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441A -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441A
KR20210096441A KR1020200009878A KR20200009878A KR20210096441A KR 20210096441 A KR20210096441 A KR 20210096441A KR 1020200009878 A KR1020200009878 A KR 1020200009878A KR 20200009878 A KR20200009878 A KR 20200009878A KR 20210096441 A KR20210096441 A KR 20210096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arbon nanofiber
filament
polym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037B1 (ko
Inventor
이형우
홍순규
김성민
김영권
김도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9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0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가 코어(core)를 형성하고,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을 코팅되어 있는 고분자가 쉘(shell)을 형성하여 우수한 내구성(강도) 및 신장력을 가지고,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3D PRINTING AVAILABLE CARBON NANO FIBER FILA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가 코어(core)를 형성하고,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을 코팅되어 있는 고분자가 쉘(shell)을 형성하여 우수한 내구성(강도) 및 신장력을 가지고,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높은 기계적, 전기적, 열적 성질 등으로 인하여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재료, 분자 전자 재료, 센서 재료, 구조 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특히,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를 제조할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적 특징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때문에,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가 기존의 아라미드 섬유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탄소섬유 등과 같은 슈퍼섬유에 비해 훨씬 높은 고강도, 고탄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탄소나노튜브의 우수한 물성들은 개별 탄소나노튜브만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기존의 탄소나노튜브가 갖고 있는 성질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만을 제조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를 생산하기가 쉽지 않다.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가 우수한 물성을 갖는 것을 저해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약한 계면 결합력 때문이다. 개별의 탄소나노튜브가 매크로한 집합체인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를 형성하면서 인접한 탄소나노튜브 간에 약한 전단 특성 (shear properties)이 존재하고, 또한 탄소나노튜브를 구성하는 탄소-탄소 원자 사이의 sp2 결합이 매우 안정한 탄소-탄소 결합구조이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호환성(compatibility)이 좋지 않아서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인접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약한 계면결합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는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기계적 물성보다 낮은 물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 가운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용액이 담긴 비이커에 방사하는 방법들은 여러 문헌(Science 2000: 290:1331-1334, Carbon 2002: 40: 1741-1749, Applied Physics Letters 2002: 81:1210-1212, Nature 2003: 423: 703)에 보고되었으며, 이렇게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필라멘트는 고분자가 혼합되어 있어서 탄소나노튜브의 고유한 특성이 발현되기 어렵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므로 이는 불순물로서 탄소나노튜브 고유한 물성을 발현시키는데 장애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가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 가능한 다수의 효과를 갖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인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가 코어(core)를 형성하고,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을 코팅되어 있는 고분자가 쉘(shell)을 형성하여 우수한 내구성(강도) 및 신장력을 갖는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융된 고분자를 필라멘트 금형을 통해 탄소나노튜브 와이어에 코팅(coating)함으로써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이 간단하여 용융 가능한 모든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사용이 가능하여 가격 경쟁력을 가지며, 섬유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성형이 자유로운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코어(core)를 형성하는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코팅되어 쉘(shell)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폴리락틱에시드(Poly 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비스페놀 카보네이트)(Poly(bisphenol A carbonate; P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HFP),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및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섬유형태로 건식 방사(dry spinning)하여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를 방적하는 단계; 및
(S3)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고분자를 코팅하여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2A) 탄소 나노 튜브 포레스트의 일면을 탄소섬유 공급부에 고정시키고, 타면을 취합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S2B) 상기 취합부를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방사하여 필름(film) 형상의 탄소 나노 튜브 면(carbon nanotube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및
(S2C) 상기 취합부를 360 ° 회전시켜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면을 꼬아(twisting)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3A) 상기 고분자(30)를 필라멘트 금형에 넣고 용융시키는 단계;
(S3B) 상기 용융된 고분자의 코어에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위치하는 단계; 및
(S3C) 상기 고분자를 냉각하여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언급된 모든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가 코어(core)를 형성하고,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을 코팅되어 있는 고분자가 쉘(shell)을 형성하여 우수한 내구성(강도) 및 신장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용융된 고분자를 필라멘트 금형을 통해 탄소나노튜브 와이어에 코팅(coating)함으로써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며, 공정이 간단하여 용융 가능한 모든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사용이 가능하여 가격 경쟁력을 가지며, 섬유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성형이 자유로운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S2A) 단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S2B) 단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S2C) 단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S2D) 단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S2) 단계를 통해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S3) 단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본 발명은 코어(core)를 형성하는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코팅되어 쉘(shell)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폴리락틱에시드(Poly 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비스페놀 카보네이트)(Poly(bisphenol A carbonate; P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HFP),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및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섬유형태로 건식 방사(dry spinning)하여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를 방적하는 단계; 및
(S3)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고분자를 코팅하여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S1) 단계는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S1) 단계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에 의해 수행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는 저압 화학 기상 증착(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학기상증착법은 반응기의 챔버 내부를 1.0 × 10-3 내지 1.0 ×10-5 torr의 환경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반응기에 불활성 기체를 흘려주면서 500 내지 550 ℃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 내에 추가적으로 수소(H2)를 450 내지 550 sccm로 0.5 내지 5분 동안 상기 챔버에 도입하여 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처리 공정을 완료하고, 불활성 기체를 1 내지 10분 동안 350 내지 450 sccm의 속도로 흘려주고 650 내지 750 ℃로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아세틸렌(ethyne, C2H2)을 180 내지 220 sccm으로, 수소(H2)를 380 내지 420 sccm으로 동시에 10 내지 60분 동안 챔버 내부에 흘려주면서 촉매층에 탄소나노튜브가 합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불활성 기체를 350 내지 450 sccm의 속도로 흘려주면서 실온으로 냉각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상기 촉매층은 철(Fe), 니켈(Ni) 및 코발트(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활성 기체는 헬륨(He) 또는 아르곤(Ar)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르곤일 수 있다.
상기 (S2) 단계는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하기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S2A) 탄소나노튜브의 일면을 탄소섬유 공급부(200)에 고정시키고, 타면을 취합부(300)에 고정시키는 단계;
(S2B) 상기 취합부(300)를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방사하여 필름(film) 형상의 탄소나노튜브 면(carbon nanotube layer)(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S2C) 상기 취합부(300)를 360 ° 회전시켜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을 꼬아(twisting) 탄소나노섬유(20)를 제조하는 단계.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B)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은 100 내지 500 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이 100 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짧은 길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탄소나노섬유(20)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이 500 mm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에 가해지는 장력이 감소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이 끊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은 100 내지 500 mm의 길이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2B) 단계에서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 면(10)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존재하는 반데르 바알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데르 바알스 힘으로 인해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밀도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탄소나노섬유(20)의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S2C) 단계 수행 후, 상기 (S1C) 단계에서 제조된 탄소나노 섬유(20)에 장력을 부여하는 (S1D)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D) 단계는 상기 (S1C) 단계에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20)를 플레이트(plate)(520) 일면에 형성된 로드(rod)(520)에 올려 둠으로써, 상기 탄소나노섬유(20)의 각도에 따른 마찰력으로 인해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 탄소나노섬유(20) 제조 시 사용되는 탄소나노섬유 제조장치(1)는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탄소나노튜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200); 상기 공급부(200)에 고정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방사하여 탄소나노튜브 면(10)을 형성하고 탄소나노섬유(20)를 제조하는 취합부(300); 상기 바디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취합부(300)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400); 및 상기 취합부(300)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섬유(2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장치(1)에서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 장치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체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취합부(300)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타면이 고정되는 고정봉(310); 상기 고정봉(310)의 양면을 고정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을 꼬아(twisting) 탄소 섬유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회전부(320); 및 상기 회전부(32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3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면(10)을 초당 1회 360 ° 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3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꼬여 일정한 두께의 탄소나노섬유(20)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고정봉(310)의 양면을 고정하는 것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320)의 “ㄷ” 형태의 양 끝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상기 고정봉(310)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봉(3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취합부(300)를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0)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취합부(300)에 고정된 탄소나노튜브에 장력을 가하고, 이로 인해 탄소나노튜브 면(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0)는 롤러를 이용하거나, 모터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일정한 속도를 상기 취합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장력부(500)는 상기 탄소나노섬유(2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로드(rod)(510); 및 상기 로드(510)를 고정시키고 상기 바디부(100)에 탈부착 되기 위한 플레이트(plate)(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510)는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20)의 각도에 따른 마찰력, 다시 말해 상기 탄소나노섬유(20)와 상기 로드(510)가 맞닿은 부분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520)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일 수 있으나 상기 로드(510)는 고정시키고 상기 바디부(100)에 탈부착 될 수 있는 형태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S3) 단계는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용융된 고분자가 코팅됨으로써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하기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S3A) 상기 고분자(30)를 필라멘트 금형(20)에 넣고 용융시키는 단계;
(S3B) 상기 용융된 고분자(30)의 코어에 상기 탄소나노섬유(20)를 위치하는 단계; 및
(S3C) 상기 고분자(20)를 냉각하여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S3) 단계에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제조 시 사용되는 필라멘트 금형(2)은 상부틀(600) 및 하부틀(7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30)를 규격에 맞게 용융시키기 위한 상부규격홈(610) 및 하부규격홈(710); 및 상기 상부틀(600)에는 압착 시 상기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제조 후 남은 상기 고분자(30)를 담아내는 보관부(62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관부(620)는 상부규격홈(610)의 2 ㎜ 이내에 양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규격홈(610) 및 하부규격홈(710)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3A) 단계는 고분자(30)를 용융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30)는 필라멘트 금형(2)의 상부틀(600)에 위치하는 상부규격홈(610)과 하부틀(700)에 위치하는 하부규격홈(710)에 넣고 가열하여 용융 시킬 수 있다.상기 고분자(30)의 양은 상기 고분자(30)의 밀도(mm3)와 상기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길이(mm)의 곱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핫플레이트 또는 오븐을 이용하여 열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30)의 녹는점(Melting Point, mp)보다 30 내지 40 ℃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킬 수 있다.
상기 (S3B) 단계는 상기 용융된 고분자(30)의 코어에 상기 탄소나노섬유(20)를 위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융된 고분자(30)의 밀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탄소나노섬유(20)를 상기 용융된 고분자(30)의 코어에 위치 시킬 수 있다.
상기 (S3C) 단계는 최종적으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라멘트 금형(2)의 상부틀(600) 및 하부틀(700)을 가압 및 냉각하여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코어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S3C) 단계에 의해 상기 고분자(30)와 탄소나노섬유(20) 사이의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은 에어건(air gun)을 이용하거나 자연 냉각시킬 수 있으며, 종래 냉각 가능한 방법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언급된 모든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탄소나노섬유 제조장치 : 1
탄소나노튜브 면 : 10
탄소나노섬유 : 20
고분자 : 30
바디부 : 100
공급부 : 200
취합부 : 300
고정봉 : 310
회전부 : 320
거치대 : 330
이동부 : 400
장력부 : 500
로드(rod) : 510
플레이트(plate) : 520
필라멘트 금형 : 2
상부틀 : 600
상부규격홈 : 610
보관부 : 620
하부틀 : 700
하부규격홈 : 710

Claims (6)

  1. 코어(core)를 형성하는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코팅되어 쉘(shell)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폴리락틱에시드(Poly lactic acid, P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비스페놀 카보네이트)(Poly(bisphenol A carbonate; P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HFP),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및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3. (S1)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섬유형태로 건식 방사(dry spinning)하여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를 방적하는 단계; 및
    (S3) 상기 탄소나노섬유의 외면에 고분자를 코팅하여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S2A) 탄소 나노 튜브 포레스트의 일면을 탄소섬유 공급부에 고정시키고, 타면을 취합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S2B) 상기 취합부를 초당 1 내지 10 mm 속도로 방사하여 필름(film) 형상의 탄소 나노 튜브 면(carbon nanotube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및
    (S2C) 상기 취합부를 360 ° 회전시켜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면을 꼬아(twisting)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S3A) 상기 고분자(30)를 필라멘트 금형에 넣고 용융시키는 단계;
    (S3B) 상기 용융된 고분자의 코어에 상기 탄소나노섬유를 위치하는 단계; 및
    (S3C) 상기 고분자를 냉각하여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20200009878A 2020-01-28 2020-01-28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78A KR102410037B1 (ko) 2020-01-28 2020-01-28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78A KR102410037B1 (ko) 2020-01-28 2020-01-28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41A true KR20210096441A (ko) 2021-08-05
KR102410037B1 KR102410037B1 (ko) 2022-06-15

Family

ID=7731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878A KR102410037B1 (ko) 2020-01-28 2020-01-28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666B1 (ko) 2021-09-10 2022-02-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을 이용한 전도성 tpu 패턴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LU501119B1 (en) * 2021-12-29 2023-06-29 Luxembourg Inst Science & Tech List Reinforced composite filament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LU501120B1 (en) * 2021-12-29 2023-06-29 Luxembourg Inst Science & Tech List Reinforced composite filament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040B1 (ko) * 2009-08-27 2011-12-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복합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90383A (ko) * 2011-02-07 2012-08-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섬유제조
KR20160007250A (ko) * 2014-07-11 2016-01-20 임수영 Tw-섬유단에 열가소성 수지가 코팅된 탄소섬유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040B1 (ko) * 2009-08-27 2011-12-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복합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90383A (ko) * 2011-02-07 2012-08-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섬유제조
KR20160007250A (ko) * 2014-07-11 2016-01-20 임수영 Tw-섬유단에 열가소성 수지가 코팅된 탄소섬유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666B1 (ko) 2021-09-10 2022-02-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을 이용한 전도성 tpu 패턴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LU501119B1 (en) * 2021-12-29 2023-06-29 Luxembourg Inst Science & Tech List Reinforced composite filament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LU501120B1 (en) * 2021-12-29 2023-06-29 Luxembourg Inst Science & Tech List Reinforced composite filament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23126391A1 (en) 2021-12-29 2023-07-06 Luxembour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ist) Reinforced composite filament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23126395A1 (en) 2021-12-29 2023-07-06 Luxembour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ist) Reinforced composite filament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037B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037B1 (ko) 3d 프린팅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9732445B2 (en) Low temperature stabiliz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carbon fiber having structural order
Chen et al. Fabri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olyacrylonitrile and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plasma-modified carbon nanotubes by electrospinning
CN101967699B (zh) 高性能碳纳米管纤维的制备方法
JP4697829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338684B1 (en) Vapor grown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Moon et al. Strong electrospun nanometer-diameter polyacrylonitrile carbon fiber yarns
RU2504604C2 (ru) Изделия из чистых углеродных нанотрубок, изготовленные из растворов суперкислот,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CN113201802B (zh) 拉力传感纤维、纱线、织物及拉力传感纤维制备方法
CN101911827B (zh) 碳发热体及其制造方法
JP2009167092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Song et al. Carbon nanofibers: synthesis and applications
CN111101371A (zh) 一种高性能碳纳米管/碳复合纤维及其快速制备方法
Khan et al. A review on properties and fabrication techniques of polymer/carbon nanotube composites and polymer intercalated buckypapers
Hong et al. Preparation of conductive silk fibroin yarns coated with polyaniline using an improved method based on in situ polymerization
Duong et al. Advanced fabrication and properties of aligned carbon nanotube composites: experiments and modeling
CN105155023A (zh) 高强度热塑性聚酯/纳米碳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Sui et al. Desirabl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tinuous hybrid nano-scale carbon fibers containing highly align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Hong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ontinuously produced conductive UHMWPE/PANI composite yarns based on in-situ polymerization
CN103556465A (zh) 一种聚合物长丝表面复合天然蛋白质纤维粉体的方法
CN111285949A (zh) 一种聚丙烯腈包覆石墨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Aslam et al. Polyacrylonitrile‐based electrospun nanofibers–A critical review
Lee et al. A review of high-performance carbon nanotube-based carbon fibers
CN109251476B (zh) 一种超薄的高导热/导电柔韧纳米复合材料膜
JP2008044999A (ja) 均一性に優れた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