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649A -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 Google Patents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649A
KR20090123649A KR1020080049820A KR20080049820A KR20090123649A KR 20090123649 A KR20090123649 A KR 20090123649A KR 1020080049820 A KR1020080049820 A KR 1020080049820A KR 20080049820 A KR20080049820 A KR 20080049820A KR 20090123649 A KR20090123649 A KR 2009012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unit
air circulation
circu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756B1 (ko
Inventor
조항백
조항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세
Priority to KR102008004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75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을 발생하는 가열유닛이 구비되어 사우나 또는 찜질효과가 가능한 챔버 내부를 챔버 외부와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적외선으로 인한 치료 및 찜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발생함과 동시에 복사열 방식으로 상기 챔버 내부공간에 수용된 사람이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도록 하는 적외선 발생유닛 및 상기 챔버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서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를 제공한다.
챔버, 적외선, 공기순환

Description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Chamber Having Heating Unit And Air Circulation Unit}
본 발명은 가열유닛이 구비된 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발생이 가능한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을 동시에 구비한 챔버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고도의 산업사회와 도시화 현상으로 인하여 공기와 물 등이 오염되고, 이와 같은 오염된 공기와 물 등으로 인하여 체내에 납, 카드뮴, 니켈 등과 같은 중금속류 등이 많이 쌓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체내에 쌓인 중금속류를 염분, 콜레스테롤 등과 함께 땀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현대인의 각종 성인병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하여 찜질방 또는 사우나가 구비된 목욕탕을 많이 찾게 된다.
종래 찜질방 또는 사우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종래 사우나나 찜질방은 사용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일측에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용 공간의 일측에는 히터 등의 열원을 두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공간의 수증기 및 공기 등을 통한 대류를 이용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정 높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종래 사우나나 찜질방은 그 내벽이 스기목과 삼나무나, 적외선 방사를 위하여 세라믹과 황토 등을 사용하여 일정 치료효과 및 탈취효과를 얻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사우나나 찜질방의 경우에는 따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장치가 없었으며, 일정 시간 마다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 공기를 외부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공기를 순환시켰었다.
그런데, 종래 찜질방이나 사우나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도어를 자주 열고 닫게 되면 외부의 찬 공기가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 경우, 대류방식에 의하여 일정 온도까지 가열되었던 내부의 공기온도가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내려가게 되므로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가 현저히 줄어들게 되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도어를 최대한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하지만, 도어를 닫힌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있으면 내부 공간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산소 부족이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오랜 시간 사용에 의하여 내부 공간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도 계속 축적된다.
즉,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내부 공간 내 공기의 질이 안 좋은 상태로 변하게 되어, 산소부족 또는 이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하여 질식사 등이 발생할 수도 있었다.
그러므로, 외부의 공기와 순환이 가능하여 내부의 신선한 공기의 부족 등으로 인한 질식사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순환과 동시에 찜질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열전달이 가능한 가열유닛의 개발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순환 또한 가능한 챔버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가열유닛이 구비된 챔버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이 복사방식으로 직접 사용자에게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우나나 찜질효과를 얻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챔버 외부의 공기와 순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챔버 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위치로 다수 개의 가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유닛이 적외선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찜질 및 사우나 효과는 물론 치료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한 챔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특히 가스가열방식에 의한 적외선 발생장치가 구비된 챔버의 경우에 공기순환을 통하여 챔버 내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스의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챔버 내 공간에 유해가스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발생함과 동시에 복사열 방식으로 상기 챔버 내부공간에 수용된 사람이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도록 하는 가열유닛과, 상기 챔버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서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을 포 함하여 구성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챔버 외부의 공기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기덕트에는 상기 급기덕트 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배기덕트 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급기덕트에는 상기 챔버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기를 공급 시에 소정의 향을 공급 가능하도록한 방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다수개의 분지된 급기덕트 및 다수개의 분지된 배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유닛은 적외선 발생부와 상기 적외선 발생부를 가열하여 적외선을 발생토록 하는 가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적외선 발생부를 가열시키는 전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은 가스주입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 구비되며, 세라믹 성분을 함유한 촉매층과 상기 케이스 내에서 촉매층 인근에 구비되 어, 상기 촉매층이 상기 연소가스에 의해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촉매층을 예열시키는 예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챔버 내에는 상기 챔버 내 산소량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는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챔버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에는 복사열 방식으로 상기 챔버 내부공간에 수용된 사람이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도록 하는 가열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챔버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에는 챔버 내부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서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급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덕트에는 상기 급기덕트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에 구비되는 급기덕트가 연결되는 메인 급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챔버에 구비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배기덕트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에 구비되는 배기덕트가 연결되는 메인 배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의 효 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챔버 내부에 직접 사용자에게 복사방식으로열을 전달하는 가열유닛을 구비토록 하고 공기순환유닛을 구비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가열 유닛이 특히 가스 방식인 경우에 공기순환유닛을 통하여 새로운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가스 연소 시 산소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복사방식의 가열유닛을 적외선을 발생하는 유닛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우나 및 찜질 효과는 물론 치료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급기덕트 내부에 방향장치를 설치하여 챔버 내부로 소정의 향을 공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도 취하게 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다수개의 챔버가 있는 경우에, 하나의 메인 급, 배기덕트와 분지된 급, 배기덕트를 두어 상기 챔버 각각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덕트의 설치구조 및 유지보수를 보다 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챔버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산소부족이나 이산화탄소 중독 등으로 인한 질식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 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챔버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챔버(110)와 상기 챔버(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생유닛(2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200)은 적외선을 발생함과 동시에 복사열 방식으로 상기 챔버(110) 내부공간에 수용된 사람에게 직접 열이 조사됨으로써 땀이 나도록 즉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적외선 발생유닛은 원적외선, 중적외선, 근적외선 등 다양한 적외선 발생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적외선 발생유닛으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일반적으로는 열을 발생함과 동시에 치료효과도 뛰어난 원적외선 발생유닛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챔버(110)에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서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챔버(110)의 상부에 구비될 것이나, 상기 챔버(110)의 일측이나 하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챔버(110) 외부의 공기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덕트(310)와 상기 챔버(110) 내부의 공기를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덕트(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기덕트(310)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313)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덕트(320) 내부에도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323)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필요 시에 상기 댐퍼(313,323)를 개방시켜 공기순환은 물론 챔버 내부의 온도조절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각 댐퍼(313.323)는 공기의 흐름 자체를 개방하거나 완전히 폐쇄할 수도 있음은 물론, 그 개폐 정도에 따라서 상기 각 덕트(310,320) 내부를 흐르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댐퍼는 모터 및 힌지 등으로 이루어진 댐퍼조절부(380: 도 6 참조)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310) 및 배기덕트(320)에는 각각,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챔버(110) 내부로 공급하거나 챔버(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챔버(110)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420,440)을 구비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송풍팬(420,440)은 챔버(110)의 외부에 설치될 것이며, 또한 안전상의 이유로 소정의 케이스(410,430) 내측에 구비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송풍팬(420,440)을 구동하는 송풍팬모터(480: 도 6 참조)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챔버(110) 내부로 공기를 공급 시에 소정의 향을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 가능하도록 방향장치(315)가 상기 공기순환유닛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기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상기 급기덕트(310) 내부에 상기 방향장 치(315)가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방향장치는 상기 챔버 내 소정의 위치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200)은 적외선 발생부와 상기 적외선 발생부를 가열하여 적외선을 발생토록 하는 가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은 공지된 여러 형태의 적외선 발생유닛의 채택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일예로서 전기식 또는 가스식으로 가열하는 적외선 발생유닛의 대표적 형태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식 적외선 발생유닛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식 적외선 발생유닛(200)은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70) 내부 전방측에 적외선 발생부(2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생부(240)에서 적외선이 발생하도록 가열하는 전열선(231)이 구비된 가열부(230)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적외선 발생부에는 맥반석분, 견운모, 백운모, 흑운모 등의 운모분 및 제올라이트 등이 발라져 있어, 상기 전열선(231)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하면 상기 적외선 발생부(270)로부터 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 방식의 적외선 발생유닛에 대한 부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상기 적외선 발생부(240)를 가열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가스가열식 적외선 발생장치(200)의 경우,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1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후방측으로는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주입부(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스 내측 후방으로는 가열부(230)가 구비되며, 전방측으로 적외선 발생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230) 내측에는 미리 예열을 시키는 히터(235)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적외선 발생부(240)는 촉매층으로 이루어진다. 즉,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층에 귀금속 촉매가 코팅된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귀금속 촉매는 백금, 로듐 또는 팔라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발생부인 촉매층으로 연소가스가 면상에 균일하게 공급되고, 상기 촉매층이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 분위기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연소가스는 화염이 없이 귀금속으로 인한 촉매반응 즉, 산화연소반응을 일으켜 열이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적외선이 다량 발생된다.
이와 같은 가스 가열방식의 적외선 발생 유닛도 여러 다양한 형태의 채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은 여러 형태의 전기식 또는 가스가열식 모두가 채택이 가능하며, 이미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 적외선 발생유닛에는 등유나 경유 등 기름을 이용함으로써 적외선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등유와 경유와 전기방식을 동시에 이용 하여 전외선을 발생하는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챔버(110)에 공기순환유닛이 설치된 구조만이 도시 및 설명되었다. 그런데,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이 일정 면적 이상일 경우에는 한 쌍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만으로는 공기 순환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하나의 챔버(120)에 다수개의 분지된 급기덕트(331) 및 이에 대응하는 개수로 분지된 배기덕트(351)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수개의 분지된 급기덕트(331)가 모두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 급기덕트(330)가 되고,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분지된 배기덕트(351)가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 배기덕트(3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기덕트(330) 및 메인 배기덕트(350) 각각에는 내부에 상기 각 덕트(330,350)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댐퍼(340,360)가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120) 외부로 상기 메인 급기덕트(330) 및 메인 배기덕트(350)의 일측으로는 송풍팬(420,440)과 상기 송풍팬(420,440)이 설치되는 케이스(410,4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기덕트(330)에는 향을 발산하는 방향장치(335)가 설치되며, 상기와 같이 분지된 급기덕트(331) 중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방향장치(335)는 챔버(120) 내측으로 소정 위치에 직접 설 치될 수도 있다.
한편, 하나의 찜질방 업소 내부에는 다수개의 종류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찜질방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찜질방마다 향이 달리 나도록 하거나, 내부 온도를 달리하여 운영하거나 등등 이용자들이 원하는 찜질방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순환시키고자 하는 찜질방 마다 공기순환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사우나 또는 찜질방을 위하여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다수 개의 챔버(131,132,1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챔버(131,132,133) 중 임의의 선택된 챔버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복사열 방식으로 상기 챔버 내부공간에 수용된 사람이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도록 하는 적외선 발생유닛(200)이 구비된다.
도 5에서는 편의상 각각의 챔버 모두에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되도록 나타낸 것이며, 이 경우에도 하나의 챔버 내부에는 다수 개의 적외선 발생유닛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은 전기식과 가스가열식 어느 것이 채택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200)이 설치된 챔버(131,132,133) 각각에 있어 각 챔버 내부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서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이 설치된 각 챔 버(131,132,133)에 각각 구비되는 급기덕트(331)와 상기 적외선 발생유닛이 설치된 각 챔버에 각각 구비되는 배기덕트(35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331)를 개폐하는 댐퍼(341)가 상기 분지된 급기덕트(331)마다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덕트(351)를 개폐하는 댐퍼(361)가 또한 상기 분지된 배기덕트마다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덕트(331)는 각 챔버(131,132,133)마다 분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분지된 급기덕트(331)가 연결되는 메인 급기덕트(330)가 더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덕트(351)도 각 챔버(131,132,133)마다 분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분지된 배기덕트(351)가 연결되는 메인 배기덕트(350)가 더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덕트의 천장 배관 구조가 보다 간단하여지게 되며 설치 또한 단순해 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기덕트(330) 및 메인 배기덕트(350)는 사우나 또는 찜질방 영업소의 실외와 연통된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사우나 또는 찜질방 업소에는 제어부(6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600)와 전기적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게 상기 가열유닛의 전원부(280)와 송풍팬의 모터(480) 그리고 댐퍼조절부(380)가 연결된다.
또한, 각 챔버(131,132,133)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600)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된 산소량감지부(58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독 챔버의 경우 챔버(110) 내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S10) 급기덕트(310) 및 배기덕트(320) 내 댐퍼(313,323)가 각각 작동하여 상기 각 급기덕트(310)와 배기덕트(320)를 개방하는 순환모드를 시작한다(S20).
이 경우, 필요 시에는 상기 급기덕트(310)의 댐퍼(313)는 급기덕트(310)가 개방된 채로, 상기 배기덕트(320)의 댐퍼(323)는 상기 배기덕트(320)를 폐쇄한 상태로 공기순환작동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환기가 필요하다고 하는 판단은 미리 챔버(110) 내에 설치된 산소량감지부(580: 도 6 참조)가 실내 산소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감지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감지량을 통한 환기여부 판단은 일예로 든 것이며 다른 여러 공지된 방법이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미리 희망온도를 설정하여 희망온도 이하일 경우에만 순환모드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공기순환모드 작동을 일정 시간 동안에만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때 실외에 설치된 송풍팬(420,440)을 구동하여 강제로 챔버(110) 내부의 공기와 챔버 외부의 공기를 교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급기덕트(310)에 설치되었던 방향장치(315)를 이용 챔버(110) 내부로 일정한 향이 발산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순환모드의 작동 시간 즉 공기순환을 하는 시간을 상기 제어부에 미리 소정의 설정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다(S30).
그리고, 환기가 필요치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 또는 송풍팬을 작동시키지 않는 폐쇄모드 상태로 있게 됨은 물론이다(S40).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4에서와 같은 챔버(12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챔버(120) 내부의 공기순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메인 급기덕트(330) 및 메인 배기덕트(350) 내 각각 구비된 댐퍼(340,360)를 개방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챔버(120) 내부와 챔버(120) 외부가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송풍팬(420,440)을 작동시켜서 강제로 챔버(12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챔버(120)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강제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5와 같은 경우에는, 각각의 챔버(131,132,133)마다 급기덕트(331)와 배기덕트(351)가 따로 분지된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챔버(131,132,133)마다 따라 환기의 필요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공기순환이 필요한 챔버가 있다고 판단 되는 경우에는 해당 챔버의 분지된 급기덕트(331)와 배기덕트(351)의 댐퍼(341,361)를 개방한다. 물론, 그 외의 공기순환여부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챔버의 급, 배기덕트의 댐퍼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챔버(131,132,133) 각각에 연결된 급기덕트(331)와 배기덕 트(351)는 다시 각각 메인 급기덕트(330) 및 메인 배기덕트(35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기덕트(330)와 메인 배기덕트(350)는 송풍팬(420,440)에 의하여 강제로 공기가 공급 또는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댐퍼가 개방된 챔버 내부의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이 경우에도 급기덕트(331)에 방향장치(345)를 설치하여 챔버 내부에 일정한 향의 발산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 경우 상기 방향장치(345)를 급기덕트(331)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급기덕트(331)의 폐쇄 여부와 상관 없이 발산이 가능하도록 댐퍼(341)와 챔버(131) 사이에 상기 방향장치(345)가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선택된 챔버(131)의 급기덕트(331)에만 상기 방향장치(345)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각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챔버 내부에 직접 사용자에게 복사방식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유닛을 구비토록 하여, 공기순환유닛을 구비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더라도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열원에 의해 챔버 내부를 대류 방식을 이용 일정온도로 올림으로써 챔버 내 수용된 사용자를 찜질 또는 사우나 하게 하는 효과를 얻도록 하였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공기순환을 하게 되면 챔버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어 본래 목적인 사우나와 찜질 효과를 할 수가 없게 되므로 공기순환을 하는 것 자체에 큰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사용자에게 직접 복사열이 조사되는 방법으로 사우나나 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므로, 공기순환을 동시에 하여도 본래 목적인 사우나나 찜질 효과를 얻는 데에 지장이 없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촉매연소는 연소시 적외선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인체에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인 열전달과 함께 적외선에 따른 다양한 의료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직접 가열방식이므로 열 손실이 없이 에너지 효율이 높게 되며, 일정한 향을 챔버 내부로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도 있게 해 준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들에 나타난 본 발명 공기순환유닛을 구비한 챔버는 특히 가스식의 적외선 발생유닛이 구비된 경우에 그 효과가 극대화 된다.
즉, 상기 챔버 내 사람이 오랜 시간 들어가 있고 도어를 장시간 닫아놓은 상태인 경우에는 챔버 내의 산소가 희박하여 지게 된다.
그런데, 가스식 적외선 발생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소가 부족하게 되므로 가스의 연소시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특히, 산소 부족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로 인한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챔버 내의 공기가 급속도로 악화될 수 있게 된다. 이는 결국, 챔버 내에 수용된 사용자에게는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 공기순환유닛을 구비한 챔버의 경우에는 챔버 내부에 가스가열방식의 가열유닛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외부 신선한 공기를 계속 챔버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새롭게 공급된 공기 중 포함된 산소를 이용 가스의 완전 연소를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챔버 내 산소 결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챔버에 급, 배기덕트를 연결 시에는 분지된 급, 배기덕트와 메인 급, 배기덕트로 구성하고, 외부에 상기 메인 급, 배기덕트에 송풍팬이 구비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편리함 및 설치구조의 단순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식 적외선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식 적외선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 주요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 작동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120,131,132,133: 챔버 200: 적외선 발생유닛
210,270: 케이스 240: 적외선 발생부
230: 가열부 280: 전원부
281: 전열선 330: 메인 급기덕트
350: 메인 배기덕트 310,331: 급기덕트
320,351: 배기덕트 380: 댐퍼조절부
410,430: 케이스 420,440: 송풍팬
580: 산소량 감지부 600: 제어부

Claims (20)

  1.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발생함과 동시에 복사열 방식으로 상기 챔버 내부공간에 수용된 사람이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도록 하는 가열유닛; 및
    상기 챔버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서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챔버 외부의 공기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덕트; 및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에는,
    상기 급기덕트 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배기덕트 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에는,
    상기 챔버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기를 공급 시에 소정의 향을 공급 가능하도록한 방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다수개의 분지된 급기덕트 및 다수개의 분지된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적외선 발생부; 및
    상기 적외선 발생부를 가열하여 적외선을 발생토록 하는 가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적외선 발생부를 가열시키는 전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가스주입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 구비되며, 세라믹 성분을 함유한 촉매층;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촉매층 인근에 구비되어, 상기 촉매층이 상기 연소가스에 의해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촉매층을 예열시키는 예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는 상기 챔버 내 산소량 감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챔버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에는 복사열 방식으로 상기 챔버 내부공간에 수용된 사람이 사우나 또는 찜질 효과를 얻도록 하는 가열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챔버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에는 챔버 내부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서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급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에는,
    상기 급기덕트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구비되는 급기덕트가 연결되는 메인 급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을 구비한 챔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배기덕트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구비되는 배기덕트가 연결되는 메인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KR1020080049820A 2008-05-28 2008-05-28 가스식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KR101004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20A KR101004756B1 (ko) 2008-05-28 2008-05-28 가스식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20A KR101004756B1 (ko) 2008-05-28 2008-05-28 가스식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49A true KR20090123649A (ko) 2009-12-02
KR101004756B1 KR101004756B1 (ko) 2011-01-04

Family

ID=4168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820A KR101004756B1 (ko) 2008-05-28 2008-05-28 가스식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3145A (zh) * 2012-09-01 2013-05-29 青岛道一氧吧设备有限公司 移动氧吧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280Y2 (ko) 1978-06-23 1986-10-21
JPS63130036U (ko) 1987-02-18 1988-08-25
KR20050095269A (ko) * 2004-03-25 2005-09-29 평성인 천연식물과 원적외선을 이용한 조립식 찜질방
JP4810939B2 (ja) * 2005-09-14 2011-11-09 マックス株式会社 浴室空調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浴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3145A (zh) * 2012-09-01 2013-05-29 青岛道一氧吧设备有限公司 移动氧吧房
CN103123145B (zh) * 2012-09-01 2015-02-11 青岛道一空优科技有限公司 移动氧吧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756B1 (ko)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4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ir from a cooktop
US8418684B2 (en) Catalytic converter unit and method for treating cooking emissions
JP2009115445A (ja) 温風暖房装置
JP2006313065A (ja) 湿度調節兼殺菌器、それを備えた換気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
KR101384483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뚜껑
KR100370363B1 (en) Clothes drying machine having wrinkles removing function
JP2004211961A (ja) 浴室空調装置
JP6245243B2 (ja) 換気システム
CN103930006B (zh) 具有热解功能的烹调设备
JP2017138074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004756B1 (ko) 가스식 가열유닛 및 공기순환유닛이 구비된 챔버
CN215873898U (zh) 新型智能衣柜
JP2013257128A (ja) 熱分解機能を持つオーブン
CN111838998A (zh) 一种智能家居消毒护理鞋柜及其使用方法
KR100737381B1 (ko) 난방의자
KR200441382Y1 (ko) 주방용 공기차단막 발생장치
JP2008164222A (ja) 換気システム
KR101776550B1 (ko) 복사열 조절 구획판을 가진 조리장치
CN201106126Y (zh) 一种用于内衣及小件织物的消毒烘干机
CN212995320U (zh) 一种智能家居消毒护理鞋柜
JP4754203B2 (ja) 浴室空調装置
KR200273832Y1 (ko) 에어커튼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JP2004211963A (ja) 浴室空調装置
KR20220138749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하는 라이트테라피 건강 의류관리기
JP3838088B2 (ja) 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