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50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509A
KR20240064509A KR1020230076114A KR20230076114A KR20240064509A KR 20240064509 A KR20240064509 A KR 20240064509A KR 1020230076114 A KR1020230076114 A KR 1020230076114A KR 20230076114 A KR20230076114 A KR 20230076114A KR 20240064509 A KR20240064509 A KR 20240064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ield
connector
axis dir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완
최정훈
황현주
신현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05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96257A1/ko
Publication of KR2024006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10)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컨택트(310) 및 RF 신호를 전송하는 RF 컨택트(330)를 포함하는 컨택트 부재(300); 및 제1 방향의 길이와 제2 방향의 폭 및 제3 방향의 높이를 갖고, 상기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되며,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절연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20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호 컨택트(310)를 지지하는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 및 상기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의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는 RF 컨택트 지지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컨택트(31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RF 컨택트(33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내외부의 전자파의 차폐 성능을 향상시키고, 검사를 위한 가시성 및 제조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회로기판 및 이를 다른 부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또한 소형화되고 있다. 반면, 전자기기에서 처리하는 정보의 양은 증가되어, 회로기판 또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단자의 개수는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소형화된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동시에 보내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일반 신호 및 RF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는 RF 커넥터를 들 수 있다.
RF 커넥터는 서로 다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일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및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컨택트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송되는 일반 신호 및 RF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및 RF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간의 전자적 차폐가 요구된다.
그런데, 전통적인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구조적 한계로 인해 각 컨택트 간의 완전한 전자적 차폐가 수행되기 어렵다. 또한, 전통적인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완전한 전자적 차폐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구성이 증가되어, 조립성이 저하되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2-0145277호 (2022.10.28.)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2-0130017호 (2022.09.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컨택트에서 전송되는 신호 간의 전자적 차폐가 가능한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컨택트에서 전송되는 신호 간의 전자적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된 커넥터의 상태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F 신호 전송을 위한 컨택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F 신호 전송을 위한 컨택트와 다른 구성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컨택트(310) 및 RF 신호를 전송하는 RF 컨택트(330)를 포함하는 컨택트 부재(300); 및 제1 방향의 길이와 제2 방향의 폭 및 제3 방향의 높이를 갖고, 상기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되며,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절연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20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호 컨택트(310)를 지지하는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 및 상기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의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는 RF 컨택트 지지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컨택트(31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RF 컨택트(33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10)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각 컨택트에서 전송되는 신호 간의 전자적 차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각 컨택트에서 전송되는 신호 간의 전자적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작된 커넥터의 상태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RF 신호 전송을 위한 컨택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RF 신호 전송을 위한 컨택트와 다른 구성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C-C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컨택트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컨택트 부재에 구비되는 RF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RF 컨택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2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연통은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통신"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유동되며, 형상 또는 부피 등이 변형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물 등의 액체 또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넥터 조립체(1)는 커넥터(10) 및 다른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커넥터(10) 및 다른 커넥터(20)는 각각 외부의 모듈 기판(미도시)과 결합된다. 커넥터(10) 및 다른 커넥터(20)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 및 다른 커넥터(20)와 각각 결합된 모듈 기판(미도시)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다른 커넥터(20)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중 다른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넥터(10)는 다른 커넥터(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커넥터(10)의 다른 부분은 다른 커넥터(20)의 외주를 둘러싸며 결합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 및 다른 커넥터(20)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되어, 커넥터(10)와 다른 커넥터(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넥터 조립체(1)는 일반 전기적 신호 및 RF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는 RF 커넥터(Radio Frequency Connector)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일반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후술될 신호 컨택트(310)) 및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후술될 RF 컨택트(330))를 모두 포함한다. 커넥터(10)는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를 서로 전자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다른 구성(후술될 쉴드 컨택트(3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RF 컨택트(330)의 수평 방향의 외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측에서 각각 전기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 및 RF 컨택트(330)에서 전송되는 RF 신호에 대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넥터(10)는 쉴드 부재(100), 절연 부재(200) 및 컨택트 부재(300)를 포함한다.
이때, 쉴드 부재(100), 절연 부재(200) 및 컨택트 부재(300)는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컨택트 부재(3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를 수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둘러싸며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이때,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를 그 높이 방향, 즉 Z축 방향에서도 부분적으로 덮으며 절연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컨택트 부재(300)는 Z축 방향을 따라 절연 부재(20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컨택트 부재(300)가 노출된 부분은 솔더링(미도시)에 의해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어 절연 부재(20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또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외부의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컨택트 부재(300)를 차폐할 수 있다.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각각 둘러쌀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의 X축 방향의 외측 및 Y축 방향을 각각 둘러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에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외주 부분을 감싸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의 상측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모서리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또한, 쉴드 부재(100)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쉴드(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 부재(100)는 리셉터클 쉴드(도면 부호 미부여)와 함께 접지(ground)를 구성할 수 있다.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고, 컨택트 부재(300)를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10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쉴드 부재(100)의 내부에는 절연 부재(2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쉴드 부재(100)의 Z축 방향의 각 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쉴드 부재(100)의 형상은 절연 부재(200) 및 다른 커넥터(2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쉴드 부재(100)는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 부재(100)와 결합된 절연 부재(2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커넥터(10)와 다른 커넥터(2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쉴드 부재(1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커넥터(20) 및 후술될 쉴드 컨택트(320)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100)는 쉴드 몸체(110), 쉴드 벽(120), 쉴드 절단부(130), 쉴드 모따기부(140), 결합 개구부(150), 검사 개구부(160), 보강부(170) 및 연장부(180)를 포함한다.
쉴드 몸체(110)는 쉴드 부재(100)의 외형의 일부를 구성한다. 쉴드 몸체(110)에는 쉴드 부재(100)의 다른 구성이 결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몸체(110)는 쉴드 벽(120), 쉴드 절단부(130), 쉴드 모따기부(140), 결합 개구부(150) 및 검사 개구부(160)가 결합, 형성된다.
쉴드 몸체(110)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쉴드(도면 부호 미부여) 및 쉴드 컨택트(320)와 각각 접촉되어 통전된다. 이에 따라, 쉴드 부재(100)는 접지를 형성할 수 있다.
쉴드 몸체(110)는 절연 부재(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몸체(11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쉴드 몸체(110)의 Z축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및 하측은 각각 개방 형성된다. 이때,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의 면적은 Z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 부재(200)는 상기 타 측의 개구부를 통해 쉴드 몸체(110)에 수용되되, 상기 일 측을 통해 쉴드 몸체(110)에서 인출되지 않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몸체(110)는 쉴드 공간(111)을 포함한다.
쉴드 공간(111)은 절연 부재(20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쉴드 공간(111)은 쉴드 몸체(110) 및 쉴드 벽(120)에 둘러싸여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공간(111)의 X축 방향의 각 측 및 Y축 방향의 각 측은 쉴드 벽(120)에 둘러싸인다. 쉴드 공간(111)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쉴드 몸체(110)의 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쉴드 공간(111)은 절연 부재(200)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공간(111)은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쉴드 공간(111)은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쉴드 공간(111)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되어 결합 개구부(150) 및 검사 개구부(16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쉴드 공간(111)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 및 이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쉴드 공간(111)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200)는 상기 타 측을 통해 쉴드 공간(111)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쉴드 벽(120)은 쉴드 부재(100)의 외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쉴드 벽(120)은 절연 부재(200)를 수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둘러싼다. 일 실시 예에서, 쉴드 벽(120)은 절연 부재(200)의 외면과 접촉되어 절연 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쉴드 벽(120)은 쉴드 몸체(110)와 연속된다. 쉴드 벽(120)은 쉴드 몸체(110)의 수평 방향의 외주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벽(120)은 쉴드 몸체(110)의 수평 방향의 외주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쉴드 벽(1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분에 의해, 커넥터(10)와 다른 커넥터(20)가 Z축 방향으로 결합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쉴드 벽(1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벽(120)은 서로 연속되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벽(120)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절연 부재(200)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벽(120)은 제1 쉴드 벽(121), 제2 쉴드 벽(122), 제3 쉴드 벽(123) 및 제4 쉴드 벽(124)을 포함한다.
제1 쉴드 벽(121)은 쉴드 공간(111) 및 이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를 X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서 둘러싼다. 제1 쉴드 벽(121)은 쉴드 몸체(110)의 좌상측 모서리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Z축 방향의 일 측, 즉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1 쉴드 벽(121)의 Z축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좌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1 쉴드 벽(121)은 쉴드 공간(111)을 사이에 두고 X축 방향으로 제2 쉴드 벽(122)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쉴드 벽(122)은 쉴드 공간(111) 및 이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를 X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서 둘러싼다. 제2 쉴드 벽(122)은 쉴드 몸체(110)의 우상측 모서리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Z축 방향의 일 측, 즉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 쉴드 벽(122)의 Z축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우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3 쉴드 벽(123)은 쉴드 공간(111) 및 이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를 Y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서 둘러싼다. 제3 쉴드 벽(123)은 쉴드 몸체(110)의 전방의 상측 모서리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Z축 방향의 일 측, 즉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3 쉴드 벽(123)의 Z축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전방 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3 쉴드 벽(123)은 쉴드 공간(111)을 사이에 두고 Y축 방향으로 제4 쉴드 벽(124)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4 쉴드 벽(124)은 쉴드 공간(111) 및 이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를 Y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둘러싼다. 제4 쉴드 벽(124)은 쉴드 몸체(110)의 후방의 상측 모서리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Z축 방향의 일 측, 즉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4 쉴드 벽(124)의 Z축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후방 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쉴드 벽(121, 122, 123, 124)은 수평 방향의 각 단부가 서로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 쉴드 벽(121)의 Y축 방향의 각 단부 및 제2 쉴드 벽(122)의 Y축 방향의 각 단부는 제3 쉴드 벽(123) 및 제4 쉴드 벽(124)과 각각 연속된다. 제3 쉴드 벽(123)의 X축 방향의 각 단부 및 제4 쉴드 벽(124)의 X축 방향의 각 단부는 제1 쉴드 벽(121) 및 제2 쉴드 벽(122)과 각각 연속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쉴드 벽(121, 122, 123, 124)이 서로 연속되는 부분은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쉴드 벽(121, 122, 123, 124)이 쉴드 몸체(110)의 상측 모서리와 연속되는 부분 또한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절단부(130)는 쉴드 벽(120)의 Z축 방향의 일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모서리의 일 부분으로 정의된다. 쉴드 절단부(130)는 검사 개구부(160)를 외측에서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쉴드 절단부(130)는 검사 개구부(160)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쉴드 벽(1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쉴드 절단부(130)에 둘러싸이는 검사 개구부(160)의 일 부분은, 쉴드 벽(120)의 다른 부분에 둘러싸이는 검사 개구부(16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보다 넓은 면적을 갖게 형성되는 검사 개구부(160)를 통해 신호 컨택트(310)의 상태 또는 신호 컨택트(310)가 솔더링(미도시)에 실장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쉴드 절단부(130)는 검사 개구부(160)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절단부(130)는 Z축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절단된 단부 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쉴드 절단부(130)는 수직한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쉴드 절단부(130)는 검사 개구부(160)의 일 부분을 수평 방향에서 둘러싸게 구성될 수 있다.
쉴드 절단부(130)는 쉴드 몸체(11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쉴드 절단부(130)의 수평 방향의 각 단부는 쉴드 몸체(110)의 부분 중 절연 부재(200)를 Z축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덮는 부분과 연속된다. 이때, 쉴드 절단부(130)는 쉴드 몸체(110)의 상기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쉴드 절단부(130)는 쉴드 벽(120)과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쉴드 절단부(130)의 수평 방향의 각 단부는 쉴드 벽(120)의 수평 방향의 단부에 의해 쉴드 몸체(110)의 상기 부분과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 벽(120)의 수평 방향의 각 단부는, 쉴드 벽(1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라도, 쉴드 절단부(130)에 둘러싸이는 검사 개구부(160)의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넓은 면적이 확보됨이 이해될 것이다.
쉴드 절단부(13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절단부(130)는 복수 개의 쉴드 벽(120)에 각각 형성되어, 검사 개구부(160)의 면적을 확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절단부(130)는 제1 내지 제4 쉴드 벽(121, 122, 123, 124)의 상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쉴드 벽(121)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검사 개구부(161)를 좌측에서 둘러싼다. 제2 쉴드 벽(122)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2 검사 개구부(162)를 우측에서 둘러싼다.
또한, 제3 쉴드 벽(123)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3 검사 개구부(163)를 전방 측에서 둘러싼다. 제4 쉴드 벽(124)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4 검사 개구부(164)를 후방 측에서 둘러싼다.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절단부(130)가 형성됨에 따라 발생되는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해 형성된다.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벽(120)의 Z축 방향의 상기 일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쉴드 절단부(130)와 연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는 X축 방향의 길이가 1 cm, Y축 방향의 길이가 0.8 cm인 초미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쉴드 모따기부(140)가 형성됨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1) 제조시 발생되는 미세한 버(burr)가 제거될 수 있다.
쉴드 모따기부(140)에 의해, 커넥터 조립체(1), 특히 커넥터(10)의 내측 공간이 최대화되어 검사 개구부(160)의 면적을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커넥터 조립체(1)가 초소형 제품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제조 편의성 및 제품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절단부(130)와 소정의 각도(a)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쉴드 모따기부(140)는 수직한 단면으로 형성되는 바, 쉴드 모따기부(140)는 Z축 방향에 대한 경사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절단부(130)에 비해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쉴드 모따기부(140)와 쉴드 공간(111)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쉴드 절단부(130)와 쉴드 공간(111)의 중심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절단부(130)의 외측에서 검사 개구부(160)를 둘러싼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쉴드 모따기부(140)는 검사 개구부(160)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부분적으로 수행한다.
쉴드 모따기부(140)는 검사 개구부(160)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절단부(130)에 대해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쉴드 모따기부(140)는 검사 개구부(160)의 일 부분을 수평 방향에서 둘러싸게 구성될 수 있다.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몸체(11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쉴드 모따기부(140)의 수평 방향의 각 단부는 쉴드 몸체(110)의 부분 중 절연 부재(200)를 Z축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덮는 부분과 연속된다. 이때,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몸체(110)의 상기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쉴드 모따기부(140)는 쉴드 벽(120)과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쉴드 모따기부(140)의 수평 방향의 각 단부는 쉴드 벽(120)의 수평 방향의 단부에 의해 쉴드 몸체(110)의 상기 부분과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 벽(120)의 수평 방향의 각 단부는, 쉴드 벽(1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라도, 쉴드 모따기부(140)에 둘러싸이는 검사 개구부(160)의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넓은 면적이 확보됨이 이해될 것이다.
쉴드 모따기부(14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모따기부(140)는 복수 개의 쉴드 벽(120)에 각각 형성되어, 검사 개구부(160)의 면적을 확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모따기부(140)는 제1 내지 제4 쉴드 벽(121, 122, 123, 124)의 상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쉴드 벽(121)에 형성된 쉴드 모따기부(14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검사 개구부(161)를 좌측에서 둘러싼다. 제2 쉴드 벽(122)에 형성된 쉴드 모따기부(140)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2 검사 개구부(162)를 우측에서 둘러싼다.
또한, 제3 쉴드 벽(123)에 형성된 쉴드 모따기부(14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3 검사 개구부(163)를 전방 측에서 둘러싼다. 제4 쉴드 벽(124)에 형성된 쉴드 모따기부(14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4 검사 개구부(164)를 후방 측에서 둘러싼다.
결합 개구부(150)는 쉴드 공간(111)과 외부를 Z축 방향으로 연통한다. 쉴드 공간(111)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 및 이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는 결합 개구부(150)를 통해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는 결합 개구부(150)를 통해 쉴드 공간(111)에 수용된 신호 컨택트(310)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결합 개구부(150)는 쉴드 몸체(1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50)는 쉴드 몸체(110)의 Z축 방향의 일 측, 즉 상측에 관통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150)는 Z축 방향으로 쉴드 공간(111) 및 쉴드 공간(111)에 수용되는 절연 부재(200) 및 컨택트 부재(300)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50)는 절연 부재(200)의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 및 이에 결합된 신호 컨택트(310)와 Z축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개구부(150)는 절연 부재(200)의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 및 이에 결합된 쉴드 컨택트(320)와 Z축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컨택트(310) 및 쉴드 컨택트(320)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 및 리셉터클 쉴드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각각 접촉, 통전될 수 있다.
결합 개구부(150)는 검사 개구부(160)와 연통된다. 결합 개구부(150)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측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사 개구부(160)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50)의 좌측은 제1 검사 개구부(161)와, 결합 개구부(150)의 우측은 제2 검사 개구부(162)와 각각 연통된다. 결합 개구부(150)의 전방 측은 제3 검사 개구부(163)와, 결합 개구부(150)의 후방 측은 제4 검사 개구부(164)와 각각 연통된다.
결합 개구부(150)는 쉴드 공간(111)과 연통되어, 쉴드 공간(111)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 및 이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5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두께를 갖는 판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검사 개구부(160)는 신호 컨택트(310)의 상태 또는 신호 컨택트(310)가 솔더링(미도시)에 실장된 상태를 확인하는 창으로 기능된다. 또한, 검사 개구부(160)는 RF 컨택트(330)가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결합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검사 개구부(160)는 쉴드 공간(111)과 연통된다. 쉴드 공간(111)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 및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는 검사 개구부(16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검사 개구부(160)는 결합 개구부(150)와 연통된다.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지지 벽(도면 부호 미부여)은 결합 개구부(150) 및 검사 개구부(160) 모두를 통과하여 쉴드 공간(111)에 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다양한 리셉터클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가 쉴드 공간(111)에 수용된 컨택트 부재(300)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검사 개구부(16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쉴드 절단부(130) 및 쉴드 모따기부(140)에 둘러싸일 수 있다. 이때, 검사 개구부(160)는 쉴드 벽(120)을 향하는 일 측의 부분이 쉴드 절단부(130) 및 쉴드 모따기부(140)에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 개구부(160)가 확장되어 컨택트 부재(300)의 상태 또는 컨택트 부재(300)가 솔더링(미도시)에 실장된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또한, 검사 개구부(160)가 확장됨에 따라, RF 컨택트(330)와 다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의 접촉, 통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검사 개구부(16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검사 개구부(160)는 서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 쉴드 공간(111) 및 결합 개구부(150)와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검사 개구부(160)는 제1 검사 개구부(161), 제2 검사 개구부(162), 제3 검사 개구부(163) 및 제4 검사 개구부(164)를 포함한다.
제1 검사 개구부(161)는 X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된다. 제1 검사 개구부(161)는 제1 쉴드 벽(121) 및 이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와 쉴드 모따기부(140)에 의해 X축 방향의 상기 일 측, 즉 좌측이 둘러싸인다. 제1 검사 개구부(161)의 X축 방향의 타 측, 즉 우측은 개방 형성되어 결합 개구부(150)와 연통된다.
제1 검사 개구부(161)를 통해 X축 방향의 상기 일 측, 즉 좌측에 위치되는 RF 컨택트(330)가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검사 개구부(162)는 X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된다. 제2 검사 개구부(162)는 제2 쉴드 벽(122) 및 이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와 쉴드 모따기부(140)에 의해 X축 방향의 상기 타 측, 즉 우측이 둘러싸인다. 제2 검사 개구부(162)의 X축 방향의 일 측, 즉 좌측은 개방 형성되어 결합 개구부(150)와 연통된다.
제2 검사 개구부(162)를 통해 X축 방향의 상기 타 측, 즉 우측에 위치되는 RF 컨택트(330)가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3 검사 개구부(163)는 Y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3 검사 개구부(163)는 제3 쉴드 벽(123) 및 이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와 쉴드 모따기부(140)에 의해 Y축 방향의 상기 일 측, 즉 전방 측이 둘러싸인다. 제3 검사 개구부(163)의 Y축 방향의 타 측, 즉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결합 개구부(150)와 연통된다.
제3 검사 개구부(163)를 통해 Y축 방향의 상기 일 측, 즉 전방 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가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4 검사 개구부(164)는 Y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4 검사 개구부(164)는 제4 쉴드 벽(124) 및 이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와 쉴드 모따기부(140)에 의해 Y축 방향의 상기 타 측, 즉 후방 측이 둘러싸인다. 제4 검사 개구부(164)의 Y축 방향의 일 측, 즉 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결합 개구부(150)와 연통된다.
제4 검사 개구부(164)를 통해 Y축 방향의 상기 타 측, 즉 후방 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가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쉴드 부재(100)는 쉴드 공간(111)에 수용된 컨택트 부재(30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쉴드 부재(100)는 신호 컨택트(31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컨택트(310)는 결합 개구부(150) 및 제3 및 제4 검사 개구부(163, 164)를 통해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노출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Z축 방향의 상기 일 측을 통해 다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이때, 신호 컨택트(310)의 X축 방향의 각 측은 쉴드 몸체(110) 또는 쉴드 컨택트(320)에 의해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쉴드 컨택트(320)는 X축 방향을 따라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신호 컨택트(310)는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측에서 모두 외부 또는 RF 컨택트(330)와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310)가 외부로 노출되는 Z축 방향의 일 측은 다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신호 컨택트(310)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모듈 기판(미도시)과 결합, 통전된다.
따라서, 외부 또는 RF 컨택트(330)로부터 신호 컨택트(310)로 인가되는 전자적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컨택트(310)에서 전송되는 전자적 신호의 교란이 최소화되어, 커넥터(10)와 다른 커넥터(20) 간의 전송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쉴드 부재(100)는 RF 컨택트(33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 컨택트(330)는 쉴드 공간(111)에 수용되어 제1 검사 개구부(161) 및 제2 검사 개구부(162)를 통해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노출된다. RF 컨택트(330)는 Z축 방향의 상기 일 측을 통해 다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이때, RF 컨택트(330)의 Y축 방향의 각 측은 제3 쉴드 벽(123) 및 제4 쉴드 벽(124)에 의해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또한, RF 컨택트(330)의 X축 방향의 일 측은 제1 쉴드 벽(121) 또는 제2 쉴드 벽(122)에 의해, 타 측은 쉴드 컨택트(320)에 의해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즉, RF 컨택트(330)는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측에서 모두 외부 또는 신호 컨택트(310)와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RF 컨택트(330)가 외부로 노출되는 Z축 방향의 일 측은 다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RF 컨택트(330)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모듈 기판(미도시)과 결합, 통전된다.
따라서, 외부 또는 신호 컨택트(310)로부터 RF 컨택트(330)로 인가되는 전자적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에서 전송되는 RF 신호의 교란이 최소화되어, 커넥터(10)와 다른 커넥터(20) 간의 전송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보강부(170)는 쉴드 부재(100)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부(170)는 쉴드 부재(100)의 높이 방향의 일부, 즉 상측의 일부를 구성한다. 보강부(170)는 절연 부재(200)의 상측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보강부(170)는 외부의 시험 전원(미도시)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170)는 커넥터 조립체(1)의 통전 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프로브(probe)가 통전 가능하기 연결될 수 있다.
보강부(170)는 쉴드 벽(120)과 연속된다. 보강부(170)는 쉴드 벽(120)으로부터 검사 개구부(16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보강부(17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강부(17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쉴드 벽(120)과 연속되고, 절연 부재(200)의 상측의 다른 부분을 각각 덮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부(170)는 총 네 개 구비된다. 한 쌍의 보강부(170)는 쉴드 몸체(110)의 좌측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된다. 다른 한 쌍의 보강부(170)는 쉴드 몸체(110)의 우측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된다. 각 쌍의 보강부(17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네 개의 보강부(170)는 절연 부재(200)의 각 모서리의 상측을 덮게 배치된다.
한편, 각 보강부(170)는 제1 내지 제4 쉴드 벽(121, 122, 123, 124) 중 적어도 두 개의 쉴드 벽(121, 122, 123, 124)과 연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170)에 의해 쉴드 몸체(11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보강부(170)는 연장부(180)와 연속된다.
연장부(180)는 커넥터(10)와 결합되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접지 컨택트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함께 접지를 구성한다. 연장부(180)는 쉴드 몸체(1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8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연장부(180)의 일 부분은 보강부(170)와 연속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80)의 다른 부분은 상기 일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고, 쉴드 몸체(11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8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장부(180)는 복수 개의 보강부(170)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80)는 총 두 쌍 구비된다. 한 쌍의 연장부(180)는 좌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보강부(170)와 연속된다. 다른 한 쌍의 연장부(180)는 우측에 위치되는 다른 한 쌍의 보강부(170)와 연속된다. 각 쌍의 연장부(180)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후 방향의 단부가 검사 개구부(16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연장부(180)가 보강부(170)에서 돌출됨에 따라, 연장부(180)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연장부(180)가 쉴드 벽(120)과 직접 결합될 경우, 작은 단면적을 갖게 형성되는 연장부(180)의 길이가 증가될수록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연장부(180)가 보강부(170)에서 연장되게 구성하여 연장부(180)의 길이 증가를 최소화함으로써, 연장부(180)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연장부(180)는 X축 방향을 따라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180)는 X축 방향을 따라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 간의 전기적인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절연 부재(200)를 포함한다.
절연 부재(200)는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한다. 또한, 절연 부재(200)는 쉴드 부재(100) 및 컨택트 부재(300)와 함께 커넥터(10)를 구성한다.
절연 부재(2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절연 부재(200)는 쉴드 부재(100) 또는 컨택트 부재(300)와 임의 통전되지 않는다.
절연 부재(200)는 쉴드 부재(100)와 결합된다. 절연 부재(200)는 쉴드 공간(111)에 수용되어, 쉴드 벽(120)에 의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면이 지지된다.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쉴드 부재(100)의 쉴드 몸체(11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게 구성된다. 또한,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상기 일 측은 결합 개구부(150) 또는 검사 개구부(16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절연 부재(200)는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컨택트 부재(300)는 복수 개 구비되어, 그 기능에 따라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절연 부재(200)는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를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절연 부재(200)는 쉴드 공간(1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20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200)는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 및 RF 컨택트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컨택트 부재(300)의 신호 컨택트(31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신호 컨택트(31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절연 부재(200)의 Y축 방향의 각 모서리에 각각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의 각 측, 즉 전방 측 및 후방 측 모서리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다. 한 쌍의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다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 지지부(도면 부호 미부여)가 수용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절연 부재(2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절연 부재(2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의 폭을 갖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그 높이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결합 개구부(150) 또는 검사 개구부(160)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검사 개구부(163) 및 제4 검사 개구부(164)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의 다른 부분은 결합 개구부(150)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신호 컨택트(310)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신호 컨택트(310)를 수용하기 위해 함몰 형성되는 홈 및 상기 홈을 X축 방향에서 둘러싸는 보스(boss)부를 포함한다.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는 컨택트 부재(300)의 쉴드 컨택트(32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는 쉴드 컨택트(32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는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와 RF 컨택트 지지부(230)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와 결합되는 쉴드 컨택트(320)는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되어,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는 한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 사이에는 한 쌍의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가 위치된다. 또한, 한 쌍의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는 한 쌍의 RF 컨택트 지지부(230)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에 수용된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부재(100)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쉴드 컨택트(320)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 및 다른 커넥터(20) 간의 접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쉴드 컨택트(320)가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컨택트 부재(300)의 RF 컨택트(33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지지부(230)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그 사이에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 및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가 위치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 지지부(230)와 결합되는 RF 컨택트(330)는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와 결합되는 쉴드 컨택트(320)에 의해 신호 컨택트(310)와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한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각각 절연 부재(200)의 X축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RF 컨택트 지지부(230) 사이에는 한 쌍의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 및 한 쌍의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 사이에 위치되는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가 위치된다.
따라서, X축 방향을 따라 어느 하나의 RF 컨택트 지지부(230), 어느 하나의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 다른 하나의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 및 다른 하나의 RF 컨택트 지지부(230)가 차례로 위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RF 컨택트(330)와 결합되어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232),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 및 RF 컨택트 지지 저면(234)을 포함한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은 RF 컨택트(33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은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의 형상은 RF 컨택트(33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232)가 위치된다.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232)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에 수용된 RF 컨택트(330)를 지지한다.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232)는 RF 컨택트(330)를 복수 개의 방향에서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232)는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232) 사이에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이 형성된다. 한 쌍의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232)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에 수용된 RF 컨택트(330)를 밀착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RF 컨택트(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RF 컨택트(330)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된 RF 컨택트(330)가 솔더링(미도시)에 실장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납 타오름(Solder Wick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를 포함한다(도 15 참조).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는 RF 컨택트 지지부(230)에 수용된 RF 컨택트(330)를 지지한다.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는 RF 컨택트 지지부(23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는 RF 컨택트 지지부(230)와 일체로 형성된 RF 컨택트(330)가 솔더링(미도시)에 실장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임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는 니켈(Ni)이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는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니켈-장벽(Ni-Barrier)로 기능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에 의해, RF 컨택트(330)가 솔더링(미도시)에 실장될 때 납의 상승이 방지되어, 납 타오름 현상 또한 방지될 수 있다.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의 일 면은 RF 컨택트 지지 저면(234)으로 정의될 수 있다.
RF 컨택트 지지 저면(234)은 RF 컨택트(33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지지한다. RF 컨택트 지지 저면(234)은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의 면 중 RF 컨택트(330)와 직접 접촉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면을 형성한다(도 15 참조). RF 컨택트 지지 저면(234)은 RF 컨택트(330)의 RF 지지부(333)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컨택트 부재(300)를 포함한다.
컨택트 부재(300)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다양한 리셉터클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컨택트 부재(3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리셉터클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컨택트 부재(300)는 쉴드 부재(100)에 의해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컨택트 부재(300)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 또는 RF 신호 등은 쉴드 부재(100)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컨택트 부재(3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컨택트 부재(300)는 절연 부재(200)에 의해 지지되어, 임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2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바, 컨택트 부재(300)와 절연 부재(200)는 임의 통전되지 않는다.
컨택트 부재(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컨택트 부재(30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컨택트 부재(300)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리셉터클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각각 접촉, 통전된다. 복수 개의 컨택트 부재(30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이들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택트 부재(300)는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를 포함한다.
신호 컨택트(310)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쉴드 공간(111)에 수용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결합 개구부(150) 및 제3 및 제4 검사 개구부(163, 164)를 통해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310)는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와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때, 신호 컨택트(31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컨택트(310)는 세 개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신호 컨택트(310)는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310)는 상기 홈을 X축 방향의 양측에서 둘러싸는 보스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는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 또한 한 쌍의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는 X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쉴드 컨택트(32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는 Y축 방향을 따라 쉴드 부재(100), 구체적으로 쉴드 벽(120) 및 이에 형성된 쉴드 절단부(130) 및 쉴드 모따기부(14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부재(100)와 결합, 통전되어 접지를 형성한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부재(100)와 결합되는 다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 및 리셉터클 쉴드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도 접촉되어 접지를 형성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컨택트 지지부(220)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부재(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쉴드 컨택트(320)는 Y축 방향의 길이가 신호 컨택트(310) 또는 RF 컨택트(33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320)의 Y축 방향의 길이는,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신호 컨택트(310)의 각 단부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 컨택트(320)는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를 효과적으로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된다. 쉴드 컨택트(320)는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320)는 X축 방향을 따라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쉴드 컨택트(320)는 결합 개구부(150)를 통해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상기 일 측을 통해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 및 리셉터클 쉴드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접지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컨택트(32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320)는 한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쉴드 컨택트(320)는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쉴드 컨택트(320) 중 X축 방향의 일 측, 즉 좌측에 위치되는 쉴드 컨택트(320)는 좌측에 위치되는 RF 컨택트(330)와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한 쌍의 쉴드 컨택트(320) 중 X축 방향의 타 측, 즉 우측에 위치되는 쉴드 컨택트(320)는 우측에 위치되는 RF 컨택트(330)와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따라 RF 컨택트(330), 쉴드 컨택트(320),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RF 컨택트(330)는 RF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된다. RF 컨택트(330)는 다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RF 컨택트(33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지지부(230)의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에 수용된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에 수용된 RF 컨택트(33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은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232)에 의해 지지된다. RF 컨택트(330)의 하측은 RF 컨택트 지지 저면(234)에 의해 지지된다.
RF 컨택트(330)는 쉴드 컨택트(320)와 쉴드 벽(120) 사이에 위치된다. RF 컨택트(330)는 X축 방향을 따라 쉴드 컨택트(320) 및 쉴드 벽(12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RF 컨택트(330)는 Y축 방향을 따라 쉴드 벽(12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RF 컨택트(330)는 쉴드 컨택트(320)를 사이에 두고 신호 컨택트(31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RF 컨택트(3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RF 컨택트(33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쉴드 컨택트(320)를 사이에 두고 신호 컨택트(310)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330)는 한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어느 하나의 RF 컨택트(330)는 제1 쉴드 벽(121) 및 쉴드 컨택트(32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다른 하나의 RF 컨택트(330)는 제2 쉴드 벽(122) 및 쉴드 컨택트(32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또한, RF 컨택트(330)의 Y축 방향은 쉴드 몸체(110) 또는 쉴드 벽(12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의 수평 방향의 각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이 모두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에서 전송되는 RF 신호의 교란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330)는 RF 접촉부(331), RF 접촉부(332), RF 지지부(333), 절연 부재 결합 공간(334) 및 RF 실장부(335)를 포함한다.
RF 접촉부(331)는 RF 컨택트(330)가 다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되는 부분이다. RF 접촉부(331)는 RF 컨택트 지지부(230)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의 일 측(즉, 상측)으로 노출된다. RF 접촉부(331)는 수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RF 컨택트(330)가 RF 컨택트 지지부(230)와 인서트 몰딩의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별도의 도금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RF 접촉부(331)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단 면(331a)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커넥터의 하측 면에서 RF 컨택트를 커팅하는 방식으로 커넥터가 제조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그 하측 면에 컨택트의 절단면이 위치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는 RF 접촉부(331)(즉, 절단된 부분)가 커넥터(1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의 하측에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쉴드 부재(100) 또는 신호 컨택트(310)와의 이격 거리가 최대한 확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RF 신호의 차폐 성능이 향상되어, 커넥터(10)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RF 접촉부(331)는 RF 접촉부(33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RF 접촉부(332)는 RF 컨택트(330)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이다. RF 접촉부(332)는 RF 접촉부(331) 및 RF 지지부(333)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접촉부(33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일 단부, 즉 상측 단부는 RF 접촉부(331)와 연속되고 그 타 단부, 즉 하측 단부는 RF 지지부(333)와 연속된다.
RF 지지부(333)는 RF 컨택트(330)가 RF 컨택트 보호 돌기(233)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다. RF 지지부(333)는 RF 접촉부(332) 및 RF 실장부(335)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지지부(333)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일 단부, 즉 좌측 단부는 RF 접촉부(332)와 연속되고 그 타 단부, 즉 우측 단부는 RF 실장부(335)와 연속된다.
절연 부재 결합 공간(334)은 RF 접촉부(331), RF 접촉부(332) 및 RF 지지부(333)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되는 공간이다. 절연 부재 결합 공간(334)에는 RF 컨택트 지지부(230)의 일부가 수용된다.
RF 실장부(335)는 RF 컨택트(330)가 솔더링(미도시)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RF 실장부(335)는 RF 컨택트(330)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를 구성한다. RF 실장부(335)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절연 부재(2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솔더링(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RF 실장부(335)의 상기 일 단부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RF 실장부(335)는 그 단부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될 수 있다.
RF 실장부(335)는 RF 접촉부(331) 또는 RF 지지부(333)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실장부(335)는 Z축 방향, 즉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RF 실장부(335)는 쉴드 부재(100)의 쉴드 벽(120) 중 인접하게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쉴드 벽(120)의 하측 단부와 최대한 이격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실장부(335)와 제2 쉴드 벽(122)의 하측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d)는, RF 실장부(335)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실장부(335)를 실장하는 솔더링(미도시) 및 제2 쉴드 벽(112)을 실장하는 솔더링(미도시)이 충분히 이격되어, 임의 접촉 및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커넥터 조립체 10: 커넥터
20: 다른 커넥터 100: 쉴드 부재
110: 쉴드 몸체 111: 쉴드 공간
120: 쉴드 벽 121: 제1 쉴드 벽
122: 제2 쉴드 벽 123: 제3 쉴드 벽
124: 제4 쉴드 벽 130: 쉴드 절단부
140: 쉴드 모따기부 150: 결합 개구부
160: 검사 개구부 161: 제1 검사 개구부
162: 제2 검사 개구부 163: 제3 검사 개구부
164: 제4 검사 개구부 170: 보강부
180: 연장부 200: 절연 부재
210: 신호 컨택트 지지부 220: 쉴드 컨택트 지지부
230: RF 컨택트 지지부 231: RF 컨택트 수용 공간
232: RF 컨택트 지지 가이드 233: RF 컨택트 보호 돌기
234: RF 컨택트 지지 저면 300: 컨택트 부재
310: 신호 컨택트 320: 쉴드 컨택트
330: RF 컨택트 331: RF 접촉부
331a: 절단 면 332: RF 접촉부
333: RF 지지부 334: 절연 부재 결합 공간
335: RF 실장부 d: 이격 거리
a: 각도

Claims (13)

  1.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컨택트(310) 및 RF 신호를 전송하는 RF 컨택트(330)를 포함하는 컨택트 부재(300); 및
    제1 방향의 길이와 제2 방향의 폭 및 제3 방향의 높이를 갖고, 상기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되며,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절연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20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호 컨택트(310)를 지지하는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 및
    상기 신호 컨택트 지지부(210)의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는 RF 컨택트 지지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컨택트(31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RF 컨택트(33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컨택트(330)는,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RF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방향의 단부에 위치되며 비 도금(uncoated) 상태로 상기 절연 부재(2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절단 면(331a)을 포함하는,
    커넥터(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 컨택트(330)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 부재(200)의 일 측에서 노출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RF 접촉부(331); 및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 부재(200)의 타 측에서 노출되고,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부의 솔더링에 실장되는 RF 실장부(335)를 포함하는,
    커넥터(1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2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며, 상기 컨택트 부재(300)를 전자적으로 차폐하게 구성되는 쉴드 부재(100)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 부재(1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컨택트 부재(30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컨택트 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쉴드 벽(121, 122); 및
    한 쌍의 상기 쉴드 벽(121, 122)과 각각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컨택트(310) 및 상기 RF 컨택트(330)는, 서로 전자적으로 차폐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부(18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커넥터(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100)는,
    한 쌍의 상기 쉴드 벽(121, 122)과 연속되며, 상기 제3 방향의 일 측에서 상기 절연 부재(2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보강부(170)를 포함하는,
    커넥터(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80)는, 상기 보강부(170)의 일 모서리와 연속되는,
    커넥터(10).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100)는,
    상기 한 쌍의 쉴드 벽(121, 122)과 각각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컨택트 부재(30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컨택트 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마주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쉴드 벽(123, 1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17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쉴드 벽(121, 122)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쉴드 벽(123, 124)이 서로 연속되는 부분에 각각 위치되는,
    커넥터(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80)는, 복수 개의 상기 보강부(170)의 상기 제2 방향의 일 모서리와 연속되는,
    커넥터(10).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100)는,
    상기 한 쌍의 쉴드 벽(121, 122)과 각각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컨택트 부재(30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컨택트 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마주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쉴드 벽(123, 124); 및
    상기 쉴드 벽(121, 122, 123, 124)의 상기 제3 방향의 단부의 일 부분을 구성하며, 그 높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한 쌍의 상기 쉴드 벽(121, 122, 123, 124)의 상기 제3 방향의 단부의 다른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쉴드 절단부(130)를 포함하는,
    커넥터(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100)는,
    그 내부에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외측이 상기 쉴드 벽(121, 122, 123, 124)에 둘러싸이며,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컨택트 부재(300)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검사 개구부(160)를 포함하는,
    커넥터(10).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재(100)는,
    상기 쉴드 벽(121, 122, 123, 124)의 상기 제3 방향의 단부의 상기 일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쉴드 절단부(130)와 소정의 각도(a)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되는 쉴드 모따기부(140)를 포함하는,
    커넥터(10).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200)는,
    상기 RF 컨택트(330)와 결합되어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고, 상기 쉴드 벽(121, 122)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RF 컨택트 지지부(230)를 포함하는,
    커넥터(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F 컨택트 지지부(230)는,
    상기 RF 컨택트(330)를 수용하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 및
    수용된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도록, 상기 RF 컨택트 수용 공간(231)을 사이에 두고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RF 지지 가이드(232)를 포함하는,
    커넥터(10).
KR1020230076114A 2022-11-04 2023-06-14 커넥터 KR20240064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0502 WO2024096257A1 (ko) 2022-11-04 2023-07-20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46310 2022-11-04
KR1020220146310 2022-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509A true KR20240064509A (ko) 2024-05-13

Family

ID=9107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114A KR20240064509A (ko) 2022-11-04 2023-06-14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450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017A (ko) 2021-03-17 2022-09-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
KR20220145277A (ko) 2021-04-21 2022-10-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017A (ko) 2021-03-17 2022-09-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
KR20220145277A (ko) 2021-04-21 2022-10-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467B2 (en) Connector device
US8083530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US1166462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between low and high frequency terminals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using the same
US11769970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1177725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otrusions on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shield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338249B1 (ko)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US10170868B1 (en) Connector
JP2019140014A (ja) 電気コネクタ
JP5557104B2 (ja) コネクタ及び接続経路切換装置
KR101324656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KR20240064509A (ko) 커넥터
KR20240066982A (ko) 커넥터
JP2020205163A (ja) コネクタ
KR1023179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64508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30018111A (ko) 전기 커넥터 장치 및 이 전기 커넥터 장치에 이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JP2019075315A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20240066979A (ko) 커넥터
JP2024503825A (ja) コネクタ
KR20240066983A (ko) 커넥터
JP2023540709A (ja) 基板コネクタ
KR20240066984A (ko) 커넥터
KR20230149239A (ko) 커넥터
KR20220134441A (ko) 커넥터
KR20240066964A (ko)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