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709A -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 Google Patents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709A
KR20210094709A KR1020200008224A KR20200008224A KR20210094709A KR 20210094709 A KR20210094709 A KR 20210094709A KR 1020200008224 A KR1020200008224 A KR 1020200008224A KR 20200008224 A KR20200008224 A KR 20200008224A KR 20210094709 A KR20210094709 A KR 20210094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et tissue
bracket
position restoration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608B1 (ko
Inventor
강장훈
이명수
서찬석
Original Assignee
(주) 우수컨버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수컨버팅 filed Critical (주) 우수컨버팅
Priority to KR102020000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6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47K10/42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hold-down means riding on the top of the stack, e.g. a press plate with dispens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2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closed posi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2583/082Details relating to container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 고정틀의 내주면에 가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측면 중심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한 쌍의 캡 각각에 제1 홀 및 제2 홀을 구비하여 한 쌍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각각에 결합되는 몸체의 상측을 개폐하는 한 쌍의 힌지도어;를 포함하며, 힌지도어는 제1 홀 및 제2 홀의 바깥쪽에 무게중심이 형성되어 물티슈를 인출한 후에 캡이 자동으로 닫히지도록 제1 홀 및 제2 홀의 바깥쪽에 캡의 힌지도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위치복원부 및 제2 위치복원부를 더 구비한다.
이때 제1 위치복원부는 제2 위치복원부 보다 무게가 더 무겁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티슈를 인출할 때를 제외하고 닫혀 있도록 함으로써 물티슈를 외부와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함으로써 물티슈의 수분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물티슈를 꺼내기 위해서 물티슈의 덮개를 열고 닫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Bracket for taking wet tissue off}
본 발명은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티슈의 인출을 편리하게 안내하고 물티슈 저장팩에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물티슈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브라켓에 끼임이 방지되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비닐재질의 포장팩 내에 수용된 상태로 사용된다. 포장팩은 사방이 막혀 있는 파우치 구조이며, 상부면에는 물티슈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인출구가 형성된다. 인출구는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팩의 상부면에 별도의 필름 구조의 개폐부재가 부착되어 인출구를 개폐하도록 사용된다.
필름 구조의 개폐부재는 얇은 두께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인출구를 덮을 수 있도록 포장팩의 상부면에 점착된다. 이와 같은 개폐부재는 간단하게 인출구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잦은 개폐로 인해 점착력이 약해지면 쉽게 떨어지게 되어 인출구를 정상적으로 폐쇄하지 못하게 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플라스틱 구조로 형성된 개폐부재가 도입되었다. 플라스틱 구조로 형성된 개폐부재는 도 1과 같이 보호캡(1)과 덮개고정틀(2)이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 구동하면서 물티슈 포장팩(10)의 인출구를 폐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보호덮개를 닫지 않거나 영유아가 장난을 하면서 뚜껑을 열어놓게 되면 포장팩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되어 물티슈가 건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물티슈를 꺼내기 위해서 보호덮개를 계속해서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물티슈를 꺼내기 위해서 보호덮개를 자주 열고 닫게 되면 물티슈가 쉽게 오염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브라켓을 통해 물티슈 보관 공간을 개폐하는 경우, 브라켓 구조에 따라 물티슈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브라켓에 끼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5418호, 2011년 5월 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물티슈의 인출을 보다 편리하게 안내하고 저장팩에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물티슈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브라켓에 의한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를 저장하는 저장팩의 상면에 형성되는 인출홀, 인출홀의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브라켓 고정틀에 결합되어 저장팩에 저장되는 물티슈의 인출을 안내하고 저장팩의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하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 고정틀의 내주면에 가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측면 중심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한 쌍의 캡 각각에 제1 홀 및 제2 홀을 구비하여 한 쌍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각각에 결합되어 몸체의 상측을 개폐하는 한 쌍의 힌지도어;를 포함하며, 힌지도어는 제1 홀 및 제2 홀의 바깥쪽에 무게중심이 형성되어 물티슈를 인출한 후에 캡이 자동으로 닫히지도록 제1 홀 및 제2 홀의 바깥쪽에 의 힌지도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위치복원부 및 제2 위치복원부;를 더 구비한다.
특히, 상기 제1 위치복원부의 무게가 상기 제2 위치복원부의 무게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각의 위치복원부는 캡의 바닥면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고, 몸체는 위치복원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하방향으로 절개되어 위치복원부의 하단과 맞닿아 위치복원부를 지지하는 절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의 상단과 위치복원부가 서로 맞닿는 영역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캡은 서로 이웃하여 맞닿는 영역이 이종사출의 실리콘 재질로 코팅되어 물티슈를 인출할 때에 물티슈가 추가적으로 딸려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은 물티슈를 인출할 때를 제외하고 닫혀 있도록 함으로써 물티슈를 외부와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함으로써 물티슈의 수분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물티슈를 꺼내기 위해서 물티슈의 덮개를 열고 닫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인출 브라켓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이 물티슈용 브라켓 고정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이 물티슈 팩에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념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의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의 힌지도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이 물티슈용 브라켓 고정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이 물티슈 팩에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념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이 물티슈 팩에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념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은 물티슈를 저장하는 저장팩(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인출홀(3)의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브라켓 고정틀(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물티슈의 덮개(1)이 열린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물티슈의 인출을 안내하며 저장팩(10)의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110) 및 한 쌍의 힌지도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부(11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브라켓 고정틀(2)에 가고정되는 몸체(111)와 몸체(111)의 상측면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을 구비한다.
힌지도어(120)는 한 쌍의 캡(121) 각각에 제1 홀(122) 및 제2 홀(123)을 구비하고, 제1 홀(122) 및 제2 홀(123) 각각이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23) 에 결합되어 한 쌍의 캡(212)이 회전하면서 몸체(111)의 개방된 상측면을 개폐한다. 이때, 캡(121)은 물티슈가 인출된 후에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몸체(111)의 내측에 수용된 물티슈를 외부와 공간적으로 분리시켜 몸체(111)의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의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10)는 몸체(111), 제1 회전축(112), 제2 회전축(113), 절개부(114) 및 고정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1)는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브라켓 고정틀(2)의 내주면 브라켓고정구(4)에 가고정된다. 몸체(111)의 외형은 대략적으로 브라켓 고정틀(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고정구(4)의 외주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몸체(111)는 내주 형상이 대략적으로 납작한 타원으로 형성되었으나, 브라켓고정구(4)의 외주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111)는 2 ~ 5cm 이내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1)가 2cm 미만으로 형성되면 물티슈를 뽑을 때에 물티슈가 몸체(11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지 않고 바깥으로 돌출되어 캡(121)에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5cm를 초과하면 물티슈가 내부공간의 깊숙한 곳에 위치하게 되어 물티슈를 꺼내는데 불편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내부공간에서 물티슈가 건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회전축(112) 및 제2 회전축(113)은 몸체(111)의 상측면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은 몸체(111)의 내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의 형성방향은 도면에 전반적으로 형성된 위치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되어 물티슈가 인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의 형성 방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절개부(114)는 몸체(111)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소정 높이로 절개되고, 몸체(111)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하방향으로 절개되는 높이는 위치복원부(124a, 124b)와 동일한 높이로 절개된다. 절개부(114)는 힌지도어(120)의 회전으로 위치복원부(124a, 124b)가 함께 회전할 때에 위치복원부(124a, 124b)의 회전하는 공간을 안내하며, 힌지도어(120)가 원위치로 되돌아왔을 때에 위치복원부(124a, 124b)의 하단과 절개부(114)가 서로 맞닿아 힌지도어(120)를 지지하면서 몸체(111)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절개부(114)는 상단에 위치복원부(124a, 124b)와 맞닿는 영역에 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자석은 절개부(114)와 위치복원부(124a, 124b)를 강력하게 고정시키는 목적보다는 임시적으로 고정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네오디움과 같이 강력한 자력을 지닌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덮개(1)가 브라켓 고정틀(2)에 고정되는 물티슈 팩(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의 고정을 위해서 브라켓 고정틀(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고정구(4)를 구비하게 된다.
고정부(115)는 몸체(111)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홈에 브라켓고정구(4)가 끼워져서 몸체(111)가 브라켓 고정틀(2)에 고정된다. 고정부(115)가 형성되는 영역은 몸체(111)의 상측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몸체(111)를 브라켓 고정틀(2)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으며, 홈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기 때문에 원가절감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115)의 내주면 및 홈을 따라 실리콘 재질로 코팅 형성됨으로써 브라켓고정구(4)에 더욱 밀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11)와 브라켓 고정틀(2)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고 동시에 내부 및 외부의 공기가 서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의 힌지도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도어(120)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상측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캡(121), 제1 홀(122) 및 제2 홀(123), 위치복원부(124a, 124b) 및 자석을 구비한다.
캡(121)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1 홀(122) 및 제2 홀(123)의 축에서 내측으로 하방향의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캡(121)이 제1 홀(122) 및 제2 홀(123)을 중심에서 하방향의 기울기로 형성되면, 캡(121)의 회전각도가 작은 상태에서도 보다 빠르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어 몸체(111)의 내부공간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서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캡(121)의 서로 맞닿는 면의 직각방향 양측 종단은 평평한 형상(B)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양측 종단이 평평한 형상(B)으로 형성되면, 물티슈를 인출할 때에 물티슈가 걸리지 않게 되어 물티슈를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캡(121)은 이종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캡(121)은 서로 이웃하여 맞닿는 영역이 실리콘 재질(121c)로 코팅되어 이종사출로 형성된다. 따라서, 물티슈를 인출하여 캡이 닫힐 때, 물티슈가 계속해서 딸려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홀(122) 및 제2 홀(123)은 판상으로 형성된 힌지도어(120)에 제1 회전축(112) 및 제2 회전축(113)과 동일한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캡(121)의 둘레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홀 가이드(125)가 형성된다. 홀 가이드(125)는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이 결합되는 영역이 그 주위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에 제1 홀(122) 및 제2 홀(123)이 형성되어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캡(121)은 판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에 결합되는 범위 이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121)이 탄성의 변형된 상태에서 제1 홀(122) 및 제2 홀(123)이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과 결합되면, 캡(121)은 몸체(111)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제1 회전축(112)과 제2 회전축(113)의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캡(121)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위치복원부(124a, 124b)는 제1 위치복원부(124a) 및 제2 위치복원부(124b)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위치복원부(124a, 124b)는 힌지도어(120)의 무게중심이 제1 홀(112) 및 제2 홀(113)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각각의 위치복원부(124a, 124b) 물티슈를 인출한 후에 힌지도어(120)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여 몸체(111)의 상단이 물티슈를 인출할 때를 제외하고 닫히도록 하여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판상의 캡(121) 및 홀 가이드(12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각각의 위치복원부(124a, 124b)의 형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캡(121)의 하측 바닥면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서 절개부(114)의 상단면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판상의 캡(121)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위치복원부(124a, 124b)는 캡(121)의 무게 중심을 바깥쪽으로 형성시켜 캡(121)이 회전한 후에 추가적인 외력 없이 다시 반대로 회전되도록 하며, 절개부(114)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회전이 멈추어 몸체(111)의 상측면을 완전히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힌지도어(120)는 각각의 위치복원부(124a, 124b)와 절개부(114)의 서로 맞닿는 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손을 힌지도어(120)에 넣으면 힌지도어는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을 통하여 사용자는 힌지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 물티슈를 꺼낼 수 있으며, 힌지도어(120)는 각각의 위치복원부(124a, 124b)를 통해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물티슈를 몸체(111)의 내측 공간으로 배치시켜 물티슈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티슈를 꺼내기 위해서 물티슈 브라켓을 열고 닫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물티슈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캡의 끝단에 미처 인출되지 못한 물티슈의 끝부분이 걸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위치복원부(124a)의 무게가 제2 위치복원부(124b)의 무게보다 더 무겁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복원부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가벼운 경우보다 더 큰 중력에 의해 더 빠른 회전으로 복귀하게 되고, 두개의 위치복원부의 무게가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복원되는 속도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의 마주하는 끝단 부분이 복귀 속도의 차이로 인해 틈(G)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써 물티슈의 끝단이 끼이는 문제가 해결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가이드부 111 : 몸체
112 : 제1 회전축 113 : 제2 회전축
114 : 절개부 115 : 고정부
120 : 힌지도어 121 : 캡
122 : 제1 홀 123 : 제2 홀
124a : 제1 위치복원부 124b : 제1 위치복원부

Claims (4)

  1. 물티슈를 저장하는 저장팩의 상면에 형성되는 인출홀, 상기 인출홀의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브라켓 고정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팩에 저장되는 물티슈의 인출을 안내하고 상기 저장팩의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하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에 있어서,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고정틀에 가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면 중심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한 쌍의 캡 각각에 제1 홀 및 제2 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홀 및 제2 홀 각각이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캡이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측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힌지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도어는,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의 바깥쪽에 무게중심이 형성되어 물티슈를 인출한 후에 상기 캡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의 바깥쪽에 상기 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위치복원부 및 제2 위치복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복원부의 무게가 상기 제2 위치복원부의 무게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위치복원부는,
    상기 캡의 바닥면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위치복원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하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위치복원부의 하단과 맞닿아 상기 위치복원부를 지지하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상단과 상기 위치복원부가 서로 맞닿는 영역에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서로 이웃하여 맞닿는 영역이 이종사출의 실리콘 재질로 코팅되어 물티슈를 인출할 때에 물티슈가 추가적으로 딸려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KR1020200008224A 2020-01-22 2020-01-22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KR10228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224A KR102287608B1 (ko) 2020-01-22 2020-01-22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224A KR102287608B1 (ko) 2020-01-22 2020-01-22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09A true KR20210094709A (ko) 2021-07-30
KR102287608B1 KR102287608B1 (ko) 2021-08-09

Family

ID=7714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224A KR102287608B1 (ko) 2020-01-22 2020-01-22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6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681A (ja) * 1995-04-26 1996-11-12 Toshiba Corp 洗浄槽用自動開閉蓋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装置
KR101035418B1 (ko) 2008-10-29 2011-05-20 씨앤텍 주식회사 물티슈 포장대
KR101968898B1 (ko) * 2018-07-31 2019-04-15 (주) 우수컨버팅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681A (ja) * 1995-04-26 1996-11-12 Toshiba Corp 洗浄槽用自動開閉蓋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装置
KR101035418B1 (ko) 2008-10-29 2011-05-20 씨앤텍 주식회사 물티슈 포장대
KR101968898B1 (ko) * 2018-07-31 2019-04-15 (주) 우수컨버팅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608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6973T3 (es) Dispensador de toallitas humedas con cartucho de recarga.
BR112013012294B1 (pt) Recipiente de embalagem a vácuo utilizando um saco de embalagem
KR102287608B1 (ko) 끼임 방지 기능이 있는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US20040206651A1 (en) Wet sheet container
KR101968898B1 (ko)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JP2000142842A (ja) ウエット材料の収容容器
KR20170039123A (ko) 보존용기
JP2004299768A (ja) 湿潤シート用容器
WO2013185838A1 (en) Refill unit and package for a moist tobacco product
WO2014050021A1 (ja) 遠心分離用容器
KR200270678Y1 (ko) 밀폐용기
KR200451988Y1 (ko)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US20150141233A1 (en) Adapter For A Centrifuge Vessel
KR20170122917A (ko) 인출 보정수단을 구비한 물티슈 캡 시스템
CN211618629U (zh) 包装盒及其连接板
JP5781895B2 (ja) 蓋付き容器
ES2944068T3 (es) Estuche cosmético que comprende una pared lateral deformable
CN218840368U (zh) 一种收纳罐
JP2013163541A (ja) 蓋付容器
JP3838009B2 (ja) 包丁差し
JPS6021755Y2 (ja) 回動蓋付き箱
KR200367256Y1 (ko)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JP2020040676A (ja) フェイスパックパッケージ
JPH066792Y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200270679Y1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