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828A - 에어벤트 윙 노브 - Google Patents

에어벤트 윙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828A
KR20210099828A KR1020200013664A KR20200013664A KR20210099828A KR 20210099828 A KR20210099828 A KR 20210099828A KR 1020200013664 A KR1020200013664 A KR 1020200013664A KR 20200013664 A KR20200013664 A KR 20200013664A KR 20210099828 A KR20210099828 A KR 2021009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assembly
light
air ven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하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0001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9828A/ko
Publication of KR2021009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에어벤트에 장착되어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 윙 조립체 및 상기 수평 윙 조립체가 관통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노브 하우징 및 상기 노브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윙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윙 조립체에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부가 장착되고, 상기 빛은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벤트 윙 노브 {WING KNOB OF AIR VENT}
본 발명은 에어벤트 윙 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윙 부재 장착 타입의 발광부와 이중렌즈구조를 갖는 렌즈부를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노브를 통한 발광 균일도가 향상되며 야간 운전시 시인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조화장치(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가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난방된다.
에어벤트의 설치위치는 차종에 따라 약간씩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면 크러쉬 패드면, 운전석과 조수석 중간의 센터페시아 패널(오디오 등이 설치되는 패널) 위쪽의 크러쉬 패드면, 그리고 리어 콘솔박스의 후면 등에 설치된다.
에어벤트에는 앞쪽에 다수개의 횡날개가, 뒤쪽에 다수개의 종날개가 소정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대개 상기 횡날개의 중간 것에는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의 전면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인디케이터 노브를 상하로 젖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횡날개의 상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 내부의 무드램프 조명 트렌드에 맞추어 노브를 이용한 노브 조명 방식이 구현되고 있다. 이때, 종래의 노브 조명 방식은 발광부 및 렌즈부가 노브 자체에 장착되는 노브 장착 타입으로 구성되고 접점부 슬라이드 방식이 적용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7279호 (2008.04.3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윙 부재 장착 타입의 발광부와 이중렌즈구조를 갖는 렌즈부를 구비함으로써 노브를 통한 발광 균일도가 향상되고 야간 운전시 시인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에어벤트에 장착되어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 윙 조립체 및 상기 수평 윙 조립체가 관통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노브 하우징 및 상기 노브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윙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윙 조립체에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부가 장착되고, 상기 빛은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외측 표면은 하프 미러(Half mirror)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내측 표면은 차폐 도장되며, 상기 내측 표면의 일부 면적에는 발광 에어리어(Are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 에어리어(Area)는 레이저 컷(Laser cu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원부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전반사를 통해 손실없이 상기 렌즈부의 중단으로 빛을 전달하는 전반사부, 상기 전반사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넓게 확산시키는 에어 갭 및 상기 에어 갭을 통해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하는 광출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넓은 배광을 유도하기 위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은, 상기 전반사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진입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를 통해 에어 갭으로 진입한 빛을 일측으로 확산시키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진입부를 통해 에어 갭으로 진입한 빛을 타측으로 확산시키는 제2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의 너비(W3)는 상기 전반사부의 너비(W1) 보다 크고, 상기 광출사부의 너비(W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노브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되는 집게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부 사이의 집게 홈에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 윙 조립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수평 윙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수직 윙 조립체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상기 노브 조립체가 일방향으로 기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이 되면, 상기 수직 윙 조립체는 완전 클로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원부가 수평 윙 조립체에 고정되어 있음에도 렌즈부 구조를 통한 확산을 통해 노브 조립체의 위치 변화에 따른 좌, 우측 발광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벤트 윙 노브는 광원부가 고정되어 있어 노브 조립체의 위치 변화에 따른 접점 구조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조립 구조가 간단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윙 노브가 적용된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윙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윙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렌즈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가 일반 상태인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가 일 방향으로 완전 이동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가 타 방향으로 완전 이동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윙 노브의 광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윙 노브가 적용된 에어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윙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벤트 윙 노브(10)는 에어벤트(1)의 덕트(20) 내부에 장착되며, 수평 윙 조립체(100), 노브 조립체(200) 및 수직 윙 조립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벤트 윙 노브(10)가 적용된 에어벤트(1)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측 패널(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센터페시아)에 위치하고,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노브 조립체(200)를 직접 파지하여 수평 윙 조립체(100) 및 수직 윙 조립체(300)가 회전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덕트(20)는 내부 공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벤트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덕트(20)의 내측벽에는 수평 윙 조립체(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수평 윙 조립체(100)는 그 횡단면이 각각 한 쌍의 장변 및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장변측 길이 방향은 공기 배출 방향을 따른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덕트(20)의 내측벽에 회전 지지되는 단부는 단변측의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덕트(20)의 내측벽에 수평 윙 조립체(100)의 수평 회전축이 회전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주조될 수도 있으나, 스페이서가 덕트(20)의 내측 벽면에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장착되고, 스페이서에 수평 윙 조립체(10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공기 배출 방향에 따른 하류 측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상류 측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윙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수평 윙 조립체(100)는 수평 윙(110), 광원부(120) 및 렌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윙(110)은 덕트(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변 및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덕트(20) 내의 공기 흐름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평 윙(110)의 내부에는 상기 광원부(120) 및 상기 렌즈부(130)가 장착될 수 있는 삽입 공간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120)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력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내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평 윙(110)의 삽입 공간부(111)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부(120)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PCB) 조립체일 수 있으며, 전선 와이어(121)를 통해 상기 전력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전선 와이어(121)는 상기 수평 윙(1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와이어 커버(15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홈(15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수평 윙(110)의 삽입 공간부(111)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부(120)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빛을 확산시키며, 후술하는 노브 조립체(200)의 인디케이터(220)로 빛을 전달한다. 이로써, 노브 조립체(200)의 인디케이터(220)는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하게 된다.
수평 윙(110)의 전방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평 윙(110)의 내부를 보호하는 윙 데코부(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윙 데코부(140)에는 상기 렌즈부(130)가 상기 수평 윙(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렌즈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렌즈부(130)는 전반사부(131), 에어 갭(132) 및 광출사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부(120)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전반사를 통해 손실없이 상기 렌즈부(130)의 중단으로 빛을 전달하는 전반사부(131), 상기 전반사부(131)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넓게 확산시키는 에어 갭(132) 및 상기 에어 갭(132)을 통해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하는 광출사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광원부(120)로부터 시작된 빛은 상기 전반사부(131)를 통해 상기 에어 갭(132)으로 전달되며, 상기 에어 갭(132)을 지나면서 넓게 확산된 후 상기 광출사부(133)를 통해 외부로 발하게 된다.
이때, 광출사부(133)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광출사부(133)의 너비(W2)는 전반사부(131)의 너비(W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반사부(131)로부터 전달되는 빛의 보다 넓은 배광(Wide beam angle)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갭(132)은 상기 전반사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진입하는 진입부(132a), 상기 진입부(132a)를 통해 에어 갭(132)으로 진입한 빛을 일측으로 확산시키는 제1 경사부(132b) 및 상기 진입부(132a)를 통해 에어 갭(132)으로 진입한 빛을 타측으로 확산시키는 제2 경사부(132c)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진입부(132a), 제1 경사부(132b) 및 제2 경사부(132c)가 이루는 각각의 각도는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입부(132a) 및 에어 갭(132)을 거쳐 제1 경사부(132b)로 진입한 빛은 경사 구조로 인해 소한 매질인 공기로부터 밀한 매질인 렌즈로 나아가면서 일측 방향으로 보다 더 발산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진입부(132a) 및 에어 갭(132)을 거쳐 제2 경사부(132c)로 진입한 빛은 경사 구조로 인해 소한 매질인 공기로부터 밀한 매질인 렌즈로 나아가면서 타측 방향으로 보다 더 발산하게 된다. 즉, 렌즈부(130)에 에어 갭(132)이 형성됨에 따라 전반사부(131)로부터 전달된 빛은 보다 넓은 반경으로 발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입부(132a)의 너비(W3)는 전반사부(131)의 너비(W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반사부(131)로부터 전달되는 빛은 손실없이 상기 진입부(132a)를 통해 에어 갭(132)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전반사부(131)의 양 측에는 각각 상기 전반사부(131)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결합부(134)가 구비될 수 있다. 렌즈부(130)는 상기 결합부(134)에 형성된 돌출부(134a)를 통해 상기 삽입 공간부(111)에 형성된 측벽부(112)와 맞물리면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노브 조립체(200)는 노브 하우징(210), 인디케이터(220), 집게부(230) 및 베이스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브 하우징(210)에는 상기 수평 윙 조립체(100)가 관통하는 내부공간(211)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윙 조립체(100)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수평 윙 조립체(100)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노브 하우징(210)은 수평 윙 조립체(100)의 외표면에 면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브 하우징(210)은 수평 윙 조립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브 하우징(210)의 후방 단부에는 집게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게부(240)는 상기 노브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게부(230) 사이의 집게 홈(231)에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 윙 조립체(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노브 조립체(200)가 상기 수평 윙 조립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수직 윙 조립체(300)는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집게부(230)는 베이스부(240)를 통해 상기 노브 하우징(210)의 후방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240)는 상기 노브 하우징(210)의 후방을 폐쇄하면서 결합된다.
노브 조립체(200)는 노브 본체(210)에 삽입되어 윙 데코부(140)를 탄성 지지하는 러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러버(250)는 노브 조립체(200)를 통한 조작 시 윙 데코부(140)에 가해지는 압력을 받아주면서 수평 윙 조립체(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가 일반 상태인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가 일 방향으로 완전 이동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가 타 방향으로 완전 이동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a) 및 (c)를 참조하면, 노브 조립체(200)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노브 조립체(200)는 우측 방향보다 좌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더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b)를 참조하면, 노브 조립체(200)가 좌측으로 기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 되면, 상기 수직 윙 조립체(300)는 좌측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다가 완전 클로즈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좌측 방향으로의 추가 이동은 와이어 커버(150)에 형성된 제1 스토퍼(152)와 베이스부(240)에 형성된 돌기부(241)의 접촉에 의해 저지된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노브 조립체(200)가 우측으로 기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 되면, 수직 윙 조립체(300)는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이 전환되며, 우측 방향으로의 추가 이동은 수평 윙(110)에 형성된 제2 스토퍼(113)와 노브 하우징(210)의 접촉에 의해 저지된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220)는 노브 하우징(210)의 전방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220)의 내측 표면(222)에는 양 측에 각각 삽입홈(2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스크류(260)가 상기 삽입홈(223)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인디케이터(220)는 노브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220)의 외측 표면(221)은 하프 미러(Half mirror)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프 미러 증착이란, 진공 증착 시 사용하는 알루미늄(Al) 코일의 양을 조정하여 피막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인디케이터(220)는 이를 통해 렌즈부(130)에 의해 확산된 빛을 보다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디케이터(220)의 내측 표면(222)은 차폐 도장되며, 상기 내측 표면(222)의 중심 일부 면적에는 발광 에어리어(Area)(2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렌즈부(130)에 의해 확산된 빛은 발광 에어리어(224)를 통해서만 외부로 투과될 수 있으며, 발광 에어리어(224)는 내측 표면(222)이 차폐 도장된 후 레이저 컷(Laser cut)을 통해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에어리어(224)는 마스킹(Masking), 포토 레지스트(Photoresist)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발광 에어리어(224)에는 발광 균일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광확산 시트(Diffuser sheet)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윙 노브의 광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노브 조립체(200)가 우측으로 완전 이동된 경우, 노브 조립체(200)가 일반 상태의 위치인 경우, 렌즈부(130)가 노브 조립체(200)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 경우, 노브 조립체(200)가 좌측으로 완전 이동된 경우의 광해석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광해석 결과, 노브 조립체(200)의 좌, 우측 이동에도 불구하고, 인디케이터(220)를 통한 발광은 발광 에어리어(224) 전체에 걸쳐 빈틈 없이 고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에어벤트 윙 노브(10)는 광원부(120)가 수평 윙 조립체(100)에 고정되어 있음에도 렌즈부(130) 구조를 통한 빛 확산을 통해 노브 조립체(20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좌, 우측 발광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벤트 윙 노브(10)는 광원부(120)가 고정되어 있어 노브 조립체(20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접점 구조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조립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에어벤트
10 에어벤트 윙 노브
20 덕트
100 수평 윙 조립체
110 수평 윙
120 광원부
130 렌즈부
140 윙 데코부
150 와이어 커버
200 노브 조립체
210 노브 하우징
220 인디케이터
230 집게부
240 베이스부
250 러버
260 스크류
300 수직 윙 조립체

Claims (10)

  1. 에어벤트에 장착되어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 윙 조립체; 및
    상기 수평 윙 조립체가 관통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노브 하우징 및 상기 노브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윙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윙 조립체에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부가 장착되고, 상기 빛은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외부로 발광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외측 표면은 하프 미러(Half mirror)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내측 표면은 차폐 도장되며, 상기 내측 표면의 일부 면적에는 발광 에어리어(Are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에어리어(Area)는 레이저 컷(Laser cu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광원부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전반사를 통해 손실없이 상기 렌즈부의 중단으로 빛을 전달하는 전반사부;
    상기 전반사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넓게 확산시키는 에어 갭; 및
    상기 에어 갭을 통해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하는 광출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넓은 배광을 유도하기 위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은,
    상기 전반사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진입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를 통해 에어 갭으로 진입한 빛을 일측으로 확산시키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진입부를 통해 에어 갭으로 진입한 빛을 타측으로 확산시키는 제2 경사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의 너비(W3)는 상기 전반사부의 너비(W1) 보다 크고, 상기 광출사부의 너비(W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노브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되는 집게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부 사이의 집게 홈에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 윙 조립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수평 윙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수직 윙 조립체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상기 노브 조립체가 일방향으로 기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이 되면, 상기 수직 윙 조립체는 완전 클로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윙 노브.
KR1020200013664A 2020-02-05 2020-02-05 에어벤트 윙 노브 KR20210099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64A KR20210099828A (ko) 2020-02-05 2020-02-05 에어벤트 윙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64A KR20210099828A (ko) 2020-02-05 2020-02-05 에어벤트 윙 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28A true KR20210099828A (ko) 2021-08-13

Family

ID=7731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64A KR20210099828A (ko) 2020-02-05 2020-02-05 에어벤트 윙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98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62Y1 (ko) * 2021-12-09 2022-11-16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차량용 에어벤트 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279A (ko) 2006-10-25 2008-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279A (ko) 2006-10-25 2008-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162Y1 (ko) * 2021-12-09 2022-11-16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차량용 에어벤트 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7279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JP2005170376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の空気分配モジュール
EP3528043B1 (en) Projector an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ing projector
CN111376824A (zh) 用于汽车通风口的照明装置
KR20210099828A (ko) 에어벤트 윙 노브
EP1361088A1 (en) Distributor valve with air deflector vanes for a heating and ventilat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CN210851960U (zh) 载具通风装置及载具装配元件
EP2813768B1 (en) Air conditioner with illumination
US6739968B1 (en) Interchangeable air vent assembly and vehicles incorporating same
KR10241202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5498531B2 (ja) 発光装置
US11525551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KR102065967B1 (ko)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
KR20180077925A (ko) 히팅 모듈
KR20190065106A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20180128760A (ko)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982019B1 (ko) 상이한 작동 각을 구현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129713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2523593B1 (ko)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2008080850A (ja) 車両用暖房装置
CN219628191U (zh) 便携式调温装置
JP2001328486A (ja) 車両用照明装置
CN112810393B (zh) 空调系统及其制冷控制方法
CN219988947U (zh) 出风格栅及仪表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