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392A -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392A
KR20230124392A KR1020220021671A KR20220021671A KR20230124392A KR 20230124392 A KR20230124392 A KR 20230124392A KR 1020220021671 A KR1020220021671 A KR 1020220021671A KR 20220021671 A KR20220021671 A KR 20220021671A KR 20230124392 A KR20230124392 A KR 20230124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sk
frame
f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453B1 (ko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코리아테크
Priority to KR102022002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4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코 주변부의 밀폐성을 높인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Mask comprising pocket unit}
본원발명은 포켓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마스크와 코 주변부의 밀폐성을 높인 포켓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질병과 관련된 제품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인의 질병을 남에게 퍼트리지 않거나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황사,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 또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마스크에 대한 인식이 급변했다. 마스크에 대한 품귀 현상이 발생되었을 만큼 귀한 대접을 받았었고, 마스크만으로 질병 예방 효과가 크다는 것이 사회적으로 학습되었다. 하루 중 대부분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생활을 한 경험도 널리 공유되었다.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얼굴을 가린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동, 서양 구분없이 완화되었다.
마스크는 안경과 같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모든 가정이 최소 수량을 상시로 비축하고 있다. 봄의 꽃가루, 황사, 한 여름 자동차의 매연, 겨울의 가벼운 감기에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다.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닌 것처럼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또한 매우 자연스러운 문화가 되었다.
마스크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문화적 환경이 급변한 만큼 현재의 개념을 초월한 새로운 개념의 마스크가 필요하다. 종래의 마스크는 비정상적인 경우에 임시로 착용하는 기능성만을 고려하여 제조된 것인바, 상시로 착용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패션까지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마스크가 필요하다.
안면에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고 들뜨는 문제는 마스크를 포함하여 고글, 방독면, VR 헤드셋 등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다. 코를 포함하는 주변부는 안면의 다른 부분에 비해 굴곡이 심하고, 피부가 얇아 완충 작용이 거의 없으며, 높이가 높아 안면과 정확하게 밀착되기 어렵다. 또한, 숨을 쉬거나 말을 할 때 얼굴 근육이 움직임에 따라 더 쉽게 누설이 되는 부위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스크의 코를 포함한 주변부에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 등을 삽입하거나 표면에 부착하였지만, 여전히 안면과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마스크는 철사 등의 금속을 변형시켜 마스크를 안면과 잠시 밀착시키더라도 지지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얼굴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쉽게 빈틈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매우 단순하고, 이미 해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미완성의 상태로 남아있는 부분이다.
대화 등에 의한 얼굴 근육의 움직임은 마스크의 움직임을 가져온다. 코로나-19와 같이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할 경우, 콧등과 마스크의 마찰로 인해서 피부 손상이 발생한다.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콧등에 밴드나 반창고를 붙이고 그 위에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이러한 잦은 마찰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함이다.
방독면은 머리 뒤에 거치되는 밴드 등을 통해서 실리콘 등 탄성있는 실링부가 코를 포함한 주변부를 압박하여 안면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코를 포함한 주변부를 가압하는 힘이 커 장시간 작용이 곤란하다. 또한 안면에 자국이 남아 여성들이 기피하는 문제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마스크와 방독면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이지만, VR 헤드셋은 공기의 흐름과 더불어 빛의 차단 또한 동시에 요구된다. VR 헤드셋 착용시 코를 포함한 주변부가 실링되지 않을 경우 빛 노출에 의한 집중도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출시된 모든 제품 또한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고 방독면과 같이 강하게 압박하는 미완성의 기술을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호흡기의 누설이 없고 최적의 기공의 필터 부분을 선택할 수 있고 숨막힘을 해소하고 또한 안경의 흘림 방지 기능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피부 접촉부와의 밀착성이 좋은 고정틀 부분과 분리, 접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필터 부분과 안면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분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분을 다른 소재로 만들어, 기능을 분담한다. 고정틀 부분의 피부 접촉 부품에는 노치를 넣어 두어 장착부분의 장력에 의해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고 소재로서 피부의 온도로 수축하는 형상 기억 수지나 피부 점착성 수지를 이용한다. 접촉 부품의 상부에는 대화나 표정의 변화 등에서의 안면의 근육, 골격 변형에 대응해 신축하는 탄성체 수지를 이용한다. 필터 부분은 고정틀 부분과 분리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필요한 소재를 선택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2는 코를 밀폐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양압 하에서 호흡 가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 및 입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개량된 코밀폐 부분을 가지는 마스크를 제공하며, 제1 패들 및 제2 패들을 구비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3은 코패드가 부착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 코패드 및 내층 주름으로 구성되며, 마스크 본체는 외층면, 중간층면 및 내층면을 가지고, 코패드는 외층면에 배치되며, 내층 주름은 내층면에서 연장되어 접혀서 형성되고, 내층 주름 및 외층면은 동시에 코패드를 덮고 코패드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마스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4는 신축밴드가 구비된 밀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부위를 따라 신축성과 가요성을 갖는 2차 밀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사용자의 콧등을 위에서 감싸서 밀착하는 코 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코 패드의 양측으로부터 하향으로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코와 입 주변을 감싸는 측하부막이 구비되고, 상기 측하부막 테두리부에는 피부와 밀착을 위한 탄성 및 신축성 재질의 1차 밀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2차 밀착부 중 일측으로서 상부 위치에 탄성을 갖는 별도의 신축밴드를 구비시킴으로서 코 패드(40)의 콧등 밀착력을 증대시켜 내부 공기의 상향 유출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5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커버의 내측 상부에 중앙은 콧등이 내입되면서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안면의 눈 밑으로 콧등과 양측 광대뼈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 피부와 밀착되도록 된 돌출부가 구비된 밀폐수단이 마련된 마스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6은 기체가 필터 시트에 여과되지 않고 마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코 클립 및/또는 코 패드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7은 미세먼지가 호흡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상, 하단으로 내측면에 코지지부가 형성된 상부덮개부와 공기배출부가 형성된 턱지지부가 형성된 하부덮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시에 상부덮개부에 형성된 코지지부가 별도의 조작 없이 코에 밀착된 상태로 용이하게 착용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8은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얼굴의 곡률에 맞게 형성되어 입과 코를 차폐하게 되는 마스크 본체(1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 양측에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게 되는 고정끈(200)을 포함하여 한지 고유의 기능을 향유하여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각종 유해 세균등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걸러주면서도 통기성과 보온성 및 속건성, 향균성이 뛰어나서 쾌적한 상태가 오래도록 유지되며, 특히나 인체에 해가 적어 어린이나 노약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내지 8는 마스크와 코를 포함한 주변부의 밀착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공지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1) 착용상태에서 임시로 밀착이 되더라도 밀착 정도가 약하고, 2) 사용자의 근육이 움직일 수 밖에 없는 안면 부위라서 안면 근육 등의 움직임에 의해서 밀착이 쉽게 약해질 뿐만 아니라 콧등과 같은 피부와의 잦은 마찰로 인해서 피부 손상이 발생하며, 3) 안면 근육의 움직임이 없어도 마스크 또는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사용자가 움직일 경우 그 진동에 의해서도 밀착 정도가 약해지고, 4) 밀착부위가 코 패드와 같이 코 부위를 강하게 압박하는 형태를 제공하고 있어 여성 사용자의 경우 화장이 지워지고 이로 인해 착용을 기피하게 되며, 5) 일부 방독면의 경우 압박 정도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강한 압박만이 가능하고, 또한 6) 사용자의 숙련의 정도에 따라서 밀착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노약자, 어린이와 같이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불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7) 페이스 쉴드를 부가할 경우 여전히 이중으로 안면에 고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430호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030698호 ('특허문헌 2')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22972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2157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9652호 ('특허문헌 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0048호 ('특허문헌 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72094호 ('특허문헌 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32897호 ('특허문헌 8')
본원발명은 마스크와 코 주변부의 누설률 및 착용감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은 1) 안면과의 밀착 정도가 강하고, 2) 안면 근육 등이 움직이더라도 안면과의 밀착을 계속 유지하며, 3) 마스크 등을 착용하고 움직일 경우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안면과의 밀착 정도가 약해지지 않고, 4) 노약자, 어린이 등의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일정 수준 이상의 밀착을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필터의 상부를 변형하여 상기 필터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게 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고정되는 안착부가 부가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안면에 고정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마스크를 귀에 고정할 수 있으며, 안면의 다른 부위에 고정하는 방식 또한 적용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에 따른 필터는 중앙이 접힐 수 있는 폴딩형 또는 새부리형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외주부 및 상기 필터를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수평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외주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 하부,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중앙부를 따라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수직부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외주부는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비하여 영률(Young's modulus)이 낮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상기 프레임외주부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재질 자체를 강도가 약한 것으로 대치하거나, 프레임외주부 자체에 관통부를 만들 수 있다. 관통부를 만들 경우 프레임외주부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전체적인 마스크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는 프레임외주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전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프레임외주부는 돌출된 보강부가 더 부가될 수 있으며, 프레임 전체에 관통부를 만들 경우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도 보강부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가 고정되는 방식은 상기 필터에 마련된 홈에 끼워지거나, 상기 필터에 마련된 주머니에 삽입되거나, 자석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똑딱 단추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벨크로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클립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는 것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다양한 해결수단 중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은 누름부를 도입하여 종래의 마스크에서 해결하지 못한 고질적인 문제인 안경 등에 김이 서리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원발명은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코 주변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마스크로서 종래의 마스크에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효과를 달성했다. 구체적으로 1) 코와의 밀착 정도가 강하고, 2) 안면 근육 등이 움직이더라도 코와의 밀착을 계속 유지할 뿐만 아니라 마찰을 최소화하며, 3) 마스크를 착용하고 움직일 경우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밀착 정도가 약해지지 않고, 4) 노약자, 어린이 등의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일정 수준 이상의 밀착을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누름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누름부가 변형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원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필터(110)를 음영으로 표시했다.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110), 상기 필터(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30), 상기 필터(110)의 상부를 변형하여 상기 필터(110)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게 하는 누름부(160)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필터(110)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160)는 상기 프레임(13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162)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110)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연장부(162)가 고정되는 안착부(112)가 부가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필터는 중앙이 접힐 수 있는 폴딩형 또는 새부리형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마스크(100)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고정부(140)가 도식화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부(14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귀에 거는 방식 또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머리의 다른 부분에 고정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필터(110)를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수평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프레임(130)과 상이한 재질로서 상기 프레임(130)에 탈착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140)는 탄성 재질로서 C 또는 반원 형태이다. 상기 고정부(140)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나 수지, 탄성력이 없는 나무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의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프레임(130), 특히 프레임수평부(134)와 프레임결합부(138)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는 또한 상기 필터(110)의 상부를 변형하여 상기 필터(110)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게 하는 누름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필터(110)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160)는 상기 프레임(13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162)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연장부(162)가 별도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별도로 결합되지 않고, 프레임결합부(138)가 계속 연장된 것일 수도 있다.
필터(110)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연장부(162)가 고정되는 안착부(112)가 부가된다.
상기 연장부(162)가 고정되는 방식은 필터(110)에 마련된 홈에 끼워지거나, 필터에 마련된 주머니에 삽입되거나, 자석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똑딱 단추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벨크로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클립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는 것 중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6에서는 주머니 형태의 안착부에 삽입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다.
상기 필터(110)의 좌우측 말단에는 상기 프레임(130)의 탈착결합부(131)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필터탈착부(114)가 부가될 수 있다. 이들이 결합할 수 있는 방식은 자석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똑딱 단추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벨크로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클립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는 것 중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필터(110)의 탈착방식은 본원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0)의 누름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0)는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210), 상기 필터(210)를 지지하는 프레임(230), 상기 필터(210)의 상부를 변형하여 상기 필터(210)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게 하는 누름부(260)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30)은 상기 필터(210)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260)는 상기 프레임(23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262)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210)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연장부(262)가 고정되는 안착부(212)가 부가된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230)은 상기 필터(210)를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수평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프레임(230)과 상이한 재질로서 상기 프레임(230)에 탈착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240)는 탄성 재질로서 반원 형태이다. 상기 고정부(240)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나 수지, 탄성력이 없는 나무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의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프레임(230), 특히 프레임수평부(234)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와 달리 프레임수평부(234)에 마련된 경첩(도면번호 미도시)이 부가되었다. 상기 경첩은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첩의 종류로는 각도조절경첩이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디텐트 경첩, 프리스탑 경첩이 있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 또한 상기 필터(210)의 상부를 변형하여 상기 필터(210)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게 하는 누름부(260)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름부(260)는 상기 프레임(23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다.
필터(210)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연장부(262)가 고정되는 안착부(212)가 부가된다.
상기 연장부(262)가 고정되는 방식은 필터(210)에 마련된 홈에 끼워지거나, 필터에 마련된 주머니에 삽입되거나, 자석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똑딱 단추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벨크로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클립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는 것 중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필터(210)의 좌우측 말단에는 상기 프레임(230)의 탈착결합부(231)와 탈착 결합할 수 있는 필터탈착부(214)가 부가될 수 있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누름부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6의 좌우는 각각 누름부의 변형 형태에 대한 예시이며, 상부는 결합된 형태, 하부는 결합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기준으로 누름부(260b, 260c)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제2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누름부의 형태가 직선(260b) 또는 곡선(260c)일 수 있고, 또한 누름부가 프레임을 중심으로 돌출되어 안면 바깥으로 연장(260c)되거나, 안면의 안쪽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변형된 누름부(260b, 260c)에 맞추어 안착부(212b, 212c) 형태도 변형된다.
100, 200 : 마스크
110, 210 : 필터
112, 212, 212b, 212c : 안착부
114, 214 : 필터탈착부
116 : 결착부
118 : 접합부
130, 230 : 프레임
131, 231 : 탈착결합부
134, 234 : 프레임수평부
138 : 프레임결합부
140, 240 : 고정부
160, 260, 260b, 260c : 누름부
162, 262 : 연장부

Claims (7)

  1.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필터의 상부를 변형하여 상기 필터의 상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게 하는 누름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고정되는 안착부가 부가된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외주부 및 상기 필터를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수평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외주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 하부,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따라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수직부;
    가 더 부가되는 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외주부는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비하여 영률(Young's modulus)이 낮은 마스크.
  6.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외주부는 돌출된 보강부가 더 부가된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고정되는 방식은 상기 필터에 마련된 홈에 끼워지거나, 상기 필터에 마련된 주머니에 삽입되거나, 자석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똑딱 단추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벨크로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거나, 클립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인 마스크.
KR1020220021671A 2022-02-18 2022-02-18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 KR10260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71A KR102602453B1 (ko) 2022-02-18 2022-02-18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71A KR102602453B1 (ko) 2022-02-18 2022-02-18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92A true KR20230124392A (ko) 2023-08-25
KR102602453B1 KR102602453B1 (ko) 2023-11-16

Family

ID=8784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671A KR102602453B1 (ko) 2022-02-18 2022-02-18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453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801Y1 (ko) *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JP2004042096A (ja) * 2002-07-12 2004-02-12 Amada Co Ltd 曲げ加工装置
WO2004042096A1 (ja) * 2002-11-05 2004-05-21 Aichi Steel Corporation 冷間加工性に優れた低剛性・高強度チタン合金、並びにめがねフレーム及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1000430A (ja) 2009-05-21 2011-01-06 Haruo Watanabe パーフェクトプロテクトマスク
KR20110009652A (ko) 2008-05-16 2011-01-28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난과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난과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JP2014124397A (ja) * 2012-12-27 2014-07-07 Noboru Ichikawa 耳掛け型マスク、マスク用フィルタおよびマスク用フレーム
KR20170000048A (ko) 2015-06-22 2017-01-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살균 장치
KR20170072094A (ko) 2015-12-16 2017-06-26 안철 착용이 용이하면서 김이나 서림을 방지한 방진마스크
KR20180106787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더클락웍스 위생 마스크
JP2019030698A (ja) 2011-10-31 2019-02-28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鼻を密閉する部分を含むインタフェース
KR20190032897A (ko) 2017-09-20 2019-03-28 박태준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102012157B1 (ko) 2019-04-16 2019-08-19 김강권 신축밴드가 구비된 밀착형 마스크
WO2022035007A1 (ko) * 2020-08-13 2022-02-17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801Y1 (ko) *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JP2004042096A (ja) * 2002-07-12 2004-02-12 Amada Co Ltd 曲げ加工装置
WO2004042096A1 (ja) * 2002-11-05 2004-05-21 Aichi Steel Corporation 冷間加工性に優れた低剛性・高強度チタン合金、並びにめがねフレーム及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110009652A (ko) 2008-05-16 2011-01-28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난과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난과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JP2011000430A (ja) 2009-05-21 2011-01-06 Haruo Watanabe パーフェクトプロテクトマスク
JP2019030698A (ja) 2011-10-31 2019-02-28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鼻を密閉する部分を含むインタフェース
JP2014124397A (ja) * 2012-12-27 2014-07-07 Noboru Ichikawa 耳掛け型マスク、マスク用フィルタおよびマスク用フレーム
KR20170000048A (ko) 2015-06-22 2017-01-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살균 장치
KR20170072094A (ko) 2015-12-16 2017-06-26 안철 착용이 용이하면서 김이나 서림을 방지한 방진마스크
KR20180106787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더클락웍스 위생 마스크
KR20190032897A (ko) 2017-09-20 2019-03-28 박태준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102012157B1 (ko) 2019-04-16 2019-08-19 김강권 신축밴드가 구비된 밀착형 마스크
WO2022035007A1 (ko) * 2020-08-13 2022-02-17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453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782B2 (en) Sleep mask apparatus
AU2014309245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U2014309243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U2014309238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200389356Y1 (ko) 위생마스크
CN112841769A (zh) 具有支撑条的口罩
KR102028304B1 (ko) 밀착력이 강화된 마스크
US20220007755A1 (en) Transparent and multi-faceted face mask
US20230301377A1 (en) Mask including side fixing portion
JP3160631U (ja) 超立体型マスク
KR102231789B1 (ko) 끈없는 안면 부착형 마스크
KR20230124392A (ko) 포켓부 포함하는 마스크
CN213247042U (zh) 口罩组合式护目屏
KR20230120912A (ko)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562912B1 (ko) 측면 고정부와 누름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KR102389025B1 (ko) 코 피팅 조절기
KR102389024B1 (ko)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US11096434B1 (en) Fast deployment fogless face mask
CN212088206U (zh) 口罩
KR102669676B1 (ko) 안경 걸이용 라인리스 마스크
CN215013794U (zh) 一种周边密封的可变形医用口罩
CN210642606U (zh) 口罩
KR102389015B1 (ko)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667364B1 (ko) 위생 마스크용 지지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