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013A - 진공블렌더 - Google Patents

진공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013A
KR20210093013A KR1020200006649A KR20200006649A KR20210093013A KR 20210093013 A KR20210093013 A KR 20210093013A KR 1020200006649 A KR1020200006649 A KR 1020200006649A KR 20200006649 A KR20200006649 A KR 20200006649A KR 20210093013 A KR20210093013 A KR 20210093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ntainer
connector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177B1 (ko
Inventor
시앙준 리
Original Assignee
포산 르웨이메이 일렉트리컬 어플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산 르웨이메이 일렉트리컬 어플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포산 르웨이메이 일렉트리컬 어플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102020000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1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크밸브와의 연결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진공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모터부의 진동 및 블렌딩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저소음으로 사용이 가능한 등 사용의 편의성 및 작동의 안정성이 강조된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회동결합되는 회동부로 이루어진 진공 암과, 일단이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암 내부에 배치되는 진공튜브와, 상기 체크밸브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로를 구비한 제1 연결구와, 상기 회동부가 아래로 회동되면서 제1 연결구와 접촉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유로를 구비한 제2 연결구와, 상기 회동부가 아래로 회동되면서 제1 연결구의 걸림턱에 물림턱이 걸려 제1 및 제2 연결구간의 접촉상태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물림부재와, 상기 제2 연결구가 결합되고 일단에는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진공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는 장착구와, 그리고 진공 암의 회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구와 물림부재간의 물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위치로 이루어진 진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블렌더{VACUUM BLENDER}
본 발명은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체크밸브를 안정되게 고정시켜 진공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모터부의 진동 및 블렌딩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저소음으로 사용이 가능한 등 사용의 편의성 및 작동의 안정성이 강조된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가공 날을 이용하여 과일, 야채 등의 음식물을 잘게 분쇄/블렌딩 해주는 것으로, 가정이나 카페 등의 음식점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형 가전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용기 내에 음식물을 넣은 후 뚜껑을 닫고 작동시키면, 가공 날이 회전하면서 음식을 잘게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은 용기 내의 공기와 섞이면서 보통 많은 거품이 발생하여 목넘김 등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쇄과정에서 공기와 접촉한 음식물은 이미 산화가 이루어지고 영양소가 파괴되고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용기 내부를 감압한 상태 즉, 진공상태를 우선 형성한 후 음식물을 가공하는 진공블렌더가 개발되었으며, 가격대가 있으나 진공블렌더가 가진 장점으로 인해 일반 블렌더보다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호응으로 인해 진공블렌더에 대한 기술력은 점차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용기 내를 어떠한 방법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손쉽게 감압할 수 있는지, 또는 진공블렌더 사용시 모터 진동 내지 가공날에 의한 음식물 분쇄시 발생하는 소음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 등에 포커스를 맞추어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진공 및 진공해제를 비롯한 진공블렌더 조작을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비롯하여 진공블렌더 구조를 가능하면 단순화시키는 방안 또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들 역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진공블렌더에 대한 관련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8729호(2016.04.29), 등록특허 제10-1851526호(2018.04.18) 등이 공개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1618729호는 블렌더 본체 내에 진공장치를 일체화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진공 공간을 이원화하여 저장 용기를 진공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공 블렌더를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851526호는 사용자가 진공펌프, 모터, 보조진공튜브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방법 숙제가 필요없이 하나의 조작수단으로 다양한 기능을 연출함과 동시에 원천적으로 오작동을 차단할 수 있는 진공블렌더를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하오나 진공작업시 진공 흡입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용기 내 감압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하고자 하는 본원발명에서의 과제와는 거리가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878304호(2018.07.09)는 소음 차단 효과가 향상된 소음차단 장치를 갖는 블렌더를 제안하고자 한 것으로, 특히 상부차단벽과 하부차단벽으로 이루어진 소음 차단 장치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사용의 편의를 위해 용기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된 진공블렌더를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878304호의 경우,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과 비교시 소음 차단을 위한 커버(상/하부 차단벽)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공통될 수 있으나, 본원발명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진공작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기술적 차이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존 진공블렌더에 비해 안정적인 진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진공 및 진공해제 조작에 있어 편의성과 안정성을 확보한 진공블렌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음 및 진동을 보다 효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한 진공블렌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콤팩트한 구조 내에서 안정적인 진공작업 및 소음/진동 차단을 위한 구조 도입이 이루어져, 전반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진공블렌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블렌더는,
내부에서 가공 날이 회전되어 내용물이 가공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장착되고, 용기 내 진공을 위한 체크밸브를 구비한 용기 뚜껑;
상기 용기가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가공 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용기 내 진공을 위한 진공펌프가 구비된 본체;
본체에 장착된 용기를 덮는 커버; 및
진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모듈은
본체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회동결합되는 회동부로 이루어진 진공 암과, 일단이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암 내부에 배치되는 진공튜브와, 상기 체크밸브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로를 구비한 제1 연결구와, 상기 회동부가 아래로 회동되면서 제1 연결구와 접촉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유로를 구비한 제2 연결구와, 상기 회동부가 아래로 회동되면서 제1 연결구의 걸림턱에 물림턱이 걸려 제1 및 제2 연결구간의 접촉상태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물림부재와, 상기 제2 연결구가 결합되고 일단에는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진공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는 장착구와, 그리고 진공 암의 회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구와 물림부재간의 물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상면에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부와 체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회동 결합되어 용기를 노출시키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블렌더는,
상기 본체 상면에는 실리콘 패드가 배열되고, 상기 덮개의 단부에는 커버가 닫힐 때 본체 상단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패드에 걸쳐지는 걸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전후로 이동되는 것으로, 스위치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이 테이퍼진 제1 작동부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물림부재 사이를 벌려 제1 연결구에 대한 물림부재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진공블렌더에 의하면,
체크밸브와 이어지는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가 서로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체크밸브와의 연결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효율적인 진공 작업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진공 암의 회동부를 아래로 회동시켜 물림부재와 제1 연결구를 고정시키고, 진공 암에 배치된 스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물림부재와 제1 연결구간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 또한 증진되었으며,
본체 상면에 흡수 패드를 장착하고, 커버와 본체 결합시 커버가 흡수 패드 일면에 밀착되어 모터 진동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되고, 블렌딩 시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한 커버의 공진을 최소화시켜 종국적으로 저소음의 진공블렌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블렌더로서, 커버(덮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블렌더로서, 커버(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단면도.
도 5는 진공모듈 부위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연결구에 대한 물림부재의 클램핑 작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블렌더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블렌더는 기존의 진공블렌더와 마찬가지로
내부에서 가공 날이 회전되어 내용물이 가공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 상단에 장착되고 용기 내 진공을 위한 체크밸브(CV)가 구비된 용기 뚜겅(20)과, 용기가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가공 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용기 내 진공을 위한 진공펌프가 구비된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에 내장된 모터와 진공펌프는 기존의 진공블렌더에서 채용하는 일반적 구조로서 구체적인 작동 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이하 본 발명에서 언급되지 않은 진공블렌더 구성에 대한 구조 역시 일반적 구조를 채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핵심적 내용이 아닌 이상 이하 설명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용기 뚜껑(20)은 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용기 뚜껑의 상면은 중심으로 갈 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상향 경사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중심은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5)를 형성한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함몰부(25)의 바닥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으로 체크밸브(CV)가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 장착된 체크밸브의 상단은 제1 연결구(72)의 공기유로(72r)에 끼움 삽입되어 제1 연결구(72)-체크밸브(CV)-용기 뚜껑(20)이 하나의 결합체를 이룬다.
체크밸브(CV) 역시 내부에 공기유로(CVr)롤 형성하는 것으로, 진공 펌프 작동시 용기 내부의 공기가 상부쪽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반대쪽으로의 공기 이동은 방지되는 구조가 설계되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체크밸브(CV)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통을 제어하는 이동판(CVp)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판(CVp)은 후방으로 축(CVs)을 구비하고, 축(CVs)에 탄성 스프링(S)이 구비되어 있어, 진공 펌프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동판(CVp)이 아래로 이동하여 체크밸브의 공기유로(CVr)를 막는다.
그리고 진공 펌프가 작동되면 흡입력에 의해 이동판(CVp)이 위로 이동되는데, 위로 이동되는 이동판(CVp)은 체크밸브 내부의 상부벽에서 아래로 간격을 두어 다수 개 형성된 이격부재(CVa)에 의해 특정 지점에서 이동이 정지되고, 이로 인해 체크밸브-제1 연결구-제2 연결구-장착구의 공기유로가 연통되면서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다.
이후 진공펌프 작동이 멈춰지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판(CVp)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체크밸브의 공기유로(CVr)를 막고, 용기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체크밸브(CV)는 하드재질인 반면 제1 연결구(72)는 소프트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연결구(72)-체크밸브(CV)-용기 뚜껑(20)의 결합체는 분리가능한 구조로서, 진공블렌더 사용 후 각 부품별로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용기 뚜껑(20)의 내주면에는 체크밸브(CV)를 중심으로 그 주변으로 체결벽(2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벽(27)에 내부캡(29)이 스크류 결합된다.
상기 내부캡(29)은 체크밸브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체크밸브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291)을 구비하고, 보호판(291)에 형성된 홀(291h)을 통해서 용기 내부의 공기가 체크밸브(CV) 쪽으로 이동된다. 사용자가 내부캡(29)을 잡을 수 있도록 보호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파지부(293)가 형성된다. 이에 사용자는 파지부(293)를 잡고서 내부캡(29)을 용기 뚜껑(20)에 결합 내지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용기 뚜껑이 결합된 용기(10)는 본체(30)에 장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소음 및 진동 차단을 위한 커버(50)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50)가 본체에 장착된 용기(10) 전체를 덮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전방을 제외한 양 측면과 후면을 따라 결합부(40)가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0)에 커버의 고정부(51)가 체결된다.
즉 본 발명의 커버(50)는, 양 측면(511)과 양 측면을 이어주는 연결면(513)을 가지면서 일정 높이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결합부(40)에 체결되는 고정부(51)와, 상기 고정부(51)의 상부에서 회동되게 결합되어 회동 정도에 따라 용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덮개(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52)는 고정부의 측면(511)을 일정 부분 덮어주는 형태의 측면(521)과, 손잡이(H)가 구비된 전면(523)과, 전면과 양 측면이 연결된 상면(525)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손잡이(H)를 잡고 덮개(52)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본체에 장착된 용기의 노출 정도를 결정한다.
상기 덮개(52)는 용기를 덮었을 때 본체(30)의 상부 일정 부분까지 커버해주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소음 및 진동 차단에 효과적이다.
나아가 본체(30)의 상면에는 실리콘 패드(80)가 구비되고, 덮개(52)의 단부에는 커버가 닫힐 때 본체 상면에 구비된 실리콘 패드에 걸쳐지는 걸침부(527)를 형성하여,
커버(50)를 닫은 상태에서 덮개(52)가 본체(30)의 상부 일부를 감싸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걸침부(527)가 실리콘 패드(80)에 접촉되는 형태가 되어, 모터의 진동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렌딩 작업시 운전 진동에 의한 커버의 떨림 내지 이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고정부(51)는 결합부(40)에 착탈되는 형태로 결합부(4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51)의 양 측면(511)과 연결면(513)에 결합공(51a)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51a)과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로 결합부(40)에 결합돌기(40a)를 형성하여 결합공(51a)에 결합돌기(40a)를 끼워넣음으로서 결합부에 고정부를 체결/고정시킨다. 그리고 결합부 외측으로 보강턱(45)을 더 형성하여 결합부에 고정부가 체결/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51)가 결합부(40)에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진공블렌더의 세척 등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에는 진공 암(60)이 형성되는데, 진공 암(60)은 진공 튜브(71)가 배치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면서도, 체크밸브(CV)와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진공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연결구(72)와 제2 연결구(73)간의 접촉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상기 진공 암(60)은 본체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부(61)와 상기 지지부 상단에서 지지부와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부(62)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동부(62)를 아래로 회동시켜 제1 연결구(72)와 제2 연결구(73)를 접촉시킨다.
상기 진공 암(60) 내부에 구비된 진공 튜브(71)는 일단이 본체에 구비된 진공 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진공 암의 회동부(62) 내부에 구비된 장착구(74)의 노즐(74n)과 결합된다.
상기 장착구는 회동부(62)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노즐(74n)이 구비되어 진공 펌프와 일단이 연결된 진공 튜브(71)의 타단과 결합되고, 장착구의 하부에는 제2 연결구(73)가 결합된다.
상기 장착구(74) 역시 내부에는 공기 이동을 위한 공기 유로(74r)가 형성되어 있어, 진공 펌프가 작동되면 용기 내부의 공기는 체크밸브(CV)-제1 연결구(72)-제2 연결구(73)-장착구(74)에 형성된 각 공기유로(CVr, 72r, 73r, 74r)를 통해 진공 트뷰(71)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2 연결구(73)는 진공 암의 회동부(62)가 아래로 회동하면서 뚜껑에 결합된 제1 연결구(72)를 눌러주면서 접촉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진공 암의 회동부(62)를 아래로 회동시키면 체크밸브(CV)-제1 연결구(72)-제2 연결구(73)-장착구(74)에 형성된 각 공기유로(CVr, 72r, 73r, 74r)가 서로 연통되어 진공 흡입이 가능한 대기 상태가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체크밸브(CV)와의 연결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해 한 쌍의 물림부재(75)를 회동부(62) 측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회동부(62)를 아래로 회동시키면 제1 연결구(72)와 제2 연결구(73)가 접촉됨과 동시에 한 쌍의 물림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물림턱(751)이 제1 연결부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721)에 걸리면서(특히 도 5 참조)
결국 한 쌍의 물림부재(75)가 제1 연결구(72)를 잡아주는 형태가 되어 제1 연결구(72)와 제2 연결구(73)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이로 인해 종국적으로는 체크밸브(CV)와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진공 펌프나 모터 등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있더라도 흡입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공 암의 회동부(62)에는 한 쌍의 물림부재(75) 사이를 벌려 제1 연결부(72)에 대한 물림부재(75)의 물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스위치(76)가 구비된다.
즉, 사용자는 진공 암의 회동부(62)를 아래로 회동시켜 제1 연결구(72)와 제2 연결구(73)를 면 접촉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물림부재(75)가 제1 연결구(72)를 클램핑하여 진공 흡입을 위한 대기 상태로 두고,
이후 진공이 완료되면 진공 암의 회동부(62)를 위로 회동시키면서 강제적으로 한 쌍의 물림부재(75)와 제1 연결구(72) 간의 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회동부(62)에 구비된 스위치(76)룰 작동시켜 물림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76)는 전후로 이동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스위치(76)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된 제1 작동부(77)가 전방으로 이동되는데,
한 쌍의 물림부재(75)가 결합된 한 쌍의 제2 작동부(78) 사이에 위치한 제1 작동부(77)의 측면이 테이퍼져 있어, 제1 작동부(77)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테이퍼진 측면에 의해 한 쌍의 제2 작동부(78) 및 이와 결합된 한 쌍의 물림부재(75) 사이가 벌어지고, 이로 인해 제1 연결구(72)에 대한 물림부재(75)의 물림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위치(76)를 놓으면, 스위치 및 한 쌍의 제2 작동부에 설치된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스위치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1 작동부 또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벌어진 한 쌍의 제2 작동부(78)와 이와 결합된 한 쌍의 물림부재(75) 사이가 원상 복구된다.
참고로, 진공 암(60), 제1 연결구(72), 제2 연결구(73), 장착구(74), 및 진공튜브(71), 한 쌍의 물림부재(75), 그리고 스위치(76)를 진공모듈로 통칭한다.
다음으로 용기 뚜껑(20)에는 용기 내 진공 해제를 위한 진공해제밸브(90)가 구비된다. 진공해제밸브(90)는 용기 뚜껑에 형성된 통공과 해당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해제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즉 해제버튼을 사용자가 회전시키면서 용기 뚜껑에 형성된 통공의 개폐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뚜껑(20)이 덮힌 내용물이 든 용기(10)를 본체(30)에 장착시킨 후,
사용자는 진공 암(60)의 회동부(62)를 아래로 회동시켜 회동부(62) 측에 구비된 제2 연결구(73)와 뚜껑 측에 두비된 제1 연결구(72)를 접촉시킨다.
이때 회동부(62)에 힘을 주어 아래로 눌러주면 딸깍 소리를 내면서 회동부(62) 측에 구비된 한 쌍의 물림부재(75)의 물림턱(751)이 제1 연결구(72) 상단의 걸림턱(721)에 걸리면서 한 쌍의 물림부재(75)가 제1 연결구(72)를 잡아주게 된다.
이를 통해 공기유입로가 연통되면서 진공 흡입 대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덮개(52)를 아래로 내려 커버(50)를 닫은 후 진공버튼을 작동시킨다.
특히 덮개(52)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덮개의 측면(521)은 고정부의 측면(511)을 감싸면서 덮개(52)는 본체(30)의 상부 일부를 감싸는데, 이 과정에서 덮개의 단부에 형성된 걸침부(527)가 본체 상면에 구비된 실리콘 패드(80)와 접촉되면서 걸쳐진다.
이후 용기 내 진공이 완료되면, 내용물 불렌딩을 위한 작동버튼을 눌러서 내용물을 용기 내 진공상태에서 블렌딩시키고, 블렌딩이 완료되면 덮개(52)를 들어올리고, 진공 암에 있는 스위치(76)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1 연결구(72)에 대한 물림부재(75)의 물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회동부(62)를 위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용기 뚜껑에 구비된 진공해제밸브(90)의 해제버튼을 돌려 용기 내 진공을 해제시키고 용기 뚜껑(20)을 용기(10)로부터 분리시켜 내용물을 다른 용기로 이동시키는 등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기 20: 용기 뚜껑
25: 함몰부 27: 체결벽
29: 내부캡
30: 본체 40: 결합부
45: 보강턱 40a: 결합돌기
50: 커버
51: 고정부 51a: 결합공
511: 고정부의 측면 513: 연결면
52: 덮개
521: 덮개의 측면 523: 전면
525: 상면 527: 걸침부
60: 진공암
61: 지지부 62: 회동부
71: 진공튜브
72: 제1 연결구 721: 걸림턱
73: 제2 연결구
74: 장착구 74n: 노즐
75: 한 쌍의 물림부재 751: 물림턱
76; 스위치
77: 제1 작동부 78: 제2 작동부
80: 실리콘 패드, 90: 진공해제밸브
CV: 체크밸브

Claims (4)

  1. 내부에서 가공 날이 회전되어 내용물이 가공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장착되고, 용기 내 진공을 위한 체크밸브를 구비한 용기 뚜껑;
    상기 용기가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가공 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용기 내 진공을 위한 진공펌프가 구비된 본체;
    본체에 장착된 용기를 덮는 커버; 및
    진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모듈은
    본체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회동결합되는 회동부로 이루어진 진공 암과,
    일단이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암 내부에 배치되는 진공튜브와,
    상기 체크밸브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유로를 구비한 제1 연결구와,
    상기 회동부가 아래로 회동되면서 제1 연결구와 접촉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유로를 구비한 제2 연결구와,
    상기 회동부가 아래로 회동되면서 제1 연결구의 걸림턱에 물림턱이 걸려 제1 및 제2 연결구간의 접촉상태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물림부재와,
    상기 제2 연결구가 결합되고 일단에는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진공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는 장착구와, 그리고
    진공 암의 회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구와 물림부재간의 물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블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면에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부와 체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회동 결합되어 용기를 노출시키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블렌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면에는 실리콘 패드가 배열되고,
    상기 덮개의 단부에는 커버가 닫힐 때 본체 상단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패드에 걸쳐지는 걸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블렌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전후로 이동되는 것으로,
    스위치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스위치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이 테이퍼진 제1 작동부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물림부재 사이를 벌려 제1 연결구에 대한 물림부재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블렌더.
KR1020200006649A 2020-01-17 2020-01-17 진공블렌더 KR10231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49A KR102317177B1 (ko) 2020-01-17 2020-01-17 진공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49A KR102317177B1 (ko) 2020-01-17 2020-01-17 진공블렌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013A true KR20210093013A (ko) 2021-07-27
KR102317177B1 KR102317177B1 (ko) 2021-10-26

Family

ID=7712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649A KR102317177B1 (ko) 2020-01-17 2020-01-17 진공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1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904A (ko) * 2008-08-15 2011-05-02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식품 처리장치를 위한 밀봉 엔클로저
JP2016087266A (ja) * 2014-11-07 2016-05-23 株式会社テスコム 電動調理器
KR101851526B1 (ko) * 2017-01-23 2018-06-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블렌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904A (ko) * 2008-08-15 2011-05-02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식품 처리장치를 위한 밀봉 엔클로저
JP2016087266A (ja) * 2014-11-07 2016-05-23 株式会社テスコム 電動調理器
KR101851526B1 (ko) * 2017-01-23 2018-06-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177B1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3485Y2 (ja) 集塵機の外部電源供給機構
US7350266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R2926016A3 (fr) Machine a cafe goutte a goutte entierement automatique
KR100662282B1 (ko) 진공 청소기의 덮개 구조
JP3583087B2 (ja) 電気掃除機
KR102317177B1 (ko) 진공블렌더
US7500283B2 (en)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cover locking/releasing structure and a cover hinge-coupling structure
US7472453B2 (en) Vacuum cleaner
WO2012140825A1 (ja) 空気吸引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EP1711091B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avec accessoire amovib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commande
JP7083038B2 (ja) 豆挽き機能付きコーヒーメーカー
JP2000070197A (ja) 電気掃除機
EP0012976B1 (fr) Appareil ménager à couteaux rotatifs, tel qu'un hachoir ou broyeur
JP2000102500A (ja) 電気掃除機
JP2002211613A (ja) 液体容器の吸い口付き栓
KR100640920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CN100525691C (zh) 家用烹调加工电器
JP3097217U (ja) 安全保護構造を具えた食品粉砕機
CN101516242B (zh) 具有用于盖住耦联部位的可旋转的盖子的食物处理器
JP3771168B2 (ja) 電動調理器
CN220824193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JPS624280Y2 (ko)
KR840001064Y1 (ko) 주방용 믹서
JP7360896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H119532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