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234A - 접동 포백 - Google Patents

접동 포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234A
KR20210101234A KR1020217018001A KR20217018001A KR20210101234A KR 20210101234 A KR20210101234 A KR 20210101234A KR 1020217018001 A KR1020217018001 A KR 1020217018001A KR 20217018001 A KR20217018001 A KR 20217018001A KR 20210101234 A KR20210101234 A KR 2021010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fluororesin
dtex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세키야마
히로시 스야마
유키 니노미야
마사루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18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wood or fibrous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1Cut or abrasion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coefficients of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1Composition of the p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10B2321/04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polymers of fluorinated hydrocarbons, e.g. polytetrafluoroethene [PTF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30Fluoropolymers
    • F16C2208/32Polytetrafluorethylene [PT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ven Fabric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높고,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에도, 장기간 접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접동 포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불소 수지 섬유 A와, 인장 강도가 10cN/dtex 이상인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섬유 B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일중 평직물이며, 상기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가 1.5 이상인 접동 포백,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로봇 암용 케이블 커버 및 베어링 부재이다.

Description

접동 포백
본 발명은 내마모성을 갖는 접동 포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불소 수지의 저마찰 계수를 살려서, 접동 부재의 표층에 라미네이트나 코팅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소 수지의 라미네이트나 코팅에서는 불소 수지막이 얇고, 또한 비접착성 때문에 박리되기 쉬우므로, 장기적으로 접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라미네이트나 코팅을 반복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불소 수지를 섬유화하고, 방직 편물이나 부직포로 하여 접동 부재의 표면에 배치시킴으로써 마찰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타 소재와 접착하기 쉬운 방직 편물과 복합되어서 보다 견고하게 접착하는 접동 포백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PTFE 섬유를 포함한 접동 직물과 베이스 직물을 포함하는 다중 직물이며, 베이스면을 최적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높고, 고온 환경 하에 노출된 경우에도 장기 접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내열 마모성 다중 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에도 마모 내구성을 갖는 접동 포백을 얻기 위해서, 불소 수지 섬유와 고강도 섬유를 포함하는 접동 포백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불소 섬유 사조와, 인장 강도가 2GPa 이상인 고강도 섬유 사조가 교직된 직물이며, 불소 섬유가 직물의 어느 한쪽의 편면 면적의 30% 이상의 면적을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섬유 교직 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복합 재료 베어링의 기재로 했을 때에 불소 섬유의 저마찰성이 발휘되고, 또한 불소 섬유가 박리되지 않고, 우수한 내구성, 기계적 특성을 갖는 복합 재료 접동재를 제공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포백의 적어도 편면에 있어서 경사 및/또는 위사로서, 불소 수지 섬유와 다른 섬유가 교호로 배치된, 압축량이 25㎛ 이하인 접동 포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3981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0486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8/074207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내열 마모성 다중 직물은, 불소 섬유를 포함하는 층과 불소 섬유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는 다중직 조직이다. 그 때문에, 불소 섬유를 포함하는 층의 압축 변형이나 마모의 정도에 따라서는 두께 방향으로 치수가 변화하고, 베어링이나 접동 포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재 사이에 덜렁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보다 장기간 접동성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불소 섬유 교직 직물은 어느 한쪽의 편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섬유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수단으로서,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것에 불소 섬유, 다른 쪽에 고강도 섬유를 사용한 능직 조직이나 주자직 조직으로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능직 조직이나 주자직 조직은 평직 조직과 비교하여 경사/위사의 교착점이 적고, 직물의 치수 안정성이 떨어져서,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의 마모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평직 조직을 채용한 수단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경우, 표면의 불소 섬유의 피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강도 섬유의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어, 직물의 강도가 저하된다. 그 결과 얻어진 직물은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의 마모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3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섬도가 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와 섬도가 작은 폴리페닐렌술피드 섬유나 탄소 섬유 등의 다른 섬유를 교호로 배열하여 경사, 위사에 사용한 일중 평직물은 덜렁거림이 없는 점에서 우수한 포백이었지만, 표리 마찬가지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와 다른 섬유가 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시간,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는 장시간 접동성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높고,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에도, 장기간 접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접동 포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 구성을 갖는다.
(1) 불소 수지 섬유 A와, 인장 강도가 10cN/dtex 이상인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섬유 B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일중 평직물이며, 상기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가 1.5 이상인 접동 포백.
(2)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한쪽에 하기 불소 수지 섬유 A1과 하기 섬유 B1을 1개 교호로 배치하고, 상기 불소 수지 섬유 A1 및 상기 섬유 B1에 직교하는 위사 또는 경사에 하기 섬유 B2와, 하기 섬유 C를 1개 교호로 배치하고, 또한 하기 식 (i), (ii)를 충족하는 (1)에 기재된 접동 포백.
불소 수지 섬유 A1: 총 섬도 a1의 불소 수지 섬유 A
섬유 B1: 총 섬도 b1의 섬유 B
섬유 B2: 총 섬도 b2의 섬유 B
섬유 C: 불소 수지 섬유 A2 또는 섬유 B3이며, 상기 불소 수지 섬유 A2는 총 섬도 x2의 불소 수지 섬유 A이며, 섬유 B3은 총 섬도 x2의 상기 섬유 B이다.
a1/b1≥1.5 ‥(i)
b2/x2≥1.5 ‥(ii)
(3) b2/b1≥1.5인 (2)에 기재된 접동 포백.
(4) a1/x2≥1.5인 (2) 또는 (3)에 기재된 접동 포백.
(5) 상기 섬유 C가 불소 수지 섬유 A2인 (2)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접동 포백.
(6) 불소 수지 섬유 A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접동 포백.
(7) 상기 섬유 B가 인장 강도 20 내지 50cN/dtex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접동 포백.
(8) 상기 섬유 B가 인장 탄성률 450 내지 800cN/dtex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접동 포백.
(9) 상기 섬유 B가 유기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접동 포백.
(10) 상기 섬유 B가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접동 포백.
(11) (1)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접동 포백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는, 로봇 암용 케이블 커버.
(12) (1)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접동 포백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는, 베어링 부재.
본 발명에 따르면, 내마모성이 높고,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에, 장기간 접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접동 포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실시예 1에 기재된 포백의 표면 및 이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비교예 2에 기재된 포백의 표면 및 이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비교예 3에 기재된 포백의 표면 및 이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동 포백은 불소 수지 섬유 A와, 인장 강도가 10cN/dtex 이상인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섬유 B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일중 평직물이며, 상기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백 설계>
본 발명의 접동 포백은 일중 평조직이다. 경사와 위사의 교착점이 가장 많은 평조직으로 함으로써, 포백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에도 포백을 구성하는 섬유의 강도나 강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마모 내구성의 우수한 포백이 얻어진다. 또한 일중 평조직으로 함으로써, 이중 조직이나 삼중 조직과 같은 다층 조직과 비교하여 압축 변형이나 마손에 의한 두께 방향의 치수 변화를 억제하여, 베어링이나 접동 포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부재 간의 덜렁거림이나 치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중 평조직 중에서도, 경사 및 위사 모두 섬도가 다른 2종류의 섬유를 교호 배열하는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직으로 함으로써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섬도가 다른 2종류의 섬유를 교호 배열할 때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섬유 A와 섬유 B를 교호 배열할 때, A 3개와 B 3개를 교호로 배열하는 3개 교호나, A 2개와 B 2개를 교호로 배열하는 2개 교호, A 1개와 B 1개를 교호로 배열하는 1개 교호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A 1개와 B 1개를 교호로 배열하는 1개 교호로 배치하는 형태에서는 표면과 이면이 대칭이 되는 영역이 가장 작아지기 때문에, 표면과 이면에 있어서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교호 배열은 1개 교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 교호로 한 경우에는, 불소 수지 섬유 A가 포백 중에 과도하게 국재화되지 않고, 포백 전체에 걸쳐 강도와 저마찰성의 균형이 잡힌 상태를 실현할 수 있어 마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접동 포백은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가 1.5 이상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이란, 포백의 표면을 마이크로스코프에 의해 촬영했을 때에 촬영 면적 α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가 차지하는 면적 β의 비율을 의미하고, 이하의 식으로 구해진다.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β/α×100 [%]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바의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는, 포백의 표면과 이면 중,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이 큰 쪽의 면(이하 접동면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에 있어서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을 Sa, 다른 쪽 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을 Sb로 하여 이하의 식으로 구해진다.
면적률의 비=Sa/Sb
여기서 포백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이 클수록 그 면의 저마찰성은 향상되지만, 접착성은 저하된다. 즉 접동 포백에 있어서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이 큰 면은 접동면으로서 유용하고, 접동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은 클수록 바람직하고, 다른 쪽 면은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이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접동 포백을 구성하는 파라미터로서,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에 착안하고, 이 비를 적정화함으로써 우수한 마모 내구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낸 점이 본 발명의 기초로 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가 1.5 이상이면 되며, 이때 접동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에서 기인하는 저마찰성과 다른 쪽 면의 섬유 B에서 기인하는 강도의 균형이 잡혀서 우수한 마모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4.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가 1.0 이상 1.5 미만의 범위 내이면, 저마찰성과 강도의 균형이 무너져서,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에 마모 내구성을 얻을 수 없다.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의 실질적인 상한은 100이다.
본 발명의 접동 포백에 있어서,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를 조정하는 수단은, 좌기 면적비를 달성하고, 또한 조직을 일중 평직물로 하는 것 이외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한쪽에 하기 불소 수지 섬유 A1과 총 섬도 b1의 섬유 B1을 1개 교호로 배치하고, 상기 불소 수지 섬유 A1 및 상기 섬유 B1에 직교하는 위사 또는 경사에 하기 섬유 B2와, 섬유 C를 1개 교호로 배치하고, 또한 하기 식 (i), (ii)를 충족하는 접동 포백으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불소 수지 섬유 A1: 총 섬도 a1의 불소 수지 섬유 A
섬유 B1: 총 섬도 b1의 섬유 B
섬유 B2: 총 섬도 b2의 섬유 B
섬유 C: 불소 수지 섬유 A2 또는 섬유 B3이며, 상기 불소 수지 섬유 A2는 총 섬도 x2의 불소 수지 섬유 A이며, 섬유 B3은 총 섬도 x2의 상기 섬유 B이다.
a1/b1≥1.5 ‥(i)
b2/x2≥1.5 ‥(ii)
또한, 섬유 C로서 불소 수지 섬유 A2를 사용하는 경우, 불소 수지 섬유 A1, A2 중, 총 섬도가 큰 쪽의 섬유를 A1로 한다. 또한, 섬유 C로서 섬유 B3을 사용하는 경우, 섬유 C를 배치하는 경사 또는 위사는 2종의 섬유 B, 즉 섬유 B2, 섬유 B3을 사용하게 되는데, 총 섬도가 작은 쪽을 총 섬도 x2의 섬유 B3로 하고, 총 섬도가 큰 쪽을 총 섬도 b2의 섬유 B2로서 다룬다.
불소 수지 섬유 A에 직교하는 섬유의 섬도가 클수록 이들 직교하는 2 섬유가 중첩되는 면적은 커지고, 직교하는 섬유의 섬도가 작을수록 중첩되는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불소 수지 섬유 A에 직교하는 위사 또는 경사에 섬도가 다른 2종류의 섬유를 1개 교호로 배치함으로써,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섬도비 a1/b1은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0의 범위 내이다. 그 중에서도 5.0 내지 15.0의 범위 내이면,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비율을 적정 범위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포백의 요철을 억제하고, 제직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섬도비 b2/x2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0의 범위 내이다. 그 중에서도 5.0 내지 15.0의 범위 내이면,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비율을 적정 범위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포백의 요철을 억제하고, 제직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섬유 C가 불소 수지 섬유 A2이면,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가 한층 더 커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들 수 있다.
<불소 수지 섬유 A>
본 발명에 있어서 불소 수지 섬유의 성분인 불소 수지로서는, 주쇄 또는 측쇄에 불소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 것이면 된다. 그 중에서도, 불소 원자수가 많은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단위는 중합체의 반복 구조 단위의 70몰%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몰%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몰% 이상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소 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 원자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적어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블렌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위를 포함하는 불소 수지에 있어서는, 접동 특성의 점에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위의 함유량은 많은 쪽이 바람직하고, 전체의 9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호모폴리머로서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소 수지 섬유의 형태로서는, 1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모노필라멘트,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멀티필라멘트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지만, 제직성이나 포백으로 했을 때의 표면 요철의 관점에서 멀티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소 수지 섬유의 총 섬도로서는 50 내지 6000dtex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총 섬도가 다른 2종류의 불소 수지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총 섬도가 큰 불소 수지 섬유의 총 섬도는 1000 내지 6000dtex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5500dtex의 범위 내이다. 총 섬도가 작은 불소 수지 섬유의 총 섬도는 50 내지 1000dtex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900dtex의 범위 내이다. 포백을 구성하는 섬유의 총 섬도가 50dtex 이상이면 섬유의 강력이 강하고, 마모 시의 섬유 파단을 억제할 수 있는 것 외에, 제직 시의 실 끊어짐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공정 통과성이 향상된다. 6000dtex 이하이면 하중 부하 시에 두께 방향의 압축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부재 간에서의 덜렁거림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에 있어서 총 섬도가 다른 2종류의 불소 수지 섬유 A를 사용하는 경우, 총 섬도가 큰 불소 수지 섬유의 총 섬도 a1과 총 섬도가 작은 불소 수지 섬유의 총 섬도 x2의 섬도 비율 a1/x2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0의 범위 내이다. 그 중에서도 5.0 내지 15.0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섬유 B>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B로서는, 인장 강도가 10cN/dtex 이상인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섬유로 하는데, 인장 강도가 10 내지 50cN/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인장 강도가 20 내지 50cN/dtex이다. 이에 의해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직물의 파단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고, 표면의 불소 수지 섬유가 마모되는 것에 의한 자기 윤활막의 형성을 돕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섬유 B의 인장 탄성률로서는 20 내지 800cN/dtex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B의 인장 탄성률이 450 내지 800cN/dtex의 범위 내이면,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포백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우수한 마모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섬유 B의 인장 탄성률이 20cN/dtex 이상이면 포백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고, 마모 내구성이 우수한 포백이 얻어진다. 800cN/dtex 이하이면 섬유의 강성이 너무 높아지지 않고, 강성이 낮은 불소 수지 섬유와 교직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직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섬유 B의 신도로서는 1 내지 15%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 내이다. 그 중에서도 1 내지 3%이면 마찰력이 가해졌을 때에 포백의 치수 변화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들 수 있다. 섬유 B의 신도가 1% 이상이면 제직 시의 실 끊어짐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공정 통과성이 향상된다. 1 내지 15%의 범위 내이면 포백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고, 접동 포백으로서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분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섬유 B의 종류는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PBO),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액정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기 섬유나, 유리, 탄소, 탄화규소 등의 무기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섬유 B로서 유기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접동 포백으로 했을 때에 전단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고강도·고탄성률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섬유 B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라멘트(장섬유) 및 스펀(방적사) 중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되지만, 인장 강도나 인장 강성의 관점에서 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모노필라멘트,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멀티필라멘트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지만, 제직성이나 포백으로 했을 때의 표면 요철의 관점에서 멀티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 B의 총 섬도로서는 200 내지 4000dtex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총 섬도가 다른 2종류의 섬유 B를 사용하는 경우, 총 섬도가 큰 섬유 B의 총 섬도는 500 내지 4000dtex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2000dtex의 범위 내이다. 총 섬도가 작은 섬유 B의 총 섬도는 200 내지 1000dtex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900dtex의 범위 내이다. 포백을 구성하는 섬유의 총 섬도가 200dtex 이상이면 섬유의 강력이 강하고, 마모 시의 섬유 파단을 억제할 수 있는 것 외에, 제직 시의 실 끊어짐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공정 통과성이 향상된다. 4000dtex 이하이면 포백 표면의 요철이 작아, 저마찰성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불소 수지 섬유 A와 교호 배열하는 섬유 B의 총 섬도 b1(단 경사와 위사 모두에 불소 수지 섬유 A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섬도가 큰 불소 수지 섬유 A와 교호 배열하는 섬유 B의 총 섬도 b1)과 이것에 직교하는 섬유 B의 총 섬도 b2의 섬도비 b2/b1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0의 범위 내이다. 그 중에서도 5.0 내지 15.0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얻어진 접동 포백의 마모 내구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접동 포백에 수지를 함침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지 함침하는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규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등이나 그의 변성 수지 등, 열가소성 수지이면 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ABS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 나아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페놀 수지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내충격성, 치수 안정성, 강도, 가격 등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에는, 공업적으로 그의 목적, 용도, 제조 공정이나 가공 공정에서의 생산성 혹은 특성 개선을 위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변성제, 가소제, 충전제, 이형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주성분이란, 용매를 제외한 성분 중에서 중량 비율이 가장 큰 성분을 말하며, 페놀 수지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경우에는, 이들 2종류의 수지의 중량 비율이 1번째, 2번째(순서 부동)로 큰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접동 포백에 수지를 함침하는 방법으로서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경화성 수지를 용제에 용해하여 바니시로 조정하고, 나이프 코팅 가공이나 롤 코팅 가공, 콤마 코팅 가공, 그라비아 코팅 가공 등으로 포백에 함침 코팅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융 압출 라미네이트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접동 포백에 필요에 따라 윤활제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윤활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리콘계의 윤활제나 불소계의 윤활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접동 포백은 경사와 위사의 교착점이 많은 일중 평조직이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포백의 변형이나 그에 수반하는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포백을 구성하는 섬유의 강도나 강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마모 내구성이 우수한 포백이 얻어진다. 게다가 불소 수지 섬유 A와 섬유 B의 구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접동면의 저마찰성과 포백 강도를 양립할 수 있고,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은 경우에도 높은 접동 내구성을 발휘하는 접동 포백이 얻어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접동 포백은 전단력을 수반하는 반복적인 마찰력을 받기 때문에 종래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곤란했던 용도에 있어서 높은 접동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어, 공업적으로 극히 실용성이 높은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로봇 암용 케이블 커버나 베어링 부재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접동 포백을 적어도 그의 일부에 사용한 로봇 암용 케이블 커버는 저마찰성과 포백 강도를 갖기 때문에, 장치의 일부와 맞스쳤을 경우에도 조기에 파단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접동 포백을 적어도 그의 일부에 사용한 베어링 부재는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비율을 최적화함으로써, 베어링의 저토크화와 기재와의 높은 접착성을 양립할 수 있는 것 외에, 치수 안정성이 높은 일중 평직물이기 때문에 덜렁거림이 적고, 치수 정밀도가 높은 접동부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각종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섬도
JIS L1013:2010(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준하여 섬유의 섬도를 측정하였다.
(2) 섬도비
비교 대상이 되는 2종류의 섬유에 대해서, 섬도가 큰 섬유의 섬도를 TL[dtex], 섬도가 작은 섬유의 섬도를 TS[dtex]로 하여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섬도비=TL/TS
(3) 섬유의 인장 강도
JIS L1013:2010(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준하여 파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4) 섬유의 인장 탄성률
JIS L1013:2010(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준하여 섬유의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5) 섬유의 신도
JIS L1013:2010(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준하여 섬유의 신도를 측정하였다.
(6) 방직 밀도
JIS1096:2010(직물 및 편물의 패브릭 시험 방법)에 준하여, 시료를 평평한 받침대 상에 두고, 부자연스러운 주름 및 장력을 제거하고, 상이한 개소에 대하여 50㎜의 간격 중에 포함되는 경사 및 위사의 개수를 세고, 각각의 평균값을 단위 길이에 대하여 산출하였다.
(7) 포백의 커버 팩터
각 소재의 비중차를 감안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포백의 커버 팩터(CF)를 산출하였다. 단, 경사 및 위사로서 각각 2종류 이상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경사에 사용하는 섬유를 경사 1, 경사 2, …, 위사에 사용하는 섬유를 위사 1, 위사 2, …와 같이 번호 부여한다.
CF=(경사 1의 섬도(dtex)/경사 1의 비중)1/2×경사 1의 밀도(개/in(2.54㎝))+(경사 2의 섬도(dtex)/경사 2의 비중)1/2×경사 2의 밀도(개/in(2.54㎝))+…+(위사 1의 섬도(dtex)/위사 1의 비중)1/2×위사 1의 밀도(개/in(2.54㎝))+(위사 2의 섬도(dtex)/위사 2의 비중)1/2×위사 2의 밀도(개/in(2.54㎝))+…
(8) 포백의 두께
JIS L1013:2010(직물 및 편물의 패브릭 시험 방법)에 준하여 포백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9)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β/α×100 [%]
포백 표면을 키엔스제 마이크로스코프 VHX-2000으로 50배로 확대한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 면적을 α, 그 중 불소 수지 섬유 A가 차지하는 면적을 β로 하고,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을 산출하였다.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β/α×100 [%]
또한, 촬영 면적 α와 불소 수지 섬유 A가 차지하는 면적 β는 미타니 쇼지제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WinR00F2013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10)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
포백의 표면과 이면 중,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이 큰 쪽의 면에 있어서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을 Sa, 다른 쪽 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을 Sb로 하여 이하의 식으로 구하였다.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Sa/Sb
(11) 운동 마찰 계수
이하에 나타내는 링 마모 시험에 의해 측정하였다.
JIS K7218:1986(플라스틱의 미끄럼 마모 시험 방법) A법에 준하여, 직물은 세로 30㎜, 가로 30㎜로 샘플링하고, 동일한 크기의 두께 2㎜의 POM 수지판 상에 얹어서 샘플 홀더에 고정하였다.
상대재는 S45C로 만들어진, 외경 25.6㎜, 내경 20㎜, 길이 15㎜의 중공 원통 형상의 표면을 샌드페이퍼로 연마하고, 조도 측정기(미츠토요제 SJ-201)로 측정하여 0.8㎛m±0.1RA의 범위인 상대재를 사용하였다.
링 마모 시험기는 오리엔테크제 MODEL: EFM-III-EN을 사용하고, 마찰 하중: 2MPa, 마찰 속도: 200㎜/초로 시험을 행하고, 접동 토크를 측정하고, 측정 개시 후 측정되는 접동 토크가 안정되었을 때에, 그 안정 부분의 운동 마찰 계수를 계산하였다.
(12) 마모 내구성
상기 링 마모 시험을 접동 거리 5000m까지 실시한 후에 시험 후의 포백 표면을 관찰하고, 포백의 파단이나 섬유의 파단이 거의 없는 것을 ◎, 포백의 파단은 없지만 섬유의 일부가 파단되어 있는 것을 ○, 포백의 마찰된 부분이 일부 파단되어 있는 것을 △, 포백의 마찰된 부분이 완전히 파단되어 있는 것을 ×로 하였다.
(13) 덜렁거림
얻어진 포백을 3개월의 기간 베어링의 접동재로서 사용하고, 부재 사이의 덜렁거림 정도를 확인하여, 덜렁거림이 거의 없는 것을 ◎, 약간인 것을 ○, 현저하지만 파괴가 없는 것을 △, 파괴된 것을 ×로 하였다.
실시예 1
경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850dtex, 단사수 144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위사에 총 섬도 5320dtex, 단사수 24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 2.8%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도 1은 상기에서 얻어진 포백의 표면 및 이면의 평면도이며, 접동면에 상당하는 표면에는, 총 섬도가 큰 「위사에 사용한 불소 수지 섬유 A1」(1)과 총 섬도가 작은 「경사에 사용한 불소 수지 섬유 A2」(2)가 보다 많이 노출되고, 이면에는, 총 섬도가 작은 「위사에 사용한 섬유 B1」(3)과 총 섬도가 큰 「경사에 사용한 섬유 B2」(4)가 보다 많이 노출되는 포백인 것이 나타나 있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
경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850dtex, 단사수 144필라멘트, 인장 강도 20cN/dtex, 인장 탄성률 490cN/dtex, 신도가 3.6%인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위사에 총 섬도 5320dtex, 단사수 24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0cN/dtex, 인장 탄성률 490cN/dtex, 신도가 3.6%인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
경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850dtex, 단사수 144필라멘트, 인장 강도 8.0cN/dtex, 인장 탄성률 115cN/dtex, 신도가 13.0%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위사에 총 섬도 5320dtex, 단사수 24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8.0cN/dtex, 인장 탄성률 115cN/dtex, 신도가 13.0%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3
경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850dtex, 단사수 144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위사에 총 섬도 2660dtex, 단사수 12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 2.8%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4
경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위사에 총 섬도 133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 2.8%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5
경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위사에 총 섬도 88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 2.8%의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2
경사 및 위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도 2는 상기에서 얻어진 포백의 표면 및 이면의 평면도이며, 표면, 이면에 있어서 「위사에 사용한 불소 수지 섬유 A1」(1)과 「경사에 사용한 불소 수지 섬유 A2」의 노출의 합계 면적과, 「위사에 사용한 섬유 B1」(3)과 「경사에 사용한 섬유 B2」(4)의 노출의 합계 면적이 동일 정도였던 것이 나타나 있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3
경사에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고, 위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를 사용하여,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도 3은 상기에서 얻어진 포백의 표면 및 이면의 평면도이며, 표면, 이면에 있어서 「위사에 사용한 불소 수지 섬유 A1」(1)과 「경사에 사용한 불소 수지 섬유 A2」의 노출의 합계 면적과, 「위사에 사용한 섬유 B1」(3)과 「경사에 사용한 섬유 B2」(4)의 노출의 합계 면적이 동일 정도였던 것이 나타나 있다.
비교예 4
경사에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고, 위사에 총 섬도 5320dtex, 단사수 240필라멘트의 PTFE 섬유를 사용하여,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5
경사에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고, 위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를 사용하여, 직기로 일중 1/3 능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6
표면이 경사 및 위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를 사용한 평직물, 이면이 경사 및 위사에 총 섬도 425dtex, 단사수 72필라멘트, 인장 강도 24cN/dtex, 인장 탄성률 690cN/dtex, 신도가 2.8%인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한 평직물인 이중 직물을 직기로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7
경사 및 위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220dtex, 단사수 36필라멘트, 인장 강도 5cN/dtex, 인장 탄성률 40cN/dtex, 신도가 30%인 PPS 섬유를 1(개):1(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8
경사 및 위사에 총 섬도 440dtex, 단사수 60필라멘트의 PTFE 섬유와 총 섬도 40dtex, 단사수 750필라멘트, 인장 강도 20cN/dtex, 인장 탄성률 1300cN/dtex, 신도가 1%인 탄소 섬유를 4(개):4(개)로 교호로 배치하고, 직기로 일중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80℃의 정련조에서 정련을 행하고, 200℃에서 세팅하였다.
이 직물의 직밀도, 두께, 표면과 이면의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 및 면적률의 비, 운동 마찰 계수, 마모 내구성, 덜렁거림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1: 위사에 사용한 불소 수지 섬유 A1
2: 경사에 사용한 불소 수지 섬유 A2
3: 위사에 사용한 섬유 B1
4: 경사에 사용한 섬유 B2

Claims (12)

  1. 불소 수지 섬유 A와, 인장 강도가 10cN/dtex 이상인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섬유 B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일중 평직물이며, 상기 포백의 한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과 다른 쪽 면에서 차지하는 불소 수지 섬유 A의 면적률의 비가 1.5 이상인 접동 포백.
  2. 제1항에 있어서,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한쪽에 하기 불소 수지 섬유 A1과 하기 섬유 B1을 1개 교호로 배치하고, 상기 불소 수지 섬유 A1 및 상기 섬유 B1에 직교하는 위사 또는 경사에 하기 섬유 B2와, 하기 섬유 C를 1개 교호로 배치하고, 또한 하기 식 (i), (ii)를 충족하는 접동 포백.
    불소 수지 섬유 A1: 총 섬도 a1의 불소 수지 섬유 A
    섬유 B1: 총 섬도 b1의 섬유 B
    섬유 B2: 총 섬도 b2의 섬유 B
    섬유 C: 불소 수지 섬유 A2 또는 섬유 B3이며, 상기 불소 수지 섬유 A2는 총 섬도 x2의 불소 수지 섬유 A이며, 섬유 B3은 총 섬도 x2의 상기 섬유 B이다.
    a1/b1≥1.5 ‥(i)
    b2/x2≥1.5 ‥(ii)
  3. 제2항에 있어서, b2/b1≥1.5인 접동 포백.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a1/x2≥1.5인 접동 포백.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C가 불소 수지 섬유 A2인 접동 포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 섬유 A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접동 포백.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B가 인장 강도 20 내지 50cN/dtex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 포백.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B가 인장 탄성률 450 내지 800cN/dtex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 포백.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B가 유기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 포백.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B가 액정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 포백.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동 포백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는 로봇 암용 케이블 커버.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동 포백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는 베어링 부재.
KR1020217018001A 2018-12-26 2019-11-22 접동 포백 KR202101012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2695 2018-12-26
JPJP-P-2018-242695 2018-12-26
PCT/JP2019/045820 WO2020137287A1 (ja) 2018-12-26 2019-11-22 摺動布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234A true KR20210101234A (ko) 2021-08-18

Family

ID=7112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001A KR20210101234A (ko) 2018-12-26 2019-11-22 접동 포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65293A1 (ko)
EP (1) EP3904575A4 (ko)
JP (1) JP7414007B2 (ko)
KR (1) KR20210101234A (ko)
CN (1) CN113166985B (ko)
WO (1) WO2020137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9689B (zh) * 2019-12-20 2023-06-16 东丽株式会社 机织物及机械臂用电缆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486A (ja) 2004-02-06 2005-08-18 Toray Ind Inc フッ素繊維交織織物および複合材料
WO2018074207A1 (ja) 2016-10-20 2018-04-26 東レ株式会社 摺動布帛
JP6398189B2 (ja) 2013-12-26 2018-10-03 東レ株式会社 耐熱耐摩耗性多重織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837A (ja) * 1982-04-15 1983-10-22 Oiles Ind Co Ltd 複層摺動材料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S62261716A (ja) * 1986-05-06 1987-11-13 Nippon Seiko Kk すべり軸受用ライ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20487A (ja) * 2004-02-06 2005-08-18 Toray Ind Inc フッ素繊維布帛および複合材料
US9334587B2 (en) * 2005-02-11 2016-05-10 W. L. Gore & Associates, Inc. Fluoropolymer fiber composite bundle
US20060182962A1 (en) * 2005-02-11 2006-08-17 Bucher Richard A Fluoropolymer fiber composite bundle
JP5253857B2 (ja) * 2008-03-27 2013-07-31 株式会社東芝 摺動材料、摺動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軸受装置
CN102535167A (zh) * 2012-01-04 2012-07-04 江苏中天航空配件有限公司 一种轴承用自润滑复合材料衬垫及其制备方法
CN103572454B (zh) * 2012-08-07 2016-08-10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低摩擦系数织物及其用途
JP6520120B2 (ja) * 2013-07-25 2019-05-29 東レ株式会社 耐摩耗性多重織物
JP5521096B1 (ja) * 2013-07-25 2014-06-11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滑り免震装置
CN105829975A (zh) * 2013-12-27 2016-08-03 东丽株式会社 调色剂清洁用片材及其制造方法
WO2015115259A1 (ja) * 2014-01-31 2015-08-06 東レ株式会社 液晶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115398A4 (en) * 2014-03-07 2017-07-26 Toray Industries, Inc. Composite sliding member and heat-resistant composite sliding member for oa equipment
JP6839999B2 (ja) 2017-03-02 2021-03-10 帝人株式会社 織物および繊維製品
US11885047B2 (en) * 2018-03-02 2024-01-30 Toray Industries, Inc. Twisted cord of liquid-crystal polyester multifilaments,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product comprising said twisted cord
EP3815894A4 (en) * 2018-06-26 2022-04-13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D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486A (ja) 2004-02-06 2005-08-18 Toray Ind Inc フッ素繊維交織織物および複合材料
JP6398189B2 (ja) 2013-12-26 2018-10-03 東レ株式会社 耐熱耐摩耗性多重織物
WO2018074207A1 (ja) 2016-10-20 2018-04-26 東レ株式会社 摺動布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4575A1 (en) 2021-11-03
EP3904575A4 (en) 2022-09-07
US20220065293A1 (en) 2022-03-03
JP7414007B2 (ja) 2024-01-16
JPWO2020137287A1 (ja) 2021-11-11
CN113166985A (zh) 2021-07-23
CN113166985B (zh) 2022-05-31
WO2020137287A1 (ja)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8006B1 (ja) 耐摩耗性多重織物
JP7006274B2 (ja) 摺動布帛
CN103572454B (zh) 一种低摩擦系数织物及其用途
CN107849759B (zh) 一种自润滑织物及其生产方法和用途
JP2005220486A (ja) フッ素繊維交織織物および複合材料
TWI671478B (zh) 齒型皮帶傳動裝置
US9962912B2 (en) Composite sliding member and heat-resistant composite sliding member for OA equipment
JP2015124450A (ja) 耐熱耐摩耗性多重織物
KR20210101234A (ko) 접동 포백
CN114829689B (zh) 机织物及机械臂用电缆罩
JP6957943B2 (ja) 摺動布帛およびウインドウガラススタビライザ
JP2005220487A (ja) フッ素繊維布帛および複合材料
WO2020175304A1 (ja) 摺動布帛
WO2023171604A1 (ja) 布帛
WO2022209961A1 (ja) 織物および摺動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