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354A -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354A
KR20210099354A KR1020200013103A KR20200013103A KR20210099354A KR 20210099354 A KR20210099354 A KR 20210099354A KR 1020200013103 A KR1020200013103 A KR 1020200013103A KR 20200013103 A KR20200013103 A KR 20200013103A KR 20210099354 A KR20210099354 A KR 2021009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rone
unit
controller
shooting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181B1 (ko
Inventor
황정민
Original Assignee
황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민 filed Critical 황정민
Priority to KR102020001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1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8Airborne targets, e.g. drones, kites, 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중에서 움직이는 과녁을 제공하여 사격 훈련이나 게임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며, 기존보다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총기를 이용하여 대중적인 사격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며, 대공 사격의 훈련이 가능함에 따라 군사 훈련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표적이 연결된 드론; 상기 드론의 동작을 무선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드론의 비행 시 상기 표적을 향해 사격연습을 수행하기 위한 사격연습용 총기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SYSTEM FOR PRACTISING SHOOTING USING DRO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락의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게임과 게임도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게임용 총을 이용한 사격 게임이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격게임은 테이블에 고정되는 거치대에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총을 연결하고, 총은 몸체와 몸체의 전방에 돌출되는 총신으로 크게 구성된다.
총이 고정된 테이블의 전방에는 영상을 제공하는 스크린을 구비하여 이용자가 총으로 스크린의 영상을 보고 총알을 발사하여 게임을 수행하게 되며, 제어수단을 통하여 게임의 형태와 난이도를 선택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게 게임을 수행하면서 즐기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격 게임은 비교적 단순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기 때문에 보다 새롭고 흥미로운 사격 게임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클레이 사격은 석회와 피치(pitch)를 혼합하여 만든 클레이 피전(clay pigeon) 표적을 방출기로 날린 후, 산탄총으로 이를 사격하고 명중하여 깨뜨린 수에 의하여 승패를 겨루는 레저 스포츠 경기이다.
이와 같은 클레이 사격을 하기 위해서는, 납이 함유된 산탄을 이용하는 총기를 사용하므로 살상의 위험이 상시 존재하고, 사격장에는 파손된 피전 잔류물이 산적하여 환경 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이에, 클레이 사격과 같이 공중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사격 대상으로 하여 보다 흥미로운 사격 훈련이 가능하며, 클레이 사격에서 사용되는 산탄이 아닌 친환경적이고 보다 안전한 총기를 이용함으로써, 사격 게임의 대중화를 선도할 수 있는 사격 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60341호(등록일자: 2019년03월14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801호(공개일자: 2018년06월21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중에서 움직이는 과녁을 제공하여 사격 훈련이나 게임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며, 기존보다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총기를 이용하여 대중적인 사격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은,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표적이 연결된 드론; 상기 드론의 동작을 무선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드론의 비행 시 상기 표적을 향해 사격연습을 수행하기 위한 사격연습용 총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론은, 상기 컨트롤러와 양방향 통신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비행제어신호에 따라 비행 동작을 수행하는 드론 본체부; 상기 드론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표적의 교체 시 미리 연결된 다른 표적을 표적 위치로 회전 이동시켜 표적 교체 동작을 수행하는 표적 연결 교체부; 및 상기 드론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 위치에 있는 상기 표적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표적교체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적 연결 교체부가 표적 교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적은 풍선을 포함하고, 상기 표적 연결 교체부는, 상기 드론 본체부의 하부 중심에 설치된 회전 모터;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방사선 형태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표적 연결부, 상기 표적 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풍선의 공기 주입이 각각 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기 주입 밸브, 및 상기 공기 주입 밸브로 소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력 탱크를 포함하는 표적 연결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는, 상기 드론 본체부에서 상기 표적 위치를 향해 설치되어 상기 표적 위치에서 상기 풍선이 터트려졌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표적 감지 센서부; 및 상기 표적 감지 센서부를 통해 상기 풍선이 터트려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회전 모터에 표적회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미리 준비된 다른 풍선이 상기 표적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공기 주입 밸브로 공기주입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표적 위치로 이동된 풍선에 공기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기 주입 밸브를 제어하는 표적 연결 장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 본체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비행제어신호에 따른 비행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표적 감지 센서부를 통해 표적이 명중된 시점에서 일정 시간 이전까지의 구간 내 기록된 비행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비행 가산점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 본체부로부터 수신된 비행정보에 따른 명중 가산점을 산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비행 가산점 기준정보는, 상기 드론 본체부가 이동속도가 높고 방향전환횟수가 많을수록 명중 가산점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적은 과녁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표적 연결 교체부는, 상기 드론 본체부의 하부 중심에 설치된 회전 모터; 상기 회전 모터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행해 각각 연장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표적 연결부;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표적회전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준비된 다른 과녁구조물이 상기 표적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제어하는 표적 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격연습용 총기는 에어소프트 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에서 움직이는 과녁을 제공하여 사격 훈련이나 게임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며, 기존보다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총기를 이용하여 대중적인 사격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격 연습 시스템은, 대공 사격의 훈련이 가능함에 따라 군사 훈련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격 연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표적 연결 교체부와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적 연결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격 연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표적 연결 교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격 연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표적 연결 교체부와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적 연결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1000)은 드론(100), 컨트롤러(200) 및 사격연습용 총기(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론(100)은,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표적(10)이 연결되며, 표적(10)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컨트롤러(200)에 의해 무선 제어되어 비행하거나, 프로그래밍된 비행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비행할 수 있다. 드론(100)의 자동 비행 시 이륙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와 높이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비행하거나, 또는 해당 위치에서 상, 하, 좌, 우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일정하게 움직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론(100)은 드론 본체부(110), 제1 표적 연결 교체부(120) 및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론 본체부(110)는, 컨트롤러(200)와 양방향 무선 통신하며,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제어신호에 따라 비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론 본체부(110)는 드론(100)이 비행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나, 일반적인 드론과 달리, 드론 본체부(110)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제어신호에 따른 비행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정보는 컨트롤러(200)가 고도 상승, 고도 하강, 전진, 후진 등에 대한 비행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론 본체부(110)는 표적 감지 센서부(123)를 통해 표적(10)으로 적용된 풍선(1)이 명중된 시점에서 일정 시간 이전까지의 구간 내 기록된 비행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적 감지 센서부(123)가 00시00분에 풍선이 타격되었음을 감지하였다면, 해당 타격 시점을 기록하고, 타격시점부터 약 3 내지 5초 이전의 비행정보(고도상승, 고도하강, 전진, 후진 등)를 불러와 컨트롤러(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적 연결 교체부(120)는, 드론 본체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표적(10)과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명중되어 파손됨에 따라 다른 표적(10)으로 교체가 필요할 경우, 미리 연결된 다른 표적(10)을 표적 위치로 회전 이동시켜 표적 교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표적 위치란 드론(100)의 정면 아래쪽 공간일 수 있으며, 표적 위치가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드론(100)의 중심 하부일 수 있고, 후방 아래쪽일 수도 있으며, 드론의 상부일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표적 위치를 정면 아래쪽 공간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표적 연결 교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모터(121)와 표적 연결 장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적(10)으로는 풍선(1)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모터(121)는, 드론 본체부(110)의 하부 중심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 축이 표적 연결 장치부(1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모터(121)는 표적회전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표적 연결 교체부(120)를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시켜 표적(10)이 미리 지정된 표적 위치로 올 수 있도록 구동한다.
상기 표적 연결 장치부(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적 연결부(122a), 공기 주입 밸브(122b) 및 공기 압력 탱크(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적 연결부(122a)는 회전 모터(121)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방사선 형태로 각각 연장되어 회전 모터(12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모터(121)의 회전축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센터 축, 센터 축으로부터 방사선 형태로 외곽으로 뻗어 나가는 다수 개로 연결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대는 센터 축에 대하여 수직 형태로 절곡되거나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대가 방사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십자가 형태 앞뒤 또는 좌우 방향으로 뻗은 일자 형태 등으로도 변경 가능하다.
상기 공기 주입 밸브(122b)는 표적 연결부(122a)의 단부에 풍선(1)의 공기 주입이 각각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주입 밸브(122b)는 공기주입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공기 압력 탱크(122c)로부터 공급되는 소정 압력의 공기를 풍선(1)에 주입시킬 수 있다. 이때, 풍선(1)에 주입되는 양이 조절되도록 공기 주입 밸브(122b)의 개방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풍선(1)이 공기 주입 밸브(122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홀더가 풍선(1) 입구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압력 탱크(122c)는 공기 주입 밸브(122b)로 소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압력 탱크(122c)는 드론(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 충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결대 내부에 매립된 호스를 통해 공기 주입 밸브(122b)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130)는, 드론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표적 위치에 있는 표적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컨트롤러(200)로부터 표적교체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표적 연결 교체부(120)가 표적 교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적 감지 센서부(123) 및 표적 연결 장치 제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적 감지 센서부(131)는, 드론 본체부(110)에서 미리 정해 놓은 표적 위치를 향해 설치되어 해당 표적 위치에서 표적(10)으로서 이용하는 풍선(1)이 터트려졌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표적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로 정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드론(100)의 전방 하부를 지정함으로써 사격자가 해당 표적(10)이 드론(10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표적 감지 센서부(123)는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정 위치에서 사물이 존재 여부나 크기(면적) 감소를 인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적용 가능하다.
상기 표적 연결 장치 제어부(132)는, 표적 감지 센서부(131)를 통해 표적(10)으로 적용된 풍선(1)이 터트려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회전 모터(121)에 표적회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미리 준비된 다른 풍선이 표적 위치로 이동하도록 회전 모터(12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표적 연결 장치 제어부(132)는 공기 주입 밸브(122b)로 공기주입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표적 위치로 이동된 또는 이동중인 새로운 풍선(1)에 공기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공기 주입 밸브(122b)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드론(100)의 동작을 무선 제어할 수 있으며, 드론 자격증을 소지한 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미리 설정된 비행 가산점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드론 본체부(110)로부터 수신된 비행정보에 따른 명중 가산점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 가산점 기준정보는, 드론 본체부(110)가 이동속도가 높고 방향전환횟수가 많을수록 명중 가산점이 높게 책정될 수 있도록 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격자의 표적(10)을 명중하는 시점과 그 직전에 드론(100)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움직일수록 그리고 빠르게 승하강할수록 표적(10)을 명중시키기 어려움으로 이때 명중된 점수에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동속도와 방향전환횟수는 각기 다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동속도가 방향전환횟수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 받거나, 방향전환횟수가 이동속도에 의한 가산점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 받을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표적(10)이 드론(100)에 고정된 상태로도 사격이 가능하다. 즉, 드론(100)이 공중에서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의 사격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비행 가산점 기준정보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 받을 수 없다.
상기 사격연습용 총기(300)는 드론(100)의 비행 시 표적을 향해 사격연습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에어소프트 건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소프트 건 이외에 소비탄약에 의한 금액부담을 줄 일수 있고, 위험성이 없으며, 잔해물이 크게 남지 않은 연습용 총기면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격 연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표적 연결 교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달리 표적(10)을 풍선(1)이 아닌 과녁구조물(2)을 적용함에 따른 제2 표적 연결 교체부(140)에 대한 구성 차이가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과녁구조물(2)은 블록으로 조립된 판, 얇은 나무판 등을 적용하여 에어소프트 건의 총알이 타격되면 파손되어 명중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제2 표적 연결 교체부(140)는, 회전 모터(141), 표적 연결부(142) 및 표적 위치 제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141)는, 드론 본체부(110)의 하부 중심에 설치되며, 회전 축이 표적 연결 장치부(14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모터(141)는 표적회전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표적 연결 교체부(140)를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시켜 표적(10)이 미리 지정된 표적 위치로 올 수 있도록 구동한다.
상기 표적 연결부(142)는 회전 모터(141)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행해 각각 연장되어 회전 모터(12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모터(121)의 회전축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센터 축, 센터 축으로부터 방사선 형태로 외곽으로 뻗어 나가는 다수 개로 연결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대는 센터 축에 대하여 수직 형태로 절곡되거나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대가 방사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십자가 형태 앞뒤 또는 좌우 방향으로 뻗은 일자 형태 등으로도 변경 가능하다.
상기 표적 위치 제어부(143)는, 컨트롤러(200)로부터 표적회전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준비된 다른 과녁구조물이 표적 위치로 이동하도록 회전 모터(14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적 연결 교체부(140)는 컨트롤러(200)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으나, 과녁구조물(2)의 타격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표적 위치 제어부(143) 또는 회전 모터(141)로 출력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사격 연습 시스템
100: 드론
110: 드론 본체부
120: 제1 표적 연결 교체부
121: 회전 모터
122: 표적 연결 장치부
122a: 표적 연결부
122b: 공기 주입 밸브
122c: 공기 압력 탱크
130: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
131: 표적 감지 센서부
132: 표적 연결 장치 제어부
140: 제2 표적 연결 교체부
141: 회전 모터
142: 표적 연결부
143: 표적 위치 제어부
200: 컨트롤러
300: 사격연습용 총기
10: 표적
1: 풍선
2: 과녁구조물

Claims (7)

  1.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표적이 연결된 드론;
    상기 드론의 동작을 무선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드론의 비행 시 상기 표적을 향해 사격연습을 수행하기 위한 사격연습용 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사격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컨트롤러와 양방향 통신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비행제어신호에 따라 비행 동작을 수행하는 드론 본체부;
    상기 드론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표적의 교체 시 미리 연결된 다른 표적을 표적 위치로 회전 이동시켜 표적 교체 동작을 수행하는 표적 연결 교체부; 및
    상기 드론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적 위치에 있는 상기 표적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표적교체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적 연결 교체부가 표적 교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은 풍선을 포함하고,
    상기 표적 연결 교체부는,
    상기 드론 본체부의 하부 중심에 설치된 회전 모터;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방사선 형태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표적 연결부, 상기 표적 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풍선의 공기 주입이 각각 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기 주입 밸브, 및 상기 공기 주입 밸브로 소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력 탱크를 포함하는 표적 연결 장치부를 포함하고,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연결 교체 제어부는,
    상기 드론 본체부에서 상기 표적 위치를 향해 설치되어 상기 표적 위치에서 상기 풍선이 터트려졌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표적 감지 센서부; 및
    상기 표적 감지 센서부를 통해 상기 풍선이 터트려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회전 모터에 표적회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미리 준비된 다른 풍선이 상기 표적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공기 주입 밸브로 공기주입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표적 위치로 이동된 풍선에 공기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기 주입 밸브를 제어하는 표적 연결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본체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비행제어신호에 따른 비행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표적 감지 센서부를 통해 표적이 명중된 시점에서 일정 시간 이전까지의 구간 내 기록된 비행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비행 가산점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 본체부로부터 수신된 비행정보에 따른 명중 가산점을 산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비행 가산점 기준정보는,
    상기 드론 본체부가 이동속도가 높고 방향전환횟수가 많을수록 명중 가산점이 높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은 과녁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표적 연결 교체부는,
    상기 드론 본체부의 하부 중심에 설치된 회전 모터;
    상기 회전 모터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행해 각각 연장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표적 연결부;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표적회전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준비된 다른 과녁구조물이 상기 표적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제어하는 표적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격연습용 총기는 에어소프트 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KR1020200013103A 2020-02-04 2020-02-04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KR10231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103A KR102312181B1 (ko) 2020-02-04 2020-02-04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103A KR102312181B1 (ko) 2020-02-04 2020-02-04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54A true KR20210099354A (ko) 2021-08-12
KR102312181B1 KR102312181B1 (ko) 2021-10-13

Family

ID=7731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103A KR102312181B1 (ko) 2020-02-04 2020-02-04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09A (ko) 2022-03-04 2023-09-12 우순 탄좌표 추정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1378A (ko) 2022-03-04 2023-09-13 우순 탄두회수 기능을 겸비한 드론타겟 엄폐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97U (ko) * 1988-07-01 1990-01-30
KR950027358A (ko) * 1994-03-24 1995-10-16 현상수 사격 연습용 유동성 풍선표적 연속 발사장치
JP3132905U (ja) * 2007-04-13 2007-06-21 株式会社ブイオーシーダイレクト エアガンの標的箱
KR20180067801A (ko) 2016-12-13 2018-06-21 강종진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960341B1 (ko) 2018-10-18 2019-03-20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드론 기반 사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2059180B1 (ko) * 2019-03-25 2019-12-24 한국드론교육협동조합 드론 지상 관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905B2 (ja) * 1992-07-10 2001-02-05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チ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97U (ko) * 1988-07-01 1990-01-30
KR950027358A (ko) * 1994-03-24 1995-10-16 현상수 사격 연습용 유동성 풍선표적 연속 발사장치
JP3132905U (ja) * 2007-04-13 2007-06-21 株式会社ブイオーシーダイレクト エアガンの標的箱
KR20180067801A (ko) 2016-12-13 2018-06-21 강종진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960341B1 (ko) 2018-10-18 2019-03-20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드론 기반 사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2059180B1 (ko) * 2019-03-25 2019-12-24 한국드론교육협동조합 드론 지상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181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8966A1 (en) A method of recognizing objects in a shooter game for remote-controlled toys
US20030091960A1 (en) Firearm las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n actuable target assembly
US7306523B1 (en) Etroops infrared shooting game
US6609945B2 (en) Radio-controlled toy blimp with infrared beam weapons for staging a gun battle
US7704119B2 (en) Remote control game system with selective component disablement
CN106964157A (zh) 射击模拟游戏系统
US20080194337A1 (en) Hunting Game Having Human And Electromechanical Players
US20160184698A1 (en) An interactive laser tag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312181B1 (ko)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CN110772782A (zh) 一种无人机虚拟空战娱乐系统
US8777226B1 (en) Proxy target system
US20190126135A1 (en) Interactive laser tag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7441713A (zh) 一种可实现精准射击的遥控系统
CN210822764U (zh) 一种无人机投弹娱乐系统
CN110667848A (zh) 一种无人机投弹娱乐系统
KR102361694B1 (ko)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KR101715114B1 (ko) 빔 발사 잠금 기능을 갖는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EP1290397A2 (en) Firearm las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n actuable target assembly
US20200298134A1 (en) Iot interactive magnetic smart modular toy
KR101592501B1 (ko) 비비탄용 사격 시스템
RU81793U1 (ru) Мет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митации боевых действий и метательный снаряд для имитации боевых действий
KR102543145B1 (ko) 4d 스크린 사격 세트장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US11759717B2 (en) Extended-reality projectile-firing gaming system and method
RU4708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тания объектов (варианты), объект для метания (варианты) и головная часть объекта для метания (варианты)
KR20220061434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활용 서바이벌 게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