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679Y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679Y1
KR200270679Y1 KR2020010040765U KR20010040765U KR200270679Y1 KR 200270679 Y1 KR200270679 Y1 KR 200270679Y1 KR 2020010040765 U KR2020010040765 U KR 2020010040765U KR 20010040765 U KR20010040765 U KR 20010040765U KR 200270679 Y1 KR200270679 Y1 KR 200270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le
close contact
opening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수창
Original Assignee
고려알파라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알파라인(주) filed Critical 고려알파라인(주)
Priority to KR2020010040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679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뚜껑을 갖는 밀폐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뚜껑의 연부 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용기본체의 개구연을 수용하는 수용홈과; 상기 뚜껑의 중앙 영역을 향한 상기 수용홈의 측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요입되도록 형성된 제 1요입홈과; 상기 제 1요입홈에 삽입되는 제 1패킹과; 상기 뚜껑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개폐공과; 상기 개폐공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공을 개폐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조뚜껑과; 상기 보조뚜껑의 중앙 영역을 향한 연부 내측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요입되도록 형성된 제 2요입홈과;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공과 거의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축경되어 상기 관통공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밀착해제부와; 상기 밀착부와 밀착해제부의 배치방향의 가로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갖는 밀폐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밀폐용기의 크기 및 용량을 대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조뚜껑을 통해 음식을 간편하게 수용 및 인출할 수 있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밀폐용기{vacuum container}
본 고안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를 기밀하게 행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한 구성의 밀폐용기를 대형으로 제작할 때 보조뚜껑의 개폐를 손쉽도록 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다 손쉽게 인출 및 수용할 수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원출원인이 선 출원 등록한 20-228773호 밀폐용기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용기는, 그 기밀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들 중 상기 20-228773호 밀폐용기는, 밀폐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패킹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과 더불어 용기 내부의 출입공기를 단속할 수 있는 밀폐형 캡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밀폐용기를 대형으로 제작하게되면 뚜껑의 개폐가 용이치 않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뚜껑이 대형화되고 뚜껑의 내부에 설치된 패킹이 내부면과의 접촉면적이 크게되므로 손으로 잡고 뚜껑을 열기가 곤란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 및 인출하기가 번거로워 별도의 보조뚜껑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뚜껑에 별도의 보조뚜껑을 설치함으로써 밀폐용기의 용량을 대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조뚜껑을 통해 음식을 간편하게 수용 및 인출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밀폐용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밀폐용기 11 : 용기본체
13 : 뚜껑 15 : 보조뚜껑
17 : 밀폐용 캡 21 : 제 1요입홈
23 : 제 1패킹 25 : 개폐공
27 : 관통공 29 : 제 2요입홈
31 : 제 2패킹 33 : 밀착부
35 : 밀착해제부 37 : 걸림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통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뚜껑을 갖는 밀폐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연부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용기본체의 개구연을 수용하는 수용홈과; 상기 뚜껑의 중앙 영역을 향한 상기 수용홈의 측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요입되도록 형성된 제 1요입홈과; 상기 제 1요입홈에 삽입되는 제 1패킹과; 상기 뚜껑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개폐공과; 상기 개폐공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공을 개폐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조뚜껑과; 상기 보조뚜껑의 중앙 영역을 향한 연부 내측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요입되도록 형성된 제 2요입홈과;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공과 거의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축경되어 상기 관통공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밀착해제부와; 상기 밀착부와 밀착해제부의 배치방향의 가로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갖는 밀폐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밀폐용기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10)는, 통상의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의 개구를 기밀하게 차단하는 뚜껑(13)과 뚜껑의 중앙 영역에 설치된 보조뚜껑(15)과, 보조뚜껑의 중앙에 설치된 밀폐용 캡(17)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13)의 중앙영역을 향한 내측면에는 상기 뚜껑(13)의 중앙 영역을 향한 측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요입되도록 제 1요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제 1요입홈(21)에는 제 1패킹(2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뚜껑(13)의 중앙영역에는 음식을 인출 및 수용할 수 있는 개폐공(25)이 설치되며, 개폐공(25)에는 중앙영역에 관통공(27)이 형성된 보조뚜껑(15)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뚜껑(15)의 중앙 영역을 향한 연부 내측에는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제 2요입홈(29)이 형성되어 있고, 제 2요입홈(29)에는 제 2패킹(3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7)에는 관통공(27)과 거의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밀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부(33)의 직 하부에는 밀착부(33)로부터 축경되어 관통공(27)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밀착해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착해제부(35)의 저면에는 배치방향의 가로로 연장 돌출되어 관통공(27)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10)에 음식 등을 저장하는 경우 먼저, 뚜껑(10)과 보조뚜껑(15) 중 어느 한곳을 통해 음식물을 용기본체(11)내에 수용시키고 뚜껑을 닫는다. 그런 후 필요에 따라 용기본체(11)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인출할 때에는 뚜껑(13)을 개방하지 않고 보조뚜껑(15)만을 개방시킨다. 그 이유는 밀폐용기(10)를 대형화시키면 뚜껑(13)에 설치된 제 1패킹(23)이 용기본체(11)내면에서 밀착되는 범위가 커져 간편하게 개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보조뚜껑(15)을 개방시킬 때에는, 보조뚜껑(15)의 관통공(27)에 설치된 밀폐용 캡(17)을 잡아당겨,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밀폐용 캡(17)의 밀착해제부(35)가 관통공(27)에 위치하도록 한다.
밀폐용 캡(17)을 잡아당기면 순간적으로 밀착해제부(35)와 관통공(27)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밀폐용기(10) 내의 공기가 일부 배출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 내의 공기가 소정 배출되고, 이어 보조뚜껑(15)을 뚜껑(13)의 개폐공(2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밀착해제부(35)와 관통공(27)이 평행을 이루면 밀착해제부(35)와 관통공(27)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배출되었던 만큼의 공기가 다시 밀폐용기(10) 내로 유입된다. 그런다음, 보조뚜껑(15)을 용기본체(11)의 뚜껑(13)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이때, 공기가 밀폐용기(10) 내로 유입되어 밀착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보조뚜껑(15)이 뚜껑(13)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뚜껑(13)에 개폐공(25)을 형성하여 이에 보조뚜껑(15)을 설치하고, 보조뚜껑(15)에 관통공(27)을 설치하여 밀폐용 캡(17)을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뚜껑(13)을 열지 않고 보조뚜껑(15)만을 열어 개폐공(25)을 통한 용기본체(1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인출할 수 있어서, 밀폐용기의 대형화에 따른 음식물 인출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밀폐용기의 용량을 대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조뚜껑을 통해 음식을 간편하게 수용 및 인출할 수 있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1)

  1. 통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뚜껑을 갖는 밀폐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연부 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용기본체의 개구연을 수용하는 수용홈과;
    상기 뚜껑의 중앙 영역을 향한 상기 수용홈의 측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요입되도록 형성된 제 1요입홈과;
    상기 제 1요입홈에 삽입되는 제 1패킹과;
    상기 뚜껑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개폐공과;
    상기 개폐공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공을 개폐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조뚜껑과;
    상기 보조뚜껑의 중앙 영역을 향한 연부 내측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요입되도록 형성된 제 2요입홈과;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공과 거의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축경되어 상기 관통공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밀착해제부와;
    상기 밀착부와 밀착해제부의 배치방향의 가로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갖는 밀폐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밀폐형 용기.
KR2020010040765U 2001-12-28 2001-12-28 밀폐용기 KR200270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765U KR200270679Y1 (ko) 2001-12-28 2001-12-28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765U KR200270679Y1 (ko) 2001-12-28 2001-12-28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679Y1 true KR200270679Y1 (ko) 2002-04-04

Family

ID=7308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765U KR200270679Y1 (ko) 2001-12-28 2001-12-28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6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91U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이지앤 쌀 퍼냄이 용이하면서 제습기능을 갖는 쌀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91U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이지앤 쌀 퍼냄이 용이하면서 제습기능을 갖는 쌀통
KR200487487Y1 (ko) 2016-05-17 2018-09-27 주식회사 이지앤 쌀 퍼냄이 용이하면서 제습기능을 갖는 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KR870009947A (ko) 용기 주둥이용 압력을 배출하는 밀폐용기
KR960030362A (ko) 밀폐콘테이너
KR20180002202U (ko) 분리결합이 용이한 가압밀폐용기
KR101494254B1 (ko) 밀폐용기
JP4279028B2 (ja) 湿潤シート用容器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270679Y1 (ko) 밀폐용기
KR200270678Y1 (ko) 밀폐용기
KR20170140986A (ko) 용기구조체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1780035B1 (ko) 밀폐용기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KR200390087Y1 (ko) 음료용기
KR200314922Y1 (ko) 밀폐용기용 뚜껑의 밀폐구조
CN211469347U (zh) 盖子及容器
KR200311105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100337192B1 (ko) 밀폐용기
KR20050091686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뚜껑의 구조
KR20030064084A (ko) 용기 뚜껑 밀폐용 클립
KR200328350Y1 (ko) 용기의 진공 밸브장치
KR200248959Y1 (ko)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200270693Y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저장용기
KR200265076Y1 (ko) 저장용기의 원터치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