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031A - 실내 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031A
KR20120041031A KR1020100102594A KR20100102594A KR20120041031A KR 20120041031 A KR20120041031 A KR 20120041031A KR 1020100102594 A KR1020100102594 A KR 1020100102594A KR 20100102594 A KR20100102594 A KR 20100102594A KR 20120041031 A KR20120041031 A KR 20120041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indoor
chambe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균 filed Critical 김동균
Priority to KR102010010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1031A/ko
Publication of KR2012004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conduits
    • E04F2019/0445Ventilating plin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환기시 실외 공기를 여과하면서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의 공기 분위기를 청정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온풍 및 외부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반대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을 구비하는 공기 순환장치와, 상기 공기 순환장치에 공기 이동관으로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순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로 여과하거나 유입된 실내공기를 공기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내에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챔버의 일측에 소독약, 방향제, 탈취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는 약제 공급부와; 상기 챔버의 일측에 냉/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설치되는 냉/온풍 공급장치와; 상기의 챔버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과 공기 배출관을 구비하고 라인의 연결부분에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공기 순환관로와; 상기 구동모터, 개폐부재, 약제 공급부 및 냉/온풍 공급장치 등을 전원스위치의 조작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기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ROOM AIR}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환기시 실외 공기를 여과하면서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의 공기 분위기를 청정상태로 유지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 있어서, 창은 그 기능의 하나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창을 닫아 놓은 채 실내를 장기간 밀폐시킨 상태에서 생활을 하다 보면, 실내공기가 오염되고, 이러한 오염된 실내공기는 인체에 많은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오염된 공기 속의 각종 먼지, 미생물들은 호흡기 질병과 각종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실내의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 예컨대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물, 석면가루 등은 두통,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를 가져오고, 심지어 심장병과 암을 유발시키는 원인도 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를 실외의 깨끗한 공기와 통풍되도록 함으로써, 먼지, 미생물, 각종 오염물질 등이 실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로서, 이동형 공기정화기가 있다.
상기한 이동형 공기정화기는 필요한 장소에 쉽게 옮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동형 공기정화기는, 실내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기존의 전자제품과 함께 실내 공간을 축소시키고 사람의 동선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내 환기를 위하여 에어콘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설치비가 많이 들고 에어콘 기기를 실내에 설치하기 위해 여유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등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시 사용되는 천장 몰딩 및 걸레받이에 공기 이동관과 흡배기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서 실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이동관이 내장되고 흡배기 구멍이 형성된 천장 몰딩 및 걸레받이를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공기 순환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설치에 따른 실내의 점유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페부재를 사용하여 실내 공간 별로 실내마감부재를 별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마다 환기를 독립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냉/온풍 공급장치로 발생되는 냉/온풍을 실내에 천장 몰딩 및 걸레받이를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마감부재를 개폐부재로 제어함으로써, 실내마감부재가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기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온풍 및 외부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반대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을 구비하는 공기 순환장치와, 상기 공기 순환장치에 공기 이동관으로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순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로 여과하거나 유입된 실내공기를 공기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내에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챔버의 일측에 소독약, 방향제, 탈취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는 약제 공급부와; 상기 챔버의 일측에 냉/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설치되는 냉/온풍 공급장치와; 상기의 챔버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과 공기 배출관을 구비하고 라인의 연결부분에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공기 순환관로와;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공기 순환관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약제 공급부 및 냉/온풍 공급장치 등을 전원스위치의 조작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챔버는,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공급챔버와, 실내 공기를 공기 배출구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송풍팬은, 공급챔버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용 송풍팬과 배출챔버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용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공기 순환관로는, 공급챔버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과, 배출챔버에 연결되는 공기 배출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과 공기 배출관의 연결부분에 설치되고 제어부의 신호로 어느 라인을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순환부재는, 개폐부재에 연결되고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 이동관과, 상기 공기 이동관이 연결되고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실내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내마감부재는, 공기 이동관에 연결 설치되고 실내의 천장 둘레를 마감 장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기용 천장 몰딩과, 상기 공기 이동관에 연결 설치되고 실내의 바닥 둘레를 마감 장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기용 걸레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환기용 천장 몰딩은, 몰딩 몸체와, 상기 몰딩 몸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장되는 공기 이동관과, 상기 공기 이동관에 연통되고 몰딩 몸체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흡배기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환기용 걸레받이는, 걸레받이 몸체와, 상기 걸레받이 몸체에 공기 이동할 수 있도록 내장되는 공기 이동관과, 상기 공기 이동관에 연통되고 걸레받이 몸체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흡배기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마감 인테리어 자재로 사용되는 천장 몰딩 및 걸레받이에 공기 이동관과 흡배기 구멍을 형성시켜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환기에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이동관과 흡배기 구멍이 형성된 천장 몰딩 및 걸레받이를 공기순환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설치에 따른 점유 공간의 축소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마감부재를 개폐부재로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마다 환기를 독립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고, 실내마감부재가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부가된 냉/온풍 공급장치의 냉/온풍을 실내마감부재를 통해 실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열/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발전된 전원을 냉/온풍 공급장치 및 공기 순환장치에 이용할 경우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내마감부재의 설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공기 공급용 천장몰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환기용 걸레받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실내마감부재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온풍 및 외부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반대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8)을 구비하는 공기 순환장치(4)와, 상기 공기 순환장치(4)에 공기 이동관(P)으로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순환부재(A)를 포함한다.
상기한 공기 순환장치(4)는, 공기 유입구(38)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40)로 여과하거나 유입된 실내공기를 공기배출구(4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챔버(C)를 구비한다.
상기한 챔버(C)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공급챔버(C1)와,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챔버(C2)를 포함한다.
상기한 공급챔버(C1)에는, 공기 공급용 송풍팬(8)의 전방에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38) 측에 필터(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공기 순환장치는, 상기 챔버(C)내에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송풍팬(8)을 구비한다.
상기한 송풍팬(8)은, 공급챔버(C1)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용 송풍팬(8a)과 배출챔버(C2)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용 송풍팬(8b)을 포함한다.
상기한 송풍팬(8)은,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34)의 온(On) 조작시 제어부(15)의 신호로 제어되는 구동모터(36)에 의하여 작동한다.
상기한 공기 순환장치(4)는, 상기 챔버(C)의 일측에 소독약, 방향제, 탈취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는 약제 공급부(10)를 구비한다.
상기한 약제 공급부(10)는, 송풍팬(8)에 의하여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챔버(C1)측에 설치된다. 상기 약제 공급부(10)에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시킬 약제 성분이 저장된다. 상기한 약제 공급부(10)에 수납되는 소독약, 방향제, 탈취제 등은 공기와 함께 실내까지 공급됨으로써 약효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한 공기 순환장치(4)는, 상기 챔버(C)의 일측에 냉/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설치되는 냉/온풍 공급장치(12)를 구비한다.
상기한 냉/온풍 공급장치(12)는, 냉/온풍을 발생시키는 에어콘 및 히터가 구성된 통상의 장치이다. 상기 냉/온풍 공급장치(12)는, 공급챔버(C1)에 연결 설치되어 송풍팬(8)의 송풍시 냉/온풍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장치(4)는, 상기의 챔버(C)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16a)과 공기 배출관(16b)을 구비하고 라인의 연결부분에 개폐부재(13)가 설치되는 공기 순환관로(16)을 구비한다.
상기한 공기 순환관로(16)는, 공급챔버(C1)에 연결되어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16a)과, 배출챔버(C2)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관(16b)과, 상기 공기 공급관(16a)과 공기 배출관(16b)의 연결부분에 설치되고 제어부(15)의 신호로 어느 라인을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한 개폐부재(13)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부재(A)의 공기 이동관(P)을 이용한 공기의 순환을 제어하는 제1개폐부재(13a)와 실내의 바닥 둘레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부재(A)의 공기 이동관(P)을 이용한 공기의 순환을 제어하는 제2개폐부재(13b)를 포함한다.
상기한 공기 순환장치(4)는, 상기 송풍팬(8)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6), 공기 이동관(P)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3), 약제 공급부(10) 및 냉/온풍 공급장치(12) 등을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34)의 조작시 제어하는 제어부(15)를 구비한다.
상기한 공기 순환장치(4)는, 일반 전기를 사용하는 외에 태양열 및 태양광 발전장치(도시생략)에서 발전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태양열 및 태양광 발전장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사용시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부(15)는, 전원스위치(34)의 조작시 송풍팬(8)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6)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구동모터(36)의 작동으로 송풍팬(8)이 구동할 때 약제 공급부(10)를 작동시켜 소독약, 방향제, 탈취제 등은 공기와 함께 실내까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는, 구동모터(36)의 작동으로 송풍팬(8)이 구동할 때 냉/온풍 공급장치(12)를 제어하여 계절에 맞는 적정 온도의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제어부(15)는, 상기 송풍팬(8)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6), 공기 이동관(P)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3), 약제 공급부(10) 및 냉/온풍 공급장치(12)를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도시생략)가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15)는, 개폐부재(13)의 제어를 통해 환기 및 냉/난방이 필요한 방만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개폐부재(13)를 제어하여 실내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천장 몰드(6a) 및 걸레받이(6b)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를 공기 공급용 또는 배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공기 순환부재(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13)에 연결되고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 이동관(P)과, 상기 공기 이동관(P)이 연결되고 실내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실내마감부재(6)를 포함한다.
상기한 실내마감부재(6)는, 공기 이동관(P)에 연결 설치되고 실내의 천장 둘레를 마감 장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기용 천장 몰딩(6a)를 구비한다.
이러한 환기용 천장 몰딩(6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 코너를 마감하는 몰딩 몸체(14)가 형성된다. 상기한 몰딩 몸체(14)의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천장 몰딩 공기 이동관(P1)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한 천장 몰딩 공기 이동관(P1)은, 천장 몰딩(6a)을 연결할 때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호스 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천장 몰딩 공기 이동관(P1)에는, 실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몰딩 몸체(14)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천장 몰딩 흡배기 구멍(H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천장 몰딩 흡배기 구멍(H1)은, 실내에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 몰딩 흡배기 구멍(H1)은, 공기를 실내에 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내마감부재(6)는, 상기 공기 이동관(P)에 연결 설치되고 실내의 바닥 둘레를 마감 장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기용 걸레받이(6b)를 구비한다.
상기한 환기용 걸레받이(6b)는, 실내의 바닥 둘레를 마감하도록 커버하는 걸레받이 몸체(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레받이 몸체(20) 내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레받이 공기 이동관(P2)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한 걸레받이 공기 이동관(P2)에는, 실내의 바닥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걸레받이 몸체(20)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공기가 이동하는 걸레받이 흡배기 구멍(H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걸레받이 흡배기 구멍(H2)은, 실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레받이 흡배기 구멍(H2)은, 실내의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스위치(34)를 조작하여 공기 순환장치(4)를 온(On)시키면 제어부(15)의 신호로 구동하는 구동모터(36)에 의하여 챔버(C)에 설치된 송풍팬(8)이 구동하게 된다.
상기한 송풍팬(8)이 구동하게 되면, 공급챔버(C1)에 설치된 공기 공급용 송풍팬(8a)은 외부 공기를 실내에 공급한다.
그리고, 챔버(C) 중 배출챔버(C2)에 설치된 공기 배출용 송풍팬(8b)도 함께 작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한 송풍팬(8)이 작동할 때 제어부(15)는, 기본적으로 개폐부재(13a)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천장 몰딩(6a)를 통해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송풍팬(8)이 작동할 때 제어부(15)는, 제1개폐부재(13a)를 제어하면서 제2개폐부재(13b)를 제어하여 실내 공기가 걸레받이(6b)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용 송풍팬(8a)의 작동으로 외부 공기는, 제1개폐부재(13a)에 연결된 천장 몰딩(6a)의 천장 몰딩 공기 이동관(P1)을 통해 실내의 천장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천장 몰딩(6a)을 통해 이동한 공기는, 몰딩 몸체(14)의 전면에 다수 형성된 천장 몰딩 흡배기 구멍(H1)을 통해 실내의 천장에 분사된다.
이러한 천장 몰딩(6a)은,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실내 전체에 걸쳐 설치되기 때문에 천장 몰딩 공기 이동관(P)을 통해 공기를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를 천장 몰딩(6a)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실내의 공기 분위기는 신속하게 변환된다.
또한, 실내의 탁한 공기는, 공기 배출용 송풍팬(8b)의 작동으로 걸레받이(6b)의 걸레받이 몸체(20) 전면에 형성된 걸레받이 흡배기 구멍(H2)들을 통해 흡입된 후 걸레받이 공기 이동관(P2)이 연결된 공기 순환관로(16b)을 따라 배출챔버(C2)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배출챔버(C2)까지 이동한 실내의 오염 공기는, 공기 배출용 송풍팬(8b)의 작동으로 공기 배출구(4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실내에 당연히 설치되는 천장 몰드(6a) 및 걸레받이(6b)에 공기 이동관(P) 및 흡배기 구멍(H)을 형성하고 이러한 천장 몰드(6a) 및 걸레받이(6b)를 공기 순환장치(4)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기 정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공기 순환장치(4)에 약제 공급부(10) 및 냉/온풍 공급장치(12)에 더 연결 설치할 경우에는, 제어부(15)의 제어를 통해 소독약, 방향제, 탈취제 등을 실내 공간에 각각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여름철 및 겨울철에는 적정 온도의 냉풍 또는 온풍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방마다 설치된 실내마감부재(6)를 이용한 환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3)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13)의 제어를 통해 환기가 필요한 방만을 선택해 환기시킬 수 도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개폐부재(13)를 제어하여 실내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천장 몰드(6a) 및 걸레받이(6b) 구분하지 않고 모두를 공기 공급용 또는 배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공기 순환장치(4)에 연결되는 실내마감부재(6)를 각 코너에 설치한 후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실내마감부재(6)는, 실내의 코너에 수직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형태로 내부에 공기 이동관(P) 및 흡배기 구멍(H)들이 다수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즉, 실내의 코너 설치용 실내마감부재(6)를 사용하면 실내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실내마감부재(6)는, 공기 공급챔버(C1) 및 공기 배출챔버(C2)에 하나씩 설치되어 공기 공급용 송풍팬(8a)과 공기 배출용 송풍팬(8b)의 작동시 공기의 공급과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 필연적으로 시공되는 천장 몰딩과 걸레받이에 공기 이동관 및 공기홀을 형성한 후 공기 순환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오염된 공기의 배출과 여과된 신선한 외부 공기의 실내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 이동관 및 흡개기 구멍을 형성한 천장 몰드 및 걸레받이를 공기 순환장치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실내 공기 정화장치 제조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4: 공기 순환장치 6: 실내마감부재
6a: 환기용 천장 몰딩(Molding) 6b: 환기용 걸레받이
8: 송풍팬 10: 약제 공급부
12: 냉/온풍 공급장치 13:개폐부재
14: 몰딩 몸체 20: 걸레받이 몸체
P1: 천장 몰딩 공기 이동관 P2: 걸레받이 공기 이동관
H1: 천장 몰딩 흡배기 구멍 H2: 걸레받이 흡배기 구멍

Claims (5)

  1. 냉/온풍 및 외부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거나 반대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8)을 구비하는 공기 순환장치(4)와, 상기 공기 순환장치(4)에 공기 이동관(P)으로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순환부재(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장치(4)는,
    공기 유입구(38)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필터(40)로 여과하거나 유입된 실내공기를 공기배출구(4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챔버(C)와;
    상기 챔버(C)내에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송풍팬(8)과;
    상기 챔버(C)의 일측에 소독약, 방향제, 탈취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는 약제 공급부(10)와;
    상기 챔버(C)의 일측에 냉/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설치되는 냉/온풍 공급장치(12)와;
    상기의 챔버(C)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16a)과 공기 배출관(16b)을 구비하고 라인의 연결부분에 개폐부재(13)가 설치되는 공기 순환관로(16)와;
    상기 송풍팬(8)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6), 공기 순환관로(16)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3), 약제 공급부(10) 및 냉/온풍 공급장치(12) 등을 전원스위치(34)의 조작시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부재(A)는,
    개폐부재(13)에 연결되고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 이동관(P)과, 상기 공기 이동관(P)이 연결되고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실내마감부재(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마감부재(6)는,
    공기 이동관(P)에 연결 설치되고 실내의 천장 둘레를 마감 장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기용 천장 몰딩(6a)과, 상기 공기 이동관(P)에 연결 설치되고 실내의 바닥 둘레를 마감 장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환기용 걸레받이(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천장 몰딩(6a)은,
    몰딩 몸체(14)와, 상기 몰딩 몸체(14)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장되는 천장 몰딩 공기 이동관(P1)과, 상기 천장 몰딩 공기 이동관(P1)에 연통되고 몰딩 몸체(14)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천장 몰딩 흡배기 구멍(H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걸레받이(6b)는,
    걸레받이 몸체(20)와, 상기 걸레받이 몸체(20)에 공기 이동할 수 있도록 내장되는 걸레받이 공기 이동관(P2)과, 상기 걸레받이 공기 이동관(P2)에 연통되고 걸레받이 몸체(20)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걸레받이 흡배기 구멍(H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20100102594A 2010-10-20 2010-10-20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120041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594A KR20120041031A (ko) 2010-10-20 2010-10-20 실내 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594A KR20120041031A (ko) 2010-10-20 2010-10-20 실내 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31A true KR20120041031A (ko) 2012-04-30

Family

ID=4614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594A KR20120041031A (ko) 2010-10-20 2010-10-20 실내 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103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769B1 (ko) * 2016-04-07 2017-02-14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실내공기 순환 장치
CN112283797A (zh) * 2020-10-26 2021-01-29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式隐形墙角线空调系统
KR102214731B1 (ko) * 2020-09-16 2021-02-10 대신아이브(주) 실내 공기정화 및 유해 바이러스 살균시스템
KR102267814B1 (ko) * 2020-05-28 2021-06-21 실내공기질안전지킴이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KR20210123521A (ko) * 2020-04-03 2021-10-14 류길수 기류 하강식 흡연부스
KR20210135124A (ko) * 2020-05-04 2021-11-12 장덕성 습식필터 방식 공기정화 시스템
KR20210135125A (ko) * 2020-05-04 2021-11-12 장덕성 공기정화 시스템
KR20210135123A (ko) * 2020-05-04 2021-11-12 장덕성 월 석션 방식 공기정화 시스템
KR20210149475A (ko) * 2020-06-02 2021-12-09 이한형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수직기류형 냉방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769B1 (ko) * 2016-04-07 2017-02-14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실내공기 순환 장치
KR20210123521A (ko) * 2020-04-03 2021-10-14 류길수 기류 하강식 흡연부스
KR20210135124A (ko) * 2020-05-04 2021-11-12 장덕성 습식필터 방식 공기정화 시스템
KR20210135125A (ko) * 2020-05-04 2021-11-12 장덕성 공기정화 시스템
KR20210135123A (ko) * 2020-05-04 2021-11-12 장덕성 월 석션 방식 공기정화 시스템
KR102267814B1 (ko) * 2020-05-28 2021-06-21 실내공기질안전지킴이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KR20210149475A (ko) * 2020-06-02 2021-12-09 이한형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수직기류형 냉방시스템
KR102214731B1 (ko) * 2020-09-16 2021-02-10 대신아이브(주) 실내 공기정화 및 유해 바이러스 살균시스템
CN112283797A (zh) * 2020-10-26 2021-01-29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式隐形墙角线空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1031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0554953B1 (ko) 주택의 실내 청정관리 시스템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39106B1 (ko)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JP6466155B2 (ja) 住宅
KR101565067B1 (ko) 가습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식 공기순환장치
KR101565068B1 (ko) 환기 제어 기능을 갖는 가습 공기순환장치
JP2020526733A (ja) 空気処理システム
KR100979193B1 (ko) 욕실 환기장치
KR102305958B1 (ko) 친환경 냉난방 환기일체형 천정형 공조 유니트
KR101131466B1 (ko) 이동식 화장실
JP4071155B2 (ja) ホルムアルデヒド等の有害化学物質除去設備
KR100698516B1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KR20180070373A (ko) 공기정화 및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 환기장치
KR102029836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공조유닛
KR100471113B1 (ko) 실내공기 순환시스템
JP201111223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2020148386A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KR200379898Y1 (ko) 클린룸
KR200416876Y1 (ko) 쾌적한 실내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쾌적제어시스템
KR200313230Y1 (ko) 주택용 다기능 환기 유니트
JP7496140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
KR200406146Y1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KR100359409B1 (ko) 실내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