1312), 상기 커버후벽(1313), 및 상기 커버상벽(1314)은 접지(Ground)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서로 다른 네 방향을 차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버좌벽(1311)은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좌방으로 RF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차폐하고, 상기 커버우벽(1312)은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우방으로 RF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차폐하며, 상기 커버후벽(1313)은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상기 후방으로 RF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차폐하고, 상기 커버상벽(1314)은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상방으로 RF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사방(四方)을 차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방, 상기 우방, 전방, 상기 후방, 상기 상방, 및 하방은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수용홈(132)의 하방(下方)을 가리도록 배치된 쉘하벽(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하벽(144)은 접지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하방으로 RF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쉘하벽(144), 상기 커버좌벽(1311), 상기 커버우벽(1312), 상기 커버후벽(1313), 및 상기 커버상벽(1314)을 통해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좌방, 우방, 후방, 상방, 및 하방을 포함하여 총 다섯방향에 대한 차폐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커버(130)가 커버하벽을 생략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커버하벽으로 인해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쉘하벽(144)을 이용하여 상기 RF컨택트(110)들의 하방을 차폐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커버본체(131)가 커버하벽을 생략함으로써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형화를 구현하면서도, 상기 쉘하벽(144)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본체(131)에서 커버하벽이 생략됨에 따라 하방에 대한 차폐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기판(100A)의 전방(前方) 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절연부(120)에서 상기 제1기판(10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쉘하벽(144)은 상기 절연부(120)에서 상기 제1기판(100A)의 하부에 위치한 부분의 밑면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절연부(120)에서 상기 제1기판(100A)의 하부에 위치한 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RF컨택트(110)에 의해 발생된 RF신호가 하방으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쉘하벽(144), 쉘좌벽(141), 쉘우벽(142), 쉘상벽(143), 및 쉘후벽(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하벽(144)은 상기 RF컨택트(110)들의 하방을 가리는 것이다. 상기 쉘하벽(144)은 상기 절연부(120)의 하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쉘하벽(144)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12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RF컨택트(110)들의 하방을 가릴 수 있다. 상기 쉘하벽(144)은 상기 기판(100A)을 통해 접지(Ground)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의 하방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쉘하벽(1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일측이 상기 쉘하벽(144)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기판(100A)에 결합되도록 상기 후방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쉘좌벽(141)은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좌방을 가리는 것이다. 상기 쉘좌벽(141)은 상기 절연부(120)의 좌측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쉘좌벽(141)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120)의 좌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좌방을 가릴 수 있다. 상기 쉘좌벽(141)은 상기 기판(100A)을 통해 접지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좌방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커버좌벽(1311)과 상기 쉘좌벽(141)을 이용하여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좌방에 대한 이중차폐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발생하는 RF신호가 외측으로 방사되는 것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쉘우벽(142)은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우방을 가리는 것이다. 상기 쉘우벽(142)은 상기 절연부(120)의 우측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쉘우벽(142)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120)의 우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우방을 가릴 수 있다. 상기 쉘우벽(142)은 상기 기판(100A)을 통해 접지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우방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커버우벽(1312)과 상기 쉘우벽(142)을 이용하여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우방에 대한 이중차폐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발생하는 RF신호가 외측으로 방사되는 것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쉘상벽(143)은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상방을 가리는 것이다. 상기 쉘상벽(143)은 상기 절연부(120)의 상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쉘상벽(143)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12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상방을 가릴 수 있다. 상기 쉘상벽(143)은 상기 기판(100A)을 통해 접지(Ground)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상방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커버상벽(1314)과 상기 쉘상벽(143)을 이용하여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상방에 대한 이중차폐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발생하는 RF신호가 외측으로 방사되는 것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쉘하벽(144), 상기 쉘상벽(143), 상기 쉘우벽(142), 및 상기 쉘좌벽(141)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너쉘(140)에 삽입된 상대커넥터(200)에 접속되어서 상기 커버(130)와 상기 상대커넥터(200)의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쉘하벽(144), 상기 쉘상벽(143), 상기 쉘우벽(142), 및 상기 쉘좌벽(141)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갖는 상대커버(23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커버(130)와 상기 상대커넥터(200)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상대커넥터(200)를 삽입시킴으로써 RF신호의 전방차폐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너쉘(140)과 상대커넥터(200)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RF신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방에 대한 완전차폐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RF컨택트(110)들로부터 발생하는 RF신호에 대한 전방차폐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쉴드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이너쉘(140) 내부로 삽입된 상대커넥터(200)가 갖는 상대커버(230)가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되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접지쉴드(151), 및 탄성접속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쉴드(151)는 상기 상대커버(230)를 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지쉴드(151)는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쉘(14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상기 이너쉘(140)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상대커버(230)는 상기 접지쉴드(151)에 접속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상기 접지쉴드(151)를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지쉴드(151)는 상기 탄성접속부(152)를 통해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이너쉘(140)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일측이 상기 접지쉴드(151)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지쉴드(151)를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오정렬되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접지쉴드(151)를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접속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8,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1은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 사이의 이격거리가 L1인 상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 사이의 이격거리가 L1보다 더 큰 L2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도 11, 및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일측이 상기 접지쉴드(15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타측이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을 항상 가압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 사이의 이격거리가 L1에서 L2로 변경되면, 상기 이격거리가 길어지므로 상기 탄성접속부(152)의 타측을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 사이의 이격거리 L2에서 L1으로 변경되면, 상기 이격거리가 짧아지므로 상기 탄성접속부(152)의 타측이 상기 접지쉴드(151)에 가까워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이너쉘(140)과 상기 접지쉴드(151)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타측을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접지쉴드(151)가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탄성접속부(152)를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200)의 오정렬로 인하여 상기 접지쉴드(151)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기 접지쉴드(151)가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이너쉘(140)에 대한 상기 접지쉴드(151)의 접속신뢰성 및 접속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탄성접속부(152)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쉴드(15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200)를 기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탄성접속부(152)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커넥터(200)에 대한 위치교정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상대커넥터(200)에 대한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탄성접속부(15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속부(152)들 중에서 제1탄성접속부(1521)와 제2탄성접속부(1522)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탄성접속부(1521)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쉘좌벽(141)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탄성접속부(1522)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쉘우벽(142)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1탄성접속부(1521)와 상기 제2탄성접속부(1522)를 이용하여 상대커넥터(200)와의 오정렬로 인해 상기 접지쉴드(151)가 기존 위치를 이탈하더라도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지쉴드(151)가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할 뿐만 아니라, 복원력을 이용해 상기 접지쉴드(151)를 다시 본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이너쉘(140)에 대한 상기 접지쉴드(151)의 접속안정성을 향상시킴에 더하여 상대커넥터(200)에 대한 위치교정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접속부(152)들 중에서 제3탄성접속부(1523)와 제4탄성접속부(1524)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탄성접속부(1523)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쉘상벽(143)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4탄성접속부(1524)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쉘하벽(144)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3탄성접속부(1523)와 상기 제4탄성접속부(1524)를 이용하여 상대커넥터(200)와의 오정렬로 인해 상기 접지쉴드(151)가 기존 위치를 이탈하더라도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 기준으로 상기 접지쉴드(151)가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할 뿐만 아니라, 복원력을 이용해 상기 접지쉴드(151)를 다시 본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이너쉘(140)에 대한 상기 접지쉴드(151)의 접속안정성을 향상시킴에 더하여 상대커넥터(200)에 대한 위치교정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1탄성접속부(1521)와 상기 제2탄성접속부(1522)가 각각 N개(N은 0보다 큰 정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3탄성접속부(1523)와 상기 제4탄성접속부(1524)가 각각 M개(M은 N보다 큰 정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접속부(1521)와 상기 제2탄성접속부(1522)의 개수보다 상기 제3탄성접속부(1523)와 상기 제4탄성접속부(1524)의 개수가 더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 기준으로 상기 이너쉘(140)에 대한 상기 접지쉴드(151)의 접속안정성과 상대커넥터(200)에 대한 결합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결합된 고정쉴드(153), 및 상기 접지쉴드(151)를 상기 고정쉴드(15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동쉴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쉴드(151)는 상기 가동쉴드(154)를 통해 상기 고정쉴드(15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동쉴드(154)는 상기 고정쉴드(153)와 상기 접지쉴드(151) 모두에 비해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쉴드(154)는 상기 고정쉴드(153) 및 상기 접지쉴드(151)에 대비하여 외력에 대한 변형률이 더 높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쉴드(154)는 고정쉴드(153)와 상기 접지쉴드(151)보다 먼저 탄성변형하는 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접지쉴드(151)를 상기 고정쉴드(153)에 대해 이동시키는 기능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부플레이트(150a)와 하부플레이트(15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는 상기 절연부(120)의 상부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는 상기 절연부(120)의 하부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결합시키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쉴드플레이트(150)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수반되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쉴드플레이트(150)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를 전부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 중에서 불량이 발생한 것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를 생산하는 장치를 일원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를 구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와 대략적으로 일치되는 것임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부(120)에 각각 결합된 후,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고정쉴드(153)에 결합된 고정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5)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에 형성된 가동절연홈(미도시)에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쉴드(153)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5)는 상기 가동절연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고정쐐기를 통해 상기 가동절연홈과 걸림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쉴드(153)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5)는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쉴드(153)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55)는 상기 고정쉴드(153)에 형성된 고정쉴드홈(미도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절연홈을 통해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155)에는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5)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5)들은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고정쉴드(153)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고정쉴드(153)와 상기 고정절연부(121)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가이드쉴드(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쉴드(156)는 상대커넥터(200)가 상기 이너쉘(140)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쉴드(156)는 상기 이너쉘(14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지쉴드(151)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쉴드(156)는 상기 접지쉴드(15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커넥터(200)는 오정렬되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쉴드(156)의 전면을 따라 상기 이너쉘(140)의 내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가이드쉴드(156)를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200)를 삽입시키는 작업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쉴드(156)의 전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쉴드(156)는 상기 접지쉴드(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쉴드(156)는 상기 접지쉴드(151)의 전단을 굽힘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지돌기(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방향은 상기 외측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내측방향은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접지돌기(157)를 통해 상기 이너쉘(140)에 삽입된 상대커넥터(200)의 상대커버(230)에 대한 접속신뢰성 및 접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돌기(157)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돌기(157)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상대커버(230)에 대한 접속신뢰성 및 접속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에 결합된 차폐쉴드(1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쉴드(158)는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이너쉘(140) 사이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쉘(140)과 상기 절연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기판(100A)에 형성된 제1기판홈(H)에 삽입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너쉘(140)이 상기 제1기판(100A)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이너쉘(140) 사이에 틈새(G)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100A)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제품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으나,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이너쉘(140) 사이에 형성된 틈새(G)로 RF신호가 유출됨에 따라 차폐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차폐쉴드(158)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이너쉘(140) 사이에 형성된 틈새(G)로 RF신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이너쉘(140)과 상기 절연부(120)를 상기 제1기판(100A)의 하부로 돌출시키는 구조를 통해 저배화를 구현하면서도,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이너쉘(140)과 상기 제1기판(100A) 사이에 형성된 틈새(G)로 인해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폐쉴드(158)는 상방돌출부(1581), 및 후방돌출부(15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방돌출부(1581)는 상기 후방돌출부(1582)를 상기 제1기판(100A)의 상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방돌출부(1581)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후방돌출부(1582)는 상기 상측돌출부재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후방돌출부(1582)는 상기 상측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돌출부(1582)는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이너쉘(140)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이너쉘(140)과 상기 제1기판(100A) 사이에 형성된 틈새(G)로 인해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상방돌출부(1581)의 후방에 배치된 쉘후벽(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후벽(145)은 상기 쉘하벽(14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쉘후벽(145)은 상기 상방돌출부(1581)와 함께 상기 절연부(120)의 후면을 이중으로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쉘후벽(145)과 상기 상방돌출부(1581)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판(100A)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RF컨택트(110)들에 대한 이중차폐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이너쉘(140)과 상기 절연부(120)를 상기 제1기판홈(H)에 삽입시키는 구조를 통해 저배화를 구현하면서도, 상기 제1기판(100A)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RF컨택트(110)들에 대한 후방 차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폐쉴드(158)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돌출부(1582)의 일측에 결합된 좌측날개부(1583), 및 상기 후방돌출부(1582)의 타측에 결합된 우측날개부(15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날개부(1583)는 상기 후방돌출부(1582)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날개부(1584)는 상기 후방돌출부(1582)의 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좌측날개부(1583)와 상기 우측날개부(1584)의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차폐쉴드(158)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이너쉘(140)이 상기 차폐쉴드(158)에 대해 상기 폭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차폐쉴드(158)와 상기 이너쉘(140)에 대한 결합구조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좌측날개부(1583)와 상기 우측날개부(1584)를 이용하여 상기 차폐쉴드(158)와 상기 이너쉘(140)에 대한 결합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전송컨택트(160), 및 접지컨택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신호(Sinal), 데이터(Data)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12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RF컨택트(110) 중에서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제2RF컨택트(110b)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제2RF컨택트(1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송컨택트들(160a, 160b, 160c, 160d, 160e, 160f)들은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제2RF컨택트(1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제2RF컨택트(110b)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림으로써 RF신호간섭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공간에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절연부(120)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상기 제1기판(100A)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컨택트(160)들 각각이 갖는 전송실장부재(미도시)가 상기 제1기판(100A)에 형성된 접속패턴(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상기 제1기판(100A)의 내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160)들은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갖는 전송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200)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2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가 6개의 전송컨택트들(160a, 160b, 160c, 160d, 160e, 160f)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7개 이상의 전송컨택트(160)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지컨택트(170)들은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컨택트(170)들은 상기 제1기판(100A)에 형성된 접지패턴(미도시)을 통해 접지(Ground)될 수 있다. 상기 접지컨택트(17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컨택트(17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120)와 일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접지컨택트(170) 중에서 제1접지컨택트(171)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들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들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전송컨택트(160)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림으로써 신호간섭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공간에 상기 제1접지컨택트(171)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들 간의 신호간섭을 더 경감함에 더하여 상기 절연부(120)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컨택트(170)들 중에서 제2접지컨택트(172)는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RF컨택트(110b)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들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RF컨택트(110b)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들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RF컨택트(110b)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2RF컨택트(110b)와 상기 전송컨택트(160)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림으로써 신호간섭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공간에 상기 제2접지컨택트(172)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2RF컨택트(110b)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들 간의 신호간섭을 더 경감함에 더하여 상기 절연부(120)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가 결합되는 상대커넥터(20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 내지 도 5, 도 8 및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제1기판(100A)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제2기판(200A)에 실장된 것이다. 상기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제1기판(100A)을 향하는 상기 제2기판(200A)의 일면에 결합된 상대커버(230), 상기 상대커버(230)의 내부에 배치된 상대절연부(220), 및 상기 상대절연부(22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상대컨택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커버(230)가 상기 이너쉘(140)에 삽입되면,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은 상기 RF컨택트(110)들에 직접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2기판(200A), 및 상기 상대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2기판(200A)과 상기 상대커넥터(20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RF컨택트(110)와 상기 상대컨택트(210)가 직접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도 2와 같이 기판들(100A, 200A)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됨에 따라 커넥터들(10, 20)이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되어 직접 접속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기판(30)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경우 상기 연결기판(30)의 크기와 무게로 인해 소형화와 경량화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기판(30)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roard)보다도 고가의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roard)였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RF컨택트(110)와 상기 상대컨택트(210)가 직접 접속되도록 구현되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대컨택트(210), 상기 상대절연부(220), 및 상기 상대커버(230)에 대해 도 3 내지 도 5, 도 8 및 도 18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은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은 RF신호 전송을 위해 제2기판(200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200A)은 제1기판(1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은 상기 제2기판(200A)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은 상기 RF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RF컨택트가 실장된 제1기판(1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에서의 상대커넥터는 상대커넥터(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상대절연부(220)는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이 결합된 것이다.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은 상기 상대절연부(220)에 지지되어서 상기 RF컨택트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상대절연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상대절연부(220)와 일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버(230)는 상기 상대절연부(22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상대커버(230)는 상기 상대절연부(220)에 결합되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상대컨택트(210)와 상기 상대절연부(22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버(230)는 상기 제2기판(200A)에 실장됨으로써,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대커버(230)는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에 대한 신호, 전자파 등의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대커버(230)는 상기 상대컨택트(210)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의 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한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상대컨택트(210)들이 전송하는 RF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상대커버(230)를 이용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버(230)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대커버(23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버(230)는 상대커버본체(231), 상대수용홈(232), 상대플랜지(233), 및 조립돌기(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버본체(231)는 상기 상대절연부(22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상대커버본체(231)에는 상기 상대절연부(220)를 수용하는 상대수용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버본체(231)는 상기 상대절연부(220)가 상기 상대수용홈(232)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대절연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대커버본체(231)는 상기 제2기판(20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대절연부(220)는 상기 상대커버본체(231)와 상기 제2기판(20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대절연부(220)는 상기 상대커버본체(231)와 상기 제2기판(200A)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상대플랜지(233)는 상기 상대커버본체(231)를 상기 제2기판(200A)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대플랜지(233)는 상기 상대커버본체(231)의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굽힘(Bending)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방향은 상기 상대커버본체(231)로부터 상기 상대수용홈(232)을 향하는 내측방향에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상대플랜지(233)를 통해 상기 상대커버본체(231)가 상기 제2기판(200A)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상대플랜지(233)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커버본체(231)를 상기 제2기판(200A)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한 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상대플랜지(233) 없이 상기 상대커버본체(231)가 상기 제2기판(200A)에 직접 결합되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한 고정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상대커버본체(231)를 상기 제2기판(200A)에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납땜의 응고를 통해 형성되거나, 접착성이 있는 물질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열처리를 통해 상기 상대플랜지(233)를 용융시킨 후 응고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립돌기(234)는 상기 커버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립돌기(234)는 상기 상대커버본체(23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234)는 상기 상대커버(230)가 상기 수용홈(13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조립홈(14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조립돌기(234)를 이용하여 조립홈(147)과 조립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커버에 대한 접속신뢰성 및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234)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립돌기(234)는 상기 조립홈(147)의 개수에 서로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234)들은 상기 상대커버(23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립홈(147)들은 상기 커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234)와 상기 조립홈(147)은 각각 상기 상대커버(230)가 상기 커버에 삽입되는 것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대커버(230)와 상기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커버와 상기 상대커버(230)의 다양한 위치에서 접속력과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와 상기 상대커버(230) 사이에 접속신뢰성과 결합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대커넥터(200)는 상대전송컨택트(미도시), 미 상대접지컨택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전송컨택트와 상기 상대접지컨택트는 상술한 상기 전송컨택트(160), 및 상기 접지컨택트(170)와 각각 대략적으로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기판 커넥터 110 : RF컨택트
111 : 접속컨택트 112 : 실장컨택트
113 : 가동연결부 120 : 절연부
121 : 고정절연부 122 : 가동절연부
123 : 연결절연부 130 : 커버
131 : 커버본체 132 : 수용홈
140 : 이너쉘 141 : 쉘좌벽
142 : 쉘우벽 143 : 쉘상벽
144 : 쉘하벽 145 : 쉘후벽
150 : 쉴드플레이트 151 : 접지쉴드
152 : 탄성접속부 153 : 고정쉴드
154 : 가동쉴드 155 : 고정부재
156 : 가이드쉴드 157 : 접지돌기
158 : 차폐쉴드 160 : 전송컨택트
170 : 접지컨택트

Claims (22)

  1.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110);
    상기 RF컨택트(110)들이 결합된 절연부(120); 및
    상기 절연부(120)에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하고,
    상기 RF컨택트(110)들은 상대커넥터(200)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컨택트(111), 제1기판(100A)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컨택트(112), 및 상기 접속컨택트(111)와 상기 실장컨택트(112)를 연결하는 가동연결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실장컨택트(112)를 지지하는 고정절연부(121), 및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지지하는 가동절연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절연부(121)는 상기 가동연결부(113)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고정절연부(121)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가동연결부(113)의 타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연결부(113)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에 결합된 접속연결부재(1131),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결합된 실장연결부재(1132), 및 상기 접속연결부재(1131)와 상기 실장연결부재(1132)를 연결하는 플로팅부재(1133)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절연부(122)는 상기 플로팅부재(1133)를 통해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연결부(113)는 상기 접속연결부재(1131)에 결합된 가동본체(1221), 및 상기 접속컨택트(111)를 지지하는 가동돌기(1222)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돌기(1222)는 상기 가동본체(1221)로부터 상기 제1기판(100A)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기판(200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재(1133)는 상기 가동절연부(122)와 상기 고정절연부(121)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20S)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에 결합된 이너쉘(140), 및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되는 쉴드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쉘(140)에 수용된 접지쉴드(151), 및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이너쉘(140)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접지쉴드(151)를 상기 이너쉘(140)에 접속시키는 탄성접속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속부(152)는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내면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접지쉴드(151)와 상기 이너쉘(140)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결합된 고정쉴드(153), 및 상기 접지쉴드(151)를 상기 고정쉴드(15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동쉴드(154)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쉴드(154)는 상기 고정쉴드(153)와 상기 가동쉴드(154) 모두에 비해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탄성접속부(152)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이너쉘(140)은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좌방을 가리도록 배치된 쉘좌벽(141), 및 상기 RF컨택트(110)들의 우방을 가리도록 배치된 쉘우벽(142)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접속부(152)들 중에서 제1탄성접속부(1521)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쉘좌벽(141)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접속부(152)들 중에서 제2탄성접속부(1522)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쉘우벽(142)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탄성접속부(152)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이너쉘(140)은 높이방향(Z축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RF컨택트(110)들의 상방을 가리도록 배치된 쉘상벽(143), 및 상기 RF컨택트(110)들의 하방을 가리도록 배치된 쉘하벽(144)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접속부(152)들 중에서 제3탄성접속부(1523)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쉘상벽(143)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접속부(152)들 중에서 제4탄성접속부(1524)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상기 쉘하벽(144)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탄성접속부(152)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속부(152)들 중에서 제1탄성접속부(1521)와 제2탄성접속부(1522)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탄성접속부(152)들 중에서 제3탄성접속부(1523)와 제4탄성접속부(1524)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제1탄성접속부(1521)와 상기 제2탄성접속부(1522)는 각각 N개(N은 0보다 큰 정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3탄성접속부(1523)와 상기 제4탄성접속부(1524)는 각각 M개(M은 N보다 큰 정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절연부(12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플레이트(150a), 및 상기 절연부(12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플레이트(150b)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50a)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고정쉴드(153)에 결합된 고정부재(15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55)는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쉴드(153)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이너쉘(14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지쉴드(151)의 전단에 결합된 가이드쉴드(156)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쉴드(156)는 상기 접지쉴드(151)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접지쉴드(151)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접지돌기(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제1기판(100A)의 전방 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130)에 결합되며,
    상기 쉴드플레이트(150)는 상기 절연부(12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플레이트(150b), 및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이너쉘(140) 사이를 가리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에 결합된 차폐쉴드(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쉘(140)과 상기 절연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기판(100A)에 형성된 제1기판홈(H)에 삽입되고,
    상기 차폐쉴드(158)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50b)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방돌출부(1581), 및 상기 상방돌출부(1581)에 결합된 후방돌출부(1582)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돌출부(1582)는 상기 상방돌출부(158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RF컨택트(110)의 하방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상방돌출부(1581)의 후방에 배치된 쉘후벽(145)을 포함하고,
    상기 상방돌출부(1581)와 상기 쉘후벽(145)은 상기 제1기판(100A)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RF컨택트(110)들에 대한 이중차폐벽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쉴드(158)는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돌출부(1582)의 일측에 결합된 좌측날개부(1583), 및 상기 후방돌출부(1582)의 타측에 결합된 우측날개부(1584)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쉘(140)은 상기 좌측날개부(1583)와 상기 우측날개부(1584)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차폐쉴드(158)에 대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컨택트(110)들 중에서 제1RF컨택트(110a)와 제2RF컨택트(110b)는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제2RF컨택트(110b) 사이에는 복수개의 전송컨택트(160)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송컨택트(160)들과 상기 제1RF컨택트(110a) 사이에 위치된 제1접지컨택트(17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컨택트(171)는 제1기판(100A)을 통해 접지되어서 상기 제1RF컨택트(110a)와 상기 전송컨택트(160)들 사이를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120)는,
    일측이 상기 가동절연부(122)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동절연부(122)를 상기 고정절연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절연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100A)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제2기판(200A), 및 상기 제2기판(200A)에 실장된 상대커넥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커넥터(200)는,
    상기 제1기판(100A)을 향하는 상기 제2기판(200A)의 일면에 결합된 상대커버(230);
    상기 상대커버(230)의 내부에 배치된 상대절연부(220); 및
    상기 상대절연부(22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상대컨택트(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100A)과 상기 제2기판(200A)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커버(230)가 상기 커버(130)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상대컨택트(210)들과 상기 RF컨택트(110)들이 직접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KR1020220046744A 2021-04-21 2022-04-15 기판 커넥터 KR20220145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1841 2021-04-21
KR1020210051841 2021-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277A true KR20220145277A (ko) 2022-10-28

Family

ID=8383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744A KR20220145277A (ko) 2021-04-21 2022-04-15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2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509A (ko) 2022-11-04 2024-05-1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40066982A (ko) 2022-11-08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40066983A (ko) 2022-11-08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40066979A (ko) 2022-11-08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40066984A (ko) 2022-11-08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509A (ko) 2022-11-04 2024-05-1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40066982A (ko) 2022-11-08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40066983A (ko) 2022-11-08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40066979A (ko) 2022-11-08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40066984A (ko) 2022-11-08 2024-05-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5277A (ko) 기판 커넥터
US110118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675703B1 (ko) 기판 커넥터
US20230104947A1 (en) Board connector
KR20210004774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040101013A (ko) 커넥터 하우징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셸을 갖는 커넥터
KR20220127724A (ko) 커넥터
US20230056967A1 (en) Board connector
KR20220127736A (ko) 커넥터
US20230144353A1 (en) Board connector
KR20220021409A (ko) 기판 커넥터
KR20220069796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8827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4448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8821A (ko) 기판 커넥터
US11990701B2 (en)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shield
KR20220126623A (ko) 기판 커넥터
US20240136745A1 (en) Connector
CN115052446B (zh) 电子设备
US20240235080A9 (en) Connector
KR20220134447A (ko) 기판 커넥터
KR102675704B1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4426A (ko) 기판 커넥터
US20240039215A1 (en) Board connector
US20240128687A1 (en)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