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400A -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 Google Patents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400A
KR20210090400A KR1020200003609A KR20200003609A KR20210090400A KR 20210090400 A KR20210090400 A KR 20210090400A KR 1020200003609 A KR1020200003609 A KR 1020200003609A KR 20200003609 A KR20200003609 A KR 20200003609A KR 20210090400 A KR20210090400 A KR 20210090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handrail
side plates
hinge pi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오
Original Assignee
진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오 filed Critical 진현오
Priority to KR102020000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0400A/ko
Publication of KR2021009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400A/ko
Priority to KR1020210163486A priority patent/KR20210148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제1 힌지핀이 결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1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발판지지대; 및 상기 발판지지대의 제2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지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과 보관이 용이해지고 운반 및 공급 과정에서 개별부품의 분실 또는 누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FOLDABLE RAILING BASE ASSEMBLY AND RAILING STRUCTURE FOR CHECKING BRIDG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교량점검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 또는 강이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도로 등에는 각종 형태의 교량이나 구조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 이나 구조물에는 출입, 점검, 조명 등의 시설을 구비하고 교량이나 구조물의 각 부위에 대한 기능 상태와 노후도 및 결함 등을 확인하거나 통행로 확보 등을 위해 점검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 등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교량 및 구조물에 점검용 난간이 설치된다.
특히, 교량 점검 시설은 교통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조물이나 교량 상판의 하부, 또는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 측에 주로 설치되며, 작업자의 이동과 안전을 위한 교량이나 구조물 점검용 난간과 이 교량점검용 난간 측에 접근하기 위한 사다리 등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교량점검용 난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또는 교대(P)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앵커볼트그룹(11), 앵커볼트그룹(11)에 결합되는 교각 또는 교대(P)에 지지되는 고정브라켓(12), 고정브라켓(12)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발판지지대(13), 발판지지대(13)에 상향수직으로 결합되는 난간지주(14), 발판지지대(13)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판(15), 난간지주(14)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핸드레일(16)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교량점검용 난간(1)을 시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고정브라켓(12), 발판지지대(13), 난간지주(14)가 각각 개별부품으로 공급되어 차례로 하나씩 각 부품을 결합해가며 설치해야 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또는 교대(P)에 설치된 앵커볼트그룹(11)에 고정브라켓(12)을 고정시키는 단계(도 2(a)(b)), 발판지지대(13)를 고정브라켓(12)에 수직으로 배치시키고 체결구멍을 맞춰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도 2(c)), 난간지주(14)를 발판지지대(13)에 수직으로 배치시키고 체결구멍을 맞춰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도 2(d))로 고정브라켓(12), 발판지지대(13), 난간지주(14)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부품에 의한 시공방법은 고소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점검용 난간의 시공에 있어서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안전성이 떨어지며 설치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부품들을 보관하고 운반하는데 있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개별부품의 분실 또는 누락 등의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간기초어셈블리의 각 구성요소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공급되고 각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교량점검용 난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제1 힌지핀이 결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1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발판지지대; 및 상기 발판지지대의 제2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지주를 포함하는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발판지지대는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접철되거나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간지주는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발판지지대에 접철되거나 상기 발판지지대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한쪽 면에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판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두 개의 측면판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힌지핀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각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판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지지대는 설정된 길이와 균일한 폭을 갖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절곡 연장된 측면판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힌지핀이 결합되는 핀결합공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 힌지핀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2 체결공과, 상기 제2 힌지핀이 위치하는 상기 지지판의 다른 한쪽 단부에 개구홈 형태로 형성되는 난간지주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간지주는, 설정된 길이와 균일한 폭을 갖는 중심판과, 상기 중심판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절곡 연장된 측면판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핀결합공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그룹; 상기 앵커볼트그룹들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들; 상기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발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의 상부에 연결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는, 상기 교각 또는 교대에 지지되어 상기 앵커볼트그룹에 결합되며,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제1 힌지핀이 결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1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발판지지대; 상기 발판지지대와 고정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제1 체결유닛; 상기 발판지지대의 제2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지주; 상기 난간지주와 발판지지대가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제2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교량점검용 난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브라켓, 발판지지대, 난간지주가 서로에 대해 접철되어 포개어진 상태로 공급됨으로써, 각 부품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공급되고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어 운반과 보관이 용이해지고 운반 및 공급 과정에서 개별부품의 분실 또는 누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교량점검용 난간을 설치함으로써, 고소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점검용 난간의 시공에 있어서 난간기초어셈블리가 일체화되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급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교량점검용 난간을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설치할 수 있고, 설치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교량에 설치된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점검용 난간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점검용 난간의 시공과정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용 난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용 난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a)고정브라켓 (b)발판지지대 (c)난간지주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의 시공과정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용 난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용 난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용 난간(10)의 일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그룹(100),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 발판(300), 핸드레일(400)을 포함한다.
앵커볼트그룹(100)은 복수 개이며, 그 복수 개의 앵커볼트그룹(100)들은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P)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하나의 앵커볼트그룹(100)은 복수 개의 앵커볼트들과 이에 대응하는 너트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앵커볼트그룹(100)은 교각 또는 교대(P)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앵커볼트들이 2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앵커볼트들은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P)에 매립된다. 이후 매립된 앵커볼트들에 이하에서 설명할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가 결합되고 너트들로 조여진다.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그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은 앵커볼트그룹(100)들에 각각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는, 고정브라켓(210), 발판지지대(220), 난간지주(230), 제1 체결유닛(240), 제2 체결유닛(250)을 포함한다.
고정브라켓(210)은 교각 또는 교대(P)에 지지되어 앵커볼트그룹(100)에 결합되며,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제1 힌지핀(213)이 결합된다.
고정브라켓(210)의 일예로, 고정브라켓(21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길이를 갖는 베이스판(211)과, 베이스판(211)의 한쪽 면에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베이스판(211)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두 개의 측면판들(212)과, 측면판들(21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1 힌지핀(213)과, 측면판들(21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들(214)과, 측면판들(212)의 각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판(211)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들(215)을 포함한다.
베이스판(211)은 교각 또는 교대(P)에 지지된다. 측면판들(212)의 각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판(211) 부분에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들(215)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제2 체결공들(215)에 교각 또는 교대(P)에 매립된 앵커볼트들이 삽입되어 너트로 조여짐으로써 고정브라켓(210)이 교각 또는 교대(P)에 고정된다.
두 개의 측면판들(212)은 베이스판(211)의 한쪽 면에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베이스판(21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측면판들(212) 사이로 발판지지대(220)가 접철 즉, 포개어 삽입될 수 있다.
측면판들(21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는 제1 힌지핀(213)이 구비된다. 제1 힌지핀(213)은 발판지지대(220)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와 결합한다.
고정브라켓(210)의 다른 일예로, 고정브라켓(210)은 측면판들(212) 사이의 베이스판(211) 부분의 길이방향 일단에 절곡 연장되는 하부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판(미도시)은 고정브라켓(210)의 하단부를 폐쇄하여 발판지지대(220)가 고정브라켓(210)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졌을 때 발판지지대(220)를 지지한다.
발판지지대(220)는 고정브라켓(210)의 제1 힌지핀(213)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힌지핀(225)이 결합된다.
발판지지대(220)의 일예로, 발판지지대(2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길이와 균일한 폭을 갖는 지지판(221)과, 지지판(221)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절곡 연장된 측면판들(222)과, 측면판들(22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 힌지핀(213)이 결합되는 핀결합공(223)과, 측면판들(22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들(224)과, 측면판들(222)의 길이방향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2 힌지핀(225)과, 측면판들(222)의 길이방향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2 체결공(226)과, 제2 힌지핀(225)이 위치하는 지지판(221)의 다른 한쪽 단부에 개구홈 형태로 형성되는 난간지주삽입홈(227)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지지대(220)는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고정브라켓(210)에 접철되거나(도 6(a)) 고정브라켓(210)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진다(도 6(c)).
발판지지대(220)의 측면판들(22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된 핀결합공(223)에는 고정브라켓(210)의 측면판들(21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구비된 제1 힌지핀(213)이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지지대(220)는 제1 힌지핀(213)의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다.
발판지지대(220)를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발판지지대(2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10)에 접철된다. 발판지지대(220)의 지지판(221)은 균일한 폭을 가지며, 측면판들(222)은 지지판(22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절곡 연장된다. 즉, 지지판(221)과 측면판들(222)의 절단면은 ‘ㄷ’자 형상이다. 지지판(221)의 폭은 고정브라켓(210)의 두 개의 측면판들(212)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발판지지대(220)는 고정브라켓(210)의 베이스판(211)의 한쪽 면에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베이스판(211)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두 개의 측면판들(212)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고, 고정브라켓(210)의 베이스판(211)에 막혀 이동이 제한된다.
발판지지대(220)를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발판지지대(22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10)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진다. 고정브라켓(210)과 발판지지대(220)가 수직으로 위치하면 고정브라켓(210)의 측면판들(21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들(214)과 발판지지대(220)의 측면판들(22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들(224)이 서로 연통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유닛(240)은 발판지지대(220)와 고정브라켓(210)이 고정되도록 체결한다. 고정브라켓(210)과 발판지지대(220)가 수직으로 위치하면 고정브라켓(210)의 제1 체결공들(214)과 발판지지대(220)의 제1 체결공들(224)에 제1 체결유닛(240)을 체결하여 발판지지대(220)와 고정브라켓(210)을 고정시킨다. 제1 체결유닛(240)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간지주(230)는 발판지지대(220)의 제2 힌지핀(225)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난간지주(230)의 일예로, 난간지주(23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길이와 균일한 폭을 갖는 중심판(231)과, 중심판(231)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절곡 연장된 측면판들(232)과, 측면판들(23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2 힌지핀(225)이 결합되는 핀결합공(233)과, 측면판들(23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공(234)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지주(230)는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발판지지대(220)에 접철되거나(도 6(a)) 발판지지대(220)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진다(도 6(c)).
난간지주(230)의 측면판들(23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된 핀결합공(233)에는 발판지지대(220)의 측면판들(22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구비된 제2 힌지핀(225)이 결합된다. 따라서 난간지주(230)는 제2 힌지핀(225)의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다.
난간지주(230)를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난간지주(23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지지대(220)에 접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지지대(220)의 지지판(221)은 균일한 폭을 가지며 측면판들(222)은 지지판(22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지지판(221)과 측면판들(222)의 절단면은 ‘ㄷ’자 형상이다. 난간지주(230)의 중심판(231)의 폭은 발판지지대(220)의 두 개의 측면판들(222)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난간지주(230)는 발판지지대(220)의 지지판(221)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절곡 연장된 측면판들(222)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고, 발판지지대(220)의 지지판(221)에 막혀 이동이 제한된다.
난간지주(230)를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난간지주(23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지지대(220)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진다. 발판지지대(220)에는 제2 힌지핀(225)이 위치하는 지지판(221)의 다른 한쪽 단부에 개구홈 형태로 난간지주삽입홈(227)이 형성된다. 따라서 난간지주(2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판지지대(220)의 난간지주삽입홈(227)으로 삽입되면 난간지주(230)의 회전이 제한되고 난간지주(230)는 발판지지대(220)에 대해 상향수직으로 위치한다. 난간지주(230)가 발판지지대(220)에 대해 상향수직으로 위치하면 발판지지대(220)의 측면판들(222)의 길이방향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2 체결공(226)과 난간지주(230)의 측면판들(232)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공(234)이 서로 연통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유닛(250)은 난간지주(230)와 발판지지대(220)가 고정되도록 체결한다. 난간지주(230)가 발판지지대(220)에 대해 상향수직으로 위치하면 발판지지대(220)의 제2 체결공(226)과 난간지주(230)의 체결공(234)에 제2 체결유닛(250)을 체결하여 난간지주(230)와 발판지지대(220)를 고정시킨다. 제2 체결유닛(250)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300)은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들의 하부에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0)은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의 발판지지대(220)의 지지판(221) 위에 배치되며,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한다. 발판(300)은 복수 개의 단위발판들로 구성된다. 발판(300)은 단위발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하다.
핸드레일(400)은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의 상부에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400)은 난간지주(230)에 일정 높이로 배치되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핸드레일(400)은 난간지주(230)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을 구비하는 교량점검용 난간(10)의 시공방법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는 발판지지대(220)가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브라켓(210)에 접철되고, 난간지주(230)가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판지지대(220)에 접철되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가 된 상태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210), 발판지지대(220), 난간지주(230)가 서로에 대해 접철되어 포개어진 상태로 공급됨으로써, 각 부품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공급되고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어 운반과 보관이 용이해지고 운반 및 공급 과정에서 개별부품의 분실 또는 누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교량점검용 난간(10)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제1단계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P)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앵커볼트그룹(100)들을 매립한다.
제2단계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된 앵커볼트그룹(100)에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를 결합하여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를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P)에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매립된 앵커볼트그룹(100)의 앵커볼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10), 발판지지대(220), 난간지주(230)가 서로에 대해 접철된 상태로 공급된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의 고정브라켓(210)의 측면판들(212)의 각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판(211)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들(215)이 끼워지고 너트로 조여진다.
제3단계로, 도 7(c)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의 발판지지대(220)와 난간지주(230)를 제1 힌지축 및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발판지지대(220)를 수평으로, 난간지주(230)를 상향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고정브라켓(210)과 발판지지대(220)가 고정되도록 제1 체결유닛(240)을 체결하고 발판지지대(220)와 난간지주(230)가 고정되도록 제2 체결유닛(250)을 체결한다.
제4단계로, 발판지지대(220)에 발판(300)을 설치한다.
제5단계로, 난간지주(230)에 핸드레일(40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200)를 이용하여 교량점검용 난간(10)을 설치함으로써, 고소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점검용 난간(10)의 시공에 있어서 난간기초어셈블리가 일체화되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급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교량점검용 난간(10)을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P)에 설치할 수 있고, 설치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
1, 10: 교량점검용 난간 11,100: 앵커볼트그룹
12, 210: 고정브라켓 13, 220:발판지지대
14, 230:난간지주 15, 300: 발판
16, 400: 핸드레일 200: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들
P: 교각 또는 교대

Claims (7)

  1.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제1 힌지핀이 결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1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발판지지대; 및
    상기 발판지지대의 제2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지주를 포함하는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대는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접철되거나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는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발판지지대에 접철되거나 상기 발판지지대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한쪽 면에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판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두 개의 측면판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힌지핀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각 외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판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들을 포함하는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대는 설정된 길이와 균일한 폭을 갖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절곡 연장된 측면판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힌지핀이 결합되는 핀결합공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 힌지핀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2 체결공과, 상기 제2 힌지핀이 위치하는 상기 지지판의 다른 한쪽 단부에 개구홈 형태로 형성되는 난간지주삽입홈을 포함하는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는 설정된 길이와 균일한 폭을 갖는 중심판과, 상기 중심판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절곡 연장된 측면판들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핀결합공과, 상기 측면판들의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7.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그룹들;
    상기 앵커볼트그룹들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들;
    상기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발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의 상부에 연결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는,
    상기 교각 또는 교대에 지지되어 상기 앵커볼트그룹에 결합되며, 길이방향 한쪽 단부에 제1 힌지핀이 결합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1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힌지핀이 결합되는 발판지지대;
    상기 발판지지대와 고정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제1 체결유닛;
    상기 발판지지대의 제2 힌지핀에 길이방향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지주; 및
    상기 난간지주와 발판지지대가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제2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교량점검용 난간.

KR1020200003609A 2020-01-10 2020-01-10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KR20210090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09A KR20210090400A (ko) 2020-01-10 2020-01-10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KR1020210163486A KR20210148034A (ko) 2020-01-10 2021-11-24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09A KR20210090400A (ko) 2020-01-10 2020-01-10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486A Division KR20210148034A (ko) 2020-01-10 2021-11-24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400A true KR20210090400A (ko) 2021-07-20

Family

ID=771273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609A KR20210090400A (ko) 2020-01-10 2020-01-10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KR1020210163486A KR20210148034A (ko) 2020-01-10 2021-11-24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486A KR20210148034A (ko) 2020-01-10 2021-11-24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904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567A1 (ko) 2021-11-01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음극의 제조방법,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034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0341A1 (en) Scaffolding
KR101215330B1 (ko)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JPH02504659A (ja) 足場
KR101464304B1 (ko) 교량 점검로
KR20210148034A (ko)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KR102235163B1 (ko) 교각 설치용 교량점검시설
KR102310827B1 (ko)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CN110984456A (zh) 一种模块化的桁架屋盖结构及制造方法
CN110805289A (zh) 插接式卸料平台及施工方法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102558279B1 (ko)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KR20220069331A (ko) 절첩식 교량점검통로 시스템
KR20180003332A (ko)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KR20110006315A (ko) 각도조절가능한 교량 점검 통로용 포스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점검통로
KR102281395B1 (ko) 교량용 점검시설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KR20040039919A (ko)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JP2948561B1 (ja) 法面設置用階段
JP7300146B2 (ja) 点検路および点検路における巾木の取付構造
US20080017840A1 (en) Safety rail
KR200397402Y1 (ko) 교량시설물 점검용 지주대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