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878B1 -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878B1
KR890000878B1 KR1019830000583A KR830000583A KR890000878B1 KR 890000878 B1 KR890000878 B1 KR 890000878B1 KR 1019830000583 A KR1019830000583 A KR 1019830000583A KR 830000583 A KR830000583 A KR 830000583A KR 890000878 B1 KR890000878 B1 KR 89000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haft
groups
plastic foam
be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461A (ko
Inventor
알렌 헤이 2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고든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고든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to KR101983000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878B1/ko
Publication of KR84000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87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측면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 벨트들이 인접해 있는 부분의 단편 개략도.
제3도는 벨트군들이 인접해 있는 부분을 상부에서 본 단편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벨트의 측면 개략도.
제5도 및 6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벨트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틀 12 : 제1벨트 지지장치
13 : 제2벨트 지지장치 14,15 : 토글 조립체
34 : 추진축 35 : 벨트 지지기어
36 : 추진기어 37 : 추진모터
38 : 축 41,42,43 : 축
64,65,66 : 축 51,52,54,56 및 71,72,74,75 : 벨트
단단한 플라스틱 포움은 단열재나 장식재로 널리 쓰인다. 이러한 단단한 포움은 일반적으로, 염화메틸과 같은 휘발성의 유도성 거품재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하여 제조한다. 통상, 판재 형태로 제조된 이러한 포움은 두께, 폭 및 밀도가 다양하다. 만곡진 형상의 포움재가 필요한 경우에는 포움을 유연화시킨다. 이러한 유연화 작업은 잘 알려진 사실로서 미국특허 제3,159,700호 및 제3,191,224호에 공지되었다.
포움은 또한 대향된 제1 및 제2벨트쌍이 포움을 파지하여 대향으로 위치된 제3 및 제4벨트로 이송시키는 4-벨트 장치를 이용하여 유연화된다.제1 및 제3벨트와 제2 및 제4벨트의 인접부는 서로 간격을 유지한다. 제1 및 제2벨트의 표면 진행속도는 제3 및 제4벨트의 경우 보다 어느 정도 크게 하여 포움이 제1 및 제2벨트와 제3 및 제4벨트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열은 한 방향으로의 유연화 작업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두께가 0.5센티미터, 폭이 30.5센티미터, 길이가 3,05센티미터되는 포움판재가 이 기계를 통과하면, 그 결과 생기는 유연화된 판재는 길이가 3.05센티미터 보다약간 줄면서 종방향으로 쉽게 굽힐 수 있다 횡방향으로의 경도는 원 상태와 거의 같다. 포움의 밀도와 세공 치수의 미세한 편차는 비균질 유연화를 가져온다. 플라스틱 포움의 압축강도는 일반적으로 그 밀도에 비례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유연한 작업을 행한 포움판재의 밀도가 균일하지 못하면 작업을 끝낸 포움 판재의 유연도가 대단히 불균일해지고, 그러한 불균일성이 약간만 존재하여도 작업을 마친 판재는 꾸불꾸불한 형상으로 되어 여러기지 형상의 물품으로 만들기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움재를 균일하게 유연화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포움판재를 균일하게 유연화시킴과 아울러 횡방향으로도 약간의 유연화를 가져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잇점은 서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대향시켜 그 사이에 플라스틱 포움판재를 물려놓을 수 있게 한 제1 및 제2벨트군과 여기서 나오는 플라스틱 포움판재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서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서 대향시켜 놓은 제3 및 제4벨트군을 제1 및 제2벨트군이 각각 제3 및 제4벨트군과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인접한 부분들이 서로 엇갈려서 맞물리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한편 제1 및 제2벨트군의 표면 진행속도가 제3 및 제4벨트군의 경우 보다 크게 추진시키는 추진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관해서 첨부된 도면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10)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장치(10)는 틀(11)로 구성한다. 틀(11)은 제1벨트 지지장치(12)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이동가능한 제2벨트 지지장치(13)를 고정시킨다. 제1 및 제2벨트 지지장치(12,13)는 서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이동가능한 제2벨트 지지장치(13)는 틀(11)에 제1 및 제2토글 조립체(14,15)에 의해 고정된다. 토글 조립체(14)는 축핀(17)에 의해 틀(11)에 선회할 수 있도록 고정된 윗 팔(16)을 구비한다. 윗 팔(16)의 다른 한쪽 단부는 축핀(19)에 의해서 아래 팔(18)에 연결시킨다. 아래 팔(18)의 다른 한쪽 끝은 축핀(21)에 의해서 제2벨트 지지장치(13)에 연결된다. 토글 조립체(15)의 윗 팔(23)은 축핀(24)에 의해서 틀(11)에 부착시키고, 토글 조립체 윗 팔(23)의 다른 한끝은 축핀(26)에 의해서 토글 조립체 아래 팔(25)에 연결된다. 토글 조립체 아래 팔(25)의 다른쪽 단부는 축핀(27)에 의해서 제2벨트 지지장치(13)에 연결한다.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축대(29)는 축핀(19,26)에 의해 연결된다. 축대(29)는 직선형 작동기 또는 유압 실린더(31)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축대(29)에서 축핀(19,26) 사이의 부분에는 길이 조정수단(32)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좌우측 나사와 렌치로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한 스터드로 할 수 있다. 제1벨트 지지장치상에 추진축(34)을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제1벨트 지지기어(35)와 추진기어(36)를 부착시켜 놓는다. 추진축(34)은 추진모터(37)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직경이 동일한 기어는 부호로 표시한다. 추진축(34) 근방에 평행축(38)을 설치하여 공전기어(36)를 부착시킨다. 축(34)은 틀(11)의 입구(39)에 인접하여 설치한다. 축(34,38)과 나란히 틀(11)의 중앙에다 기어(35)의 축(41)을 설치하여 다수의 기어(35)와 두개의 공전기어(36)를 부착시킨다. 축(42)의 옆에는 다수의 기어(35)를 부착하고 있는 축(43)을 설치한다. 틀(11)의 출구(44)에는 다수의 기어(35)와 한개의 기어(47)를 부착하고 있는 축(46)을 설치한다.
기어(47)의 직경은 기어(36)의 경우보다 약간 크다. 축(43,46)간에는 다수의 기어(36)를 부착하고 있는 축(49)을 설치한다. 축(34)의 기어(36)와 축(42)의 기어(36)를 추진벨트(51)로 연결한다. 축(42)의 기어(36)와 축(46)의 기어(47)를 추진벨트(52)로 연결한다. 따라서, 축(34)상의 기어(36)가 돌면 축(34,42)상의 기어(35)도 동일한 각 속도로 돈다. 축(42)상의 기어(36)로부터 벨트(52)로 전달된 힘은 축(46)상의 기어(47)와 기어(35)를 축(34,42)상의 기어(35)보다 어느정도 낮은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포움판재를 이송시키는 벨트군(54)은 축(34)상의 기어(35)를 거쳐서 축(41 또는 42)상의 기어(35)위로 개별적으로 부착시킨다. 각 벨트(54)는 축(38)상의 공전기어(36)위로 통과시킨다. 포움판재를 이송시키는 벨트군(56)은 축(46)상의 기어(35), 축(49)상의 기어(36) 및 축(42 또는 43)상의 기어(35)위로 개별적으로 부착시킨다. 벨트의 배열모습은 제2 및 제3도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하였다. 동력 전달 벨트(57)는 축(34)의 기어(36)주위에서, 제2벨트 지지장치에서 지지되는 축(58)에 장착된 기어(36)위로도 통과한다. 이 벨트(57)는 축(61)상의 기어(36)위로도 통과시킨다.
축(61)은 제2벨트 지지장치(13)에 움직일 수 있게끔 부착시킨다. 이어서 밸트(57)는 축(63)의 기어(36)위로 통과시킨다. 축(63)은 축(34)에 대하여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서 배치된다. 축(61)상의 기어(36)는 제2벨트 지지장치(13)와 제1벨트 지지장치(12)간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서 벨트의 원하는 장력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2벨트 지지장치(13)의 중앙에는 제1벨트 지지장치(12)의 축(41)과 나란히 대향시켜 축(64)을 설치한다. 이 축(64)상에 다수의 기어(35)를 설치한다. 축(61)에서 멀리 그리고 축(42)에 대향되면서 축(64)에 인접하여, 다수의 기어(35) 및 적어도 두 기어(36)를 갖는 축(65)이 설치된다. 축(65)의 바로옆에는 축(43)과 나란히 대향시켜 축(66)을 설치한다. 축(66)은 다수의 기어(35)를 지탱시킨다. 틀(11)의 출구(44) 근방에는 축(67)을 설치한다. 축(67)은 축(66,49)에 대하여 나란하다. 축(67)은 축(49)에 대향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기어(36)를 지탱한다. 축(68)은 틀(11)의 출구(44) 부근에서 제2벨트 지지장치(13)에 부착시켜 놓는다. 축(68)은 축(46)에 나란히 대향시킴과 아울러 축(66 및 67)에 대해서도 나란히 설치한다. 축(68)은 다수의 기어(35)와 한개의 기어(47)를 부착하고 있다. 축(63)상의 기어(36)와 축(65)상의 기어(36)위로 추진벨트(71)를 부착시켜 놓는다. 축(65)상의 제2기어(36)와 축(68)상의 기어(47) 둘레로 추진벨트(72)를 부착시킨다. 포움판내 이송 벨트군(74)을 축(63)상의 기어(35)와 축(64) 또는 축(65)상의 기어(35)위로 부착시킨다. 이와 비슷한 벨트군(75)을 축(68)상의 기어(35)와 또는 축(66)상의 기어(35)위로 부착시켜 놓는다. 각 벨트군(54,56,74,75)은 각 안내판 배열장치(76,78,79,81)로 지지한다.
제2도는 인접한 벨트군 사이에 포움판재(83)가 물려서 유연화 작업을 받고 있는 모습의 일부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포움판재는 도면부호(83)로 표시된다. 이 도면은 포움판재 이송 벨트를 축(41,42,43 ; 64,65,66)의 영역에서 옵셋되거나 엇갈려 배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제3도는 축(64,65,66)의 배열과 유사하게 축(41,42,43)이 있는 부위에서 포움판재 이송 벨트가 배열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고정 벨트 지지물의 다수의 인접 벨트가 서로 엇갈린다. 벨트(74,75)도 이러한 형상으로 배열한다.
제4도는 링크식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포움판재 이송벨트(85)를 갖는 기어(35)를 도시한 것이다. 벨트(85)는 롤러 체인형으로서 다수의 링크(86)와 링크(37)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링크(86,87)에는 각각 포움판재 이송패드(88,89)를 부착시켜 놓는다.
제5도는 링크(86,87)와 패드(88,89)를 갖는 체인(85)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패드(88,89)는 동일 크기의 장방형의 판 모양이다.
제6도는 단일의 링크의 끝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링크(91)와 접촉하고 있는 뒷판(92)과 제1도의 뒷판(75,78,79 및 81)과 같은 것이다. 링크(91)와 패드(93)는 리벳(94,95)으로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작동에서, 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축(34,63)상의 기어(36)가 축(34,63)상의 기어(35)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벨트군(54,74)은 제1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고 벨트군의 인접표면은 입구(39)에서 출구(44)쪽으로 이동된다. 축(34)상의 기어 (36)회전은 각각의 구동벨트(51,71)에 의해 축(42,65)상의 기어(36)를 회전시킨다. 구동벨트(51,71)의 이동은 벨트(52,72)의 이동을 유발한다. 벨트(52,72)의 이동에 따라 각각 축(46,68)상의 기어(47)를 회전시킨다. 기어(47)가 기어(36)보다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축(46,68)상의 기어(35)가 축(41,64)상의 기어(35)보다 어느정도 더 느리게 회전한다. 벨트군(56,75)의 인접 표면은 출구끝단(39)에서 출구끝단(44)으로 이동한다.
포움판재의 유연화 작업시에는 우선 포움판재를 벨트군(54,74)과 이동가능한 프레임 사이에 위치시켜 원하는 접촉도를 얻도록 한다. 축(34)의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포움판재는 기계속으로 끌려 들어가서 축(41,42 및 43과 64,65 및 66)의 영역에서 어느정도는 횡방향으로, 그리고 전반적으로는 종방향으로 압축된다. 유연화된 포움판재는 출구(44)에서 배출한다. 가소성 포움재의 경우 대체로 만족스러운 유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벨트군의 표면 속도차를 약 10%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포움재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엇갈려서 배치하였기 때문에 포움재는 고도의 국지적인 선택적 방법으로 압축되고 작업이 끝난 포움판재에는 4-벨트식 유연화 장치에 의한 것에서 뚜렷이 나타나는 불균일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포움재의 유연화는 특정한 포움재의 특성에 따라서 그 포움조직의 세공벽을 굽히거나 쭈구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압축시켜 얻는다. 어떤 경우에는 비교적 약한 압력에도 세공벽이 파괴되는 것이 있으나, 파괴시키지 않고서도 훨씬 많이 변형시킬 수 있는 포움재들도 있다. 전술의 명세서에 명백하듯이, 본 발명은 여러 변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Claims (9)

  1. 서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대향시켜 그 사이에 플라스틱 포움판재를 물려놓을 수 있게 한 제 1 및 제 2 벨트군(54,74)과 여기서 나오는 플라스틱 포움판재(83)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서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서 대향시켜 놓은 제3 및 제 4 벨트군(56,75)과, 제 1 및 제 3 벨트군(54,56)이 동일 평면상에 있고, 제 2 및 제 4 벨트군(74,75)이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벨트군(54,56)의 인접한 부분들이 서로 엇갈리어 맞물리며, 제 2 및 제 4 벨트군(74,75)의 인접한 부분들이 서로 엇갈리어 맞물리고, 구동수단이 제 1 및 제 2 벨트군(54,74)의 표면 진행속도가 제 3 및 제 4 벨트군(56,75)의 표면 진행속도보다 크도록 상기 벨트들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복수의 링크(86,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벨트군(54,56)에 벨트 지지장치(12)를 고정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및 제 4 벨트군(74,75)이 제 1 및 제 3 벨트군(54,56)과 제 2 및 제 4 벨트군(74,75)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채용된 제 2 벨트 지지장치(1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벨트 지지장치(13)는 토글 링크로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토글 링크(14,15)에 상기 링크를 움직일 수 있는 축(29)을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적어도 두개의 구동 벨트와 동작 연결된 복수의 기어(35,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벨트군은 인접 벨트군 사이에 위치된 포움판재와 접촉하는 벨트부분을 유지하도록 채용된 안내판(76,78,79,81)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3의 상호 정렬된 벨트군(54,56)의 인접한 부분들이 제 2 및 제 4 의 상호대향으로 정렬된 벨트군(74,75)의 인접부분들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옵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 장치.
KR1019830000583A 1983-02-14 1983-02-14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KR89000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0583A KR890000878B1 (ko) 1983-02-14 1983-02-14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0583A KR890000878B1 (ko) 1983-02-14 1983-02-14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461A KR840003461A (ko) 1984-09-08
KR890000878B1 true KR890000878B1 (ko) 1989-04-12

Family

ID=1922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583A KR890000878B1 (ko) 1983-02-14 1983-02-14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8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461A (ko) 198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23027A (e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synthetic resin sheet
US3824057A (en) Continuous molding conveyor with side clamping and release
FI84150B (fi) Varmpress foer behandling av materialbana.
BR9915102A (pt) Processo e aparelho para fabricar esteira de fabricação de papel
JPH0135726B2 (ko)
EP0170436B1 (en) Apparatus for stretching a plastic raw material
US2779969A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compressed boards and sheets
GB2235474A (en) Clamp assembly for web stretching machines
CS261897B2 (en) Two-band moulding machine
JP2766582B2 (ja) クレープ加工用装置
KR890000878B1 (ko) 플라스틱 포움재 유연화장치
US3516116A (en) Device and a process for continuously forming a sheet of thermoplastic material
US2880998A (en) Feed means for thermoplastic sheets
US3537936A (en) Tire fabric alignment mechanism
US4505662A (en) Apparatus for the flexibilization of synthetic resinous foam
US2876824A (en) Machine for and method of progressively corrugating plastic sheet material
US2663052A (en) Continuous treating apparatus
EP0376325B1 (en) Multistage tenter
FI62972C (fi) Press foer utoevning av ytpressning pao ett laengdavsnitt av en framloepande materialbana
JPH0632629A (ja) 板状体の往復搬送装置
JPH0513760B2 (ko)
EP0087399B1 (en) Apparatus for transversely stretching a foil of plastic material
NZ203250A (en) Flexibilising plastics foam:shear action between belt conveyers
USRE29125E (en) Continuous molding conveyor with side clamping and release
JPH02265807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およびベルトコンベヤ用ロー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