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192B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192B1
KR100337192B1 KR1020000030374A KR20000030374A KR100337192B1 KR 100337192 B1 KR100337192 B1 KR 100337192B1 KR 1020000030374 A KR1020000030374 A KR 1020000030374A KR 20000030374 A KR20000030374 A KR 20000030374A KR 100337192 B1 KR100337192 B1 KR 10033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coupling groove
cover
containe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761A (ko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2000003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19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92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측면부재 및 저면부재로 형성하되 상기 측면부재의 상단 일측에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수납부와,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 끝단과 결합하도록 하측으로 개구되며 내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한 커버로 본체를 구성하되 상기 결합홈에 측면부재의 상부 끝단이 완전히 결합하면 상기 돌출부는 결합홈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수납부 측면부재의 상부 끝단과 커버 결합홈의 기밀성이 향상되고 기존의 생산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냉장고나 냉동고에 넣어 사용하는 음식 보관용 밀폐용기에 사용하기 적당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밀폐용기 { air-tight container }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버와 수납부로 형성된 밀폐용기에 있어서 수납부 측면부재의 상부 끝단이 커버의 결합홈에 삽입하되,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 일측에 수납부의 내측과 외측으로 형성한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므로 커버와 수납부의 기밀성이 향상시키게 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 이유는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으면 내용물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 나가게 되며 내측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면 내측에 저장된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신선도를 잃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밀폐용기는 특히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서 음식물을 일정기간 저장하고자 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커버의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기밀성이 높은 밀폐용기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 밀폐용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밀폐용기인 본체(1)는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측면부재(3)와 저면부재(4)로 형성한 수납부(2)와, 상기 측면부재(3)의 상부 끝단(5)과 결합하는 결합홈(7)을 구비한 커버(6)로 이루어졌다.
또한, 상기 결합홈(7)의 내측에는 상기 측면부재(3)의 상부 끝단(5)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별도로 탄성부재를 삽입하기도 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밀폐용기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홈(7)과 상기 측면부재(3)의 상부 끝단(5)이 완전히 결합되어야 하므로 간격이 발생하지 않게 밀착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하게 되는데, 밀폐용기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밀폐용기가 열변형에 의해 노화되어 상기 결합홈(7)이 벌어지고 헐거워져서 상기 측면부재(3)의 끝단(5)과의 결합에 간격이 발생하여헐거워지게 되고 따라서 기밀성이 떨어져서 밀폐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측면부재(3)의 상부 끝단(5)을 소정의 각도로 약간 절곡하여 상기 끝단(5)이 결합홈(7) 내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기도 하게 되는데 밀폐용기 본체(1)에 여러 가지 내용물들의 저장을 반복하게되면 수납부(2)와 커버(6)에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결합홈(7)이 변형되거나 측면부재(3)의 상부 끝단(5)이 변형되면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떨어져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상기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3)의 상부 끝단(5)을 소정의 각도로 약간 절곡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면서 상기 결합홈(7)에 원활하게 삽입되는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부의 측면부재 상부 끝단과 커버의 결합홈과의 기밀성을 향상시켜서 완전히 밀폐되고 또한 개폐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밀폐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 11 : 수납부
12 : 측면부재 13 : 저면부재
14,15 : 돌출부 16 : 끝단
17 : 커버 18 : 결합홈
18a : 내측 벽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측면부재 및 저면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재의 상단 일측에 수납부의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수납부와,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 끝단과 결합하는 결합홈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 벽면에 밀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중요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구성은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측면부재(12) 및 저면부재(13)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재(12)의 상단 일측에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부(14)(15)를 형성한 수납부(11)와, 상기 측면부재(12)의 상부 끝단(16)과 결합하도록 하측으로 개구된 결합홈(18)을 구비한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10)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14)(15)는 결합홈(18)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 벽면(18a)에 밀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18)의 끝단에는 결합홈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하는 걸림턱(19)(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체(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폴리트로필렌 및 폴리비닐 클로로라이드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특히 적당한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커버(17)의 개폐가 용이하고 상기 결합홈(18)에측면부재(12)의 상부 끝단(1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끝단(16)을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18)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측면부재(12) 및 저면부재(13)로 형성된 수납부(11)에 내용물을 삽입하게 되고, 상기 수납부(11)의 상측으로 커버(17)를 덮어씌우게 되는데 상기 커버(17)에는 하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수납부(11)의 측면부재(12)의 상부 끝단(16)과 결합하도록 결합홈(18)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홈(18)에 측면부재(12)의 상부 끝단(16)을 삽입하므로 커버(17)를 수납부(11)에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11)에 삽입된 내용물이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다.
이때, 상기 측면부재(12)의 상부 끝단(16)은 결합홈(18)의 내측으로 밀착되면서 삽입되어 상기 수납부(11)의 측면부재(12)와 커버(17)가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밀폐되며, 특히 상기 측면부재(12)의 상부 끝단(16)이 상기 커버(17)의 결합홈(18)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측면부재(12)의 상단 일측에 수납부(11)의 내측과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14)(15)도 각각 상기 결합홈(18)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18)의 내측 벽면(18a)에 밀착되어 상기 측면부재(12)의 상부 끝단(16)과 결합홉(18)을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8)의 끝단에는 결합홈(18)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하는 걸림턱(19)(20)이 형성되어 결합홈(18)에 삽입된 돌출부(14)(15)가 완전히밀착된다.
따라서, 수납부(11)와 커버(17)의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수납부(11) 내측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들을 완전히 밀폐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서 냉장고에 음식물, 채소, 과일 등을 저장할 때에 본 발명의 밀폐용기에 수납하게 되면 완전히 밀폐되어 수분이 증발하거나 냄새가 밀폐용기 밖으로 새어나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밀폐용기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측면부재의 상단 일측에 수납부의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결합 시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홈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수납부 측면부재의 상부 끝단과 커버 결합홈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기존의 생산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냉장고나 냉동고에 넣어 사용하는 밀폐용기에 사용하기 적당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납부와 커버로 구성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측면부재 및 저면부재로 형성하되 상기 측면부재의 상단 일측에는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수납부와;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 끝단과 결합하도록 하측으로 개구되며 내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한 커버로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측면부재의 상부 끝단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의 내측 벽면에 밀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000030374A 2000-06-02 2000-06-02 밀폐용기 KR10033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374A KR100337192B1 (ko) 2000-06-02 2000-06-02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374A KR100337192B1 (ko) 2000-06-02 2000-06-02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761A KR20010109761A (ko) 2001-12-12
KR100337192B1 true KR100337192B1 (ko) 2002-05-18

Family

ID=4592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374A KR100337192B1 (ko) 2000-06-02 2000-06-02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94B1 (ko) * 2004-12-20 2006-07-20 문제구 기밀수단을 갖는 밀폐용기 및 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8539A (zh) * 2016-12-01 2018-06-08 曹文岭 一种具有交错凸棱的密封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94B1 (ko) * 2004-12-20 2006-07-20 문제구 기밀수단을 갖는 밀폐용기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761A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JP2000203648A (ja) 真空吸引密閉容器
US4223800A (en) Refrigerator container
KR101494254B1 (ko) 밀폐용기
KR100337192B1 (ko) 밀폐용기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0270678Y1 (ko) 밀폐용기
KR200220779Y1 (ko) 김치저장고용 밀폐용기
KR200271291Y1 (ko) 식품용기뚜껑의밀폐구조
KR20150011189A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0486074B1 (ko) 밀폐형 식품용기
KR100796295B1 (ko) 이중 가스켓 김치저장용기
KR200240962Y1 (ko) 물품수납용기
KR100345491B1 (ko) 냉장고용 식품용기의 기밀유지재
KR200314922Y1 (ko) 밀폐용기용 뚜껑의 밀폐구조
KR100796296B1 (ko) 김치보관용기
KR200248959Y1 (ko)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100386498B1 (ko)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KR200311105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0873115B1 (ko) 냉장고용 용기
KR200207088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
KR200371206Y1 (ko) 밀폐용기 뚜껑
KR20030064084A (ko) 용기 뚜껑 밀폐용 클립
KR200171132Y1 (ko) 김치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