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968A -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968A
KR20210101968A KR1020200016605A KR20200016605A KR20210101968A KR 20210101968 A KR20210101968 A KR 20210101968A KR 1020200016605 A KR1020200016605 A KR 1020200016605A KR 20200016605 A KR20200016605 A KR 20200016605A KR 20210101968 A KR20210101968 A KR 20210101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isplay panel
display
electronic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송희
양병덕
이민우
신현창
허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968A/ko
Priority to PCT/KR2021/001130 priority patent/WO2021157950A1/ko
Priority to EP21751133.6A priority patent/EP4064267A4/en
Priority to US17/267,384 priority patent/US11468833B2/en
Priority to CN202180012356.5A priority patent/CN115053285A/zh
Priority to PCT/KR2021/001583 priority patent/WO2021158078A1/ko
Priority to EP21751065.0A priority patent/EP4080500A4/en
Priority to PCT/KR2021/001574 priority patent/WO2021158074A1/ko
Priority to CN202180012618.8A priority patent/CN115039168A/zh
Priority to US17/270,687 priority patent/US11403984B2/en
Publication of KR2021010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68A/ko
Priority to US17/882,492 priority patent/US11810505B2/en
Priority to US17/944,584 priority patent/US1168834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5Clearing or presetting the whole screen independently of waveforms, e.g. on power-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isplay driver IC),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및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stream)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nd th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다양한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120Hz)로 구동할 수 있다.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120Hz)가 높아지는 경우,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디스플레이(210))을 구동하는 리프레시 레이트를 변경하는 경우, 데이터 전압의 충전 시간 및/또는 방전 시간이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 저해 현상(예: 화면의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리프레시 레이트가 변경되는 경우, 화면의 휘도 및/또는 색 편차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isplay driver IC),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stream)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화면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서,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및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stream)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명령들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및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리프레시 레이트가 변경되는 경우, 화면의 휘도 및/또는 색 편차를 제어하는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리프레시 레이트가 변경되는 경우,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데 걸리는 스캔 시간을 유지하여, 화면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휘도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리프레시 레이트 및/또는 스캔 시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저해 현상(예: 깜빡임)이 없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DDI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시 레이트가 고속으로 변경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a 및 7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시 레이트가 저속으로 변경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경에 따른 휘도 편차를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환시의 제2 모드와 제3 모드의 전환을 나타낸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20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1))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2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310)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센서 허브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하는 모듈)(31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회로(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이하 'DDI', 314), 및 디스플레이 패널(316)(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2)는 전자 장치(3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클록(예: ECLK)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패킷들(data packets)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패킷은,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또는 데이터 활성화 신호(DE)를 포함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로세서(312)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입력받고,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데이터 활성화 신호(DE),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 및/또는 클록(예: PCLK)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록(PCLK)은 프로세서(312)로부터 입력된 클록(예: ECLK)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2) 및/또는 DDI(31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DDI(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I2C(inter-integrated circuit) 또는 CDP(compact display 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그래픽 메모리(graphic memory; 이하 'GRAM')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GRAM을 이용하여,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고, 프로세서(312)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GRAM은 프로세서(312)로부터 입력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쓰고(write), 쓰여진 데이터를 스캔 동작(scan operation)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GRAM은 듀얼 포트 D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16)은 DDI(314)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를 프레임(frame)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316)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패널,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16)은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저온폴리실리콘) 공정에 의해 제조된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16)은 예컨대, 게이트 라인들(예: 도 4의 게이트 라인들(G1-Gn))과 소스 라인들(예: 도 4의 소스 라인들(S1-Sm))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라인들에는 게이트 신호가 공급될 수 있고, 소스 라인들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에 대응하는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에 대응하는 신호는 DDI(314) 내부의 타이밍 컨트롤러(예: 도 4의 타이밍 컨트롤러(61))의 제어에 따라 소스 드라이버(예: 도 4의 소스 드라이버(63))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DDI(314) 및 디스플레이 패널(316)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을 참조하면, DDI(314)는 지정된 리프레시 레이트(또는, 프레임 레이트, 디스플레이 구동 속도)로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또는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를 디스플레이 패널(316)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타이밍 컨트롤러(61), 게이트 드라이버(62), 및 소스 드라이버(6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16)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 및 복수의 소스 라인들(S1-Sm)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픽셀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밍 컨트롤러(61)은 게이트 드라이버(62), 및/또는 소스 드라이버(63)의 동작을 위한 클럭 신호(예: PCLK)를 제공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62)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에 전압(예: VGH, VGL)을 인가하여, 스위칭 소자(미도시)를 구동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63)는 디지털 값으로 전송된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를 아날로그 값으로 변환하여, 픽셀들을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DI(314)는 프레임 단위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하, 스캔 시간) 동안, 게이트 드라이버(62)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을 순차적으로 스캔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62)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Gn) 각각을 스캔 하는 시간 동안 소스 드라이버(63)는 픽셀들(PX)에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에 대응하는 신호(이하, 데이터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DDI(예: 도 3의 DDI(314))는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성하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들(G1, G2, ..., Gn)에 대해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510-1, 510-2, ..., 510-n)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신호(510-1, 510-2, ..., 510-n)가 인가되는 동안, 데이터 신호(520-1, 520-2, ..., 520-n)에 의해 각각의 픽셀들(예: 도 4의 픽셀들(PX))이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라인(G1)에 스캔 신호(510-1)가 인가되고, 제1 게이트 라인(G1)에 포함된 픽셀들이 데이터 신호(520-1)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게이트 라인(G2), ..., 제n 게이트 라인(Gn) 각각에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510-2, ..., 510-n) 및 데이터 신호(520-2, ..., 520-n)가 인가되어, 각각의 게이트 라인들(G1, G2, ..., Gn)에 포함된 픽셀들이 발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신호(520-1, 520-2, ..., 520-n)는 디스플레이 패널(316)에서의 게이트 라인들(G1, G2, ..., Gn) 각각과 DDI(314)와의 거리 차이에 따라 신호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DDI(314)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제1 게이트 라인(G1)의 데이터 신호(520-1)는 RC 지연에 의해, 완만한 곡선 형태일 수 있다. DDI(314)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n 게이트 라인(Gn)의 데이터 신호(520-n)는 별도의 RC 지연 없는 직선 형태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데이터 신호의 형태가 게이트 라인의 위치에 따라 다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게이트 라인에 포함된 픽셀의 발광 시간은 DDI(314)에 설정된 리프레시 레이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레시 레이트가 60Hz로 설정된 경우, 각각의 픽셀의 발광 시간은 16.67ms(1/60)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리프레시 레이트가 120Hz로 설정된 경우, 각각의 픽셀의 발광 시간은 8.33ms(1/12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디스플레이 패널(316)에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데 걸리는 스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시간은 제1 게이트 라인(G1)에 스캔 신호(510-1)가 인가되고, 마지막 제n 게이트 라인(Gn)에 스캔 신호(510-n)이 인가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가지 이상의 리프레시 레이트로 가변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16)에서의 소모전류 증가, 발열, 및/또는 이미지 저해 현상(예: 깜빡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DDI(314)는 리프레시 레이트 및/또는 스캔 시간에 따라 다양한 동작 모드(또는 출력 모드)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DI(314)는 리프레시 레이트가 변경되는 경우 스캔 시간을 유지하거나, 리프레시 레이트가 유지되는 경우 스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DDI(314)는 리프레시 레이트 및 스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1 스캔 시간(예: 16.67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제1 모드,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제2 모드, 또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제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제1 모드에서, 제1 구동 전압 세트(VDDR(power supply voltage for logic) 1, VLIN(power supply voltage for analog) 1, 제1 게이트 전압H(VGH(high voltage)1), 제1 게이트 전압L(VGL(low voltage)1))로 동작할 수 있고, 제2 모드 및 제3 모드에서, 제2 구동 전압 세트(VDDR2, VLIN2), 제2 게이트 전압H(VGH2), 제2 게이트 전압L(VGL2))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제1 내지 제3 모드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감마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모드에 제1 감마값, 제2 모드에 제2 감마값, 제3 모드에 제3 감마값을 적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감마값에 의해 픽셀에서의 누설 전류값이 보상될 수 있고, 모드 사이의 휘도차를 개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의 제1 스캔 시간은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에 의해 결정되는 픽셀들의 제1 발광 시간(예: 16.67ms)과 같거나 짧을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 및 제3 모드의 제2 스캔 시간은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에 의해 결정되는 픽셀들의 제2 발광 시간(예: 8.33ms)과 같거나 짧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DDI(314)가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논의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시 레이트가 고속으로 변경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DDI(예: 도 3의 DDI(314))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1 스캔 시간(예: 16.67ms)의 제1 모드,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의 제2 모드 또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의 제3 모드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DDI(314)는 프로세서(312)로부터 모드 변경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에 포함되어 전달되거나,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와 별개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a의 제1 타이밍도(601)에서, DDI(314)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리프레시 레이트는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픽셀의 발광 시간(B1)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발광 시간은 제1 발광 시간(B1)(예: 16.67ms)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DDI(314)는 4개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Frame 1, Frame 2).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DDI(314)는 스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DDI(314)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에 대응하는 제1 스캔 시간(S1)(예: 16.67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DDI(314)는 제1 스캔 시간(S1)(예: 16.67ms) 보다 짧은 제2 스캔 시간(S2)(예: 8.33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캔 시간(S2)(예: 8.33ms)은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보다 큰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게이트 라인(G1)은 발광 시간이 제1 발광 시간(B1)(예: 16.67ms)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의 제n 게이트 라인(Gn)은 제1 게이트 라인(G1)에서의 제2 모드의 시작에 의해 발광 시간이 제1 발광 시간(B1) (예: 16.67ms) 보다 짧을 수 있다(B1_1). DDI(314)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서로 다른 감마값을 적용하여, 픽셀에서의 누설 전류값을 보상하고,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의 휘도차를 개선할 수 있다.도 6b의 제2 타이밍도(602)에서, DDI(도 3의 DDI(314))는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리프레시 레이트는 변경될 수 있고(예: 60Hz에서 120Hz로 변경), 이에 따라 각 픽셀의 발광 시간은 짧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 발광 시간은 제1 발광 시간(B1)(예: 16.67ms)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DDI(314)는 4개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Frame 1).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모드에서, 발광 시간는 제2 발광 시간(B2)(예: 8.33ms)로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2개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Frame 2, Frame 3).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DDI(314)는 스캔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모드 및 제3 모드에서, DDI(314)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에 대응하는 제2 스캔 시간(S2)(예: 8.33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리프레시 레이트와 스캔 시간의 변경에 의해 마지막 게이트 라인(예: 제n 게이트 라인(Gn))에 가까울수록, 픽셀들의 발광 시간(B1)(예: 16.67ms)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16)에 깜빡임이 시인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반면,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모드 변경시의 동작 특성이 유사할 수 있고, 화면상의 깜빡임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모드 변경시, DDI(316)는 감마값의 보정에 의해 휘도 차이를 낮출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시 레이트가 저속으로 변경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도시한다. 도 7a 및 7b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DDI(예: 도 3의 DDI(314))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1 스캔 시간(예: 16.67ms)의 제1 모드,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의 제2 모드 또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의 제3 모드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DDI(314)는 프로세서(312)로부터 모드 변경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에 포함되어 전달되거나, 디스플레이 데이터(RGB data)와 별개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a의 제1 타이밍도(701)에서, DDI(314)는 제3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리프레시 레이트는 변경될 수 있고(예: 120Hz에서 60Hz로 변경), 이에 따라 각 픽셀의 발광 시간은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모드에서, 발광 시간은 제2 발광 시간(B2)(예: 8.33ms)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모드에서, DDI(314)는 2개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Frame 1, Frame 2).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발광 시간은 제1 발광 시간(B1)(예: 16.67ms)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4개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Frame 3).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DDI(314)는 스캔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제3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DDI(314)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에 대응하는 제2 스캔 시간(S2)(예: 8.33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도 7b의 제2 타이밍도(702)에서, DDI(314)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리프레시 레이트는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픽셀의 발광 시간(B1)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발광 시간은 제1 발광 시간(B1)(예: 16.67ms)로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DDI(314)는 4개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Frame 1, Frame 2).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DDI(314)는 스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DDI(314)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에 대응하는 제2 스캔 시간(S2)(예: 8.33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DDI(314)는 제2 스캔 시간(S2)(예: 8.33ms)으로 보다 긴 제1 스캔 시간(S1)(예: 16.67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캔 시간(S1)(예: 16.67ms)은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 보다 작은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게이트 라인(G1)은 발광 시간이 제1 발광 시간(B1)(예: 16.67ms)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의 제n 게이트 라인(Gn)은 제1 게이트 라인(G1)에서의 제1 모드의 시작에 의해 발광 시간이 제1 발광 시간(B1)(예: 16.67ms) 보다 길 수 있다(B1_2). DDI(314)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서로 다른 감마값을 적용하여, 픽셀에서의 누설 전류값을 보상하고,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의 휘도차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변경 되는 경우, 스캔 시간의 변경에 따른 화면 깜빡임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 이미지, 알파 레이어, 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경에 따른 휘도 편차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DDI(예: 도 3의 DDI(314))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1 스캔 시간(예: 16.67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제1 모드,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제2 모드, 또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제3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성하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예: 도 4의 게이트 라인들(G1, G2, ..., Gn))에 대해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810a)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신호(810a)가 인가되는 동안, 데이터 신호(820a)에 의해 각각의 픽셀이 충전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성하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에 대해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810c)가 인가될 수 있다.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데이터 신호(820c)에 의해 각각의 픽셀이 충전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리프레시 레이트와 스캔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시간의 경우, 제1 모드에서 스캔 신호(810a)는 제1 활성화 구간(T1)을 가질 수 있고, 제3 모드에서 스캔 신호(810c)는 제1 활성화 구간(T1)보다 짧은 제2 활성화 구간(T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픽셀에서의 휘도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래프(801)에서, 제1 게이트 라인(G1)에서의 모드 변경 전후의 휘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가장 클 수 있고, 제n/2 게이트 라인(Gn/2), 또는 제n 게이트 라인(Gn)에서의 모드 변경 전후의 휘도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60) 전체적으로, 휘도 차이가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화면 깜빡임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 이미지, 알파 레이어, 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2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성하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에 대해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810b)가 인가될 수 있다.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데이터 신호(820b)에 의해 각각의 픽셀이 충전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성하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에 대해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810c)가 인가될 수 있다.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데이터 신호(820c)에 의해 각각의 픽셀이 충전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리프레시 레이트는 변경되고, 스캔 시간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스캔 시간의 경우, 제2 모드에서 스캔 신호(810b)와 제3 모드에서 스캔 신호(810c)는, 제1 모드의 제1 활성화 구간(T1)보다 짧은 제2 활성화 구간(T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픽셀에서의 휘도 차이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그래프(802)에서, 제1 게이트 라인(G1), 중간 위치의 제n/2 게이트 라인(Gn/2), 마지막 위치의 제n 게이트 라인(Gn)에서의 휘도 차이가 크지 않고, 서로 유사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DDI(예: 도 3의 DDI(314))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1 스캔 시간(예: 16.67ms)의 제1 모드,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의 제2 모드 또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의 제3 모드 중 하나의 동작 모드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314)는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2))로부터 동작 모드의 설정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DI(예: 도 3의 DDI(314))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동작 모드로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10))는, DDI(예: 도 3의 DDI(314))와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2))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2))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10))에서 표시되는 데이터(예: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이미지의 종류 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모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2))는 사용자 입력(예: 스크롤 입력)의 발생 여부, 외부 조도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316)의 휘도 정보, OPR(on pixel ratio)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리프레시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DDI(314)는 프로세서(312)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stream)(예: 디스플레이 데이터)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DDI(314)는 설정된 동작 모드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환시의 제2 모드와 제3 모드의 전환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DDI(예: 도 3의 DDI(314))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1 스캔 시간(예: 16.67ms)의 제1 모드, 제1 리프레시 레이트(예: 6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의 제2 모드, 또는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 및 제2 스캔 시간(예: 8.33ms)의 제3 모드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16)이 구동되는 모드는 서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리프레시 레이트(예: 120Hz) 및 제1 스캔 시간(예: 16,67ms)의 제4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DI(314)는 프로세서(312)로부터 모드 변경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2)는 포어그라운드 (foreground)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실행되는 모드를 변경하도록 DDI(314)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윈도우 또는 팝업 윈도우와 같이 포어그라운드에서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경우에는 지정된 하나의 모드(예: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구동 되거나, 각 영역별(예: 멀티 윈도우 영역별)로 다른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2)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1, 미도시),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2, 1020), 제3 모드로 동작하는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3, 1030)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2, 1020)에는, 홈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고,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3, 1030)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2)는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2, 102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3, 103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DDI(314)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사이에는 스캔 시간이 동일할 수 있고, 설정된 구동 전압이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화면상의 깜빡임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모드 변경시, 감마값의 보정에 의해 휘도 차이를 낮출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2, 1020) 또는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Group3, 1030)의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로 실행되는 경우, 스캔 시간 및/또는 구동 전압의 차이로 인해 깜빡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미지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DI(314)는 휘도 차이가 발생하거나 깜빡임 시인되는 구간에 동기화하여 블랙 이미지, 알파 레이어, 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 또는, DDI(314)는 패널 위치별로 상이한 AOR(amoled off ratio) 값을 갖는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발광 소자를 켜는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캔 시간 변경에 따른 깜빡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DDI(314)는 블랙 이미지, 알파 레이어, 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생성할 때 패널 위치별로 상이한 AOR을 반영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예: 제1 모드 내지 제4 모드)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0의 모드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12))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가 심리스(seamless)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1101)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프로세서(312)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DDI(예: 도 3의 DDI(314))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2)는 사용자의 입력(1110)이 발생하여, 화면에 스크롤이 발생하는 경우,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DDI(314)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102)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프로세서(312)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DDI(314)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2)는 텍스트 입력을 위한 키보드 이미지(1120)를 표시하는 경우,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DDI(314)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사이에는 스캔 시간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설정된 구동 전압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화면상의 깜빡임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모드 변경시, 감마값의 보정에 의해 휘도 차이를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해, 깜빡임 없이 스크롤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키보드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2)는 제2 모드와 제3 모드의 심리스 구현 및 추가적인 소모전류 개선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6) 이외 구성들(예: AP, GUI, 또는 센서 등)의 설정도 가변하여 구동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20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2036) 또는 외장 메모리(20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0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20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3의 전자 장치(310))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display driver IC),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stream)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상기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에 대한 구동 전압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에 대한 구동 전압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개수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이 출력하고,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개수 보다 작은 제2 개수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캔 시간을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의 픽셀의 제1 발광 시간과 같거나 짧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상기 제2 리프레시 레이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의 픽셀의 제2 발광 시간과 같거나 짧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 각각에 서로 다른 감마값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는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더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이미지는 블랙 이미지, 알파 레이어, 또는 애니메이션 이미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는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3의 전자 장치(310))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의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그룹,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 및 상기 제3 모드에 대응하는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는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제1 어플리케이션 그룹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 또는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으로 변경되는지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제1 어플리케이션 그룹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 또는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는 60Hz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프레시 레이트는 120Hz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은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3의 전자 장치(310))에서 수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에서,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및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도 3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14))에서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3의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stream)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에 대한 구동 전압을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에 대한 구동 전압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캔 시간을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의 픽셀의 제1 발광 시간과 같거나 짧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 매체는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및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도 3의 프로세서(312))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16))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isplay driver IC);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및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stream)를 수신하고, 및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구동 전압을 유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구동 전압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개수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이 출력하고,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개수 보다 작은 제2 개수의 클럭 신호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이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캔 시간을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의 제1 발광 시간과 같거나 짧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상기 제2 리프레시 레이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의 제2 발광 시간과 같거나 짧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 각각에 서로 다른 감마값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더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그룹,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 및 상기 제3 모드에 대응하는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제1 어플리케이션 그룹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 또는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으로 변경되는지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제1 어플리케이션 그룹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 그룹 또는 제3 어플리케이션 그룹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는 60Hz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프레시 레이트는 120Hz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서,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및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stream)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구동 전압을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구동 전압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캔 시간을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의 제1 발광 시간과 같거나 짧게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 및 제1 스캔 시간(scan time)을 가지는 제1 모드, 상기 제1 리프레시 레이트 및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2 모드, 및 제2 리프레시 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캔 시간을 가지는 제3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200016605A 2020-02-06 2020-02-11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1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05A KR20210101968A (ko) 2020-02-11 2020-02-11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CT/KR2021/001130 WO2021157950A1 (ko) 2020-02-06 2021-01-28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21751133.6A EP4064267A4 (en) 2020-02-06 2021-01-28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7/267,384 US11468833B2 (en) 2020-02-06 2021-01-28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ition between different refresh rates on a display device
CN202180012356.5A CN115053285A (zh) 2020-02-06 2021-01-28 显示驱动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PCT/KR2021/001583 WO2021158078A1 (ko) 2020-02-06 2021-02-05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21751065.0A EP4080500A4 (en) 2020-02-06 2021-02-05 DISPLAY DRIVE METHOD AND THIS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PCT/KR2021/001574 WO2021158074A1 (ko) 2020-02-06 2021-02-05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2180012618.8A CN115039168A (zh) 2020-02-06 2021-02-05 显示控制方法及支持该显示控制方法的电子装置
US17/270,687 US11403984B2 (en) 2020-02-06 2021-02-05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7/882,492 US11810505B2 (en) 2020-02-06 2022-08-05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US17/944,584 US11688341B2 (en) 2020-02-06 2022-09-14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ition between different refresh rates on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05A KR20210101968A (ko) 2020-02-11 2020-02-11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68A true KR20210101968A (ko) 2021-08-19

Family

ID=7749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605A KR20210101968A (ko) 2020-02-06 2020-02-11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9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31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 레이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31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 레이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80500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335764B2 (en) Display including plurality of wirings bypassing hole area encompassed by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549692B1 (ko)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공백 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주사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7633B1 (ko)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콘텐트의 표시 위치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0162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1357042B (zh) 显示器设备和用于按像素组独立地进行控制的方法
US11967263B2 (en) Display scre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127332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ource driving of pixel on basis of characteristics of image, and image output method using electronic device
KR20220017218A (ko) 화면의 부분 영역을 빠르게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05886A (ko)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표시 영역들을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는 전자 장치
KR20210137762A (ko) 플리커 현상을 경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35229B2 (en) Display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gamma block on basis of indication of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id display
KR20210084057A (ko) 듀얼 소스 드라이버, 그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90134370A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콘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210101968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0491A (ko)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48340B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저장된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트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261919A1 (ko)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KR102510841B1 (ko)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픽셀 라인들을 구동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210101694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50274A (ko) 이미지의 컨텐츠의 변경에 기반하여 이미지의 표시 위치 또는 면적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US11238771B2 (en) Display driver circuit for synchronizing output timing of images in low power state
KR102555375B1 (ko)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에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밝기를 변경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20138235A (ko) 디스플레이의 스케일링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회로와 전자 장치
KR20240068866A (ko) 스캔 드라이버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