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565B1 -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 Google Patents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565B1
KR102117565B1 KR1020190140233A KR20190140233A KR102117565B1 KR 102117565 B1 KR102117565 B1 KR 102117565B1 KR 1020190140233 A KR1020190140233 A KR 1020190140233A KR 20190140233 A KR20190140233 A KR 20190140233A KR 102117565 B1 KR102117565 B1 KR 102117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idor
wall
individual
spac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Original Assignee
박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용 filed Critical 박지용
Priority to KR102019014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565B1/ko
Priority to PCT/KR2020/002873 priority patent/WO202109102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점검구(115) 또는 비내력벽체가 공용복도(130)에 맞닿게 구비되는 설비공간(110);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개별세대는 공유벽체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설비공간(110)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설비공간(110)이 완충 역할을 하게 되어 벽체를 통한 소음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Corridor Type Duplex Apartment detached by Each Unit}
본 발명은 각각의 개별세대가 공유벽체를 통하여 연결되지 않고,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 설비공간(110)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이웃하는 개별세대로 충격음과 공기전달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화재시에는 화염이 수평으로 전달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한 건물 내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는 구조를 이룬다. 특히 콘크리트 슬라브와 벽체를 사이에 두고 각 세대의 단위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인 바, 하부층의 천장이 상부층 바닥이 되고 벽체를 일부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개별세대의 생활 소음이 슬라브나 공유 벽체를 통하여 그대로 이웃하는 다른 개별세대로 전달되어 소음 전파에 따른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소음 전파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시도는 대부분 층간소음에 국한되어 진행되었는데, 특허출원 제10-2007-0118390호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완충 구조 및 층간소음 완충재 설치방법" 등에서 구체적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시도는 바닥에 완충재를 설치하거나 소음을 차단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즉 바닥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을 뿐인데, 이와 같이 바닥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층간소음의 문제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고, 결과적으로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거주자 각자가 층간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생활할 수밖에 없어 서로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결과가 되고 있다.
아울러, 이웃하는 개별세대가 서로 공유하는 벽체를 통한 소음 전파에 대하여는 익스펜션 조인트와 같은 방식으로 각 세대를 분리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공방법이 복잡하고, 시공하자의 가능성이 높고, 건물 노후화에 따라 조인트 부분에 누수와 곰팡이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음의 전달 특성을 감안하여 층간소음은 물론 공유 벽체를 통한 소음전파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주거환경을 개선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1778245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층간소음 및 공유벽체를 통한 소음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이웃하는 개별세대를 분리하는 공간에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설비공간(110)을 마련함으로써, 파이프나 에어덕트의 소음이 개별세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개별세대 내부의 평면배치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고, 개별세대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 설비의 유지보수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평면비가 세장할 경우에도 측면벽체를 통한 일사량과 채광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각의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점검구(115) 또는 비내력벽체가 공용복도(130)에 맞닿게 구비되는 설비공간(110);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개별세대는 공유벽체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설비공간(110)을 통하여 연결되며, 각각의 개별세대는, 전면벽체(230) 및 일측 측면벽체(210)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측면벽체(210)와 마주보는 타측 측면벽체(220)에는 서로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공용복도(130)는 거실이 배치된 상부층에 구비되고, 상부세대의 하부층 설비공간(110)의 점검구(115) 또는 비내력벽체를 하부세대의 공용복도(130)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점검구(115)와 맞닿는 영역의 상기 공용복도(130) 상부 공간이 뚫려 개방된 점검통로(1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층간소음 및 공유벽체를 통한 소음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층에 거실(140)이 배치되고 하부층에 침실(150)이 배치됨으로써 거실(140)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하부세대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상부세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도 침실(150)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웃하는 개별세대와 벽체를 직접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빈 공간이 구비된 설비공간(110)을 통하여 이웃하는 개별세대와 연결됨으로써 설비공간(110)이 완충 역할을 하게 되어 벽체를 통한 소음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이웃하는 개별세대를 분리하는 공간에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설비공간(110)을 마련함으로써, 파이프나 에어덕트의 소음이 개별세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개별세대 내부의 평면배치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고, 개별세대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 파이프나 에어덕트와 같은 설비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셋째, 평면비가 세장할 경우에도 측면벽체를 통한 일사량과 채광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측면벽체(220)는 전면벽체(230)로 접근할수록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 측면벽체(210)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벌어지는 구조가 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 측면벽체(210)를 통한 일사량 및 채광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평면비가 세장할 경우에도 채광과 환기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을 구성하는 개별세대의 상부층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인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을 구성하는 개별세대의 하부층 평면도이다.
도3은 설비공간(110)의 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인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의 동 전체 평면도로서 상부층 동평면도와 하부층 동평면도를 함께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처럼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점검구(115) 또는 비내력벽체가 공용복도(130)에 맞닿게 구비되는 설비공간(110)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개별세대는 공유벽체로 연결되지 않고 설비공간(110)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비내력벽체는 경량벽체나 조적벽으로서, 건물의 전반적인 리노베이션 때나 필요시 설비공간(110)의 이러한 비내력벽체를 허물어 점검 및 개보수를 할 수도 있으나 필요시 수시로 개폐할 수 있는 점검구(115)가 구비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개별세대는 상부층에 거실(140)이 배치되고, 하부층에 침실(15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부층에 거실(140)이 배치되고 하부층에 침실(150)이 배치됨으로써 거실(140)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하부세대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상부세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도 침실(150)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거실(140)에서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고 침실에서는 편안하고 조용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설비공간(110)은 상부층과 하부층을 관통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설비공간(110)은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러한 설비공간(110)을 통하여 이웃하는 개별세대가 서로 이격되는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벽체를 직접 공유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이웃하는 개별세대와 벽체를 직접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빈 공간이 구비된 설비공간(110)을 통하여 이웃하는 개별세대와 연결됨으로써 설비공간(110)이 완충 역할을 하게 되어 벽체를 통한 소음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이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시간을 늦추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복층형 공동주택의 경우 상하층의 공간배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파이프나 에어덕트 배치가 까다롭고 파이프나 에어덕트를 개별세대 내부에 배치할 경우에는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이웃하는 개별세대를 분리시키는 공간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개별세대 내부 평면배치가 자유로워지고 파이프나 에어덕트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설비공간으로 접근하는 점검구(115)가 공용복도(130)에 맞닿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각 개별세대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 파이프나 에어덕트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공용복도(130)에서 각 개별세대 측면으로의 시선을 차단하여 각 개별세대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다.
공용복도(130)는 거실이 배치된 상부층에 구비되는데, 도2 및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세대의 하부층 설비공간(110)의 점검구(115)를 하부세대의 공용복도(130)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점검구(115)와 맞닿는 영역의 공용복도(130) 상부 공간이 뚫려 개방된 점검통로(120)를 형성하여 상부층 및 하부층 모두 각 개별세대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점검통로(12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에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세대 하부층의 발코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개별세대는 전면벽체(230) 및 일측 측면벽체(210)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창호(215) 등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일측 측면벽체(210)와 마주보는 타측 측면벽체(220)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아 서로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어 각 개별세대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측면벽체(220)에도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알파룸, 파우더룸, 다용도실 등 기타실의 환기창 용도의 소규모 개구부는 형성될 수 있는데,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지 않도록 일측 측면벽체(210)에 형성된 창호(215)와 타측 측면벽체(220)에 형성되는 환기창을 통하여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내부를 제대로 볼 수 없는 위치에 환기창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측면벽체(220)는 전면벽체(230)로 접근할수록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 측면벽체(210)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벌어지는 구조가 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 측면벽체(210)를 통한 일사량 및 채광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데, 특히 평면비가 세장할 경우에도 채광과 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각 개별세대는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일렬로 배치되어 구조 성능을 확보하면서 고층건물을 형성할 수 있고, 측면 연결구조는 보, 벽체, 가세 등 다양한 형태로 각 개별세대의 이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0:설비공간
115:점검구
120:점검통로
130:공용복도
140:거실
150:침실
210:일측 측면벽체
215:창호
220:타측 측면벽체
230:전면벽체

Claims (5)

  1. 각각의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나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점검구(115) 또는 비내력벽체가 공용복도(130)에 맞닿게 구비되는 설비공간(110);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개별세대는 공유벽체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설비공간(110)을 통하여 연결되며,
    각각의 개별세대는,
    전면벽체(230) 및 일측 측면벽체(210)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측면벽체(210)와 마주보는 타측 측면벽체(220)에는 서로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공용복도(130)는 거실이 배치된 상부층에 구비되고,
    상부세대의 하부층 설비공간(110)의 점검구(115) 또는 비내력벽체를 하부세대의 공용복도(130)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점검구(115)와 맞닿는 영역의 상기 공용복도(130) 상부 공간이 뚫려 개방된 점검통로(1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2. 제1항에서,
    각각의 개별세대는,
    상부층에 거실(140)이 배치되고,
    하부층에 침실(150)이 배치되고,
    상기 설비공간(110)은 상부층과 하부층을 관통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각각의 개별세대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상기 타측 측면벽체(220)는 상기 전면벽체(230)로 접근할수록 이웃하는 개별세대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일측 측면벽체(210)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벌어지는 구조가 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일측 측면벽체(210)를 통한 일사량 및 채광시간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4. 삭제
  5. 삭제
KR1020190140233A 2019-11-05 2019-11-05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KR10211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33A KR102117565B1 (ko) 2019-11-05 2019-11-05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PCT/KR2020/002873 WO2021091026A1 (ko) 2019-11-05 2020-02-28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33A KR102117565B1 (ko) 2019-11-05 2019-11-05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565B1 true KR102117565B1 (ko) 2020-06-01

Family

ID=7108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233A KR102117565B1 (ko) 2019-11-05 2019-11-05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7565B1 (ko)
WO (1) WO202109102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944B1 (ko) * 2009-01-08 2011-10-10 쌍용건설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아파트
KR101261787B1 (ko) * 2012-05-16 2013-05-07 (주)신영 단위 세대별 테라스를 구비하는 건축물의 구조 및 이 구조로 형성된 건축물
KR20150027374A (ko) * 2013-08-31 2015-03-12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용공간이 구비된 복층형 아파트
KR101679672B1 (ko) * 2014-08-20 2016-11-25 박대융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1778245B1 (ko) * 2015-07-22 2017-09-1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복층형 공동주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944B1 (ko) * 2009-01-08 2011-10-10 쌍용건설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아파트
KR101261787B1 (ko) * 2012-05-16 2013-05-07 (주)신영 단위 세대별 테라스를 구비하는 건축물의 구조 및 이 구조로 형성된 건축물
KR20150027374A (ko) * 2013-08-31 2015-03-12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용공간이 구비된 복층형 아파트
KR101679672B1 (ko) * 2014-08-20 2016-11-25 박대융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1778245B1 (ko) * 2015-07-22 2017-09-1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복층형 공동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1026A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2117565B1 (ko) 개별세대가 분리된 복도식 복층형 공동주택
KR20170012700A (ko) 층간소음이 방지되는 복층형 공동주택
CN205134986U (zh) 一梯多户中凹口集合性居住建筑
KR101958876B1 (ko) 층간소음을 저감하고 개보수가 용이한 복층형 공동주택 설계구조
RU118338U1 (ru) 17-этажный одноподъездный жилой дом
KR20160122557A (ko) 복층구조 공동주택
JP2010156103A (ja) 集合住宅
JP2907201B1 (ja) 中・高層の共同住宅
KR20110075808A (ko) 공동주택의 실외기실 겸용 대피통로 유니트
JP2008002090A (ja) 住宅建物
Marriage Residential
JP4996850B2 (ja) 建物の間仕切り構造
JP2023147388A (ja) 集合住宅
JP3142164U (ja) 集合住宅
Beharrell et al. Practical guide
JPH09158503A (ja) 集合住宅
CN105201228A (zh) 一种一梯多户高层住宅楼
JPH1046842A (ja) 集合住宅
Van Damme et al. Acoustic comfort in timber frame dwellings
JP6626318B2 (ja) 集合住宅における配管構造
İnce et al. Noise Control In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Context Of National Regulation And An Example
KR20210097949A (ko) 개별냉난방 주거에 있어서 화장실 파이프샤프트와 연계된 보일러실이 특징인 원룸 단위세대
KR101280607B1 (ko) 대피공간의 벽 구조
Oviatt Jr Nois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