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508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508A
KR20240064508A KR1020230074747A KR20230074747A KR20240064508A KR 20240064508 A KR20240064508 A KR 20240064508A KR 1020230074747 A KR1020230074747 A KR 1020230074747A KR 20230074747 A KR20230074747 A KR 20230074747A KR 20240064508 A KR20240064508 A KR 20240064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ield
signal
axis direction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완
최정훈
황현주
신현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05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96256A1/ko
Publication of KR2024006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택트 부재(300); 및 상기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되며, 제1 방향의 길이, 제2 방향의 폭 및 제3 방향의 높이를 갖고,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절연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부재(3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되고, RF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되는 RF 컨택트(330);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RF 컨택트(330)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하게 구성되는 쉴드 컨택트(320)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 컨택트(320)는, 상기 RF 컨택트(330)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3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쉴드 보강 면(324, 325)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내외부의 전자파의 차폐 성능을 향상시키고, 강성이 향상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회로기판 및 이를 다른 부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또한 소형화되고 있다. 반면, 전자기기에서 처리하는 정보의 양은 증가되어, 회로기판 또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단자의 개수는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소형화된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동시에 보내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일반 신호 및 RF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는 RF 커넥터를 들 수 있다.
RF 커넥터는 서로 다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일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및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컨택트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송되는 일반 신호 및 RF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및 RF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간의 전자적 차폐가 요구된다.
그런데, 전통적인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구조적 한계로 인해 각 컨택트 간의 완전한 전자적 차폐가 수행되기 어렵다. 또한, 전통적인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완전한 전자적 차폐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구성이 증가되어, 조립성이 저하되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2-0145277호 (2022.10.28.)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2-0130017호 (2022.09.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컨택트에서 전송되는 신호 간의 전자적 차폐가 가능한 구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컨택트에서 전송되는 신호 간의 전자적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F 신호 전송을 위한 컨택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택트 결합을 위한 물질이 컨택트를 따라 유동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택트 부재(300); 및 상기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되며, 제1 방향의 길이, 제2 방향의 폭 및 제3 방향의 높이를 갖고,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절연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부재(3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되고, RF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되는 RF 컨택트(330);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RF 컨택트(33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하게 구성되는 쉴드 컨택트(320)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 컨택트(320)는, 상기 RF 컨택트(330)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3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쉴드 보강 면(324, 325)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각 컨택트에서 전송되는 신호 간의 전자적 차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각 컨택트에서 전송되는 신호 간의 전자적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RF 신호 전송을 위한 컨택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컨택트 결합을 위한 물질이 컨택트를 따라 유동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연 부재의 일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C-C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컨택트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컨택트 부재에 구비되는 신호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신호 컨택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컨택트 부재에 구비되는 쉴드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컨택트 부재에 구비되는 RF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RF 컨택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연통은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통신"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유동되며, 형상 또는 부피 등이 변형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물 등의 액체 또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넥터(1)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2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20)는 각각 외부의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20)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20)와 각각 결합된 모듈 기판(미도시)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2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 수용된 플러그 커넥터(2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주에 둘러싸이되, 그 일부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높이 방향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20)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넥터(1)는 일반 전기적 신호 및 RF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RF 커넥터(Radio Frequency Connector)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길이 1 cm, 폭 0.8 cm 이하의 초미세한 부품으로 설계 및 제조상 디테일한 부분까지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일반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후술될 신호 컨택트(310)) 및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후술될 RF 컨택트(330))를 모두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를 서로 전자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다른 구성(후술될 쉴드 컨택트(3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RF 컨택트(330)의 수평 방향의 외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측에서 각각 전기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 및 RF 컨택트(330)에서 전송되는 RF 신호에 대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쉴드 부재(100), 절연 부재(200) 및 컨택트 부재(300)를 포함한다.
이때, 쉴드 부재(100), 절연 부재(200) 및 컨택트 부재(300)는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컨택트 부재(3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를 수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둘러싸며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이때,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를 그 높이 방향, 즉 Z축 방향에서도 부분적으로 덮으며 절연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컨택트 부재(300)는 Z축 방향을 따라 절연 부재(20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컨택트 부재(300)가 노출된 부분은 PCB 패턴(미도시)에 의해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어 절연 부재(20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또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외부의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컨택트 부재(300)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수용된 컨택트 부재(300)의 신호를 외부로의 방출을 차단하기도 한다.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각각 둘러쌀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의 X축 방향의 외측 및 Y축 방향을 각각 둘러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에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외주 부분을 감싸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의 상측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모서리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또한,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플러그 쉴드(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쉴드(도면 부호 미부여)와 함께 접지(ground)를 구성할 수 있다.
쉴드 부재(1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고, 컨택트 부재(300)를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10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쉴드 부재(100)의 내부에는 절연 부재(2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쉴드 부재(100)의 Z축 방향의 각 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쉴드 부재(100)의 형상은 절연 부재(20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쉴드 부재(100)는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 부재(100)와 결합된 절연 부재(200)의 파손을 방지하고,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쉴드 부재(1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후술될 쉴드 컨택트(320)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100)는 쉴드 벽(110) 및 쉴드 개구부(120)를 포함한다.
쉴드 벽(110)은 쉴드 부재(100)의 외형을 구성한다. 쉴드 벽(110)은 쉴드 부재(100)가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쉴드 벽(110)은 절연 부재(200)의 외주와 결합된다. 쉴드 벽(110)은 절연 부재(200)의 외주와 접촉되어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쉴드 벽(110)의 내주에는 홈(도면 부호 미부여)이 함몰 형성되어, 절연 부재(200)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도면 부호 미부여)와 결합될 수 있다.
쉴드 벽(110)은 쉴드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벽(110)은 쉴드 개구부(12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즉 X축 방향의 각 측 및 Y축 방향의 각 측을 둘러싼다.
쉴드 벽(110)은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쉴드 벽(11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분은 서로 연속되되, 다른 위치에서 쉴드 개구부(120)를 각각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쉴드 벽(11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분은 쉴드 개구부(120)에 수용된 절연 부재(200)의 외주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쉴드 벽(110)은 쉴드 부재(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벽(11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다른 한 쌍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쉴드 벽(110)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쉴드 벽(11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는 각각 연속된다. 쉴드 부재(100)는 이음매나 불연속되는 부분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한 쌍의 쉴드 벽(110)의 길이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다른 한 쌍의 쉴드 벽(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쉴드 벽(110)은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플러그 쉴드(도면 부호 미부여) 및 쉴드 컨택트(320)와 각각 접촉되어 통전된다. 이에 따라, 쉴드 벽(110)은 접지를 형성할 수 있다.
쉴드 개구부(120)는 절연 부재(200) 및 이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를 수용한다. 쉴드 개구부(120)는 플러그 커넥터(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쉴드 개구부(120)는 쉴드 부재(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쉴드 개구부(120)는 쉴드 벽(110)에 둘러싸여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개구부(120)의 X축 방향의 각 측 및 Y축 방향의 각 측은 쉴드 벽(110)에 둘러싸인다.
쉴드 개구부(120)의 Z축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및 하측은 각각 개방 형성된다. 쉴드 개구부(120)의 Z축 방향의 각 측을 통해 절연 부재(200) 및 이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가 쉴드 개구부(12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쉴드 개구부(120)의 Z축 방향의 각 측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20)가 수용될 수 있다.
쉴드 개구부(120)는 쉴드 벽(110), 절연 부재(200) 및 이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 또는 플러그 커넥터(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개구부(12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한편, 쉴드 부재(100)는 쉴드 개구부(120)에 수용된 컨택트 부재(30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쉴드 부재(100)는 신호 컨택트(31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컨택트(310)는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 신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신호 컨택트(310)의 X축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한 쌍의 쉴드 벽(110)에 의해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쉴드 컨택트(320)는 X축 방향을 따라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신호 컨택트(310)는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측에서 모두 외부 또는 RF 컨택트(330)와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310)가 외부로 노출되는 Z축 방향의 상기 일 측은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 신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신호 컨택트(310)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 통전된다.
따라서, 외부 또는 RF 컨택트(330)로부터 신호 컨택트(310)로 인가되는 전자적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컨택트(310)에서 전송되는 전자적 신호의 교란이 최소화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 간의 전송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쉴드 부재(100)는 RF 컨택트(330)를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 컨택트(330)는 쉴드 개구부(120)에 수용되어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노출된다. RF 컨택트(330)는 Z축 방향의 상기 일 측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이때, RF 컨택트(330)의 Y축 방향의 각 측은 한 쌍의 쉴드 벽(110)에 의해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또한, RF 컨택트(330)의 X축 방향의 일 측은 다른 한 쌍의 쉴드 벽(110)에 의해, 타 측은 쉴드 컨택트(320)에 의해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즉, RF 컨택트(330)는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측에서 모두 외부 또는 신호 컨택트(310)와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RF 컨택트(330)가 외부로 노출되는 Z축 방향의 일 측은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RF 컨택트(330)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 통전된다.
따라서, 외부 또는 신호 컨택트(310)로부터 RF 컨택트(330)로 인가되는 전자적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에서 전송되는 RF 신호의 교란이 최소화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 간의 전송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는 절연 부재(200)를 포함한다.
절연 부재(200)는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한다. 또한, 절연 부재(200)는 쉴드 부재(100) 및 컨택트 부재(300)와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10)를 구성한다.
절연 부재(2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절연 부재(200)는 쉴드 부재(100) 또는 컨택트 부재(300)와 임의 통전되지 않는다.
절연 부재(200)는 쉴드 부재(100)와 결합된다. 절연 부재(200)는 쉴드 개구부(120)에 수용되어, 쉴드 벽(110)에 의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면이 지지된다.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쉴드 개구부(12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 컨택트 부재(300)는 상기 일 측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플러그 컨택트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절연 부재(200)는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컨택트 부재(300)는 복수 개 구비되어, 그 기능에 따라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절연 부재(200)는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를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절연 부재(200)는 쉴드 개구부(1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20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때,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복수 개의 면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부재(200)의 하측 면 중 외측에 노출되는 일 면은 절연 부재 외측 하면(20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200)의 하측 면 중 내측에 위치되는 일 면은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절연 부재 외측 하면(201)은 절연 부재(200)의 면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절연 부재 외측 하면(201)은 바닥 면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은 RF 컨택트 지지 벽(233c)과 연속된다. 이때,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은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200)는 쉴드 부재 결합부(210), 검사 개구부(220),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 절연 컬럼 부재(230),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 RF 컨택트 결합부(233) 및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을 포함한다.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절연 부재(200)가 쉴드 부재(1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쉴드 개구부(120)에 수용되어 쉴드 벽(110)에 의해 그 외주가 둘러싸인다.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탈거 가능하게 쉴드 벽(110)과 결합될 수 있다.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절연 부재(200)의 일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절연 부재(200)의 서로 다른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두 쌍 구비된다.
어느 한 쌍의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Y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다른 한 쌍의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Y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절연 부재(200)의 일 부분을 구성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쉴드 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Y축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된다. 쉴드 부재 결합부(210)의 외측에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이 형성되어, 쉴드 벽(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각 쌍의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에 의해 서로 연속될 수 있다.
쉴드 부재 결합부(2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플러그 커넥터(2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플러그 지지 면(211)을 포함한다.
플러그 지지 면(211)은 쉴드 부재 결합부(210)의 Z축 방향의 일 면으로 정의된다. 플러그 지지 면(211)은 쉴드 부재 결합부(210)를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둘러싼다. 플러그 지지 면(211)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20)와 접촉되어 이를 지지할 수 있다.
검사 개구부(220)는 신호 컨택트(310)의 상태 또는 신호 컨택트(310)와 PCB 패턴(미도시)의 결합 상태를 확인하는 창으로 기능된다.
검사 개구부(220)는 쉴드 부재 결합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쉴드 개구부(120)와 연통된다.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와 결합된 신호 컨택트(310)는 검사 개구부(22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검사 개구부(220)는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에 형성된다. 검사 개구부(220)는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의 높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검사 개구부(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검사 개구부(220)는 절연 부재(200)의 길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검사 개구부(220)를 통해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가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검사 개구부(220)는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세 개의 검사 개구부(220)는 Y축 방향의 일 측, 즉 전방 측에 위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다른 세 개의 검사 개구부(220)는 Y축 방향의 타 측, 즉 후방 측에 위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절연 컬럼 부재(230)는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절연 컬럼 부재(230)는 절연 부재(2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절연 컬럼 부재(230)는 절연 부재(2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컬럼 부재(230)는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 및 RF 컨택트 결합부(233)를 포함한다.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는 신호 컨택트(310)와 결합된다.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는 결합된 신호 컨택트(310)를 지지한다. 또한,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는 복수 개의 쉴드 부재 결합부(210)와 각각 결합된다. 즉, 복수 개의 쉴드 부재 결합부(210)는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를 통해 서로 연속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는 복수 개의 쉴드 부재 결합부(2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쉴드 부재 결합부(210)의 내측에 위치된다.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는 절연 컬럼 부재(23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는 절연 컬럼 부재(230)의 폭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의 각 측의 외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는 절연 컬럼 부재(230)의 높이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검사 개구부(220)와 연통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쉴드 컨택트(320)를 수용한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외면에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Z축 방향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와 RF 컨택트 결합부(23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와 결합된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 결합부(233)와 결합된 RF 컨택트(330)는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에 수용된 쉴드 컨택트(32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 즉 좌측 및 우측 단부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X축 방향을 따라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X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RF 컨택트 결합부(233)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X축 방향을 따라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 및 RF 컨택트 결합부(233) 사이에 위치된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쉴드 컨택트(32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일 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일 부분과 연속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 및 절연 컬럼 부재(23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의 X축 방향의 일 측은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에, 타 측은 절연 컬럼 부재(230)에 둘러싸인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되어, 쉴드 컨택트(320)가 수용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은 RF 컨택트 결합부(233)와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에 수용된 쉴드 컨택트(320)와 RF 컨택트 결합부(233)와 결합된 RF 컨택트(330) 간의 임의 접촉,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을 사이에 두고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를 마주하게 RF 컨택트 결합부(233)가 위치된다.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RF 컨택트(33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한다.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RF 컨택트(330)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 및 수용된 RF 컨택트(3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절연 컬럼 부재(230)에 형성된다.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절연 컬럼 부재(230)의 면 중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과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X축 방향을 따라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과 이격되게 위치된다.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RF 컨택트(33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한 쌍 구비되어, 절연 컬럼 부재(2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을 사이에 두고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어느 하나의 RF 컨택트 결합부(233), 어느 하나의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 다른 하나의 RF 컨택트 결합부(233) 및 다른 하나의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이 차례로 배치된다.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RF 컨택트(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결합부(233)와 RF 컨택트(330)는 인서트 몰딩 성형(insert molding)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 RF 컨택트 안착 면(233b) 및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을 포함한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은 RF 컨택트(33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은 절연 컬럼 부재(230)에 함몰 형성된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은 절연 컬럼 부재(23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의 Y축 방향의 각 측이 절연 컬럼 부재(230)에 둘러싸인다. 또한,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의 X축 방향의 일 측은 절연 컬럼 부재(230)에 둘러싸이되, 타 측은 개방된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은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 및 RF 컨택트 안착 면(233b)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의 Z축 방향의 일 측, 즉 하측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에 둘러싸인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은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에 수용된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의해 복수 개의 방향에서 지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의 하측 부분은 Y축 방향의 각 측 및 X축 방향의 일 측이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둘러싸인다.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에 수용된 RF 컨택트(330)를 지지한다. RF 컨택트(330)의 일 부분은 RF 컨택트 안착 면(233b)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둘러싼다.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에 수용된 RF 컨택트(330)의 RF 안착부(333)를 지지할 수 있다. 즉,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RF 컨택트(330)의 구성 중 가동되지 않는 구성을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의해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과 연속된다.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RF 컨택트(330)의 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절연 부재 외측 하면(201)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절연 부재(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절연 부재 외측 하면(201)으로부터 제1 높이(h1)만큼 이격된다.
상기와 같은 RF 컨택트 안착 면(233b)에 의해,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이 충분한 높이만큼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에 구비되는 RF 실장부(335)가 RF PCB 패턴(미도시)과 결합될 때, 잔여 PCB 패턴 부재(예를 들면, 납)가 PCB 패턴 수용 공간(240)에 충분한 양만큼 수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RF 컨택트(330)와 RF PCB 패턴(미도시)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RF 컨택트 지지 벽(233c)과 연속된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에 수용된 RF 컨택트(330)를 지지한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330)의 높이 방향의 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에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일부 형상 변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RF 컨택트(330)와 플러그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 간의 접촉 및 통전이 신뢰성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200)와 RF 컨택트(330)는 인서트 몰딩 형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RF 컨택트(330)가 기 설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절연 컬럼 부재(230)에 형성된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 및 RF 컨택트 안착 면(233b)과 각각 연속된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 및 RF 컨택트 안착 면(233b) 사이에 위치된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Z축 방향의 일 측, 즉 하측에서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된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Y축 방향의 각 측 및 X축 방향의 일 측에서 둘러싼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한 쌍 구비되어, 절연 컬럼 부재(2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X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의 Y축 방향의 각 측 및 X축 방향의 타 측, 즉 우측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또한, X축 방향의 타 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다른 하나의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의 Y축 방향의 각 측 및 X축 방향의 상기 일 측, 즉 좌측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따라서,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의해 적어도 세 개의 방향에서 지지되므로, RF 컨택트(330)가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RF 컨택트(33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되, RF 컨택트(33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그 높이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즉,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의 수직 방향의 단면은, RF 컨택트(33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그 높이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챔퍼(Chamfer)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각 구성은 서로 연속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RF 컨택트(33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 및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을 포함한다.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X축 방향의 일 측에서 둘러싼다. 또한,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은 RF 컨택트(330)를 X축 방향의 일 측에서 둘러싼다.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 및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과 각각 연속될 수 있다.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Y축 방향의 일 측에서 둘러싼다. 또한,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은 RF 컨택트(330)를 Y축 방향의 일 측에서 둘러싼다.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사이에 두고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과 연속될 수 있다.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Y축 방향의 타 측에서 둘러싼다. 또한,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은 RF 컨택트(330)를 Y축 방향의 타 측에서 둘러싼다.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사이에 두고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과 연속될 수 있다.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의 하측에 위치된다.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은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과 연통된다.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은 절연 부재 외측 하면(201)과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도 10 내지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은 절연 부재 외측 하면(201)과 RF 컨택트 안착 면(233b) 사이의 거리인 제1 높이(h1)만큼의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은 외부와 연통된다.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은 RF 컨택트 결합부(233)에 결합된 RF 컨택트(33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의 RF 실장부(335)와 결합된 PCB 패턴 부재(미도시)의 잔여물은 PCB 패턴 수용 공간(240)에 유입되어, 절연 부재(200)와 RF 컨택트(330)가 추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컨택트 부재(300)를 포함한다.
컨택트 부재(300)는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다양한 플러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컨택트 부재(3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플러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컨택트 부재(300)는 쉴드 부재(100)에 의해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컨택트 부재(300)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 또는 RF 신호 등은 쉴드 부재(100)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컨택트 부재(30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컨택트 부재(300)는 절연 부재(200)에 의해 지지되어, 임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2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바, 컨택트 부재(300)와 절연 부재(200)는 임의 통전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컨택트 부재(300)는 인서트 몰딩 성형에 의해 절연 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컨택트 부재(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컨택트 부재(30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컨택트 부재(300)는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플러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각각 접촉, 통전된다. 복수 개의 컨택트 부재(30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이들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택트 부재(300)는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를 포함한다.
신호 컨택트(310)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쉴드 개구부(120)에 수용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검사 개구부(220)를 통해 Z축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310)는 쉴드 벽(110)에 둘러싸인다. 이에 따라, 신호 컨택트(310)는 외부와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310)는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와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때, 신호 컨택트(310)는 복수 개 구비되어,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컨택트(310)는 세 개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신호 컨택트(310)는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는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는 일 그룹 및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는 다른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일 그룹 및 상기 다른 그룹은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때, 신호 컨택트(310)는 신호 컨택트 결합부(23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310)는 상기 홈을 X축 방향의 양측에서 둘러싸는 보스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신호 컨택트(310)는 한 쌍의 쉴드 컨택트(320) 사이에 위치된다. 신호 컨택트(310)는 쉴드 컨택트(320)를 사이에 두고 RF 컨택트(33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상기 배치에 의해, 신호 컨택트(310)는 RF 컨택트(330)와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컨택트(310)는 신호 접촉부(311), 신호 연장부(312), 신호 만곡부(313), 신호 실장부(314) 및 신호 커팅부(315)를 포함한다.
신호 접촉부(311)는 신호 컨택트(310)가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되는 부분이다. 신호 접촉부(311)는 신호 컨택트(31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구성한다. 신호 접촉부(311)는 쉴드 개구부(120)의 Z축 방향으로 노출된다.
신호 접촉부(311)는 신호 연장부(312)와 연속된다.
신호 연장부(312)는 신호 접촉부(311) 및 신호 만곡부(313)를 연결한다. 신호 연장부(312)는 신호 접촉부(311) 및 신호 만곡부(313) 사이에서 연장된다.
신호 연장부(312)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는 신호 접촉부(311)와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는 신호 만곡부(313)가 서로 연속될 수 있다.
신호 연장부(312)는 소정의 폭, 즉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연장부(312)는 제1 폭(w1)에 해당하는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폭(w1)은 제2 폭(w2) 이상일 수 있다.
신호 만곡부(313)는 신호 연장부(312)와 신호 실장부(314)를 연결한다. 신호 만곡부(313)는 신호 연장부(312) 및 신호 실장부(314) 사이에서 연장된다.
신호 만곡부(313)는 소정의 곡률로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만곡부(313)는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된다.
신호 만곡부(313)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Y축 방향의 길이, 즉 폭이 변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만곡부(313)는 신호 연장부(312)를 향하는 방향의 폭이, 신호 실장부(314)를 향하는 방향의 폭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신호 만곡부(313)의 폭 중 신호 연장부(312)를 향하는 일 측의 폭은, 신호 연장부(312)의 폭인 제1 폭(w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 만곡부(313)의 폭 중 신호 실장부(314)를 향하는 타 측의 폭은 제2 폭(w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만곡부(313)는 신호 연장부(312)에서 신호 실장부(314)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1회 폭이 감소되게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후술될 신호 커팅부(315)가 형성됨에 기인한다.
신호 실장부(314)는 신호 컨택트(310)가 PCB 패턴 부재(미도시)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신호 실장부(314)는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노출된다. 신호 실장부(314)는 신호 컨택트(310)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다. 신호 실장부(314)는 신호 만곡부(313)에 의해 신호 연장부(312)와 연속된다.
신호 실장부(314)가 PCB 패턴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때, PCB 패턴을 위한 물질의 일부가 신호 컨택트(310)를 따라 상승되어 절연 부재(200)로 유동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컨택트(310)는 신호 커팅부(315)를 더 포함한다.
신호 커팅부(315)는 신호 컨택트(31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게 형성된다. 신호 커팅부(315)는 신호 컨택트(310)의 Y축 방향의 면에 형성된다. 신호 커팅부(315)는 신호 컨택트(310)의 상기 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신호 커팅부(315)는 신호 만곡부(31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커팅부(315)는 신호 만곡부(313)에서 신호 실장부(314)를 향하는 방향으로 그 폭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커팅부(315)가 신호 연장부(312)와 연속되는 부분은 제1 폭(w1)을 갖게 형성되고, 신호 커팅부(315)가 신호 실장부(314)와 연속되는 부분은 제2 폭(w2)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실장부(314)로부터 신호 컨택트(310)를 따라 상승되는 PCB 패턴을 위한 물질은 신호 커팅부(315)의 부분 중 제1 폭(w1)을 갖게 형성되는 부분에 의해 추가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패턴을 위한 물질이 신호 컨택트(310)를 따라 상승하는 거리가 제한되어, 이른바 납 타오름 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부재(100)와 결합, 통전되어 접지를 형성한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부재(100)와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20)의 리셉터클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 및 리셉터클 쉴드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도 접촉되어 접지를 형성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에 수용되어, 절연 부재(200)의 다른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부재(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쉴드 컨택트(320)는 Y축 방향의 길이가 신호 컨택트(310) 또는 RF 컨택트(33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320)의 Y축 방향의 길이는,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신호 컨택트(310)의 각 단부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 컨택트(320)는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를 효과적으로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된다. 쉴드 컨택트(320)는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320)는 X축 방향을 따라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개구부(120)를 통해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상기 일 측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 및 리셉터클 쉴드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접지될 수 있다.
쉴드 컨택트(3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컨택트(32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320)는 한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쉴드 컨택트(320)는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쉴드 컨택트(320) 중 X축 방향의 일 측, 즉 좌측에 위치되는 쉴드 컨택트(320)는 좌측에 위치되는 RF 컨택트(330)와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한 쌍의 쉴드 컨택트(320) 중 X축 방향의 타 측, 즉 우측에 위치되는 쉴드 컨택트(320)는 우측에 위치되는 RF 컨택트(330)와 복수 개의 신호 컨택트(31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따라 RF 컨택트(330), 쉴드 컨택트(320), 신호 컨택트(310), 쉴드 컨택트(320) 및 RF 컨택트(3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쉴드 컨택트(320)는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플러그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와의 접촉 면적이 최대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 컨택트(320)와 플러그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어, 쉴드 컨택트(320)가 접지로서 기능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쉴드 컨택트(320)가 신호 컨택트(310) 및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신뢰성 있게 차폐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컨택트(320)는 쉴드 암(321), 쉴드 접촉부(322), 쉴드 결합 돌기(323), 제1 쉴드 보강 면(324) 및 제2 쉴드 보강 면(325)을 포함한다.
쉴드 암(321)은 쉴드 컨택트(320)의 일부를 구성한다. 쉴드 암(321)은 쉴드 컨택트(320)가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또한, 쉴드 암(321)은 신호 컨택트(310)와 RF 컨택트(330)를 X축 방향을 따라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쉴드 암(321)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쉴드 암(321)은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쉴드 암(321)의 각 단부 중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부는 쉴드 접촉부(322)와 각각 연속된다.
쉴드 암(321)은 소정의 두께, 즉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암(321)의 두께는 제1 쉴드 폭(sw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쉴드 폭(sw1)은 제2 쉴드 폭(sw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접촉부(322)는 쉴드 컨택트(320)가 플러그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부분이다. 쉴드 접촉부(322)는 리셉터클 커넥터(10)와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된다.
쉴드 접촉부(322)는 쉴드 암(321)과 연속된다. 쉴드 접촉부(322)는 한 쌍의 쉴드 암(321) 사이에 위치되어, 각 쉴드 암(321)의 연장 방향의 단부와 결합된다.
쉴드 접촉부(322)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플러그 쉴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쉴드 접촉부(322)는 쉴드 암(321)에 비해 긴 폭, 즉 X축 방향의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쉴드 접촉부(322)는 제2 쉴드 폭(sw2)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제2 쉴드 폭(sw2)은 제1 쉴드 폭(sw1)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접촉부(322)는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쉴드 접촉부(322)는 절연 컬럼 부재(230)를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Y축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쉴드 접촉부(322)는 제1 쉴드 보강 면(324) 및 제2 쉴드 보강 면(325)과 함께 절연 컬럼 부재(2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쉴드 접촉부(322)는 제1 쉴드 보강 면(324) 및 제2 쉴드 보강 면(325)과 함께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쉴드 결합 돌기(323)는 쉴드 컨택트(320)가 PCB 패턴 부재(미도시)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쉴드 결합 돌기(323)는 Z축 방향을 따라 절연 부재(200)에 관통되어,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노출된다.
쉴드 결합 돌기(323)는 쉴드 접촉부(322)와 연속된다. 쉴드 결합 돌기(323)는 Z축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쉴드 결합 돌기(323)의 연장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쉴드 접촉부(322)와 연속된다. 쉴드 결합 돌기(323)의 연장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절연 부재(200)의 하측으로 노출된다.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절연 컬럼 부재(2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Z축 방향의 일 측, 즉 상측을 덮는다.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합성 수지 등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컬럼 부재(2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20)와 결합될 때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쉴드 컨택트(320)의 높이 방향의 일 측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쉴드 컨택트(320)의 상측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연장 방향의 단부의 상측 면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수평 방향으로 편평한 판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제1 쉴드 보강 면(324)의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RF 컨택트(330)가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제2 쉴드 보강 면(325)과 연속된다. 제1 쉴드 보강 면(324)은 제2 쉴드 보강 면(325)을 사이에 두고 쉴드 접촉부(32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절연 컬럼 부재(2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Z축 방향의 상기 일 측, 즉 상측을 덮는다.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제1 쉴드 보강 면(324)과 다른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상측의 폭 방향을 덮는다.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합성 수지 등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된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20)와 결합될 때 절연 컬럼 부재(23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쉴드 컨택트(320)의 높이 방향의 타 측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쉴드 컨택트(320)의 상측의 나머지를 구성한다.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절연 컬럼 부재(230)의 연장 방향의 단부의 상측 면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Y축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판형으로 구비된다.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복수 개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제1 쉴드 보강 면(324) 및 쉴드 접촉부(322)와 각각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한 쌍 구비되어, 제1 쉴드 보강 면(324) 및 한 쌍의 쉴드 접촉부(322)와 각각 연속된다. 한 쌍의 제2 쉴드 보강 면(325)은 제1 쉴드 보강 면(324)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RF 컨택트(330)는 RF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된다. RF 컨택트(330)는 플러그 커넥터(20)에 구비되는 플러그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RF 컨택트(330)는 절연 부재(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결합부(233)와 결합된다.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에 수용된다.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안착 면(233b)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RF 컨택트(330)의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의해 지지된다.
RF 컨택트(330)는 형상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RF 컨택트(330)는 탄성적으로 플러그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될 수 있다.
RF 컨택트(330)는 쉴드 컨택트(320)와 쉴드 벽(110) 사이에 위치된다. RF 컨택트(330)는 X축 방향을 따라 쉴드 컨택트(320) 및 쉴드 벽(11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RF 컨택트(330)는 Y축 방향을 따라 쉴드 벽(11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RF 컨택트(330)는 쉴드 컨택트(320)를 사이에 두고 신호 컨택트(31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RF 컨택트(3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RF 컨택트(33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쉴드 컨택트(320)를 사이에 두고 신호 컨택트(310)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330)는 한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어느 하나의 RF 컨택트(330)는 좌측의 쉴드 벽(110) 및 쉴드 컨택트(32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다른 하나의 RF 컨택트(330)는 우측의 쉴드 벽(110) 및 쉴드 컨택트(32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또한, RF 컨택트(330)의 Y축 방향은 쉴드 벽(110)에 의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의 수평 방향의 각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이 모두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에서 전송되는 RF 신호의 교란이 최소화될 수 있다.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결합부(23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330)와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인서트 몰딩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컨택트(330)는 RF 접촉부(331), RF 연장부(332), RF 안착부(333), RF 경사부(334) 및 RF 실장부(335)를 포함한다.
RF 접촉부(331)는 RF 컨택트(330)가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 RF 컨택트(도면 부호 미부여)와 접촉, 통전되는 부분이다. RF 접촉부(331)는 RF 컨택트 결합부(233)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의 일 측(즉, 상측)으로 노출된다.
RF 연장부(332)는 RF 접촉부(331)와 RF 안착부(333)를 연결한다. RF 연장부(332)는 RF 접촉부(331)와 RF 안착부(333) 사이에서 연장된다.
RF 연장부(332)는 RF 안착부(333)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연장부(332)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RF 안착부(333)와 직각을 이루게 형성된다.
RF 연장부(33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연장부(332)의 Z축 방향의 일 측, 즉 하측이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의해 지지된다.
RF 안착부(333)는 RF 컨택트(330)가 RF 컨택트 안착 면(233b)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RF 안착부(333)는 RF 컨택트 안착 면(233b)에 의해 지지된다.
RF 안착부(333)는 RF 연장부(332) 및 RF 경사부(334)와 각각 연속된다. RF 안착부(333)는 RF 연장부(332) 및 RF 경사부(334) 사이에서 연속된다.
RF 안착부(333)는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안착부(333)는 X축 방향을 따라 편평하게 연장된다.
RF 안착부(333)는 소정의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RF 안착부(333)의 상면은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에 비해 높게 위치될 수 있다. RF 안착부(333)의 상면과 절연 부재 내측 하면(202) 사이의 거리는 제2 높이(h2)로 정의될 수 있다(도 18 참조).
RF 경사부(334)는 RF 안착부(333)와 RF 실장부(335)를 연결한다. RF 경사부(334)는 RF 안착부(333) 및 RF 실장부(335)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때, RF 안착부(333)에서 이어지는 경사부(334)와 상기 경사부(334)에서 이어지는 RF 실장부(335)는 전체적으로 Z 형상을 이룰 수 있다.
RF 경사부(334)는 RF 안착부(333) 또는 RF 실장부(335)에 대해 소정의 각도(a)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각도(a)는 둔각일 수 있다.
RF 경사부(334)는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RF 경사부(334)는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의 X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따라서, PCB 패턴 수용 공간(240)으로 유입된 PCB 패턴을 위한 물질은 RF 경사부(334)와도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RF 실장부(335)는 RF 컨택트(330)가 PCB 패턴 부재(미도시)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RF 실장부(335)는 절연 부재(2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노출된다. RF 실장부(335)는 RF 컨택트(330)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다. RF 실장부(335)는 RF 경사부(334)에 의해 RF 안착부(333)와 연속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가 단면으로 도시된다.
RF 컨택트(330)는 X축 방향을 따라 쉴드 컨택트(320)를 사이에 두고 신호 컨택트(31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RF 컨택트(330)와 신호 컨택트(310)는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안착 면(233b)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때, RF 컨택트(330)는 RF 컨택트 지지 벽(233c)에 의해 지지되어 임의 요동은 방지되되,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한,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RF 실장부(335)의 하면과 제1 높이(h1)만큼의 단차를 갖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모듈 기판(미도시)에 실장되기 위해 구비되는 PCB 패턴 부재(미도시)의 일부는 PCB 패턴 수용 공간(240)으로 유입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모듈 기판(미도시)에 견고하게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커넥터 10: 리셉터클 커넥터
20: 플러그 커넥터 100: 쉴드 부재
110: 쉴드 벽 120: 쉴드 개구부
200: 절연 부재 201: 절연 부재 외측 하면
202: 절연 부재 내측 하면 210: 쉴드 부재 결합부
211: 플러그 지지 면 220: 검사 개구부
230: 절연 컬럼 부재 231: 신호 컨택트 결합부
232: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 233: RF 컨택트 결합부
233a: RF 컨택트 수용 공간 233b: RF 컨택트 안착 면
233c: RF 컨택트 지지 벽 233ca: 제1 RF 컨택트 지지 벽
233cb: 제2 RF 컨택트 지지 벽 233cc: 제3 RF 컨택트 지지 벽
240: PCB 패턴 수용 공간 300: 컨택트 부재
310: 신호 컨택트 311: 신호 접촉부
312: 신호 연장부 313: 신호 만곡부
314: 신호 실장부 315: 신호 커팅부
320: 쉴드 컨택트 321: 쉴드 암
322: 쉴드 접촉부 323: 쉴드 결합 돌기
324: 제1 쉴드 보강 면 325: 제2 쉴드 보강 면
330: RF 컨택트 331: RF 접촉부
332: RF 연장부 333: RF 안착부
334: RF 경사부 335: RF 실장부
h1: 제1 높이 h2: 제2 높이
w1: 제1 폭 w2: 제2 폭
sw1: 제1 쉴드 폭 sw2: 제2 쉴드 폭
a: 각도

Claims (13)

  1.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택트 부재(300); 및
    상기 컨택트 부재(300)와 결합되며, 제1 방향의 길이, 제2 방향의 폭 및 제3 방향의 높이를 갖고,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절연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부재(30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되고, RF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되는 RF 컨택트(330);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RF 컨택트(33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RF 컨택트(330)를 전자적으로 차폐하게 구성되는 쉴드 컨택트(320)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 컨택트(320)는,
    상기 RF 컨택트(330)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RF 컨택트(3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쉴드 보강 면(324, 325)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200)는,
    상기 RF 컨택트(330)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지지하는 RF 컨택트 결합부(233)를 포함하며,
    상기 RF 컨택트 결합부(233)의 부분 중 상기 RF 컨택트(330)를 상기 제3 방향에서 지지하는 일 부분은, 상기 절연 부재(200)의 최하측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200)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연 컬럼 부재(230); 및
    상기 절연 컬럼 부재(230)의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쉴드 컨택트(320)를 수용하는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을 포함하며,
    상기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상기 절연 컬럼 부재(230)에 위치되며, 상기 쉴드 컨택트 수용 공간(232)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되는 신호 컨택트(310)를 마주하게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 컨택트 결합부(233)는,
    상기 절연 컬럼 부재(230)의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RF 컨택트(330)를 수용하는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
    상기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는 RF 컨택트 안착 면(233b); 및
    상기 RF 컨택트 수용 공간(233a)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RF 컨택트(330)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지지하는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을 포함하며,
    상기 RF 컨택트 안착 면(233b)은,
    상기 절연 부재(200)의 바닥면과 제1 높이(h1)만큼 이격되게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200)는,
    상기 제1 높이(h1)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RF 컨택트(33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외부와 연통되는 PCB 패턴 수용 공간(240)을 포함하며,
    상기 PCB 패턴 수용 공간(240)에는, 상기 RF 컨택트(330)를 실장하는 PCB 패턴이 수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상기 RF 컨택트(33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게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 컨택트 지지 벽(233c)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는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과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의 일 측에서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는 제2 RF 컨택트 지지 벽(233cb);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RF 컨택트 지지 벽(233ca)과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의 타 측에서 상기 RF 컨택트(330)를 지지하는 제3 RF 컨택트 지지 벽(233cc)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컨택트(330)는,
    플러그 커넥터(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RF 접촉부(331);
    상기 RF 접촉부(331)와 연속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RF 연장부(332);
    상기 RF 연장부(332)와 연속되며, 상기 절연 부재(200)에 안착되는 RF 안착부(333);
    상기 RF 안착부(333)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RF 경사부(334); 및
    상기 RF 경사부(334)와 연속되며, PCB 패턴에 실장되는 RF 실장부(335)를 포함하며,
    상기 RF 안착부(333), 상기 RF 경사부(334) 및 상기 RF 실장부(335)는 Z자 형태로 연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RF 컨택트(33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게 구성되는 신호 컨택트(31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컨택트(310)는,
    상기 절연 부재(200)에 안착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신호 연장부(312);
    상기 신호 연장부(312)와 연속되며, 상기 절연 부재(200)의 외부에 노출되어 PCB 패턴과 결합되는 신호 실장부(314);
    상기 신호 연장부(312) 및 상기 신호 실장부(314) 사이에서 만곡되게 연장되는 신호 만곡부(313); 및
    상기 신호 만곡부(313)의 면 중 상기 제1 방향의 각 면에 형성되며, 상기 신호 실장부(314)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신호 커팅부(315)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만곡부(313)는,
    상기 신호 연장부(312)와 연결되는 부분은 제1 폭(w1)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신호 실장부(314)와 연결되는 부분은 제2 폭(w2)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폭(w1)은 상기 제2 폭(w2) 이상으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컨택트(32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연 부재(200)와 결합되는 쉴드 암(321); 및
    상기 쉴드 암(321)과 연속되고, 플러그 커넥터(20)와 접촉되어 함께 접지(ground)를 구성하는 쉴드 접촉부(322)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200)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연 컬럼 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 접촉부(322)는 상기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절연 컬럼 부재(230)를 상기 제2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리셉터클 커넥터(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보강 면(324, 325)은, 상기 쉴드 접촉부(322)와 연속되고, 상기 절연 컬럼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절연 컬럼 부재(230)를 상기 제3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리셉터클 커넥터(10).
KR1020230074747A 2022-11-04 2023-06-12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64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0501 WO2024096256A1 (ko) 2022-11-04 2023-07-20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231 2022-11-04
KR20220146231 2022-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508A true KR20240064508A (ko) 2024-05-13

Family

ID=9107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747A KR20240064508A (ko) 2022-11-04 2023-06-12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45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145B (zh) 對接的第一連接器及第二連接器
US7179127B2 (en) Connector minimized in cross-talk and electrical interference
US7549882B2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US6540564B1 (en) Connector assembly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CN100576657C (zh) 电转接器及其组件
EP2184810B1 (en) Board connector
US7077668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2008013905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5860814A (en) Electric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0904604B1 (ko)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또는 소형 전자기기
US7059907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20120252276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contacts having shared soldering tail
JP5328986B2 (ja) 一体型のシールドされたコネクタ
KR20220155901A (ko) 커넥터 조립체
US5779498A (en) Flat cable connector
KR20210054449A (ko) 기판 커넥터
KR20240064508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69847B1 (ko)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CN113994545B (zh) 连接器
CN113169485B (zh) 连接器部件以及连接器组
JP4498276B2 (ja) 細線同軸コネクタ
KR10255630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1133630B1 (ko)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66982A (ko)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