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763Y1 - 후드장치 - Google Patents

후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763Y1
KR200384763Y1 KR20-2005-0006239U KR20050006239U KR200384763Y1 KR 200384763 Y1 KR200384763 Y1 KR 200384763Y1 KR 20050006239 U KR20050006239 U KR 20050006239U KR 200384763 Y1 KR200384763 Y1 KR 200384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ood
smoke
coupled
hoo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명균
Original Assignee
라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명균 filed Critical 라명균
Priority to KR20-2005-0006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쑥뜸 시술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서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의를 도모한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실내의 특정부위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식 후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발생부위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후드(10);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에 결합수단(23)으로 결합되고 상기 후드(10)로 흡입된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덕트(20); 상기 덕트(20)의 하측에 결합되어 덕트(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드(10) 및 덕트(20)를 통해 연기를 강제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집진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드장치{Hood ventilation device}
본 고안은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쑥뜸 시술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서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의를 도모한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뜸이란 약쑥을 신체의 경혈에 놓고 태움으로써 생체의 변조를 바로잡는 한방 물리요법으로, 주로 경혈인 구점에 쑥을 연소시켜 체표로부터의 온열적 자극(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와 쑥진액이 피부의 모공을 통하여 경략에 전달)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한방 특유의 시술방법이다.
이와 같은 쑥뜸을 위한 쑥뜸기는 통 내부에 쑥을 채워 넣고 불을 붙이며, 쑥이 타 들어가 뜨거운 열기와 쑥진액이 통 하단부를 통하여 시술부위에 전달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쑥뜸 시술시 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는 독특한 방향성 취기를 가지고 있어서 상당히 자극적인 향기를 발산하면서 실내의 공기 중에 방출되기 때문에 연기 및 냄새로 인해 실내의 공기를 혼탁하게 하고, 시술자와 피시술자, 그리고 피시술자의 가족 및 시술 보조인원 등의 후각을 자극시켜서 타인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어 쑥뜸 시술을 기피하거나 시술장소와 시술시간에 제한을 주는 원인이 되고 있다.
물론, 건물 등에 설치된 공기정화시스템에 의해 어느 정도 연기나 냄새가 배출/정화되긴 하지만, 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많은량의 연기 및 냄새를 배출/정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반 가정집은 병원 등과 같은 전문적인 장소 보다 공기정화면에서 더욱 취약하기 때문에 가정집에서 쑥뜸 시술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쑥뜸 시술시 또는 음식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간편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서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쑥뜸 시술장소 및 시술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시술이 가능하며, 아울러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상 편의를 도모한 후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의 특정부위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식 후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발생부위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후드; 상기 후드의 후방면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고 상기 후드로 흡입된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덕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드 및 덕트를 통해 연기를 강제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집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서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 장치에서 덕트에 슬라이딩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 장치에서 덕트에 다른 슬라이딩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 장치에서 후드를 덕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장치(1)는 크게 후드(10)와, 덕트(20)와, 집진기(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후드(10)는 쑥뜸 시술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연기 및 냄새 발생부위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일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후드(10)는 연기 및 냄새 발생부위를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후드(10)는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연기와 접촉하는 전방면(13)에는 연기가 상기 공간부(12)로 흡입되도록 다수개의 흡입공(13a)이 형성되고 후방면(14)에는 상기 공간부(12)와 상기 덕트(20)를 연통시키는 다수개의 연통공(14a)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양측 가장자리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날개(15)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후드(10)의 몸체(11)를 만곡된 곡면 형태로 제작하고 양측에 날개(15)를 형성함으로서, 연기가 상기 몸체(11)의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흡입공(13a)측으로 유도됨과 동시에 모아지고, 또한 연기가 후드(10) 밖으로 이탈하지 않기 때문에 연기의 흡입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최적화된 구조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덕트(20)는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에 결합수단(23)으로 결합되고 상기 후드(10)로 흡입된 연기 및 냄새를 배출하기 위해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20)는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에 결합되는 만곡된 형태의 상부덕트(21)와, 상기 집진기(30)측에 결합되는 "일자"형태의 하부덕트(2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덕트(21)와 하부덕트(22)는 동일크기의 관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브라켓(25)을 결합부위에 끼운 후 볼트(26)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볼트(26)는 상부덕트(21)측에만 결합하여 하부덕트(22)는 필요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하부덕트(22)의 높이에 따라 상기 후드(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드(10)의 높이를 시술 침대 등의 높이에 따라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정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덕트(21)와 하부덕트(22)를 슬라이딩수단(40)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수단(40)은 두가지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첫 번째, 상기 슬라이딩수단(40)은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덕트(21)를 상기 하부덕트(22)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덕트(21)에는 나사부(42)를 갖는 레버(41)를 나사결합하여 레버(41)의 회전시 상기 나사부(42)의 단부가 하부덕트(22)의 측면에 압착되게 하여 상부덕트(2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후드(10)와 함께 상기 상부덕트(21)를 상기 하부덕트(22)를 따라 승,하강 시킨 후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상기 레버(41)를 간단히 조임으로서 후드(1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 상기 슬라이딩수단(40)은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덕트(21)를 상기 하부덕트(22)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덕트(21)와 하부덕트(22)에는 상호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홀(21d)(22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덕트(21)에는 상기 고정홀(21d)(22a)에 삽입되는 고정핀(45)이 구비되어 상부덕트(2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후드(10)와 함께 상기 상부덕트(21)를 상기 하부덕트(22)를 따라 승,하강 시킨 후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하부덕트(21)(22)에 각각 형성된 고정홀(21d)(22a)을 일치시킨 후 상기 고정핀(45)을 해당 고정홀(21d)(22a)에 삽입함으로서 후드(1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덕트(20)의 상부덕트(21)와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을 결합하는 결합수단(23)은 상기 상부덕트(21)의 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되고 다수의 볼트공(21e)이 형성된 플랜지부(21a)를 형성하여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에 볼트(21b)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23)은 상기 후드(10)를 연기 및 냄새의 발생부위에 따라 전,후방측으로 정확히 조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구조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즉, 상기 결합수단(23)은 도 5와 같이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에 가이드(23a)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20)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2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판(21c)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기 및 냄새 발생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후드(10)를 자유롭게 슬라이딩 시킴으로서 연기 및 냄새를 더욱 확실하게 흡입하여 배출/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기(30)는 상기 덕트(20)의 하측에 결합되어 덕트(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드(10) 및 덕트(20)를 통해 연기 및 냄새를 강제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집진기(30)의 내부에는 연기 및 냄새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필터가 구비되고, 아울러 연기 및 냄새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팬과 이 팬을 구동하는 모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집진기(30)의 일측에는 내부에서 필터에 의해 정화된 연기 및 냄새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호스(31)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덕트(20)의 대략 상측에는 후드장치(1)의 이동을 간편히 할 수 있도록 손잡이(24)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중요 특징부인 만곡된 형태의 후드(10) 구조는 본 고안에서는 이동식으로 구성하였지만, 이 외에도 빌딩이나 아파트, 일반 가정집에서 연기 및 냄새 배출을 위한 후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드(10)를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된 덕트에 연결하여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후드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후드장치(1)를 쑥뜸 시술장소에 이동시킨 후, 상기 후드(10)를 연기 및 냄새 발생부위의 상측에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기(30)의 모터를 작동시키게 되면, 쑥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후드(10)의 전방면(13)에 형성된 흡입공(13a)을 통해 후드(10)의 내부 공간부(12)로 흡입되고, 상기 공간부(12)로 흡입된 연기 및 냄새는 후드(10)의 후방면(14)에 형성된 연통공(14a)을 통해 상기 덕트(20)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덕트(20)를 따라 이동하는 연기 및 냄새는 상기 집진기(3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를 거치면서 정화된다.
계속해서, 상기 집진기(30) 내부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연기 및 냄새는 상기 호스(3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드(10)는 쑥뜸 시술 부위로부터 상측방향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해야 연기 및 냄새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바, 즉, 상기 후드(10)의 높이는 상기 하부덕트(22)를 일정한 높이의 것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상기 덕트(20)에 구비된 슬라이딩수단(40)을 이용하여 조정하고, 상기 후드(10)의 전,후방측 위치는 상기 후드(10)와 덕트(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 결합수단(23)을 이용하여 조정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후드장치(1)는 쑥뜸 시술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배출시키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음식점 등에서 음식조리시 또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도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쑥뜸 시술시 또는 음식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간편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서,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쑥뜸 시술장소 및 시술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후드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이동이 간편하여 일반 가정집은 물론 병원, 음식점 등 다양한 장소 및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뛰어나고 사용상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 장치에서 덕트에 슬라이딩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 장치에서 덕트에 다른 슬라이딩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후드 장치에서 후드를 덕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후드장치 10: 후드
11: 몸체 12: 공간부
13: 전방면 13a: 흡입공
14: 후방면 14a: 연통공
15: 날개
20: 덕트 21: 상부덕트
21a: 플랜지부 21b,26: 볼트
21c: 슬라이딩판 21d,22a: 고정홀
21e: 볼트공 22: 하부덕트
23: 결합수단 23a: 가이드
24: 손잡이 25: 브라켓
30: 집진기 31: 호스
40: 슬라이딩수단 41: 레버
42: 나사부 45: 고정핀

Claims (8)

  1. 실내의 특정부위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식 후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발생부위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후드(10);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에 결합수단(23)으로 결합되고 상기 후드(10)로 흡입된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덕트(20);
    상기 덕트(20)의 하측에 결합되어 덕트(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드(10) 및 덕트(20)를 통해 연기를 강제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집진기(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10)는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전방면(13)에는 연기가 상기 공간부(12)로 흡입되도록 흡입공(13a)이 형성되고 후방면(14)에는 상기 공간부(12)와 상기 덕트(20)를 연통시키는 연통공(14a)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가장자리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날개(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20)는 상기 후드(10)측에 결합되는 만곡된 형태의 상부덕트(21)와 상기 집진기(30)측에 결합되는 "일자"형태의 하부덕트(2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10)의 높이를 조정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덕트(21)와 하부덕트(22)는 슬라이딩수단(40)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40)은 상기 상부덕트(21)를 상기 하부덕트(22)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덕트(21)에는 나사부(42)를 갖는 레버(41)를 나사결합하여 레버(41)의 회전시 나사부(42)의 단부가 하부덕트(22)의 측면에 압착되게 하여 상부덕트(21)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40)은 상기 상부덕트(21)를 상기 하부덕트(22)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덕트(21)와 하부덕트(22)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다수의 고정홀(21d)(22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덕트(21)에는 상기 고정홀(21d)(22a)에 삽입되는 고정핀(45)이 구비되어 상부덕트(21)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3)은 상기 덕트(20)의 단부에 플랜지부(21a)를 형성하여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에 볼트(21b)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3)은 상기 후드(10)의 후방면(14)에 가이드(23a)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20)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2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판(21c)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장치.
KR20-2005-0006239U 2005-03-08 2005-03-08 후드장치 KR200384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39U KR200384763Y1 (ko) 2005-03-08 2005-03-08 후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39U KR200384763Y1 (ko) 2005-03-08 2005-03-08 후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763Y1 true KR200384763Y1 (ko) 2005-05-17

Family

ID=4368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239U KR200384763Y1 (ko) 2005-03-08 2005-03-08 후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7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393A (ko) * 2019-03-28 2020-10-07 케이엔텍 주식회사 흡입관 익스텐션 아암 구조체
KR20210093402A (ko) * 2020-01-17 2021-07-28 (주)리베첸 이동형 후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393A (ko) * 2019-03-28 2020-10-07 케이엔텍 주식회사 흡입관 익스텐션 아암 구조체
KR102202083B1 (ko) * 2019-03-28 2021-01-12 케이엔텍 주식회사 흡입관 익스텐션 아암 구조체
KR20210093402A (ko) * 2020-01-17 2021-07-28 (주)리베첸 이동형 후드
KR102301189B1 (ko) 2020-01-17 2021-09-14 (주)리베첸 이동형 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4514A (ko) 이동식 렌지 후드
KR20120041031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US7655080B2 (en) Air cleaning and filtering system
KR200384763Y1 (ko) 후드장치
KR101016244B1 (ko) 렌지후드 및 욕실 배기팬을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KR100983811B1 (ko)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CN102657885A (zh) 空调器的风道灭菌装置及控制方法
KR20200114446A (ko) 이동식 주방환기 보조장치
KR200405013Y1 (ko) 전기 온풍기
KR200452230Y1 (ko) 팬 겸용 무좀 치료기
CN209092164U (zh) 移动灸疗点火台
KR100841019B1 (ko) 온열부항기 및 이를 사용하는 부항장치
CN211434257U (zh) 触摸式紫外线消毒台灯
KR102524052B1 (ko) 이동식 주방용 환기장치
KR200424362Y1 (ko) 이동식 뜸 연기 제거 장치
CN209004791U (zh) 室内空气消毒装置
KR200369062Y1 (ko) 후드 장치
CN101073669A (zh) 兼有炉具功能的消毒柜
KR200441382Y1 (ko)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KR102562640B1 (ko) 이동식 주방용 환기장치
KR20140000917U (ko) 뜸 연기배출용 후드장치
WO2006052099A3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veranda-installation-type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 in a living room using the air cleaner
KR101044185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 장치
CN212157352U (zh) 紫外线消毒浴霸
KR200226631Y1 (ko) 이동식 포터블 원적외선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