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774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4774A KR20210004774A KR1020190127562A KR20190127562A KR20210004774A KR 20210004774 A KR20210004774 A KR 20210004774A KR 1020190127562 A KR1020190127562 A KR 1020190127562A KR 20190127562 A KR20190127562 A KR 20190127562A KR 20210004774 A KR20210004774 A KR 202100047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receptacle connector
- connection terminals
- shield
- mold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06 Liquid cryst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7 Liquid-crystal polymers (LC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강도가 보강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복수의 접속 단자, 각각의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전방부와, 전방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지지부 상에,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실드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실드가 그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와, 평탄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실드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실드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자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PCB) 등에 실장되어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접속 단자들과, 접속 단자들을 지지하는 몰드 구조체와, 몰드 구조체를 감싸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단자들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의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접속 단자들은 몰드 구조체에 의해 상호 절연되면서 보유되고, 몰드 구조체를 감싸는 하우징에 의해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도가 보강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복수의 접속 단자, 각각의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전방부와, 전방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지지부 상에,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실드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실드가 그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와, 평탄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실드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접속 단자, 각각의 제1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전방부와, 전방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제1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지지부 상에, 접지되는 실드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실드가 그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와, 평탄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제1 방향에서 실드의 전단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USB 타입-C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 각각의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전방부와, 전방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지지부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지지부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수평부와, 제1 수평부로부터 절곡되어 후방부의 전면을 따라 연장되는 절곡부와, 절곡부로부터 절곡되어 후방부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는 실드, 및 몰드 구조체를 둘러싸며, 실드의 제2 수평부와 접촉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지지부는, 제1 수평부가 그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와, 평탄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수평부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R1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R2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R3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R4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R5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R1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R2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R3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R4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R5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18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R1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R2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R3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몰드 구조체(100), 복수의 제1 접속 단자(200)들 및 실드(300A, 300B)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예를 들어, 도 10의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X)을 따라 전진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이란,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이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단이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를 의미한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단이란,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를 의미한다.
몰드 구조체(100)에는 복수의 제1 접속 단자(2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접속 단자(200)들은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 구조체(100)는 전방부(110), 지지부(120) 및 후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의 전방부(110)는 판(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부(110)는 제1 방향(X)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전방부(110)는 각각의 제1 접속 단자(20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예를 들어, 도 10의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각각의 제1 접속 단자(200)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단자(예를 들어, 도 10의 제2 접속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의 지지부(120)는 전방부(110)의 후단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는 각각의 제1 접속 단자(200)의 다른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접속 단자(200)들은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120)는 전방부(11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3 방향(Z)에서, 지지부(120)의 두께는 전방부(11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120)는 전방부(110)의 상면 및 전방부(110)의 하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의 후방부(130)는 지지부(120)의 후단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의 후방부(130)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미도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후방부(130)는 지지부(12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Z)에서, 후방부(130)의 두께는 지지부(12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부(130)는 지지부(120)의 상면 및/또는 지지부(120)의 하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는 예를 들어, 폴리머(polymer), 플라스틱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구조체(100)는 복수의 제1 접속 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 구조체(100)는 LCP(liquid crystal polym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몰드 구조체(100)의 지지부(120)는 평탄부(122) 및 제1 돌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4)는 평탄부(12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120)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평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부(124)는 평탄부(122)의 표면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120)의 평탄부(122)는 복수의 제1 개구(122O)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개구(122O)는 예를 들어,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평탄부(122)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4)는 평탄부(122)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24)는 전방부(110)에 인접하는 평탄부(122)의 일부로부터 제3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돌출부(124)는 전면(124S1), 후면(124S2) 및 상면(124U)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4)의 전면(124S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24)의 전면(124S1)은 전방부(110)의 상면(110U)과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4)의 후면(124S2)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을 향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24)의 후면(124S2)은 제1 돌출부(124)의 전면(124S1)과 반대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24)의 후면(124S2)은 평탄부(122)의 상면(122U)과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4)의 후면(124S2)은 후술되는 실드(300A, 300B)의 전단과 대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은 제1 돌출부(124)의 전면(124S1)과 제1 돌출부(124)의 후면(124S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은 제3 방향(Z)과 교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4)가 평탄부(1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0.5 mm 내지 2 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부(122)의 상면(122U)을 기준으로,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의 높이(H2)는 0.5 mm 내지 2 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4)의 전면(124S1)의 길이는 제1 돌출부(124)의 후면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부(110)의 상면(110U)을 기준으로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의 높이(H1)는, 평탄부(122)의 상면(122U)을 기준으로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4)의 전면(124S1)은 전방부(11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방부(110)의 상면에 대하여 제1 돌출부(124)의 전면(124S1)이 이루는 경사각(θ)은 65° 이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4)의 두께는 0.5 m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X)에서,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의 길이(TH)는 0.5 mm 이상일 수 있다. 제1 돌출부(124)의 두께가 0.5 mm 이상인 경우에, 제1 돌출부(124)는 견고하게 지지되어 후술되는 실드(300A, 300B)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4)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24)는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200)들과 교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4)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서브 돌출부들(124a, 124b, 124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24)는 제2 방향(Y)에서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3 서브 돌출부(124a, 124b, 12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4)는 3개의 서브 돌출부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서브 돌출부들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브 돌출부들(124a, 124b, 124c)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Y)에서, 제1 서브 돌출부(124a)의 길이(La)는 제2 서브 돌출부(124b)의 길이(Lb)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방향(Y)에서, 제2 서브 돌출부(124b)는 길이(Lb)는 제3 서브 돌출부(124c)의 길이(Lc)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서브 돌출부들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120)의 길이에 대한 제1 돌출부(124)의 길이의 비는 3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Y)에서, 지지부(120)의 길이(L)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서브 돌출부(124a, 124b, 124c)의 길이의 합(La+Lb+Lc)은 30% 이상일 수 있다. 지지부(120)의 길이(L)에 대한 제1 돌출부(124)의 길이의 비가 30% 이상인 경우에,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후술되는 실드(300A, 300B)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120)는 제2 돌출부(126) 및 제3 돌출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26)는 평탄부(122)의 일 측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돌출부(128)는 평탄부(122)의 타 측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6) 및 제3 돌출부(128)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접속 단자(200)들은 몰드 구조체(10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이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접속 단자(200)들은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접속 단자(200)들의 전단은 몰드 구조체(100)의 전방부(110) 상에 배치되어, 몰드 구조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속 단자(200)들은 상부 접속 단자(200A) 및 하부 접속 단자(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접속 단자(200A)는 몰드 구조체(10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하부 접속 단자(200B)는 몰드 구조체(10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부 접속 단자(200A)는 예를 들어, 제1 연장부(202A), 제2 연장부(204A) 및 제1 실장부(20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02A)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02A)의 일부는 전방부(110)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몰드 구조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02A)의 다른 일부는 지지부(120) 내에 배치되어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04A)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제1 연장부(202A)의 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04A)는 몰드 구조체(100) 내에 배치되어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204A)는 지지부(120) 및 후방부(130)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실장부(206A)는 제2 연장부(204A)로부터 연장되어 몰드 구조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장부(206A)는 제2 연장부(204A)의 하부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후방부(13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장부(206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상부 접속 단자(200A)를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장부(206A)는 납땜과 같은 방법에 의해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는 제1 연장부(202A) 및/또는 제2 연장부(204A)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장부(206A)에 의해 실장된 상부 접속 단자(200A)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몰드 구조체(100)를 고정할 수 있다.
하부 접속 단자(200B)는 예를 들어, 제3 연장부(202B), 제4 연장부(204B) 및 제2 실장부(20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장부(202B)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연장부(202B)의 일부는 전방부(110)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몰드 구조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제3 연장부(202B)의 다른 일부는 지지부(120) 내에 배치되어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4 연장부(204B)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제3 연장부(202B)의 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연장부(204B)는 몰드 구조체(100) 내에 배치되어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 구조체(100)의 후방부(130) 내에 고정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후방부(130)를 밀봉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연장부(204B)는 고정 부재(4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06B)는 제4 연장부(204B)로부터 연장되어 몰드 구조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장부(206B)는 제4 연장부(204B)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후방부(1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06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하부 접속 단자(200B)를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장부(206B)는 납땜과 같은 방법에 의해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는 제3 연장부(202B) 및/또는 제4 연장부(204B)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2 실장부(206B)에 의해 실장된 하부 접속 단자(200B)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몰드 구조체(100)를 고정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접속 단자(200)는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단자(200)는 구리 합금(copper allo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드 플레이트(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드 플레이트(250)는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드 플레이트(250)는 상부 접속 단자(200A)와 하부 접속 단자(200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미드 플레이트(250)는 접지되어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방지할 수 있다.
미드 플레이트(250)는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드 플레이트(250)는 구리 합금(copper allo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속 단자(200)들은 신호 단자(210), 전원 단자(220) 및 그라운드 단자(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단자(210)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예를 들어, 도 10의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신호 단자(210)는 플러그 커넥터의 신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단자(220)는 신호 단자(210)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예를 들어, 도 10의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전원 단자(220)는 플러그 커넥터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230)는 신호 단자(210) 및 전원 단자(220)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예를 들어, 도 10의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그라운드 단자(230)는 플러그 커넥터의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속 단자(200)들은 USB 타입-C(type-C)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USB 타입-C의 접속 단자들은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방향에 구애받지 않아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단자(200)들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4핀(pin)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는 제1 접속 단자(200)들의 핀맵(pin map)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24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는 제1 접속 단자(200)들의 핀맵이다.
도 8 및 도 9에서, GND는 그라운드(ground) 단자이다. 예를 들어, GND는 제1 접속 단자(200)의 그라운드 단자(23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VBUS는 전원(power) 단자이다. 예를 들어, VBUS는 제1 접속 단자(200)의 전원 단자(22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CC1 및 CC2는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구성 채널(Configuration Channel) 단자이다. 도 8 및 도 9에서, D1 및 D2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자로, 각각 (+)와 (-)의 쌍(pair)을 이루며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1 및 D2는 제1 접속 단자(200)의 신호 단자(21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9에서, TX1, TX2, RX1, RX2는 고속 신호 전송을 위한 데이터 버스 단자로, 각각 (+)와 (-)의 쌍(pair)을 이루며 인접할 수 있다. 도 9에서, SBU1 및 SBU2는 사이드밴드용(sideband use) 단자이다.
실드(300A, 300B)는 몰드 구조체(100)의 지지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300A, 300B)는 지지부(120)의 평탄부(122)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실드(300A, 300B)는 지지부(120)의 제1 돌출부(124)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0)의 제1 돌출부(124)는 실드(300A, 300B)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에서, 실드(300A, 300B)의 전단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돌출부(124)와 중첩될 수 있다.
도 6에서, 평탄부(122)의 상면(122U)을 기준으로,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의 높이(H2)는 실드(300A, 300B)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은 것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평탄부(122)의 상면(122U)을 기준으로, 제1 돌출부(124)의 상면(124U)의 높이(H2)는 실드(300A, 300B)의 상면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높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드(300A, 300B)는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실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300A, 300B)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드(300A, 300B)는 접지되어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드(300A, 300B)의 전단은 제1 돌출부(124)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24)의 후면(124S2)은 실드(300A, 300B)의 전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드(300A, 300B)의 전단과 제1 돌출부(124)의 후면(124S2)이 이격되는 거리(DS)는 0.03 mm 이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드(300A, 300B)는 지지부(120) 및 후방부(13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실드(300A, 300B)는 제1 수평부(310), 절곡부(320) 및 제2 수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300A, 300B)의 제1 수평부(310)는 지지부(120; 또는 평탄부(122))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실드(300A, 300B)의 절곡부(320)는 제1 수평부(310)로부터 절곡되어 후방부(130)의 전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부(320)는 제1 수평부(310)의 후단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드(300A, 300B)의 제2 수평부(330)는 절곡부(320)로부터 절곡되어 후방부(13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평부(330)는 절곡부(320)의 상단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드(300A, 300B)는 제1 탄성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드(300A, 300B)의 제1 탄성부(322)는 제1 수평부(310)로부터 절곡되어 후방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322)는 일단이 제1 수평부(310)에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322)는 후방부(130)의 홈(135) 내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322)의 최상부는 제2 수평부(330)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탄성부(322)의 최상부는 제2 수평부(330)의 상면보다 높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드(300A, 300B)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부(12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300A, 300B)는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드(300A, 300B)의 제1 고정부(312)는 지지부(120)의 일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실드(300A, 300B)의 제2 고정부(314)는 지지부(120)의 타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312)는 제1 수평부(3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지지부(120)의 일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14)는 제1 수평부(310)의 타 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지지부(120)의 타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4)는, 제1 돌출부(124), 제2 돌출부(126) 및 제3 돌출부(128)가 형성되지 않는 지지부(120)의 영역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고정부(312)는 제1 돌출부(124)와 제2 돌출부(126) 사이에 배치되는 평탄부(122)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314)는 제1 돌출부(124)와 제3 돌출부(128) 사이에 배치되는 평탄부(122)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4)는 제2 방향(Y)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312)는 제1 수평부(310)의 전단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고정부(314)는 제1 수평부(310)의 후단에 인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4)는 미드 플레이트(25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미드 플레이트(250)는 지지부(1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4)는 제2 개구(312O)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300A, 300B)가 지지부(120) 상에 배치될 때, 미드 플레이트(250)의 걸림부(252)는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4)의 제2 개구(312O)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드(300A, 300B)는 지지부(1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드(300A, 300B)는 지지부(120)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상부 실드(300A) 및 지지부(120)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하부 실드(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실드(300A) 및 하부 실드(30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이란, 완전히 동일한 것뿐만 아니라 공정 상의 마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차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부 실드(300A) 및 하부 실드(300B)는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지지부(120)를 둘러쌀 수 있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500)는 제2 접속 단자(600) 및 그라운드 패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제1 접속 단자(200)는 플러그 커넥터(500)의 제2 접속 단자(600)와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200)는 제2 접속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미도시) 등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그라운드 패드(510)는 실드(300A, 300B)와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패드(510)는 그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그라운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드(300A, 300B)는 그라운드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다.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EMI)을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는 몰드 구조체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EMC 실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리셉터클 커넥터가 점점 소형화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과정에서 EMC 실드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의 EMC 실드의 전단이 그와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그라운드 스프링에 의해 좌굴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하여 상술한 것처럼, 실드(300A, 300B)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500)가 체결될 때, 제1 돌출부(124)는 플러그 커넥터(500)의 그라운드 패드(510)로부터 실드(300A, 300B)의 전단을 보호함으로써 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관하여 상술한 것처럼, 제1 돌출부(124)의 전면(예를 들어, 도 6의 124S1)은 경사각(예를 들어, 도 6의 θ)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500)가 체결될 때, 제1 돌출부(124)는 플러그 커넥터(500)의 그라운드 패드(510)를 가이드함으로써 그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R4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1 돌출부(124)는 제1 수평부(310)의 전단을 모두 커버한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24)는 전방부(110)에 인접하는 평탄부(122)의 일부로부터 제3 방향(Z)으로 돌출되어, 제2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124)는 복수의 서브 돌출부들(예를 들어, 도 2의 124a, 124b, 124c)로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수평부(310)의 전단을 모두 커버하는 제1 돌출부(124)는, 실드(300A, 300B)를 보다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R5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실드(300A, 300B)는 제3 돌출부(316)를 더 포함한다.
제3 돌출부(316)는 제1 수평부(31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돌출부(316)는 제2 방향(Y)에서 제1 돌출부(124)와 중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돌출부(316)는 복수의 서브 돌출부들(124a, 124b, 124c)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돌출부(316)는 제2 방향(Y)에서 서로 이격되는 제4 및 제5 서브 돌출부(316a, 31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4 서브 돌출부(316a)는 제1 서브 돌출부(124a)와 제2 서브 돌출부(124b)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제5 서브 돌출부(316b)는 제2 서브 돌출부(124b)와 제3 서브 돌출부(124c)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4 및 제5 서브 돌출부(316a, 316b)는, 제2 방향(Y)에서 제1 내지 제3 서브 돌출부(124a, 124b, 124c)와 중첩될 수 있다.
제2 방향(Y)에서 제1 돌출부(124)와 중첩되는 제3 돌출부(316)는, 지지부(120) 상에 실드(300A, 300B)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부(316)는 EMC 기능을 위한 추가 면적을 확보하여,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하우징(700)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700)은 몰드 구조체(100)를 둘러쌀 수 있다. 하우징(70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몰드 구조체(100)를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예를 들어, 도 18의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하우징(700)은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몰드 구조체(100)의 전방부(110)와 하우징(700) 사이에 수용 공간(700S)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700)은 둘레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00)의 둘레부(710)는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700)의 둘레부(7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부(710)는 타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둘레부(710)는 몰드 구조체(100)를 둘러싸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둘레부(710)의 전단은 개방되어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예를 들어, 도 18의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플러그 커넥터는 둘레부(710)의 전단으로 삽입되어 전방부(110)와 둘레부(710) 사이의 수용 공간(7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둘레부(710)의 후단은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부(710)의 후단은 몰드 구조체(100)의 후방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700)은 실드(300A, 300B)와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700)의 둘레부(710)는 실드(300A, 300B)의 제1 탄성부(322) 및/또는 실드(300A, 300B)의 제2 수평부(330)와 접속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700)은 제3 실장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장부(720)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하우징(700)을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장부(720)는 납땜과 같은 방법에 의해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700)은 제2 탄성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730)는 둘레부(710)로부터 절곡되어 수용 공간(700S)을 향할 수 있다. 제2 탄성부(730)는 일단이 둘레부(710)에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700)은 덮개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740)는 몰드 구조체(100)의 후단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 구조체(100)는 둘레부(710)의 후단으로 삽입될 수 있고, 덮개부(74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절곡되어 몰드 구조체(100)의 후단을 덮을 수 있다.
도 1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10, 도 15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된다.
플러그 커넥터(500)는 하우징(700)의 전단으로 삽입되어 수용 공간(7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500)와 체결될 때, 플러그 커넥터(500)의 하우징(700)과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500)의 그라운드 패드(510)는 하우징(700)의 제2 탄성부(730)와 접속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700)은 그라운드 패드(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700)은 실드(300A, 300B)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실드(300A, 300B)는 그라운드 패드(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몰드 구조체
110: 전방부
120: 지지부 122: 평탄부
124: 제1 돌출부 124a: 제1 서브 돌출부
124b: 제2 서브 돌출부 124c: 제3 서브 돌출부
126: 제2 돌출부 128: 제3 돌출부
130: 후방부 200: 제1 접속 단자
250: 미드 플레이트 300A, 300B: 실드
500: 플러그 커넥터 700: 하우징
120: 지지부 122: 평탄부
124: 제1 돌출부 124a: 제1 서브 돌출부
124b: 제2 서브 돌출부 124c: 제3 서브 돌출부
126: 제2 돌출부 128: 제3 돌출부
130: 후방부 200: 제1 접속 단자
250: 미드 플레이트 300A, 300B: 실드
500: 플러그 커넥터 700: 하우징
Claims (20)
- 복수의 접속 단자;
각각의 상기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상기 지지부 상에,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실드가 그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실드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접속 단자는 USB 타입-C(type-C)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0.5 mm 이상 2 mm 이하인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실드의 전단과 대향되며 상기 실드의 전단으로부터 이격되는 후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후면이 상기 실드의 전단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0.03 mm 이상인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방부의 상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전방부의 상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전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65° 이하인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실드의 전단과 대향되는 후면과, 상기 후면과 반대되며 상기 전방부의 상면에 대해 경사를 갖는 전면과, 상기 후면과 상기 전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길이는 0.5 mm 이상인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접속 단자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서브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길이의 비는 30% 이상인 리셉터클 커넥터. -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접속 단자;
각각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접지되는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실드가 그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실드의 전단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복수의 제2 접속 단자 및 복수의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그라운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각각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각각의 상기 제2 접속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실드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접속되어 접지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구조체는, 상기 지지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보다 돌출되는 후방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전방부에 의해 노출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후방부를 관통하여 상기 후방부로부터 노출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구조체의 상기 후방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몰드 구조체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구조체의 상기 전방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상기 평탄부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방부의 전면을 따라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방부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몰드 구조체의 상기 전방부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부 접속 단자와, 상기 몰드 구조체의 상기 전방부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속 단자와 상기 하부 접속 단자 사이의 상기 몰드 구조체 내에, 접지되는 미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USB 타입-C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
각각의 상기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단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방부의 전면을 따라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방부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는 실드; 및
상기 몰드 구조체를 둘러싸며, 상기 실드의 상기 제2 수평부와 접촉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수평부가 그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수평부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822,872 US11495907B2 (en) | 2019-07-03 | 2020-03-18 |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electromagneiic compatibility (EMC) shield |
CN202010575983.7A CN112186428A (zh) | 2019-07-03 | 2020-06-22 | 插座连接器 |
US17/743,197 US11990701B2 (en) | 2019-07-03 | 2022-05-12 |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shie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0067 | 2019-07-03 | ||
KR20190080067 | 2019-07-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774A true KR20210004774A (ko) | 2021-01-13 |
Family
ID=7414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7562A KR20210004774A (ko) | 2019-07-03 | 2019-10-15 | 리셉터클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477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31177A1 (ko) * | 2021-04-27 | 2022-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셉터클 커넥터 |
WO2024025117A1 (ko) * | 2022-07-29 | 2024-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2019
- 2019-10-15 KR KR1020190127562A patent/KR202100047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31177A1 (ko) * | 2021-04-27 | 2022-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셉터클 커넥터 |
WO2024025117A1 (ko) * | 2022-07-29 | 2024-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11874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CN106450945B (zh) | 用于电连接器系统的馈通式适配器组件 | |
TWI593194B (zh) | 屏蔽接地之插座電連接器 | |
TW201841429A (zh) | 接點模組之接地屏蔽 | |
TW201830800A (zh) | 具接地夾具之接點模組的屏蔽結構 | |
KR20160085680A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KR101344933B1 (ko) | 커넥터 조립체 | |
KR20220145277A (ko) | 기판 커넥터 | |
KR20210004774A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JP2948914B2 (ja) | 電気コネクタと印刷回路板 | |
US20240291207A1 (en) |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
US20240322497A1 (en)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
KR20040101013A (ko) | 커넥터 하우징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셸을 갖는 커넥터 | |
JP2023544424A (ja) | コネクタ | |
KR20180118433A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US11495907B2 (en) |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electromagneiic compatibility (EMC) shield | |
KR20220127724A (ko) | 커넥터 | |
CN107666042B (zh) | 插座连接器 | |
CN208157732U (zh) | 连接器和连接器组件 | |
CN103199359A (zh) | 线缆组件 | |
KR102556308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TWM499682U (zh) | 屏蔽接地之插座電連接器 | |
CN112291450A (zh) | 一种摄像头模组屏蔽防护装置及移动终端 | |
KR101734834B1 (ko) | 장착이 용이한 usb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
CN202550112U (zh) | 线缆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