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122A -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122A
KR20210099122A KR1020217021544A KR20217021544A KR20210099122A KR 20210099122 A KR20210099122 A KR 20210099122A KR 1020217021544 A KR1020217021544 A KR 1020217021544A KR 20217021544 A KR20217021544 A KR 20217021544A KR 20210099122 A KR20210099122 A KR 20210099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sitioning
ind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567B1 (ko
Inventor
예 쓰
펑 쑨
웨이 바오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을 공개한다. 상기 방법은,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
본 발명은 통신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관련 청구의 교차 인용>
본 출원은 2019년 1월 4일에 중국에서 출원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0007943.X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두 가지 위치 요청(Location Request)을 지원한다. 하나는 즉시 위치 요청(Immediate Location Request)이고, 다른 하나는 지연된 위치 요청(Deferred Location Request)이다. 여기서, 즉시 위치 요청은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s, LCS)를 제공하는 서버가 위치 요청을 수신한 후 포지셔닝 결과를 LCS 클라이언트(client)에 즉시 회신하는 것을 요구한다. 지연된 위치 요청은 LCS 서버가 위치 요청을 수신한 후의 특정 시간에 응답(response)을 회신하는 것을 요구한다. 여기서, 지연된 위치 요청은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를 트리거하고,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는 주기적 이벤트(Periodic location event), 영역 이벤트(Area event), 모션 이벤트(Motion event) 및 단말 가용(available) 이벤트로 구분된다.
여기서, 주기적 이벤트는 주기적으로 위치 보고를 개시 또는 취소한다. 즉, 요청된 주기에 근거하여 소정 시간 간격으로 위치 보고를 1회씩 트리거한다.
영역 이벤트는 단말이 자체가 지정된 타겟 영역 범위에 진입하거나 이탈하거나 위치하는 것을 검출할 경우 네트워크와 함께 완전한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1회 완료하고, LCS 서버는 타겟 단말의 위치를 1회 보고한다. 영역 이벤트인 경우, 타겟 영역은 지리적 영역, 공용 지역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 국가 코드 또는 지정학적 위치 명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모션 이벤트는 단말이 자체가 그 전의 위치로부터 사전 정의된 선형 거리 이상으로 이동했음을 검출할 경우 네트워크와 함께 완전한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1회 완료하고, LCS 서버는 타겟 단말의 위치를 1회 보고한다. 해당 프로세스는 이벤트 보고를 중단하지 않고 서로 다른 서비스 이동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와 서로 다른 서비스 PLMN 간의 단말 이동성을 지원한다.
단말 가용 이벤트는 사용자의 비활동, 무선전신 연결 끊김 또는 가입자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분리 등으로 인해 단말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 단말의 위치에 대한 보고를 지연할 수 있다. 단말 가용 이벤트는 단말이 검출 이벤트에 참여할 필요가 없고, 이벤트를 통해 트리거된 포지셔닝 동작이 없다.
위의 주기적 이벤트, 영역 이벤트 및 모션 이벤트는 단말이 검출 이벤트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은 포지셔닝을 트리거하는 이벤트 정보와 관련 보조 정보, 예컨대 영역 이벤트 중의 영역 정보, 주기적 이벤트 중의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해야 한다.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단말은 유휴(idle) 상태에 진입할 수 있고, idle 상태에서 단말은 대부분의 시간에 휴면 상태에 처해 있으며, 하향링크에서 주기적으로 각성되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은 비활성화(inactive) 상태에 진입할 수 있고, inactive 상태에서 단말은 UE가 유휴 상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휴면하는 것을 허용하며,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과 핵심망 측의 연결을 유지하여 빠르게 연결 상태에 진입한다. 그러나 단말은 idle 상태 또는 inactive 상태에 관계없이 주기적 이벤트,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를 검출한 후 MME와의 연결을 확립해야 한다. 즉, 연결(connected) 상태로 회복하여 포지셔닝 관련 정보를 보고하고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많은 정보를 보고해야 하고, 또 보고할 때마다 connected 상태에 진입해야 하는 경우, 특히 주기적 포지셔닝(예컨대 주기적 이벤트)인 경우 단말은 매번 주기 도달을 검출할 때마다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완전한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1회 수행해야 하고, 이벤트 트리거형(예컨대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 포지셔닝인 경우 단말은 최대 보고 간격이 도달할 때마다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완전한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1회 수행해야 하면 단말의 많은 전력 소비를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하여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포지셔닝 과정을 수행하는 단말에 많은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1 방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방면으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방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포지셔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방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포지셔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주기 도달 시 또는 최대 보고 간격 도달 시마다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완전한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1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 정보를 통해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창조적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런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적용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태내는 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MME 간의 시그널링 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모듈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설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비록 도면에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여러가지 형식으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고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이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철저하게 이해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온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 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기술하는 데 사용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포함되다' 및 '가지다' 및 그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성 포함을 설명하려는 목적이다.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명확히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하지 않고, 명확히 열거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기술은 미래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LTE의 진화된(LTE-Advanced, LTE-A)) 시스템에만 한하지 않고, 이를테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운반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시스템', '네트워크'란 용어는 종종 같은 의미로 서로 교환되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위에 언급된 시스템과 무선전신 기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과 무선전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NR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고, 아래 대다수의 설명에서 NR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기술은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설명 내용은 예시만 제공했을 뿐이고 청구 범위에 제시된 범위, 적용 가능성 또는 구성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논의된 요소의 기능 및 배열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예시에서는 여러 가지 절차나 구성 요소를 적당하게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여기서 설명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약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11과 네트워크 장치 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11은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라고 지칭할 수도 있으며, 단말 11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모바일 인터넷 기기(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차량탑재 단말기 등 단말측 장치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단말 11의 구체적 유형에 대하여 한정을 아니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장치 12는 기지국 또는 핵심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5G 및 그 후 버전의 기지국(예: gNB, 5G NR NB 등)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 중의 기지국(예: eNB, 무선랜(WLAN)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노드 B, 진화된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전신 기지국, 무선전신 송수신기, 베이직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진화된 B 노드(eNB), 홈 B 노드, 홈 진화된 B 노드, WLAN 액세스 포인트, WiFi 노드 또는 상기 영역에서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할 수 있으며,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만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 기술적 어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NR 시스템 중의 기지국만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기지국의 구체적 유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하에 단말 11과 통신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예시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핵심망이나 일부 기지국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일부 기지국은 백홀을 통해 핵심망과 제어 정보나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이러한 기지국들 중 일부는 백혹 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백혹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일 수 있다 .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반송파(다양한 주파수의 파형 신호)에서의 동작을 지원한다. 멀티 캐리어 송신기는 이러한 다수의 반송파에서 동시에 변조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통신 링크는 다양한 무선전신 기술에 따라 변조된 다중 반송파 신호일 수 있다. 변조된 신호마다 서로 다른 반송파에서 송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예컨대 참조 신호, 제어 채널 등), 오버 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휴대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안테나를 통해 단말 11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마다 각각 해당되는 커버리지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은 해당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 만을 구성하는 섹터로 나눌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유형의 기지국(예컨대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피코셀)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룰러 또는 WLAN 무선전신 액세스 기술과 같은 다양한 무선전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동일하거나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통신사의 배치와 연관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유형의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무선전신 기술을 적용한 커버리지 영역, 또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에 속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함)은 중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링크는 상향링크(Uplink, UL) 전송(예컨대, 단말 11에서 네트워크 장치 12로)을 적재하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Downlink, DL) 전송(예컨대, 네트워크 장치 12에서 단말 11로)을 적재하는 하향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UL 전송은 역방향 링크 전송이라고도 지칭할 수 있고, DL 전송은 순방향 링크 전송이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5G 시스템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유휴 상태, 비활성화 상태 및 연결 상태 이 세 가지 상태를 지원한다. 여기서, 유휴 상태인 경우,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 측에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콘텍스트가 없다. 바꾸어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 측과 단말 간의 통신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어느 특정 셀에 속하지 않고, 네트워크 장치 측은 해당 단말의 존재 여부를 모른다. 단말에 한 조의 트래킹 영역 식별자(Tracking area identifier, TAI) 목록(list)이 할당된다. 핵심망의 관점으로부터 볼 때, RAN측과 핵심망의 연결은 이미 끊어졌다.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단말은 대다수의 시간에서 휴지 상태에 처해 있으므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할 수 없다. 하향링크에서, 유휴 상태에 처한 단말은 주기적으로 각성되어 네트워크 장치 측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있는 경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성(Mobility)은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함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유휴 상태에서,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측은 상향링크 동기화를 유지하지 않으며, 유휴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진입하려면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통해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측에서 RRC 컨텍스트를 확립할 수 밖에 없다.
연결 상태에서,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는 RRC 컨텍스트를 확립할 수 있고, 통신에 필요한 모든 파라미터는 양자에게 알려져 있다. 핵심망의 관점으로부터 볼 때, 단말은 핵심망 연결 상태에 처한다. 단말이 소속된 셀은 이미 알려져 있고,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간에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식별자 즉,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C-RNTI)는 이미 구성되었다.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패킷의 데이터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버스트이기 때문에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이 없을 때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기술을 적용하여 단말의 수신 회로를 닫는 것을 통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연결 상태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RRC 컨텍스트가 설정되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DRX 상태에서 나가 데이터 송신/수신을 시작한다. 연결 상태에서, 이동성(Mobility)은 네트워크 장치 측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단말은 네트워크에 인접 셀의 측정 값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에 핸드오버(handover)의 수행을 명령한다. 상향링크 시간 동기화는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랜덤 액세스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동기화를 확립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에서, 네트워크측과 단말측의 RRC 콘텍스트가 유지되었다. 핵심망의 관점으로부터 볼 때, RAN측과 핵심망은 연결 상태에 처한다. 따라서, 비활성화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전환하는 속도가 빠르고 핵심망 시그널링이 필요하지 않는다. 동시에, 단말이 유휴 상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휴지하고, 셀 재선택을 통해 이동성을 처리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비활성화 상태는 유휴 상태와 연결 상태의 혼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측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1: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해당 구성 정보는 사전설정 시점에 단말의 검출 조건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사전설정 시점은 포지셔닝 (positioning) 이벤트와 관련되고, 특히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와 관련된다.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는 지연된 위치 요청에 의해 트리거된다.
단계 22: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여기서, 사전설정 시점은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 - 예컨대 포지셔닝 이벤트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보고 시점 - 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필요가 없음을 확인한 경우, 불필요한 포지셔닝 프로세스의 실행을 줄일 수 있으며, 단말의 절전에 유리하다.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한 경우, 필요한 포지셔닝 프로세스의 실행을 놓치지 않으며,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사전설정 시점은 주기적 이벤트에 대응하는 주기, 또는 트리거형 이벤트에 대응하는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자면, 사전설정 시점은 아래 시점 중의 하나이다.
주기적 이벤트인 경우, 네트워크 장치 측은 단말이 다음 주기가 도달할 때 검출을 1회 수행하여 단말의 연결 상태 진입 여부 즉,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 개시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에 지시한다.
트리거형 이벤트인 경우, 네트워크 장치 측은 단말이 최대 보고 간격 도달 시점에 검출을 1회 수행하여 단말의 연결 상태 진입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에 지시한다. 트리거형 이벤트인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에 최소 보고 간격 및 최대 보고 간격을 구성함을 지적할 만하다. 단말은 마지막 보고 후의 최소 보고 간격 및 최대 보고 간격 사이의 시간대에 해당되는 트리거형 이벤트가 단말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만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에 연결 상태 진입 여부에 대한 검출을 1회 수행한다.
여기서, 트리거형 이벤트는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에 따라 트리거된다. 진일보로, 트리거형 이벤트는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를 포함하며, 영역 이벤트와 모션 이벤트는 각자의 최대 보고 간격에 대응한다.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인 경우, 네트워크 장치 측은 단말이 연결 상태에 진입하였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에 검출을 1회 수행하도록 단말에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최소 보고 간격 및 최대 보고 간격 사이의 시간대에서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가 단말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단말은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다음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 시간대에서 단말은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를 검출하지 못하면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에 연결 상태 진입 여부를 더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계 22는 사전설정 시점에 구성 정보 중의 검출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충족하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는 단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즉, 단말은 수신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해당 조건을 검출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검출 조건은,
마지막 포지셔닝 이후 단말이 이동한 거리가 제1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 - 단말은 마지막 포지셔닝 보고 위치와 현재 위치 간에 이동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아주 작은 이동이 발생하였거나 이동한 거리가 네트워크 장치 측의 제1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을 검출하되, 해당 검출 조건에서 단말은 오로지 자체의 이동을 통해 판단하고, 단말은 자체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 지를 모르지만 이전의 위치에 비해 얼마 이동했는 지를 알 수 있음 - ;
단말의 현재 위치 추정값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추정값(예컨대 GPS, 블루투스 등 수단을 통해 획득함) 간의 변화량이 제2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 - 단말은 현재 위치의 추정값이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추정값에 비해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변화가 아주 작거나 변화의 범위가 네트워크 장치 측의 제2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을 검출함 - ;
단말의 현재 위치 측정량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측정량 간의 변화량이 제3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 - 단말은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를 측정하여 현재 위치 측정량이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측정량에 비해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변화가 아주 작거나 변화의 범위가 네트워크 장치 측의 제3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을 검출함 - ;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 조건에서 위치 측정량은,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 측이 브로드캐스트한 하향링크 포지셔닝 보조 정보 또는 사전에 연결 상태에서 송신한 하향링크 포지셔닝 보조 정보에 근거하여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하향링크 포지셔닝 참조 신호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량은 관측 도착 차등 시간(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포지셔닝 중의 기준 신호 시간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다른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단말은 OTDOA 포지셔닝 중 RSTD의 변화에 근거하여 제3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기준 신호는 포지셔닝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채널 상태 지시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자원 집합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일보로, 단계 22 이후에,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음을 결정한 경우,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다음 지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한다.
단말이 이동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1개 지시 비트를 포함한다. 단말은 자체의 위치, 위치 추정값 또는 위치 측정량이 마지막 포지셔닝 보고 시에 비해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검출한 경우 이동이 발생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한 1bit 정보를 보고한다.
단말의 위치 차분 정보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선택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N개 지시 비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단말이 자체의 위치, 위치 추정 또는 위치 측정 정보에 변화가 발생했지만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 자체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단말은 위치의 변화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N bit의 위치 차분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이 보고한 것이 위치 추정 차분값과 같은 N bit의 위치 차분 정보인 경우, 이 N bit 정보는, 단말의 현재 위치 추정에 따른 모든 차원(3차원 또는 2차원)의 좌표값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추정에 따른 모든 차원의 좌표값의 차이가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 정의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단말은 N bit 정보를 보고하여 단말 위치 추정값의 변화 상황을 네트워크 장치에 알린다. N bit 정보는 각 차원의 좌표값의 양 및 음 정보, 각 차원의 좌표값 차이 절대값에 대응하는 bit 양자화 값을 포함한다.
단말의 포지셔닝 측정 정보의 차분값을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 단말이 자체의 위치, 위치 추정 또는 위치 측정 정보에 변화가 발생했지만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 측이 브로드캐스트한 하향링크 포지셔닝 보조 정보 또는 사전에 연결 상태에서 송신한 하향링크 포지셔닝 보조 정보에 근거하여 비활성화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하향링크 포지셔닝 참조 신호에 대해 측정을 수행한다. 그 다음, 단말은 측정 정보 변화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N bit 포지셔닝 측정 정보(예컨대 RSTD 양자화 값)의 차분값을 보고한다. 단말이 보고한 것이 N bit의 RSTD 양자화 값 차분 정보인 경우, 이 N bit 정보는, 모든 정보의 RSTD 양자화 값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 측정한 모든 RSTD 양자화 값의 차이가 임계값 Y보다 작거나 임계값 Y와 같은 경우, 단말은 N bit 정보를 보고하여 단말 위치 추정값의 변화 상황을 네트워크 장치에 알린다. N bit 정보는 RSTD 값의 양 및 음의 정보, RSTD 값의 개수 정보(예컨대 1회 측정에 필요한 RSTD 값의 개수) 및 각 RSTD 값의 절대값에 대응하는 bit 양자화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를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랜덤 액세스 과정은 경쟁적 프리앰블(preamble)에 기반하여 개시되는 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일 수 있고, 비경쟁적 프리앰블에 기반하여 개시되는 비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를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비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 1(Message 1, Msg1)을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말은 비경쟁적 preamble을 이용하여 RACH를 개시하고, Msg1 중의 preamble 그룹핑을 통해 1bit 또는 N bit를 묵시적으로 보고한다.
또는,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를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 3(Message 3, Msg3)을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말은 경쟁적 preamble을 이용하여 RACH를 개시하고, RACH의 Msg3에서 1bit 또는 N bit를 보고한다.
진일보로,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다음으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후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메시지 2(Message 2, Msg2)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원래 상태 즉,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복귀한다. 또는, 단말은 메시지 4(Message 4, Msg4)를 수신하고, Msg3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됨을 확인하면 원래 상태 즉,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복귀한다.
다른 한 방명으로,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데이터 패킷을 통해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단말이 비활성화 상태에 처해 있다면, 비활성화된 소형 데이터 패킷을 통해 1bit 또는 N bit 정보를 휴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단계 21은,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NAS에서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와 관련되는 시그널링, 예컨대 LCS 주기적 트리거 이벤트 호출(Periodic-Triggered Event Invoke) 시그널링 또는 다른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방법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1: MME와 단말 간의 연결을 확립하고, 단말이 접근 불능(not reachable) 상태, 예컨대 절전모드인 경우 MME는 단말의 접근 가능(reachable) 상태를 기다리고, 단말이 접근 가능 상태이면, MME는 페이징, 인증 및 암호화(paging, authentication and ciphering)를 수행한다. MME는 지연된 위치 요청(deferred location request)의 활성화 및 유형, 그리고 개인정보 검증이 필요한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LCS 위치 알림 호출(Location Notification Invoke) 시그널링을 단말에 송신한다.
단계 32: MME는 LCS 주기적 트리거 호출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이벤트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해당 관련 정보는 방문자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Visitor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V-GMLC)로부터 수신한 모든 이벤트 관련 정보, LDR 기준 번호(number), 홈 방문자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Home Visitor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H-GMLC) 주소, 보고된 PLMN 목록 및 위치 추정이 필요한 어떤한 요청의 QoS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주기적 트리거 호출 시그널링은 또 단말이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3: 단말이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를 검출한다(detect event). 여기서 말하는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는 주기적 이벤트,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를 포함한다.
단계 34: 단말이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를 검출하면 단말과 MME의 연결을 확립하고, 단말은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의 관련 정보를 MME에 송신한다. 단말은 보고 유형, LDR 기준 번호, H-GMLC 주소, 위치 추정 필요 여부, 위치 추정 값, 이번 보고 후 위치 요청 종료 여부를 MME에 송신해야 한다.
단계 35: 단말이 지연된 포지셔닝 이벤트를 검출하지 못하면, 사전설정 시점에 구성 정보 중의 검출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단계 36: 충족하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는다.
단계 37: 충족하지 않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그 다음의 포지셔닝 프로세스 즉, 단계 34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방법에서, 단말은 주기 도달 시 또는 최대 보고 간격 도달 시마다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완전한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1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 정보를 통해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서의 포지셔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이에 대응하는 단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 400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단계; 를 구현하여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 400은 구체적으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410;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420; 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전설정 시점은 주기적 이벤트에 대응하는 주기, 또는 트리거형 이벤트에 대응하는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을 포함한다.
여기서, 트리거형 이벤트는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에 따라 트리거된다.
여기서, 트리거형 이벤트는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를 포함하며, 영역 이벤트와 모션 이벤트는 각자의 최대 보고 간격에 대응한다.
여기서 처리 모듈 420은,
사전설정 시점에 구성 정보 중의 검출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서브 모듈;
충족하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여기서, 처리 모듈 420은 또,
충족하지 않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 조건은,
마지막 포지셔닝 이후 단말이 이동한 거리가 제1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것;
단말의 현재 위치 추정 값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추정 값 간의 변화량이 제2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
단말의 현재 위치 측정량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측정량 간의 변화량이 제3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400은 또,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보고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이 이동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단말의 위치 차분 정보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단말의 포지셔닝 측정 정보의 차분값을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시 정보는 1개 지시 비트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비트는 N개 지시 비트를 포함하며,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여기서, 보고 모듈은,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를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1 보고 서브 모듈;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데이터 패킷을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2 보고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보고 서브 모듈은,
비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 1을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1 보고 유닛;
또는,
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 3을 통해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2 보고 유닛; 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400은 또,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후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복귀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 모듈 410은,
비접속 계층(NAS)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주기 도달 시 또는 최대 보고 간격 도달 시마다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완전한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1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 정보를 통해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할 만하다.
상기 단말의 각 모듈의 분할은 논리적 기능의 분할일 뿐이며 실제로 구현할 때는 한 물리적 실체에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런 모듈은 모두 소프트웨어로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모두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부 모듈은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하고, 일부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정 모듈은 별도로 설정된 프로세싱 소자일 수 있고, 상기 장치의 특정 칩에 통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상기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장치의 어느 한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호출되어 상기 결정 모듈의 기능를 수행할 수도 있다. 기타 모듈의 구현도 이와 유사하다. 또한 이러한 모듈은 전부 또는 일부를 하나로 통합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한 프로세싱 소자는 신호 처리 기능이 있는 집적회로일 수 있다.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 또는 상기 각 모듈은 프로세싱 소자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특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이다. 또 예컨대, 상기 모듈 중 하나가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될 때, 해당 프로세싱 소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는 기타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예컨대, 이러한 모듈은 하나로 통합되어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더 잘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해당 단말 50은 무선 주파수 장치 51, 네트워크 모듈 52, 오디오 출력 장치 53, 입력 장치 54, 센서 55, 디스플레이 장치 56, 사용자 입력 장치 57, 인터페이스 장치 58, 메모리 59, 프로세서 510, 전원 511 등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에 숙련된 자는 도 5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중, 무선 주파수 장치 51은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 510은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경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주기 도달 시 또는 최대 보고 간격 도달 시마다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완전한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1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 정보를 통해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 5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 510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 5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이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 5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 52를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53은 무선 주파수 장치 51 또는 네트워크 모듈 52가 수신하거나 메모리 5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 53은 단말 5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자면,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53에는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이 포함된다.
입력 장치 5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입력 장치 5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541과 마이크로폰 54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 541은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 5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 5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 59(또는 기타 기억 매체)에 저장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 51 또는 네트워크 모듈 5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542는 소리를 수신하고 그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 5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5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5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광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중, 주변광 센서는 주변 광선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5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단말 50이 귀 가까이 이동할 때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 5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동작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이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사이의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 5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자이로미터,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5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5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561이 포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 5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 5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 57에는 터치 패널 571과 기타 입력 장치 572가 포함된다. 터치 패널 5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지칭하며, 그 위 또는 근처에서 진행되는 터치 동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 5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 571 근처에서 진행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 5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제어 장치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동작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고, 이 신호를 터치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터치 제어 장치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한 후 다시 프로세서 5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 510에서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터치 패널 571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 57은 터치 패널 571 외에도 기타 입력 장치 5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 572에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를 들어 볼륨 조절 버튼, 전원 켜기/끄기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진일보로, 터치 패널 571은 디스플레이 패널 561의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 5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 5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 510은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5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5에서 터치 패널 571과 디스플레이 패널 561은 두 개의 독립 부품으로 단말 장치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 571과 디스플레이 패널 561을 통합하여 단말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 58은 외부 장치와 단말 5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인식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 58은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또는 전력 등)을 수신하여 단말 50 내부에 있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요소에 수신한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단말 5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5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5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59는 고속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510은 단말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통해 단말의 모든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메모리 5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 5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510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 510에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5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 5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5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 5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 5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5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단말에는 프로세서 510, 메모리 59, 그리고 메모리 59에 저장되는 동시에 프로세서 5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 5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포지셔닝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어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단말은 무선 단말일 수 있고 유선 단말 일 수도 있으며,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기타 서비스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고, 무선 연결 기능이 있는 휴대형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어 있은 기타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핵심망과 통신할 수 있고, 무선 단말은 휴대폰(또는 '셀룰러' 전화라고 함)과 같은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일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형, 포켓형, 핸드형, 컴퓨터에 내장형 또는 차량탑재형 이동 장치일 수도 있다. 예컨대,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수화기,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이 있다. 무선 단말은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지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지국(Remote Station), 원격 단말기(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기(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장치(User Device or User Equipment)라고 지칭할 수 있고 여기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포지셔닝 방법 실시예의 여러 단계가 구현되어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는 자세한 내용에 대해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이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결부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식으로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실행되는 지는 기술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의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소개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프로세스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장치와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이상 설명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컨대 상기 유닛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일 뿐 실제로 구현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이나 모듈은 서로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할 부품으로 소개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의 여러 기능 유닛은 한 개의 처리 장치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한 개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은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이 기술적 솔루션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한 개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개의 명령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디스크, ROM, RAM, 디스켓 또는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기타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에서 각 부품 또는 각 단계가 분해 및/또는 재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지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발명의 등가 솔루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된 순서에 따라 시간순으로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순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 단계는 병렬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인 경우,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의 모든 또는 임의의 단계나 부품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함) 또는 컴퓨팅 장치의 네트워크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설명에 기반하여 그들의 기본 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개된 이러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을 위한 처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또는 그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의 모듈(예컨대 프로세스, 함수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구현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한 세트의 프로그램 그룹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공지된 범용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방법 또는 장치의 프로그램 코드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만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을 구성하였고,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도 본 발명을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저장 매체는 공지된 저장 매체이거나 미래에 개발될 그 어떠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에서 각 부품 또는 각 단계가 분해 및/또는 재조합될 수 있다는 것도 분명히 지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발명의 등가 솔루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된 순서에 따라 시간순으로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순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일부 단계는 동시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선택적인 구현 방식이고 본 기술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게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개선 및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개선 및 보완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Claims (28)

  1. 단말에 적용되는 포지셔닝 방법으로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서,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 시점은 주기적 이벤트에 대응하는 주기, 또는 트리거형 이벤트에 대응하는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형 이벤트는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에 따라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형 이벤트는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를 포함하되, 상기 영역 이벤트와 상기 모션 이벤트는 각자의 최대 보고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전설정 시점에 상기 구성 정보 중의 검출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충족하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중의 검출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충족하지 않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조건은,
    마지막 포지셔닝 이후 상기 단말이 이동한 거리가 제1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것;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추정 값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추정 값 간의 변화량이 제2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측정량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측정량 간의 변화량이 제3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이동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위치 차분 정보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포지셔닝 측정 정보의 차분값을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1개 지시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시 비트는 N개 지시 비트를 포함하며, N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를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데이터 패킷을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를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비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 1을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 3을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를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이후에,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후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비접속 계층(NAS)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방법.
  14. 단말로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설정 시점에 연결 상태에 진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 시점은 주기적 이벤트에 대응하는 주기, 또는 트리거형 이벤트에 대응하는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형 이벤트는 최대 보고 간격의 도달 시점에 따라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형 이벤트는 영역 이벤트 또는 모션 이벤트를 포함하되, 상기 영역 이벤트와 상기 모션 이벤트는 각자의 최대 보고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사전설정 시점에 상기 구성 정보 중의 검출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서브 모듈;
    충족하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충족하지 않는 경우, 연결 상태에 진입하여 포지셔닝 프로세스를 완료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조건은,
    마지막 포지셔닝 이후 상기 단말이 이동한 거리가 제1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것;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추정 값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추정 값 간의 변화량이 제2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측정량과 마지막 포지셔닝 시의 위치 측정량 간의 변화량이 제3 사전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14항에 있어서,
    연결 상태에 진입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보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이동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위치 차분 정보를 지시하는 제2 지시 정보;
    상기 단말의 포지셔닝 측정 정보의 차분값을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1개 지시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시 비트는 N개 지시 비트를 포함하며, N은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모듈은,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를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1 보고 서브 모듈;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데이터 패킷을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2 보고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고 서브 모듈은,
    비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 1을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1 보고 유닛;
    또는,
    경쟁적 랜덤 액세스 과정 중의 메시지 3을 통해 상기 지시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2 보고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5. 제23항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후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복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비접속 계층(NAS)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의한 포지셔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의한 포지셔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1544A 2019-01-04 2019-12-13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 KR102565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07943.X 2019-01-04
CN201910007943.XA CN111278088B (zh) 2019-01-04 2019-01-04 定位方法及终端
PCT/CN2019/125031 WO2020140725A1 (zh) 2019-01-04 2019-12-13 定位方法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122A true KR20210099122A (ko) 2021-08-11
KR102565567B1 KR102565567B1 (ko) 2023-08-11

Family

ID=7099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544A KR102565567B1 (ko) 2019-01-04 2019-12-13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29443A1 (ko)
EP (1) EP3908012A4 (ko)
JP (1) JP7346574B2 (ko)
KR (1) KR102565567B1 (ko)
CN (1) CN111278088B (ko)
WO (1) WO2020140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32266A1 (en) * 2020-07-17 2023-07-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reporting location measurement data, and storage medium
GB2597535B (en) * 2020-07-28 2022-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R positioning in RRC idle/inactive state
CN114071672A (zh) * 2020-08-07 2022-02-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终端及基站
CN114390557A (zh) * 2020-10-21 2022-04-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数据传输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116157A1 (en) * 2020-12-04 2022-06-09 Nokia Shanghai Bell Co., Ltd. Receiving data in rrc idle/inactive state
CN114666020A (zh) * 2020-12-23 2022-06-2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定位指示方法及设备
CN114666875A (zh) * 2020-12-23 2022-06-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定位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16762367A (zh) * 2021-01-29 2023-09-15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的方法和装置
CN115996448A (zh) * 2021-10-18 2023-04-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定位处理方法及装置
CN114234982B (zh) * 2021-12-20 2024-04-16 中南大学 基于方位角定位的三维轨迹规划方法、系统、设备及介质
WO2024065827A1 (zh) * 2022-09-30 2024-04-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位置发送方法及装置、网络指示方法及装置、以及介质
CN116318600B (zh) * 2023-05-19 2023-08-22 广州世炬网络科技有限公司 终端位置检测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7730A1 (en) * 2010-02-12 2011-08-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measurements
KR20140097427A (ko) * 2011-11-23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내정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105498A (zh) * 2016-02-22 2017-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29B1 (ko) 2006-09-20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상태 이동 단말의 이동에 따른위치 정보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US8872701B2 (en) 2011-09-21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based determination to perform a ranging procedure
JP2014232940A (ja) 2013-05-28 2014-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
MX2018001609A (es) 2015-08-07 2018-05-11 Sharp Kk Dispositivo terminal, entidad de gestion de modalidad (mme), me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 para dispositivo terminal y me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 para entidad de gestion de modalidad (mme).
CN107370573B (zh) * 2016-05-12 2022-10-1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CN107371264B (zh) * 2016-05-12 2019-08-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US11678291B2 (en) * 2016-08-21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 of loc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CN116406029A (zh) * 2016-09-30 2023-07-0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户设备ue状态的核心网络意识
CN114143714A (zh) 2016-11-07 2022-03-04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以启用移动装置的组合周期及触发定位的系统及方法
WO2018141087A1 (zh) * 2017-02-03 2018-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方法、定位装置及基站
US10080098B1 (en) 2017-10-25 2018-09-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high efficiency transport of 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7730A1 (en) * 2010-02-12 2011-08-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measurements
KR20140097427A (ko) * 2011-11-23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내정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105498A (zh) * 2016-02-22 2017-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方法和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23.271 v15.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8012A1 (en) 2021-11-10
US20210329443A1 (en) 2021-10-21
CN111278088B (zh) 2022-02-01
WO2020140725A1 (zh) 2020-07-09
EP3908012A4 (en) 2022-02-23
JP2022515454A (ja) 2022-02-18
JP7346574B2 (ja) 2023-09-19
CN111278088A (zh) 2020-06-12
KR102565567B1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567B1 (ko) 포지셔닝 방법 및 단말
US20210360736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onfiguration method and terminal
JP2021519005A (ja) 下りチャネルの受信方法、送信方法、端末及び基地局
WO2019154270A1 (zh) 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13497687B (zh) Srs的发送、配置及测量方法、定位方法及设备
KR20220137069A (ko) 측위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KR102613437B1 (ko) 상향 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JP2021520129A (ja) チャネル伝送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US11502737B2 (en) Beam failure recovery method in multi-carrier system and apparatus
KR102503267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WO2020001260A1 (zh) 测量配置方法、测量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
US20210076245A1 (en) Measurement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KR20210111846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단말
KR20220153077A (ko) Gap 구성 방법, UE 및 네트워크 장치
KR102573527B1 (ko) 신호 리소스 측정 방법 및 단말
JP7173669B2 (ja) 干渉報告制御方法およびユーザ機器
KR102502462B1 (ko) 측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기기
EP3547752B1 (en) Cell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WO2020140725A5 (ko)
US2023022479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503574B2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terminal
CN111132218A (zh) 配置信息处理方法、设备及系统
KR20220164018A (ko) 상태 통지 방법, 기기 및 시스템
KR20210108437A (ko)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