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016A -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016A
KR20210096016A KR1020210011439A KR20210011439A KR20210096016A KR 20210096016 A KR20210096016 A KR 20210096016A KR 1020210011439 A KR1020210011439 A KR 1020210011439A KR 20210011439 A KR20210011439 A KR 20210011439A KR 20210096016 A KR20210096016 A KR 20210096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clamp
rail
endless chai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롤리나 마샹트
Original Assignee
카롤리나 마샹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롤리나 마샹트 filed Critical 카롤리나 마샹트
Publication of KR2021009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Abstract

연신 장치(14)는 안내 레일(15); 각기 연신될 필름의 동일한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잡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클램프(16)와 복수의 제 2 클램프(17)(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는 안내 레일(15)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그 안내 레일(15)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음); 제 1 클램프(16)에 연결되고 또한 안내 레일(15)을 따라 제 1 클램프(16)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무단 체인(22); 및 제 2 클램프(17)에 연결되고 또한 안내 레일(15)을 따라 제 2 클램프(17)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무단 체인(23)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 가까이 배치되는 제 1 상태와,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 멀어지는 제 2 상태 사이에서 변형가능하다.

Description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장치{STRETCHING DEVICE FOR STRETCHING A FILM MADE OF A SYNTHETIC MATERIAL}
본 발명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지거나 다른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필름과 같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필름의 제조 동안에, 필름은 그의 형성 후에 길이방향 연신 단계와 횡방향 연신 단계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횡방향으로 연신시키도록 구성된 연신 장치는,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필름의 횡방향 연신 동안에 그 필름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노(furnace), 및 필름의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연신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각 연신 장치는,
-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필름 쪽으로 향하는 제 1 안내 표면 및 제 1 안내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안내 표면을 포함하는 안내 레일;
- 필름의 동일한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잡도록 되어 있고, 각각의 안내 레일에 의해 병진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클램프;
- 각각의 안내 레일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안내 레일 쪽으로 향하는 지탱 표면 및 이 지탱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유지 표면을 포함하는 유지 레일;
- 유지 레일에 의해 병진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유지 요소; 및
- 서로에 대해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일련의 링크 및 이들 링크를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관절 요소를 포함하는 무단 체인을 포함하고,
각 클램프는 각각의 제 1 관절 요소에 힌지식으로 장착되고, 각 유지 요소는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에 힌지식으로 장착되며, 무단 체인은 각각의 클램프를 각각의 안내 레일을 따라 구동시키고 또한 각각의 유지 요소를 각각의 유지 레일을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무단 체인은 클램프들이 서로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 1 상태와, 클램프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제 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연신 시스템은, 필름의 횡방향 연신과 필름의 길이방향 연신을 동시에 보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때에도, 높은 생산 속도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연신 시스템으로 높은 길이방향 연신비를 얻기 위해, 연신 시스템의 무단 체인에 큰 길이를 갖는 링크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의 연신 시스템은, 각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고 클램프들이 서로 멀어질 때, 필름의 두 인접하는 그립핑 영역 사이의 매우 큰 거리를 유도한다. 예컨대, 50 mm 폭 및 8의 길이방향 연신비를 갖는 클램프로, 필름의 두 인접하는 그립핑 영역 사이의 거리는 400 mm가 될 것이다. 따라서, 클램프 사이의 그러한 거리로 인해, 필름의 두께는 필름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레벨에서 균일하지 않게 되는데, 이 때문에 나중에 필름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레벨에서 필름을 절단할 필요가 있고 그래서 상당한 제품 손실이 일어난다.
또한, 큰 길이를 갖는 링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각 무단 체인을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변위시키기 위해 큰 힘이 필요하고, 그래서, 무단 체인의 구동 장치(예컨대, 전동(transmission) 풀리 또는 모터)를 과도하게 크게 만들 필요가 있고 그래서 연신 시스템의 부피 및 그의 제조비가 증가된다.
추가로, 무단 체인을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각 무단 체인에 가해지는 큰 힘으로 인해, 클램프에 관련된 링크의 갑작스런 팽창 동안에 각 클램프가 각각의 안내 레일에 접촉해 딸깍거리는 소리를 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위에서 언급된 연신 시스템의 작동 동안에 큰 소음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들 단점 전부 또는 일부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근간이 기술적 과제는, 연신 장치의 작동 동안에 그 연신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연신 장치의 부피를 제한하면서, 연신 단계 후에 필름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레벨에서 제조된 필름을 절단할 필요가 없는 연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연신 장치는,
- 필름 쪽으로 향하는 제 1 안내 표면 및 제 1 안내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안내 표면을 포함하는 안내 레일;
- 필름의 동일한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잡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클램프와 복수의 제 2 플램프 - 제 1 및 제 2 플램프는 안내 레일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또한 그 안내 레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음 -; 및
- 제 1 클램프에 연결되고 이 제 1 클램프를 안내 레일을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무단 체인을 포함하고,
본 연신 장치는, 제 2 클램프에 연결되고 이 제 2 클램프를 안내 레일을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무단 체인을 더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은, 제 1 및 제 2 클램프가 서로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 1 상태와, 제 1 및 제 2 클램프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제 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연신 장치, 특히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의 이러한 구성으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고 또한 제 1 및 제 2 클램프가 서로 멀어져 있을 때, 필름의 두 인접하는 그립핑 영역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그래서, 필름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레벨에서 필름의 균일한 두께가 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장치는 나중에 필름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레벨에서 필름을 절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 1 및 제 2 클램프는 안내 레일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또한 그 안내 레일을 따라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각 쌍의 인접하는 제 1 클램프 사이의 틈 및 각 쌍의 인접하는 제 2 클램프 사이의 틈을 유지할 수 있고, 그래서 제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의 각 쌍의 인접하는 링크에 대한 미리 결정된 개방 각도가 보장된다.
이들 구성으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을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해 그들 무단 체인에 가해져야 하는 힘이 상당히 제한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장치를 구비하는 연신 시스템의 제조비가 실질적으로 감소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장치의 작동 동안에 발생되는 소음도 감소된다.
본 연신 장치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고려될 때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은, 제 1 클램프가 제 2 무단 체인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또한 제 2 클램프는 제 1 무단 체인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서로 별개이다. 다시 말해, 제 1 클램프는 제 2 클램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데, 즉 제 2 클램프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무단 체인과 제 2 무단 체인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에 포개지는데, 즉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에 겹쳐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무단 체인은, 제 1 무단 체인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1 주 링크와 제 2 주 링크, 및 제 1 무단 체인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관절 요소와 제 2 관절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주 링크는 관절 요소 주위에 힌지식으로 장착되고, 각 제 1 클램프는 각각의 제 1 관절 요소에 장착되고, 제 2 무단 체인은, 제 2 무단 체인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1 보조 링크와 제 2 보조 링크, 및 제 2 무단 체인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관절 부재와 제 2 관절 부재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보조 링크는 관절 부재 주위에 힌지식으로 장착되며, 각 제 2 클램프는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무단 체인의 제 1 및 제 2 주 링크와 제 2 무단 체인의 제 1 및 제 2 보조 링크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에 포개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무단 체인의 제 1 및 제 2 주 링크는 제 2 무단 체인의 제 1 및 제 2 보조 링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데, 즉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관절 요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관절 부재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클램프는 안내 레일의 상측 표면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러닝 롤러를 포함하고, 각 제 2 클램프는 안내 레일의 상측 표면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러닝 롤러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각 제 1 클램프의 제 1 주 러닝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 제 2 클램프의 제 2 러닝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클램프는 제 2 클램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클램프는 제 2 클램프와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관절 부재는 제 1 관절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 2 관절 부재는 제 2 관절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관절 부재는 제 1 관절 요소와 다르고, 제 2 관절 부재는 제 2 관절 요소와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클램프는 안내 레일의 제 1 안내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 안내 롤러를 포함하고, 각 제 2 클램프는 안내 레일의 제 1 안내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조 안내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주 안내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 보조 안내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클램프의 주 안내 롤러 및 제 2 클램프의 보조 안내 롤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면 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클램프는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각 제 2 클램프는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관절 요소는 안내 레일의 제 2 안내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탱 롤러를 지니고 있고, 각 제 1 관절 부재는 안내 레일의 제 2 안내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탱 롤러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탱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탱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관절 요소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 1 상측 지탱 롤러와 제 1 하측 지탱 롤러를 지니고 있고, 이들 지탱 롤러는 안내 레일의 제 2 안내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제 1 관절 부재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 2 상측 지탱 롤러와 제 2 하측 지탱 롤러를 지니고 있고, 이들 지탱 롤러는 안내 레일의 제 2 안내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 안내 롤러, 보조 안내 롤러, 제 1 상측 지탱 롤러와 제 2 상측 지탱 롤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면 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신 장치는,
- 안내 레일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안내 레일 쪽으로 향하는 지탱 표면 및 이 지탱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유지 표면을 포함하는 유지 레일; 및
- 유지 레일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유지 레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유지 요소와 복수의 제 2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하고,
각 제 1 유지 요소는 제 1 무단 체인의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에 장착되며 또한 제 1 무단 체인에 의해 유지 레일을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제 2 유지 요소는 제 2 무단 체인의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에 장착되며 또한 제 2 무단 체인에 의해 유지 레일을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유지 요소는 제 2 유지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1 클램프는 각각의 제 2 유지 요소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2 클램프는 각각의 제 1 유지 요소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특히 제 1 및 제 2 클램프에 의한 필름의 해제 후에(예컨대, 이들 클램프가 전동 풀리에 도달할 때) 각 제 1 및 제 2 클램프가 안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클램프는 제 1 평평한 스탑 표면을 포함하고, 제 1 및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그 스탑 표면은 각각의 제 2 유지 요소에 제공되어 있는 제 2 평평한 스탑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제 2 클램프는 평평한 주 스탑 표면을 포함하고, 제 1 및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그 주 스탑 표면은 각각의 제 1 유지 요소에 제공되어 있는 평평한 보조 스탑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유지 요소는 유지 레일의 유지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주 유지 롤러를 포함하고, 각 제 2 유지 요소는 유지 레일의 유지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보조 유지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유지 요소의 주 유지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 제 2 유지 요소의 보조 유지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주 유지 롤러는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안내 레일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되고, 각 보조 유지 롤러는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안내 레일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2 관절 요소는 유지 레일의 지탱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 지탱 롤러를 지니고 있고, 각 제 2 관절 부재는 유지 레일의 지탱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탱 롤러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 지탱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탱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2 관절 요소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측 주 지탱 롤러와 하측 주 지탱 롤러를 지니고 있고, 이들 주 지탱 롤러는 유지 레일의 지탱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각 제 2 관절 부재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측 보조 지탱 롤러와 하측 보조 지탱 롤러를 지니고 있고, 이들 보조 지탱 롤러는 유지 레일의 지탱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 유지 롤러, 보조 유지 롤러, 상측 주 지탱 롤러와 상측 보조 지탱 롤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면 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레일은, 안내 레일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안내 레일로부터 제 1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는 제 1 레일 부분, 및 안내 레일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제 1 거리와는 다른 제 2 거리 만큼 안내 레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 2 레일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레일 부분은 제 1 레일 부분의 하류에 위치되고, 유지 레일은,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가 제 1 레일 부분으로부터 제 2 레일 부분으로 변위되면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의 변형이 일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레일은 제 1 레일 부분과 제 2 레일 부분을 연결하는 천이 부분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이 천이 부분은 경사 램프(ramp)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2 거리는 제 1 거리 보다 작고, 유지 레일은,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가 제 1 레일 부분으로부터 제 2 레일 부분으로 변위되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변형되어 필름의 길이 방향 연신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2 거리는 제 1 거리 보다 크고, 유지 레일은,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가 제 1 레일 부분으로부터 제 2 레일 부분으로 변위되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로부터 제 1 상태로 변형되어 필름의 길이 방향 이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무단 체인에 속하는 제 1 및 제 2 관절 요소는, 제 2 무단 체인에 속하는 제 1 및 제 2 관절 부재와는 별개이고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관절 요소는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취하는 상태에 따라 변하는 분리 거리로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로부터 이격되며, 각 제 2 관절 요소는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취하는 상태에 따라 변하는 이격 거리로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분리 거리는 제 1 분리 값과 같고, 또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분리 거리는 제 2 분리 값과 같으며, 제 2 분리 값은 제 1 분리 값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이격 거리는 제 1 이격 값과 같고, 또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이격 거리는 제 2 이격 값과 같으며, 제 2 이격 값은 제 1 이격 값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천이 부분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을 제 2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해 각 제 2 관절 요소 및 각 제 2 관절 부재에 가해지는 유지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천이 부분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을 제 1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해 각 제 2 관절 요소 및 각 제 2 관절 부재에 가해지는 유지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유지 요소는 유지 레일의 상측 표면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 러닝 롤러를 포함하고, 각 제 2 유지 요소는 유지 레일의 상측 표면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조 러닝 롤러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각 제 1 유지 요소의 주 러닝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 제 2 유지 요소의 보조 러닝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연신 장치는, 유지 레일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그 유지 레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와 복수의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하고,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는 제 1 무단 체인의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에 장착되고,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에 장착되는 제 1 유지 요소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고,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는 무단 체인의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에 장착되고,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에 장착되는 제 2 유지 요소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고,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와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는 제 1 무단 체인과 제 2 무단 체인에 의해 유지 레일을 따라 각각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는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는 유지 레일의 유지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주 유지 롤러를 포함하며,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는 유지 레일의 유지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보조 유지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의 추가적인 주 유지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의 추가적인 보조 유지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는 유지 레일의 하측 표면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추가적인 주 러닝 롤러를 포함하고,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는 유지 레일의 하측 표면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추가적인 보조 러닝 롤러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의 추가적인 주 러닝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의 추가적인 보조 러닝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가적인 주 유지 롤러, 추가적인 보조 유지 롤러, 하측 주 지탱 롤러 및 하측 보조 지탱 롤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면 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신 장치는, 유지 레일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유지 레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안내 요소와 복수의 제 2 안내 요소를 더 포함하고, 각 제 1 안내 요소는 제 1 무단 체인의 각각의 제 1 관절 요소에 장착되고, 각각의 제 1 관절 요소에 장착되는 제 1 클램프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고, 각 제 2 안내 요소는 제 2 무단 체인의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에 장착되고,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에 장착되는 제 2 클램프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며, 각 제 1 안내 요소와 각 제 2 안내 요소는 제 1 무단 체인과 제 2 무단 체인에 의해 안내 레일을 따라 각각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안내 요소는 제 2 안내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안내 요소는 안내 레일의 제 1 안내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추가적인 주 안내 롤러를 포함하고, 각 제 2 안내 요소는 안내 레일의 제 1 안내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추가적인 보조 안내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안내 요소의 추가적인 주 안내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 제 2 안내 요소의 추가적인 보조 안내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안내 요소는 안내 레일의 하측 표면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추가적인 제 1 러닝 롤러를 포함하고, 각 제 2 안내 요소는 안내 레일의 하측 표면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추가적인 제 2 러닝 롤러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각 제 1 안내 요소의 추가적인 제 1 러닝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 제 2 안내 요소의 추가적인 제 2 러닝 롤러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가적인 주 안내 롤러, 추가적인 보조 안내 롤러, 제 1 하측 지탱 롤러 및 제 2 하측 지탱 롤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면 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1 안내 요소는 각각의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2 안내 요소는 각각의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클램프가 서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가 서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추가적인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가 서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안내 요소가 서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클램프는 제 1 클램프 본체, 및 각각의 제 1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안내 레일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제 1 측방 지지 패드를 포함하고, 각 제 2 클램프는 제 2 클램프 본체, 및 각각의 제 2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안내 레일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제 2 측방 지지 패드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1 측방 지지 패드가 인접하는 제 2 클램프의 제 2 측방 지지 패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측방 지지 패드는 각각의 제 2 측방 지지 패드에 있는 제 2 평평한 지탱 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평평한 지탱 표면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제 1 및 제 2 평평한 지탱 표면은 안내 레일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유지 요소는 제 1 지지 본체, 및 각각의 제 1 지지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유지 레일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추가적인 제 1 측방 지지 패드를 포함하고, 각 제 2 유지 요소는 제 2 지지 본체, 및 각각의 제 2 지지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유지 레일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추가적인 제 2 측방 지지 패드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각 추가적인 제 1 측방 지지 패드가 인접하는 제 2 유지 요소의 추가적인 제 2 측방 지지 패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클램프는 실질적으로 안내 레일을 따라 정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는 실질적으로 안내 레일을 따라 정렬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적어도 횡방향으로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연신 시스템은 필름의 양측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연신 장치를 포함하고, 한 연신 장치의 제 1 및 제 2 클램프는 필름의 제 1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잡도록 배치되고, 다른 연신 장치의 제 1 및 제 2 클램프는 필름의 제 2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잡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신 시스템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예컨대 횡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연신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신 시스템은, 예컨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의 연신 후에 그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이완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신 시스템은 노를 포함하고, 두 연신 장치의 안내 레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노 안으로 들어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두 연신 장치의 안내 레일은 연신 시스템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멀어지게 벌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두 연신 장치의 안내 레일은, 연신 시스템의 제 1 영역의 하류에 위치되는 연신 시스템의 제 2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유지 레일의 제 2 레일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신 시스템의 제 1 영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필름의 횡방향 연신과 동시에 필름의 길이방향 연신 또는 길이방향 이완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유지 레일의 천이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신 시스템의 제 2 영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필름의 횡방향 연신 후에 필름의 길이방향 연신 또는 길이방향 이완이 보장될 수 있다.
어쨋든, 본 연신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비한정적인 예로 나타내는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을 사용하면 본 발명은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의 개관도이다.
도 2는 제 1 상태에 있는 연신 장치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을 보여주는 도 1의 제조 플랜트에 속하는 연신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상태에 있는 연신 장치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을 보여주는 도 2의 연신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연신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연신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연신 장치의 부분 상면도로, 제 1 상태로 있는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2의 연신 장치의 부분 상면도로, 중간 상태로 있는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2의 연신 장치의 부분 상면도로, 제 2 상태로 있는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2의 연신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 특히 연신 장치의 전동 풀리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2의 연신 장치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연신 장치에 속하는 안내 레일과 유지 레일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1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길이방향 가장자리(4)를 갖는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3)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플랜트(2)를 나타낸다.
제조 플랜트(2)는 연속적으로,
- 합성 재료(6)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5),
- 공급 시스템(5)에 의해 합성 재료를 공급 받고 압출 다이(8)를 포함하는 압출기(7),
- 압출 다이(8) 아래에 배치되고 용융 상태의 합성 재료(6)를 부어 필름(3)이 형성되는 주조 드럼(9),
- 필름(3)을 길이방향으로 연신시키고, 필름(3)을 전달하고 연신시키기 위해 속도차를 갖는 예컨대 롤(12)을 포함하는 길이방향 연신 시스템(11), 및
- 필름(3)을 적어도 횡방향으로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시스템(13)을 연속적으로 포함한다.
연신 시스템(13)은, 필름(3)이 횡방향으로 연신되는 동안에 그 필름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노(furnace)(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 및 필름(3)의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연신 장치(14)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10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연신 장치(14)는,
-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필름(3) 쪽으로 향하는 제 1 안내 표면(15.1) 및 제 1 안내 표면(15.1)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안내 표면(15.2)을 포함하는 안내 레일(15),
- 필름(3)의 대응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4)를 잡는 복수의 제 1 클램프(16)와 복수의 제 2 플램프(17) - 제 1 및 제 2 플램프(16, 17)는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각각의 안내 레일(15)에 의해 병진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음 -,
-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유지 안내부(18) - 유지 레일(18)은 각각의 안내 레일(15) 쪽으로 향하는 지탱 표면(18.1) 및 지탱 표면(18.1)의 반대편에 있는 유지 표면(18.1)을 포함함 -,
- 유지 레일(18)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이 유지 레일(18)에 의해 병진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유지 요소(19)와 복수의 제 2 유지 요소(21),
- 제 1 클램프(16)를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따라 구동시키고 또한 각각의 제 1 유지 요소(19)를 각각의 유지 레일(18)을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무단 체인(22), 및
- 제 2 클램프(17)를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따라 구동시키고 또한 각각의 제 2 안내 요소(21)를 각각의 유지 레일(18)을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무단 체인(23)
을 포함한다.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에 포개지며,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 1 상태(도 2 및 6 참조)와,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제 2 상태(도 3 및 8 참조)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 연신 장치(14)의 안내 레일(15)은 노에 위치되어 있는 연신 시스템(13)의 제 1 영역(A1)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지며, 연신 시스템(13)의 제 1 영역(A1)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는 연신 시스템(13)의 제 2 영역(A2)에서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는 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안내 레일(15)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각 유지 레일(18) 또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특히 도 5 내지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제 1 무단 체인(22)은, 제 1 무단 체인(22)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1 주 링크(25)와 제 2 주 링크(26), 및 제 1 무단 체인(22)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관절 요소(27)와 제 2 관절 요소(28)를 포함하고, 제 1 주 링크(25)와 제 2 주 링크(26)가 그들 관절 요소 주위에 힌지식으로 장착된다. 제 1 관절 요소(27)와 제 2 관절 요소(28)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각 제 1 클램프(16)는 각각의 제 1 관절 요소(27)에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1 클램프 본체(29), 및 제 1 클램프 본체(29)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필름(3)을 잡도록 구성되어 있는 그립핑 핑거(31)를 포함한다. 각 제 1 클램프(16)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안내 레일(15)의 제 1 안내 표면(15.1)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 안내 롤러(32), 및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안내 레일(15)의 상측 표면(15.3)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러닝 롤러(33)를 더 포함한다.
각 제 1 유지 요소(19)는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28)에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1 지지 본체(34),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유지 레일(18)의 유지 표면(18.2)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주 유지 롤러(35)를 포함한다. 각 주 유지 롤러(35)는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28)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안내 레일(18)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각 제 1 유지 요소(19)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유지 레일(18)의 상측 표면(18.3)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 러닝 롤러(36)를 더 포함한다.
특히 도 5 내지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제 2 무단 체인(23)은, 제 2 무단 체인(23)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1 보조 링크(37)와 제 2 보조 링크(38), 및 제 2 무단 체인(23)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관절 부재(39)와 제 2 관절 부재(41)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보조 링크(37, 38)가 그들 관절 부재 주위에 힌지식으로 장착된다. 유리하게, 제 1 및 제 2 관절 부재(39, 41)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무단 체인(22)의 제 1 및 제 2 주 링크(25, 26)와 제 2 무단 체인(23)의 제 1 및 제 2 보조 링크(37, 38)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에 포개진다.
각 제 2 클램프(17)는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39)에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2 클램프 본체(42), 및 제 2 클램프 본체(42)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필름(3)을 잡도록 구성되어 있는 그립핑 핑거(43)를 포함한다. 각 제 2 클램프(17)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안내 레일(15)의 제 1 안내 표면(15.1)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조 안내 롤러(44), 및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안내 레일(15)의 상측 표면(15.3)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러닝 롤러(45)를 더 포함한다.
각 제 2 유지 요소(21)는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에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2 지지 본체(46),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유지 레일(18)의 유지 표면(18.2)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보조 유지 롤러(47)를 포함한다. 각 보조 유지 롤러(47)는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안내 레일(18)에 의해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각 제 2 유지 요소(21)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유지 레일(18)의 상측 표면(18.3)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조 러닝 롤러(48)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 각 제 1 클램프(16)는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제 1 및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제 2 유지 요소(21)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제 2 클램프(17)는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28)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제 1 및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제 1 유지 요소(19)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라, 각 제 1 클램프(16)의 제 1 클램프 본체(29)는 제 1 평평한 스탑 표면(S11)을 포함하고, 제 1 및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그 스탑 표면은 각각의 제 2 유지 요소(21)의 제 2 지지 본체(46)에 제공되어 있는 제 2 평평한 스탑 표면(S12)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클램프(17)의 제 2 클램프 본체(42)는 평평한 주 스탑 표면(S21)을 포함하고, 제 1 및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그 주 스탑 표면은 각각의 제 1 유지 요소(19)의 제 1 지지 본체(34)에 제공되어 있는 평평한 보조 스탑 표면(S22)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평평한 스탑 표면(S11), 제 2 평평한 스탑 표면(S12), 평평한 주 스탑 표면(S21) 및 평평한 보조 스탑 표면(S22)은 각각의 안내 레일(1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유리하게,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또한, 제 1 및 2 무단 체인(22, 23)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19, 21)가 서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관절 요소(27)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 1 상측 지탱 롤러(49)와 제 1 하측 지탱 롤러(51)를 지니고 있고, 이들 지탱 롤러는 안내 레일(15)의 제 2 안내 표면(15.2)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 제 1 상측 및 하측 지탱 롤러(49, 51) 각각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각 제 2 관절 요소(28)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측 주 지탱 롤러(52)와 하측 주 지탱 롤러(53)를 지니고 있고, 이들 주 지탱 롤러는 유지 레일(18)의 지탱 표면(18.1)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 상측 및 하측 주 지탱 롤러(52, 53) 각각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관절 부재(39)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 2 상측 지탱 롤러(54)와 제 2 하측 지탱 롤러(55)를 지니고 있고, 이들 지탱 롤러는 안내 레일(15)의 제 2 안내 표면(15.2)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 상측 및 하측 제 2 지탱 롤러(54, 55) 각각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각 제 2 관절 부재(41)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측 보조 지탱 롤러(56)와 하측 보조 지탱 롤러(57)를 지니고 있고, 이들 보조 지탱 롤러는 유지 레일(18)의 지탱 표면(18.1)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 상측 및 하측 보조 지탱 롤러(56, 57) 각각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갖는다.
각 연신 장치(14)는, 유지 레일(18)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그 유지 레일(18)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58)와 복수의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59)를 더 포함한다.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58) 및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59)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에 의해 유지 레일(18)을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58)는 제 1 무단 체인(22)의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28)에 장착되고,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28)에 장착되는 제 1 유지 요소(19)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유리하게, 각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58)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유지 레일(18)의 유지 표면(18.2)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주 유지 롤러(61), 및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유지 레일(18)의 하측 표면(18.4)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주 러닝 롤러(62)를 포함한다.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59)는 각각의 제 2 무단 체인(23)의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에 장착되고,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에 장착되는 제 2 유지 요소(21)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유리하게, 각 추가적인 제 2 유지 부재(59)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유지 레일(18)의 유지 표면(18.2)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보조 유지 롤러(63), 및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유지 레일(18)의 하측 표면(18.4)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보조 러닝 롤러(64)를 포함한다.
각 연신 장치(14)는, 안내 레일(15)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이 안내 레일(15)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안내 요소(65)와 복수의 제 2 안내 요소(66)를 더 포함한다. 각 제 1 안내 요소(65) 및 각 제 2 안내 요소(66)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에 의해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제 1 안내 요소(65)는 각각의 제 1 무단 체인(22)의 각각의 제 1 관절 요소(27)에 장착되고, 각각의 제 1 관절 요소(27)에 장착되는 제 1 클램프(16)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유리하게, 각 제 1 안내 요소(65)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각의 안내 레일(15)의 제 1 안내 표면(15.1)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주 안내 롤러(67), 및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각의 안내 레일(15)의 하측 표면(15.4)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제 1 러닝 롤러(68)를 포함한다.
각 제 2 안내 요소(66)는 각각의 제 2 무단 체인(23)의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39)에 장착되고,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39)에 장착되는 제 2 클램프(17)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유리하게, 각 제 2 안내 요소(66)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각의 안내 레일(15)의 제 1 안내 표면(15.1)과 상호 협력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보조 안내 롤러(69), 및 실질적으로 수평인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각의 안내 레일(15)의 하측 표면(15.4) 위에서 구르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제 2 러닝 롤러(71)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 안내 롤러(32), 보조 안내 롤러(44), 주 유지 롤러(35), 보조 유지 롤러(47), 제 1 상측 지탱 롤러(49), 제 2 상측 지탱 롤러(54), 상측 주 지탱 롤러(52) 및 상측 보조 지탱 롤러(56)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면 내에서 연장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가적인 주 안내 롤러(67), 추가적인 보조 안내 롤러(69), 제 1 하측 지탱 롤러(51), 제 2 하측 지탱 롤러(55), 추가적인 주 유지 롤러(61), 추가적인 보조 유지 롤러(63), 하측 주 지탱 롤러(53) 및 하측 보조 지탱 롤러(57)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면 내에서 연장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안내 요소(65)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추가적인 제 2 유지 요소(59)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각 제 2 안내 요소(66)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추가적인 제 1 유지 요소(58)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추가적인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58, 59)가 서로에 지탱되고 또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안내 요소(65, 66)가 서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제 1 클램프(16)는, 각각의 제 1 클램프 본체(29)의 양측에 배치되고 안내 레일(15)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제 1 측방 지지 패드(72)를 더 포함하고, 각 제 2 클램프(17)는, 각각의 제 2 클램프 본체(42)의 양측에 배치되고 안내 레일(15)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제 2 측방 지지 패드(73)를 포함한다.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1 측방 지지 패드(72)가 인접한 제 2 클램프(17)의 제 2 측방 지지 패드(73)에 지탱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각 제 1 유지 요소(19)는, 각각의 제 1 지지 본체(34)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유지 레일(18)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추가적인 제 1 측방 지지 패드(74)를 더 포함하고, 각 제 2 유지 요소(21)는, 각각의 제 2 지지 본체(46)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유지 레일(18)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추가적인 제 2 측방 지지 패드(75)를 포함한다.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각 추가적인 제 1 측방 지지 패드(74)가 인접한 제 2 유지 요소(21)의 추가적인 제 2 측방 지지 패드(75)에 지탱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제 1 및 제 2 안내 요소(65, 66) 및 추가적인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58, 59)에는 지지 패드가 제공된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유지 레일(18)은, 각각의 안내 레일(1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안내 레일(15)로부터 제 1 거리(D1) 만큼 이격되어 있는 제 1 레일 부분(181), 및 제 1 레일 부분(181)의 하류에 위치되고 각각의 안내 레일(1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2 레일 부분(182)을 포함하고, 제 2 레일 부분(182)은 각각의 안내 레일(15)로부터, 제 1 거리(D1)와는 다른 제 2 거리(D2) 만큼 이격되어 있다. 각 유지 레일(18)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레일 부분(181, 182)을 연결하는 천이 부분(183)을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 각 천이 부분(183)은 경사 램프(ramp)를 형성한다.
특히, 각 유지 레일(18)은,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19, 21)가 제 1 레일 부분(181)으로부터 제 2 레일 부분(182)으로 변위되면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각각의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의 변형이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각 유지 레일(18)의 천이 부분(183)은 연신 시스템(13)의 제 1 영역(A1)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신 시스템(13)의 제 1 영역(A1)에서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의 변형이 보장되고 그래서 필름(3)은 횡방향으로 연신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연신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이완될 수 있다.
이제, 각 제 2 레일 부분(182)과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분리하는 제 2 거리(D2)는 각 제 1 레일 부분(181)과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분리하는 제 1 거리(D1) 보다 작다는 것을 고려하여, 연신 시스템(13)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필름(3)이 연신 시스템(13)과 접촉할 때, 필름(3)의 길이방향 가장자리(4)는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에 의해 각각 잡힌다. 제 1 무단 체인(22, 23)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는 필름(3)을 안내 레일(15)을 따라 전달한다. 연신 시스템(13)의 제 1 영역(A1)에서, 적절한 연신 온도에 도달한 필름(3)은 안내 레일(15)의 벌어짐에 의해, 그래서 한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와 다른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 사이의 간격의 연속적인 증가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신된다.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19, 21)가 각각의 유지 레일(18)의 천이 부분(183) 및 제 2 레일 부분(182)에 도달하면, 각 제 2 관절 요소(28)에 보유되는 상하측 주 지탱 롤러(52, 53) 및 각 제 2 관절 부재(41)에 보유되는 상하측 보조 지탱 롤러(56, 57)는 각각의 유지 레일(18)의 천이 부분(183) 및 제 2 레일 부분(182)에 의해 각각의 안내 레일(15) 쪽으로 가압되며, 이로 인해, 제 2 관절 요소(28)와 제 2 관절 부재(41)는 각각의 안내 레일(15) 쪽으로 변위된다. 제 2 관절 요소(28)와 제 2 관절 부재(41)의 이러한 변위로 인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 각각의 피치가 증가되며 또한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 구성으로, 필름(3)은 횡방향으로 연신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신된다.
이제, 각 제 2 레일 부분(182)과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분리하는 제 2 거리(D2)는 각 제 1 레일 부분(181)과 각각의 안내 레일(15)을 분리하는 제 1 거리(D1) 보다 크다는 것을 고려하여, 연신 시스템(13)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19, 21)가 각각의 유지 레일(18)의 천이 부분(183) 및 제 2 레일 부분(182)에 도달하면,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19, 21)에 보유되는 주 및 보조 유지 롤러(35, 47)는 각각의 유지 레일(18)의 천이 부분(183) 및 제 2 레일 부분(182)에 의해 각각의 안내 레일(15)로부터 멀어지게 가압되며, 이로 인해, 제 2 관절 요소(28)와 제 2 관절 부재(41)는 각각의 안내 레일(15)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된다. 제 2 관절 요소(28)와 제 2 관절 부재(41)의 이러한 변위로 인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 각각의 피치가 감소되며 또한 각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 구성으로, 필름(3)은 횡방향으로 연신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이완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안내 레일(15)은, 연신 시스템(13)의 제 2 영역(A2)에서, 필름의 길이방향 이완과 동시에 그 필름의 횡방향 이완을 가능하게 하도록 안내 레일(15)이 서로의 쪽으로 수렴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위에서 예로 설명된 이 연신 시스템의 유일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그의 모든 변형예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히, 연신 장치는 각각의 제 1 클램프와 각각의 제 2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클램프, 및 제 3 클램프에 연결되고 제 3 클램프를 안내 레일을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무단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연신 장치는 3개 이상의 종류의 클램프 및 3개 이상의 무단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3)을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장치(14)로서,
    필름 쪽으로 향하는 제 1 안내 표면(15.1) 및 제 1 안내 표면(15.1)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안내 표면(15.2)을 포함하는 안내 레일(15);
    필름의 동일한 길이방향 가장자리(4)를 각각 잡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클램프(16)와 복수의 제 2 플램프(17) - 제 1 및 제 2 플램프(16, 17)는 안내 레일(15)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또한 안내 레일(15)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음 -; 및
    상기 제 1 클램프(16)에 연결되고 제 1 클램프(16)를 안내 레일(15)을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무단 체인(22)
    을 포함하고,
    상기 연신 장치(14)는, 상기 제 2 클램프(17)에 연결되고 제 2 클램프(17)를 안내 레일(15)을 따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무단 체인(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 1 상태와,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제 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연신 장치(14).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단 체인(22)과 제 2 무단 체인(23)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에 포개지는, 연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단 체인(22)은, 제 1 무단 체인(22)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1 주 링크(25)와 제 2 주 링크(26), 및 제 1 무단 체인(22)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관절 요소(27)와 제 2 관절 요소(28)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주 링크(25, 26)는 관절 요소 주위에 힌지식으로 장착되고, 각 제 1 클램프(16)는 각각의 제 1 관절 요소(27)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무단 체인(23)은, 제 2 무단 체인(23)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힌지식으로 장착되는 제 1 보조 링크(37)와 제 2 보조 링크(38), 및 제 2 무단 체인(23)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관절 부재(39)와 제 2 관절 부재(41)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보조 링크(37, 38)는 관절 부재 주위에 힌지식으로 장착되며, 각 제 2 클램프(17)는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39)에 장착되는, 연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제 1 클램프(16)는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각 제 2 클램프(17)는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28)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연신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15)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안내 레일(15) 쪽으로 향하는 지탱 표면(18.1) 및 이 지탱 표면(18.1)의 반대편에 있는 유지 표면(18.1)을 포함하는 유지 레일(18); 및
    상기 유지 레일(18)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유지 레일(18)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유지 요소(19)와 복수의 제 2 유지 요소(21)
    를 더 포함하고,
    각 제 1 유지 요소(19)는 제 1 무단 체인(22)의 각각의 제 2 관절 요소(28)에 장착되며 또한 제 1 무단 체인(22)에 의해 유지 레일(18)을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제 2 유지 요소(21)는 제 2 무단 체인(23)의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에 장착되며 또한 제 2 무단 체인(23)에 의해 유지 레일(18)을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1 클램프(16)는 각각의 제 2 유지 요소(21)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2 클램프(17)는 각각의 제 1 유지 요소(19)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신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레일(18)은, 상기 안내 레일(1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안내 레일(15)로부터 제 1 거리(D1) 만큼 이격되어 있는 제 1 레일 부분(181), 및 안내 레일(1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제 1 거리(D1)와는 다른 제 2 거리(D2) 만큼 안내 레일(15)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 2 레일 부분(182)을 포함하고, 제 2 레일 부분(182)은 제 1 레일 부분(181)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유지 레일(18)은,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19, 21)가 제 1 레일 부분(181)으로부터 제 2 레일 부분(182)으로 변위되면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의 변형이 일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거리(D2)는 제 1 거리(D1) 보다 작고, 상기 유지 레일(18)은,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19, 21)가 제 1 레일 부분(181)으로부터 제 2 레일 부분(182)으로 변위되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변형되어 필름(3)의 길이 방향 연신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신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거리(D2)는 제 1 거리(D1) 보다 크고, 상기 유지 레일(18)은, 제 1 및 제 2 유지 요소(19, 21)가 제 1 레일 부분(181)으로부터 제 2 레일 부분(182)으로 변위되면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2 상태로부터 제 1 상태로 변형되어 필름(3)의 길이 방향 이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신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단 체인(22)에 속하는 제 1 및 제 2 관절 요소(27, 28)는, 상기 제 2 무단 체인(23)에 속하는 제 1 및 제 2 관절 부재(39, 41)와는 별개이고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연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제 1 관절 요소(27)는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취하는 상태에 따라 변하는 분리 거리로 각각의 제 2 관절 부재(41)로부터 이격되며, 각 제 2 관절 요소(28)는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39)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취하는 상태에 따라 변하는 이격 거리로 각각의 제 1 관절 부재(39)로부터 이격되는, 연신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가 서로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신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제 1 클램프(16)는 제 1 클램프 본체(29), 및 각각의 제 1 클램프 본체(29)의 양측에 배치되고 안내 레일(15)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제 1 측방 지지 패드(72)를 포함하고, 각 제 2 클램프(17)는 제 2 클램프 본체(42), 및 각각의 제 2 클램프 본체(42)의 양측에 배치되고 안내 레일(15)을 따라 시프트되어 있는 2개의 제 2 측방 지지 패드(7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이 제 1 상태에 있을 때 각 제 1 측방 지지 패드(72)가 인접하는 제 2 클램프(17)의 제 2 측방 지지 패드(73)에 지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신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단 체인(22, 23)은, 제 1 클램프가 제 2 무단 체인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또한 제 2 클램프는 제 1 무단 체인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서로 별개인, 연신 장치.
  15.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3)을 적어도 횡방향으로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시스템(13)으로서, 필름(3)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연신 장치(14)를 포함하고, 한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는 필름(3)의 제 1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잡도록 배치되고, 다른 연신 장치(14)의 제 1 및 제 2 클램프(16, 17)는 필름의 제 2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잡도록 배치되는, 연신 시스템.
KR1020210011439A 2020-01-27 2021-01-27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장치 KR202100960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00764A FR3106522B1 (fr) 2020-01-27 2020-01-27 Dispositif d’étirage pour étirer un film en matière synthétique
FR20/00764 2020-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016A true KR20210096016A (ko) 2021-08-04

Family

ID=7015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439A KR20210096016A (ko) 2020-01-27 2021-01-27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854569B1 (ko)
JP (1) JP2021121492A (ko)
KR (1) KR20210096016A (ko)
CN (1) CN113172870A (ko)
FI (1) FI3854569T3 (ko)
FR (1) FR3106522B1 (ko)
PT (1) PT3854569T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8031B (zh) * 2023-10-10 2023-12-19 龙华相位新材料(绵阳)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膜拉伸装置及拉伸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6071A (en) * 1963-12-02 1966-10-04 Hitachi Ltd Apparatus for stretching the film in two axial directions simultaneously by using link mechanism
US3748704A (en) * 1972-01-04 1973-07-31 Kampf Maschf Erwin Clamp for biaxial stretching machines
US4807336A (en) * 1984-01-24 1989-02-28 Toray Industries, Inc. Link device for stretching sheet material and stretching apparatus using said link device
JP5662895B2 (ja) * 2011-08-01 2015-02-04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メカニクス シート状物の延伸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3854569T3 (fi) 2023-10-31
PT3854569T (pt) 2023-10-16
EP3854569A1 (fr) 2021-07-28
CN113172870A (zh) 2021-07-27
JP2021121492A (ja) 2021-08-26
EP3854569B1 (fr) 2023-07-26
FR3106522A1 (fr) 2021-07-30
FR3106522B1 (fr)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756B1 (ko) 합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필름을 적어도 횡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신장 장치
JP4837918B2 (ja) 縦横同時フィルム延伸装置
US8225586B2 (en) Belt driven clamping arrangement for gripping and advancing web material in a packaging machine
WO2010119823A1 (ja) フィルム延伸装置およびフィルムの延伸方法
KR100498109B1 (ko) 시트형상물체의 박막성형장치
KR20210096016A (ko)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 장치
JP4069017B2 (ja) 積重ね状態のシート状厚紙のブランクを相互に連結しているニックを切り離す装置
JP4379343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5587668B2 (ja) 延伸試験装置および延伸試験方法
US4368024A (en) Forming machines
CA1282026C (en) Apparatus for braking articles on a conveyor
JP3855907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US3240412A (en) Arrangement for continuously handling moving tensioned webs of foil with flanged edges
JP2766582B2 (ja) クレープ加工用装置
JP7193277B2 (ja) 合成材料製のフィルムを少なくとも横方向に延伸するための延伸装置
JP5662895B2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KR20190058321A (ko) 시트상물의 2축 연신기
US5121684A (en) Continuously working press having an introduction device for aligning rolling rods
JPH0623837A (ja) 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100705534B1 (ko) 자동진공성형 시스템의 원단이송장치
JP3999503B2 (ja) 方向変換コンベヤ装置
USRE29125E (en) Continuous molding conveyor with side clamping and release
KR890000878B1 (ko)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JPH0523583B2 (ko)
JPS62199428A (ja) 同時二軸延伸装置におけるリンク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