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821A -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821A
KR20220138821A KR1020220041662A KR20220041662A KR20220138821A KR 20220138821 A KR20220138821 A KR 20220138821A KR 1020220041662 A KR1020220041662 A KR 1020220041662A KR 20220041662 A KR20220041662 A KR 20220041662A KR 20220138821 A KR20220138821 A KR 2022013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ground pattern
connector
shel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3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제1축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접속패턴, 및 상기 기판에 결합된 쉘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쉘을 향하도록 배치된 패턴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쉘과 상기 패턴지지면 사이에는 상대커넥터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패턴들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대커넥터의 컨택트에 직접 접속되도록 상기 패턴지지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기판 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기판에 결합된 기판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기판과 상대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들은 필요에 따라 전자기기 내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RF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모듈로 구현된 기판이 RF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메인보드로 구현된 상대기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판과 상기 상대기판은 RF신호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컨택트(11), 상기 컨택트(11)가 결합된 절연부(12), 상기 절연부(12)에 결합된 쉘(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11)는 상대커넥터(20)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11)는 기판(미도시)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대커넥터(2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과 상기 상대커넥터(20)가 실장된 상대기판(미도시)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대커넥터(20)는 상대컨택트(21), 상기 상대컨택트(21)가 결합된 상대절연부(22), 상기 상대절연부(22)가 결합된 상대쉘(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컨택트(21)는 상기 상대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컨택트(1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과 상기 상대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를 통해 상대커넥터(20)의 상대컨택트(21)에 접속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가 수반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상기 컨택트(11)가 갖는 크기와 무게로 인해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컨택트(11)를 기판에 지지하기 위한 절연부(12)가 수반되므로, 절연부(12)가 갖는 크기와 무게로 인해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더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4와 같이 기판(100A)과 상기 상대기판(200A)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상기 상대커넥터(20)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기판들(100A, 20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20)와 조립을 통해 접속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기판들(100A, 200A)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상대커넥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roard)(30)이 수반된다.
그러나,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보다 단가가 더 높기 때문에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기판들(100A, 20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이 갖는 크기와 무게로 인해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컨택트와 절연부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제품의 경량화와 소형화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기판; 제1축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접속패턴; 및 상기 기판에 결합된 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쉘을 향하도록 배치된 패턴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과 상기 패턴지지면 사이에는 상대커넥터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들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대커넥터의 컨택트에 직접 접속되도록 상기 패턴지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속패턴이 컨택트를 통하지 않고 상대커넥터에 직접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가 수반됨에 따라 발생하는 제조비용을 경감하고,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의 패턴지지면을 이용하여 접속패턴을 지지함으로써 절연부가 수반됨에 따라 발생하는 제조비용을 경감하고,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기판들을 커넥터간 삽입을 통해 결합시키도록 구현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이 수반됨에 따라 발생하는 제조비용을 경감하고,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쉘의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I-I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II-II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0은 도 8의 III-III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복수개의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들은 인쇄회로기판(PCB, Pri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및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가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로 규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로 규정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기판(210), 접속패턴(220), 및 쉘(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상대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판(210)은 상대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판(210)과 상대기판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모듈, 또는 안테나모듈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메인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판(210)이 안테나모듈로 구현된 경우, 상대기판은 메인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판(210)이 메인보드로 구현될 경우, 상대기판은 안테나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은 상대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패턴(22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들은 상대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전원신호, 데이터신호, RF신호 등을 송수신하거나, 접지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은 상대커넥터의 컨택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쉘(230)은 상기 기판(21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쉘(230)은 상기 기판(210)에 결합되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접속패턴(220)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쉘(230)은 상기 접속패턴(220)들로부터 상기 쉘(230)의 외부로 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대커넥터는 상기 쉘(230) 내부로 삽입되어서 상기 접속패턴(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상기 쉘(230)을 향하도록 배치된 패턴지지면(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지지면(211)은 상기 접속패턴(220)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패턴(220)들은 상기 패턴지지면(211)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쉘(230)이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패턴지지면(211)은 상기 기판(210)의 하면(下面)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쉘(230)이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패턴지지면(211)은 상기 기판(210)의 상면(上面)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쉘(230)과 상기 패턴지지면(211) 사이에는 상대커넥터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들은 상기 삽입홈(240)에 삽입된 상대커넥터에 직접 접속되도록 상기 패턴지지면(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속패턴(220)들이 상기 패턴지지면(211)에 결합되어서 상대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대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별도의 컨택트를 생략함으로써, 제조비용을 경감하고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속패턴(220)이 컨택트를 거치지 않고 상대커넥터에 직접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컨택트를 통해 접속패턴과 상대커넥터를 간접적으로 접속시키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대커넥터에 대한 접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속패턴(220)들이 상기 기판(210)의 패턴지지면(211)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를 지지하는 절연부의 역할을 상기 기판(210)의 패턴지지면(211)이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컨택트를 지지하기 위한 절연부를 생략함으로써 제조비용을 경감하고,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넷째,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연성회로기판을 수반하지 않고도 상기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대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도 14와 같이 제1기판(100A)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이므로, 제1기판(100A)과 제2기판(200A)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 또한 상대커넥터(2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대커넥터(20)와 조립을 통한 접속이 제한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상대커넥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30)이 수반되는 구조이다. 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기판(210)과 상대기판(340)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패턴지지면(211)이 상기 상대커넥터(30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기판(210)과 상기 상대기판(340)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210)이나 상기 상대기판(340)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평행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300)가 상기 삽입홈(240)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기판(210)이 제2축방향(Y축 방향)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기판(340)이 높이방향(Z축 방향)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커넥터(300)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삽입홈(240) 내부로 삽입되고,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삽입홈(2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대커넥터(300)와의 조립을 통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기판들(210, 340)을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연성회로기판이 수반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경감하고, 연성회로기판이 갖는 크기와 무게로 인해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판(210), 상기 접속패턴(220), 및 상기 쉘(23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기판(210)은 상대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판(2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판(210)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모듈, 또는 안테나모듈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메인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상기 패턴지지면(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지지면(211)은 상기 쉘(230)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이다. 상기 기판(210)은 상기 패턴지지면(211)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패턴(220)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기판(210)의 내부에는 상기 패턴지지면(211)에 결합된 상기 접속패턴(220)에 연결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은 상기 기판(21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커넥터는 상기 접속패턴(22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210)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얇은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은 상대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패턴(22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접속패턴(22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패턴(220)은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대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230)은 상기 기판(21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쉘(230)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210)의 하측 또는 상기 기판(210)의 상측에서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230)이 상기 기판(210)의 하측에서 상기 기판(2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패턴지지면(211)은 상기 기판(210)의 하면일 수 있다. 상기 쉘(230)이 상기 기판(210)의 상측에서 상기 기판(2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패턴지지면(211)은 상기 기판(210)의 상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쉘(230)이 상기 기판(210)의 상측에서 상기 기판(210)에 결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으나, 이로부터 상기 쉘(230)이 상기 기판(210)의 하측에서 상기 기판(210)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쉘(230)과 상기 패턴지지면(211) 사이에는 상대커넥터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230)은 상기 삽입홈(240)을 통해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도록 전방(前方)이 개방되어서 상기 삽입홈(240)을 외부공간과 연결시킬 수 있다. 상대커넥터는 상기 쉘(230)의 전방을 통해 상기 삽입홈(240)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패턴지지면(211)에 결합된 접속패턴(220)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쉘(230)은 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쉘(230)은 상기 삽입홈(240)의 후방(後方), 좌측방(左側方), 우측방(右側方), 및 상방(上方)을 각각 차폐함으로써 상기 삽입홈(240)의 사방(四方)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쉘(2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방과 우측방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일방향과 타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일방향과 타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로부터 상기 상대커넥터가 분리되는 방향이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은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이고, 상기 후방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 모두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과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방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210)에서 상기 쉘(23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하방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방에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접지패턴(250,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패턴(250)은 상기 쉘(230)을 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쉘(230)은 상기 접지패턴(250)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쉘(230)은 상기 기판(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패턴(250)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쉘(230)의 차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패턴(250)은 상기 기판(210) 내부의 접지를 위한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쉘(230)은 상기 접지패턴(25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210) 내부의 접지를 위한 회로에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접지패턴(250)은 제1서브접지패턴(251, 도 5에 도시됨), 제2서브접지패턴(252, 도 5에 도시됨), 및 제3서브접지패턴(253,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및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은 상기 쉘(230)을 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은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과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및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은 전체적으로 디귿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쉘(230)은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및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쉘(230)은 좌방, 우방, 상방, 및 후방을 차폐함으로써 사방(四方)차폐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쉘(230)은 쉘본체(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본체(231)는 상기 쉘(230)의 전체적은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쉘본체(231)는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231)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홈(2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231)는 제1차폐벽(2311, 도 4에 도시됨), 제2차폐벽(2312, 도 4에 도시됨), 제3차폐벽(2313, 도 4에 도시됨), 및 제4차폐벽(2314,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2311), 및 상기 제2차폐벽(2312)은 좌방차폐와 우방차폐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차폐벽(2311)과 상기 제2차폐벽(231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폐벽(2311)은 상기 삽입홈(240)의 좌측에, 상기 제2차폐벽(2312)은 상기 삽입홈(24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2312)이 상기 삽입홈(240)의 우측에, 상기 제2차폐벽(2312)이 상기 삽입홈(240)의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제1차폐벽(2311)이 상기 삽입홈(240)의 좌측에, 상기 제2차폐벽(2312)이 상기 삽입홈(240)의 우측에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제1차폐벽(2311)은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차폐벽(2311)은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에 의해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240)의 좌방을 가리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차폐벽(2311)은 상기 삽입홈(240)으로부터 좌방으로 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좌방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벽(2312)은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차폐벽(2312)은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에 의해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240)의 우방을 가리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차폐벽(2311)은 상기 삽입홈(240)으로부터 우방으로 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우방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벽(2313)은 후방차폐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차폐벽(231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240)의 후방(I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벽(2313)은 도 6과 같이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차폐벽(2313)은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에 의해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240)의 후방을 가리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차폐벽(2313)은 상기 삽입홈(240)으로부터 후방으로 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후방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4차폐벽(2314)은 상방차폐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4차폐벽(2314)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240)의 상방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차폐벽(2314)은 상기 제1차폐벽(2311), 상기 제2차폐벽(2312), 상기 제3차폐벽(2313), 및 상기 제4차폐벽(23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차폐벽(2314)은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차폐벽(2314)은 상기 삽입홈(240)으로부터 상방으로 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방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2311), 상기 제2차폐벽(2312), 상기 제3차폐벽(2313), 및 상기 제4차폐벽(23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쉘본체(231)는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및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차폐벽(2311), 상기 제2차폐벽(2312), 상기 제3차폐벽(2313), 및 상기 제4차폐벽(2314)이 상기 삽입홈(240)의 좌방, 상기 삽입홈(240)의 우방, 상기 삽입홈(240)의 상방 및 상기 삽입홈(240)의 후방을 차폐하는 사방(四方)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패턴(250)은 제4서브접지패턴(254, 도 5에 도시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은 상대커넥터를 접지시킴으로써 전방(前方) 차폐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전방은 상기 후방에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후방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상기 전방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전방(SD 화살표 방향)과 상기 후방(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의 전방(S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의 일측은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에 연결되고,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의 타측은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은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을 통해 상기 제1차폐벽(2311)에 연결되고,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을 통해 상기 제2차폐벽(231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 상기 제1차폐벽(2311), 상기 제2차폐벽(2312), 및 상기 제4차폐벽(2314)을 통해 폐쇄된 접지루프(GR1, 도 9에 도시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0)에 삽입된 상대커넥터의 상대쉘은 하면이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에 접촉되고, 양측면이 상기 제1차폐벽(2311), 및 상기 제2차폐벽(2312)에 접촉되며 상면이 상기 제4차폐벽(2314)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접지루프(GR1)를 따라 상대커넥터의 상대쉘이 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대커넥터와 결합됨으로써 이중차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고하면 상대커넥터의 상대쉘이 상기 접지루프(GR1)를 따라 접지됨으로써, 상대커넥터의 상대쉘 또한 폐쇄된 상대접지루프(GR2)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을 통해 폐쇄된 접지루프(GR1)를 형성하고, 상대커넥터의 상대쉘 또한 폐쇄된 상대접지루프(GR2)를 형성함으로써 이중차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을 통해 상대커넥터의 상대쉘의 하면을 접지시킴으로써 하방으로 신호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삽입홈(240)을 기준으로 후방(後方), 좌측방(左側方), 우측방(右側方), 및 상방(上方)에 대한 차폐에 더하여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을 통해 하방(下方)차폐를 구현함으로써 차폐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 및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은 상기 접속패턴(220)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 및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은 전체적으로 미음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접지패턴(250)은 제1구획접지패턴(255), 및 제2구획접지패턴(2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접지패턴(255)은 상기 접속패턴(220)들 중에서 제1RF패턴(221)을 다른 접속패턴(220)들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구획접지패턴(256)은 상기 접속패턴(220)들 중에서 제2RF패턴(222)을 다른 접속패턴(220)들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RF패턴(221)과 상기 제2RF패턴(222)은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RF패턴(221)과 상기 제2RF패턴(22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나머지 접속패턴(22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RF패턴(221)과 상기 제2RF패턴(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접지패턴(255)은 상기 제1RF패턴(221)과 상기 제1RF패턴(221)에 인접한 접속패턴(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획접지패턴(256)은 상기 제2RF패턴(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구획접지패턴(255)을 이용해 상기 제1RF패턴(221)을 다른 접속패턴(220)들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제1RF패턴(221)에 의한 RF신호가 다른 접속패턴(220)들에 의한 신호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구획접지패턴(256)을 이용해 상기 제2RF패턴(222)을 다른 접속패턴(220)들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제2RF패턴(222)에 의한 RF신호가 다른 접속패턴(220)들에 의한 신호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RF신호가 다른 신호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RF신호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RF패턴(221)과 상기 제2RF패턴(222) 사이에 배치된 다른 접속패턴(220)들은 복수개의 신호패턴(223)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패턴(223)들은 상대커넥터가 갖는 컨택트에 연결되어서 전원(power), 데이터(data) 등과 같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상기 제1RF패턴(22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신호패턴(223)들의 좌측에, 상기 제2RF패턴(22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신호패턴(223)들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접지패턴(255)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접지패턴(255)은 일측이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접지패턴(256)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구획접지패턴(256)은 일측이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쉘(230)은 쉘본체(231)에 형성된 접지홈(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홈(232)은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에 형성된 접지돌출부(332)를 삽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지홈(232)은 상기 쉘본체(23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231)의 내면은 상기 삽입홈(240)을 향하는 면(面)이다. 상기 접지홈(232)은 상기 쉘본체(231)의 내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Groov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지홈(232)에는 상기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에 형성된 접지돌출부(332)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커넥터(300)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삽입홈(240)으로 삽입되면, 상기 접지홈(232)은 상기 삽입홈(240)에 삽입된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에 형성된 접지돌출부(332)를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홈(232)을 통해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에 형성된 접지돌출부(332)와 걸림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대하우징(330)이 상기 쉘(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대커넥터(300)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쉘(230)과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 간의 접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대하우징(330)에 대한 접지유지력을 향상시켜 차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에 형성된 접지돌출부(332)가 상기 접지홈(232)에 삽입되는 과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과 같이 상대커넥터(300)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은 상기 삽입홈(240)으로 삽입된다.
다음, 상대커넥터(300)가 상대하우징(330)이 상기 삽입홈(24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8과 같이 상대하우징(330)의 상대하우징본체(331)에 형성된 접지돌출부(332)는 상기 접지홈(232)에 삽입됨으로써 걸림구조를 형성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홈(232)은 좌측접지홈(2321), 우측접지홈(2322), 및 상측접지홈(2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접지홈(2321)은 상기 제1차폐벽(231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접지홈(2321)은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에서 상기 제1차폐벽(2311)과 접촉되는 상대차폐벽(3311)의 좌측접지돌출부(3321)를 삽입시킴으로써 걸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우측접지홈(2322)은 상기 제2차폐벽(2312)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접지홈(2322)은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에서 상기 제2차폐벽(2312)과 접촉되는 상대차폐벽(3312)의 우측접지돌출부(3322)를 삽입시킴으로써 걸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측접지홈(2323)은 상기 제4차폐벽(2314)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접지홈(2323)은 상대커넥터(300)의 상대하우징(330)에서 상기 제4차폐벽(2312)과 접촉되는 상대차폐벽(3314)의 상측접지돌출부(3323)를 삽입시킴으로써 걸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접지홈(232)은 상대커넥터의 접지돌출부의 개수에 대응하여 추가적인 접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고정부(260,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60)는 상기 기판(210)과 상기 쉘(2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260)는 상기 쉘(230)과 상기 접지패턴(250) 사이에서 납땜형성되어서 상기 쉘(230)을 상기 기판(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260)는 상기 제1차폐벽(2311)과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차폐벽(2312)과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3차폐벽(2313)과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쉘(2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고정부(260)를 이용하여 상기 쉘(230)을 상기 기판(210)에 고정시킴에 더하여 상기 고정부(260)를 납땜형성함으로서 상기 쉘(230)이 상기 고정부(260)를 통해 상기 접지패턴(250)에 접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고정부(260)를 이용하여 상기 쉘(230)을 상기 기판(210)에 고정하는 작업과 상기 쉘(230)을 접지시키는 작업을 통합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
도 2,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컨택트(310), 절연부(320), 및 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310)는 상대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310)는 기판(340)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대커넥터의 접속패턴이나 상대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20)는 상기 컨택트(31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20)는 상기 하우징(3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310)는 상기 기판(340)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부(320)에 의해 지지된 부분을 통해 상대커넥터의 접속패턴이나 상대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310)는 실장부(311), 가동접속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311)는 상기 기판(34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장부(311)는 상기 절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대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기 절연부(3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기 실장부(311)로부터 하측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기 실장부(3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기 실장부(3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3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택트(310)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20)는 절연본체(321), 가동홀(322), 및 격벽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본체(321)는 상기 실장부(31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컨택트(310)는 상기 실장부(311)가 상기 절연본체(32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부(3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절연본체(321)는 상기 기판(3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홀(322)은 상기 가동접속부(312)의 이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기 가동홀(322)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실장부(3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가동접속부(312)가 상기 가동홀(322)을 통해 상기 절연본체(321)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도 13과 같이 상기 가동접속부(312)가 상기 가동홀(322)을 통해 상기 절연부(32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절연부(3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접속부(312)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홀(322)을 통해 상기 절연부(32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가동접속부(312)를 이용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갖는 상대기판(210)에 결합된 상대접속패턴(220)에 직접 접속되는 경우 상기 가동접속부(312)나 상대접속패턴(220)이 오정렬되거나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충격으로 인해 상기 컨택트(310)나 상대접속패턴(220)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와 결합되면,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기 상대접속패턴(220)에 가압됨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충격력을 줄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컨택트(310)가 상기 절연부(320)에 이동 불가능하게 결합된 비교예의 경우, 상기 컨택트(310)가 상기 상대접속패턴(220)에 가압되면 충격력을 모두 전달받음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는 상대접속패턴(220)과 오정렬되거나,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더 심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가동접속부(312)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가동접속부(312)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가동접속부(312)를 이용하여 상기 컨택트(3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홀(322)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홀(322)은 상기 컨택트(310)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310)들은 상기 가동홀(322)들에 대해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재(323)는 상기 절연본체(32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하측방향은 상기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20)로부터 상기 기판(34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격벽부재(323)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재(32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재(323)들 사이에는 상기 가동홀(32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홀(322)은 상기 격벽부재(323)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동홀(322)들은 상기 절연본체(3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기 절연본체(321)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홀(322)을 통해 상기 절연부(320)의 하측 상기 격벽부재(323)들은 상기 가동홀(322)들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공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속부(312)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이동함에 따라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격벽부재(323)를 통해 상기 가동접속부(312)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30)은 상기 절연부(32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하우징(330)은 상기 절연부(3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절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3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33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30)은 상대커넥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30)은 상대커넥터의 상대쉘에 접촉함에 따라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30)은 내부의 신호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30)은 하우징본체(331), 및 접지돌출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331)는 상기 하우징(33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본체(331)는 상기 절연부(3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절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돌출부(332)는 상기 하우징본체(33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접지돌출부(332)는 상기 하우징본체(33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하우징본체(331)가 상대커넥터의 상대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대쉘에 형성된 접지홈 내부로 삽입되어서 걸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지돌출부(332)를 이용하여 상대커넥터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상대커넥터의 상대쉘에 의한 접지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의 접지돌출부(332)가 상대커넥터의 접지홈에 삽입되는 과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과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상대커넥터(200)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상대커넥터(200)의 상대삽입홈(240)으로 상기 하우징(330)이 삽입된다.
다음,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상대커넥터(200)의 상대삽입홈(24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8과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331)에 형성된 접지돌출부(332)는 상대커넥터(200)의 접지홈(232)에 삽입됨으로써 걸림구조를 형성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본체(331)는 제1차폐벽(3311), 제2차폐벽(3312), 제3차폐벽(3313), 및 제4차폐벽(3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3311), 및 상기 제2차폐벽(3312)은 좌방차폐와 우방차폐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차폐벽(3311)과 상기 제2차폐벽(3312)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폐벽(3311)은 상기 절연부(320)의 좌측에, 상기 제2차폐벽(3312)은 상기 절연부(32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3312)이 상기 절연부(320)의 우측에, 상기 제2차폐벽(3312)이 상기 절연부(320)의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제1차폐벽(3311)이 상기 절연부(320)의 좌측에, 상기 제2차폐벽(3312)이 상기 절연부(320)의 우측에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제3차폐벽(3313), 및 상기 제4차폐벽(3314)은 상방차폐와 하방차폐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차폐벽(3313)과 상기 제4차폐벽(331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제3차폐벽(3313)은 상기 절연부(320)의 하측에, 상기 제4차폐벽(3314)은 상기 절연부(3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벽(3313)은 상기 절연부(320)의 상측에, 상기 제4차폐벽(3314)은 상기 절연부(320)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제3차폐벽(3313)은 상기 절연부(320)의 하측에, 상기 제4차폐벽(3314)은 상기 절연부(320)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제4차폐벽(3314)은 상기 절연부(320)의 가동홀(322)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절연부(320)의 하면을 개방하
상기 제1차폐벽(3311), 상기 제2차폐벽(3312), 상기 제3차폐벽(3313), 및 상기 제4차폐벽(3314)은 각각 상기 절연부(320)의 좌방(左方), 우방(右方), 상방(上方), 및 하방(下方)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본체(331)는 상기 절연부(320)의 사방(四方)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3311), 상기 제2차폐벽(3312), 상기 제3차폐벽(3313), 및 상기 제4차폐벽(33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돌출부(3321)는 좌측접지돌출부(3321), 우측접지돌출부(3322), 및 상측접지돌출부(3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접지돌출부(3321)는 상기 제1차폐벽(331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접지돌출부(3321)는 상기 제1차폐벽(3311)의 외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접지돌출부(3321)는 상대커넥터(200)의 상대쉘(230)에서 상기 제1차폐벽(3311)과 접촉되는 상대차폐벽(2311)의 좌측접지홈(2321)에 삽입됨으로써 걸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우측접지돌출부(3322)는 상기 제2차폐벽(331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접지돌출부(3322)는 상기 제2차폐벽(3312)의 외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접지돌출부(3322)는 상대커넥터(200)의 상대쉘(230)에서 상기 제2차폐벽(3312)과 접촉되는 상대차폐벽(2312)의 우측접지홈(2322)에 삽입됨으로써 걸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측접지돌출부(3321)는 상기 제4차폐벽(3314)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접지돌출부(3321)는 상기 제4차폐벽(3314)의 외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접지돌출부(3321)는 상대커넥터(200)의 상대쉘(230)에서 상기 제4차폐벽(3314)과 접촉되는 상대차폐벽(2314)의 상측접지폼(2323)에 삽입됨으로써 걸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접지홈(232)은 상대커넥터의 접지홈의 개수에 대응하여 추가적인 접지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기판 커넥터
200 :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
210 : 기판 211 : 패턴지지면
220 : 접속패턴 230 : 쉘
240 : 삽입홈 250 : 접지패턴
251 : 제1서브접지패턴 252 : 제2서브접지패턴
253 : 제3서브접지패턴 254 : 제4서브접지패턴
255 : 제1구획접지패턴 256 : 제2구획접지패턴
300 :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
310 : 컨택트 311 : 실장부
312 : 가동접속부 320 : 절연부
321 : 절연본체 322 : 가동홀
330 : 하우징 340 : 기판

Claims (9)

  1. 기판(210);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접속패턴(220); 및
    상기 기판(210)에 결합된 쉘(230)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210)은 상기 쉘(230)을 향하도록 배치된 패턴지지면(211)을 포함하며,
    상기 쉘(230)과 상기 패턴지지면(211) 사이에는 상대커넥터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패턴(220)들은 상기 삽입홈(240)에 삽입된 상대커넥터의 컨택트에 직접 접속되도록 상기 패턴지지면(21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지지면(211)에는 접지패턴(250)이 결합되고,
    상기 쉘(230)은 상기 접지패턴(250)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패턴(25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서브접지패턴(252);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과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을 연결하는 제3서브접지패턴(253)을 포함하고,
    상기 쉘(230)은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 상기 제2서브접지패턴(252), 및 상기 제3서브접지패턴(253)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21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패턴(250)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3서브접지패턴(253)의 전방에 배치된 제4서브접지패턴(254)을 포함하고,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의 일측은 상기 제1서브접지패턴(251)에 연결되고, 상기 제4서브접지패턴(254)의 타측은 제2서브접지패턴(25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패턴(250)은 제1구획접지패턴(255), 및 제2구획접지패턴(25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패턴(220)들 중에서 제1RF패턴(221)과 제2RF패턴(22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RF패턴(221)에 인접한 접속패턴(220)과 상기 제1RF패턴(221) 사이에는 상기 제1구획접지패턴(255)이 배치되고, 상기 제2RF패턴(222)에 인접한 접속패턴(220)과 상기 제2RF패턴(222) 사이에는 상기 제2구획접지패턴(256)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230)은,
    쉘본체(231); 및
    상기 쉘본체(231)에 형성된 접지홈(232)을 포함하고,
    상기 쉘본체(231)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홈(240)이 배치되며,
    상기 접지홈(232)은 상기 삽입홈(240)을 향하도록 상기 쉘본체(231)의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7. 컨택트(310);
    상기 컨택트(310)를 지지하는 절연부(320); 및
    상기 절연부(320)에 결합된 하우징(330)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310)는,
    기판(340)에 실장되고, 상기 절연부(320)에 결합된 실장부(311); 및
    상기 절연부(3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대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가동접속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320)는 상기 가동접속부(312)의 이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가동홀(322)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접속부(312)는 상기 가동홀(322)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실장부(31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실장부(311)에 결합된 절연본체(321), 및 상기 절연본체(32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격벽부재(323)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홀(322)은 상기 격벽부재(323)들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연본체(321)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30)은 하우징본체(331), 및 상기 하우징본체(331)에 형성된 접지돌출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돌출부(332)는 상기 하우징본체(33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KR1020220041662A 2021-04-06 2022-04-04 기판 커넥터 KR20220138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665 2021-04-06
KR20210044665 2021-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821A true KR20220138821A (ko) 2022-10-13

Family

ID=8359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662A KR20220138821A (ko) 2021-04-06 2022-04-04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8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KR20210103940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0017A (ko) 기판 커넥터
US20230144353A1 (en) Board connector
KR100585938B1 (ko) 커넥터 하우징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셸을 갖는 커넥터
KR20220145277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27724A (ko) 커넥터
KR20210004774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220138821A (ko) 기판 커넥터
US20230104947A1 (en) Board connector
US20230056967A1 (en) Board connector
KR20220127736A (ko) 커넥터
KR20220021409A (ko) 기판 커넥터
US20240136745A1 (en) Connector
JP2023544424A (ja) コネクタ
US20240146006A1 (en) Connector
KR20220134447A (ko) 기판 커넥터
KR10255630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220126623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4426A (ko) 기판 커넥터
US11990701B2 (en)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shield
US20240128687A1 (en) Connector
US20240145998A1 (en) Board connector
CN116830399A (zh) 连接器
KR102538659B1 (ko) 밀리미터 웨이브용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