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814B1 -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814B1
KR102267814B1 KR1020200064288A KR20200064288A KR102267814B1 KR 102267814 B1 KR102267814 B1 KR 102267814B1 KR 1020200064288 A KR1020200064288 A KR 1020200064288A KR 20200064288 A KR20200064288 A KR 20200064288A KR 102267814 B1 KR102267814 B1 KR 10226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air
moving
ceil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실내공기질안전지킴이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이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내공기질안전지킴이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이상화 filed Critical 실내공기질안전지킴이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Priority to KR102020006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04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integrated in or forming part of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들이 천장에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바닥면에 수평-흡입관이 안착되어 실내의 기류가 수직방향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의 전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방역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실내 기류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바이러스 전염률이 높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S)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어 하단부가 수평-흡입관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천장을 관통하여 배기용 연결파이프와 연결되는 수직-이동관들을 포함함으로써 내기가 배출되는 위치를 사람의 호흡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높이로부터 최대한 상방으로 이격시켜 주변 사람이 방출된 내부 공기에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방역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킴과 동시에 대기오염을 절감시킬 수 있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Ventilation system type vertical air current for enhancing disinfe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외기를 상부로부터 유입시킴과 동시에 하부에서 내기를 흡입하되, 흡입된 내기를 상부로 이동시켜 토출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실내 기류를 수직방향으로 유도하여 종래에 기류가 수평으로 회전함에 따라 바이러스 등의 전염률이 높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의 청정도 및 쾌적성을 극대화시켜 안전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이 발달하고 도심이 발달함에 따라 과거와 비교하여 실내공간에서의 생활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환기장치(시스템), 공기청정기 및 전열교환기 등과 같이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 및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환기장치는 외기를 실내로 흡입하면서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환기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사무실, 교실, 체육관, 카페 등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고, 그 설치대상 및 수량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들이 내벽 또는 천장에 설치되되, 내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들이 내벽에 설치됨에 따라 유입구들 통해 유입된 외기는 실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한 후, 배출구들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코로나 19(Corona 19),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조류 인플루엔자(AI) 등과 같이 인체 또는 가축 등을 통해 전염되는 감염성 질환이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감염성 질환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방역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감염성 질환은 다양한 감염경로로 주변인들에게 전파되게 되나, 그 중 호흡기를 통한 감염이 주된 경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콜센터, 사무실 등의 제한된 장소에 다수의 재실자들이 밀집되는 환경일 때, 바이러스 전파가 확산되어 다수의 감염 확진자가 발생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감염성 질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기 유입 및 내기 배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기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환기장치가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장치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들이 내벽 또는 천장에 설치되되, 내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들이 내벽에 설치됨에 따라 유입구들 통해 유입된 외기는 실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한 후, 배출구들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히려 바이러스가 기류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확산되어 오히려 감염속도를 높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9-0082343호(발명의 명칭 : 복도 및 틈새 공간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 시스템)에 개시된 실내 공기 환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실내 공기 환기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내벽(115)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외부공기를 실내로 공급시키는 외부공기 유입부(110)와, 외부공기 유입부(110)가 설치된 위치에 대향되는 내벽(125)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내부공기 배출부(120)로 이루어진다.
외부공기 유입부(11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외부공기 유입팬(111)과, 유입팬(111)으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외부공기 공급관(112)과, 외부공기 공급관(112)에 결합되어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외부공기 유입관(113)으로 이루어진다.
내부공기 배출부(120)는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내부공기 배출팬(121)과, 내부공기 배출팬(121)으로 유입된 내부공기를 배출시키는 내부공기 배출관(122)과, 내부공기 배출관(122)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내부공기 방출관(12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실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내부공기 배출부(120)와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외부공기 유입부(110)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외부공기 유입부(110) 및 내부공기 배출부(120)가 대향되는 내벽(115), (125)들이 설치됨에 따라 외부공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의 실내 기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한 후, 내부공기 배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내부 공기 중 바이러스가 존재할 때, 수평 이동 및 회전하는 기류로 인해 재실자들의 바이러스 전파가 현저히 확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실내 공간이 단층이라고 가정할 때, 내부공기 배출부(120)의 내부공기 방출관(123)이 외벽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높이가 사람의 호흡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높이와 인접하여 외부 사람이 방출된 내부 오염된 공기에 접촉되기 쉬워 감염성 질환의 전염방지의 효율성이 더욱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외부공기 유입부(110) 및 내부공기 배출부(120)에 필터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아, 내부 공기의 청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내부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그대로 배출되어 환기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주변 공기질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때 만약 종래기술(100)의 외부공기 유입팬(111) 및 내부공기 배출팬(121)에 필터가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필터의 설치위치 및 조립구조에 따라 필터교체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한 단점을 갖는다.
즉 1)외기 유입 및 내기 배출을 통해 환기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2)수평방향의 기류 현상을 최소화하여 바이러스 감염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3)필터 교체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기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들이 천장에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바닥면에 수평-흡입관이 안착되어 실내의 기류가 수직방향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의 전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방역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실내 기류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바이러스 전염률이 높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실내 공간(S)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어 하단부가 수평-흡입관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천장을 관통하여 배기용 연결파이프와 연결되는 수직-이동관들을 포함함으로써 내기가 배출되는 위치를 사람의 호흡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높이로부터 최대한 상방으로 이격시켜 주변 사람이 방출된 내부 공기에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방역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킴과 동시에 대기오염을 절감시킬 수 있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천장의 상부에 전열교환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전열교환기에 연결되는 급기용 연결파이프들이 천장의 유입구들에 각각 연결되되, 전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기용 연결파이프들이 천장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이동관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감열 및 잠열 양방의 열교환을 수행함으로써 환기에 따른 배기열 회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냉난방 에너지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수평-흡입관에 내외면을 관통하는 흡입공들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됨으로써 흡입공들을 통해 내부 오염된 공기를 더욱 신속하고 철저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환기 및 방역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수직-이동관의 일측에 필터설치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필터부가 수직-이동관의 필터설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 교체가 가능하여 필터교체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필터설치부가 외주면에 필터부가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직-이동관과, 수직-이동관의 외주부를 둘러싸듯이 설치되는 커버체를 포함하되, 커버체가 수직-이동관에 수평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커버체의 수평이동에 따라 개구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필터부의 조립 및 분해의 조립성 및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콜센터, 사무실 등과 같이 실내 공간(S)의 내부에 다수의 책상들이 밀집되는 환경일 때, 수평-흡입관들을 실내 공간(S)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책상 지지판의 후단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수직기류 현상을 더욱 활성화시켜 재실자들의 바이러스 전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방역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실내 공간(S)을 환기시키기 위한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실내 공간(S)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 상면에 흡입공들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 또는 실내 구조물에 안착되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S)으로 배출된 내기를 상기 흡입공들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실내 공간(S)이 수직기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부; 외기를 급기하여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전달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 하단부가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되, 상단부가 상기 천장에 연결되도록 수직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내기를 상기 천장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는 천장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유입구는 천장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부가 상기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S)의 내부 기류가 수직방향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부는 원통 또는 다면체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기체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내외면을 관통하는 흡입공들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원통 또는 다면체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기체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수평-흡입관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상기 천장을 관통하도록 수직 설치되는 수직-이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직-이동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관의 일측에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필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설치부는 상기 수직-이동관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으로 상기 필터부가 설치되는 내관체와, 상기 내관체의 외주부를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내관체와 결합되는 중공원통 형상의 커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관체는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와 인접한 지점의 외주면에 플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플렌지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돌부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방 이격되되, 폭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돌부와 동일한 폭의 위치인 지점에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개구부보다 큰 길이의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단부와 인접한 내주면에 외측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슬라이딩홈에 연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돌부의 상단부까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커버체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상기 가이드돌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돌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최하방 이동 시, 상기 내관체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딩 홈으로 상기 가이드돌부의 삽입이 해제되면서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이 상기 고정돌부와 동일한 높이인 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고정되어 상기 내관체의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환기부는 단부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급기된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기용 연결파이프; 단부가 상기 수직-이동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관의 내기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용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환기부는 전열교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흡입관은 상기 실내 공간(S)의 구조물이 책상일 때, 용품이 안착되는 지지판의 후단부와 인접한 지점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들이 천장에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바닥면에 수평-흡입관이 안착되어 실내의 기류가 수직방향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의 전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방역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실내 기류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바이러스 전염률이 높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공간(S)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어 하단부가 수평-흡입관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천장을 관통하여 배기용 연결파이프와 연결되는 수직-이동관들을 포함함으로써 내기가 배출되는 위치를 사람의 호흡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높이로부터 최대한 상방으로 이격시켜 주변 사람이 방출된 내부 공기에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방역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킴과 동시에 대기오염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의 상부에 전열교환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전열교환기에 연결되는 급기용 연결파이프들이 천장의 유입구들에 각각 연결되되, 전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기용 연결파이프들이 천장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이동관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감열 및 잠열 양방의 열교환을 수행함으로써 환기에 따른 배기열 회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냉난방 에너지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흡입관에 내외면을 관통하는 흡입공들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됨으로써 흡입공들을 통해 내부 오염된 공기를 더욱 신속하고 철저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환기 및 방역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이동관의 일측에 필터설치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필터부가 수직-이동관의 필터설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 교체가 가능하여 필터교체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설치부가 외주면에 필터부가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직-이동관과, 수직-이동관의 외주부를 둘러싸듯이 설치되는 커버체를 포함하되, 커버체가 수직-이동관에 수평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커버체의 수평이동에 따라 개구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필터부의 조립 및 분해의 조립성 및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콜센터, 사무실 등과 같이 실내 공간(S)의 내부에 다수의 책상들이 밀집되는 환경일 때, 수평-흡입관들을 실내 공간(S)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책상 지지판의 후단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수직기류 현상을 더욱 활성화시켜 재실자들의 바이러스 전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방역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9-0082343호(발명의 명칭 : 복도 및 틈새 공간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 시스템)에 개시된 실내 공기 환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전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의 수평-흡입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수직-이동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필터설치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커버체가 상향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내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커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커버체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커버체의 내주면과 내관체의 경사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수평-흡입관이 책상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1)외기 유입 및 내기 배출을 통해 환기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2)실내 공간(S)의 기류가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감염성 질환의 전염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3)필터부(20)가 수직-이동관(7)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터교체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간(S)의 천장(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열교환부(3)와, 실내 공간(S)의 천장(22)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전열교환부(3)를 통해 외기(실외공기)를 실내 공간(S)으로 공급하는 유입구(8)들과, 실내 공간(S)의 바닥면(21)에 수평하게 안착되어 내기(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수평-흡입관(5)들과, 수평-흡입관(5)들에 수직 연결되는 수직-이동관(7)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 내지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단층 단일구조의 실내 공간(S)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의 다층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층구조에 적용될 때, 전열교환부(3)는 천장의 덕트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공간(S)은 천장(22), 바닥면(21) 및 측벽(23)들에 의해 둘러싸여 밀폐된 장소를 의미하며, 실내 공간(S)의 천장(22)에는 외기를 실내 공간(S)으로 공급하는 유입구(8)들이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내 공간(S)은 주거 공간, 교실, 체육관, 야외 대기박스, 사무실 등과 같이 밀폐된 다양한 장소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전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전열교환기(3)는 천장(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유입하여 실내 공간(S)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내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을 예로 들어 전열교환기(3)를 설명하였으나, 전열교환기(3)의 구조 및 형상은 도 6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열교환기(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과, 열교환수단(32), 급기용 연결파이프(12)들, 배기용 연결파이프(11)들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1)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1)은 일측에 급기유입공(311) 및 배기배출공(321)이 형성되고, 타측에 급기배출공(312) 및 배기유입공(322)이 형성된다.
이때 급기유입공(311) 및 급기배출공(312) 사이에는 유입된 외기가 이동하는 경로인 급기유로(310)가 형성되고, 급기배출공(312)과 인접한 지점의 급기유로(310) 상에는 급기팬(313)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31)의 급기배출공(312)에는 급기용 연결파이프(12)들이 결합되고, 급기용 연결파이프(12)들은 일단부가 급기배출공(312)에 연결되되, 타단부들은 유입구(8)들 각각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천장(22)의 유입구(8)들이 4개가 설치됨에 따라 유입구(8)들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급기용 연결파이프(12)들의 수량 또한 4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급기용 연결파이프(12)들 및 유입구(8)들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내지 3개 또는 5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열교환기(3)는 급기팬(313)에 의해 형성된 공기흐름에 따라 급기유입공(311)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급기유로(310)를 따라 급기배출공(312) -> 급기용 연결파이프(12)들 -> 유입구(8)들을 통해 실내 공간(S)으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31)의 배기유입공(322) 및 배기배출공(321) 사이에는 유입된 내기가 이동하는 경로인 배기유로(320)가 형성되고, 배기배출공(321)과 인접한 지점의 배기유로(320) 상에는 배기팬(323)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31)의 배기유입공(322)에는 배기용 연결파이프(11)들이 연결되고, 배기용 연결파이프(11)들은 일단부가 하우징(31)의 배기유입공(322)에 연결되되, 타단부들은 수직-이동관(7)들 각각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직-이동관(7)들이 4개가 설치됨에 따라 수직-이동관(7)들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배기용 연결파이프(11)들의 수량 또한 4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직-이동관(7)들 및 배기용 연결파이프(11)들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내지 3개 또는 5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열교환기(3)는 배기팬(323)에 의해 형성된 공기흐름에 따라 수직-이동관(7)들 -> 배기용 연결파이프(11)들 -> 배기유입공(322) -> 배기유로(320) -> 배기배출공(321)을 통해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열교환수단(32)은 하우징(31)의 내부에, 배기유로(320) 및 급기유로(310) 사이에 설치되며, 급기유로(310)를 통과하는 외기 및 배기유로(320)를 통과하는 내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흡수한 열을 타측 공기로 전달하여 감열 및 잠열 양방의 열교환을 수행함으로써 환기에 따른 배기열 회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냉난방 에너지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다.
유입구(8)들은 실내 공간(S)의 천장(22)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급기용 연결파이프(12)들과 각각 연결되어 전열교환기(3)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실내 공간(S)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7은 도 2의 수평-흡입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평-흡입관(5)은 실내 공간(S)의 바닥면(21)에 수평하게 안착되며, 상세하게로는 바닥면(21)의 각 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흡입관(5)이 바닥면(21)에 안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평-흡입관(5)은 실내의 구조물(책상, 테이블 등)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들숨으로 인해 배출된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흡입관(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 이동경로(50)가 형성되는 장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평-흡입관(5)은 내외주면을 관통하여 내기가 유입되는 흡입공(51)들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됨으로써 유입구(8)를 통해 실내 공간(S)으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고, 이에 따라 실내 공간(S)에는 수직방향의 기류가 형성됨으로써 실내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재실자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감염성 질환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환기장치가 내부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켜 바이러스 전파에 취약한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흡입관(5)은 양단부가 개구되어 인접한 수평-흡입관과 연결되거나 또는 양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수직-이동관(7)과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수직-이동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직-이동관(7)은 실내 공간(S)에 수직 설치되며, 상세하게로는 재실자의 이동 동선을 방해하지 않도록 실내 공간(S)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이동관(7)은 하단부가 수평-흡입관(5)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천장(22)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어 전열교환기(3)의 배기용 연결파이프(11)와 연결됨으로써 수평-흡입관(5)을 통해 흡입된 내기를 배기용 연결파이프(11)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수직-이동관(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기가 이동하는 경로(71)가 형성되는 장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직-이동관(7)의 길이 방향의 중간 지점에는 필터설치부(70)가 형성되고, 필터설치부(70)로는 필터부(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1)외기를 실내 공간(S)으로 공급하는 유입구(8)들이 천장에 설치되되, 내기를 흡입하는 수평-흡입관(5)들이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내 공간(S)의 수직방향의 기류 형성을 유도하여 내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재실자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내 공간(S)에서의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환기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방역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수평-흡입관(5)들을 통해 흡입된 내기를 곧바로 측벽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직-이동관(7)들을 통해 상부로 이동시킨 후, 상부에서 배출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내기가 배출되는 위치를 사람의 호흡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높이로부터 최대한 상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내 공간(S)과 인접한 외부 사람이 방출된 내부 오염된 공기에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감염성 질환의 불필요한 전파를 더욱 방지함과 동시에 대기오염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8의 필터설치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커버체가 상향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내지 11의 필터설치부(70)는 전술하였던 도 8의 수직-이동관(7)의 중간 지점에 형성된 수직-이동관(이하 내관체라고 함)(710)과, 내관체(710)의 외측을 둘러싸듯이 설치되는 커버체(720)와, 내관체(710)의 개구부(711)로 삽입되어 내관체(7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필터부(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체(720)는 내관체(710)위 외주부를 둘러싸듯이 설치되되, 상하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내관체(710)에 결합된다.
또한 필터설치부(70)의 내관체(710)의 개구부(711)를 통해 필터부(20)가 삽입되어 내관체(710)의 내부 공간에 필터부(20)가 설치되게 된다.
도 12는 도 9의 내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내관체(7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필터부(20)가 통과되는 소정 길이 및 면적의 개구부(711)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711)는 수직-이동관(7)의 단면을 반으로 자른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내관체(710)의 개구부(711)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으로는 개구부(711)를 통과하여 삽입된 필터부(20)가 설치됨으로써 개구부(711)를 통해 필터부(20)를 내관체(710)와 탈부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관체(710)의 개구부(711)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의 내주면에는 걸림턱(미도시)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걸림턱은 내관체(710)의 내주면의 원호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내관체(710)의 내부로 삽입된 필터부(20)를 지지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필터부(20)는 외경이 내관체(710)의 내경과 동일하되, 개구부(711) 보다 미세하게 작은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필터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프리-집진-헤파(hepa)의 3단 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관체(710)의 개구부(711)와 폭 방향으로 인접한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돌부(7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돌부(712)는 상단부가 내관체(710)의 개구부(711)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되, 하단부가 개구부(711)의 하단부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즉 가이드돌부(712)는 개구부(711) 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내관체(71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플렌지(714)가 형성된다. 이때 플렌지(714)의 상면은 가이드돌부(712)의 하단부와 접촉되게 형성되고, 조립 시, 커버체(720)의 하단부가 상면에 접촉되어 커버체(720)를 지지한다.
또한 내관체(710)의 개구부(711)로부터 상향 이격된 지점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고정돌부(71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고정돌부(713)는 내관체(710)의 가이드돌부(712)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되, 가이드돌부(712)와 폭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고정돌부(713)의 상단부로부터 가이드돌부(712)의 상단부까지의 이격거리는 후술되는 도 13의 커버체(72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게 형성된다.
도 13은 도 9의 커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커버체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커버체(720)는 도 13과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내관체(710)의 외경과 동일하되, 내관체(710)의 개구부(711) 보다 긴 길이의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관체(710)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하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내관체(710)에 결합된다.
또한 커버체(720)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직선형상의 슬라이딩홈(721)이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 홈(721)으로는 내관체(710)의 가이드돌부(712)가 삽입됨으로써 커버체(720)는 가이드돌부(712)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커버체(720)의 슬라이딩홈(721)의 길이는 내관체(710)의 가이드돌부(712) 및 고정돌부(713) 사이의 간격 보다 소정 큰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체(720)의 상단부와 인접한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 외측으로 형성되되 원호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홈(722)이 형성되고, 고정홈(722)은 단부가 슬라이딩홈(721)에 연결된다.
이러한 커버체(720)는 내관체(710)를 따라 하향 이동 시,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내관체(710)의 플렌지(714)에 접촉되되 상단부가 내관체(710)의 개구부(711) 보다 상방에 배치됨으로써 내관체(7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체(720)를 상방으로 힘을 주면, 커버체(720)는 가이드돌부(71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방이동이 지속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720)의 슬라이딩홈(721)의 하단부에 내관체(710)의 가이드돌부(712)의 상단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커버체(20)의 슬라이딩홈(721)으로 내관체(710)의 고정돌부(713)가 삽입되게 된다.
이때 커버체(720)가 상방으로 소정 이동되면,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720)가 내관체(710)의 가이드돌부(712)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커버체(720)의 고정홈(722)의 위치에 고정돌부(713)가 위치하게 되고, 내관체(710)의 개구부(711)는 외부에 개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체(720)를 회전시키면 도 15의 (d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체(710)의 고정돌부(713)가 커버체(720)의 고정홈(722)으로 삽입되어 커버체(7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커버체(7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시켜 커버체(7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개방된 내관체(710)의 개구부를 통해 필터부(20)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 및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설치부(70)는 다음의 도 16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도 16은 도 13의 커버체의 내주면과 내관체의 경사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필터설치부(70)의 내관체(710)는 플렌지(714)가 설치된 지점부터 상단부까지의 외주면이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할수록 외경이 미세하게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관체(710)의 상단부에는 현재 작아진 외경을 원래 외경으로 복귀하는 영역(미도시)이 형성되어 수직-이동관(7)과 연설되도록 한다.
커버체(720)의 내주면은 내관체(71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커버체(720)의 내경은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방으로 이동하여 플렌지(714)에 안착될 때의 내관체(71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체(720)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7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힘을 받을 때, 내주면이 내주면이 내관체(7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수평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고정돌부(713)에 의해 고정되어 자유낙하하지 않고 상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커버체(72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개구부(711)가 형성된 내관체(710)를 이동할 때에는 내주면과 내관체(71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게 되고, 최하부 구간에서는 내주면이 내관체(71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하방 이동함으로써 내관체(710)의 개구부는 커버체(720)에 의해 밀폐 및 밀봉되고, 이에 따라 상부로 이동 중인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철저하게 배기용 연결파이프(11)로 이동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수평-흡입관이 책상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평-흡입관(5)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간(S)이 콜센터, 사무실 등과 같이 다수의 책상(400)들이 밀집되는 환경일 때, 책상근무자의 근무특성을 고려하여 실내 공간(S)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책상(400)의 지지판(410)의 후단부와 인접한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수직기류 현상이 더욱 활성화되어 유입된 외기가 책상 근무자의 호흡영역을 거친 후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의 전파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환기 및 방역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수평-흡입관(5)은 책상(400)에 설치될 때, 양단부가 다른 수평-흡입관에 연결되거나 또는 밀폐된 상태로 수직-이동관(7)에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8)들이 천장(22)에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바닥면(21)에 수평-흡입관(7)이 설치되어 실내의 기류가 수직방향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의 전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방역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실내 기류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바이러스 전염률이 높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실내 공간(S)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어 하단부가 수평-흡입관(5)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천장(22)을 관통하여 배기용 연결파이프(11)와 연결되는 수직-이동관(7)들을 포함함으로써 내기가 배출되는 위치를 사람의 호흡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높이로부터 최대한 상방으로 이격시켜 주변 사람이 방출된 내부 공기에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방역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킴과 동시에 대기오염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천장(22) 부에 전열교환기(3)설치함과 동시에 전열교환기(3)에 연결되는 급기용 연결파이프들이 천장의 유입구들에 각각 연결되되, 전열교환기(3)에 연결되는 배기용 연결파이프들이 천장의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이동관(7)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감열 및 잠열 양방의 열교환을 수행함으로써 환기에 따른 배기열 회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냉난방 에너지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수평-흡입관(5)에 내외면을 관통하는 흡입공(51)들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됨으로써 흡입공(51)들을 통해 내부 오염된 공기를 더욱 신속하고 철저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환기 및 방역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수직-이동관(7)의 일측에 필터설치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필터부(20)가 수직-이동관(7)의 필터설치부(7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 교체가 가능하여 필터교체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필터설치부(70)가 일측 외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직-이동관(7)과, 수직-이동관(7)의 외주부를 둘러싸듯이 설치되는 커버체(720)를 포함하되, 커버체(720)가 수직-이동관(7)에 수평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커버체(720)의 수평이동에 따라 개구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필터부의 조립성 및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1)은 콜센터, 사무실 등과 같이 실내 공간(S)의 내부에 다수의 책상들이 밀집되는 환경일 때, 수평-흡입관들을 실내 공간(S)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책상 지지판의 후단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수직기류 현상을 더욱 활성화시켜 재실자들의 바이러스 전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방역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1: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3:전열교환기 5:수평-흡입관
7:수직-이동관 8:유입구 11:배기용 연결파이프
12:급기용 연결파이프 20:필터부 21:바닥면
22:천장 23:측벽 31:하우징
32:열교환수단 51:흡입공 310:급기유로
311:급기유입공
312:급기배출공 323:급기팬 320:배기유로
321:배기배출공 322:배기유입공 323:배기팬

Claims (8)

  1. 실내 공간(S)을 환기시키기 위한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실내 공간(S)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
    상면에 흡입공들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 또는 실내 구조물에 안착되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S)으로 배출된 내기를 상기 흡입공들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실내 공간(S)이 수직기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부;
    외기를 급기하여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전달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
    하단부가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되, 상단부가 상기 천장에 연결되도록 수직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내기를 상기 천장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는 천장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유입구는 천장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부가 상기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S)의 내부 기류가 수직방향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부는
    원통 또는 다면체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기체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내외면을 관통하는 흡입공들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원통 또는 다면체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기체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수평-흡입관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상기 천장을 관통하도록 수직 설치되는 수직-이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직-이동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관의 일측에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필터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설치부는
    상기 수직-이동관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으로 상기 필터부가 설치되는 내관체와, 상기 내관체의 외주부를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내관체와 결합되는 중공원통 형상의 커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관체는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와 인접한 지점의 외주면에 플렌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플렌지에 연결되되, 상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돌부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방 이격되되, 폭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돌부와 동일한 폭의 위치인 지점에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개구부보다 큰 길이의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단부와 인접한 내주면에 외측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슬라이딩홈에 연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돌부의 상단부까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커버체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상기 가이드돌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돌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최하방 이동 시, 상기 내관체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며,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딩 홈으로 상기 가이드돌부의 삽입이 해제되면서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이 상기 고정돌부와 동일한 높이인 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고정되어 상기 내관체의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단부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급기된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기용 연결파이프;
    단부가 상기 수직-이동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관의 내기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용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환기부는 전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흡입관은
    상기 실내 공간(S)의 구조물이 책상일 때, 용품이 안착되는 지지판의 후단부와 인접한 지점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KR1020200064288A 2020-05-28 2020-05-28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KR10226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88A KR102267814B1 (ko) 2020-05-28 2020-05-28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88A KR102267814B1 (ko) 2020-05-28 2020-05-28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814B1 true KR102267814B1 (ko) 2021-06-21

Family

ID=7659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88A KR102267814B1 (ko) 2020-05-28 2020-05-28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687A (ko) * 2021-07-16 2023-01-26 이한형 방역효율성을 높인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수직기류형 냉난방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211A (ko) * 2009-09-10 2011-03-16 이원욱 슬라이딩 방식의 건축물 에어 흡, 배기 유닛
KR20120041031A (ko) * 2010-10-20 2012-04-30 김동균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130096586A (ko) * 2012-02-22 2013-08-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벽체일체형 환기장치
JP2014180642A (ja) * 2013-03-21 2014-09-29 Ryuki Engineering:Kk 集塵装置
KR20140131578A (ko) * 2012-03-02 2014-11-13 해밀턴 보나두츠 악티엔게젤샤프트 호흡 튜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211A (ko) * 2009-09-10 2011-03-16 이원욱 슬라이딩 방식의 건축물 에어 흡, 배기 유닛
KR20120041031A (ko) * 2010-10-20 2012-04-30 김동균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130096586A (ko) * 2012-02-22 2013-08-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벽체일체형 환기장치
KR20140131578A (ko) * 2012-03-02 2014-11-13 해밀턴 보나두츠 악티엔게젤샤프트 호흡 튜브
JP2014180642A (ja) * 2013-03-21 2014-09-29 Ryuki Engineering:Kk 集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687A (ko) * 2021-07-16 2023-01-26 이한형 방역효율성을 높인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수직기류형 냉난방 시스템
KR102606894B1 (ko) * 2021-07-16 2023-11-29 정인글로벌테크 주식회사 방역효율성을 높인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수직기류형 냉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771B2 (en) Ventilating system
US7591720B2 (en) Ventilating system
WO2004072558A1 (ja) 排気方法および局所換気方法、ならびに排気装置、局所換気装置および換気システム
JP5626588B2 (ja) 空調システム
KR102267814B1 (ko) 방역효율성을 높인 수직기류형 환기시스템
KR102105006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0852765B1 (ko) 환기 캡 및 이를 적용한 환기장치
US2023010949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pread of air-borne contaminants
KR101975714B1 (ko) 열회수환기장치
KR102348740B1 (ko)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수직기류형 냉방시스템
KR102537504B1 (ko) 감염병 전파 방지를 위한 공조 설비
CN113944968B (zh) 空气调节系统
JP5397586B2 (ja) 解剖室の換気装置
KR102088698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급기디퓨져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0753976B1 (ko) 하부 흡입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열교환 환기 장치
KR102606894B1 (ko) 방역효율성을 높인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수직기류형 냉난방 시스템
JPH0466034A (ja) 動物飼育装置
JPH02282642A (ja) 熱交換換気設備
KR20000061682A (ko) 공기청정기
JP4574317B2 (ja) 暖房空調方法及び暖房空調システム
KR102570303B1 (ko) 소음 저감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환기장치
JP2506467Y2 (ja) 動物飼育装置
JP2024003936A (ja) 還気用室内グリル
KR102267418B1 (ko) 환기 디퓨저용 청소 어댑터
WO2022114149A1 (ja) 空気浄化装置及び該空気浄化装置を含む空気浄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