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82Y1 -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1382Y1 KR200441382Y1 KR2020070001070U KR20070001070U KR200441382Y1 KR 200441382 Y1 KR200441382 Y1 KR 200441382Y1 KR 2020070001070 U KR2020070001070 U KR 2020070001070U KR 20070001070 U KR20070001070 U KR 20070001070U KR 200441382 Y1 KR200441382 Y1 KR 20044138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kitchen
- case
- wall surface
-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구비되어서 주방의 벽면에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차단막을 형성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모터를 구비한 송풍부재와,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 및 상기 주방에 구비된 조리기구 주변에 설치되어 조리 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부재에 신호를 전달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주방, 공기차단막, 열감지센서, 송풍부재, 컨트롤부재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가 상부벽면과 하부벽면 사이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그릴부재에 필터부재가 착탈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관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관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가 하부벽면 하측에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가 상부벽면 하측에 노 출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의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케이스 3 : 흡입구
5 : 토출구 10 : 히터부재
12 : 히터브라켓 14 : 히터관
16 : 방열판 20 : 광촉매패널
22 : 자외선램프 24 : 지지부재
30 : 송풍부재 32 : 송풍팬
34 : 송풍모터 40 : 음이온발생부
42 : 고압발생부재 44 : 전선
46 : 감응코일 48 : 세라믹부재
49 : 주석부재 50 : 베이스부재
52 : 내측면 54 : 에어가이드
56 : 방음패드 58 : 루버
60 : 리모트컨트롤 70 : 컨트롤부재
72 : 열감지센서 74 : 냄새센서
76 : 수동조작부 78 : 리모컨수신부
80 : 고정판넬 81 : 주방
82 : 거실 84 : 조리기구
86 : 상부벽면 88 : 하부벽면
89 : 공기유입구 90 : 흡입부
92 : 연결부재 94 : 걸림턱
96 : 고정부재 98 : 체결공
99 : 장착고리 100 : 그릴부재
102 : 에어그릴 104 : 체결후크
106 : 가이드돌기 107 : 고정편
108 : 연결공 109 : 힌지핀
110 : 필터부재 120 : 원형플렉시블관
122 : 타원형플렉시블관 124 : 덕트관
130 : 고정판재 132 : 체결부재
134 : 보조지지바 140 : 브라켓부재
150 : 공기차단막
본 고안은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음식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가 거실을 포함하여 집안의 다른 곳으로 전파됨을 방지 하기 위하여 주방의 경계부에 공기차단막을 형성하게 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주상복합 건물 및 일반 주택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인 주방이 구비된다.
상기 주방에는 가스렌지와 오븐을 포함한 다양한 조리기구 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요리를 할 경우 음식냄새가 거실을 포함한 집안의 다른 공간으로 퍼져 불쾌감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주방공간에서 발생된 각종 냄새가 집안의 다른 구역으로 전달되어 거주자의 불쾌감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구비되어서 주방의 벽면에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차단막을 형성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모터를 구비한 송풍부재와, 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 및 상기 주방에 구비된 조리기구 주변 에 설치되어 조리 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부재에 신호를 전달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는 상기 주방과 다른 공간의 경계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방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방에서 냄새가 발생됨을 센싱하여 상기 컨트롤부재에 신호를 전달하는 냄새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방 상측의 벽면은 상부벽면과 하부벽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부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부벽면에 관통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벽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흡입구 사이에는 공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관로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로부는 신축이 용이한 플렉시블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관은 곡선의 라운드부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관로부가 연결되는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에어그릴이 구비된 흡입부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관로부의 일단이 말려서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이 구비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며 내측에는 에어그릴이 구비된 그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부재의 내측면에는 필터부재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측에는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부재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어 자외선 조사에 반응하여 공기를 정화 시키는 광촉매패널과, 상기 광촉매패널에 자외선을 조사시켜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서 고압의 전원을 인가하는 고압발생부와, 상기 고압발생부의 전원이 연결된 감응코일과, 상기 감응코일이 내부에 삽입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세라믹부재와, 상기 세라믹부재의 외측에 띠 모양으로 둘러싼 주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재의 측면에는 방음패드가 장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방에 설치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가 상부벽면과 하부벽면 사이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그릴부재에 필터부재가 착탈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관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관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가 하부벽면 하측에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가 상부벽면 하측에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는 흡입구(3)와 토출구(5)가 각각 구비된 케이스(1)가 주방(81)의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1)는 베이스부재(50)와 함께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토출구(5)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32)과, 상기 송풍팬(32)을 구동하기 위한 송 풍모터(34)를 구비한 송풍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34)는 모터브라켓에 의하여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 후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50) 사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34) 양측에 장착되는 송풍팬(32)은 베어링이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50) 양단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송풍부재(3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50) 또는 케이스(1)에는 방음패드(56)가 설정된 부분으로 나뉘어져 설치된다.
상기 방음패드(56)는 소음 저감을 위하여 다수개의 돌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재(30)에서 발생된 소음은 상기 돌출 돌기에 부딪혀서 흡수 및 반사되어 소음이 저감된다.
상기 방음패드(56)는 히터부재(10)에 의한 영향을 덜 받도록 열에 강한 내열성 및 내연성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부재(30)에 의하여 주방(81)의 경계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재(10)는 상기 케이스(1)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히터부재(10)는 상기 흡입구(3)와 상기 송풍팬(32)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히터부재(10)는 전기 공급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관(14)과, 상기 히터관(14)의 외주면에 장착된 방열판(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히터관(14)은 직사각형의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방열판(16)은 상기 히터관(14) 사이에 지그재그 형상의 격판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다.
상기와 같은 히터관(14)과 방열판(16)의 조립체는 사각판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네 모서리가 히터브라켓(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히터관(14)과 방열판(16)으로 이루어진 조립 단위는 절연체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히터관(14)의 일단에는 전원단자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을 받는 통로가 된다.
상기와 같은 히터부재(10)는 피티씨(PTC)히터를 사용하게 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기술 사상안에서 다양한 히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풍팬(32)의 측면에는 절곡 형성된 에어가이드(54)가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흡입구(3)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5)를 통해 나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의 후측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50)에는 상기 송풍팬(32)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 흐름이 송풍모터(34)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송풍모터(34)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부재(50)에는 안내판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10)와 상기 송풍부재(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1) 내측에 중앙전산장치가 구비된 컨트롤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부재(70)에는 열감지센서(72)와 냄새센서(74)와 수동조작부(76)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열감지센서(72)는 상기 주방(81)에 구비된 조리기구(84) 주변에 설치되 어 있으며, 상기 조리기구(84)를 이용한 주방(81)의 조리작업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부재(70)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냄새센서(74)는 상기 주방(8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방(81)에서 발생되는 냄새입자의 농도가 증가됨을 측정하여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냄새입자가 많아지면 상기 컨트롤부재(70)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냄새센서(74)의 출력은 검출회로와 증폭회로를 통해 컨트롤부재(70)로 전달되며, 상기 냄새센서(74)는 일반적으로 냄새 측정에 사용되는 센서 및 고감도 금속산화를 열선형 반도체의 원리를 적용 및 응용한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재(70)의 측면에는 리모컨수신부(78)가 설치되어 리모트컨트롤(60)에 의하여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재(70)에는 오존발생부가 연결되어 공기차단막(150)을 형성하는 공기를 오존으로 살균하게 되며, 상기 오존발생부는 상기 케이스(1) 내측에 설치되어 오존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오존발생부는 상기 송풍팬(32)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에 접하도록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오존발생부의 구성은 상기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어서 고압의 전원을 인가하는 고압발생부재(42)와, 상기 고압발생부재(42)의 전원이 연결된 감응코일(46)과, 상기 감응코일(46)이 내부에 삽입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세라믹부재(48)와, 상기 세라믹부재(48)의 외측에 띠 모양으로 둘러싼 주석부재(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방전관(放電管)은 수 cm의 간격을 가진 2중 유리관으로 되어 있으며, 내관(內管)의 안쪽과 외관(外管)의 바깥쪽에 주석 박(箔)을 입히고, 감응(感應)코일에 의해서 5~25kV의 교류전압을 가하여 무성방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쪽에서 건조한 산소 또는 공기를 보내면, 산소의 일부가 오존으로 변하여 함유량 10% 정도의 오존과 산소의 혼합물이 나온다.
오존이 가지는 효용으로 인해 공기차단막(150)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게 되며 공기정화의 기능도 포함하게 된다.
이 외에도 전기분해에 의한 오존발생은 황산용액에 백금 또는 과산화납의 전극(電極)을 사용해서 전기분해하여 20% 정도의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1) 내측에는 광촉매층이 코팅되어 있는 광촉매패널(20)이 설치된다.
상기 광촉매패널(20)은 자외선 조사에 반응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게 되며, 상기 광촉매패널(20)에 자외선을 조사시켜 상기 광촉매패널(20)에 코팅된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자외선램프(22)는 양측이 지지부재(24)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토출구(5) 주변에 설치된다.
상기 자외선램프(22)가 동작되면 200~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토출구(5)를 통해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자외선이 케이스(1) 내벽에 장착된 광촉매패널(20)에 조사되면서 산화티탄이 촉매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공기중의 오염물질이나 부유균 및 역겨운 냄새의 공기분자를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시켜 탄산가스나 물로 분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부재(70)의 좌우측에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58)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50) 후측에는 고정판넬(80)이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는 상기 주방(81)과 다른 공간의 경계부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주장은 거실(82)과 접하여 설치됨이 일반적으며, 상기 주방(81)과 거실(82)의 경계부 상측에 송풍부재(30) 등이 내측에 설치된 케이스(1)가 고정된다.
상기 주방(81) 상측의 벽면은 상부벽면(86)과 하부벽면(88)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는 상기 상부벽면(86)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구(5)는 상기 하부벽면(88)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주방(81)에 구비된 조리기구(84) 측면 또는 상측에 열감지센서(72)가 설치되어 조리여부를 센싱하게 되며, 주방(81)의 측면이나 상측면에 냄새센서(74)가 장착되어 설정값 이상으로 냄새가 발생되면 공기차단막(150)이 주방(81)과 거실(82)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벽면(88)에 공기유입구(89)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89)와 상기 흡입구(3) 사이에는 공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관로부가 설치된다.
상기 관로부는 신축이 용이한 플렉시블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덕트관(124)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가 하부벽체 상측에 설치되는 매립형일 경우, 상기 흡입구(3)로 흡입되는 공기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하측공간에서 흡입구(3)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인 관로부의 구성이 필요하다.
상기 관로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플렉시블관(120)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타원형플렉시블관(122)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형플렉시블관(120)과 타원형플렉시블관(122)을 포함한 플렉시블관은 신축이 용이하며 꺽임동작도 자유로워서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플렉시블관(120)과 타원형플렉시블관(122)의 양측에는 곡선의 라운드부가 구비되어, 설치 공사중 상기 플렉시블관이 가압되더라도 관로의 찌그러짐이나 변형을 최소로 하게된다.
본 고안에 의한 관로부는 상기 하부벽면(88)에 형성된 공기유입구(89)와 케이스(1)의 흡입구(3)를 연결시키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관로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관로부가 연결되는 상기 공기유입구(89)에는 에어그릴(102)이 구비된 흡입부(90)가 장착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90)는 상기 관로부의 일단이 말려서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94)이 구비된 연결부재(92)와, 상기 연결부재(9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벽면(88)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공(98)이 구비된 고정부재(96) 및 상기 고정부재(96)에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며 내측에는 에어그 릴(102)이 구비된 그릴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릴부재(100)에는 에어그릴(102)이 설정된 각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됨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의 기능과 함께 관로부 내측이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그릴부재(100)의 일측에는 체결후크(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힌지 연결을 위하여 통공이 형성된 연결공(108)과 힌지핀(109)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부재(100)의 내측면(52)에는 필터부재(110)가 장착되기 위하여 'ㄱ'자로 절곡된 가이드돌기(106) 및 상기 필터부재(110)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돌기(106)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편(107)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재(110)는 상기 가이드돌기(106)와 고정편(107)에 의하여 그릴부재(100) 후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가 된다.
상기 필터부재(110)는 상기 그릴부재(10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와 같은 필터부재(110)는 데미스터 필터(Demister filter)와 트리오신 필터(Triosyn filter)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층이 적층되거나, 부직포 등의 단일 필터만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그릴부재(10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중에서 각종 오일미스트(oil mist)는 데미스터필터에 집진되어지고 실내공기에 포함되어져 있던 바실리스균은 트리오신필터에 의해 1차 살균처리되어지게 된다.
상기 그릴부재(100)가 힌지 연결되기 위한 고정부재(96)의 일측에는 장착고리(99)가 형성된다.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벽면(88) 내측에 설치되어 매립형으로 설치되거나,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매립형으로 설치시, 상부벽면(86)에 고정판재(130)를 위치하고 체결부재(132)를 이용하여 고정판재(130)를 상부벽면(86)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강성 보강을 위하여 상기 고정판재(130) 측면에 보조지지바(134)를 설치한 후에, 상기 고정판넬(80)과 고정판재(130)를 체결하고, 고정판넬(80)과 베이스부재(50)를 체결하여 송풍부재(30)가 설치된 케이스(1)를 상부벽면(86)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를 하부벽면(88) 하측에 고정시킬 경우, 별도의 브라켓부재(140)를 상부벽면(86)에 먼저 고정시킨 후에 상기브라켓부재(140) 하측에 케이스(1)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는 상부벽면(86)만 설치된 경우, 상기 케이스(1)를 상부벽면(86)에 직접 고정시키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로 절곡된 고정판재(130)와 체결부재(132)를 이용하여 케이스(1)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1)의 체결방법 외에도 다양한 체결 방식이 상기 케이스(1)의 고정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 내측에 설치된 컨트롤부재(70)는 주방(81)의 벽면에 설치된 수동조작부(76)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송풍부재(3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가 구비되며, 상기 타이머는 상기 컨트롤부재(7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10)에는 과열방지센서가 장착되어 일정 온도 이상 과열되면 작동을 히팅동작이 중지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10)는 자체 발열이 이루어질 뿐 인접한 다른 부재에 불이 붙지 않는 피티씨(PTC)히터, 관로 내측에 열선이 삽입된 파이프히터, 발열이 되는 선이 권선된 열선히터 등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재(10) 및 송풍부재(30)를 작동시키기 위해 리모트컨트롤(60)이 구비되나, 상기 리모트컨트롤(60)이 작동되지 않을 때를 대비하여 수동으로 기기를 작동할 수 있는 수동작동부가 상기 컨트롤부재(70)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는 사각 형상을 갖게 되나, 전면의 하측이 라운드된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외형의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주방(81)에서 조리를 할 경우, 조리기구(84)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하여 열감지센서(72)가 동작되거나, 조리 냄새에 의하여 냄새센서(74)가 동작되어 컨트롤부재(70)에 측정값을 전달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조작부(76)를 조작하거나 리모트컨트롤(60)을 조작하여 컨트롤부재(70)에 동작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재(70)는 동작신호나 측정값을 비교하여 송풍부재(30)와 히터 부재(10)와 오존발생부 및 광촉매발생부에 동작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히터부재(10)는 실내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일 경우, 주로 겨울철 실내온도에 해당되는 온도일 경우 작동되도록 하여, 온풍을 이용하여 공기차단막(15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부재(30)의 동작에 의하여 거실(82)의 공기는 에어그릴(102)과 필터부재(110)를 통과하여 관로부로 유입되어 케이스(1) 전면의 흡입구(3)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흡입구(3)로 들어온 공기는 히터부재(10)에 의하여 가열된 후에 음이온발생부(40)를 지나게 된다.
상기 고압발생부재(42)에서 인가되는 고압 전류(DC 12~15V)에 의해 감응코일(46)과 주석부재(49) 간에 발생하는 무성방전법에 의해 세라믹부재(48)에서 음이온과 함께 오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오존 발생량은 0.02ppm으로 대기환경기준치(0.05ppm)에 미달되는 농도를 발생시키면서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바실리스균 외에 각종 바이러스균 및 살모넬라와 대장균과 O-157균과 포상구균 등의 세균을 살균처리하게 된다.
상기 오존에 의하여 살균된 공기는 광촉매 지역을 지나면서 활성화된 광촉매에 의해 음이온 및 산화티타늄의 산화력이 작용하여 유입공기에 포함되어져 있는 각종 냄새 탈취와 기타 휘발성 유기용제를 제거할 수 있게된다.
상기 히터부재(10)는 별도로 구비된 온도센서와 컨트롤부재(70)에 의하여 작동 여부가 판단되어 여름철을 포함하여 실내 기온이 높을 경우에는 작동이 중지된 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구(89)는 거실(82)을 향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주방(81)을 향하여 공기유입구(89)가 설치됨으로 주방(81) 내측에서 발생된 음식냄새를 제거하는 것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먼지 및 세균등이 제거된 공기는 주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히터부재(10)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로 하측으로 토출되어 공기차단막(15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차단막(150)에 의하여 상기 부엌에서 발생된 냄새는 거실(82) 등의 다른 공간으로 퍼져나감을 방지하게 됨으로,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89)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가 상기 관로부의 수평거리 만큼 이격된 것에 의하여, 공기차단막(150)에 의하여 토출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구(89)로 역류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는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것과 방음패드(56)가 장착된 것에 의하여 소음이 저감되며,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로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토출구(5)로 나간 공기가 흡입구(3)로 바로 역류됨을 차단하게 되어 동작 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여름에는 주방(81)의 열기가 거실(82)을 포함한 다른 공간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게 되며, 겨울에는 따뜻한 바람을 이용하여 공기차단막(150)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는 종래 고안과 달리 주방공간에서 발생된 각종 냄새가 집안의 다른 구역으로 전달됨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어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게 되며, 공기유입구와 토출구의 거리가 이격됨으로 인하여 토출된 공기가 바로 유입됨을 방지하여 동작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구비되어서 주방의 벽면에 고정된 케이스;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차단막을 형성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모터를 구비한 송풍부재;상기 송풍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 및상기 주방에 구비된 조리기구 주변에 설치되어 조리 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부재에 신호를 전달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고,상기 송풍부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측에는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부재가 장착되며,상기 송풍부재의 측면에는 방음패드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상기 주방과 다른 공간의 경계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컨트롤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방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방에서 냄새가 발생됨을 센싱하여 상기 컨트롤부재에 신호를 전달하는 냄새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주방 상측의 벽면은 상부벽면과 하부벽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부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부벽면에 관통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벽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흡입구 사이에는 공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관로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관로부는 신축이 용이한 플렉시블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플렉시블관은 곡선의 라운드부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관로부가 연결되는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에어그릴이 구비된 흡입부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흡입부는 상기 관로부의 일단이 말려서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이 구비된 연결부재;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부재; 및상기 고정부재에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며 내측에는 에어그릴이 구비된 그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그릴부재의 내측면에는 필터부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히터부재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어 자외선 조사에 반응하여 공기를 정화 시키는 광촉매패널과,상기 광촉매패널에 자외선을 조사시켜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서 고압의 전원을 인가하는 고압발생부재;상기 고압발생부재의 전원이 연결된 감응코일;상기 감응코일이 내부에 삽입되어 오존을 발생시키는 세라믹부재;상기 세라믹부재의 외측에 띠 모양으로 둘러싼 주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1070U KR200441382Y1 (ko) | 2007-01-22 | 2007-01-22 |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1070U KR200441382Y1 (ko) | 2007-01-22 | 2007-01-22 |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2839U KR20080002839U (ko) | 2008-07-25 |
KR200441382Y1 true KR200441382Y1 (ko) | 2008-08-13 |
Family
ID=4149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1070U KR200441382Y1 (ko) | 2007-01-22 | 2007-01-22 |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1382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5384B1 (ko) * | 2013-09-06 | 2015-06-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CN110657473A (zh) * | 2019-09-18 | 2020-01-07 | 杭州茜米露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故障检测功能的光解油烟净化系统 |
-
2007
- 2007-01-22 KR KR2020070001070U patent/KR20044138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2839U (ko) | 2008-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2033664T3 (en) | sterilization process | |
AU2001280189B2 (en) | Air refining device and ion generator used for the device | |
JP5221003B2 (ja) | 湿度調節兼殺菌器、それを備えた換気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 | |
JP4054010B2 (ja) | 換気兼用空気清浄器 | |
CN205783264U (zh) | 杀菌加湿空气净化型取暖器 | |
KR101188774B1 (ko) | 열풍기 | |
JP2007232323A (ja) | 天井扇 | |
CN202868826U (zh) | 多功能取暖器 | |
JP6245243B2 (ja) | 換気システム | |
JP4803208B2 (ja) | 浴室空調装置 | |
KR200441382Y1 (ko) |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 |
JP2004211959A (ja) | 浴室空調装置 | |
CN200957055Y (zh) | 负离子杀菌烘手机 | |
KR100934977B1 (ko) | 광촉매 램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살균기 | |
CN111637559A (zh) | 一种集成取暖除湿净化杀菌消毒加湿功能的机器 | |
JP4255280B2 (ja) | 浴室空調装置 | |
CN218033755U (zh) | 多功能装饰罩及热水器 | |
CN218672338U (zh) | 一种可净化并消毒空气的电暖器 | |
CN212901883U (zh) | 一种集成取暖除湿净化杀菌消毒加温功能的机器 | |
AU2006200626B2 (en) | Air refining device and ion generator used for the device | |
KR20090123649A (ko) |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 |
KR20210043431A (ko) | 조명기구일체형 공기정화시스템 | |
JP4795399B2 (ja) | 浴室空調装置 | |
JP2012215333A (ja) | 空気処理装置 | |
JP2014204835A (ja) | 脱臭装置、空気清浄機、および換気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