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402A - 이동형 후드 - Google Patents

이동형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402A
KR20210093402A KR1020200006528A KR20200006528A KR20210093402A KR 20210093402 A KR20210093402 A KR 20210093402A KR 1020200006528 A KR1020200006528 A KR 1020200006528A KR 20200006528 A KR20200006528 A KR 20200006528A KR 20210093402 A KR20210093402 A KR 20210093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present
hood
hou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189B1 (ko
Inventor
이능구
Original Assignee
(주)리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베첸 filed Critical (주)리베첸
Priority to KR102020000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1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이동가능한 소형 이동형 후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드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벽에 통기구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팬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팬부재 주위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후드{PORTABLE HOOD}
본 발명은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이동가능한 소형 이동형 후드에 관한 것이다.
주방의 가스레인지 등 가열기구 상 측에는 조리 시 나오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후드가 구비되어 있다. 후드는 조리 시 나오는 연기가 실내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옷 등 섬유나 공기 중에 냄새가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는, 후드는 음식점 등에서 육류 등의 구이류를 가열원 위에서 가열할 때 발생하는 연기의 흡입을 위해 가열원 상 측에 바로 설치된다. 양 경우 모두 후드는 통상적으로 천정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최근에는 식탁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 외에도 식탁 외 거실 또는 실외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실외에서 여행, 야영 등을 할 때 또는 가정에서 파티, 행사 등을 할 때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세를 반영하여 이동식의 후드가 등장한 바 있으나, 종래기술들은 휴대성이 떨어지고, 조리용기 상 측에 후드부가 형성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성 및 이동성이 우수하고, 조리용기 주위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는 설치상 제약이 없는 이동형 후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6580호 (등록일자: 2018.07.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8047호 (공개일자: 2018.05.3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성이 있는 이동형 후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장소에 제약이 없는, 이동성 및 설치성이 우수한 이동형 후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분, 미세입자 및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동형 후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드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벽에 통기구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팬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팬부재 주위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롤러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수평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벽에 삽입가능한 커버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재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 측벽에는 상기 리세스가 삽입 가능한 가이드부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간의 테두리에 장착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요소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와 연결되어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브를 당기면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성이 있는 이동형 후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장소에 제약이 없는, 이동성 및 설치성이 우수한 이동형 후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분, 미세입자 및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동형 후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후드를 도시하고,
도 2a는 이동형 후드의 제1 측면이 접히기 전 통상적인 작동 상태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2b는 이동형 후드의 제1 측면이 소형화를 위하여 접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후드를 위한 하부 하우징의 공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후드를 위한 하부 하우징의 지지요소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후드를 위한 상부 하우징의 제1 측면이 하부 하우징 측으로 접혀 들어가고 그 위에 커버부가 하부 하우징의 공간 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후드를 위한 하부 하우징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후드를 위한 필터부재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드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벽에 통기구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팬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팬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드는 휴대성이 우수하여 실내외 어느 공간에서든 구이요리 등에 의해 발생한 연기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팬부재는 연기, 기름기 등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드(1)는 상부 하우징(20), 하부 하우징(40), 팬부재(60) 및 필터부재(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후드(1)의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20) 및 하부 하우징(40)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4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부 하우징(20)에는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2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개구부(22)의 내측으로는 상부 하우징(20)의 내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보다 촉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개구부(22)는, 종래 기술들과는 달리, 수평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고기구이 등에 의한 연기, 냄새 등의 제거를 위해 효율성의 측면에서 배기장치의 흡입구가 구이판 상측에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강화되고 흡입 성능이 우수하여 구이판의 측방에서 연기를 흡입하여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후드의 설치상 및 사용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한다.
상부 하우징(20)은 제1 측면(24) 및 커버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측면(24) 및 커버부(26)는 서로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2a 및 2b에는 상부 하우징(20)의 커버부(26)가 제거된 모습이 되어 있다. 도 2a는 제1 측면(24)이 접히기 전 상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제1 측면(24)이 접힌 뒤 상태를 도시한다.
상부 하우징(20)의 제1 측면(24)에는 개구부(22)가 형성되고, 제1 측면(24)은 하부 하우징(4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커버부(26)는 제1 측면(24)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 하우징(40)을 밀폐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관상 및 이동상 소형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26)는 하부 하우징(40)의 측벽 내에 마련된 공간(140)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6)는 하부 하우징(40)의 측벽 내의 공간(140)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하부 하우징(40)에는 지지요소(100)가 형성된다. 지지요소(100)는 하부 하우징(40) 공간(140)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지지요소(100)는 하부 하우징(4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노브(102) 및 노브(102)와 연결되어 공간(140)에 배치되는 지지부(104)를 포함한다. 노브(102)를 젖히면 지지부(104)도 함께 젖혀지도록 구성되어 공간(140) 내로 커버부(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에는 제1 측면(24)이 하부 하우징(40) 측으로 접혀 들어가고, 커버부(26)가 하부 하우징(40)의 공간(130)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부(26)에는 핸들(미도시)이 마련되어 공간(130)에 삽입된 상태의 커버부(26)를 외측으로 전개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이동형 후드(1)의 작동 시에는 지지요소(100)는 공간(140) 내에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구성되어 지지부(104)가 커버부(26)를 지지하도록 한다(도 1).
하부 하우징(40)에는 외벽에 통기구(42)가 형성된다. 통기구(42)는 하부 하우징(4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하우징(40)의 저면에는 복수의 롤러부재(44) 및 멈춤부재(미도시)가 형성된다. 롤러부재(44)는 이동형 후드(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고정이 필요할 때에는 멈춤부재에 의해 지면 내지는 지지면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40)에는 팬부재(60)가 수용된다. 팬부재(60)는 등록특허공보 제10-1876580호에 개시된 공기 배출 장치가 이용된다. 팬부재(60)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40)에는, 또한, 필터부재(80)가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필터부재(80)는 팬부재(60)에 인접하여 마주보도록 한 쌍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80)와 인접하는 하부 하우징(40)의 측벽에는 통기구(4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필터부재(80) 및 통기구(42)는 개구부(22)가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22)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부재(60)에 흡입된 뒤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제2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팬부재(60) 및 필터부재(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기름기, 냄새 등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에 해당한다.
하부 하우징(40)의 전 측 측벽에는 가이드부재(46)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재(46)는 양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80)에 형성된 리세스(82)에 삽입되어 필터부재(80)의 하부 하우징(40) 내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며 필터부재(80)가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후드(1)는 이동성이 강화되고,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우수한 배기성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이동형 후드 10: 하우징
20: 상부 하우징 22: 개구부
24: 제1 측면 26: 커버부
40: 하부 하우징 42: 통기구
44: 롤러부재 46: 가이드부재
60: 팬부재 80: 필터부재
100: 지지요소 102: 노브
104: 지지부 140: 공간

Claims (7)

  1.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벽에 통기구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팬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팬부재 주위에 배치되는 필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형 후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롤러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형 후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수평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것인 이동형 후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벽에 삽입가능한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형 후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 측벽에는 상기 리세스가 삽입 가능한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인 이동형 후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간의 테두리에 장착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형 후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와 연결되어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브를 당기면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형 후드.
KR1020200006528A 2020-01-17 2020-01-17 이동형 후드 KR10230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528A KR102301189B1 (ko) 2020-01-17 2020-01-17 이동형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528A KR102301189B1 (ko) 2020-01-17 2020-01-17 이동형 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402A true KR20210093402A (ko) 2021-07-28
KR102301189B1 KR102301189B1 (ko) 2021-09-14

Family

ID=7712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528A KR102301189B1 (ko) 2020-01-17 2020-01-17 이동형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1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7708A (ja) * 1998-03-10 1999-09-24 Ohbayashi Corp ユニット式換気設備
JP2000051631A (ja) * 1998-08-05 2000-02-22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清浄機
KR200384763Y1 (ko) * 2005-03-08 2005-05-17 라명균 후드장치
KR20160104514A (ko) * 2015-02-26 2016-09-05 이창주 이동식 렌지 후드
KR20180058047A (ko) 2016-11-23 2018-05-31 코웨이 주식회사 휴대용 후드 장치
KR101876580B1 (ko) 2010-03-04 2018-07-09 베르링 게엠베하 공기 배출 장치 및 공기 유동에 의해 이동되는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7708A (ja) * 1998-03-10 1999-09-24 Ohbayashi Corp ユニット式換気設備
JP2000051631A (ja) * 1998-08-05 2000-02-22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清浄機
KR200384763Y1 (ko) * 2005-03-08 2005-05-17 라명균 후드장치
KR101876580B1 (ko) 2010-03-04 2018-07-09 베르링 게엠베하 공기 배출 장치 및 공기 유동에 의해 이동되는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KR20160104514A (ko) * 2015-02-26 2016-09-05 이창주 이동식 렌지 후드
KR20180058047A (ko) 2016-11-23 2018-05-31 코웨이 주식회사 휴대용 후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189B1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2901B2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10146657A1 (en) Duct free re-circulating downdraft exhaust accessory
KR100946802B1 (ko) 렌지후드 조립체
JP2004060968A (ja) レンジフード
KR20140105973A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US20060070617A1 (en) Range hood fan having filter
KR101532225B1 (ko) 흡입관이 설치된 인출형 렌지후드
KR102301189B1 (ko) 이동형 후드
JP5577059B2 (ja) 整流板および整流板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JP3204529U (ja) 調理テーブルの排煙装置
JP2003144250A (ja) レンジフード捕集補助装置
JP2002228222A (ja) レンジフード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KR20220044997A (ko) 가변 팬 구동부를 지닌 이동식 재순환 그릴
KR20170136286A (ko) 이동식 후드장치
KR20090092109A (ko) 배기장치
KR20080076172A (ko) 내부 조리공간을 갖는 후드의 배기구조
JP2007205637A (ja) 換気装置
JP2000161738A (ja) 調理用排気装置
TWI810022B (zh) 櫥櫃嵌入式抽油煙機
JP2604501B2 (ja) 排気フード構造
KR20240034033A (ko) 레인지 후드
KR100289266B1 (ko) 조리용 배기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196621Y1 (ko) 연기 배출부를 구비한 고기구이 장치
KR200280789Y1 (ko) 음식점용 배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