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437A -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437A
KR20210108437A KR1020217023289A KR20217023289A KR20210108437A KR 20210108437 A KR20210108437 A KR 20210108437A KR 1020217023289 A KR1020217023289 A KR 1020217023289A KR 20217023289 A KR20217023289 A KR 20217023289A KR 20210108437 A KR20210108437 A KR 20210108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detection period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921B1 (ko
Inventor
샤오동 셴
슈에밍 판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2Realisations of complexity reduction techniques, e.g. pipelining or use of look-up tables
    • H04L1/0053Realisations of complexity reduction techniques, e.g. pipelining or use of look-up table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s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 및 구성 정보가 지시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2월 28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1626877.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은 여러 가지 기술 또는 다수의 전송 노드에 의해 공유되기 때문에 이런 경쟁 기반의 액세스 방식은 채널 가용 시간의 불확정성을 초래한다.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또는 네트워크 장치는 클리어 채널 평가(Clear Channel Assess, CCA)/확장된 클리어 채널 평가(extended Clear Channel Assess, eCCA)를 수행하여 채널을 감지해야 한다. 즉, 에너지 검측(Energy Detection, ED)을 수행하여 에너지가 소정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 채널은 클리어로 판단되어 전송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일 경우, 네트워크가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했든 하지 않았든 매 서브 프레임(subframe)/슬롯(slot)에 대해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아주 많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된다. 4세대(4th Generation, 4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면허 스펙트럼 전송은 미래 장기 진화형 면허 보조 액세스(Long Term Evolution-Licensed Assisted Access, LTE-LAA)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단말은 송신된 셀 기준 신호(Cell Reference Signal, CRS)에 대한 검측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의 유무를 판단한다. 즉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에 CRS가 존재함을 검측했을 때에만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그러나 뉴라디오(New Radio, NR)라고도 불리우는 5세대(5th 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에는 CRS가 존재하지 않는다. 단말이 매 하나의 서브 프레임/슬롯에 대해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할 경우 단말에 큰 전력 소모가 발생된다.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복잡도가 낮은 신호 또는 채널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식별할 수 있으며, 단말은 하향링크 전송이 확인된 경우에만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매 서브 프레임/슬롯에서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는 과도한 시스템 오버헤드를 유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비면허 스펙트럼 전송에서 PDCCH 블라인드 검측 횟수를 줄이는 솔루션에 존재하는 시스템 오버헤드가 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1 방면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측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
구성 정보가 지시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방면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도록 구성된 검측 모듈을 포함한다.
제3 방면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방면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측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경우, 검측 주기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방면으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모듈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경우,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6 방면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방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이과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구성 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장치는 하향링크 전송이 있는 매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고 시스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창조적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런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의 전송 식별 신호의 전송 맵핑 설명도 1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약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측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전송 맵핑 설명도 2이다.
도 5~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서의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전송 맵핑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약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측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모듈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약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비록 도면에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여러 가지 형식으로 본 개시를 구현할 수 있고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이런 실시예는 본 개시를 보다 철저하게 이해하고 본 개시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온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 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기술하는데 사용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포함되다' 및 '가지다' 및 그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성 포함을 설명하려는 목적이다.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명확히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하지 않고, 명확히 열거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미래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LTE의 진화(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운반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네트워크'란 용어는 종종 같은 의미로 서로 교환되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위에 언급된 시스템과 무선전신 기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과 무선전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NR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고, 아래 대다수의 설명에서 NR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기술은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설명 내용은 예시만 제공했을 뿐이고 청구 범위에 제시된 범위, 적용 가능성 또는 구성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논의된 요소의 기능 및 배열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예시에서는 여러 가지 절차나 구성 요소를 적당하게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여기서 설명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약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단말(21)과 네트워크 장치(22)가 포함된다. 여기서, 단말(21)은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라고도 지칭할 수 있고, 단말(21)은 캐리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캐리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모바일 인터넷 기기(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차량탑재 단말기 등 단말측 장치일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21)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제한하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장치(22)는 기지국 또는 핵심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5G 및 이후 버전의 기지국(예: gNB, 5G NR NB 등)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 중의 기지국(예: eNB, WLAN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을 노드 B, 진화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전신 기지국, 무선전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진화형 B 노드(eNB), 홈 B 노드, 홈 진화된 B 노드, WLAN 액세스 포인트, WiFi 노드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할 수 있으며,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만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 기술 용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NR 시스템의 기지국만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기지국의 특정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하에 단말(21)과 통신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예시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핵심망이나 일부 기지국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일부 기지국은 백홀을 통해 핵심망과 제어 정보나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이러한 기지국들 중 일부는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백홀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일 수 있다 .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반송파(다양한 주파수의 파형 신호)에서의 동작을 지원한다. 멀티 캐리어 송신기는 이러한 다수의 반송파에서 동시에 변조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통신 링크는 다양한 무선전신 기술에 따라 변조된 다중 반송파 신호일 수 있다. 변조된 신호마다 서로 다른 반송파에서 송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예컨대 참조 신호, 제어 채널 등), 오버 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캐리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안테나를 통해 단말(21)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마다 각각 해당되는 커버리지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은 해당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만을 구성하는 섹터로 나눌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유형의 기지국(예컨대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피코셀)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룰러 또는 WLAN 무선전신 액세스 기술과 같은 다양한 무선전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동일하거나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통신사의 배치와 연관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유형의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무선전신 기술을 적용한 커버리지 영역, 또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에 속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함)은 중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링크는 상향링크(Uplink, UL) 전송(예컨대, 단말(21)에서 네트워크 장치(22)로)을 적재하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Downlink, DL) 전송(예컨대, 네트워크 장치(22)에서 단말(21)로)을 적재하는 하향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UL 전송은 역방향 링크 전송이라고도 지칭할 수 있고, DL 전송은 순방향 링크 전송이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은 면허 스펙트럼, 비면허 스펙트럼 또는 양자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향링크 전송은 면허 스펙트럼, 비면허 스펙트럼 또는 양자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측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측 주기는 단말이 캐싱해야 하는 자원의 크기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검측 위치는 단말이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는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를 포함할 수 있고, 검측 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검측 주기와 검측 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검측 주기 또는 검측 위치는 사전 정의된 것 또는 사전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검측 주기가 프로토콜에 의해 T로 정의될 경우, 구성 정보는 검측 위치만 포함하면 된다.
단계 32: 구성 정보가 지시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프레임(frame), 서브 프레임, 슬롯(slot), 시간 영역 부호(예컨대 OFDM 부호) 등 입도를 단위로 하는 시간 영역 자원일 수 있다.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단말의 한 개 검측 주기 내의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시간 영역 자원이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하향링크 전송이 있음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하향링크 전송이 있을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하향링크 전송이 있음을 지시하기 위해 단말에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한다.
하향링크의 데이터 전송 시작 위치에서 전송 식별 신호를 추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가 채널을 획득할 때 전송 식별 신호는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burst)의 시작 위치에 위치하고, 단말은 해당 전송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트리거한다. 그러나 단말이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지 못했거나 단말에 의해 구성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이 네트워크 장치가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을 획득한 다음에 위치할 경우,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의 전체 COT 내의 데이터를 유실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계 32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이 소재하는 검측 주기의 수신 신호를 캐싱하여 해당 검측 주기의 캐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단말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 후,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전후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할 수 있다고 확정할 수 있으며, 단말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이 소재하는 검측 주기의 데이터를 캐싱하였기 때문에 하향링크 전송의 시작 위치를 놓침으로 인해 야기되는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32와 데이터 캐싱 단계에는 엄격한 순차 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데이터 캐싱 단계는 단계 32 이전 또는 이후에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할 때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상의 데이터를 캐싱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검측 위치이고, 검측 위치는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검측 주기의 임의의 위치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구성할 때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방식 1: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 T 및 검측 위치를 포함한다. 즉, 네트워크 장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출현될 수 있는 절대 후보 위치를 단말에 통지한다. 해당 방식에서, 검측 위치를 알기 때문에 단말은 검측 위치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만 검측하면 된다. 즉, 상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위치이고, 해당 검측 위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송신 수요가 있을 경우, 다른 정보를 위해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필수의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전송을 보증할 수 있도록 검측 위치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는 T=4 slots이고, 검측 위치(예컨대 슬롯 번호는 N_slot임)는 N_slot mod T=2를 만족한다.
방식 2: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만 포함한다. 예컨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는 T=4 slots이다. 구체적으로, 검측 주기 T를 구성하는 것을 통해 매 T개의 연속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적어도 한 개의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포함됨을 단말에 알린다. 여기서 연속적 하향링크 데이터의 slot 수가 T보다 작은 경우에도 한 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반드시 송신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해당 방식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송신 위치는 유연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자원 구성 유연성에 유리하다. 단말의 경우, 해당 방식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송신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말은 검측 주기 내의 매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해야 한다. 즉, 상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검측 주기의 임의 위치이고, 단말은 검측 주기 내의 매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한다.
위에서는 단말이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구현 가능한 방식에 대해 소개하였고, 아래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이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 다음에 수행하는 행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32 다음에 아래 시나리오를 더 포함한다.
시나리오 1: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되지 않았다.
해당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는 하향링크 전송이 없다고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32 다음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되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이 소재하는 검측 주기의 수신 신호를 캐싱하여 해당 검측 주기의 캐시 데이터를 획득하였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단말에 의해 검측되지 않았을 경우에 하향링크 전송이 없음을 확정할 수 있기 때문에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해당되는 검측 주기의 캐시 데이터를 릴리즈한다. 이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단말에 의해 검측되지 않았을 경우, 단말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다음 번 검측을 위한 단말의 검측 위치는 상기 두 가지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캐시 데이터를 릴리즈하는 것은 캐시 데이터를 전부 릴리즈하는 것일 수 있고, 캐시 데이터를 일부만 릴리즈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방식 1에 있어서, 단말은 데이터 수신 상태에서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고, 단말은 해당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이 소재하는 검측 주기 T 내의 수신 신호를 캐싱하여 검측 주기 T의 캐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단말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지 못했을 경우, 해당 검측 주기 T 내에 하향링크 전송이 없다고 판단하여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및 데이터 캐싱의 과정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유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증하기 위해 검측 위치는 한 개 검측 주기의 마지막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고,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및 그 전의 T-1개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의 데이터를 캐싱한다.
방식 2에 있어서, 단말은 데이터 수신 상태에서 구성 정보에 따라 검측 주기 T 내의 매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현재 검측 위치이고, 단말은 해당 현재 검측 위치 및 그 전의 T-1개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수신 데이터를 캐싱하여 검측 주기 T(해당 검측 주기 T는 고정된 길이와 슬라이딩되는 위치를 갖는 시간 윈도우로 이해할 수 있음)에 해당하는 캐시 데이터를 얻는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단말에 의해 검측되지 않았을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 전송이 없다고 판단하여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및 데이터 캐싱의 과정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유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증하기 위해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상의 데이터를 캐싱한 다음 그 전의 제T개 시간 영역 전송 유닛 상의 캐싱 데이터를 릴리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식 2의 구성 정보를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즉,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위치가 유연하면, 네트워크 장치는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DRX 활성화 기간의 첫 번째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해야 할 경우 등이다. 슬롯(slot)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가 COT 정보를 획득한 다음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해야 한다면,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된 slot #0에서 반드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해야 한다. 단말의 경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유연성으로 인해 단말은 매 slot에서 검측을 수행하고, 슬라이딩 윈도우의 데이터 캐싱을 수행해야 한다. 검측 주기 T가 4개 slot이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이전 서브 프레임의 slot #19 상에서 검측을 수행하기 전에 이전 서브 프레임의 slot #15, slot #16, slot #17 및 slot #18 상의 캐시 데이터를 캐싱한다. 단말이 이전 서브 프레임의 slot #19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지 못했을 경우, 단말은 slot #19 상의 데이터를 캐싱하고 slot #15 상의 캐시 데이터를 릴리즈한다. 즉, 단말은 검측 주기의 길이에 따라 캐시 데이터를 슬라이딩한다.
시나리오 2: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다.
해당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두 방면의 행위를 포함한다. 하나는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이 소재하는 검측 주기에 대한 처리 행위이고, 다른 하나는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다음에 대한 처리 행위이다. 다음은 이 두 방면의 단말 행위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방면: 제1 시간 영역 유닛이 소재하는 검측 주기에 대한 처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되는 지시 정보를 캐리할 수 있다. 예컨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한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캐리한 지시 정보가 다르면 단말의 PDCCH 블라인드 검측 행위는 다를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제1 지시 정보가 캐리된다는 것은 네트워크 장치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서 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서로 다른 지시 정보와 결부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다음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행위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가 캐리된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 상황에서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시작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제1 지시 정보가 캐리된다는 것은 네트워크 장치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서 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은 COT의 시작 위치를 획득한 후 검측 주기에서 지시된 시작 위치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방식 1을 적용할 경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는 T=4 slots이고, 검측 위치 N_slot은 N_slot mod T=2를 만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가 Slot #0에서 채널을 획득하고 하향링크 전송을 시작하여 Slot #6에 도달하며, 구성 정보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는 Slot #2와 Slot #6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우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유무에 대해 검측을 수행하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지 못하면 Slot #2에서 검측을 수행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며, 이때 해당 단말은 이미 Slot #19, Slot #0, Slot #1 및 Slot #2의 데이터를 캐싱하였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캐리된 제1 지시 정보가 COT의 시작 위치를 Slot #0으로 지시한다고 가정한다. 그럼 단말은 제1 지시 정보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이 Slot #0에서부터 시작한 것임을 알게 되며, 따라서 단말은 캐싱된 Slot #0, Slot #1 및 Slot #2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고, Slot #19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한 경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된 상황에서 제2 지시 정보가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함을 지시할 때 단말은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지시 정보가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할 때 단말은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는다. 진일보로, 단말이 검측 주기의 수신 신호를 캐싱하여 해당되는 캐시 데이터를 획득한 상황에서, 제2 지시 정보가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한 경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검측 주기의 캐시 데이터를 릴리즈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현재 송신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 중에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하여 전의 검측 주기 중에 해당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지시 정보의 지시 방식은, 1개 지시 bit를 적용하여 검측 주기 중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한다. 예컨대, 해당 지시 bit의 값이 1일 경우, 검측 주기 중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고, 해당 지시 bit의 값이 0일 경우, 검측 주기 중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또는 이와 반대이다. 이 경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단말에 의해 검측된 상황에서, 제2 지시 정보가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함을 지시한 경우, 단말은 검측 주기의 시작 위치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고, 제2 지시 정보가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한 경우, 단말은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고, 모든 캐시 데이터를 릴리즈한다.
또한, 제2 지시 정보의 지시 방식은 또 검측 주기 내의 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비트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지시 비트맵 중 bit의 값이 1일 경우, 대응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고, 해당 지시 비트맵 중 bit의 값이 0일 경우, 대응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또는 이와 반대이다. 이에 따라, 캐시 데이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는, 지시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검측 주기 중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진일보로, 방식 1을 적용할 경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는 T=4 slots이고, 검측 위치 N_slot은 N_slot mod T=2를 만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Slot #0에서 채널을 획득하고 하향링크 전송을 시작하여 Slot #6에 도달하며, 구성 정보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는 Slot #2와 Slot #6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1 및 단말 2는 각각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우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유무에 대해 검측을 수행하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지 못하면 Slot #2에서 검측을 수행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며, 이때 해당 단말 1 및 단말 2는 이미 Slot #19, Slot #0, Slot #1 및 Slot #2의 데이터를 캐싱하였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유닛에서 단말 1에 의해 검측된 제2 지시 정보는 스케줄링 데이터가 Slot #0에만 존재한다고 지시한 경우, 단말 1은 Slot #0에만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유닛에서 단말 2에 의해 검측된 제2 지시 정보는 앞에 단말 2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시한 경우, 단말은 캐싱된 Slot #19, Slot #0 및 Slot #1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아무런 정보도 캐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그 작용은 단지 하향링크 전송이 있음을 단말에 제시하는 것일 뿐이며, 이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수신한 다음 캐시 데이터의 시작 위치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즉, 제1 지시 정보 또는 제2 지시 정보가 검측되지 않은 경우, 캐시 데이터의 시작 위치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방식 1을 적용할 경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는 T=4 slots이고, 검측 위치 N_slot은 N_slot mod T=2를 만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Slot #0에서 채널을 획득하고 Slot #6로의 하향링크 전송을 시작하며, 구성 정보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는 Slot #2와 Slot #6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3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우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유무에 대해 검측을 수행하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지 못하면 Slot #2에서 검측을 수행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며, 이때 해당 단말 3은 이미 Slot #19, Slot #0, Slot #1 및 Slot #2의 데이터를 캐싱하였다.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유닛에서 단말 3에 의해 검측되지 않았을 경우, 단말 3은 캐싱된 Slot #19, Slot #0 및 Slot #1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위에서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단말에 의해 검측된 후 캐시 데이터에 대한 단말의 처리 방식을 소개하였고, 아래에서 본 실시예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 다음의 PDCCH 블라인드 검측 방식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방면: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다음에 대한 처리
여기서, 단계 32 다음으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된 상황에서,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다음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말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 후 하향링크 전송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며, 이때 단말은 후속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 경우, 단말은 후속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대해, 구성된 검색 공간에 대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트리거한다. PDCCH에 대한 블라인드 검측의 종료 조건은 이하 방식을 포함하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 COT의 종료 위치를 획득한 상황에서 COT의 종료 위치 다음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만 검측하는 것을 회복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치 COT의 종료 위치 후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한다.
여기서, COT의 종료 위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3 지시 정보도 캐리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COT의 지속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4 지시 정보도 캐리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제1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COT의 지속 시간은 사전 정의된 것(예컨대 프로토콜에 의해 지정됨)이다. 방식 1을 적용할 경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는 T=4 slots이고, 검측 위치 N_slot은 N_slot mod T=2를 만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Slot #0에서 채널을 획득하고 Slot #6로의 하향링크 전송을 시작하며, 구성 정보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는 Slot #2와 Slot #6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우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유무에 대해 검측을 수행하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지 못하면 Slot #2에서 검측을 수행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며, 이때 해당 단말은 이미 Slot #19, Slot #0, Slot #1 및 Slot #2의 데이터를 캐싱하였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캐리된 제3 지시 정보가 COT의 시작 위치를 Slot #6으로 지시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단말은 제3 지시 정보를 통해 하향링크 전송이 Slot #6에서 종료되었음을 알게 되며, 따라서 단말은 Slot #7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는 절차를 회복한다.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의 COT 종료 위치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시작한 다음 한 개 카운터(예컨대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를 작동하며, 매 한 개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한 다음 해당 카운터는 1을 더하거나 1을 뺀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를 작동한다. 여기서,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는 PDCCH의 블라인드 검측 횟수에 대해 카운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가 사전설정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제로복귀될 때 단말은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한다. 방식 1을 적용할 경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는 T=4 slots이고, 검측 위치 N_slot은 N_slot mod T=2를 만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Slot #0에서 채널을 획득하고 하향링크 전송을 시작하여 Slot #6에 도달하며, 구성 정보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는 Slot #2와 Slot #6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우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유무에 대해 검측을 수행하고, Slot #18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지 못하면 Slot #2에서 검측을 수행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한다. 이때, 단말은 후속의 Slot(즉 Slot #3, Slot #4, ...)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시작한다. 이때 단말은 해당 COT의 종료 위치를 알지 못하므로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를 작동할 수 있으며, counter=8이고, 단말이 매 한 개 Slot에 대해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면 해당 카운터는 1을 빼며, 단말은 Slot #10에서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는 절차를 회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언급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및 그룹 공통 하향링크 물리적 제어 채널(Group Commo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GC-PDCCH) 등 여러 가지 가능한 신호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의 검측 복잡도는 PDCCH의 블라인드 검측 복잡도보다 낮기 때문에 단말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진일보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 중에 캐리된 지시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지시 정보는 DCI 중의 서로 다른 지시 필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서, 단말은 검측 주기 내의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고, 해당 검측 주기 내의 캐시 데이터를 캐싱함으로써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했을 때 해당 검측 주기 내의 캐시 데이터가 캐싱되었기 때문에 캐시 데이터에 대한 검측을 통해 검측 주기 내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고, COT의 시작 위치를 놓침으로 인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유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는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면을 결부하여 이에 대응하는 단말에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900)은 상기 실시예의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 구성 정보가 지시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는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900)은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910)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도록 구성된 검측 모듈(9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검측 위치이고, 검측 위치는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검측 주기의 임의의 위치이다.
여기서, 단말(900)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되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1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한다.
여기서, 단말(900)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된 상황에서,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시작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제2 지시 정보가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지시하는 경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제2 지시 정보가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시하는 경우, 캐시 데이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는 동작;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가 검측되지 않은 경우, 검측 주기의 시작 위치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시 정보는 검측 주기 내의 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비트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처리 모듈은,
지시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검측 주기 중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900)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된 상황에서,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다음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900)은,
네트워크 장치 COT의 종료 위치에 다음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종료 위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단말(900)은,
PDCCH의 블라인드 검측 횟수에 대해 카운팅을 수행하는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모듈;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가 사전설정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제로복귀될 때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5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검측 주기 내의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고, 해당 검측 주기 내의 캐시 데이터를 캐싱함으로써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했을 때 해당 검측 주기 내의 캐시 데이터가 캐싱되었기 때문에 캐시 데이터에 대한 검측을 통해 검측 주기 내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고, COT의 시작 위치를 놓침으로 인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유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목적을 더 잘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도 10은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해당 단말(1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장치(103), 입력 장치(104), 센서(105), 디스플레이 장치(106), 사용자 입력 장치(107), 인터페이스 장치(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010), 전원(1011) 등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에 숙련된 자는 도 10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캐리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캐리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장치(101)은 프로세서(1010)의 제어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프로세서(1010)은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고,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이 소재하는 검측 주기의 캐시 데이터를 캐싱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검측 주기 내의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고, 해당 검측 주기 내의 캐시 데이터를 캐싱함으로써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했을 때 해당 검측 주기 내의 캐시 데이터가 캐싱되었기 때문에 캐시 데이터에 대한 검측을 통해 검측 주기 내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고, COT의 시작 위치를 놓침으로 인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유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0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010)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101)에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10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102)를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3)은 무선 주파수 장치(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가 수신하거나 메모리(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103)은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3)에는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입력 장치(1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입력 장치(1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041)과 마이크로폰(1042)가 포함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1041)은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컨대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1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042)는 소리를 수신하고 그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0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중,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단말(100)이 귀 가까이 이동할 때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동작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이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사이의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1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자이로미터,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61)이 포함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107)에는 터치 패널(1071)과 기타 입력 장치(1072)가 포함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말하며, 사용자가 그 위에서 또는 근처에서 진행하는 터치 동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1071) 근처에서 진행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제어 장치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동작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고, 이 신호를 터치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터치 제어 장치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한 후 다시 프로세서(10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1010)에서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터치 패널(1071)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07)은 터치 패널(1071) 외에도 기타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1072)에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를 들어 볼륨 조절 버튼, 전원 켜기/끄기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터치 패널(1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061)의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10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10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확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010)은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0에서 터치 패널(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은 두 개의 독립 부품으로 단말 장치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통합하여 단말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108)은 외부 장치와 단말(100)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108)은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또는 전력 등)을 수신하여 단말(100) 내부에 있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요소에 수신한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단말(10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에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캐리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는 고속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10)은 단말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사용하여 단말의 모든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메모리(1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1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010)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1010)에 통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한다.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0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10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0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0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0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1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에 관한 것이고, 프로세서(1010), 메모리(109), 메모리(1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0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전송 방법 실시예의 여러 과정이 구현되어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단말은 무선 단말일 수 있고 유선 단말 일 수도 있으며,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기타 서비스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고, 무선 연결 기능이 있는 캐리용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어 있은 기타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핵심망과 통신할 수 있고, 무선 단말은 캐리폰(또는 '셀룰러' 전화라고 함)과 같은 이동 단말일 수 있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캐리용, 포켓 타입, 핸드 타입,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거나 차량에 탑재된 모바일 장치일 수도 있다. 예컨대, 개인 캐리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수화기,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캐리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이 있다. 무선 단말은 시스템, 서브스크라이버 유닛(Subscriber Unit), 서브스크라이버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장치(User Device or User Equipment)라고 할 수 있고 여기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전송 방법 실시예의 여러 과정이 구현되어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는 자세한 내용에 대해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그중,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이나 디스크 등이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단말측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장치측의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11: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고,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하고, 검측 위치는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검측 위치는 검측 주기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 T 및 검측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장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출현될 수 있는 절대 후보 위치를 단말에 통지한다. 해당 방식에서, 검측 위치를 알기 때문에 단말은 검측 위치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만 검측하면 된다.
단계 112: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경우,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한 번 스케줄링한 하향링크 데이터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대응하고, 구체적인 수의 대응 관계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속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한 번 스케줄링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중요도가 높을 경우, 이번 스케줄링에 대해 복수 개의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 구성 정보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만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 주기는 T=4 slots이다. 구체적으로, 검측 주기 T를 구성하는 것을 통해 매 T개의 연속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적어도 한 개의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포함됨을 단말에 알린다. 여기서 연속적 하향링크 데이터의 slot 수가 T보다 작을 경우에도 한 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반드시 송신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해당 방식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송신 위치는 유연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자원 구성 유연성에 유리하다. 단말의 경우, 해당 방식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송신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말은 검측 주기 내의 매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되는 지시 정보를 캐리할 수 있다. 예컨대,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한다. 또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할 수도 있다.
제2 지시 정보의 지시 방식은, 1개 지시 bit를 적용하여 검측 주기 중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해당 지시 bit의 값이 1인 경우, 검측 주기 중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고, 해당 지시 bit의 값이 0인 경우, 검측 주기 중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또는 이와 반대이다.
또한, 제2 지시 정보의 지시 방식은 또 검측 주기 내의 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비트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지시 비트맵 중 bit의 값이 1인 경우, 대응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함을 표시하고, 해당 지시 비트맵 중 bit의 값이 0인 경우, 대응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단말의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또는 이와 반대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언급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CSI-RS, DMRS, PSS, SSS 및 GC-PDCCH 등 여러 가지 가능한 신호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캐리된 지시 정보는 DCI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지시 정보는 DCI 중의 서로 다른 지시 필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서, 하향링크 전송 수요가 있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매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이 검측 주기 내의 한 개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만 하향링크 전송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고 시스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본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와 대응되는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1200)은 상기 실시예의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경우,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여 동등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1200)은 구체적으로,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모듈(1210)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경우,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1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측 위치는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검측 주기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한다.
여기서, 제2 지시 정보는 검측 주기 내의 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비트맵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 전송 수요가 있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검측 주기 내의 매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이 검측 주기 내의 한 개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만 하향링크 전송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고 시스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의 각 모듈의 분할은 논리적 기능의 분할일 뿐이며 실제로 구현할 때는 한 물리적 실체에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런 모듈은 모두 소프트웨어로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호출하는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모두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모듈은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호출하는 형식으로 구현하고 일부 모듈은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정 모듈은 별도로 구축된 프로세싱 소자이거나 상기 장치의 특정 칩에 통합하여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프로그램 코드 형식으로 상기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장치의 어느 한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호출하거나 상기 확정 모듈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기타 모듈의 구현도 이와 유사하다. 또한 이러한 모듈을 전부 또는 일부를 하나로 통합하거나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한 프로세싱 소자는 신호 처리 기능이 있는 집적회로일 수 있다.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 또는 상기 각 모듈은 프로세싱 소자 중 하드웨어의 집적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집적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특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혹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혹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이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모듈 중 하나가 프로세싱 소자를 통해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는 형식으로 구현될 때, 해당 프로세싱 소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기타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러한 모듈은 하나로 통합시켜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더 잘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고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네트워크 장치(1300)은 안테나(131), 무선 주파수 장치(132), 기저 대역 장치(133)을 포함한다. 안테나(131)은 무선 주파수 장치(132)에 연결된다. 상향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32)는 안테나(131)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기저 대역 장치(133)으로 전송한다. 하향링크 방향에서, 기저 대역 장치(133)은 송신할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무선 주파수 장치(132)로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132)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 후 안테나(131)을 통해 송신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 처리 장치는 기저 대역 장치(133)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실행된 방법은 기저 대역 장치(133)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기저 대역 장치(133)은 프로세서(134)와 메모리(135)를 포함한다.
기저 대역 장치(133)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저 대역 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기저 대역 보드에는 여러 개의 칩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한 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134)이면 메모리(135)와 연결되어 메모리(135)에 있는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한다.
기저 대역 장치(133)은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6)을 포함할 수도 있고 무선 주파수 장치(132)와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되고, 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공용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 )이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여러 개의 프로세싱 소자의 총칭일 수도 있다. 예컨대, 해당 프로세서는 CPU일 수 있고 ASIC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DSP), 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일 수 있다. 저장 소자는 메모리일 수 있고, 여러 개의 저장 소자의 총칭일 수 있다.
메모리(135)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자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증강된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과 같은 수많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메모리(135)는 이런 메모리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메모리(135)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3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35)에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12에 도시된 각 모듈이 수행하는 방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4)에 의해 호출될 때,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경우, 검측 주기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 전송 수요가 있을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검측 주기 내의 매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이 검측 주기 내의 한 개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만 하향링크 전송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고 시스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소개된 여러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와 결부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식으로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실행되는 지는 기술 솔루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의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소개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장치와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이상 설명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컨대 상기 유닛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일 뿐 실제로 구현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이나 컴포넌트는 서로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할 부품으로 소개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에서의 여러 기능 유닛은 한 개의 처리 장치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한 개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은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이 기술적 솔루션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한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가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개의 명령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ROM, RAM, 디스켓 또는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기타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와 방법에서 각 부품 또는 각 단계가 분해 및/또는 재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지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개시의 등가 솔루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된 순서에 따라 시간순으로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순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 단계는 병렬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인 경우, 본 개시의 방법과 장치의 모든 또는 임의의 단계나 부품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함) 또는 컴퓨팅 장치의 네트워크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당업자가 본 개시의 설명에 기반하여 그들의 기본 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한 세트의 프로그램 그룹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공지된 범용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상기 방법 또는 장치의 프로그램 코드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만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은 본 개시를 구성하였고,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도 본 개시를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저장 매체는 공지된 저장 매체이거나 미래에 개발될 그 어떠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장치와 방법에서 각 부품 또는 각 단계가 분해 및/또는 재조합될 수 있다는 것도 분명히 지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개시의 등가 솔루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된 순서에 따라 시간순으로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순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일부 단계는 동시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내용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구현 방식으로서, 당업자는 본 개시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몇몇 개선 및 보완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보완도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Claims (31)

  1. 단말측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 및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상기 검측 위치이고, 상기 검측 위치는 상기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상기 검측 주기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되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상기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된 상황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시작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는 동작;
    상기 제1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검측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검측 주기의 시작 위치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검측 주기 내의 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상기 검측 주기 중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된 상황에서, 상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후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 COT의 종료 위치 후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위치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PDCCH의 블라인드 검측 횟수에 대해 카운팅을 수행하는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가 사전설정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제로복귀될 때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단말로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및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검측하도록 구성된 검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상기 검측 위치이고, 상기 검측 위치는 상기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은 상기 검측 주기의 임의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되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1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상기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된 상황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시작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지시하는 경우, 상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시하는 경우, 상기 검측 주기에 대해 PDCCH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지 않는 동작;
    상기 제1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검측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검측 주기의 시작 위치에서부터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검측 주기 내의 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상기 지시 비트맵에 의해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상기 검측 주기 중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대해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가 검측된 상황에서, 상기 제1 시간 영역 전송 유닛 후의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 COT의 종료 위치에 후에서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위치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PDCCH의 블라인드 검측 횟수에 대해 카운팅을 수행하는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작동 모듈; 및
    상기 PDCCH 블라인드 검측 카운터가 사전설정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제로복귀될 때 PDCCH의 블라인드 검측을 정지하고,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검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5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네트워크측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및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위치는 상기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검측 위치는 상기 검측 주기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상기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검측 주기 내의 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비트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6. 네트워크 장치로서,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모듈 - 상기 구성 정보는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를 포함함 -;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 검측 주기 및/또는 검측 위치에 근거하여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위치는 상기 검측 주기 중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검측 위치는 상기 검측 주기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 식별 신호는: 네트워크 장치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또는, 상기 검측 주기 중에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검측 주기 내의 각 시간 영역 전송 유닛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비트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0.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0항,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3289A 2018-12-28 2019-09-20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KR102650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626877.6 2018-12-28
CN201811626877.6A CN111278026B (zh) 2018-12-28 2018-12-28 一种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PCT/CN2019/106942 WO2020134222A1 (zh) 2018-12-28 2019-09-20 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437A true KR20210108437A (ko) 2021-09-02
KR102650921B1 KR102650921B1 (ko) 2024-03-22

Family

ID=7100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289A KR102650921B1 (ko) 2018-12-28 2019-09-20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29470A1 (ko)
EP (1) EP3905751A4 (ko)
KR (1) KR102650921B1 (ko)
CN (1) CN111278026B (ko)
WO (1) WO20201342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99871B (zh) * 2007-04-30 2012-07-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发送上行探测导频的方法及系统、基站和终端
CN102170703A (zh) * 2011-05-11 2011-08-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物理下行控制信道上的信息收发方法及设备
CN105992376B (zh) * 2015-02-13 2019-0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业务调度的方法、系统、基站及用户设备
CN109274459A (zh) * 2016-05-13 2019-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下行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CN107666713B (zh) * 2016-07-27 2021-03-23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sTTI中sPDCCH的传输方法以及装置
WO2018058453A1 (zh) * 2016-09-29 2018-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设备和基站
US11240835B2 (en) * 2017-01-17 2022-02-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existence of low-latency and latency-tolerant communication resources
CN108737040B (zh) * 2017-04-14 2020-1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法、终端和网络设备
WO2019143164A1 (ko) * 2018-01-21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38117B2 (en) * 2018-04-04 2022-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method
US11153872B2 (en) * 2018-07-31 2021-10-19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lot format of an unlicensed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10445* *
3GPP R1-1812298* *
3GPP R1-18134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8026A (zh) 2020-06-12
CN111278026B (zh) 2022-01-25
WO2020134222A1 (zh) 2020-07-02
US20210329470A1 (en) 2021-10-21
EP3905751A4 (en) 2022-03-09
KR102650921B1 (ko) 2024-03-22
EP3905751A1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0736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onfiguration method and terminal
KR102566792B1 (ko)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JP7369782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harqフィードバック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7153124B2 (ja) チャネル検出指示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CN111106907B (zh) 传输配置指示tci状态的指示方法及终端
JP2021519005A (ja) 下りチャネルの受信方法、送信方法、端末及び基地局
US20210352741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KR102503267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200088377A (ko) 비대칭 스펙트럼의 대역폭 부분(bwp) 스위칭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US20210378014A1 (en) Unlicensed b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102542746B1 (ko) 전송 지시 신호의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KR20210112373A (ko)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기
KR102573527B1 (ko) 신호 리소스 측정 방법 및 단말
WO2020011096A1 (zh) 上行传输方法及终端
US1180055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WO2021155763A1 (zh) 非授权频段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
AU2020210990B2 (en) Random access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EP3917257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KR102650921B1 (ko)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CN111315015B (zh) 非授权频段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20220016166A (ko) 처리 방법 및 장비
KR20210153703A (ko) 정보 결정 방법 및 사용자 장치
KR20220050928A (ko) 리소스 구성 방법, 기기 및 시스템
KR20220087450A (ko)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