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069A - 증기 발생구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9069A KR20210099069A KR1020217020475A KR20217020475A KR20210099069A KR 20210099069 A KR20210099069 A KR 20210099069A KR 1020217020475 A KR1020217020475 A KR 1020217020475A KR 20217020475 A KR20217020475 A KR 20217020475A KR 20210099069 A KR20210099069 A KR 202100990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edge
- steam generator
- panel
- steam
- eyepie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3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6 parie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6334 Feeling ho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ESFRYSPDFLNCH-UHFFFAOYSA-N benz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CC1=CC=CC=C1 SESFRYSPDFLN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LKPEMZONWLCSK-UHFFFAOYSA-N diethyl phthalate Chemical compound CCOC(=O)C1=CC=CC=C1C(=O)OCC FLKPEMZONWLC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2000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IQIXEFWDLTDED-UHFFFAOYSA-N 4-hydroxy-1-piperidin-4-ylpyrrolidin-2-one Chemical compound O=C1CC(O)CN1C1CCNCC1 HIQIXEFWDLTDE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PQEYTAGBXNEUQL-UHFFFAOYSA-N Dihydrojasmo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1C(CC(O)=O)CCC1=O PQEYTAGBXNEU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DOOTYTYQINUNNV-UHFFFAOYSA-N Trieth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OC(=O)CC(O)(C(=O)OCC)CC(=O)OCC DOOTYTYQINUN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2 acet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03 benzyl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5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2]C([*:1])=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6 cili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ZXQTJUDPRGNJN-UHFFFAOYSA-N di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OCCCO SZXQTJUDPRGN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77 elastic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658 monoterp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77 monoterp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4725 sesquiterp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86 terp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MYFZRTXGLUXMZ-UHFFFAOYSA-N triethyl citrate Natural products CCOC(=O)C(O)(C(=O)OCC)C(=O)OCC VMYFZRTXGLUX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69 triethyl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69 triethyl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61M16/16—Devices to humidify the respiration air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61F2007/00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 A61F2007/0062—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the gas being steam or water vapo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접안 측 단부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에 증기를 발생 가능한 증기 발생체를 구비하는 증기 발생구로서, 마스크 본체는, 접안 측 단부로부터 그 접안 측 단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폐색 측 단부를 향하여 끝이 좁아지는 둘레면을 가지고 있고,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요함부를 가지고 있고, 요함부는,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1 쌍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기 발생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온열 증기를 목이나 코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증기 발생구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889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88947호의 증기 발생구는, 일부에 개구를 갖는 주머니상이 되도록 결합된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과, 각 패널에 내포된 평판상의 증기 발생체를 구비하고,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 사이의 개구를 확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것이 가능한 컵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88947호의 증기 발생구에 의하면, 목이나 코에 온열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기도 점막의 기능을 높여, 감기나 인플루엔자 등의 예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접안 (接顔) 측 단부 (端部) 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에 증기를 발생 가능한 증기 발생체를 구비하는 증기 발생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접안 측 단부로부터 그 접안 측 단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폐색 측 단부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둘레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요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1 쌍 형성되어 있는 증기 발생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를 컵상으로 변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수증기 발생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접안 측 단부를 개구시킨 상태의 컵 본체를 개구와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또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또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를 컵상으로 변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수증기 발생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접안 측 단부를 개구시킨 상태의 컵 본체를 개구와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또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또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88947호의 증기 발생구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피트성 및 사용 시에 손으로 쥘 때의 파지성의 관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피트성 및 사용 시에 손으로 쥘 때의 파지성이 우수한 증기 발생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접안 측 단부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에 증기를 발생 가능한 증기 발생체를 구비하는 증기 발생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접안 측 단부로부터 그 접안 측 단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폐색 측 단부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둘레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요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1 쌍 형성되어 있는 증기 발생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피트성 및 사용 시에 손으로 쥘 때의 파지성이 우수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각 청구항에 관련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
[증기 발생구의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것이 가능한 컵상의 마스크 본체 (2) 와, 마스크 본체 (2) 의 내부 공간 (4) 에 증기를 발생 가능한 증기 발생체 (3)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컵상」이란, 일방의 단부가 개방되고, 타방의 단부가 폐색된 통상, 즉 바닥이 있는 통상을 의미하고 있고, 그 몸통부의 형상은,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통 형상도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컵상으로 형성된 마스크 본체 (2) 의 개방 측의 단부를 「접안 측 단부 (5)」라고 하고, 접안 측 단부 (5) 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폐색 측의 단부를 「폐색 측 단부 (6)」라고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접안 측 단부 (5)」 및 「폐색 측 단부 (6)」가 좌우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배치한 마스크 본체 (2) 를 평면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 (즉, 도 4 상태) 에 있어서의 상가장자리부를 「상측 측가장자리부 (7)」라고 하고, 동상태에 있어서의 하가장자리부를 「하측 측가장자리부 (8)」라고 한다. 여기서, 「상측 측가장자리부 (7)」는, 컵상으로 보형된 마스크 본체 (2) 로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었을 때에, 코 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이며, 「하측 측가장자리부 (8)」는, 동상태에 있어서 입측 (턱측) 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 (2) 는, 후술하는 수평 중심선 (13a) 을 경계로 하여 상하 대칭이기 때문에, 상하 반대로 장착하는 것, 즉, 하측 측가장자리부 (8) 가 코 측에 위치하고, 상측 측가장자리부 (7) 가 입 측 (턱 측) 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에게 장착할 수도 있다.
[마스크 본체의 구성]
마스크 본체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마스크 본체 (2) 의 반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1 패널부 (10A) 와, 나머지의 반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2 패널부 (10B) 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는, 컵상이 되었을 때의 내면이 위를 향하도록 마스크 본체 (2) 를 전개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도 2 에 있어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 측 단부 (6) 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연속하고 있고, 또한, 양 패널부 (10A, 10B) 의 폐색 측 단부 (6) 를 경계로 하여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스크 본체 (2) 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를 좌우 대칭으로 배치한 시트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접안 측 단부 (5) 로부터 폐색 측 단부 (6) 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부채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는, 접안 측 단부 (5) 가 원호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폐색 측 단부 (6) 가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는, 접안 측 단부 (5) 의 상단으로부터 폐색 측 단부 (6) 의 상단에 이르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와, 접안 측 단부 (5) 의 하단으로부터 폐색 측 단부 (6) 의 하단에 이르는 하측 측가장자리부 (8) 가, 서로 폐색 측 단부 (6) 측에 있어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는, 각각, 제 1 패널부 (10A) 의 접안 측 단부 (5) 의 중심과 제 2 패널부 (10B) 의 접안 측 단부 (5) 의 중심을 잇는 중심선 (이하, 「수평 중심선 (13a)」이라고 한다) 을 경계로 하여, 상하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접안 측 단부 (5) 는, 75 mm 이상 20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있고, 80 mm 이상 12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85 mm 이상 10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접안 측 단부 (5) 는, 160 mm 이상 22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가지고 있고, 170 mm 이상 21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80 mm 이상 20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요함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요함부 (12) 는, 수평 중심선 (13a) (각 패널부 (10A, 10B) 의 내측) 을 향하여 완만한 원호를 그리는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함부 (12) 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상에서, 각 패널부 (10A, 10B) 의 내측을 향한 원호 부분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접안 측 단부 (5) 로부터 폐색 측 단부 (6) 에 걸쳐, 각 패널부 (10A, 10B) 의 외측을 향하는 원호상의 접안 측 원호부 (7a, 8a) 와, 각 패널부 (10A, 10B) 의 내측을 향하는 원호상의 요함부 (12, 12) 와, 각 패널부 (10A, 10B) 의 외측을 향하는 원호상의 폐색 측 원호부 (7b, 8b) 가 연속한 파상을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요함부 (12) 는, 접안 측 원호부 (7a, 8a) 와 폐색 측 원호 부 (7b, 8b) 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의 요함부 (12) 는, 접안 측 원호부 (7a) 의 정점 (상측 변곡점 UF) 으로부터 폐색 측 원호부 (7b) 의 정점 (하측 변곡점 LF) 까지의 영역을 가리키고,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의 요함부 (12) 는, 접안 측 원호부 (8a) 의 정점 (상측 변곡점 UF) 으로부터 폐색 측 원호부 (8b) 의 정점 (하측 변곡점 LF) 까지의 영역을 가리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함부 (12) 는, 마스크 본체 (2) 를 컵상으로 변형시킬 때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압박력을 접안 측 단부 (5) 측으로 효율적으로 전파시켜, 개구의 확개를 순조롭게 실시하는 관점에서, 접안 측 단부 (5) 측을 향하는 오목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 요함부 (1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의 요함부 (12) 의 오목 방향 (13b) 과,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의 요함부 (12) 의 오목 방향 (13c) 의 교차점이 각 패널부 (10A, 10B) 의 도심 위치보다 접안 측 단부 (5)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교차점이 수평 중심선 (13a) 상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요함부 (12) 는, 두정부에 있어서, 10 mm 이상 5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있고, 20 mm 이상 4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mm 이상 35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요함부 (12) 는, 20 mm 이상 6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가지고 있고, 30 mm 이상 5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35 mm 이상 45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 (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마스크 본체 (2) 는, 컵상이 되었을 때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 (14) 와, 컵상이 되었을 때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 (16) 를 구비하고 있다. 내면 시트 (14) 및 외면 시트 (16) 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내면 시트 (14) 및 외면 시트 (16) 사이에 증기 발생체 (3) 가 배치되어 있다.
증기 발생체 (3) 는,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쌍방에, 폐색 측 단부 (6) 를 경계로 하여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컵상의 마스크 본체 (2) 에 의해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었을 때에, 사용자의 입, 코 및 볼과 증기 발생체 (3) 로 둘러싸인 공간을 생기게 하고 (도 6 참조), 수증기 발생을 억제하지 않고 증기 발생구 (1) 내의 온도와 절대 습도를 높이는 관점, 그리고, 증기 발생체 (3) 가 피부에 닿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 (2) 의 폐색 측 단부 (6) 근방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증기 발생체 (3) 는, 각 증기 발생체 (3) 의 폐색 측 단부 (6) 측의 단부와 폐색 측 단부 (6) 사이의 거리 D1 (도 3 참조) 이 15 mm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mm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그 최단 거리가 5 mm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7 mm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각 증기 발생체 (3) 는, 각 증기 발생체 (3) 의 접안 측 단부 (5) 측의 단부와 접안 측 단부 (5) 사이의 거리 D2 (도 3 참조) 가 15 mm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mm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그 최단 거리가 30 mm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mm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거리 D1 및 거리 D2 는, 수평 중심선 (13a) 에 있어서의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외면 시트 (16) 에는, 접착제 (도시 생략) 가 도포되어 있고, 그 접착제를 개재하여, 증기 발생체 (3) 및 내면 시트 (14) 가 접착되어 있다. 접착제로서는,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공지된 고정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면 시트 (16) 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구성 대신에, 또는 이것에 추가하여, 내면 시트 (14) 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면 시트 (14) 및 외면 시트 (16) 의 재료는, 위생용 마스크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일정한 통기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그 종류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부직포나 가제 등의 섬유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가공의 용이함 및 경제성의 관점, 그리고, 양호한 보형성을 얻는 관점에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섬유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 PE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 레이온 ; 코튼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로서는, 상기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소재의 섬유를 사용하여, 에어 스루법, 스펀 본드법, 니들 펀치법, 멜트 블론법, 카드법, 열융착법, 수류교락법, 용제 접착법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내면 시트 (14) 및 외면 시트 (16) 의 쌍방이 단층 또는 다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증기 발생체 (3) 는, 2 장 이상의 부직포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내면 시트 (14) 는, 통기성인 것이, 방산되는 증기의 작용을 증기 발생구 (1) 의 사용자의 신체에 효율적으로 작용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외면 시트 (16) 는, 제품의 설계에 따라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통기성 시트여도 되고 비통기성 시트여도 되고, 또,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비신축성이어도 된다. 신축성을 갖는 시트로서는, 구성 섬유로서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 탄성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시트, 고무편 등의 구조에 의해 신축성을 발현하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내면 시트 (14) 및 외면 시트 (16) 는, 사용자가 손에 쥐었을 때에 보형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발휘 가능한 평량을 갖는 것이면 된다. 내면 시트 (14) 는, 피부 감촉 개선을 목적으로 한 구성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면 시트 (16) 는, 마스크 본체 (2) 에 보형성을 주는 데에 있어서 적합한 구성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내면 시트 (14) 의 평량은, 2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외면 시트 (16) 의 평량은, 3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 (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 시트 (14) 가 내측이 되도록, 폐색 측 단부 (6) 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가 접힌 상태에서,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접안 측 단부 (5) 를 제외한 가장자리부 (폐색 측 단부 (6),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접안 측 단부 (5) 에 개구를 갖는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 (2) 에서는,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가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제 1 패널부 (10A) 의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와 제 2 패널부 (10B) 의 상측 측가장자리부 (7) 가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에 의해 시일됨과 함께, 제 1 패널부 (10A) 의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와 제 2 패널부 (10B) 의 하측 측가장자리부 (8) 가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결합」에는, 열 용착, 초음파 용착, 고주파 용착 및 접착제 등의 임의의 수단에 의해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를 사후적으로 접착시키는 구성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가 당초부터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폐색 측 단부 (6) 는,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가 일체적으로 연속한 구성이기 때문에, 당초부터 폐색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폐색 상태에 대해서도 「결합」에 포함된다.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를 따른 선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는, 하측 측가장자리부 (8) 를 따른 선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및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측 단부 (5) 로부터 폐색 측 단부 (6) 를 향하여, 이들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및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의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수평 중심선 (13a) 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및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는, 마스크 본체 (2) 를 코 및 턱을 따른 형상으로 변형시켜, 얼굴의 입체 형상에 대한 피트성이 좋은 증기 발생구 (1) 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요함부 (12) 를 따른 형상, 즉, 수평 중심선 (13a) (각 패널부 (10A, 10B) 의 내측) 을 향하여 완만한 원호를 그리는 오목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보다 수평 중심선 (13a) 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와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사이에, 결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드라이 에지 (2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도 동일하게, 하측 측가장자리부 (8) 보다 수평 중심선 (13a) 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와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사이에, 결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드라이 에지 (24) 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에 대해 0.5 mm 이상 5.0 mm 이하의 간격을 두고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는,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대해 0.5 mm 이상 5.0 mm 이하의 간격을 두고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마스크 본체 (2) 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의 요함부 (12)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의 요함부 (12) 에 손가락을 대고,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결합되어 있지 않은 원호상의 주변부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 가 확개하여, 평면적인 주머니상 (도 4 참조) 으로부터 입체적인 컵상 (도 1 참조) 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 (2) 는,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 있어서 컵상을 유지할 수 있는 (보형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다. 또, 마스크 본체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상으로 보형된 상태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가 확개한 상태) 에 있어서, 접안 측 단부 (5) 로부터 폐색 측 단부 (6) 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둘레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 (2) 의 둘레면은, 내부 공간 (4) 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요함부 (12) 를 가지고 있고, 이 요함부 (12) 는, 마스크 본체 (2) 의 둘레면의 대향하는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1 쌍 형성되어 있다.
또, 마스크 본체 (2)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가,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 (2) 는, 컵상으로 보형된 상태에 있어서의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폭 W (도 8 참조) 가 4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7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폭 W 가 40 mm 이상임으로써,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하면서, 증기 발생체 (3) 와 입 및 코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당한 온감 및 증기량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폭 W 가 170 mm 이하임으로써, 증기 발생체 (3) 가 입 및 코에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당한 온감 및 증기량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폭 W 임으로써, 후술하는 개구의 크기를 변경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폭 W」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상으로 보형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패널부 (10A) 의 접안 측 단부 (5) 의 중심과 제 2 패널부 (10B) 의 접안 측 단부 (5) 의 중심 사이의 직선 거리를 말한다.
또, 마스크 본체 (2) 는, 컵상으로 보형된 상태에 있어서의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높이 H (도 8 참조) 가 5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5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높이 H 가 50 mm 이상임으로써,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하면서, 증기 발생체 (3) 와 입 및 코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당한 온감 및 증기량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높이 H 가 150 mm 이하임으로써, 증기 발생체 (3) 가 입 및 코에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당한 온감 및 증기량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높이 H 임으로써, 후술하는 개구의 크기를 변경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의 높이 H」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상으로 보형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와 접안 측 단부 (5) 의 교점과,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와 접안 측 단부 (5) 의 교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말한다.
마스크 본체 (2)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로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은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 (4) 의 용적이, 50 ml 이상 200 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ml 이상 150 ml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부 공간 (4) 의 용적을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취급성,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충분한 증기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내부 공간 (4) 의 용적을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호흡을 하기 쉽게 함과 함께, 증기 및 향기 성분이 부여되기 쉬워진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 (4) 은, 마스크 본체 (2) 가 사용자의 얼굴에 접함으로써 형성되는 폐쇄된 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 (2)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미소한 간극이란, 통상적인 방법으로 증기 발생구 (1) 를 장착했을 때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말한다. 이와 같은 간극이 있는 경우여도, 그 간극은 증기 발생체 (3) 가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이기 때문에, 간극 부분도 마스크 본체 (2) 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 공간의 용적 측정법]
여기서, 내부 공간 (4) 의 용적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유한회사 디지털 휴먼 테크놀로지사 제조의 평균 인두 (人頭) 데이터 (출원 시에 있어서의 최신 데이터) 를 사용하여 조형된 인두 모델을 사용하여, 증기 발생구 (1) 의 사용 상태를 재현하고, 삼차원 측정기를 사용하여 삼차원 데이터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5926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의 내측에 액불투과성의 필름을 배치하고, 이 부분에 물을 주입하고, 마스크를 장착한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하 방향으로 얼굴을 대고, 남은 물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도, 거의 동일한 값이 얻어지므로, 증기 발생구 (1) 의 형상에 따라, 삼차원 데이터화가 곤란한 경우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592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내부 공간 (4) 의 용적을 측정해도 된다.
[증기 발생체의 구성]
증기 발생체 (3) 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함으로써, 발열함과 함께 수증기를 발생하여, 따뜻해진 수증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증기 발생체 (3) 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분체의 혼합물, 초조 시트 등의 시트상, 또는 기재에 분산액 등을 도포한 도공 시트 등을 채용 가능하다. 또, 증기 발생체 (3)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산화성 금속은, 산화 반응열을 발하는 금속이며,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아연, 망간, 마그네슘, 및 칼슘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분말이나 섬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성, 안전성, 제조 비용, 보존성 및 안정성의 점에서 철이 바람직하고, 특히 철분이 바람직하다. 철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환원 철분, 및 아토마이즈 철분 등을 들 수 있다. 피산화성 금속의 입자의 입경은, 예를 들어 0.1 ~ 300 ㎛ 정도로 할 수 있다.
탄소 성분은, 보수능, 산소 공급능 및 촉매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것이며, 이 3 개를 겸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활성탄, 아세틸렌 블랙, 및 흑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습윤 시에 산소를 흡착하기 쉬운 점이나, 발열체 중의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활성탄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증기 발생체 (3) 는, 추가로 보수재를 포함하고 있고, 증기 방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수재로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SAP), 전분,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증기 발생체 (3) 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제조 효율, 취급 용이함, 가온가습 효과의 관점에서, 장방형, 대략 정방형 등의 사각형이 바람직하고, 취급 용이함의 관점에서 대략 정방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증기 발생체 (3) 는, 예를 들어, 증기 발생구에 1 개 내지 2 개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패널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좌우의 양 패널에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개의 증기 발생구의 발열 특성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이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증기 발생체 (3) 는, 향료 조성물에 의해 부향 (賦香) 되고 있어도 된다. 향료 조성물은, 천연 향료 또는 합성 향료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이들이 혼합된 것이어도 된다. 향료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테르펜계 탄화수소, 모노테르펜알코올류, 세스퀴테르펜알코올류, 방향족 알코올, 아세트산에스테르류, 카르보닐기를 갖는 화합물, 디히드로자스몬산메틸, 및 요논 등의 향기 성분, 그리고 정유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 향료 조성물에는, 상기 향료 성분 및 정유에 추가하여, 예를 들어 「합성 향료 화학과 상품 지식」(인도 모토이치 저 화학공업일보사) 에 기재된 향료 성분이나,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제로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디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벤질벤조에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및 디에틸프탈레이트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향료 조성물의 함유량은, 그 종류나 증기 발생구 (1) 의 구체적인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향료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범위로서, 향료 조성물의 함유량은, 증기 발생체 (3) 의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0.5 이상 6 이하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이상 4.5 이하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증기 발생체 (3) 를 부향하는 방법은, 향료 조성물이 액체인 경우는, 증기 발생체 (3) 에 대해 향료 조성물을 스프레이 등으로 직접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또, 증기 발생체 (3) 의 구성 재료 (시트나 원료 등) 등에 부향하여 부향 시트나 분말 향료나 페이스트상의 부향물로 하는 방법도 있다. 향료 조성물이 고체인 경우는, 증기 발생체 (3) 에 대해 향료 조성물을 흡착시키거나, 증기 발생체 (3) 내에 수용하는 등 하여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증기 발생체 (3) 는, 각각, 수증기 발생 개시부터 10 분 동안에 방출되는 누적 수증기 발생량 (이하, 「10 분간 증기 발생량」이라고 한다) 이 250 m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 m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0 m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00 m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 m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 m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증기 발생량으로 함으로써, 증기 발생구 (1) 의 사용을 개시한 최초의 10 분 동안에 적절한 양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증기에 의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수증기 발생량 측정법]
여기서, 증기 발생체 (3) 의 10 분간 증기 발생량은, 도 7 에 나타내는 장치 (30)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수치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장치 (30) 는, 알루미늄제의 측정실 (용적 2.1 L) (31) 과, 측정실 (31) 의 하부에 제습 공기 (습도 2 % 미만, 유량 2.1 L/분) 를 유입시키는 유입로 (32) 와, 측정실 (31) 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로 (33) 와, 유입로 (32) 에 형성된 입구 온습도계 (34) 및 입구 유량계 (35) 와, 유출로 (33) 에 형성된 출구 온습도계 (36) 및 출구 유량계 (37) 와, 측정실 (31) 내에 형성된 온도계 (서미스터) (38) 를 구비하고 있다. 온도계 (38) 로서는, 온도 분해능이 0.01 ℃ 정도인 것을 사용한다.
증기 발생체 (3) 의 피부 측에 위치하는 면 (마스크 본체 (2) 의 내면 측의 면) 의 표면 온도의 측정은, 측정 환경 온도 30 ℃ (30 ± 1 ℃) 에 있어서 증기 발생체 (3) 를 산소 차단 봉투로부터 꺼내고, 증기 발생체 (3) 의 피부 측에 위치하는 면, 즉 수증기 방출면을 위로 하여 측정실 (31) 에 재치하고, 금속구 (4.5 g) 를 부착한 온도계 (38) 를 그 위에 얹어 계측한다. 또, 이 상태에서 하부로부터 제습 공기를 흘리고, 입구 온습도계 (34) 와 출구 온습도계 (36) 로 계측되는 온도 및 습도로부터 측정실 (31) 에 공기가 유입되기 전후의 절대 습도의 차를 구하고, 또한 입구 유량계 (35) 와 출구 유량계 (37) 로 계측되는 유량으로부터 증기 발생체 (3) 가 방출한 수증기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증기 발생체 (3) 를 산소 차단 봉투로부터 꺼낸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10 분 후까지 측정된 수증기량의 총량을, 10 분간 증기 발생량으로 한다.
[증기 발생구의 사용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증기 발생체 (3) 가 마스크 본체 (2) 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증기 발생구 (1) 전체가 산소 차단 봉투에 봉입된 상태로 보관되고 있다. 이 보관 상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 (2) 는, 주머니상의 상태로 접혀 있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 시에 산소 차단 봉투를 개봉하여, 증기 발생구 (1) 를 산소 차단 봉투로부터 꺼낸다. 이로써, 증기 발생체 (3) 가 공기와 접촉하여, 증기 발생체 (3) 에 포함되어 있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증기 발생체 (3) 가 발열을 개시한다.
산소 차단 봉투로부터 증기 발생구 (1) 를 꺼낸 후, 사용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 (2) 의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의 요함부 (12)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의 요함부 (12) 에 손가락을 대고,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로써,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결합되어 있지 않은 원호상의 주변부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 가 확개하여, 마스크 본체 (2) 가, 평면적인 주머니상으로부터 입체적인 컵상으로 변형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컵상으로 변형한 마스크 본체 (2) 에 의해 입 및 코가 덮이도록, 마스크 본체 (2) 를 얼굴에 접근시킨다. 또한, 이때, 마스크 본체 (2) 의 접안 측 단부 (5) 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증기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 (2) 의 접안 측 단부 (5) 를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뗀 상태에서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마스크 본체 (2) 에 의해 입 및 코가 덮인 상태에 있어서 증기 발생체 (3) 가 발열함으로써, 이 열에 의해 증기 발생체 (3) 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 가열되어 소정 온도의 수증기 (온열 증기) 가 되고, 마스크 본체 (2) 의 내면 시트 (14) 를 개재하여 마스크 본체 (2) 의 내부 공간 (4) 으로 방출되어, 사용자의 입이나 코에 공급된다. 이때, 증기 발생체 (3) 는 부향되고 있기 때문에, 수증기와 함께 향기 성분도 사용자에게 흡인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에 의하면, 간편한 방법으로 온열 증기 및 향기 성분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는, 접안 측 단부 (5) 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 (컵상) 으로 변형 가능한 마스크 본체 (2) 와, 마스크 본체 (2) 의 내부 공간 (4) 에 증기를 발생 가능한 증기 발생체 (3) 를 구비하고, 컵상으로 변형한 상태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 (2) 가, 접안 측 단부 (5) 로부터 폐색 측 단부 (6) 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둘레면을 가지고 있고, 이 둘레면이, 내부 공간 (4) 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요함부 (12) 를 가지고 있고, 이 요함부 (12) 가, 마스크 본체 (2) 의 둘레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1 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증기 발생구 (1) 에 의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로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었을 때에,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에 형성된 요함부 (12) (일방의 요함부 (12)) 의 내면 측 (12b) 이 사용자의 코에 피트함과 함께,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형성된 요함부 (12) (타방의 요함부 (12)) 의 내면 측 (12b) 이 사용자의 턱에 피트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켜, 내부 공간 (4) 내에 발생한 증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측 단부 (5) 의 개구로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었을 때에,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에 형성된 요함부 (12) 의 외면 측 (12a) 이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 에 피트함과 함께,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형성된 요함부 (12) 의 외면 측 (12a) 이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 에 피트하기 때문에, 사용 시에 손으로 쥘 때의 파지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는, 이들 1 쌍의 요함부 (12) 가 형성됨으로써, 그 1 쌍의 요함부 (12) 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 마스크 본체 (2)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증기량에 대한 증기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에 의하면, 1 쌍의 요함부 (12) 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 적은 증기량으로 동일한 증기 효과를 얻는 것, 또는, 동일한 증기량으로 보다 우수한 증기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에서는,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를 결합하는 상하 1 쌍의 측가장자리 결합부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및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가,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대해 0.5 mm 이상 5.0 mm 이하의 간격을 두고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와 각 측가장자리 결합부 (20, 22) 사이에 드라이 에지 (24)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증기 발생구 (1) 에 의하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 시에 손으로 쥘 때에 손가락이 아프게 되기 어렵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에서는, 접안 측 단부 (5) 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볼에 대한 피트성도 향상되어, 보다 한층,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켜, 내부 공간 (4) 내에 발생한 증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에서는, 증기 발생체 (3) 를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쌍방에 배치함으로써, 좌우의 비강에 동등의 증기량을 흡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1 패널부 (10A) 에 배치된 증기 발생체 (3) 와, 제 2 패널부 (10B) 에 배치된 증기 발생체 (3) 에 의해 내부 공간 (4) 에 공급되는 10 분간 증기 발생량이 500 mg 을 초과하면, 목이나 코에 온열 증기가 충분히 공급됨으로써 기도 점막의 기능을 높이고, 섬모 운동을 활성화하여, 감기나 인플루엔자 등의 예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증기 발생구 (1) 에서는, 증기 발생체 (3) 가 부향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증기에 기분 좋은 향기를 부가함으로써, 릴렉스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는,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귀걸이를 갖지 않고, 사용자가 손에 쥐는 타입 (마스크 본체 (2) 를 손으로 쥐어 사용하는 것) 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귀걸이식 마스크의 내측에 삽입하는 등 하여, 손으로 쥐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 (2) 가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것이 가능한 개구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 (2) 의 개구는, 사용자의 입 및 코 중 적어도 일방을 덮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여도 된다.
또, 마스크 본체 (2) 는, 개구의 크기를 변경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개구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 (2A, 2B) 의 일부 (상부 측 가결합부 (40), 하부 측 가결합부 (42)) 를 파단함으로써 개구를 크게 하는 구성이 예시된다. 상부 측 가결합부 (40) 및 하부 측 가결합부 (42) 는, 예를 들어,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가 절취선상이나 연속 시일상에 의해 결합된 부위이며,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를 서로 이간시키는 조작에 의해 파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결합은, 절취선상이나 연속 시일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상부 측 가결합부 (40), 하부 측 가결합부 (42) 에 있어서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가 결합되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파단이 가능하면 임의의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결합」의 의미에 대해서는, 기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있어서, 상부 측 가결합부 (40) 는, 예를 들어 도 9(a) 에 나타내는 마스크 본체 (2A) 와 같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와 접안 측 단부 (5) 의 교점으로부터 접안 측 단부 (5) 를 따라 연장되는 구성이나, 예를 들어 도 9(b) 에 나타내는 마스크 본체 (2B) 와 같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의 중도부로부터 접안 측 단부 (5) 를 향하여 연장되는 구성 등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또, 하부 측 가결합부 (42) 는, 예를 들어 도 9(a) 에 나타내는 마스크 본체 (2A) 와 같이,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와 접안 측 단부 (5) 의 교점으로부터 접안 측 단부 (5) 를 따라 연장되는 구성이나, 예를 들어 도 9(b) 에 나타내는 마스크 본체 (2B) 와 같이,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의 중도부로부터 접안 측 단부 (5) 를 향하여 연장되는 구성 등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관련된 마스크 본체 (2A, 2B) 에 의하면, 상부 측 가결합부 (40) 및 하부 측 가결합부 (42) 를 파단시켜 개구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므로,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자의 연령 (어른, 아이), 얼굴의 사이즈 등에 따라, 사용자 측에 있어서 개구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 (2) 가 접을 수 있는 구성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보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 (2) 가,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가 폐색 측 단부 (6) 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연속한 한 장물의 시트상 부재를 접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 (2) 는, 서로 분리된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를 중첩하고, 폐색 측 단부 (6),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각각 1 개씩 요함부 (12) 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함부 (12) 의 수는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요함부 (12) 가 복수 형성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손가락으로 마스크 본체 (2) 를 파지할 때의 손가락의 피트성을 향상시켜, 보다 한층, 마스크 본체 (2)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가 각각 상하 대칭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비대칭인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에 형성되는 요함부 (12) 의 수와,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형성되는 요함부 (12) 의 수가 상이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로서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마스크 본체 (2C) 와 같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에 2 개의 요함부 (12A, 12B) 가 형성되고,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1 개의 요함부 (12) 가 형성되는 구성이 예시된다.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에 형성된 요함부 (12A, 12B) 는,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형성된 요함부 (12) 보다 작은 곡률 반경 및 짧은 원호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 (2C) 에 의하면, 예를 들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에 형성된 2 개의 요함부 (12A, 12B) 에 2 개의 손가락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 및 약손가락) 을 대고,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형성된 요함부 (12) 에 1 개의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 을 댄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 (2C) 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므로, 상하 1 개씩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경우와 비교해, 마스크 본체 (2C)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형성된 요함부 (12) 에 손가락을 대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함부 (12) 에 근접하여 형성된 관통공 (54) 이나 슬릿 (56) 에 손가락을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로서는,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마스크 본체 (2D) 와 같이, 마스크 본체 (2D) 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된 여백부 (50, 52) (구체적으로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로부터 플랜지상으로 연장된 여백부 (50, 52)) 를 갖고, 그 여백부 (50, 52) 에 있어서의 요함부 (12) 와 근접한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관통공 (54) 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 예시된다. 또, 관통공 (54) 대신에, 예를 들어 도 12 에 나타내는 마스크 본체 (2E) 와 같이, 손가락을 삽입 통과 가능한 슬릿 (56) 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관통공 (54) 이나 슬릿 (56) 은, 도 11 및 도 12 에서는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와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1 개씩 형성되어 있지만, 그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측 측가장자리부 (7) 에 2 개 형성되고,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1 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하 1 개씩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경우와 비교해, 마스크 본체 (2D, 2E)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 (2D, 2E) 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 (2D, 2E) 를 장시간 쥐고 있어도 피로해지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접안 측 단부 (5) 가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상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함부 (12) 를 사이에 두도록, 각 패널부 (10A, 10B) 의 외측을 향하는 원호상의 접안 측 원호부 (7a, 8a) 및 폐색 측 원호부 (7b, 8b) 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요함부 (12) 의 양측이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상측 측가장자리부 (7)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 (8) 에 드라이 에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드라이 에지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발생체 (3) 가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각각에 1 개씩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의 각각에 복수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중 어느 일방에만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증기 발생체 (3) 가 제 1 패널부 (10A) 및 제 2 패널부 (10B) 에 내포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 (2) 의 내면에 포켓상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그 수납부에 증기 발생체 (3) 를 착탈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점착제 등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 (2) 의 내면에 증기 발생체 (3) 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증기 발생체 (3) 를 마스크 본체 (2) 에 대해 후에 추가하는 타입에 있어서는, 증기 발생체 (3) 만을 산소 차단 봉투에 봉입시킨 상태로 보관해도 된다. 증기 발생체 (3) 가 복수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증기 특성이나 형상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사용자에 대해 증기나 향기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관점에서, 동일 형상으로 동일의 증기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발생체 (3) 가 부향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향되고 있지 않은 증기 발생체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증기 발생구를 개시한다.
<1>
접안 측 단부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에 증기를 발생 가능한 증기 발생체를 구비하는 증기 발생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접안 측 단부로부터 그 접안 측 단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폐색 측 단부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둘레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요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1 쌍 형성되어 있는
증기 발생구.
<2>
상기 마스크 본체는, 그 마스크 본체의 반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1 패널부와, 나머지의 반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2 패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는, 상기 접안 측 단부를 제외한 가장자리부가 서로 결합된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안 측 단부의 개구를 확개시킴으로써 상기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는, 상기 접안 측 단부부터 상기 폐색 측 단부에 이르는 1 쌍의 측가장자리부에 상기 요함부를 가지고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3>
상기 1 쌍의 측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측가장자리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측가장자리 결합부는, 상기 요함부를 따른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상기 <2>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4>
각 측가장자리 결합부는, 상기 측가장자리부에 대해 0.5 mm 이상 5.0 mm 이하의 간격을 두고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가장자리부와 상기 측가장자리 결합부 사이에 드라이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3>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5>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는, 상기 접안 측 단부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2>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6>
상기 접안 측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75 mm 이상 20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있고, 80 mm 이상 12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mm 이상 10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5>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7>
상기 접안 측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160 mm 이상 22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가지고 있고, 170 mm 이상 21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0 mm 이상 20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5> 또는 <6>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8>
상기 증기 발생체는,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의 쌍방에, 상기 폐색 측 단부를 경계로 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기 <2>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9>
상기 증기 발생체는, 그 증기 발생체의 상기 폐색 측 단부 측의 단부와 상기 폐색 측 단부 사이의 거리가, 15 mm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mm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그 최단 거리가 5 mm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7 mm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8>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0>
상기 증기 발생체는, 그 증기 발생체의 상기 접안 측 단부 측의 단부와 상기 접안 측 단부 사이의 거리가, 15 mm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mm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그 최단 거리가 30 mm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mm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8> 또는 <9>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1>
상기 증기 발생체는, 10 분간 증기 발생량이 250 mg 이상인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2>
상기 증기 발생체는, 10 분간 증기 발생량이 350 m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0 m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00 m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 m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 m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1>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3>
상기 증기 발생체는, 2 장 이상의 부직포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기 <1>~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4>
상기 증기 발생체는, 부향되고 있는 상기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5>
상기 마스크 본체는,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것이 가능한 상기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6>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접안 측 단부의 개구로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은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용적이, 바람직하게는 50 ml 이상 200 ml 이하이며, 100 ml 이상 150 ml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5>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7>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접안 측 단부의 개구로 사용자의 입 및 코를 덮었을 때에, 일방의 상기 요함부의 내면 측이 사용자의 코에 피트하고, 타방의 상기 요함부의 내면 측이 사용자의 턱에 피트하는 상기 <15> 또는 <16>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8>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접안 측 단부의 개구가 확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그 접안 측 단부의 개구의 폭이, 바람직하게는 40 mm 이상이며, 6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바람직하게는 170 mm 이하이며, 15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9>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접안 측 단부의 개구가 확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그 접안 측 단부의 개구의 높이가,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이며, 7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바람직하게는 150 mm 이하이며, 14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0>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접안 측 단부 측을 향하는 오목상인 상기 <1>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1>
상기 요함부는, 두정부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5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있고, 20 mm 이상 4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mm 이상 35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2>
상기 요함부는, 두정부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20 mm 이상 6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가지고 있고, 30 mm 이상 50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mm 이상 45 mm 이하의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3>
상기 마스크 본체는,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와,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내면 시트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20 g/㎡ 이상이며, 4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이며, 12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외면 시트 (16) 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이며, 5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바람직하게는 200 g/㎡ 이하이며, 15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4>
상기 마스크 본체는, 개구의 크기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5>
상기 마스크 본체는, 그 마스크 본체의 일부를 파단함으로써 개구의 크기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24>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6>
상기 요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측 측가장자리부 및 하측 측가장자리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요함부 및 상기 하측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요함부 중 적어도 일방은, 복수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7>
상기 상측 측가장자리부에는, 2 개의 상기 요함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측가장자리부에는, 1 개의 상기 요함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26>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8>
상기 상측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요함부는, 상기 하측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요함부보다 작은 곡률 반경 및 짧은 원호 길이를 가지고 있는 상기 <27> 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29>
상기 마스크 본체는, 그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된 여백부를 갖고, 그 여백부에 있어서의 상기 요함부와 근접한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 통과 가능한 관통공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30>
귀걸이를 갖기 않고, 사용자가 손에 쥐는 타입인 상기 <1> ~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발생구.
1 : 증기 발생구
2 : 마스크 본체
3 : 증기 발생체
4 : 내부 공간
5 : 접안 측 단부
6 : 폐색 측 단부
7 : 상측 측가장자리부
8 : 하측 측가장자리부
10A : 제 1 패널부
10B : 제 2 패널부
12 : 요함부
14 : 내면 시트
16 : 외면 시트
20 :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측가장자리 결합부)
24 : 드라이 에지
2 : 마스크 본체
3 : 증기 발생체
4 : 내부 공간
5 : 접안 측 단부
6 : 폐색 측 단부
7 : 상측 측가장자리부
8 : 하측 측가장자리부
10A : 제 1 패널부
10B : 제 2 패널부
12 : 요함부
14 : 내면 시트
16 : 외면 시트
20 : 상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측가장자리 결합부)
22 : 하측 측가장자리 결합부 (측가장자리 결합부)
24 : 드라이 에지
Claims (8)
- 접안 측 단부에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에 증기를 발생 가능한 증기 발생체를 구비하는 증기 발생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접안 측 단부로부터 그 접안 측 단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폐색 측 단부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둘레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은,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요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1 쌍 형성되어 있는, 증기 발생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그 마스크 본체의 반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1 패널부와, 나머지의 반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2 패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는, 상기 접안 측 단부를 제외한 가장자리부가 서로 결합된 주머니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안 측 단부의 개구를 확개시킴으로써 상기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는, 상기 접안 측 단부로부터 상기 폐색 측 단부에 이르는 1 쌍의 측가장자리부에 상기 요함부를 가지고 있는, 증기 발생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측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측가장자리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측가장자리 결합부는, 상기 요함부를 따른 형상을 가지고 있는, 증기 발생구. - 제 3 항에 있어서,
각 측가장자리 결합부는, 상기 측가장자리부에 대해 0.5 mm 이상 5.0 mm 이하의 간격을 두고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가장자리부와 상기 측가장자리 결합부 사이에 드라이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증기 발생구.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부 및 상기 제 2 패널부는, 상기 접안 측 단부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증기 발생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체는, 10 분간 증기 발생량이 250 mg 이상인, 증기 발생구.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체는, 2 장 이상의 부직포 사이에 끼워져 있는, 증기 발생구.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체는, 부향되고 있는, 증기 발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097616 | 2019-05-24 | ||
JPJP-P-2019-097616 | 2019-05-24 | ||
JP2019186231A JP7309562B2 (ja) | 2019-05-24 | 2019-10-09 | 蒸気発生具 |
JPJP-P-2019-186231 | 2019-10-09 | ||
PCT/JP2020/000260 WO2020240906A1 (ja) | 2019-05-24 | 2020-01-08 | 蒸気発生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9069A true KR20210099069A (ko) | 2021-08-11 |
KR102623141B1 KR102623141B1 (ko) | 2024-01-09 |
Family
ID=7354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0475A KR102623141B1 (ko) | 2019-05-24 | 2020-01-08 | 증기 발생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309562B2 (ko) |
KR (1) | KR102623141B1 (ko) |
CN (1) | CN113874060B (ko) |
WO (1) | WO20202409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18501A1 (ja) * | 2020-12-04 | 2022-06-09 | 花王株式会社 | 蒸気発生具 |
KR102385370B1 (ko) * | 2021-04-07 | 2022-04-14 | (주)코리아테크 |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73712B1 (en) * | 1998-04-29 | 2001-01-1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isposable aerosol mask with disparate portions |
JP2011188947A (ja) * | 2010-03-12 | 2011-09-29 | Kao Corp | 水蒸気発生具 |
KR20180017050A (ko) * | 2015-06-10 | 2018-02-20 | 카오카부시키가이샤 | 증기 온열 마스크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ZA801798B (en) * | 1979-05-21 | 1981-03-25 | Racal Safety Ltd | Respirators |
JP4451048B2 (ja) * | 2002-06-20 | 2010-04-14 | 花王株式会社 | 水蒸気発生体 |
JP3901660B2 (ja) * | 2002-06-20 | 2007-04-04 | 花王株式会社 | 水蒸気発生具 |
JP4594182B2 (ja) * | 2005-07-20 | 2010-12-08 | 大王製紙株式会社 | 立体マスク |
EP2407209B1 (en) * | 2009-03-12 | 2017-02-08 | Shigematsu Works Co., Ltd. | Mask |
JP2011206222A (ja) * | 2010-03-29 | 2011-10-20 | Kao Corp | 水蒸気発生具 |
SG10201912700QA (en) * | 2016-06-17 | 2020-02-27 | Kao Corp | Steam heating too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2019
- 2019-10-09 JP JP2019186231A patent/JP7309562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1-08 CN CN202080038659.XA patent/CN113874060B/zh active Active
- 2020-01-08 WO PCT/JP2020/000260 patent/WO202024090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1-08 KR KR1020217020475A patent/KR1026231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73712B1 (en) * | 1998-04-29 | 2001-01-1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isposable aerosol mask with disparate portions |
JP2011188947A (ja) * | 2010-03-12 | 2011-09-29 | Kao Corp | 水蒸気発生具 |
KR20180017050A (ko) * | 2015-06-10 | 2018-02-20 | 카오카부시키가이샤 | 증기 온열 마스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309562B2 (ja) | 2023-07-18 |
CN113874060B (zh) | 2023-10-13 |
KR102623141B1 (ko) | 2024-01-09 |
WO2020240906A1 (ja) | 2020-12-03 |
JP2020192310A (ja) | 2020-12-03 |
CN113874060A (zh) | 2021-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6197B1 (ko) | 증기 온열 마스크 | |
JP3901660B2 (ja) | 水蒸気発生具 | |
JP7229049B2 (ja) | 温熱具 | |
JP2004531325A (ja) | 物質を対象表面上に供給する半包囲型アプリケータ | |
JP6859116B2 (ja) |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 |
JP2011206222A (ja) | 水蒸気発生具 | |
JP2006314618A (ja) | フェイスマスク | |
KR20210099069A (ko) | 증기 발생구 | |
KR20060041764A (ko) | 유체 처리 제품 및 이의 사용방법 | |
JP2011136060A (ja) | マスク用鼻部温熱具 | |
TW201922190A (zh) | 吸收性物品之個別包裝體 | |
WO2009145134A1 (ja) |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 |
JP2011188947A (ja) | 水蒸気発生具 | |
JP7321706B2 (ja) | マスク | |
JP2007275084A (ja) | 温灸器 | |
KR101311040B1 (ko) | 랩층을 갖는 압축 접힘 용품 | |
JP2007186626A (ja) | 成形性含余剰水発熱組成物、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23199708A1 (ja) | マスク収容体 | |
WO2003103444A1 (ja) | 水蒸気発生具 | |
WO2022118501A1 (ja) | 蒸気発生具 | |
TW202237229A (zh) | 面罩 | |
JP2021134434A (ja) | 機能性マスク | |
JP2009084299A (ja) | 成形性含余剰水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 |
WO2021250802A1 (ja) | マスク及びマスクの使用方法 | |
JP7325958B2 (ja) | マス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