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949A -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 Google Patents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949A
KR20210097949A KR1020200011572A KR20200011572A KR20210097949A KR 20210097949 A KR20210097949 A KR 20210097949A KR 1020200011572 A KR1020200011572 A KR 1020200011572A KR 20200011572 A KR20200011572 A KR 20200011572A KR 20210097949 A KR20210097949 A KR 20210097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boiler
household
boiler room
pip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희
Original Assignee
유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희 filed Critical 유정희
Priority to KR102020001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949A/ko
Publication of KR2021009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냉난방 주거(기숙사, 다가구주택, 공동주택, 오피스텔, 콘도미니엄 등)의 원룸 단위세대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건물의 창호면(이하 “파사드”라 한다.)에 설치하는 보일러실을 세대의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하기 위해 복도의 세대 측에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세대로 구성된 건축물은 파사드에서 그릴창호, 보일러 연통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방에서는 내부로 돌출된 외부인 보일러실이 없어져 방의 활용도가 높아지며, 방의 중앙에 창호설치가 가능해져 보다 안정된 내부공간을 계획할 수 있다. 또한 파사드 외벽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Studio type Unit characterized by boiler room connected with toilet pipe shaft in individual heating and cooling housing}
본 발명은 개별냉난방 주거(기숙사, 다가구주택, 공동주택, 오피스텔, 콘도미니엄 등)의 원룸 형 단위세대에 있어서 창호면(이하 “파사드”라 한다.)의 보일러실을 화장실 파이프샤프트(Pipe Shaft, 이하 'PS' 라 한다)의 일부를 이용하기 위해 복도의 세대 면에 설치함으로써 원룸의 기능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개별냉난방이 적용된 원룸 단위세대의 설계에 있어서
첫째 파사드에 보일러실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실내로 돌출된 외기가 만들어져 방의 활용도는 떨어지고, 건물의 단열성능도 저하 된다. 또한 이로 인해 파사드에는 그릴창호와 보일러 연통이 설치되어 통일성과 상징성을 갖기 어려워진다.
둘째 화장실의 PS는 화장실의 기기(세면대, 양변기, 샤워기)중 차지하는 공간이 작은 샤워공간과 연계되어 위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PS의 크기에 의해 샤워공간이 결정되어 적정크기보다 작아지는 사례가 발생한다.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는 샤워공간의 폭을 적정하게 키울 경우 PS의 내부에 여유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2가지의 기능을 융합함으로써 원룸에서 적정크기의 샤워공간을 제공하면서도 방의 활용도를 높이고,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파사드에서는 그릴창호, 보일러 연통과 같은 입면디자인의 이질적 요소를 제거하는 효과를 얻게 될 것이다.
도시화, 고령화, 경제성장은 도시와 지방을 불문하고 1인가구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원룸 단위세대의 등장을 가져왔다. 주거 기능을 최소한의 공간에서 적정하게 확보하는 것은 원룸 단위세대에 있어서 극복해야 하는 것으로써 개별공간과 기능을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을 아름답고 기능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는 수천 년을 거치면서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파사드는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 온 디자인 대상이다. 또한 현대의 새로이 발명된 설비시스템은 건축물의 기능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적인 가치를 보다 풍요롭게 향상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개별냉난방이 적용된 원룸 단위세대는 보일러실로 인해 건축물의 파사드에 그릴창호와 보일러 연통을 설치(도 1)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은
첫째, 파사드에서 보여줄 수 있는 상징성은 소멸
둘째, 방에서 내부로 돌출된 부분(도 2)으로 인해 활용에 제약이 발생
셋째, 내부로 돌출된 외부(도 2)로 단열성능이 저하. 특히 방과 보일러실을 연결하는 방화문은 외기에 직접 노출된 철문의 특성상 열교현상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원룸 단위세대의 화장실에서 적정크기의 샤워공간을 제공할 경우, PS 내에 여유공간이 발생하므로 보일러실을 파사드측에서 PS의 일부를 이용하기 위해 복도의 세대 면에 배치함으로써 건축물 외관의 디자인 저해 요소를 제거하고, 방의 활용도를 높이며, 외벽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다음의 실시 예와 사용한 치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화장실의 샤워공간과 PS의 크기에 주목하였다. 샤워공간은 1,000x1,000mm(폭X깊이)의 치수가 적당하나 기존 원룸의 사례를 보면 독립된 샤워공간이 없이 세면대 전면을 활용하거나, 독립되어 있더라도 폭을 700mm이하로도 적용하고 있다. 이는 PS의 최소크기에 맞춰 샤워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샤워공간은 화장실의 세면대나 양변기와 달리 기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직사각형 화장실에서 깊이에 여유가 있어, PS와 대면하여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설계방법이다. 결과적으로 샤워공간의 폭은 PS의 폭과 연동하게 되어있다.
참고적으로 개별냉난방 주거 화장실의 PS에는 저층건물은 3개(오수관, 잡배수관, 급수관), 고층건물은 4개(오수관, 잡배수관, 급수관, 통기관)의 배관만이 있어 PS 내에 여유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지역냉난방 또는 중앙냉난방 건물의 PS에는 최소 2개의 배관이 추가된다.
보일러실 공간을 확보하는 해결 방안은 샤워공간 폭(A)을 약 1,000mm로 계획하면 PS 유효 폭(B)은 약 900mm가 되며 3~4개의 입상관을 설치하고 보일러실과의 경계 벽을 설치하면 보일러실을 위한 약 250mm의 유효 폭(C)이 복도 측 벽면 사이에 남게 된다. 복도측 벽체의 두께가 160mm이고 점검문의 두께가 60mm임을 감안하면 보일러실을 위해 벽체에서 제공되는 100mm의 폭(D)이 샤프트에서 제공된 250mm와 합쳐져 약 350mm 깊이의 공간이 만들어 진다.
Figure pat00001
원룸에 적용되는 가스보일러 기기의 깊이가 200mm 내외임을 감안하면 샤워공간은 적정하게 제공하면서 파이프덕트의 여유공간을 이용한 가스보일러실을 계획할 수 있게 된다.
가스보일러의 급기는 천정 속 실내 공기를 이용하고, 배기구는 건축물의 규모와 배기방식에 따라 직배기는 해당층 측벽이나 편복도의 경우 복도 반대측 외벽으로 하고 공동배기는 수평 에어덕트를 통해 측벽으로 하거나 수직 에어덕트를 통해 옥상으로 한다. 배기구는 인근에 환기창과 일정거리를 이격하여야 한다.
보일러실이 이동됨에 따라 실외기는 기존에도 적용하고 있듯이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3가지 방안이 있는데 측벽, 별도 외기와 면한 전용실 또는 옥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내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의 냉방 효율에 따른 길이 제한에 따라 약 80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옥상에 설치할 경우 화장실 또는 계단실의 PD 등을 통하여 시공 시 냉매배관을 매립한다.
본 발명은 개별냉난방 주거(기숙사, 다가구주택, 공동주택, 오피스텔, 콘도미니엄 등)의 원룸 단위세대 설계에 있어서 건물의 파사드에 설치하는 보일러실을 세대의 화장실 PS를 이용하기 위해 복도의 세대 면에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세대로 구성된 건축물은 파사드에서 그릴창호, 노출 실외기, 보일러 연통 등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방에서는 내부로 돌출된 외부인 보일러실이 없어져 방의 활용도가 높아지며, 방의 중앙에 창호설치가 가능해져 보다 안정된 내부공간을 계획할 수 있다. 또한 외벽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창호면 보일러실 설치 사례로 창호면에 그릴 및 연통 노출
도 2은 창호면 보일러실 설치 단위세대 평면도 및 입면도 사례
도 3은 보일러실을 창호 면과 복도 세대 측에 설치했을 때의 단열개념도
도 4는 복도 세대 측 보일러실이 특징인 단위세대 평면도 및 입면도
도 5은 복도 세대 측 보일러실과 화장실 조감도와 평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사례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룸(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02)과 벽체(106)를 통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복도(101)에서 출입문(102)을 통해 현관(103)으로 진입하면, 현관(103)의 우측에 신발장(114)이 있다. 내부복도에는 우측에는 주방가구가 좌측에는 화장실이 배치되어 있다. 방에는 보일러실이 없어 자유로운 가구의 배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실은 복도에서 점검구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고, 관리는 복도공간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따른 보일러는 가스보일러를 적용하여야 한다. 연소를 위한 급기는 실내공기를 이용하며, 배기는 배기통을 통하여 측벽 또는 배기연도로 할 수 있다. 가스보일러의 배수는 배수관을 파이프덕트의 하수관에 연결하되 악취 역류 방지를 위하여 트랩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룸 단위세대는 창호 면의 보일러실을 복도의 세대 측에 설치하게 되어 창호 면에 입면을 구성하는 이질적인 요소가 제거되고, 내부로 돌출된 외부공간이 없어져 최소한의 주거공간인 원룸의 기능성이 극대화되고 보다 쾌적한 환경을 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발명(안) 원룸 단위세대의 평면도 및 입면도
200: 기존 원룸 사례
300: 기존 원룸과 발명(안)의 단열개념도
400: 발명(안) 보일러실 및 화장실의 엑소노메트릭과 평면도
101: 복도 102: 출입문
103: 현관 104: 방
105: 화장실 106: 보일러실
107: 파이프샤프트(PS) 108: 벽체
109: 창호면 110: 화장실 출입문
111: 양변기 112: 세면대
113: 샤워공간 114: 샤워기
115: 주방 에어덕트(AD)
120: 보일러실 출입문 121: 가스보일러
122: 온수공급관 123: 온수환수관
124: 배기관 125: 배수관
126: 에어컨 실외기
130: 그릴창 131: 배기통
132: 복도천정 133: 외벽단열부분

Claims (3)

  1. 개별냉난방 주거(기숙사, 다가구주택, 공동주택, 오피스텔, 콘도미니엄 등)의 원룸(실사용면적 50m2 미만) 단위세대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화장실의 파이프샤프트와 연계하기 위해 복도의 세대 측에 계획된 보일러실을 특징으로 하는 원룸 단위세대
  2. 제 1항에 있어서의 단위세대를 전부 또는 일부라도 단독, 병렬 또는 적층으로 하여 건축물을 설계 및 시공하는 행위
  3. 제 1항에 있어서 보일러실의 배수는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의 잡배수관에 연결하되 악취 역류 방지를 위해 트랩을 설치
KR1020200011572A 2020-01-31 2020-01-31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KR20210097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72A KR20210097949A (ko) 2020-01-31 2020-01-31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72A KR20210097949A (ko) 2020-01-31 2020-01-31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949A true KR20210097949A (ko) 2021-08-10

Family

ID=7731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572A KR20210097949A (ko) 2020-01-31 2020-01-31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79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1493B (fi) Rakennus
KR20210097949A (ko)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EP3743570A1 (en) A partially prefabricated building and method
KR20130085675A (ko) 중앙식 건물환기장치
RU118338U1 (ru) 17-этажный одноподъездный жилой дом
JP2008002090A (ja) 住宅建物
KR102117565B1 (ko)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JP3032721U (ja) 集合住宅のエアコン設置構造
Cho Simulation Study on Heating Performance of a Cabin
EP4121618A1 (en) Building service element
FI12408U1 (fi) Tilaelementti
JP3031908U (ja) 階上戸に床下収納スペース等を形成可能な集合住宅
CN115030445A (zh) 一种建筑外墙一体化隐形多功能家电安装装置及施工方法
Wikström HVAC solutions in standardised bathroom modules
Fowler et al. Using integrated design strategies and 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to enhance green buildings
JP3062608B2 (ja) 設備機器組み込み外装ユニット
Snell et al. Public housing breaks the mold
JP2023012986A (ja) 住宅のリフォーム方法及び換気方法
JPH09291711A (ja) 集合住宅
RU15486U1 (ru) Жилая комната (варианты), отдельное жилое помещение (варианты), отдельное помещение жилого дома, отдельная квартира (варианты), секция жилого дома (варианты)
JP2023012987A (ja) 住宅のリフォーム方法及び換気方法
KR200437935Y1 (ko) 층간소음방지용 구조를 갖는 더블 입상형 에어덕트
JP2005090929A (ja) 地熱空気を用いた室内換気システム
Richieri et al. Numerical evaluation of the airtightness impact on airflow pattern in mechanically ventilated dwellings in France
Rogers A farmhouse reno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