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370B1 -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 Google Patents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370B1
KR102385370B1 KR1020210045430A KR20210045430A KR102385370B1 KR 102385370 B1 KR102385370 B1 KR 102385370B1 KR 1020210045430 A KR1020210045430 A KR 1020210045430A KR 20210045430 A KR20210045430 A KR 20210045430A KR 102385370 B1 KR102385370 B1 KR 10238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sk
binding
filter body
bin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코리아테크
Priority to KR102021004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370B1/ko
Priority to CN202180096570.3A priority patent/CN117083108A/zh
Priority to JP2023558605A priority patent/JP2024510814A/ja
Priority to PCT/KR2021/004537 priority patent/WO2022215779A1/ko
Priority to KR1020210148223A priority patent/KR20220139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필터의 일부에 분리가 가능한 결착부를 부가한 마스크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Filter for Mask Comprising Binding Part}
본원발명은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필터의 일부에 분리가 가능한 결착부를 부가한 마스크 필터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질병과 관련된 제품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인의 질병을 남에게 퍼트리지 않거나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황사,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 또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마스크에 대한 인식이 급변했다. 마스크에 대한 품귀 현상이 발생되었을 만큼 귀한 대접을 받았었고, 마스크만으로 질병 예방 효과가 크다는 것이 사회적으로 학습되었다. 하루 중 대부분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생활을 한 경험도 널리 공유되었다.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얼굴을 가린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동, 서양 구분 없이 완화되었다.
향후 마스크는 안경과 같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모든 가정이 최소 수량 이상을 상시로 비축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봄의 꽃가루, 황사, 한 여름 자동차의 매연, 겨울의 가벼운 감기에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닌 것처럼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또한 매우 자연스러운 문화가 될 것이다.
마스크는 누설률에 따라서 등급 및 용도가 나누어진다.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마스크의 누설률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보건용 마스크의 기준규격에 대한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안내서-0349-04에 기재된 누설률 시험법에 따라 측정한다.
공인된 누설률을 갖는 마스크일지라도 착용하는 사용자의 안면의 크기 및 귀에 고정하는 끈 길이에 따라 실질적인 누설률이 달라질 수 있다.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사전 연구로서 성인용으로 제작된 마스크를 사용하여 마스크의 끈 길이를 조절하지 않았을 경우, 마스크의 끈을 포함하는 길이를 얼굴 길이의 120%로 조정한 경우의 누설률을 비교하였다. 후자의 경우가 전자의 경우에 대비하여 누설률이 적게는 25%에서 많게는 83%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스크는 끈 길이를 조절해야만 누설률을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얼굴 길이는 모르페우스를 이용하여 측정한 얼굴 길이로서 사용자의 왼쪽 귀에서 코 밑까지 그리고 코 밑에서 오른쪽 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마스크의 끈 길이를 조절하여 누설률을 높일 수 있지만, 안면의 굴곡에 따라 디자인된 마스크, 정확하게는 마스크 필터의 크기 또한 누설률에 영향을 미친다. 남녀노소에 따라 안면 크기가 상이하나, 모든 사용자에 대응한 맞춤형 마스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현재 시중에서 제공되는 마스크는 몇 가지의 미리 정해진 크기의 마스크 필터 또는 많은 굴곡을 부가한 마스크 필터만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남녀노소에 따른 안면 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해서 크기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더블폴딩 마스크, 접이식 마스크, 컵형 마스크, 비말 마스크가 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하는 마스크 필터는 통상적으로 끈 부분을 제외한 마스크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원발명은 해당 부분을 마스크 필터 또는 필터로 언급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가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상면; 상기 필터본체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하면이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턱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하면;을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상면 및 상기 필터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부에는 각각 상기 필터본체와 추가로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제1결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인 마스크 필터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가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상면; 상기 필터본체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하면이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턱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하면;을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상면 및 상기 필터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본체와 추가로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제2결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결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인 마스크 필터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며 중앙부가 접히는 필터본체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는 대칭인 본체좌부 및 본체우부가 겹쳐진 후 일측 단부가 상호 융착결합된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의 주변부 중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의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의 제3결착부가 부가된 마스크 필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3결착부는 상기 접합부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좌부와 상기 본체우부가 결합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가 겹치면서 결합하는 형태일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접히는 부분이 부가된 필터본체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의 좌측 상단, 좌측 하단, 우측 상단, 우측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필터본체끼리 결합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제4결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4결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인 마스크 필터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제1결착부 및/또는 제2결착부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필터상면과 필터하면이 필터본체로부터 벌어지는 정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서 다양한 얼굴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제3결착부와 제4결착부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필터본체의 실질적인 크기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서 다양한 얼굴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착부 내지 제4결착부는 사용자가 탈착을 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본인의 얼굴 크기에 맞춰 제1결착부 내지 제4결착부 중 원하는 부분을 탈착하여 본인 얼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박리강도 90도 SUS 기준 500(g/25㎜)이하의 융착, 벨크로, 스냅 단추, 끼움, 클립, 자력, 재봉, 단추, 커플러, 집게, 접착, 점착, 탄성결합을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터상면의 제1결착부 및 상기 필터하면의 제2결착부는 각각 상기 필터상면의 외주변 및 상기 필터하면의 외주변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결착부 및 제4결착부 또한 상기 필터본체의 외주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착부 내지 상기 제4결착부의 주변에는 각각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다양한 해결수단 중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은 결착부를 구비한 하나의 마스크 필터만을 제공하고 결착부의 탈착 여부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개개인의 안면에 대응할 수 있는 바, 누설률 및 착용감이 우수한 마스크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착부를 부가하는 공정은 종래의 공정을 그대로 적용하면서 일부만을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상기 구성을 부가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다. 한편, 사용자 안면 크기 및 모양에 대해서 다양한 크기의 마스크 필터를 제공하지 않는 바, 소품종 생산으로서 잉여 제품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이는 자원 활용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급속하게 증가하는 마스크 필터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더블폴딩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1결착부에 대한 예시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결착부에 대한 예시이다.
도 4는 종래의 접이식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3결착부에 대한 예시이다.
도 6은 종래의 비말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4결착부에 대한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원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더블폴딩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1결착부에 대한 예시이고,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결착부에 대한 예시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더블폴딩 마스크(100, 200)는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본체(110, 210); 상기 필터본체(110, 210)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110, 210)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110, 210)의 상부가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상면(120, 220); 상기 필터본체(110, 210)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110, 210)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110, 210)의 하면이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턱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하면(130, 230);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본체(110, 210), 필터상면(120, 220), 필터하면(130, 230)을 마스크 필터라 한다.
필터상면(120, 220)에는 추가적으로 코와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코고정부(125, 225)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필터는 끈(140, 240)이 부가되어 우리가 사용하는 마스크, 더블폴딩 마스크(100,200)를 구성한다. 상기 필터본체(110, 210)는 다수의 다공성 기재를 여러층 쌓은 후 결합한다. 필터본체(110, 210)의 접합부(111, 211)는 이러한 다수의 다공성 기재가 결합한 부위이다. 필터상면(120, 220) 및 필터하면(130, 230)도 유사한 공정으로 제조되어 외주변을 따라 동일한 접합부가 형성된다.
필터본체(110, 210)에는 또한 끈(140, 240)과 결합하기 위한, 끈접합부(114, 214)가 부가된다.
필터본체(110, 210)와 필터상면(120, 220) 및 필터본체(110, 210)와 필터하면(130, 230)은 각각 상면접합부(112, 212), 하면접합부(113, 213)를 따라 결합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상기 필터본체(110, 210)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필터상면(120, 220)이 고정된 것과, 상기 필터본체(110, 210)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향 이격되어 필터하면(130, 230)이 고정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 필터는 상기 필터상면(220) 및 상기 필터하면(23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부에는 각각 상기 필터본체(210)와 추가로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제1결착부(A-A', B-B', C-C', D-D')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착부(A-A', B-B', C-C', D-D')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인 마스크 필터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 필터는 상기 필터상면(220) 및 상기 필터하면(230)의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본체(210)와 추가로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제2결착부(E-E', F-F')가 마련되며, 상기 제2결착부(E-E', F-F')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인 마스크 필터를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은 더블폴딩 마스크 필터만을 도식화한 것이며, 이를 안면에 고정하는 부분은 생략이 되었다. 본원발명은 종래의 더블폴딩 마스크 필터를 제조할 때 융착한 부분에 부가하여 A-A', B-B', C-C', D-D'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 중 하나 이상이 결합하는 제1결착부 또는 E-E', F-F'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 중 하나 이상이 결합하는 제2결착부가 부가된 것이다. A-A', B-B', C-C', D-D', E-E', F-F'가 결합할 때, 서로 대칭되는 위치가 아닌 다른 부위에 결합할 수 있다. A-A', B-B', C-C', D-D', E-E', F-F'의 각각이 결합할 때 1쌍의 결합 외 추가의 결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다양한 사용자의 안면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안면이 가장 작을 경우 제1결착부 또는 제2결착부를 탈착하지 않으며, 안면의 크면 클수록 탈착을 많이 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본체(210)는 사용자의 구강 주변에 배치되며, 필터상면(220)은 사용자의 코 주변에 배치되고, 필터하면(230)은 사용자의 턱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상면(220), 상기 필터하면(230)의 양측에는 상기 필터본체(210)와 고정되는 1개 이상의 제1결착부(A-A', B-B', C-C', D-D' 각각 대응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착부(A-A', B-B', C-C', D-D' 각각 대응되는 결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필터상면(220), 상기 필터하면(230)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본체(210)와 고정되는 1개 이상의 제2결착부(E-E', F-F' 대응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결착부(E-E', F-F')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상기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는 필터본체(210)와 필터상면(220) 및 필터하면(230)이 손상되지 않고 탈착할 수 있는 정도의 힘이어야 한다. 예시로서 하나의 결합에 대한 박리강도 90도 SUS 기준 500(g/25㎜)이하이다. 또 다른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로는 벨크로, 스냅 단추, 끼움, 클립, 자력, 재봉, 단추, 커플러, 집게, 접착, 점착, 탄성결합을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터상면이 배치될 수 있는 범위는 콧망울(tip-defining points) 내지 비골(nasal bone) 하단부일 수 있다. 제3결착부 및 제4결착부가 결합하는 방식은 제1결착부 및 제2결착부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서 결착할 수 있는 부위의 예시로 각각 A-A', B-B', C-C', D-D', E-E', F-F'로 표시하였다. A, B, C, D, E, F의 다수의 점으로 표시하였으며, 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결착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A, B, C, D, E, F의 결착부위는 각각 대응되는 A', B', C', D', E', F'에 결착한다. A-A', B-B', C-C', D-D', E-E', F-F'가 결합할 때, 서로 대칭되는 위치가 아닌 다른 부위에도 결착할 수 있다.
A, B, C, D는 제1결착부의 예시이고, E, F는 제2결착부의 예시이다. 필터를 제조할 때 초기에는 A, B, C, D, E, F 모두가 다 결착이 된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에 맞추어 해당 결착된 부분까지 탈착하여 얼굴에 맞출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제1결착부 및/또는 제2결착부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필터상면과 필터하면이 필터본체로부터 벌어지는 정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서 다양한 얼굴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착부 및/또는 제2결착부는 사용자가 탈착을 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본인의 얼굴 크기에 맞춰 제1결착부 및/또는 제2결착부 중 원하는 부분을 탈착하여 본인 얼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하기 제3결착부 및 제4결착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제1결착부 및 제2결착부가 상기 필터상면(220) 및 필터하면(230)의 외주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에는 밀착의 강도가 강해서 탈착시 필터상면(220) 또는 필터하면(230)의 일부가 손상이 되어도 문제가 없다. 이 경우 손상된 필터상면(220) 또는 필터하면(230)은 최외각에 배치되는 부분이므로 나머지 부분에 의해서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A-A', B-B', C-C', D-D', E-E', F-F'의 예시 중 필터상면(220) 및 필터하면(230)의 외주변을 따라 배치된 결합부가 해당된다.
상기 제1결착부 내지 제4결착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필터상면(220), 또는 필터하면(230), 또는 필터본체(210, 410, 610)에는 별도의 주름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은 직선이 아닌 안면 윤곽선, 특히 턱 윤곽선을 따르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접이식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3결착부에 대한 예시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이식 마스크(300, 400)는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며 중앙부가 접히는 필터본체(310, 410)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310, 410)는 대칭인 본체좌부(314, 414) 및 본체우부(316)가 겹쳐진 후 일측 단부가 상호 융착결합된 접합부(311, 411)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접합부(411)의 주변부 중 상기 필터본체(41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의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의 제3결착부(G, H)가 부가된다.
이때 상기 제3결착부(G, H)는 상기 접합부(411)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좌부(414)와 상기 본체우부가 결합하거나, 상기 필터본체(410)의 상부 또는 하부가 겹치면서 결합하는 형태일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비말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4결착부에 대한 예시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비말마스크(500, 600)는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접히는 부분이 부가된 필터본체(510, 610)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본체(610)의 좌측 상단, 좌측 하단, 우측 상단, 우측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필터본체끼리 결합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제4결착부(I, J)가 마련되며, 상기 제4결착부(I, J)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인 마스크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I는 I 중에서 서로 1개 이상 결착하는 것이며, 상기 J는 J 중에서 서로 1개 이상 결착한다.
100, 200 : 더블폴딩 마스크
300, 400 : 접이식 마스크
500, 600 : 비말 마스크
110, 210, 310, 410, 510, 610 : 필터본체
111, 211, 311, 411 : 접합부
112, 212 : 상면접합부
113, 213 : 하면접합부
114, 214 : 끈접합부
120, 220 : 필터상면
125, 225, 525. 625 : 코고정부
130, 230 : 필터하면
140, 240, 340, 440, 540, 640 : 끈
314 : 본체좌부
316 : 본체우부
A-A', B-B', C-C', D-D' : 제1결착부
E-E', F-F' : 제2결착부
G, H : 제3결착부
I, J : 제4결착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며 중앙부가 접히는 필터본체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는 대칭인 본체좌부 및 본체우부가 겹쳐진 후 일측 단부가 상호 융착결합된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의 주변부 중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의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의 제3결착부가 부가된 마스크 필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는 박리강도 90도 SUS 기준 500(g/25㎜)이하의 융착, 벨크로, 스냅 단추, 끼움, 클립, 자력, 재봉, 단추, 커플러, 집게, 접착, 점착, 탄성결합을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마스크 필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착부는 상기 필터본체의 외주변에 접하게 배치되는 마스크 필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착부의 주변에는 주름이 형성된 마스크 필터.
KR1020210045430A 2021-04-07 2021-04-07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KR10238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430A KR102385370B1 (ko) 2021-04-07 2021-04-07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CN202180096570.3A CN117083108A (zh) 2021-04-07 2021-04-09 包括紧固部的口罩过滤器
JP2023558605A JP2024510814A (ja) 2021-04-07 2021-04-09 結着部を含むマスクフィルター
PCT/KR2021/004537 WO2022215779A1 (ko) 2021-04-07 2021-04-09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KR1020210148223A KR20220139219A (ko) 2021-04-07 2021-11-01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430A KR102385370B1 (ko) 2021-04-07 2021-04-07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223A Division KR20220139219A (ko) 2021-04-07 2021-11-01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370B1 true KR102385370B1 (ko) 2022-04-14

Family

ID=812111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430A KR102385370B1 (ko) 2021-04-07 2021-04-07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KR1020210148223A KR20220139219A (ko) 2021-04-07 2021-11-01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223A KR20220139219A (ko) 2021-04-07 2021-11-01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0814A (ko)
KR (2) KR102385370B1 (ko)
CN (1) CN117083108A (ko)
WO (1) WO202221577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284A (ja) * 2005-05-02 2006-11-09 Tamae Maejima サイズ調整可能なマスク
JP2011512905A (ja) * 2008-02-25 2011-04-28 プレステージ アメリテック リミテッド 何人(なんぴと)にも適合させ得る顔面マスク
KR101355247B1 (ko) * 2013-04-11 2014-01-27 김현정 코 마스크
JP2014200459A (ja) * 2013-04-04 2014-10-2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マスク
JP2020192310A (ja) * 2019-05-24 2020-12-03 花王株式会社 蒸気発生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0390B (en) * 2003-09-09 2007-01-11 Lee Yong Chuol Disposable dust protective mask
KR101958385B1 (ko) * 2016-11-30 2019-03-14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사각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284A (ja) * 2005-05-02 2006-11-09 Tamae Maejima サイズ調整可能なマスク
JP2011512905A (ja) * 2008-02-25 2011-04-28 プレステージ アメリテック リミテッド 何人(なんぴと)にも適合させ得る顔面マスク
JP2014200459A (ja) * 2013-04-04 2014-10-2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マスク
KR101355247B1 (ko) * 2013-04-11 2014-01-27 김현정 코 마스크
JP2020192310A (ja) * 2019-05-24 2020-12-03 花王株式会社 蒸気発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19A (ko) 2022-10-14
CN117083108A (zh) 2023-11-17
JP2024510814A (ja) 2024-03-11
WO2022215779A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248B2 (en) Stiffened filter mask
AU2014309243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U2014309245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U2014309238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WO2019198252A1 (ja) 使い捨てマスク
EP2849592B1 (en) Nose bridge for disposable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2385370B1 (ko) 결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필터
CN206275201U (zh) 医用环保型口罩
CN111616444A (zh) 一种口罩支架
CN111493406A (zh) 一种可换芯口罩
CN219306097U (zh) 一种复合型口罩
KR102346995B1 (ko) 2차 용융 접합점을 갖는 마스크
CN202760216U (zh) 带有鼻梁架的医用卫生口罩
CN109924572A (zh) 一种方便组合的模块化口罩
JP2019183354A (ja) 使い捨てマスク
CN103504633A (zh) 带有鼻梁架的医用卫生口罩
CN212088236U (zh) 一种防起雾口罩
CN211960961U (zh) 一种可以显示过滤效果的舒适型儿童口罩
CN210642606U (zh) 口罩
CN208192252U (zh) 一种内镜洗消一体式眼镜口罩
KR20230124392A (ko)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
KR200199306Y1 (ko) 헤드밴드가 구비된 마스크
TWM597056U (zh) 可替換口罩遮護部結構
TWM462612U (zh) 鼻罩
KR20230120912A (ko)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