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256Y1 -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256Y1
KR200367256Y1 KR20-2004-0018575U KR20040018575U KR200367256Y1 KR 200367256 Y1 KR200367256 Y1 KR 200367256Y1 KR 20040018575 U KR20040018575 U KR 20040018575U KR 200367256 Y1 KR200367256 Y1 KR 200367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opening
packaging container
ora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숙
Original Assignee
이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숙 filed Critical 이상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제(tablet), 껌 등의 경구용 내용물을 보관하는 경구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경구섭취용 내용물이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개폐부가 포함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정제, 껌 등의 경구용 내용물을 포장용기로부터 꺼낼 수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는 수납부의 외주면에 별도의 개폐부가 설치되어 있어, 수요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한손을 다친 경우 등 한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한손으로 개폐부의 슬라이딩 도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수납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PACKAGE OF CONTENT FOR INTAKE}
본 고안은 정제(tablet), 껌 등의 경구용 내용물을 보관하는 경구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경구섭취용 내용물이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개폐부가 포함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정제, 껌 등의 경구용 내용물을 포장용기로부터 꺼낼 수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수납하는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수납부(910)와, 상기 수납부에 힌지 결합되어 수납부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뚜껑(9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에 수납된 내용물을 소비자가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개방구를 폐쇄하고 있는 뚜껑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열어야 하며, 그 다음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납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꺼냈었다. 그러나 개방구의 크기가 좁아 내용물이 수납부에 소량 수납되어 있을 경우에는 내용물이 깊게 수납되어 있어 손가락을 이용하여 꺼내는 것이 곤란하며, 이와 같은 경우 수요자는 수납부를 기울여 손바닥에 내용물을 쏟은 후 내용물을 섭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이 경우 다량의 내용물이 손바닥에 쏟아지면 다시 내용물을 수납부에 넣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 및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경구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96136호의 껌 포장용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껌 포장용기는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몸통에 뚜껑을 구비하는 껌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용기가 원통형의 몸통(930)과 상기 몸통에 삽입되는 내부통(940)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부통(940)의 바닥면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껌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껌이 소량 남아 있는 경우에도 포장용기의 바닥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항상 껌이 바닥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내용물을 꺼내기가 편리한 이점은 있겠으나, 상기 껌 포장용기에 수납된 껌을 꺼내기 위해서는 뚜껑을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으며, 포장용기가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전, 부상 등 한쪽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수납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위생면에서도 내용물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경구용 내용물의 표장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껌 포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6136호로 제안된 껌 포장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포장용기의 수납부와 슬라이딩 도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슬라이딩 도어를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수납부 저부면에 자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수납부와 개폐부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개폐부(30)를 브래킷(50)과 슬라이딩 도어(60)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1은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수납부의 저부면에 내용물 받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부 120 : 요홈부
20 : 뚜껑 30 : 개폐부
410, 510 : 슬롯 430, 530 : 유출구
50 : 브래킷 60 : 슬라이딩 도어
610 : 걸림편 70 : 자석
80 : 내용물 받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경구섭취용 내용물이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개폐부가 포함됨으로서, 용이하게 수납부에 수납된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꺼내어 섭취할 수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의 상측인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세로방향의 슬롯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더 구비됨으로서, 슬롯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걸림턱과 상기 개폐부의 슬롯내벽 사이에 스프링이 더 구비됨으로서 슬라이딩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벽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장착되고 상기 요홈부의 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의 상측에 세로방향의 슬롯이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슬롯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슬롯 상에서 상하 슬라이딩함에 따라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함으로서 용이하게 수납부에 수납된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꺼낼 수 있고 위생적인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요홈부의 내측벽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브래킷의 측벽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서, 개폐부를 용이하게 수납부에 형성된 요홈부에 장착시킬 수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걸림턱과 상기 개폐부 중 브래킷에 형성된 슬롯의 내벽사이에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서, 슬라이딩 도어를 적은 외력으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함으로서 손쉽게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납부의 저부면에 자석이 결합됨으로서 책상, 요동이 심한 자동차의 실내에 일정한 결합력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의 저부면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형상의 내용물 받이가 삽설됨으로서 수요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만큼의 내용물을 유출구를 통해 유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용물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경구섭취용내용물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각 도면에서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은 생략 및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구성요소들 사이의 크기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의 수납부(10)와, 상기 수납부(1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구를 개폐하는 뚜껑(20)과, 상기 수납부(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개폐부(30)로 이루어진다.
도 4는 포장용기의 수납부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상기 수납부(10)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의 슬롯(410)과, 슬롯(410)의 하측에 경구섭취용 내용물이 빠져나올 수 있는 유출구(4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방향의 슬롯(41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롯(412)과 제2슬롯(4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슬롯(412)에는 하기에 설명하는 슬라이딩 도어(60)에 결합된 걸림편(610) 중 상측에 결합된 제1걸림편(612)이 장착되고, 상기 제2슬롯(414)의 내면 상측에는 스프링(480)의 상단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480)의 하단부에 접촉되도록 하기에 설명하는 슬라이딩 도어(60)에 결합된 걸림편(610) 중 하측에 결합된 제2걸림편(614)이 상기 제2슬롯(414)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430)는 상기 제2슬롯(414)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슬롯(414)과 상기 유출구(430)는 상기 제2슬롯(414)의 폭보다 좁은 슬롯(416)에 의하여 연통되며, 상기 좁은 슬롯(416)은 하기에 설명하는 슬라이딩 도어(60)를 용이하게 수납부(10)에 장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좁은 슬롯(416)의 폭은 하기에 설명되는 제2걸림편(614)의 돌기의 폭보다 미소만큼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슬라이딩 도어를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60)는 수납부(10)에 장착시 수려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높이를 수납부(1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60)에는 수납부(10)에 장착되도록 후면에 돌기(610a)와 상기 돌기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610b)으로 이루어진 걸림편(6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610)은 도 4와 같이 상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걸림편(612)과, 하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제2걸림편(6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1걸림편(612)은 좌측에만 걸림턱이 형성된 좌측 제1걸림편(612a)과, 우측에만 걸림턱이 형성된 우측 제1걸림편(612b)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수납부(10)의 제1슬롯(412)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도어(60)가 수납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될 때 좌우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편(614)은 제2슬롯(414)에 설치된 스프링(480)의 타측과 접촉되도록 제2슬롯(414)에 장착되고, 이는 슬라이딩 도어(60)가 상하로 이동될 때 좌우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도어(60)가 외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슬라이딩 도어(60)가 스프링(4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저절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수납부 저부면에 자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납부(10)의 저부면에 자석(70)을 결합시킴으로서 소비자가 원하는 위치에 포장용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저부면에 자석이 결합된 포장용기를 자동차의 실내, 책상 등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그 재질이 철이 경우 상기 포장용기를 그 곳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면 되나 그 재질이 철이 아닐 경우에는 사전에 재질이 철인 판을 먼저 고정시키고자 하는 곳에 붙여놓은 후에 고정시켜야 한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수납부(10)의 저부면에 자석(7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냈으나, 자석뿐만 아니라 양면테이프, 실리콘 , 벨크로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소비자가 상기 포장용기에 수납된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 종전과 같이 두 손을 이용하여 수납부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 또는 힌지 결합된 뚜껑을 연 다음 내용물을 꺼내어 섭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수납부(10)의 외주면에 장착된 슬라이딩 도어(60)를 한 손으로 상측으로 이동시켜 수납부(10)의 유출구(430)를 개방시킨 후 그 수납부(10)에 수납된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430)의 폐쇄는 슬라이딩 도어(60)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면 슬라이딩 도어(60)가 스프링(480)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저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크게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부(10)와, 상기 수납부(10)의 개방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뚜껑(20)과, 상기 수납부(10)에 장착되어 용이하게 수납부(10)내에 수납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30)로 이루어지며, 이하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수납부와 개폐부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수납부(10)는 상단부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요홈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120)는 하기에 설명하는 개폐부(3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측벽에는 수용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내벽의 하측에는 관통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122)은 하기에 설명하는 개폐부(30)의 브래킷(50)의 돌기(550)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돌기(550)가 수용홈(122)에 안착되고 이로서 상기 개폐부(30)는 요홈부(120)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개폐부(30)를 브래킷(50)과 슬라이딩 도어(60)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브래킷(50)은 도 10과 같이 측벽에 상기 수납부(10)에 형성된 요홈부(120)의 수용홈(122)과 대응되는 돌기(55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세로방향의 슬롯(510)과 상기 슬롯(510)의 하측에 유출구(5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510)과 상기 슬롯(510)에 장착되는 스프링(580) 및 유출구(530)는 이미 설명한 바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의 수납부(10)에 형성된 슬롯(410) 및 유출구(43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1은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60)는 후면에 걸림편(6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610)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60)의 후면의 상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걸림편(612)과 하측에 형성된 하나의 제2걸림편(6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이미 설명한 바 있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일실시예의 슬라이딩 도어(60)와 그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는 수납부의 저부면에 내용물 받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구의 하측의 저부면에 수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30)에는 '└'형상의 내용물 받이(8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도 12b는 내용물 받이(80)가 보통때에는 유출구(530)가 형성된 계폐부(30)의 브래킷(50)과 슬라이딩 도어(6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포장용기의 유통시에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변질을 막기 위하여 내용물 받이(80)와 유출구(530)는 접착테이프(미도시) 등에 의하여 기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c는 내용물 받이(80)에 수납부(10)에 수납된 내용물(15)이 놓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요자가 수납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섭취하고 자 할 경우에 먼저 슬라이딩 도어(60)를 상측으로 올린 상태에서 유출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수납부를 기울이면 상기 내용물 받이(80)가 자중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저절로 수용부(13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수납부에 수납된 내용물(15)이 상기 내용물 받이에 놓여지게된다.
그리고 도 12d는 내용물 받이가 인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요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만큼의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받이에 놓여지게 되면 더 이상 내용물이 유출되지 못하도록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한 후에 수요자는 내용물 받이에 놓여진 내용물을 손가락으로 집어 섭취하거나 이를 바로 입에 털어 넣어 섭취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용물 받이(80)는 수요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수만큼 내용물을 개폐부(30)의 유출구(530)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포장용기에 내용물이 소량 남아 있을 경우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냈고 이 경우 빠르게 포장용기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포장용기의 수납부 내에 수납된 내용물을 다량 빠져나오게 됨에 따라 섭취하고 남은 내용물을 다시 수납부에 수납해야하는 번거로움 및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과 같이 별도의 내용물 받이(8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소비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만큼 내용물을 유출구(530)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다시 유출된 내용물을 다시 수납할 필요가 없음으로서 위생적인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내용물 받이에 양측에 측벽을 형성하거나 양측에 부드러운 브러쉬를 형성하여 내용물 받이로 유출된 내용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소비자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내에 수납된 내용물을 섭취하고 자 할 경우 종래의 포장용기와 달리 한 손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도어(6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부(30)의 브래킷(50)에 형성된 유출구(530)를 개방시켜 간편하게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수납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뚜껑을 수납부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뚜껑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뚜껑과 수납부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도 있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결합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는 수납부의 외주면에 별도의 개폐부가 설치되어 있어, 수요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한손을 다친 경우 등 한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한손으로 개폐부의 슬라이딩 도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수납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롯 또는 개폐부의 브래킷에 형성된 슬롯 내에 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슬라이딩 도어에 외력을 제거하면 저절로 하강하여 유출구 폐쇄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부의 저부면에 자석, 실리콘 또는 양면테이프 등이 결합되어 있어 책상 및 요동이 심한 자동차 실내 등에 고정시킴으로서 바닥 등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납부의 저부면에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설되는 내용물 받이를 구비함으로서 수요자가 섭취하고자 하는 만큼의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어 섭취하고 남은 내용물을 다시 수납부에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또한 그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점이 제거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경구섭취용 내용물이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개폐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의 상측인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세로방향의 슬롯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걸림턱과 상기 개폐부의 슬롯내벽 사이에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4. 경구섭취용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벽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장착되고 상기 요홈부의 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의 상측에 세로방향의 슬롯이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슬롯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슬롯 상에서 상하 슬라이딩함에 따라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내측벽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브래킷의 측벽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개폐부가 상기 요홈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걸림턱과 상기 개폐부 중 브래킷에 형성된 슬롯의 내벽사이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저부면에 자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저부면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형상의 내용물 받이가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KR20-2004-0018575U 2004-03-15 2004-06-30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KR2003672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407 2004-03-15
KR20040007407 2004-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256Y1 true KR200367256Y1 (ko) 2004-11-10

Family

ID=4935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575U KR200367256Y1 (ko) 2004-03-15 2004-06-30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2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39B1 (ko) 2009-05-06 2012-06-14 (주)아이디플라텍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200477162Y1 (ko) * 2014-03-20 2015-05-13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껌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39B1 (ko) 2009-05-06 2012-06-14 (주)아이디플라텍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200477162Y1 (ko) * 2014-03-20 2015-05-13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2896B1 (en) Cooler chest and can dispensing structure
US6364329B1 (en) Cooler with beverage dispenser
US10512347B1 (en) Dual-dispensing lid
US6279773B1 (en) Lid body of beverage container
US5454483A (en) Holder for containing flexible container
US5052575A (en) Holder for an aseptic package
KR200367256Y1 (ko)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KR100299781B1 (ko) 습윤와이프용용기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EP2404514A1 (en) Package, in particular for smoking articles
KR100738477B1 (ko) 스푼 수납이 가능한 약병
JP3725350B2 (ja) 濡れティッシュペーパー容器用蓋板付き取出口
JP4041682B2 (ja) 市販ボトル用アダプタ
JP4683738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4629472B2 (ja) 包装容器
JP4282929B2 (ja) 液状物を収容した軟質容器を収納する外容器体
CN212501972U (zh) 一种内置弹射装置的容器
JP4717258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311218Y1 (ko) 분유스푼 보관함
KR200255584Y1 (ko) 분유스푼 보관부재
KR200237433Y1 (ko) 스푼 보관통이 구비된 분유통
KR200222987Y1 (ko) 음식물 배달통
KR19990008281U (ko) 액체휴대용기의 컵휴대 구조
JP3170807U (ja) 粉歯磨き用容器
KR100434809B1 (ko) 분유스푼 보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